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 연구

        방일애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교육은 국가가 발전하는 데 원동력이 되며, 우수한 교사의 양성은 현대사회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인적 자본의 형성과 직결된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향으로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을 분석하는 것은 한국의 교사양성 발전에 참고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한・중 양국의 미래 교사양성 제도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의 주요 사례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의 성과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이 한국의 교사양성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은 우수한 학생을 예비 교사로 유치하기 위한 것이며, 학과교육과 교사양성을 결합시킨 것이다. 중·고등학생 지도를 위한 연구능력과 실천능력 등을 모두 겸비한 고학력의 수준 높은 교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은 크게 ‘4+2’, ‘4+2+1’, ‘3+3’ 모델로 분류할 수 있다.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을 최초로 시행한 베이징사범대학의 ‘4+2’ 모델은 학부 4년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받은 자를 대학원 과정 2년을 이수하게 하는 것이다. ‘4+2’의 6년 중 4년은 학부 각 전공별 교과과정을 이수하며, 2년은 석사과정의 교육학원에서 공부한다. 교육학원에서의 2년 동안 교육이론 및 실천능력 배양에 집중하고, 성적 합격자는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게 된다. 이것은 중국의 교사양성 모델을 혁신하는 중요한 개혁이었으며, 전국 교사양성 모델의 변혁을 가져온 선두주자가 되었다. 산시사범대학은 현장실습을 강조하기 위해 ‘4+2’ 모델에 1년의 실습기간을 연장하였다. 즉, 석사과정 수학연한이 총 3년이다. ‘4+2+1’의 교사양성 모델에서 ‘4’는 학부전공 4년, ‘2’는 석사과정 2년으로 교육이론과 학과 전문지식, 교육연구와 학위논문 작성 기간이며, ‘1’은 기초교육 실습시간 1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학생은 학부 4년간 각 전공학과의 전문지식을 배우고, 석사과정에서 2년간 교육일반과정을 이수하며, 중등학교에서 1년간의 교육실습을 한다. 상하이사범대학의 ‘3+3’ 모델은 학부기간을 1년 줄이고 석사과정을 3년으로 하였다. 석사과정 1학년 때 학생은 중등학교에서 교직근무 체험을 하고, 자신이 교사라는 직업에 종사할 수 있는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현장실습을 통해 학생은 교사라는 직업의 심리적 준비가 가능하게 되고, 자신의 교수법을 확립하게 되며, 교육지도와 밀접한 주제를 선택하여 향후 2년간 석사과정의 연구방향을 설정한다. 엄밀히 말하면 ‘3+1+2’가 되는 ‘3+3’ 모델은 교육실습 보고서를 통해 학사학위로 마칠 것인지 석사학위를 위한 대학원 과정으로 진학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특징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고도화, 고학력화 된 현대사회에서 현재와 같은 4년의 양성기간 이수자에 대해 별도의 시험 없이 자격을 부여하고 임용하는 시스템으로는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점, 전문직 양성이 약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과 같은 전문대학원 체제로 정비되고 있다는 점, 선진국들이 대학원 수준에서 사범대학을 통합한 개방형 체제로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구성해 교원을 양성하는 추세에 있다는 점 등을 들며 점진적으로 ‘4+2’ 형태의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김병찬, 2018). 지금까지 살펴본 중국의 학사 후 교사양성 모델은 앞으로 한국에서 교육전문대학원 도입문제를 논의할 때 선택 가능한 학제, 선발 방법, 교육과정의 구성 및 운영 등 측면에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설계 연구 : 초인지를 활용한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황완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以韓國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學科留學生(以下簡稱為研究生院留學生)為對象進行的利用元認知的,以論文閱讀為中心的學術性閱讀教育,其目的在於提高學習者的元認知能力和閱讀能力。目前,韓國的大學附屬語學院或學習者本國的韓國語教育機構對學術論文相關教育的必要性錶示認同,但尚未制定符合學習者現實要求的學術閱讀教育模式。中國大學的韓國語課程和韓國語學院的課程創造了以意識溝通為焦點的韓國語教育模式,幾乎沒有有助於提高研究生院留學生學術閱讀能力的教育課程及教學大綱。因此,本研究為了提高韓國國內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繫留學生的元認知能力,以論文閱讀為中心,制定了作為先修課程的學術閱讀教學大綱。另外,課程將以“以文本為中心的教學大綱”為基礎,以“論文閱讀後活動”為中心進行。 為了實現上述目標,首先對相關研究進行了探討,通過中國大學韓國語教育專業的課程、教學方法、活用的閱讀文本三方面的內容,分析了韓國語教育專業的閱讀教學現狀。以此為基礎,提出了韓國語教育專業閱讀教育中存在的問題。首先是課程佈局不利於提高學生的閱讀策略使用能力。其次,採用以教師為中心的教學方法不能提高學習者的積極性。最後,由於教材中缺乏特定類型的文本,難以滿足學生對於重要文本的閱讀需求。 隨後對教學大綱和論文特征進行綜述,根據綜述結果,確定文本中心教學大綱為本研究採用的教學大綱類型。另外,探究了先修課程的意義,確認了將“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設計為先修課程的妥當性。接下來通過探究閱讀策略的類型和意義,為後續教學內容的部署提供依據。隨後詳細闡述了元認知能力對閱讀教育的重要性,併對“觀察學習理論”進行了綜述,為學術閱讀教學大綱的設計提供理論依據。最後,根據前面得出的分析結果,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的框架和設計程序 為了使設計的學術閱讀教學大綱更符合學習者的學習需求,以韓國國內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繫留學生為對象進行了問卷調查。通過問卷調查,確認有必要開發作為先修課程的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以調查結果為基礎,安排了各部分的授 課內容所佔的比重和授課順序。另外,為了提高教學大綱在教育現場應用的實用性,以韓國語教育經驗豐富的3名教師為對象進行了採訪,併以他們的意見為基礎,設計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 接下來,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教學大綱的開發原理和模型。模型中提出了教學目的、目標、適應學習者需求的要點、適應教師需求的要點和詳細的教學內容。以此為基礎,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的單元構成。另外,為了展示設計的學術閱讀教學大綱如何在實際教育現場使用,選擇了16周中第3周的“閱讀戰略理論知識教育”,說明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授課指導案及指導案的實施過程。另外,為了探究將該教學大綱適用於韓國語教育專業的閱讀課程時的優點、缺點和教育效果,以3名教師為對象進行了採訪。 本研究的意義可以總結如下。第一,在研究生院,研究生院留學生經常做的課題是以論文閱讀為基礎的,如果研究生院留學生不能正確閱讀論文,就很難順利完成學業。本研究考慮到這種情況,設計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教學大綱,有助於提高研究生院留學生閱讀論文的能力。通過提升論文閱讀能力,可以提高研究生院留學生的“生存率”。第二,目前針對研究生院留學生的教育方案研究大多以學術寫作為研究對象。為解決學術閱讀教育關註度不足的問題,本研究將制定繫統性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這將有助於開展規範性的閱讀教育課程,提高學術閱讀的教學質量。