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 재생을 위한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 연구 : 동국대학교 필동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욱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도심에 위치한 대학교가 지역사회 커뮤니티, 행정관청, 민간자본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여 캠퍼스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도심 재활성화의 거점으로 작용하는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에 관한 연구이다. 대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주분리현상, 도시 외곽지역의 신 주거지 개발에 따른 도시인구의 유출, 도심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일부 도심기능의 이유로 주거인구 공동화가 도시문제로 진행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거울 강남지역으로 충추관리기능의 계획적 이전과 고밀도 공동주택의 집중적인 개발·공급으로 구도심을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의 업무와 인구 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한 서울은 강남·북 지역의 불균형 성장은 강남지역으로의 도시기능 집중에 따라 토지의 비효율적 이용과 주거환경, 교육여건, 생활편의시설 등 시민 생활 여러 분야의 지역간 격차를 심화시켜 강북지역 시민의 상대적 소외감이 증대하고 결국 시민화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지를 둔 31개 대학교를 검점으로 상대적 개발 소외지역을 활성화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강남·북 지역간 불균형 성장문제 해결을 제안한다. 대학교 캠퍼스는 젊고 활력 있는 인구와 다양한 교육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기능재생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서울 구도심에 위치하며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개발 소외지로 인한 도시문제가 상존하는 동국대학교 필동캠퍼스 주변지역에 캠퍼스 기숙시설을 연계시켜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재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학교 기숙시설은 캠퍼스 인구 일과 활동의 시작과 마무리를 제공하는 장소이며 일과이후 휴식과 학습, 문화 활동 등 자기계발 활동의 구심점으로 작용하는 공간이다. 즉 기숙시설 프로그램은 캠퍼스 인구 활동이 지속·고밀도로 일어나는 활동의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숙시설이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동의를 얻고 행정관청과 민간자본의 지원으로 낙후된 거중환경 지역에 개발되는 것은 캠퍼스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며 젊고 활력 있는 인구를 지역사회에 확보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캠퍼스 지역의 기능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propriety of university campus which makes be a base of downtown re-activation from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and improves campus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When metropolis grow up, slum become an urban problem because the phenomenon of occupation-residence separation, exodus of urban population from new residential area in outside of metropolis and the high price of land in downtown. Especially, after 1970s, moving main administration function to the south of Han River on purpose, development and supply of high-density apartment house make the north of Han River slum of business and population.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of the south of Han River makes disproportion growth of Seoul and deepens lo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is result, citizen live in the north of Han River increase a sense of alienation and finally it makes be a factor that disturb urban harmonization of Seoul. This research propose the solution of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south and north of Han river and slum from revitalization of development neglect area based on 31 universities campus located in the north of Han River. Because of influence of young and energetic people and various educa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restore of urban downtown function both university and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thesis focus on re-activation method from connection old downtown with campus residence facility located in neighbor area of the Dongguk University Pildong campus which undergo urban problem from coexistence of slum and development neglect. Campus residential facility is an area offered to start and finish of campus life and acted to central space of rest and education, cultural activity and self-development for population of campus. So, we can think that residential facility program is a center area of campus activity with continuity and high density. Accordingly, development of this residential facility with agreement and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in falling behind area makes campus and downtown improv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campu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ighbor and gets an energetic and young popul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for restoration of area.

      • 중등학교 생물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과과정의 관련성 분석

        나기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nd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re based on the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covering overall courses of study in secondary school, which would be fundamental for students to study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s study is about whether the questions in current Teachers' Appointment correspond well to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s. In this study, I us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s follow: First, I analyzed all the questions in biology Teachers' Appointment given last 5 years from 2003 to 2007. Second, I analyzed 6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presented each province.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nd curriculum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teachers' appointment in the future. When the questions in biology were analyze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not enough to cover all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7th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modern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develop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curriculums should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of biology. Teac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which they must develop future leaders who lead our socie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select right people for the position.

