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사용실태 및 원단위 분석 연구 : 昌原大學校를 中心으로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에 위치한 창원대학교를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여 기본현황 및 시설현황, 냉난방설비현황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을 파악해보고, 연간 전력사용량 및 도시가스 사용량을 7개년도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국가 에너지절감 정책 및 관련 법·제도적 규제에 따른 공공기관인 대학에서 법·규제에 대응하여 어떠한 감축수단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감축량은 어느 정도인가 가늠해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대학에서 지속적인 에너지절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Suggestion to Develops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Changwon City by Hong-Ja, Jeu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Graduate School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Major Adviser : Prof. Hae-Bum, Choi As we, Republic of Korea, are expecting to increase the products and exporting volumes of autos, textiles, steels as a result of signing FTA with U.S and EU that is the largest integrated economic zone in the world, we should prepare new approach to meet the change to demand continuous large scale vessel, and to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global logistics networks. and Busan new port and hinterland have been developing for many years to create port-added value and to secure new port governance that goes beyond traditional port perimeter. therefore, under rapid changing circumstance of port logistic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logistics modernization are increased more and more. this trend will be affected greatly to Chang Won City adjacently tied with Busan New Port. The high added value in port logistics considers as the survival key role strategy in a certain area, and the clustering of various industry will be a core measure to promote regional economy. To expand and supply good infrastructure in port hinterland, such as low land price, roadway, electricity, traffic, port availability, and to make and promote high added value at hinter land, new strategy is required in developing port logistics as a driving factor.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practical consideration so 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to port logistics in Chang Won city with stimulating Busan new port hinterland. Especially, not only logistics industrialization in main industry in Chang Won city, such as machinery, machinery-parts, ship building related industry, electric, electric parts, but also the developing method of port logistics at Chang Won city will be highly valued as useful strategy in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main industry logistics in Chang Won city. Substituting Service in distribution, storage of main industry in Chang Won city, such as machinery, machinery-parts, ship building related industry, electric, electric parts, is preceded in view to cargo traffic frequency, distance and location of distribution, cargo size, and the effect of port logistics will be greatly increased with accompanied information and knowledge service. These are reshaped the current state of main industry, cargo volume analysis/ or freight circulation between hinterland and cargo load up location, and current state of port logistics to maximize practical efficiency of logistics industralization in main industry in Chang Won city. The phase toward logistics integration of main industry is needed to a gradual and market driven process with the set up of the master plan to look in with long term dependent strategies and functional push ahead in logistics networks improving its efficiency. Appropriated approach should be accessed to ex-import logistics, forwarding, supply of high-end logistics information. This article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logistics in Chang Won city and Busan new port hinterland and gropes for the way to develop not only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in Chang Won city but also main industry in Chan Won city under connection with activation of port hinterland.