第三,本學術閱讀教學大綱有助於研究生院留學生提高閱讀效率,同時也可以為開發其他學術閱讀教育課程提供基礎資料。第四,本研究有助於研究生院留學生提高元認知能力。由於元認知能力包括對學習者自身認知活動的檢查和控制,因此這種能力的提高不僅 在學術閱讀教育方面,在韓語教育的其他領域也可以起到指導作用。 但是,由於本研究在教學活動中採用了觀察學習理論,教師作為教學活動中最重要的觀察學習對象,應具備較高的教學能力。如何減輕教師在教育活動中感受到的負擔是 今後需要考慮的問題。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초인지를 활용한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하는 학술적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초인지 능력과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의 대학 부속 어학원이나 학습자 모국의 한국어교육 기관에서는 학술적 논문과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학습자의 현실 요구에 맞는 적절한 학술적 읽기 교육은 마련되지 않았다. 중국 학부의 한국어 과정과 한국어학원의 과정은 의사소통에 초점을 둔 한국어교육 모델을 만들어냈고,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술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들의 초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인지를 활용하여 선수과정으로서의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였다. 또한 텍스트 중심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논문 중심의 읽기 후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과목, 교수법, 활용한 읽기 텍스트 세 가지 내용을 통하여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에서 존재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목 배치는 학생들의 읽기 전략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다. 둘째, 교사 중심의 교수법을 채택하는 것은 학습자의 적극성을 높일 수 없다. 셋째, 교재에서 특정 장르에 대한 텍스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요한 장르에 대한 학생들의 읽기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어서 교수요목과 논문의 특징을 검토하여 그 검토 결과를 기반으로 텍스트(장르) 중심 교수요목이 본 연구에서 채택한 교수요목 유형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선수 강의의 의미를 살펴보고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선수 강의로 설계하는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읽기 전략의 유형과 의의를 탐구함으로써 후속 수업내용의 배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 이어서 읽기 교육에 대한 초인지 능력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관찰 학습 이론’을 검토하여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의 틀과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설계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에 더 부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선수과정으로서의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분별 수업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업 순서를 안배하였다. 또한 설계한 교수요목을 교육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국어교육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개발 원리와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에는 교육 목적, 목표, 학습자 요구 적합성, 교사 요구 적합성과 세부 교육 내용을 배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의 단원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관심이 있는 논문의 주제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토의 활동을 할 때 연구 주제가 비슷한 학생들을 같은 팀으로 나누었다. 또한 수업 활동을 ‘팀 내 토의하기, 팀 단위로 발표하기, 교사가 피드백하기’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팀 내 토의하기’는 비슷한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한 읽기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팀 단위로 발표하기’는 각 팀이 다른 팀의 읽기 방법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가 피드백하기’는 학생들의 읽기 방법의 단점을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설계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를 보여주기 위하여 16주차 중 3주차의 ‘읽기 전략에 대한 이론 지식 교육’을 선택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수업 지도안 및 지도안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 교수요목을 한국어교육 전공의 읽기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의 장·단점과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학원에서 학습자들이 자주 하는 과제는 논문 읽기를 기반으로 하므로 학생들이 논문을 제대로 읽지 못하면 학업을 제대로 마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여 대학원 유학생들의 논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논문 읽기 능력을 높임으로써 대학원 유학생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대부분의 교육 방안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학술적 읽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수요목을 마련하여 표준화된 읽기 교육과정의 수행과 학술적 읽기 교육의 질적인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본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읽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다른 학술적 읽기 교육 과정 개발하는 데에도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는 학습자가 초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초인지 능력은 학습자 자신의 인지 활동에 대한 점검과 통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능력의 향상은 학술적 읽기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의 다른 분야에서도 지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수업 활동에 관찰학습 이론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교사는 교육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관찰학습 대상으로서 높은 교육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어떻게 교사가 교육 활동에서 느끼는 부담감을 줄일 것인가는 앞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 생태적 관점에서 본 동국대학교 캠퍼스 현황 분석 : 생태면적율을 활용한 외부공간 분석