      • 동국대학교 경주병원과 포항병원에서 진단된 암등록환자의 특성과 직업 관련성

        배근량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23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경주병원과 포항병원에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2년간 암으로 진단 받아 보건복지부 한국중앙암등록본부에 보고하였던 경주병원 암환자 426명(남자 256명, 여자 170명)과 포항병원 암환자 196명(남자 112명, 여자 84명), 총 622명(남자 368명, 여자 254명)을 연구 대상으로 암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인체에 발암성이 확정된 물질에서 발생하는 암질환자를 선별하여 직업 관련성 암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암등록 조사보고서를 검토하여 대상자 선정을 한 후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사용물질 및 작업 공정의 발암 가능성에 따라 발암물질을 구분한 국제암연구기구(International Agency of Research on Cancer; IARC)의 분류에 근거하여 직업성 암으로 분류되는 폐암, 비강암, 방광암, 피부암, 백혈병, 간암 환자 중 40세 이상인 190명(남자 149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직업력과 흡연력, 음주력 기재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대상자의 직업력은 개별 전화 면접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암 환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는 61.6±14.6세이었고 여자는 59.7±16.2세이었다. 연령 분포는 남녀 모두 60대, 50대, 70대, 40대, 80대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암발생 부위에 따른 분포는 남자는 위암이 28.0%로 가장 많았고, 폐암 20.7%, 간암 13.9%, 방광암과 대장암 각각 6.3%의 순이었고, 여자는 위암이 26.0%로 가장 많았고 자궁경부암 11.8%, 대장암 10.2%, 간암 7.1%, 유방암 6.3%의 순이었다. 암 진단방법은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확진된 경우가 남자는 74.5%, 여자는 83.1%이었다. 직업성 암 조사 대상자에 대한 의무기록 검토에서 직업력은 의사 의무기록지에는 6.1%, 간호일지에는 35.2%에서 기술되어 있었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폐암환자에서는 93.0%, 간암 환자에서는 85.5%, 방광암 환자에서는 76.2%에서 기록되어 있었다. 전화 면접 조사의 응답률은 직업성 암 조사 대상자 중 남자는 84.6%, 여자는 90.2%이었다. 이들의 직업 분포는 남자는 농업 54.0%, 사무직 19.0%, 상업 15.1%, 생산직 7.9%(9명), 노무직 4.0%(5명)이었고, 여자는 주부 70.3%, 농업 18.9%, 상업 10.8%이었다. 이들에 대하여 세밀하게 직업력을 분석한 결과, 발암물질에 폭로가 확실한 대상자는 없었다. 그러나 폐암환자 중에서 1명이 과거에 주물공장에서 10년간 근무하여 직업적으로 발암 물질에 폭로가 의심 되었다. 본 연구에서 직업성 암을 확진하지 못하였으나 의심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앞으로 직업성 암은 사회 문제화 될 가능성이 있으며, 암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인의 생활 습관과 직업 관련성에 대한 의사의 관심이 필요하다.

      • 생태캠퍼스 구현을 위한 빗물이용 방향설정 연구

        이우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도시가 급속도로 개발되면서 지표의 불투성면은 증가하고 빗물의 지하 침투량은 감소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에 필수적이었던 빗물은 도시에서 신속하게 배출시켜야 하는 요소가 되었으며, 도시에서 빗물의 관리는 수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주목적이 되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물 부족의 어려움과 도시의 인구증가에 따른 물 수요의 증가 그리고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문제점들이 인식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그 지역 내에서 처리하는 분산식(decentralized) 빗물관리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산식 빗물관리는 기존의 댐 방식이 아닌 지붕녹화, 소규모 침투·저류시설, 저장조 등의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및 운용이 필요하게 되었고 빗물이용은 도시 및 자연 환경을 위한 수문환 회복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대학캠퍼스 등의 대규모 단지에서의 빗물이용은 빗물을 저류, 저장 또는 침투시켜 유출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도시홍수와 지하수 고갈문제에 대처하는 등 도심지 환경부화를 감소시키고, 무절제하게 파괴된 자연생태계를 복원·보호하기 위한 소생물 서식공간(Biotope)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 이와 같이 대규모 단지에서 빗물을 이용하려면 먼저 빗물이용의 양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문헌에 나타난 빗물이용 양상을 보면 크게 『집수-저류-(활용)』유형, 『집수-처리-저류-(활용)』유형 그리고 『집수-처리-저류-침투-(활용)』유형의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요약된 3가지 유형과 국외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공간의 특성에 적합하게 다양한 빗물이용시설을 적용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도시내 대규모 대지를 점유하고 있는 대학캠퍼스에 있어 적극적인 빗물이용은 지붕녹화, 소규모 저류 및 침투시설, 빗물저장조, 저류연못 등의 다양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안으로 크게는 도시 및 단지차원에서 작게는 건축물 단위에서 지역 내의 빗물을 그 지역 내에서 처리해야 한다. As a city developed at a fast rate, the non-permeable planes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have increased and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into the ground has decreased. For this reason, rainwater which had been regarded essential for the life now become an element to be eliminated and the management of rainwater in a city is aimed to secure stability against flood damage. However as lack of water, the higher demand for water due to higher population in a city and problems on people and the environment are recognized in some areas, decentralized management of rainwater, in which the effluent water occurring in an area is dealt with within the area, is emerged as a method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is management requires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vegetated roof, small scaled penetration and retention facilities, storage tank rather than the previous dam method, and rainwater has to be used in a way where hydrologic cycle is restored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ities. Especially as the usage of rainwater in a large complex such as college campus delays the runoff time by retaining, storing or penetrating rainwater, this allows people to deal with urban flood and depletion of ground water resources, resulting in less environmental problems in urban areas and contributing to prepare a micro biotopefor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indiscriminately damaged natural ecosystem. The trend in using rainwater to be examined before using it in such a large complex. The trend, appeared in the literature, can be largelyclassifiedinto 『collection - retention - (use)』type, 『collection - treatment - retention - (use)』type and『collection - treatment - retention - penetration - (use)』type.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ose three types and local and overseas cases, various types of facilities for the usage of rainwater have to be applied in a suitable way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ace. In sum up the active usage of rainwater in a college campus which occupies large land in a city should be dealt with at a city or complex level at macroscopicscale and at building blockat microscopic one, by introducing various facilities like vegetated roofs, small retention and penetration facilities, rainwater storage tanks, retention ponds, and etc.