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port hinterland is as so much important as to expand port installation. and also the way to enhance the development new port hinterland is proposed. also, By case study to develop logistics in advanced countries, cost reduction in companies and new paradigm are submitted to be logistics industrialization in main industry linked with Busan new port hinterland. It will rethink and broaden the development way of port logistics at Chang Won city to cope actively with the change of port governance. First of all, in private sector, logistics industry puts vitalization, large scale-merit, enhancement forwards, such as diversified policies go to unify policy or big companies which handle own logistics should be hand over to third party. To secure and increase logistics market sharing world widely, logistics law should be legislated to promote nation wide assistance as soon as possible, and logistics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to key industry so as to be a resources of regional wealth source. Second, Under legal and broad institutional base, a local autonomous entity should be attended not only to select the companies to offer the space in hinterland but also to take part in decision of port authority management. Henceforth, logistics companies in Chang Won city could be possible to offer the space in New port hinterland. By priority, local government should take the policy to nurtures total logistics companies which have intensive technology and capability to handle containers & cargo. To activating logistics center, Port logistics center should be constructed to join specialized logistics companies and big shippers in logist hinterland facilities . At the same time, local government could be assist to establish the basic infrastructure and companies in hinterland would be get the proper incentives differential in grade. Leading logistics companies should be promoted by disinter among excellent companies in logistics industry, and they would be a role model to other companies to be accompanied with each other for mutual development. and also it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 to back up for logistic specialization b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By mechan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logistics industry, the optimization of managing and operating in specialized logistics companies will be groping, if these companies have good technology and deep knowledge in logistics. Moreover, green logistics, big issue in logistics industry recently, could be achieved by logistics industrialization. Finally The activating base for port logistics industry should be prepared by followings. logistics companies in Chang Won city broadly takes part in Busan New port, and they make a consortium to support logistics dustrialization. To expand logistics association will be leaded to build network intimately among logistic related entities, such as associations,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 For rapid change of logistics business circumstance and to meet diversified demand in future, activating for port hinterland development will be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logistic industry in Chang Won city. Such growth and development in port logistics will be maximized economically spill over effect by regional employment creation, income and tax increase with speed up for industry metabolism, new employments, new type job creation. 우리나라는 세계 최대 단일 경제권인 EU, 미국과의 FTA 체결로 인해 자동차, 섬유, 철강 분야에 있어서 생산 및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선박 대형화 추세,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구축의 가속화 등 변화에 대응하고 항만의 부가가치화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산항 신항은 배후단지 확보를 위해 개발되어 지고 있다. 그래서 항만물류산업 분야에 있어 환경변화는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물류산업의 현대화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은 증대되어 가고 있어 이러한 물류 경제환경의 변화는 부산항 신항과 연계되어 있는 창원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인다. 항만물류산업의 고부가가치화가 지역경제의 생존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산업의 집적화는 경제진흥의 핵심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저렴한 부지와 도로, 전기, 교통, 항만 등 양호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배후단지의 공급을 통하여 고부가가치의 창출을 촉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도록 항만물류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형태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활성화를 중심으로 창원시 항만물류산업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은 실무적인 기여도가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기계·부품산업, 조선기자재산업, 전자·부품산업 등 창원시 주요산업의 물류산업화 방안과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방안은 실제적으로 창원시 주요 산업간의 물류산업 활동과 성장에 이용되는 전략으로 효용가치가 클 것이다. 