        곽동신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increases of the population cause the greenhouse effect, the depletion of the ozon layer, the acid rain and so on. As a method of solving this problem, the new paradigm introducing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 emerges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university campus in the heart Seoul play an important role as a green space and an open space, but securing the outer spa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ning makes the present makes bad ecological worse. It's true that the systematic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planning is not yet suggested in the university campus construction planning. I'd like to diagnose the ecological problem of the university campus construction, make sure of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outer space ecological system, and build the ecological university campus as a way of solving the heart of Seoul ecological problem and improv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a university campus located in the heart of Seoul in terms of ecology, and to propose an idea to relieve the ecological stres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first place, the biotope space factor is introduced in order to quantify the ecological soundness of the campus. A survey on the factor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ed problems in the wider and more realistic sense. The value of the factor is found to be below the ecological level required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campus should increase the ecological level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campus and downtown Seoul. 도심지의 인구 집중화는 지구온난화, 오존층의 파괴, 산성비 문제 등 환경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증가로 도시열섬 현상과 도시홍수 등 도시기후 변화를 초래하고, 과도한 포장면을 인하여 녹지나 오픈스페이스들이 감소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방안으로'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의 개념을 적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두되고 있다. 1992년 유럽대학총장 회의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원칙이 어떻게 대학경영에 도입될 수 있는지 논의가 있었다. 그 결과,'코페르니쿠스 헌장(COPERNICUS CHARTER)'을 선포하게 되었다. 이 헌장을 에코캠퍼스(ECO-CAMPUS)를 통해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독일은 1990년대부터 대학의'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수행해 왔고, 국내에서는 연세대 원주캠퍼스에서'Eco Campus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심지에 위치한 학교는 그 규모나 면적상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지만, 실제 건축계획에 있어 외부공간의 조성은 열악한 생태적 환경을 더욱더 악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학교건축 계획에서는 체계적인 환경친화적 건축계획 접근 방향이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교건축, 특히 대학교 시설의 생태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생태적 외부공간 조성을 통한 도시 생태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분석∙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해서 생태면적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으로 되어 있고,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환경친화적 건축 대안으로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생태적 대학 캠퍼스의 개념 및 정의 그리고 목표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생태적 외부공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조성 계획을 조사 하였다. 그리고, 생태면적율을 개념의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상지인 동국대학교의 현황 조사하였다. 주로 외부공간을 조사하고 세부적으로 외부공간을 분류하여 기존의 동국대학교의 생태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동국대학교에서 생태적 외부공간의 조성이 가능한지 조사하고, 구체적인 생태적인 외부공간 조성계획을 세웠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을 소개하였다.