      • 낭독을 활용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신문기사를 통한 이해력의 향상을 중심으로

        오청요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本研究探討了中國4年製大學韓語系高級韓語學習者為對象,利用朗讀來閱讀新聞報道,提高理解能力。雖然中國大學韓國語系每學期都開設,但閱讀課程以語言知識為主,以翻譯文本和解決問題的方式進行也是事實。而且使用的閱讀教材中幾 乎沒有具有啓示性的文本,很難擴大對韓國社會的背景知識因此,本研究為中國大學韓國語系學習者提出了通過閱讀新聞報道,擴展到文化背景知識,利用朗讀提高閱讀理解能力的閱讀教育方案。 首先在第2章中了解了中國大學閱讀教育的現狀,然後整理問題點如下。第壹,雖然重視語言知識,但文化背景知識不能擴張。第二,無法擺脫傳統的閱讀教學方法,無法提高理解能力。第三,文化背景知識的理解能力不提高。為了解決這壹問題,本研究利用朗讀作為閱讀活動,選定了新聞報道作為閱讀文本。通過朗讀可以提高閱讀時的集中力,同時利用視覺和聽覺,提高理解能力。通過確認新聞報道的教育意義,不僅可以擴大文化背景知識,還可以訓練對文化的理解度。本研究提出了適 用於新聞報道閱讀的教學模型。 在第3章中,在KFL環境的高級韓語學習者使用朗讀,並且將新聞報道作為文本的閱讀課程,以中國大學韓國語系60名學習者為對象進行了問卷調查。調查問卷內容分為‘個人信息’、‘閱讀教學滿意度’、‘閱讀資料偏好’、‘提高閱讀能力’四部分,共 18個問題。另外,本研究選定了符合中國大學韓語系高年級學習者韓語水平的中高級教材並進行了分析。具體分為‘單元配置’、‘閱讀材料’、‘閱讀活動’、‘評價與延伸’4個部分進行分析。因此,中國大學韓國語系的學習者們對朗讀非常感興趣,可以確認他們想要學習文化背景知識。 在第4章中,以問卷調查和教材分析結果為基礎,提出了適用於中國大學韓國語系的利用朗讀的閱讀教育方案原理。具體如下:第壹,考慮到目前中國大學韓國語系的閱讀課程現狀,利用朗讀的閱讀課程設計是以學習者為中心的閱讀課程。第二, 運用新聞報道的閱讀教學模型設計,要利用實際資料,擴大學習者的文化背景知識。三,考慮到學習者的要求調查結果,在將新聞報道作為閱讀文本的閱讀課程設計中,學習者應該選擇感興趣的演藝、文化、廣播、國際、歷史、社會、文學、教 育。第四,在利用朗讀的閱讀課程設計中,要進行事實性理解,通過推論性理解,發展到評價性理解。根據這些教育原理,提出了利用實際模型和16週朗讀的實際閱讀授課示例。完善了第2章中利用朗讀的閱讀教學模型。增加了‘准備階段’,重新整 理並提出了‘第壹階段:壹邊確認所選新聞報道的語言知識壹邊朗讀’、‘第二階段:理解意思,重新閱讀’、‘第三階段:確認學習內容’、‘第四階段:意義內化’等。教學指導方案以‘學校生活’為主題,並給出了實際示例。最後,在中國大學邀請了韓國語教師,就本研究的閱讀授課方案能否在實際授課環境中實現文化背景知識的擴張和閱讀理解能力的提高,以及該授課方案的不足之處進行了采訪。 本研究的意義總結如下。第壹,利用朗讀的閱讀課程可以提高學習者的授課參與度。第二,通過閱讀新聞報道不僅可以掌握詞彙,語法知識,還可以擴展文化背景知識。第三,朗讀可以聯系擴展到其他領域。第四,目前國內包括新聞報道在內的閱讀教材較少,因此本研究對中國大學韓國語系學習者的問卷調查和教材分析結果有助於韓國語閱讀教材的設計。第五,反複練習朗讀,訓練多種感官,可以提高閱讀理解能力。但是朗讀要求學習者的耐力和耐心,因此人數較多的教育現場會很難進行授課。另外,通過朗讀提高理解力,從這壹點來看,提高批判性理解力,根據學習者的個人能力也會有所不同。另外,本研究設計的利用朗讀的閱讀授課方案未能實際授課。希望本研究能成為對利用朗讀的閱讀教育有用的基礎資料,對中國大學的韓國語系中利用朗讀的閱讀課程或使用實際新聞報道的閱讀教材有所幫助. 본 연구의 목적은 낭독을 활용해서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전공인 고급 학습자들을 위한 신문기사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학습자가 이해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읽기 교육은 교과서를 정독하기나 자료 읽기를 과제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교수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정독을 넘어서 낭독을 활용한 읽기 수업을 설계하여 더욱더 역동적인 읽기 수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대학교 읽기 교육 방안과 관련된 연구’,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교육 방안 관련 연구’, ‘신문기사를 활용한 읽기 교육 관련 연구’의 세 가지 주제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현재 중국 대학에서는 읽기 교육을 중요시하지만, 아직 전통적인 읽기 교수법에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학습자 중심의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비중이 작다. 