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멕시코 전통미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프리다 칼로 회화 연구

        이성민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1910년의 멕시코 혁명은 멕시코가 스페인에게 정복된 이래로 4세기 동안 멕시코 원주민과 그 문화는 뒤떨어지고, 야만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멸시당해 왔던 멕시코의 전통문화를 부활시키는 계기를 만든다. 멕시코 정부의 지도 아래 인디오 문예 부흥운동이라는 범국민적 운동이 시작됐고 이때부터 멕시코 미술의 르네상스가 열리게 된다. 민족주의적 색채가 강했던 멕시코 혁명은 ‘멕시코의 고유한 문화 창조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구호삼아 진행되며, 멕시코 내의 모든 예술, 문화 활동들이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의 문명에 관심을 갖고 전통적인 요소를 부활시키려 노력하게 만드는 발판을 마련 한다. 근대 멕시코 미술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프리다 칼로 역시 멕시코 혁명에의 열렬한 동참자로 그녀의 작품 속에도 멕시코적 색채가 엿보인다. 사실적인 묘사와 소재들을 여과 없이 그대로 재현하며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당시 사회를 재현하는 방식으로 전통적 요소를 표현했던 당시 멕시코 화가들과는 다르다. 그녀는 자신의 개인적인 감정표현을 드러내기 위해 전통적 주제와 소재들을 그림 속에 상징적으로 등장시키고 화려한 색채, 기록적 형식으로 전통미술의 요소들을 반영시킨다. 지금까지의 그녀의 작품에 대한 연구는 18세 때 당한 버스사고의 부상으로 인한 육체적 고통과 남편 디에고 리베라와의 갈등극복을 위해 그림을 그린 여성화가로 페미니즘적 해석이나 초현실주의 화가로 그녀를 자리매김하는 해석이 주가 되어 왔다. 본 논문은 멕시코 문화형성의 중심을 이루는 스페인 식민지 이전시기의 마야문명과 아스텍 문명의 미술을 소개하고 그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서 멕시코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녀 그림 속에 표출된 전통 미술적 요소들을 알아보고, 그것을 어떤 형식으로 반영하고 있는 지를 밝혀 그녀의 작품들이 당시 멕시코 사회상을 반영하여 전통미술적 요소를 그림 속에 표출함으로서 멕시코적 색채를 가지며 그것으로 인해 그들의 보편적인 민족성을 드러내고, 인간의 보편적인 심상을 상징적 요소를 통해 표출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내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II장에서는 멕시코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멕시코 전통미술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마야 문명과 아스텍 문명의 미술 형성사를 알아보고 그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그동안 라틴 아메리카의 미술은 미국이나 유럽의 평론가들에 의해 과소 평가되어왔다. 그러한 평가는 식민지 역사를 겪으면서 자신들의 문화를 이식하기 위해 인디오 문화를 철저히 짓밟고 무시해왔던 경향의 영향이다. 그러나 멕시코 혁명을 계기로 선사문화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자신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그것이 세계의 다른 고대 문명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지위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국내외로부터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그들의 연구를 통해 마야문명과 아스텍 문명에서 보여지는 미술의 표출양상을 살펴 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칼로가 전통미술적 요소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자신의 작품에 등장시키게 되는 배경을 당시 멕시코 사회상과 남편 디에고 리베라의 영향을 통해 살펴보고, 그녀의 작품 속에 표출된 전통미술적 요소들을 살펴 그러한 요소들이 칼로의 그림 속에 반영됨으로서 가지게 되는 칼로 작품만의 특징적 요소들을 4가지로 구분지어 설명한다. 그 특징으로 첫 번째는 이중구조적 표현방식의 표출이다. 이것은 아스텍 문명의 종교관에서 나온 이중적 세계관으로 멕시코 전통적 표현방식이라 볼 수 있다. 대립되는 것들의 조화와 하나로 귀결되는 그들의 모순적 세계관은 미술에도 반영되고 이러한 이중적 표현은 그녀의 그림 속에도 표출된다. 이러한 표현이 그녀의 그림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두 번째로는 죽음예찬인데 이것은 고대 문명의 모순된 이중적 세계관의 표출로 인신공양 제식을 행했던 것에서부터 나온 것으로 삶과 죽음은 하나로 귀결되고 순환하며 연결되어 있다는 사고에서 비롯된다. 죽음을 세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신성한 것으로 여겨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예찬했던 고대 멕시코인들의 특징이다. 이러한 민족성은 프리다의 그림 속에도 반영되는데 죽음 앞에 내던져진 그녀는 두려움을 이기기 위해 죽음을 예찬하고 있다. 세 번째로는 멕시코 전통미술 속 소재들을 차용하여 칼로 특유의 은유와 상징을 통해 개인적인 감정을 인간의 보편적 감정으로 이끌어낸 면을 살펴보려고 한다. 마지막으로는 기록적 화면구성인데 이것은 그녀의 작품이 자서전적인 특징을 가지며,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데 스토리가 있는 기록적 방식을 취한 점과 고대 사회의 권력자들이 자신의 중요한 업적과 생애를 기록하기 위해 서술적으로 조각한 고대 조각품이나 종교 의례 장면을 그린 고대 벽화들처럼 멕시코 고대문명의 미술들이 기록적 특징을 가진 것과 연관 지어 설명해 볼 것이다. 칼로의 작품들은 자신의 내면연구와 자아정체성을 연구하면서 얻어진 인간의 보편적인 심상 표현들을 개성적 방식을 통해 멕시코 전통적 요소들과의 연결로 표출해 냄으로서 그녀의 그림이 멕시코의 사회성과 정체성을 반영하고 더불어 세계적으로 대중적인 보편성을 갖게 만들었다는 점이 재조명 되어야하는 것이다.