      • 중등학교 생물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과과정의 관련성 분석

        나기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nd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re based on the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covering overall courses of study in secondary school, which would be fundamental for students to study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s study is about whether the questions in current Teachers' Appointment correspond well to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s. In this study, I us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s follow: First, I analyzed all the questions in biology Teachers' Appointment given last 5 years from 2003 to 2007. Second, I analyzed 6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presented each province.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nd curriculum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teachers' appointment in the future. When the questions in biology were analyze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not enough to cover all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7th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modern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develop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curriculums should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of biology. Teac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which they must develop future leaders who lead our socie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select right people for the position.

      • 중국 대학생을 위한 찬·반 토론 수업 설계 : 한국어 말하기에서 정확성과 유창성 향상을 중심으로

        왕경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현재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말하기 수업은 문법 위주이고 효율적인 말하기 활동이 적다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급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토론 활동을 활용하겠다. 또한 토론 수업에 대한 연구에서 중국 대학교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지 않고 대부분의 토론 수업 방안은 말하기 정확성과 유창성을 함께 키우지 못 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말하기 정확성과 유창성을 균형있게 향상할 수 있으며 중국 대학교의 고급 학습자에게 가장 잘 맞는 토론 수업 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2장에서는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론적 내용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3장에서는 ‘찬·반 토론’과 ‘정확성 및 유창성’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며, 설문조사 결과와 교재 분석 결과를 제시할 것이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 중심의 말하기 수업 방안을 설계할 것이다.

      • AN ANALYSIS OF ERRORS IN WRITING BY KOREAN CYBER UNIVERSITY STUDENTS

        함슬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논문은 ‘사이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작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영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오류는 2007학년도 가을학기에 ‘초급영어작문’을 수강한 학생들이 학기 중 총 4회 제출한 영작 과제로부터 추출되었으며, 오류추출을 위해 두 명의 원어민이 동원되었다. 학생들의 과제는 총 8,958개의 단어로 구성되었으며, 총 오류 개수는 992개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사이버 한국외대 학생들의 영작문 오류를 분석하였다. 사이버 한국외대에서 ‘초급영어작문’을 수강하는 학생들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는 어휘선택/표현, 관사, 대/소문자 구분, 동사, 철자 등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명사, 전치사, 구두점, 접속사, 어순에 관한 오류는 학생들의 영작문에 상대적으로 적게 등장하였다. 학생들이 영작문을 할 때 어렵게 생각되는 것이 그들의 작문에 등장한 오류와 얼마나 일치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동사, 전치사, 관사, 관계대명사, 가정법, 수동태 등을 영작문 할 때 어렵게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동사, 전치사, 관사 항목은 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학생들이 많이 저지르는 오류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영작 시 문법적인 부분에 너무 초점을 맞춘 나머지, 어휘, 철자, 구두점 등과 같이 문법과 상관없는 오류를 적지 않게 범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은 인식하지 못 하고 있는 것 같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오류와 성적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간고사 성적에 따라 학생들을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 집단에 따른 오류횟수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One-way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하’ 집단으로 분류된 학생들이 ‘중’이나 ‘상’ 집단으로 분류된 학생들에 비해 관사와 대/소문자 구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오류를 범한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편, 각 항목별 오류횟수와 중간고사 성적간의 상관관계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한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통해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론은, ‘시험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관사, 대/소문자, 구두점에 관한 오류를 적게 범한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사이버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EFL 영작문 수업 환경에 적용하고 학습 컨텐츠 계발 및 보완에 활용해 학생들의 영작오류가 줄어들길 기대해본다. 아물러 영작문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오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오류를 줄이는 방안 연구도 계속할 필요가 있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eople without whom the thesis could not have been published. First of all, my deepest gratitude goes to my advising professor Shin, Song-Yoon, who encouraged me to think about the topic and offered constant assistance. He helped me develop a deep interest in the research process and mentored me well. Whatever I might say here cannot do full justice to the extent and the value of his contribution. I also would like to thank my committee members: Professor Ne-Won Choung, Myung-Hee Soh, Bon-Chul Ku, and Mean-Young Song, who have kept advising since I entered the graduate school. I should not forget to say thank you to my other advisors: Professor Seongha Rhee, Kyung-Ae Cha, Myeong-Seop Shin, Gyu-Cheol Shin, Hyeong-Yup Kim, Soo-Dong Kim, Yeong-Chul Kim, and Christopher Aguilar. I would like to express my thanks to my parents for their love and care. Also, I wish to thank my sister Annie Hahm and aunt Regina Lee for their love and support. As always, my family has been wherever I needed it, providing all sor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support. I send gratitude separately to Dukhyun Yoon, Regina Walton, and Richard Erikson, without whom this thesis could not be completed. This thesis is also dedicated to Michael Jackson, Tupac Shakur, Christopher Wallace, Sean Combs, Shawn Carter, Michael Jordan, who kindled and nurtured my early interest in English. Finally, I wish to thank my home boys: Kyeong-Mo Kim, Jun-Ho Yun, Tae-Sik Yang, Ryan Clark, Stephen Roberts, and Kenneth Johnson, who have my back at all times. To those I may have omitted, I respectfully ask them to accept my apologies.