둘째, 읽기 교육은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가 존재하지만, 언어 환경이 주는 영향이 매우 크다. KFL 환경과 KSL 환경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해야 하는데, 낭독이 그 방법에 속할 수 있다. 셋째, 신문기사는 읽기 텍스트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쓰기 교육에 활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또한, 신문기사를 수업 활동에 활용되더라도, 구체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신문기사가 읽기 텍스트로서의 교재 개발과 교수 방안이 아직 불완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장에서는 앞서 선행 연구에서 발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론적인 내용을 검토할 것이다. 먼저 중국 대학의 읽기 교육 현황과 특징을 알아볼 것이다. 다음으로 읽기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읽기 활동으로서의 낭독의 효과를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학교에서 배우기 힘든 시사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신문기사의 역할과 신문기사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해력의 개념과 낭독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읽기 방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낭독을 활용하고자 하는 이유와 낭독이 이해력에 대한 영향을 밝힐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낭독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을 검토하고 보완하여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읽기 수업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3장에서는 먼저 KFL 환경의 고급 학습자들한테 낭독을 활용해서 신문기사를 텍스트로 활용한 실용적인 읽기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설문지 내용은 ‘개인 정보 ’, ‘읽기 수업 만족도’, ‘읽기 자료 선호도’. ‘읽기 능력 향상’ 4부분으로 나누어 총 18개 질문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고학년 학습자들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중·고급의 교재를 선택하여 분석할 것이다. 교재 분석 기준은 ‘단원 구성’, ‘읽기 자료’, ‘읽기 활동’, ‘평가 및 연장’의 4부분으로 나누어 총 10개 항목을 살펴보겠다. 교재 분석을 통해서 현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재가 낭독 활동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살펴본 이론과 설문 조사 결과 및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수업 설계 원리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낭독을 활용한 읽기 교육 원리를 근거하여 16주차 낭독을 활용한 실제 읽기 수업 예시를 설계하여 제시할 것이다. 또한, 낭독을 활용한 실제 읽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PPT와 활동지를 작성하여 소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계한 낭독을 활용한 읽기 수업 방안이 실제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수업 방안의 장단점을 검토하기 위해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한국어 선생님에게 수업 방안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하여 평가를 받겠다.