창원시 주요산업인 기계·부품산업, 조선기자재산업, 전자·부품산업의 화물운송 빈도, 운송거리, 화물차 크기 및 형태 등을 고려하여 수·배송 및 보관 중심의 대행서비스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 및 지식서비스가 수반된다면 항만물류산업화의 효과가 크게 증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창원시 경제기반을 조성하는 주요산업별 물류산업화의 실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창원시 주요산업별 현황과 기종점 물동량(O/D)분석 및 항만물류산업의 현황을 재정립하였다. 창원시 주요 산업을 물류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계획이 필요하고 장기적인 사업검토 및 효율적 추진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창원시의 주요 산업별 물류산업화 추진 형태, 규모 등에 따라 수출입 물류산업, 포워딩, 첨단 물류정보서비스 등의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래서 창원시 항만물류산업과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와의 관계를 연구하고, 배후단지의 활성화와 연계하여 창원시 주요 산업과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항만배후단지의 개발은 부두시설 확충만큼이나 중요한 과제임을 증명하였고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진항만의 항만물류산업 발전사례를 통해 부산항 신항의 배후단지 개발과 연계한 창원시 주요 산업별 물류산업화를 통한 기업비용 절감 및 새로운 패러다임의 항만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미래의 급격한 물류산업 환경변화와 다양해진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활성화된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통하여 부산항 신항과 가장 근접해 있는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켜 항만물류산업 활동의 성장과 발전으로 지역산업의 신진대사 촉진, 신규고용 창출, 새로운 형태의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 확대유도를 통해 지역고용 문제 해결과 소득 및 세수의 증대라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7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창원, 마산, 진해 (구)시의 행정구역이 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각 도시 간 도시공간구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각 지역의 가로망체계를 연결하여 하나의 도시처럼 통합시키기 위해서 각 지역 간 연결 가로망체계의 개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각 지역별 가로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시로서 도시 간 연결성 강화를 위한 가로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합적 도시 관리를 위해 도시 내 도시를 지탱시키고 유지하는 것은 가로체계이며, 이 가로체계는 토지이용계획의 용도지역을 구획하는 큰 선이므로, 도시공간구조 상에서 가장 중요하며 가로체계를 기준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대상지가 되는 창원, 마산, 진해의 1970년부터 2020년까지 가로체계의 변천과정을 시계열 적으로 살펴보았고, 각 지역 경계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세 지역의 가로체계를 살펴본 후 개선방안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역의 가로체계의 발전은 시대별로 진행되었으며, 창원지역과 마산지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창원지역과 마산지역, 마산지역과 진해지역의 연결은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통합 창원시 가로체계 중 메인도로를 선정해야 할 것이며, 이 메인도로는 기존의 세 지역의 메인도로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도로를 지정해야 할 것이다. 창원지역을 기준으로 마산지역과 진해지역으로 접근하는 도로는 무리 없이 연결될 것으로 보이나, 마산지역과 진해지역의 연결 가로는 존재하지 않아 향후 연결 가로를 개설하고, 지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 창원시 이전 세 지역의 경계부분의 가로를 살펴본 결과 광로, 대로를 중심으로 한 큰 가로보다는 중로, 소로를 중심으로 한 접근가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 접근가로, 즉, 생활 가로는 한 도시 지역 내 접근성을 강화시키고 연결도를 증가시켜 도시의 경계가 완만해 지도록 통합 이전 세 지역의 경계부를 완화시켜야 한다. 세 개의 도시가 통합으로 인해 이 도시는 도시간의 경계가 충돌되고 도시계획의 불합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도시가 되면서 다핵구조화 되어 도시의 중심성이 사라지게 된다. 도시간의 경계가 완만해 지도록 경계를 허물어야 하고, 도시 계획의 타당성과 선례연구 등을 통하여 불합리성을 가지지 않도록 타당하고 합리적인 계획을 해야 할 것 이다.
Amid the global paradigm shift toward 'low-carbon green transportation' Korean Government has been encouraging its people for years to use bicycles for moving around in town. Several municipal governments in Korea are currently operating some form of public bicycle systems in their cities. Changwon city is one of them and may be considered a leader in this area. This study looks into the public bicycle system "NUBIJA" of Changwon city - operating concept of the system, current status, success factors, opinions of the public about the system, issues to be solved, etc. - in order to find a viable solution to an economic and green transportation needs in town. Changwon city is the first in Korea to have set up a network of unmanned bicycle storage and rental stations with a fully integrated operation and control system. The study shows as success factors of Changwon city its mild climate, relatively flat and level grounds, well-maintained bike lanes. On top of these the mayor created an office to support the bicycle users with various incentives and insurance coverage. A network of unmanned bike storage and rental stations we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city, and its operation was consigned to a public enterprise which administers bicycle races in the area so as to make use of their best knowledge. An issue to be resolved is how to generate enough revenue to cover the high operating cost of a public bicycle system. One way is to encourage public donations and provide tax benefits, but further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the economics of the public bicycle system.