      • 멕시코 현지 학습자를 위한 한국민요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아리랑>을 중심으로

        CASTRO GONZALEZ NANCY LORENA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멕시코에서 한국민요 <아리랑>을 접할 기회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주멕시코 한국문화원의 주최로 ‘아리랑 수업’이 마련되어 현지 학습자들에게 한국민요 선법이 서양과 다른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멕시코의 정규 교과과정에는 음악교과가 편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참가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민요의 시김새 및 장단을 이해하고 감상과 다양한 교수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민요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현하였고, 고안한 교수-학습 지도안에서 일부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멕시코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였다. 강의 직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에 대한 조사결과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중점을 둔 지도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을 경기민요 <본조아리랑>, 동부민요 <밀양아리랑> 그리고 남도민요 <진도아리랑>을 소개하고 나서 각 곡의 가사 이해하기와 발음 익히기, 장단 익히기, 선율 익히기, 시김새 익히기 네 영역으로 나누었다. 둘째, 연구자는 음악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한국어를 읽을 수 없지만, 한국민요를 배울 의사가 있는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자료를 만들었고 ‘아리랑 수업’을 위하여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이후의 설문을 통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멕시코의 음악교육 상황 때문에 학습자들의 음악적 배경이 다르므로 오선보로 한국민요를 가르치기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른 수준의 한국어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를 읽을 수 없는 학습자들을 위한 자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은 오선보 대신 노래의 가사와 정간보로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한국민요 음악 특징을 더 이해하기 위하여 시김새를 표시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이 결과로 인하여 멕시코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멕시코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민요 학습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st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of Korean Folk Songs focusing in three versions of Arirang during the ‘Arirang online class’ held online by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Mexico for Mexicans learners, considering that most of Mexicans do no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music in general due to the lack of music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in Mexico. The researcher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guide plan of Korean Folk Songs for Mexican students that was applied during the four days of the ‘Arirang online course’. Subsequently, the teaching-learning guide, that is, the content, methodology and materials were evaluated by the Mexican students through a survey. The guidance methods and contents focu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introducing ‘Bonjo Arirang’, ‘Miryang Arirang’ and ‘Jindo Arirang’ wich are the three versions included in the ‘Arirang online class’, learning was divided into four areas: understanding the lyrics and learning pronunciation, learning the jangdan (rhythm), learning the melody, and learning the singing ornamentation. Second, the researcher made materials suitable for learners who did not receive music education or who could not read Korean but were willing to learn Korean folk songs, and used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the ‘Arirang online class’. Finally, the effectiveness and opinion of the teaching-learning guide of Korean Folk Songs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after the ‘Arirang online cla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ot a good way to teach Korean folk songs with a musical score because of the diverse and lack of musical background of learners due to the music education situation in Mexico. Al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materials for learners who cannot read Korean because learners have also different levels of Korean knowledge. Therefore, learners preferred to learn the lyrics of songs and Jeongganbo instead of a musical score, and to better represent visually the voice ornamentation to furth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ngs. In addition, due to this result, the researcher fell the need to develop Korean folk song learning for Mexican learn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xican learners.

      • 멕시코 여성운동의 변화 : 네트워크화된 운동 전략을 중심으로

        김온유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3

        멕시코의 여성운동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속적인 노력으로 인해 정치적으로는 여성 대표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사회문화적 문제는 여전히 산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멕시코 여성이 가지는 특징과 관련된다. 멕시코 여성운동은 멕시코 여성의 특성인 가톨릭 문화 종속과 여성 위계화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다. 그 과정에서 과거에는 전통적 매체를 통해 일부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계몽이 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소셜 미디어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여러 조직의 연대를 목적으로 한다. 2016년 이후 폭발적인 해시태그 운동들을 통해 네트워크화된 전략이 국제 연대를 형성했고, 멕시코에서도 내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활용하여 여성들이 성적 폭력 등을 언급하고 공유하며 초위계적 연대를 이루었다. 이를 통해 멕시코 여성운동은 정동 소외자들 간의 감정적 응집과 실제 세계에서의 직접 행동의 동원을 성취했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네트워크화된 운동 전략은 신속한 정보의 전달성과 초지역, 초시간성을 가지고 여성 논의에 있어 새로운 정치적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네트워크화된 운동 방식은 목표 설정이 어려워 충돌과 감정의 폭발을 야기할 수 있으며, 잘못된 정보와 반발 의견의 확산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다른 운동에서도 지적되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운동 전략과 그 성취로 인해 멕시코는 낙태 비범죄화와 여성혐오 폭력에 대한 법률적 개선으로 다가가고 있다. 본 논문은 멕시코 여성운동의 역사와 멕시코 여성의 처지를 톺아보고 이를 통해 사회운동의 전략 변화가 사회에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멕시코 여성운동이 전략의 변화로 얻어낸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적 인식의 개선, 법률적 재정비 등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개선 과정이 남아있다. 그러나 사회적 소통 매체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 전략의 변화가 사회 변화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women's movement in Mexico has a long history. Despite increased political representation through sustained efforts, socio-cultural issues persist. These challenges are closely tied to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Mexican women. The movement has evolved under the influence of Mexico's Catholic cultural dependence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women. Initially, enlightenment targeted certain social strata through traditional media, but in recent times, it aims to disseminate information to a broader audience and foster solidarity among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online platforms such as social media. Since 2016, explosive hashtag movements have formed a networked strategy, fostering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domestically, enabling women to shar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and establish subversive solidarity using social networking platforms. Through this, the women's movement in Mexico has achieved emotional cohesion among marginalized groups and mobilized direct action in the real world. Networked movement strategies utilizing online platforms provide a new political space in women's discourse with the rapi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offering a hyperlocal, hypertemporal dimension. However, despite the achievements of this new strategy, it poses challenges such as difficulty in goal setting, potential conflicts, emotional outbursts, and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and dissenting opinions. Despite the acknowledged issues common to such movements, Mexico is progressing towards decriminalizing abortion and legal improvements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due to the success of new movement strategies.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y of the women's movement in Mexico, scrutinizes the status of Mexican women, and explores how changes in social movement strategies have tangible impacts on society. While acknowledging the achievements brought about by the evolution in strategies, the paper emphasizes the ongoing need for societal awareness improvement and continuous efforts such as legal reevaluation. Nonetheless, the confirmation of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social movement strategy changes due to shifts in communication media offers hope for societal change.