      •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작문 수업 설계 연구 : 자기 표현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최자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2언어를 배울 때 표현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표현적 글쓰기 중심의 작문 수업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중국 대학교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 : 신수사학 논증 모형을 중심으로

        진유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目前國內大學韓國語專業的很多學生計劃前往韓國大學或者大學院進行深造. 進入韓國大學後,需要完成各種報告書,發表,以及畢業論文。這就需要學生具備較高的寫作能力,特別是論證文的寫作能力。但是大部分中國韓語學習者寫作能力不足, 即便是韓語等級高級水平的學生 在寫作上也面臨著很多困難。通過對當前中國大學的韓語教育現狀的分析,了解到目前國內大學韓語寫作教育方面 特別是論證文教育方面還存在著一些問題,比如說教師在教學過程中過於關注學生能否正確使用詞匯和語法進行寫作,忽視了文章的整體論證結構,文章的展開能力,以及學生思維能力的培養和提高。為了緩解這一系列問題,提高學生的論證文寫作水平,本研究以Williams & Colomb(2007)的 新修辭論證模型為中心,制定了論證文教學方案。為制定這一教学方案,具體進行了如下研究。 首先,作者通過整理國內外關於韓語教育,以及韩语写作教育現狀的研究,發現了一系列的問題,具體問題體現在以下兩個方面。第一,目前中國國內大學重視韓語翻譯教育,以及與就業相關的商務韓語教育,對於以學術為目的的學術型教育重視不夠, 導致學術型學生的寫作能力沒有得到有效的提高, 進而導致學生在韓國大學入學後在學業上面臨著較大的挑戰。第二,中國國內絕大多數大學採用結果教學法,忽視寫作過程,同時教學重心集中在語法和詞匯方面的講解和運用方面。導致學生的邏輯思維能力,文章內容展開能力,寫作認知能力没有得到有效的提高。本研究正視這些問題,認為需要重新制定和規劃針對學術型學生的論證文寫作方案的教學內容和教學方法。通過一系列研究,在本論文制定的教學方案中以論證文的概念,Williams & Colomb(2007)的論證模型,以及五段式論證文結構為教學內容, 體裁教學法的明示教學法和暗示教學法為教學方法,通過階段性寫作訓練,教授和同學的交流反饋, 提高學生的邏輯思維能力,批判能力以及議論文寫作能力。另外,在本研究中, 為了進一步明確了解學生的需求,以國內大學韓語專業三四年級的學生為對象, 進行了問卷調查. 通過問卷調查明確了解了目前國內大學韓語專業關於論證文的教育現狀,學生對於論證文寫作的心理狀況, 習作習慣 以及對論證文教育的要求。通過對學生的調查問卷結果分析,進一步完善了本研究制定的教學模型 其次,為了提出更有針對性的教學方案,作者對中國大學使用的寫作教材進行了調研分析。目前大學的寫作教材中有關於論證文的寫作指導的內容,但是內容相對簡單,關於論證文概念,論證要素,論證結構等核心內容沒有進行充分的講解分析,這對於有效提高學生的論證文寫作能力有一定的困難。通過對教材內容的分析,進一步完善了本研究中的教學模型。接下來以此教學模型為根據制定了15周的教學大綱以及關於一段式寫作課程和五段式寫作課程的具體課程方案。還提出了在教學過程中可以利用的教學資料。為了驗證本研究中制定的教學模型的效果和可行性,運用此課程模型對中國大學韓語專業的兩名學生進行了指導,通過分析學生教育前和教育後完成的文章的情況,驗證了本課程方案的效果性。最後邀請中國大學的韓語教師對本教學方案進行了評價。 本研究提出的教學方案具有以下意義,第一,有助於幫助中國大學的韓語專業的學術型學習者對韓語論證文概念,論證結構的理解。第二,以新修辭學論證模型為教學內容的教學方案,可以提高學生的思辨能力,文章的鋪展能力。經過反復寫作練習活動,最終幫助學生提高論證文寫作的能力。第三,通過新修辭模型階段性的練習,可以相對降低論證文寫作的難度,提高學生寫作的興趣。第四,通過新修辭模型的練習,可以幫助教師明確判斷學生在寫作過程中遇到的問題,進而提出有效的解決方案。比如,理由和依據的混淆,前提的誤用,反論接受的遺漏等。 綜上所述,本研究雖然有很多優點,但是也存在一些不足和局限性。首先,在提出教學模型前,對於學生實際創作的文本的具體形態分析不足. 其次,在驗證本研究中提出的教學模型的效果性和可行性時,雖然分析了學生實際寫作的文本,但是由於數量較少,導致研究具有一定的局限性。儘管如此,還是希望本研究對於中國大學以學術為目的的學生的論證文寫作能力的提高能有一點幫助,也希望後續有更多關於這一方向的研究。 현재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 중 상당수는 한국 대학교(원) 진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유학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들이 학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논증적 글쓰기 능력이 부족하여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조차도 원활한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Williams & Colomb(2007)의 논증 모형은 각 요소의 역할을 통해 논증 과정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구성 능력이 부족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수사학 논증 모형을 중심으로 하는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의 쓰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쓰기 교육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쓰기 교육은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논증적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않아 학습자들이 한국 대학교에 입학한 후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중국 내 대학교의 쓰기 수업은 어휘, 문법 활용 등 표현 능력을 위주로 교육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내용 전개 능력, 논리적인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결과 중심 교수법으로 인해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 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논증적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논증적 글의 개념, 신수사학 논증 모형, 논증 구조를 살펴보았고 교수 방법으로는 장르적 교수법, 다섯 단락 글쓰기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2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논증적 글쓰기 1차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3.1.에서는 논증적 글쓰기 교육 현황과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전공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내 대학교의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논증적 글쓰기를 어려워하며,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3.2.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쓰기 교재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재 분석 기준은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단원 구성’, ‘교육 내용’, ‘학습 활동’ 등 세 가지 측면으로 구성하였다. 교재 분석을 통해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논증적 글쓰기 관련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나 충분하지 않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논증적 글쓰기 1차 교육 모형, 3장의 설문조사 및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증적 글쓰기 최종 교육 모형을 완성하였다. 또한, 15주차로 구성된 논증적 글쓰기 수업의 교수요목을 제시하고, 이 중 한 단락 글쓰기와 다섯 단락 글쓰기의 수업 지도안 및 논증적 글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교육 모형의 실행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전공 학생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논증적 글쓰기 지도를 실행하였으며 지도 전과 지도 후에 작성한 글을 분석하였다. 이 지도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육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한국어 교육 전문가 3명의 평가를 제시하였다.