한-미 FTA 체결 이후 창원시 제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미국은 전 세계 GDP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시장이자 경제규모를 가진 국가다. 달러 수요증가와 금융·서비스업의 비중 증가로 만성적인 무역수지 적자를 보이는 특징을 가진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무역수지 적자에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유럽 국가들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단순 상품교역에 있어 한국에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수출시장이다. 자동차에서부터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미국 시장 내에서 한국제품은 비교적 높은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2012년 발효한 한-미 FTA는 이러한 양국의 상품교역을 더욱 가속화하고 안정화시켰다. 특히 한-미 FTA는 한국이 맺은 FTA 중 비교적 포괄적이고 관세인하 또는 철폐 수준이 높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미국은 아메리카퍼스트를 기치로 보호무역주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에 진출한 자국의 제조업을 유턴시키기 위해 역량을 쏟아 붓고 있고, 한-미 FTA를 비롯한 각종 무역협정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일관해 재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G2라는 이름으로 생산과 소비의 공조를 통해 함께 성장한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로 번져나가는 보호무역주의는 결국 전 세계 교역량의 축소를 야기한다. 교역량의 축소는 한국과 같은 무역입국의 입장에서는 최악의 환경이 되는 셈이다. 그럼에도 본 논문의 주제를 미국과의 FTA로 삼은 것은 여전히 한국, 특히 창원에 있어 미국시장은 전통적이고 비교적 안정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시장이기 때문이다. 여전히 창원에서 생산한 세탁기가 미국 내 수입 1위의 제품이고, 창원에서 생산한 자동차는 미국 내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미 FTA의 발효 전후 양국 간 거래 추이 및 품목별 수출입 분석을 통해 한-미 FTA가 한국, 특히 창원시의 수출입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창원시의 대응방안 및 창원시의 기업들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창원시 디자인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 진흥 방안 연구
經濟のグロ-ル化からくる國際貿易の增加、資本の國際的移動、多國籍企業の活動の活?化などにより、グロ-ル競?が急速に進んでいる。このようなグロ-ル化は限りなき競爭の引き金となり、國家としては政策システムの革新を、企業としては技術及びデザインの革新、人材確保、コスト削減、グロ-ルマ-ティングなどにより國際競爭力の確保に一段と力を注いでいる。 技術革新と産業との融合による技術革新は、ある一分野に限られたものではなく、新しい技術と他の分野とを結合した新しい融合技術の導入により、旣存の單一技術の限界を超えて多樣な形態へと發展し、新製品と新サ-ス市場の中核になっている。 このような動きによって、各國が大部分のデザインを自國の企業と國家の運命を決定づける戰略的手段と認識し、デザイン産業を育成するために全力を?くしている。このように、デザインは?家の富とイメ-向上に大きく役立つものとして注目を浴びるようになってきたため、各?が多角的な取り組みを展開している。 イギリス、日本、アメリカ、ドイツ、フランスなどの先進?は、ビジネス分野と緊密に協力しながら、デザイン政策とデザイン振興プログラムを開?しており、このような政策と振興?制は、ビジネス創出による?際競?力向上はもちろん、?家イメ?ジの形成と文化的な面でも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またデザイン政策とデザイン振興?制は、社?的責任と福祉の大切さを?調すると思われる。 イギリスの場合、人間の?話と創造性の?大にデザイン要素が寄?し得るという根?から、多?なデザイン文化活動と創造産業の主要根幹をデザイン産業として認識し、デザインの重要性を?調している。また日本の場合、イギリスの政策を基に、政府主導により?系的なデザイン政策に取り組み始めたが、さらに自?の環境にふさわしいデザイン政策の樹立と地域社?及び地域産業の活性化に向けた地域別デザインの振興、中小企業のデザインを活用し競?力を?化するデザインの振興に特?がある。名古屋市の場合は、地域デザインの振興のために、全?初の民?技法のデザイン創造支援によって名古屋?際デザインセンタ?が1996年に認可された。プロジェクトとしては地域デザインの?究能力の向上、デザイン?究開?型企業育成による新しい産業の創出、地域資源を活用した企業化事業など地域産業の高度化を促進する役割を果たした。また、地域のデザイン人材育成政策とデザイン技術の向上、デザインマネジメント能力の開?、地域中小企業のデザイン技術導入支援、デザイン人材交流、?制支援などが中長期計?に沿って施行されている。 このように、デザインによる地域?展のためには、??なデザイン分野との業務を通じて、デザイン政策を?行するための最小の組職により持?的にデザイン政策を反映し?究することが必要である。 昌原市は韓?を代表する機械産業集積地で、1970年代に韓?初の自由貿易地域に指定され、1974年には昌原?家産業?地を中心に韓??展の象?都市へと成長し、2003年から北東アジア物流ハブをめざして?海新港?の造成とともに??自由?域に指定され、機械工業、電??電子産業、物流産業などあらゆる産業基盤が整っている。 特に昌原市に分布している中小企業のほとんどは、大企業中心の企業活動形態であり、技術開?は大企業への依存度が高いため中小企業の自社開?が難しく、?需中心で大企業への納品と??市場に依存している?情である。 このような点から、昌原市が?い競?力を持つためには、デザイン産業により産業競?力を向上させるべきで、これを後押しするためにデザイン産業を活性化させるための?系的な振興が必要である。 本?究では、昌原市のデザイン産業を?化するために、集中と選?により都市の競?力を創出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結論とともに、昌原市のデザイン産業の競?力向上に向けてデザイン産業の振興を提案したい。 第一に、デザイン産業のための支援政策が必要である。 昌原産業?地における現在の主力業種を基盤にデザイン産業を育成することで、?存の支援インフラを積極的に活用しても可能であると判?されるため、デザイン産業を積極的に支援できる地方自治?の支援システムが必要である。 第二に、サ?ビスネットワ?クを通じた企業のデザインサ?ビスのために、ト?タルデザインサ?ビスネットワ?クを構築していくべきである。人的ネットワ?クが築かれる知識交流中心の常時的かつ自?的な協力が成立するシステムが構築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第三に、デザインを通じて付加?置を創出し商品とサ?ビスを差別化すべきではあるが、企業はビジネスにデザインを?略的に使用することで得る利益に?付いていないので、??者らにデザインによる企業の成功事例を?掘して積極的に?報し、企業のデザインに?する認識を?換させなければならない。さらに、地方自治?も企業のデザインビジネスの革新が行なわれるように誘導する必要がある。 第四に、昌原は?存インフラとともにR&Dとデザインを連携する?略が必要である。特にデザインR&Dの場合、企?段階から中?長期的な期間が所要され、デザイン開?の場合、世界の流れとともに迅速に動か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特?があるので、特定技術一つだけでは革新的な製品生産が難しい。?存の製造業基盤の類型的産物に加えて、融?複合による技術開?に取り組み、サ?ビス中心の無形的産物の?究とデザインR&D革新を進めるため、長期的な面におけるデザイン産業のためのR&D?門??機構が必要である。 五番目に、?化する産業需要に?しより積極的に??するために、?合的な視点から?育とビジネスを連携することができるプログラムの開?に集中しなければならない。一方、デザインと??、エンジニアリング、マ?ケティングと生産に至る能力を習得することができるデザイン?