      •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 연구 : 대립된 이미지의 공존을 중심으로

        황혜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focuses on Coexistence of opposing images on Self-Portrait in Frida Kahlo which are represented as her dual self and dual background. It also analyzes the background of formation and meaning of Coexistence. The opposing images are attributed to the surrealism of Europe and the folk art of Mexico. Kahlo communicated with Breton and other European surrealists. Her work was influenced by the princip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harmony . It is also associated with dual self motif that appears in surrealist works. However, although surrealist works pay attention to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and bring out the infinite imagination of the spectator, Kahlo's self-portrait directly reflects her life. Kahlo was interested in the revival of the folk art followed by the Mexican Revolu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folk art that influenced her work. The opposing images are related to the circulation of different dual elements such as the life and death of Aztec myths, day and night, and are related to the coexistence of reality and fantasy found in the Christian consecration of Exvoto. Also, the image of skull in which life and death coexist in Guadalupe Posada's prints influenced the world view of Kahlo. The opposing images of self-portraits caused by that background are divided into 'the bloodlines of Mexico and Europe', 'pain and hope', 'day and night' and 'civilization of Mexico and America' . First of all, <Two Fridas>(1939) shows Kahlo's identity as 'Mastiza'. Kahlo takes over the blood of a European Jewish Hungarian father and a Mexican mother, both of whom portray the traditional hair of Mestiza and the yellow skin color. In addition, Mexican traditional Tehuana costume is mixed with European costume, which shows her positive perception towards both blood of Mexico and Europe. Kahlo's self-portrait directly expresses the spiritual suffering of Rivera's affair and the physical suffering caused by the accident. <Tree of Hope>(1946) shows the dual self of pain and hope. There are dual self which includes the self of suffering with red scars after spinal surgery, and the self of hope holding the flag of hope, looking straight ahead in the right attitude. <The Tree of Hope> and <The Universe , The Earth> (1949)showing the opposing images of day and night, reflect the Aztec creation myth. In <the Tree of Hope>, Kahlo, in the space of day, consecrates her pain and death to the sun. So resurrected, she emerges as the self of hope in the night space. In <The Universe and The Earth> Kahlo holding the Rivera shining like the sun expresses maternal love for him. In both works, Kahlo is in the night space dressed in a tehuana costume with a snake pattern symbolizing the goddess of the earth. She anticipates the cycle of the day with maternal love conceiving life. Thus, In both works show the maternal love of Kahlo that surrounds life in the circulation of life and death symbolized by day and night. In <Self-portrait on the borderline between Mexico and the United States>(1932), Mexican and American backgrounds emerge together. Mexico displays past civilizations through the Aztec altar, artifacts and native plant gardens, and the United States expresses modern machine civilization through factories, urban buildings and machines. The generator on which Kahlo is standing is connected to the roots of Mexico and the American front. Thus, it means the view of Kahlo, which accommodates the past Mexican civilization and modern one of the United States. Thus, the opposing images of the Kahlo's self-portrait is closely related to her lineage, dramatic life, Mexican mythology and modern civilization. And these mean a positive perception of her lineage, the will of hope for suffering, maternal love for life, acceptance for modern civilization.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는 그녀의 남편인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 1886-1957)와 함께 멕시코의 국민적 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칼로는 작고 후, 1970년대부터 전시와 영화를 통해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칼로 작품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의 유럽 페미니스트 미술사학자들에 의해 그녀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칼로의 자화상은 초현실주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데, 이는 자화상에 나타난 대립된 이미지에 기인한다. 미술사학자 타냐 바슨(Tanya Barson)에 의하면, 칼로 자화상의 이중성(Dualism)은 두 개의 이미지가 결합하거나 분리되어 좌우대칭의 구조가 나타난다. 그러나 선행연구자들은 칼로 자화상의 대립된 이미지를 비교하면서 그 우위를 평가하였다. 이로 인해 칼로 자화상에서 대립된 인물과 배경을 통해 나타나는 ‘공존’의 의미에 대한 분석은 간과되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칼로 자화상에 나타나는 대립된 이미지에 주목하고, 대립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유럽의 초현실주의와 멕시코의 민중미술을 살펴본 후, 대립된 이미지의 상호 공존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칼로 자화상의 대립된 이미지는 유럽의 초현실주의와 멕시코의 민중미술에 영향을 받았다. 칼로는 브르통을 비롯한 유럽의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하였고, 그녀의 작품은 서로 대립된 요소가 상호 조화를 이루는 연통관의 원리와 초현실주의 작품에 나타나는 이중자아 모티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칼로는 멕시코 혁명 이후 일어난 민중미술의 부흥에 관심을 두었으며, 그녀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 민중미술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대립된 이미지는 아즈텍 신화의 삶과 죽음, 낮과 밤 등의 서로 다른 이중적인 요소의 순환과 연관되며, 기독교 봉헌화인 엑스보토에서 발견되는 현실과 환상의 공존과 연관된다. 또한 포사다의 판화에 나타난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해골이미지 역시 칼로의 세계관에 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배경으로 성립된 자화상의 대립된 이미지는 이중자아가 나타나는 ‘멕시코와 유럽의 혈통’과 ‘고통과 희망’, 이중배경이 나타나는 ‘낮과 밤’과 ‘멕시코와 미국의 문명’으로 구분된다. 우선, <두 명의 프리다>(1939)에서는 ‘메스티자’라는 칼로의 정체성이 엿보인다. 칼로는 유럽의 유대계 헝가리 아버지와 멕시코 어머니의 피를 이어받았으며, 자화상의 두 명 모두 메스티자의 전통적인 머리모양과 황색의 피부색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멕시코 전통의상인 테우아나 의상은 유럽 의상과 혼합되어 표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두 명의 칼로는 멕시코와 유럽의 두 혈통에 대한 그녀의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칼로 자화상은 리베라의 불륜에 대한 정신적 고통과 사고로 인한 육체적 고통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데, <희망의 나무여 굳세어라>(1946)는 고통과 희망의 이중자아를 보여준다. 척추 수술 후 붉은 상처를 드러낸 고통의 자아와 곧바른 자세로 정면을 바라보고, 희망의 깃발을 들고 있는 희망의 자아가 등장한다. 이 작품의 이중자아는 칼로가 겪은 육체적 고통과 이를 이겨내고, 극복하려는 칼로의 희망을 동시에 보여준다. 낮과 밤의 대립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희망의 나무여 굳세어라>와 <우주, 대지, 나, 디에고, 그리고 세뇨르 졸로틀의 포옹의 사랑>(1949)는 아즈텍의 창조신화를 반영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대지의 여신을 상징하는 뱀무늬가 그려진 테우아나 의상을 입은 칼로가 밤의 공간에 존재하며, 그녀는 생명을 잉태하는 모성애와 함께 낮으로의 순환을 예견하게 한다. 멕시코와 미국의 배경이 함께 등장하는 <멕시코와 미국의 경계에 서있는 나>(1932)에서 멕시코는 아즈텍 제단과 공예품, 토종식물의 정원을 통해 과거 문명을 보여주고 있으며, 미국은 공장과 도시의 건물, 기계들을 통해 현대의 기계문명을 표현하고 있다. 그림의 칼로가 서있는 발전기는 멕시코의 뿌리와 미국의 전선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는 과거의 멕시코 문명과 미국의 현대문명을 수용하는 칼로의 관점을 반영한다. 이처럼 칼로 자화상의 대립된 이미지는 그녀의 혈통과 극적인 삶, 멕시코의 신화와 현대문명과 밀접히 연관되며, 메스티자 혈통에 대한 긍정적 인식, 고통에 대한 희망의 의지, 생명을 감싸 안는 모성애, 현대문명을 수용하는 그녀의 관점을 보여준다.