      • 중국 대학생의 한국어 담화 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과제 중심 접근법을 통한 발표를 중심으로

        장지초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KFL 환경의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담화 능력에 초점을 두고 과제 중심 교수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고급 학습자의 논리적 말하기 능력은 매우 부족하다. 특히 조직적으로 발화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담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本研究以KFL环境下的中国高校韩国语专业的高级学习者为对象,利用以课题为中心的教学方法,提高韩语学习者的口语交流能力。目前在中国高校范围内的大部分韩国语教学领域,即使是具有一定语言水平的高级学习者,对流畅的表达韩语逻辑也会感到一定难度。因此,本研究以提高韩语学习者的谈话能力为目的,提出了名为‘三分钟演讲’的教学方案。 第一章,通过先行研究观察了中国高校的韩语口语教育现状,结果发现教学方法以语法为主,缺乏探索提高谈话能力的研究。其次, 以课题为中心的研究, 存在教材分析不充分的问题。运用课题中心接近法的教学方案研究中,设置课程前,没有调查学习者对课题的喜好度,在课题执行后,也缺乏相应的评价和反馈,没有达到课题的闭环研讨效果。另外,在KFL环境中,对运用课题中心接近法进行韩国语教育的研究十分不足。运用发表的口语教育方案的研究中,以谈话能力相关的研究十分不足。为了改善以上问题,教师和学习者需要认识到谈话能力的重要性,通过课题中心接近法,制定提高学习者谈话能力的发表课题及教学方案。 第二章以先行研究中出现的问题为基础,针对中国高校口语教育的现状,阐明了问题所在,指出了改善方向。以Canale & Swain 提出的谈话能力为基础,本研究将中国高校高级学习者应具有的发表谈话能力设定为主题能力,凝集能力,团结能力,听者考虑能力。接着说明了发表的特征,在发表类型中选定了最能有效提高高级韩国语学习者谈话能力的三分钟演讲。最后,在课题中心接近法中分析了课题的概念,提出了中国大学的高级学习者适用的口语课程。 第三章从调查问卷和口语教材分析两方面进行。首先,以中国高校韩国语专业的高级学习者为对象,通过调查问卷分析了学习者对韩国语口语课程的要求。调查结果表明,学习者在对发表谈话能力的自我评价中,平均分值略低。虽然学习者对提高发表能力的诉求很强烈,但目前中国高校缺乏有效的发表教育课程。其次,为了完善口语课程中存在的问题,对目前使用的教材也进行了相应的分析。分析结果表明,大部分发表课题都出自六级教材,五级学习者的教材中发表课题为数不多。另外,教材中对发表结构的教育,发表后学习者和教师的评价内容都比较欠缺。因此,本研究为五级学生提出了三分钟演讲课题,将三分钟演讲文本的构成方法,发表后学生和教师的评价内容包括在教育方案中。 第四章,利用第二章提出的理论内容和第三章的问卷调查结果、教材分析结果为基础,提出了三分钟演讲课题的授课模型和教学计划。通过三章的问卷调查结果,以学习者最关心的演讲主题-- “缓解压力的方法” 为中心提出了教学方案。为了验证教学计划的可操作性及教案的可实施性,对四名韩国语教师进行了采访。被采访教师提出了本研究的教学计划和教案的意义,以及为提高谈话能力而进行口语授课时需要考虑的问题。 本研究提出的三分钟演讲教育方案在教育过程、教育方式、教材开发三个方面具有意义。第一,从教育过程的角度来看,三分钟演讲并不是根据主题直接进行演讲,而是将口语课题与写作活动相结合,构成文本并进行演讲,这一点具有重大意义。第二,在教育方式上,目前中国大学使用的语法翻译式教学方法主要以教师为主导,而本研究的意义在于使用了能够引导学习者主动学习的课题中心接近法。在进行三分钟演讲课题的过程中,通过交流互动提高沟通能力。第三,在教材开发方面,可以弥补五级教材中发表课题不足的问题。 以上,本研究仍有一些局限性和待考究的部分。本研究只提出了提高谈话能力的三分钟演讲口语教学方案,缺乏现场实操和有效验证。如果适用本研究提出的 “三分钟演讲教学方案”,应该考虑以下几个要素,授课时间、听课人数、学习者的韩国语水平、发表顺序的公平性、学习者的课程参与度等。希望这些事项可以通过今后的研究得到更近一步的完善。希望本研究对今后中国高校韩国语专业高级学习者的谈话能力口语教育研究有所帮助。