育と同時に、ビジネスと科?、工?課程の?育においても、デザインを?育することができるシステムを導入し、?際的かつ統合的な?育システムによる?門人材の養成が必要である。 Economic globalization has caused the multiplication of international trade, global transportation of capital, and increased activit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which have all contributed to the rapid global competition. Facing such globalization and infinite competi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einforcing their efforts to secure their national competitive edge through technology and design innovation, talent recruitment, cost saving, and global marketing among corporations as well as innovation with the policy system.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the industrial fusion is not limited to certain fields. New fusion technologi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other fields and develop in various forms beyond the limitations with the old single technology, becoming the core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market. In response to those moves, nations regard most designs as a strategic means of determining the fate of their companies and governments and do their best to cultivate the design industry. Design is highlighted for its potentially enormous roles in the promotion of national wealth and image. Each nation around the world is thus making multifaceted efforts for design. Advanced nations such as the United Kingdom,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and France are developing design policies and design promotional programs based on their close relationships with business. Those policies and promotional systems create business. Design is increasingly becoming an instrument of important roles and competitive edge in terms of national image and culture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ity. Design policies and promotional systems place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welfare. In the United Kingdom, they perceive the various design cultural activities and the major foundation of creative industry as the design industry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sign in the creative indust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design elements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human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In Japan, which made a start based on the British policies under the systematic government-led design policies, they have established design policies to search for, propel and develop policies proper for their own environment. Japan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by design promotion by the regions to activate the community and local industry and design promotion to reinforce competitivity via the utilization of design by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e of the nation's representative machinery industry bases, Changwon was designated as the nation's first free trade zone in the 1970s. It started to grow as the symbolic city of national development with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1974. Today it continues its efforts to provide an even arrangement of industrial foundations for machinery, electricity and electronics, and logistics since 2003 under the goal of becoming a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with the new port in Jinhae and the free economic zone. It is also facing a need for proper reactions regarding economic environment and high technology in response with the crisis of machinery industry,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It is time for Changwon to reinforce its old machinery industry for greater competitivity and take a favorable position in competition among the reg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Mos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city especially take the large company-based corporate activities format. That is, they depend on large companie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due to their partner relationships with them, lack in-house development, supply their products to large companies for domestic demand, and resort to the domestic market. It is time to devise systematic promotional plans for the design industry to increase and support its industrial competitive edge through the industry so that it will have strong competitivity. First, Changwon should make up support policies for the design industry