      • 중국의 대학교 교문에 관한 연구

        종몽합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중국의 경제 성장과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고급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인재 양성의 필요성과 국가적인 대규모 교육 지원은 대학의 발전을 촉진시켰고 각지에서 대학 건설의 붐이 일어났다. 대학을 설립할 때 교문은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기존의 대학이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따랐다면 최근에 건설되는 대학은 서양 건축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건축 양식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교문의 양식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교문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선행 연구에서는 교문의 발전과 변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11개의 대학교를 선정하여 교문의 특성과 변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 선정 기준은 재학생수가 3만 명 이상인 대학, 중국 현대사의 중요한 세 시기인 건국 이전, 건국 이후부터 개혁개방 이전, 개혁개방 이후에 설립된 대학, 동남연해(东南沿海) 지역의 대학들이다. 이러한 선정 기준에 따라서 북경대학교(1898), 복단대학교(1905), 청화대학교(1911), 하얼빈공업대학교(1920), 대련이공대학교(1949), 정주대학교(1956), 중국과학원대학교(1978), 상해교통대학교(1987), 중남대학교(2000), 남방과기대학교(2011), 상해과기대학교(2013), 이렇게 총 11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각 시기의 대학 교문의 특징과 그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사회적 배경을 소개한 후, 대학 교문 변용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래의 대학 교문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였다. China’s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its science and technology led to an increasing need for training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s. This necessity of talented people together with the extensive educational support coming from the government generated and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s a result, many new universities emerged in various regions. The gateway is an essential structural part when building a university. If in the past gateways followed a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nowadays, with Western influence bringing new architectural forms, the design of the gateways is continuously changing. In spite of all these changes, previ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ir architecture is insufficient. Thus, this research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11 gateways of selected universities. The criteria used for selecting the universities consist of the following: universities with more than 30,000 students, the three universities dating from China’s modern period from before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universities from the period between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until the economic reform, and universities established after the start of the economic reform. All these are located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China, as it follows: Peking University(1898), Fudan Univerity(1905), Tsinghua University(1911), Harbin nstitute of Technology(1920), 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1949), Zheng University(1956), 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s(1978),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1987), Central South University(2000), Souther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2011), and Shanghai University(2013).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gateways from all the periods mentioned, presenting the soci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appearance of such characteristics. It analyses their transformation process and attempts to predict some future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new architectural styles for university gateways.