      • 멕시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항목 선정 연구

        최지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As the “Korean Wave” spreads more and more around the world, an increasing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emerges not only in region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dominated by the Korean Wave, such as Asia and the Middle East, but also in many other parts of the world such as Central America. As the objectives, cultural backgrounds and learning habits strongly differ around the world, an increasing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requires a shift from traditional uniformly-based language education. To make an impact in the world,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needs to consider regional specifics, such as the needs of the learners, the purpose of their studies, their mother tongue and cultural background. Therefore, the proper selection of education items in accordance with these specifics is paramount to the continuous success of global Korean language learning around the world. Learning Korean language is not only based on linguistic factors, but furthermore on the learning the culture of the region. As a result,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re interdependent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is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outlines that learners need to be able to use adequate language in context for natural communicatio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suggest appropriate Korean culture education item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Mexico, which is considered as geographically strategic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Prior to the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latest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within Korea, Central and South America, as well as Mexico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used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eory as a framework to analyze the “cultural code” of Mexico, taking their own communication norms, other cultural factor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s into account. Furthermor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overall aspects of Mexican culture have been examined, sugges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mpared to Korean culture. As learners’ academic backgrounds, motivations and needs are crucial in selecting education items, the researcher prioritized and selected the most relevant education items by conducting a survey of objectives and goals of local Korean language learners in Mexico. This survey was widely distributed to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exico to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Questions were made with reference to the suggested list of cultural knowledge part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e scope and item selection of culture education has so far not been par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his study, culture education items were chosen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Mexico, as the success of language education largely depends on choosing education items which are the best fit to the learners’ objectives and needs. In this aspect, this study is the first to elaborate on culture education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in general, and Mexico in particular. However, this study has a room for improvement a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and the selected education items have not been fully applied in the field yet. Based on this study, the discussion on systematic and specific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can proceed further to foster the continuous suc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ound the world. 세계적으로 한류가 영향력을 펼쳐나가면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가 기존의 한류 열풍 지역은 물론, 전 세계 곳곳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국적은 매우 다양한데 그들의 요구와 목적, 언어적·문화적인 배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인 항목을 가르친다면 효율적이지 못한 교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학습자의 언어권, 문화권에 따라 그에 맞는 교육 항목을 선정하여 가르쳐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한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언어적인 요소만 배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까지 배우는 것이다. 즉,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며, 한국어교육계에서는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있다. 또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언어를 적합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하므로 목표 언어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남미의 거점 국가로 여겨지는 멕시코의 한국어 학습자를 한정으로 하여 그들에게 맞는 한국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앞서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동향을 파악하고, 멕시코가 속한 중남미 스페인어권의 한국어 교육 연구, 문화 교육 항목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상호문화주의와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통해 자문화와 타문화의 문화적 요소를 고려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멕시코의 문화코드를 G.Hofstede의 문화 차원 연구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멕시코 문화의 특수성과 전반적인 문화 항목를 살펴보고 한국의 문화와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배경, 동기, 요구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으로 현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교육 항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한 교육 기관에 편중되지 않도록 선정한 멕시코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설문지에 사용된 문항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화 지식 영역의 세부 기술을 참조하여 기틀을 마련하였다. 선행된 한국 문화 교육 연구를 살펴보면, 문화 교육의 범위나 항목을 선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는 않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해당 학습자의 학습 목표, 요구에 맞는 교육 항목을 선정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 멕시코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는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연구는 최초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한정된 학습자로 진행한 연구라는 점, 선정한 교육 항목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멕시코 벽화운동에 관한 연구

        이규 호남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예술은 개인적 감정과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는 종합적 경험의 표현이자 역사적 표현물이며, 예술가는 역사나 사회로부터 벗어나 단지 순수 미적 탐구라는 과제만을 가진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현실과 부단한 접촉을 통하여 사회의 객관적 세계를 표현하는 존재이다. 멕시코 벽화운동은 멕시코의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의 결과물이며 미술이 국민과 시대적인 요구에 대해 어떻게 대중적인 미술로서의 표현물이 되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이다. 멕시코는 300년간 스페인의 식민지로서 압박과 착취를 당해 왔으며 그 후 독립전쟁에서 많은 피를 흘려야 했고, 그 전쟁의 와중에 상처 입고 신음해야 하는 것은 언제나 힘없는 민중들이었다. 온갖 박해와 문화적, 인종적으로 수모를 받으면서 어느 땐가는 분연히 일어나 이 시대의 주인은 역시 민중이며 멕시코인 자신들이라는 사실을 깨우쳐 주는 교훈이었다. 또한 혁명적인 관점에서 볼 때 미술의 특성이 일반대중에게 그들 자신이 보인 행동이 정적이고 시적인 시각을 제공함으로서 일반 대중이 갖는 정신의 생명력을 증명하는 것이라면 멕시코의 벽화가들은 멕시코 혁명파 그들 시대의 미학적인 모험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공헌했다고 해야 한다. 사회적,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 처해 있을 국면을 정신적으로 이끌어야 할 사명이 예술가와 지성인들에게 주어져있으며, 또한 그렇게 해야할 의무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멕시코의 벽화운동은 이러한 관점의 소산이며 정부의 강력한 후원을 받은 대중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미술에 있어서의 사회적인 소통과 그 역할에 주목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벽화에 동참하였던 벽화가들은 민족과 민중적인 입장에서 그들의 역사를 해석하고 문화적인 정통성을 고대 인디오의 세계로부터 발전, 사실주의적 벽화양식을 통하여 자신들의 토착 전통문화의 자부심을 고취하려 하였다. 또한 멕시코 벽화운동은 이데올로기와 미술이 결합한 시도로 민족주의 미술의 세계를 넘어서 세계미술사에 있어서 제 3세계 미술로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중대한 위치로 자리 잡았으며, 1930년대 경제 공황으로 침체되어 있던 미국의 화단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주변국과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도 역시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Art is not only expression of composite experiences to realize individual feelings and social values but historical expression, whereas an artist is not an independent being who pursues the only pure aesthetics free from history or society but a being that expresses the objective world of society by constantly contacting with the real world. The Mural painting in Mexico resulted from the bitter periodic conditions and is deemed to be a fine example to show how art is changed into and expression as popular art by reflecting national and periodic demands. Mexico had been subjected to pressure and exploitation for three hundred years as a colony of Spain. Then, Mexican should shed their blood for their country in the war of independence, and, of course, it was the weak people that were injured and suffered from the war. It is a valuable lesson that made the people realize they are the subject of the period as Mexican by rising in arms courageously thought they had suffered from every oppressions and cultural and racial contempts. And, in revolutionary aspect, art is characterized to prove spiritual vitality of the people by providing static and poetic views for them, whereas the muralists in Mexico should be deemed to contribute to the light of two viewpoints; Mexican Revolution Party and contemporary aesthetic adventure. Artists and intellects were charged with a mission to lead the people spiritually in the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instable period and they should be obligatory on the mission. The Mural painting in Mexico was the fruit of these viewpoints and is deemed ti be a part of popular educational polic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werfully and a campaign focused on social communication and its role of art. The muralists who participated in drawing mural paintings attempted to interpret their history in the light of nation and people, to develop cultural legitimacy from the ancient Indio world, and to inspire self-confidence of their native traditional culture by the realistic mural style. In addition, the Mural painting in Mexico was an attempt to combine ideology and art and was settled down as an important position unprecedented in arts of the Third World in the World Art History beyond the nationalistic art. And, it had a great effect on the artists' world in U.S., which had been dull owing to the Depression in 1930's, much affected the surrounding countries and Asian countries.