by making active use of the old support infrastructure and promoting the industry based on the current major businesses of the Changwon Industrial Complex, which raises a need for the local government to have a support system to actively support the design industry. Second, a total design service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esign service of corporation, and a system should be set up for regular and voluntary collaboration around the exchange of knowledge in the human network. Third, even though companies need to create value added and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design, they do not realize the potential profits from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design to business. Cases of corporate success through design should be identified and actively promoted to managers to facilitate the perceptual shift of design and enable design business innova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nd corporations. Fourth, Changwon needs strategies to connect the old infrastructure with R&D and design. Design R&D particularly takes mid- or long-term sessions from the planning stage, and design should change fast simultaneously with the global flows. It is difficult to produce innovative products only with a single technology. Thus there is a trend of fusing and synthesizing several state-of-the-art technologies. In term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Changwon allows for easy development, fusion, and synthesization of high technologies and accordingly needs a R&D agency solely for design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of design R&D. Finally, it is require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connect education with business from a total perspective in order to make more active reactions to the changing industrial needs.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design education to help students obtain the skills required in design, management, engineering, marketing, and production and bring up professionals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ed educational system by introducing a system capable of design education even in the business,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경제의 글로벌화로 국제무역의 증가, 자본의 국제적 이동, 다국적 기업의 활동 증대 등으로 글로벌 경쟁이 급속히 진전 되고, 이와 같은 글로벌화는 무한한 경쟁으로 국가에서는 정책시스템 혁신을 기업에서는 기술 및 디자인 혁신, 인재 확보, 원가절감, 글로벌 마케팅 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 혁신과 산업의 융합을 통한 기술 혁신은 어느 한 분야에 국한 된 것이 아닌 새로운 기술과 타 분야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융합기술의 도입으로 기존의 단일 기술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신제품과 신서비스 시장의 핵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국가들은 대부분의 디자인을 자국의 기업과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하고 디자인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처럼 디자인은 국가의 부와 이미지 제고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부각되고 이를 위해 각국은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 하고 있다. 영국,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은 비즈니스 분야와 긴밀한 협력 속에서 디자인 정책과 디자인 진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과 진흥체제는 비즈니스 창출로 인한 국가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 형성과 문화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역할과 경쟁력의 도구가 되고 있다. 또한 디자인 정책과 디자인 진흥 체제는 사회적 책임과 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영국의 경우 인간의 소통과 창조성 증대에 디자인요소가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에서 다양한 디자인 문화 활동과 창조산업의 주요 근간을 디자인산업으로 인식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영국의 정책을 토대로 정부의 주도아래 체계적인 디자인 정책을 바탕으로 시작하였지만 나아가 자국의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정책 수립과 지역 사회 및 지역산업의 활성화 도모를 위한 지역별 디자인 진흥,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 진흥이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나고야 시의 경우는 지역 디자인 진흥을 위하여 나고야 국제디자인센터를 1996년 전국 최초의 민화법의 디자인 창조지원에 의해 인가받았다. 프로젝트로는 지역 디자인 연구능력 향상, 디자인 연구 개발형 기업육성에 의한 새로운 산업의 창출,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업화 사업 등 지역산업의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역의 디자인 인재 육성정책과 디자인 기술 제고, 디자인 매니지먼트 능력개발, 지역 중소기업의 디자인 기술 도입 지원, 디자인 인재 교류, 세제지원 등 중장기 계획에 따라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인을 통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디자인 분야와의 업무를 통하여 디자인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의 조직으로 지속적인 디자인 정책반영과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창원은 우리나라 대표 기계 산업 집적지로 1970년대 전국 최초로 자유무역지역 지정과 1974년 창원국가산업단지 중심으로 국가 발전의 상징 도시로 성장 하였으며 2003년부터 동북아물류 허브를 위해 진해 신항만과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기계공업, 전기·전자산업, 물류산업 등 산업기반을 고루 갖추고 있다. 