      • AN ANALYSIS OF ERRORS IN WRITING BY KOREAN CYBER UNIVERSITY STUDENTS

        함슬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논문은 ‘사이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작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영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오류는 2007학년도 가을학기에 ‘초급영어작문’을 수강한 학생들이 학기 중 총 4회 제출한 영작 과제로부터 추출되었으며, 오류추출을 위해 두 명의 원어민이 동원되었다. 학생들의 과제는 총 8,958개의 단어로 구성되었으며, 총 오류 개수는 992개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사이버 한국외대 학생들의 영작문 오류를 분석하였다. 사이버 한국외대에서 ‘초급영어작문’을 수강하는 학생들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는 어휘선택/표현, 관사, 대/소문자 구분, 동사, 철자 등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명사, 전치사, 구두점, 접속사, 어순에 관한 오류는 학생들의 영작문에 상대적으로 적게 등장하였다. 학생들이 영작문을 할 때 어렵게 생각되는 것이 그들의 작문에 등장한 오류와 얼마나 일치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동사, 전치사, 관사, 관계대명사, 가정법, 수동태 등을 영작문 할 때 어렵게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동사, 전치사, 관사 항목은 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학생들이 많이 저지르는 오류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영작 시 문법적인 부분에 너무 초점을 맞춘 나머지, 어휘, 철자, 구두점 등과 같이 문법과 상관없는 오류를 적지 않게 범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은 인식하지 못 하고 있는 것 같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오류와 성적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간고사 성적에 따라 학생들을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 집단에 따른 오류횟수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One-way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하’ 집단으로 분류된 학생들이 ‘중’이나 ‘상’ 집단으로 분류된 학생들에 비해 관사와 대/소문자 구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오류를 범한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편, 각 항목별 오류횟수와 중간고사 성적간의 상관관계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한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통해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론은, ‘시험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관사, 대/소문자, 구두점에 관한 오류를 적게 범한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사이버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EFL 영작문 수업 환경에 적용하고 학습 컨텐츠 계발 및 보완에 활용해 학생들의 영작오류가 줄어들길 기대해본다. 아물러 영작문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오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오류를 줄이는 방안 연구도 계속할 필요가 있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eople without whom the thesis could not have been published. First of all, my deepest gratitude goes to my advising professor Shin, Song-Yoon, who encouraged me to think about the topic and offered constant assistance. He helped me develop a deep interest in the research process and mentored me well. Whatever I might say here cannot do full justice to the extent and the value of his contribution. I also would like to thank my committee members: Professor Ne-Won Choung, Myung-Hee Soh, Bon-Chul Ku, and Mean-Young Song, who have kept advising since I entered the graduate school. I should not forget to say thank you to my other advisors: Professor Seongha Rhee, Kyung-Ae Cha, Myeong-Seop Shin, Gyu-Cheol Shin, Hyeong-Yup Kim, Soo-Dong Kim, Yeong-Chul Kim, and Christopher Aguilar. I would like to express my thanks to my parents for their love and care. Also, I wish to thank my sister Annie Hahm and aunt Regina Lee for their love and support. As always, my family has been wherever I needed it, providing all sor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support. I send gratitude separately to Dukhyun Yoon, Regina Walton, and Richard Erikson, without whom this thesis could not be completed. This thesis is also dedicated to Michael Jackson, Tupac Shakur, Christopher Wallace, Sean Combs, Shawn Carter, Michael Jordan, who kindled and nurtured my early interest in English. Finally, I wish to thank my home boys: Kyeong-Mo Kim, Jun-Ho Yun, Tae-Sik Yang, Ryan Clark, Stephen Roberts, and Kenneth Johnson, who have my back at all times. To those I may have omitted, I respectfully ask them to accept my apologies.