      • 한국과 멕시코의 산업혁력 방안 : 제조업을 중심으로

        안성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1장의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중남미 대륙의 정치·경제적 및 전략적 가치를 살펴보며 우리나라와의 협력 증진에 대한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최근 중남미는 과거와는 달리 정치경제적 안정을 이룩하였을 뿐 아니라 지역공동체를 통해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중남미와 미미한 교역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투자에서도 저조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중남미는 거대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의 재분배정책을 통한 불평등 개선으로 중산층 인구가 증가하며 거대소비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각종 희유금속 및 전략광물이 풍부해 전략자원시장으로서의 중요성을 갖고 있으며, 도시화로 인한 프로젝트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의 진출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3장에서는 중남미라는 대륙이 아닌 국가 수준에서 우리 기업들이 협력을 고려할 수 있을 만한 주요 국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남미 각국의 시장규모, 투자교역규모, 시장개방성 등의 지표들을 활용하였다. 중남미를 국가별로 분석해보면 GDP 및 인구로는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이 주요국가로 꼽히며, 그 중에서도 브라질과 멕시코는 중남미를 이끌어가는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다. 브라질은 GDP, 인구, 교역규모 등 많은 분야에서 멕시코보다 앞선 통계를 보이고 있지만 중남미 평균을 밑도는 경제자유지수, 각종 보호무역주의 정책 시행 등으로 우리 기업들이 활동하기에는 어려운 환경을 가지고 있다. 반면 멕시코의 경우 안정적인 경제성장과 친기업적 환경을 조성하려는 신임대통령, 미국의 경제 호조 등 복합적인 요인이 어우러져 외국 기업이 활동하기에 더 적합하다. 특히 멕시코 제조업은 멕시코의 GDP, 수출, 외국인투자유치, 고용 등에서 중요한 비중을 갖고 있다. 멕시코의 제조업은 1964년부터 제정된 보세임가공 장려정책에 기반해 발달해 왔으며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시장과의 접근성 등을 통해 발전했다. 4장에서는 제조업에서도 제일 비중이 큰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 생산 및 수출, 경쟁력, 연계 산업인 자동차 부품산업, 외국인투자현황, 한국기업 진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멕시코 자동차 산업은 3장에서 살펴본 각종 제조업 우위요소를 바탕으로 멕시코 대표 산업으로 부상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생산 8위, 수출 6위 국가일 뿐 아니라 계속되는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의 진출로 앞으로 더 큰 발전이 기대된다. 이와 같은 멕시코 자동차 산업의 활황은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 기업들의 신흥국 진출 전략,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재고부담을 줄이며 최종 소비자에게 빠른 시간에 물건을 납품하기 위한 “Nearshoring" 정책 등에 기인한다. Audi, Nissan, Honda와 같은 전 세계 주요메이커들이 멕시코에 진출하고 있으며, 한국기업은 아직 자동차 제조업에는 진출하지 않았지만 타이어를 비롯한 자동차 부품, 원자재인 자동차용 강판을 생산․가공하는 포스코가 진출해 있다. 5장에서는 기업 입장에서 멕시코 제조업 진출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부분들에 대해 살펴보고 정부 입장에서의 기업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 기업들이 멕시코 제조업 진출을 희망할 경우, 개별기업의 특성과 비즈니스 발전 정도에 따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달라지겠으나, 투자진출형태와 생산시설 투자방법 등 모든 기업들에게 공통적으로 해당이 되는 내용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연락사무소의 경우 본사를 위한 각종 연락업무, 시장조사 업무만을 수행하게 되며, 지점은 영업활동은 수행할 수 있으나 각종 법적 책임이 본사에 귀속되기에, 장기적으로 영업활동을 수행하며 이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법인 설립이 유리하다. 멕시코에서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크게 신규공장건립, 공단입주, 쉘터 서비스 사용 등의 3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신규로 멕시코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우 각종 생산기반이 갖춰진 공단에 입주하거나 쉘터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부차원에서는 멕시코와의 FTA 체결을 통한 우리 기업의 진출기반 조성을 지원하고 동반진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동반진출을 위해 우리 정부는 자금지원 및 한국전용공단 설립, 해외투자유치 담당기관과의 인력 교류 프로그램 운영 등의 방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남미 진출에 있어 제일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정보부족과 인력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중남미 경제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이 지역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전략수립, 인력 배출 등을 담당할 필요가 있다.