특히 창원시에 분포하고 있는 중소기업 대부분은 대기업 중심의 기업 활동 형태로서 기술 개발은 대기업 의존이 높으며, 중소기업의 자체 개발 미흡, 내수위주로 대기업 납품 및 국내 시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창원시가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디자인산업을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디자인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진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디자인산업의 강화를 위해 집중과 선택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결론과 함께 창원시의 디자인산업 경쟁력을 위한 디자인산업 진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디자인산업을 위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창원산업단지의 현재 주력업종을 바탕으로 디자인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 기존에 구비된 지원 인프라를 적극 활용 하더라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디자인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지자체의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한 기업들의 디자인 서비스를 위하여 토탈 디자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야 하며, 인적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는 지식교류 중심의 상시적이고 자발적인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디자인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상품과 서비스의 차별화가 필요하지만 정작 기업은 비즈니스에 디자인을 전략적으로 사용하여 얻는 이익을 깨닫지 못하고 있으므로 경영자들에게 디자인을 통한 기업의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기업의 디자인 인식 전환을 도모해야 하며, 나아가 지역의 지자체 또한 기업의 디자인 비즈니스 혁신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창원은 기존의 인프라와 함께 R&D와 디자인을 연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디자인 R&D의 경우, 기획 단계에서부터 중·장기적인 기간이 소요되고, 디자인 개발의 경우 세계의 흐름과 동시에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특정기술 하나만으로는 혁신적인 제품 생산이 어렵다. 기존의 제조업기반의 유형적 산물과 더불어 융·복합을 통한 기술 개발을 통하여 서비스 중심의 무형적 산물의 연구와디자인 R&D 혁신을 위한 장기적인 면에서의 디자인산업을 위한 R&D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변화하는 산업 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시각에서 교육과 비즈니스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해야한다. 한편, 디자인과 경영, 엔지니어링, 마케팅과 생산에 이르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이 되어야 할뿐 아니라 비즈니스와 과학, 공학 과정의 교육에 있어서도 디자인을 교육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학제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창원시 성인지 예산제도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성인지 예산제도의 운영실태와 효과성을 분석하고, 창원시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기초자치단체 성인지 예산제도의 문제점을 검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인지 예산제도는 성 주류화 정책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성평등 실현을 추구하기 위한 제도이다. 지방정부는 ⸢지방재정법⸥에 따라 2013년 회계연도부터 성인지 예산서를 작성하여 각 지방의회에 제출하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창원시는 경상남도 인구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거대 기초자치단체로서 성인지 예산제도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창원시의 성인지 예산서가 첫째, 성인지 예산제도의 법적근거와 추진경과를 알아보고 둘째, 성인지 예산 관련 행정 기반과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셋째, 창원시 성인지예산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창원시 성인지 예산제도는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성평등 목표와 성별영향평가를 바탕으로 하는 젠더 거버넌스 운영에 있어 창원시 자체만의 운영이 미흡한 실정이다. 더불어 성인지 예산제도의 주체인 창원시 담당공무원들의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제도에 대한 인식변화가 대상사업을 선정하고 발굴해야 제도의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창원시는 중․장기적 지속가능한 제도로써 안착하기 위해서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한다. 기초자치단체인 창원시는 성평등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제도로서의 개선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운영실태에 대해 제시하였다.
도시밀도를 고려한 창원시 단독주택지의 적정 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aimed to come up with various approaches to analysing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detached dwelling district for Changwon City and to suggesting urban proper-development density criteria for it, focusing on comparing to the whole urban-density. Towards this end, the author first selected cities to compare, assessed the level of density of Changwon City against that of these cities, and proposed the level of their future density after considering the Urban Planning Code and other relevant laws. This study has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Changwon City, and has come up with approaches for house rebuilding and housing redevelopment.