      • 중국 산서성 지역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설계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염정걸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가 활발하게 발전하는 가운데 산서성 지역의 정규 4년제 한국학과가 없다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4년제 한국학과의 개설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이 많이 진출했고, 무엇보다 한국어에 대한 높은 교육적 요구를 갖춘 산서성을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중국의 특정 지역의 지역성 등을 중심으로 한국학과 개설을 논의한 연구는 없었다.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이론이나 교육 이론 등을 중심으로 해결책을 제안한 연구는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산서성’이라는 지역, 산서성의 ‘지역적 특성’, ‘학습장 중심 이론’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2장에서는 현재 산서성 지역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학 현황을 분석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먼저 산서성 지역에 한국어 교육 전체 현황을 살펴보고 산서성 지역 대학의 한국학 특징을 분석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교육과정 이론을 검토하고, 산서성 지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기 위해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관련 이론을 검토한다. 그 다음에 교육과정 모형을 분석하고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과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모형을 토대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정리한다. 3장에서는 현재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학과 3개를 선택해서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산서성의 한국어학과를 만들 때 기준이 될 수 있는 중국 내 대표적인 대학교를 3개 선택해서 분석한다. 선정한 대학교는 북경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산동대학교의 한국어 학과,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이 발달한 연변 지역의 연변대학교이다. 이 3개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며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기능, 교육과정의 원리,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과정의 체계 그리고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를 분석·도출하도록 하겠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적용한 산서성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모형과 특징을 제시하고 실제 예시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 한국학과 교육과정의 모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산서성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의의를 제시한다. 随着中韩交流的增加中国学习韩国语的学生越来越多,学习韩国语的需求逐步增大。据统计国内有124所大学开设了4年制韩国语专业,但是中国山西地区目前还未有一所高校开设四年制韩国语专业,随着山西经济的转型和目前的趋势,山西开设韩国语专业的可能性也在逐步上升。本文针对于以学生为中心教育过程为中心研究山西省的高校韩国语教育过程模型。 绪论主要介绍了研究的目的和必要性。分别对中国内的韩国语整体教育相关研究,中国内韩国语专业相关的先行研究等进行了整理。第二章因为目前还没有山西省的正规四年制韩国语专业相关的研究和记载,因此本章通过山西省的三年制韩国语专业及其他其他韩国语机构的现状来分析山西目前韩国语教育的现状和特征。通过以学生为中心教育模式的理论寻找以学生为中心教育模式的特征、原理、必要因素。以学生为中心的教育模型注重于学生、社会、教科三者之间的潜在的联系和一般目标。又分别可以分解通过教育哲学,教育心理学设立明确的教育目标,通过学生学习过程当中的经历、经验、学生经验指导,学生经验评价等模式来最终达到教育目标。即,教育过程当中最重要的要素有教育目的,教育组织,教育内容和教育评价。学生为中心的教育模式不是被动式的注入式学习,而是以学生学习的目的和要求为基础,因此需要完全挖掘学生的要求和需求,设立教育目标、选择教科书、课程、教育方式、授课方式、评价方法等。文章以学生为中心教育过程分析北京大学韩国语系,延边大学韩国语系,山东大学韩国语系的教育过程以此来借鉴,用于山西内韩国语教育模式。山西省以学生为中心教育需要在充分考虑山西当地韩国语人才需求量,山西经济文化等方面后先从韩国语学科的建立,设立教育专业目标,根据韩国语的技能和语法,主题等设计课程,选编教材等。在交流式教学法,讨论教学法等以学生为中心的教学法后进行相对评价。 最后,在结论部分简单的整理了本文的研究结论,因为目前山西省的韩国语教育相关的研究有限,并且只进行了抽象的研究,没有深度的、具体的数据分析,希望后续的研究中能够进行更为全面的分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