      • 틀라텔롤코의 기억으로 본 1990년대 멕시코의 위기 : 파코 이그나시오 타이보, 호르헤 폰스, 로베르토 볼라뇨의 68년

        엄경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2

        El presente trabajo discute la crisis y los desafíos de la sociedad mexicana contemporánea al vincular y analizar `68 de Paco Ignacio Taibo, Rojo amanecer de Jorge Fons, y Amuleto de Roberto Bolaño con el contexto del período de la década de los noventa en México Unos cientos de civiles son asesinados frente a ataques indiscriminados el 2 de octubre, días antes de la apertura olímpica de México en 1968. Más tarde, aparecerá "La literatura de Tlateelolco" en medio de la tendencia literaria para descubrir la verdad sobre el incidente y la violencia nacional. El género comienza con las primeras acusaciones de la vida real y las tendencias realistas, y con el tiempo captura una variedad de formatos y temas. Este documento se centra en los trabajos desde el punto de inflexión de la sociedad mexicana en la década de 1990, especialmente `68 de Paco Ignacio Taibo y Amuleto de Roberto Bolaño y la película de Jorge Fons Rojo Amanecer. Las tres obras tratan de recuerdos de 68 años en común, pero el formato de las obras y conciencia crítica revelado en ellas son diferentes. Han transcurrido veinte años desde la masacre de Tlatelolco, pero no se han realizado investigaciones ni castigos, y 68 años han desaparecido en el fondo de la historia. Taibo diagnostica la crisis de la memoria en la era rápidamente cambiante de los años 90, y encuentra una solución en su memoria diaria de 68 años. Y a través de la forma de el cuento de hadas, buscamos encontrar el recuerdo de 68 en la vida cotidiana, y sugerimos que el acto de sostener la memoria de la historia del olvido es un nuevo método de resistencia. Si Taibo diagnostica la crisis de la memoria, Jorge Fons señala el conflicto y la desintegración nacional en la sociedad mexicana sobre el movimiento estudiantil mexicano de 68 años. La película Rojo amanecer ha reducido la escala de la sociedad mexicana, que está a punto de ser asesinada por la masacre de Tlatelolco, en un drama familiar, que muestra los conflictos, el aislamiento y Interrupción de cada generación. Las diferencias entre las generaciones han dado forma a una nueva imagen nacional a través de la Revolución mexicana, pero muestra que la ideología de la unidad nacional era una ficción en medio de la masacre de Tlatelolco y la guerra sucia mexicana. Además, este conflicto revela una ilusión simbólicamente a México en medio de la aceleración del neoliberalismo. Amuleto de Bolaño recrea a los intelectuales que han renunciado a su posición como productores de contrapoder desde la masacre de Tlatelolco y han perdido su voluntad de reformar la realidad. Y resulta ser un vínculo a sentimiento de impotencia de los intelectuales que han caído en el lumpemproletariado en la era neoliberal. Al hacerlo, enfatiza la necesidad de conocimiento para contener el contrapoder y crear conciencia entre los intelectuales que olvidan el poder de la literatura al vivir en la oscuridad. Estas tres obras recuerdan y reproducen el movimiento de 1968 en México y la masacre de Tlatelolco en 68 años, desentrañando la crisis de los años noventa de diferentes maneras, diagnosticándolas y mostrando el deseo y la voluntad de resolverlas. Palabras Claves: La crisis de los años noventa, La literatura de Tlatelolco, El movimiento estudiantil de 1968 en México, Paco Ignacio Taibo, Jorge Fons, Roberto Bolaño 본 논문은 1968년 멕시코의 틀라텔롤코 사건을 다루는 파코 이그나시오 타이보의 『`68』과 호르헤 폰스의 <붉은 새벽> 그리고 로베르토 볼라뇨의 『부적』을 멕시코의 1990년대라는 시대적인 맥락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당대 멕시코 사회의 위기와 시대적 과제를 논의한다. 1968년 멕시코의 올림픽 개막을 며칠 앞둔 10월 2일 틀라텔롤코의 삼문화광장에서 벌어진 무차별적인 공격 앞에 수백 명의 민간인이 죽임을 당한다. 이후 이 사건과 국가폭력에 관한 진실을 규명하려는 문학적인 흐름 속에서 ‘틀라텔롤코 문학(La literatura de Tlatelolco)’이 등장한다. 이 장르는 초기 현실 고발과 사실주의적인 경향에서 출발하여 시간이 지나며 다양한 형식과 주제를 담아내게 된다. 본 논문은 1990년대라는 멕시코 사회의 전환기에 나온 작품들, 특히 파코 이그나시오 타이보의 『`68』과 로베르토 볼라뇨의『부적』, 그리고 호르헤 폰스의 영화 <붉은 새벽>에 주목한다. 이 세 작품은 공통으로 68년에 대한 기억을 다루고 있지만 작품의 형식과 작품 안에 드러난 문제의식은 상이하다. 틀라텔롤코 학살 이후 20년이 지났지만 진상규명과 처벌은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68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타이보는 90년대 급변하는 시대 안에서 기억의 위기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자신의 68년 일상적인 기억에서 찾는다. 그리고 동화라는 형식을 통해 일상적인 삶 속에서 68에 대한 기억을 찾고자 하며, 망각의 역사로부터 기억을 지속하는 행위가 새로운 저항의 방식임을 제안한다. 타이보가 기억의 위기를 진단한다면, 호르헤 폰스는 68년 멕시코 학생운동을 둘러싼 멕시코 사회에 팽배한 갈등 양상과 국민의 해체를 짚어낸다. 영화 <붉은 새벽>은 틀라텔롤코 학살을 앞둔 멕시코 사회를 가족의 드라마로 축소화하여 각 세대의 갈등과 고립 그리고 단절의 양상을 보여준다. 세대 간의 입장 차이는 멕시코 혁명을 통해 새로운 국가상을 형성하였지만 틀라텔롤코 학살과 이후에 벌어지는 멕시코 추악한 전쟁 속에서 국민통합의 이데올로기는가 허구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갈등은 신자유주의의 가속화 속에서 허울만 존재하는 멕시코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볼라뇨의 『부적』은 틀라텔롤코 사건 이후 대항권력 생산자로서의 위치를 포기하며 현실에 대한 개혁의 의지를 상실해 버린 지식인을 재현한다. 그리고 그 모습을 신자유주의 시대 룸펜 프롤레타리아로 전락해버린 지식인의 무력감과 연결시켜 드러낸다. 이를 통해 문학의 힘을 망각하고 무기력에 갇혀 사는 지식인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며 대항권력을 담지해내는 지식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렇게 세 작품은 68년 멕시코 학생운동과 틀라텔롤코 학살 사건을 기억하고 재현하면서 1990년대의 위기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풀어내며, 이를 진단하며 해결의 열망과 의지를 보여준다.