창원지역 평생교육기관의 역사교육 현황 :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평생교육기관의 현황분석 및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교육에 대해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고자 하였다.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32개 기관 중 27개 기관 및 역사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원지역 평생교육기관 115개 기관 중 역사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은 총 32개 기관으로, 이 중에서 사회교육센터 및 마을도서관이 21개 기관으로 가장 많은 비율(65.6%)을 차지하였다. 사회교육센터 및 마을도서관이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에는 인근 주민들에게 홍보하기가 쉽고, 접근성이 용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담당자는 40대(70.4%) 여성(92.6%)이 가장 많았고, 교육학을 전공(40.7%)한 대졸자(85.2%)가 주를 이루었다.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지도자는 40대(40.6%)의 여성(90.6%)이 많고, 역사를 전공(43.8%)한 대졸자(87.5%)가 주를 이루었다. 강사는 담당과목의 전문성(72.4%)을 가장 중요한 선정 기준으로 보고, 아는 사람과 다른 기관을 통하여 채용(각각 33.3%)하며, 강사료는 시간당 2~3만원(37.1%) 정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사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은 10대(72.3%)의 여성(66.4%)이 주를 이루었고, 성인강좌의 경우에는 40대(13.2%)의 주부(22.3%)가 프로그램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행되는 역사교육 프로그램은 글쓰기․논술(문학)영역(82.4%)이 가장 많았는데, 여기에는 역사논술, 어린이 박물관 교실, 창원학 등이 있었으며, 이 중에서도 역사논술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이런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된 것은 학부모 및 학생의 건의(40%)가 가장 높은 이유를 차지하였고, 마을신문 또는 아파트 게시판을 통한 홍보(기타, 45.8%)가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진행방식은 설문조사는 현장답사(27.3%)가 가장 높게 나왔으나, 실제 조사에서는 강의(22.7%)와 역사관련 독서 및 논술(15.9%)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강생의 경우 친구나 가족을 통해 프로그램을 알게 된 경우(81.8%)가 가장 많았고, 더불어 주변인의 권유에 의해 참여하게 되는 경우(48.5%)가 가장 많았다. 만족한 프로그램 진행방식으로는 체험활동(38.9%)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수강생의 72.3%가 학생이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역사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대해 기관은 지원 부족(24%)과 교육환경(22%)이 갖추어지지 않아 진행하기가 어렵다고 하다. 수강생의 경우 프로그램 참여 전(보통이다, 35%)에 비해 참여 후에 흥미도가 높아졌는데(85.9%), 쉽게 역사를 배울 수 있어서(57.3%) 추후 이 같은 역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90%)고 하였다. 반면 참여하지 않겠다고 한 학생(10%)은 교육내용이 어렵다(30.6%)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창원지역 역사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하여 기관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28.6%)와 전문 인력 양성(26.5%), 교육환경 개선(24.5%)을 주요 과제로 뽑았고, 인근대학 사학과와 연계(100%)하여 자원봉사자로 프로그램 진행보조 및 현장답사 진행보조로 활용(46.7%)하고 싶다고 하였다. 수강생의 경우 역사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50%)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기관과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전문 인력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본 연구자는 사학과 내 󰡐역사교육연구회󰡑 결성을 제안하였다. 󰡐역사교육연구회󰡑의 구성원은 학부학생, 교육대학원생, 일반대학원생 모두를 포함하며, 추후 활성화 될 경우 대상을 넓혀 졸업생과 역사에 관심 있는 일반인도 포함하고자 한다. 󰡐역사교육연구회󰡑가 구성되면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눈높이를 맞춘 교육내용에 대해 연구하며, 실내프로그램 외에 새로운 답사코스를 선정하여 현장답사를 진행하거나, 개발된 다양한 프로그램과 답사코스 등을 실은 책을 발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활동을 통해 많은 전문 인력 양성 및 강사의 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고,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는 대학이란 이미지와 더불어 역사가 흥미로운 학문이라는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더욱 활성화 되는 사학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보행자 보호구역의 특성과 개선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나, 보행자의 특성에 따른 보행자 보호구역의 미비와 주민의식 부족, 법제도 다양화에 따른 혼란, 제도적인 활성화 미흡, 시설 미비 등이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험하고 있으므로, 창원시의 보행자 보호구역을 분석하여 창원시의 보행자 보호구역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금까지 수행된 사업의 특성에 따른 사업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보행자 보호구역 관련 서적, 학술논문, 학윈논문, 웹사이트를 통해서 보행자 보호구역에 관한 각종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문헌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창원시의 보행환경개선지구, 어린이보호구역, 노인보호구역 관련 사업이 선정되었다. 창원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행자 보호구역을 조사하여 사업유형, 지역 특성별, 사업현황을 구분하였다. 이런한 구별된 요소들을 통해 창원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창원시 보행자 보호구역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웹사이트를 통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창원시의 보행자 보호구역의 사업의 추진현황과 사업현황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보행자 보호구역의 내용을 사업시행 근거에 따른 분류하는 것은 이론적 고찰에서 제시한 사업시행 근거에 따른 3개의 보행자 보호구역으로 설정하였다. 창원시 보행자 보호구역의 307개 중 사업특성과 지역의 분류에 11개소로 선별 후 조사하여 코딩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업유형별, 지역별 보행자 보호구역의 시설적 측면, 운영적 측면에 대한 분석을 실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서 11개 보행자 보호구역에 대한 현황과 동향을 제시하고 향후 사업추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