      • 한국과 멕시코의 전략적 경제보완협정 추진에 관한 연구

        조우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2

        As Korea is now the 12th biggest power of commerce in the world, we depend on commerce in many parts of the state economy. As international commerce circumstances are sharply changing, our commercial policy needs diversity. We must take up a positive attitude of regionalism, especially free trade agreements, since DDA has been indefinitely postponed. In this context, Korea has already signed a free trade agreement with Chile, Singapore and EFTA. Korea has also just signed their first commodity trade agreement with ASEAN, and is now beginning to progress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and other countries. During this process, the Latin American market requires considerations from various angles. This study compares both the permitted agendas of FTA with Chile, which are the common denominators of Korea and Mexico. Thus, similarities were found regarding the fact that the amount of the trade increased after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and imports and exports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postponed or exceptional items of the tariff removal. Moreover, similarities concerning an application of the seasonal tariff about grapes and a preparation of measures of Safeguarding with the rapid growth of imports were also discovered. In contrast, while the agreement was concluded after the FTA negotiation had been conducted in advance in the case of Korea and Chile, it turned on the step of FTA through the economic complementary agreement. In addition, we could find some differences. There were postponed items among similar farm or marine products in the case of Mexico and Chile while there were postponed items among farm or industrial products in the agreement of Korea and Chile. Also, as we compare FTA of Mexico with that of Japan, Korean industry is badly damaged by the fact that lines of products which now enter into competition get into Japan. In this reading, Korea has emphasized the strategic economic complementary agreement with Mexico as necessity of the early agreement. Finally, we must grasp the concepts accurately concerning the problems of direct investment in Mexico, which may come from the acceleration of the strategic economic complementary agreement of Korea and Mexico, and the problems of the adverse condition of trade in Mexico and Korea. As a result, the problems of the direct investment explain the fact that we first need to solve difference of cognition about pressing economic issues; Korean investment is now most active among Latin American countries. Recent realities of Mexico are due to inner primary factors such as pay raise and high tax. In this adverse condition of trade, Korea is a great help to enterprises that had already began trading to other countries for parts and semimanufactured goods. Recent imports into Mexico show a two figure rate of increase and import items are diverse from subsidiary materials to high-technology products. This study show that the strategic economic complementary agreement between Korea and Mexico solves the two countries different viewpoints and makes rapid progress. Korea has been able to break new ground and defend damages of the industries that have the upper hand by comparison. This has been regarded as a bridgehead. Korea is going to get into Latin American markets. Also, exchanges must be made in many parts with the start of strategic economic complementary agreement and then, the negotiation of a and FTA which will surpass the scope of the strategic complementary agreement.

      • 국제금융기구들의 복지개혁 요구와 국가자율성에 관한 연구 : 외환위기 이후 멕시코와 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영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1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멕시코와 한국의 복지개혁 전개양상과 두 나라의 복지개혁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구제금융의 부대조건으로 제시된 국제금융기구들의 유사한 복지개혁 요구는 채무국의 국내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이행된다는 것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IMF와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구들은 차관지원에 부대조건을 부가함으로써, 개발도상국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종속이론가들은 국제금융기구들의 부대조건 등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지렛대효과에 의해서 개발도상국가들은 국제금융기구들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이게 된다고 전망한다. 따라서 개발도상국가들은 서방선진국들, 다국적 기업, 국제금융기구들의 이익과 합치되는 금융, 재정, 관세 및 사회정책 등을 채택 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 종속이론가들의 입장이다. 또한 개별국가의 정책선택에서 국제적 영향력을 강조하는 입장에 따르면, 외국자본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개발도상국가들은 국제금융기구들의 압력으로부터 상대적 자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평등지향적이고 보편주의적 복지정책에 어두운 전망을 보인다는 것이다. 멕시코와 한국은 90년대 외환위기를 맞아 경제위기를 겪었고, 경제위기와 구조조정에 따른 사회적 위기를 관리하기 위해 복지개혁을 수행했다. 또한 두 나라는 국제금융기구들로부터 차관조건으로 제시된 사회안정망확충, 연금민영화 등과 같은 복지개혁안을 이행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종속이론가들을 포함한 국제적 영향력을 강조하는 입장에 의하면, 멕시코와 한국은 국제금융기구들의 복지개혁 요구안에 순응하게 될 것이고, 그 결과 두 나라에서 유사한 복지개혁 전개양상이 나타날 것임이 예상된다. 이러한 이론적 가정이 외환위기 이후 멕시코와 한국에서 진행된 복지개혁에서 경험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는지를 검증해볼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만일 두 나라의 복지개혁이 상이하다면, 이런 차이를 가져오는 국내적 요인들, 경제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한 국제금융기구들의 복지개혁 요구안 이행정도와 수위에서 멕시코와 한국은 차이를 보였다. IMF와 세계은행이 빈곤퇴치를 목표로 제시한 사회안전망은 보편주의적 방식이 아닌 엄격한 자산조사를 수반하는 대상목표화 방식으로 빈곤층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이들이 강조하고 있는 빈곤정책의 목표는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교육, 훈련, 의료와 같은 인적자본 양성이기 때문에 직접적 소득이전보다는 인적자본 양성을 위한 지출에 투자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두 나라 모두 기존 복지제도에서 배제된 비정규직 근로자나 비공식부문 종사자 수와 실업자 수가 증가하였지만, 사각지대를 줄이는 방식이 다르게 전개되었다. 멕시코는 공식부문 사업장 근로자만을 당연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사회보험제도의 자격기준 변화없이 저소득 취약계층만을 대상으로 한 대상목표화 방식으로 복지개혁이 수행되었다. 또한 빈곤층에 대한 재정지원은 직접적인 소득보장보다는 교육, 의료, 기술훈련과 같은 인적자본 양성에 비중을 두고 있었다. 반면, 한국은 사회보험 적용제외자였던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비정규직 근로자까지 사회보험의 적용대상으로 포괄하고 공공부조제도를 확대하는 등 보편주의적 방식으로 복지개혁을 추진했다. 복지지출에서 직접적인 소득이전 지출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또한 국제금융기구들은 구체적인 연금개혁안 제시, 전환비용에 대한 재정지원 등 연금민영화를 위해 적극적인 개입활동을 전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공적관리에 의한 연금제도를 유지하였고, 멕시코는 전면 연금민영화를 단행했다. 두 나라의 복지개혁을 비교한 결과, 멕시코는 국제금융기구들의 복지개혁 요구안에 순응했고, 한국은 의무불이행이 나타났다. 둘째, 멕시코와 한국의 복지개혁 차이는 두 나라의 경제적 특성 차이와 관련있었다. 멕시코와 한국의 경제성장률의 차이보다는 경제여건의 차이가 GDP 대비 복지지출규모의 차이와 관련있었다. 또한 멕시코가 연금민영화를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낮은 국내저축률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멕시코는 국내저축률제고를 위해 연금민영화를 단행했고, 이를 통해 해외자본에 대한 높은 의존성을 줄여나가려고 했다. 반면, 한국은 멕시코에 비해 높은 국내저축률을 보였다. 멕시코와 한국 모두 빠른 속도로 경제를 회복시켜 ''IMF 조기졸업''이 가능했지만, 멕시코는 한국보다 경상수지, 무역수지, 물가상승률 등 경제여건이 열악했기 때문에 국제금융기구들의 요구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셋째, 멕시코와 한국의 복지개혁 차이는 두 나라의 정치체제, 사회합의기구 , 사회복지정책망 등의 정치적 특성 차이와 관련있었다. 두 나라의 민주주의 발전수준의 차이는 국제금융기구들의 요구로부터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즉 한국은 멕시코와 달리 민주화 이후 노동시민사회가 성장하여 이들의 복지개혁 요구와 신자유주의 정책 반대요구를 무시하기에 정치적 부담이 컸다. 복지개혁에서 소득보장정책의 확대방식과 복지지출 성격 등의 차이는 두 나라의 정치체제의 차이를 포함한 정치적 특성의 차이와 관련있었다. 권위주의 정부 하에서는 특정집단들로부터 정치적 복종을 얻어내기 위해 선별포섭의 방식으로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 정치비용면에서 효율적이다. 이와 달리, 민주주의 정부 하에서는 정치경쟁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보편주의적 복지제도를 통한 광범위한 정치지지기반 형성이 유리하다. 멕시코는 선별주의적 방식으로, 한국은 보편주의적 방식으로 복지를 확대했는데, 이러한 차이는 두 나라의 정치체제의 차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민주화 이후 변화된 국가-시민사회관계는 두 나라의 복지개혁 차이와 관련있었다. 즉 한국은 멕시코와 달리 민주화 이후 억압적, 폭력적인 국가-시민사회관계가 변하여 사회합의기구를 통해 노동진영의 복지개혁 요구가 반영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정책결정과정에서 평등적이고 보편적인 복지를 요구하는 노동시민사회의 참여가 확대되는 등 친복지정책망이 형성되었다. 반면, 노동진영의 독립과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은 채 형성된 멕시코의 사회합의기구는 정부정책의 전도체에 불과했다. 이 결과, 멕시코는 사회합의기구를 통해 구조조정에 따른 보상전략을 마련하지 못했다. 그리고 멕시코는 신자유주의 정책이념을 교육받은 기술관료출신 대다수로 정책망이 형성되어 복지와 분배보다는 경제성장, 시장우선의 정책들을 추진해갔다. 이처럼 두 나라의 경제적, 정치적 특성 차이가 국제적 압력에 대한 국가대응전략에 영향을 미쳐, 유사한 외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복지개혁 양상이 나타난 현상을 설명한다. 외국자본으로부터 상대적 자율성이 떨어지는 개발도상국가라 해도 종속이론가들이나 국제적 영향력을 강조하는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국제금융기구들의 요구가 일방적으로 관철되지는 않는다. 개별국가는 국제금융기구들과의 협상내용을 단순히 이행하는 국제기구의 종속적 도구가 아니라 자국의 이해에 따라 정책을 선택하고 실행한다. 국내 경제적, 정치적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에 따라 개별국가는 국제금융기구들로부터 상대적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고, 국제질서가 창출하는 긴장관계를 걸러내는 여과기제로 기능할 수 있다. This research compares welfare reform of Mexico and South Korea after the IMF bail ou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centered on the divergence of compulsory welfare reform as a collateral condition of bail out, according to the internal factors of debtor nations.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IMF and the world bank have put conditionalities to credit granting and as a consequence, have exercised tremendous influence on developing countries and in creating post-war world order. The proponents of dependency theory named such influence as "leverage effect" and maintained that it is inevitable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to accept the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ey assert that the policies of developing nations are shaped according to the monetary, financial, social policy requirements of western advanced countries,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Furthermore, in an age of globalization, the developing countries tend to rely more on foreign capital and their relative autonomy decline. As a result, the prospect to realize universal and egalitarian welfare states has become more pessimistic. Mexico and South Korea performed welfare reforms in order to overcome various social crisis such as mass unemployment and poverty provoked by economic crisis and restructuring during the 1990s. The two countries had accepted credit grantings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had executed welfare reforms as a conditiona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dependency theorists, both countries should have accomplished similar type of welfare reform.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such theoretical assumption is empirically supported and if the result turned out to reject the theoretical assumption, to investigate internal factors that provoke such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lfare reform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have been accomplished differently in Mexico and South Korea. Social safety net suggested by the IMF and the World Bank as a means of tackling poverty was rather a residual welfare system based on means testing than a universal welfare system. Moreover, because the main objective of poverty policies suggested by the IMF and the World Bank is in developing human capital, they put more emphasis on various investments to develop human capital rather than direct income transfer policies.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 number of people excluded from the welfare system such as irregular workers has increased in both countries due to economic restructuring but welfare policies for such people turned out to be different. In case of Mexico, welfare reform was centered on targeted job training, income support, health service, child education without any expansion in social security eligibility criterion and income support was more an investment in human capital than direct income transfer.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welfare reform was more universal. There was an expansion in eligibility criterion for social security and also in public relief system. Also, there was an obvious increase in welfare expenditure for direct income transfer program. Even though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made active interventions to privatize public pension system, South Korea maintained public pension whereas Mexico was in compliance with pension reform requirements by privatizing pension system.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Mexico and South Korea was related to economic situation in both countries. Low rate of domestic savings was the main factor for pension privatization in Mexico. That is to say, Mexico privatized pension system in order to increase domestic savings rate and to diminish dependency on foreign capital. On the other hand, domestic savings rate in South Korea was higher than that in Mexico. Moreover, despite rapid economic recovery in both countries, various economic indicators such as international accounts, trade payments, price increase rate were inferior in Mexico than in South Korea, which made it more difficult for Mexico to object to the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ird, different political situation in the two countries played a role in shaping different welfare reform.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mocratization in the two countries. The state-civil society relations in South Korea had changed due to the process of democracy. Social costs provoked by economic crisis and restructuring was not totally imposed on civil society and social conflict was minimized through social agreement framework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The contents of Korean welfare reform was based on the tripartite agreement between the state, labor and capital. On the other hand, Mexican social agreement framework, which lacked in independence and autonomy on the part of labor, was hardly more than a transmitter of government policy. Whereas Korean welfare reform established a pro-welfare policy network that consisted of participation from civil society, Mexican policy network consisted mainly of neoliberal technocrats and policies for economic and market development took precedence. To sum up, welfare reform in Mexico and South Korea after the economic crisis was different in characteristic, rejecting the claims of dependency theorists. Difference in economic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countries brought such heterogeneity despite of similar external conditions. It is obvious that even for a developing country that lacks relative autonomy from foreign capital, requirements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re not uniformly accomplished. Individual nations are composed of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various groups and organizations. The role of the state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in policy making. Individual nations can acquire relative autonomy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domestic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