      • 韓國佛敎 太古宗 成立史 硏究 : 大輪․黙潭․寶城․德菴을 중심으로

        조남형(현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불교 태고종은 1970년에 정식 승인된 종단이다. 태고 보우(太古 普愚, 1301~1382)를 종조로 하며 조선불교 8, 9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1, 2세 종정인 대륜 세영(大輪 世榮, 1884~1979)과 조선불교 5, 6, 7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3, 4세 종정인 묵담 성우(黙潭 聲祐, 1896~1981)가 조사들의 유지를 호지하여 창종을 주도했으며 조선불교 12, 15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5, 8세 종정인 보성 두석(寶城 斗石, 1906~1998)에 이은 조선불교 13, 16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6, 9세 종정인 덕암 전득(德菴 典得, 1913~2004)의 중흥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 태고종에 대한 관점을 환기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단 창종 주역들의 전등의식에서 나타난 보살승단의 방향성을 확고히 다지기 위한 시도이다. 보살승단의 방향성은 한국불교 태고종이 새롭게 주창한 것이 아닌 대승불교의 본래면목이며 현대 사회의 문제인 이분법적 갈등과 반목을 원융과 화합의 온전한 시민사회로 회복해 나가는데 있어 핵심가치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보살승단 외형은 축소되어 오다 1876년 문호개방 이후 개선되기 시작한다. 당시 불평등한 구시대적 신분사회를 탈피하여 만민평등의 시민사회로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는데 이러한 주장을 펼친 선각적 지성인은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 1824~1864)등이 있었으며 후일 동학농민혁명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민사회의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부응한 것은 서구의 종교였다. 개항에 발맞춰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프로테스탄트 정신이 내재된 서학 등 서구문물이 조선에 적극적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서구의 프로테스탄트혁명 이전부터 만인평등의 가치를 호지하고 있던 불교는 퇴락하고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석존의 가르침을 체현하기 위해 격변의 시민사회 혁명에 참여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중심에는 불교 내 선각적 지성인들의 역할이 있었다. 국권 상실과 정치의 종교개입 외압 속에서도 조선불교 내에서 그 회복과 발전에 있어 자주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려는 움직임이 종단으로까지 확대 된 것이 임제종이다. 임제종에 적극 참여한 것은 동학농민혁명과 마찬가지로 주로 남부지방이었으며 그 핵심인사는 영호 정호(映湖 鼎鎬, 石顚 朴漢永, 1870~1948), 만암 종헌(曼庵 宗憲, 1876~1957), 만해 용운(卍海 龍雲, 1879~1944)이다. 하지만 정권의 외압으로 임제종이 해산 당하자 이들은 중앙교단 내 교육기관인 중앙학림에 참여하거나 독립된 교육시설을 설립하여 후학양성에 전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불교 내 신지식인이 양성된다. 이러한 시기에 도성해금이후 도회지 포교에 실질적으로 투신한 실천적 지성이 대륜 세영이다. 금강산 유점사로 출가한 그는 임제종 인사들이 중앙교단으로 합류할 즈음에 각황사의 감원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이후 유점사의 도심포교당인 불이성 법륜사를 창건하고 사회적 약자였던 여성과 청소년 포교에 힘썼으며 화엄산림을 열어 퇴경 권상로(退耕 權相老, 1879~1965), 포광 김영수(包光 金映遂, 1884~1967), 뇌허 김동화(雷虛 金東華, 1902~1980) 세 강백을 위촉하여 신편불교성전을 간행하는 한편 당대 유수의 고승을 포교사로 영입하여 각종 법회를 봉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사회에서 소외받던 계층들과 음지에서 불교를 탐구하던 불제자들이 양지화 되었다. 불교 내 신지식인들의 양성은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정치권의 종교개입에도 불구하고 중앙교단명과 종조 추대, 종헌 제정과 총본산명 설정 등에서 자주성을 표출한 것이다. 조선불교 조계종이 출범하고 총본산은 태고사로, 종조에는 태고 보우가 추대되었다. 태고 보우의 행적이 석옥 청공(石屋 淸珙, 1272~1352)으로부터 인가받은 임제선의 정통 계승자이기에 이와 같은 결과는 임제종 운동의 결과라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후 자주적인 헌법을 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교분리 원칙은 지켜지지 않았다. 기독교인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이 불교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이다. ‘왜색승은 물러가라’라는 이분법적 논리를 발생시킴으로써 화합을 도모하던 종정인 만암 종헌은 종정에서 해임되기에 이른다. 그는 종조로 호지하던 태고 보우가 구산(九山)의 제종(諸宗)을 원만하게 통합하려던 시도와 유사하게 당시 불교계를 원융과 화합으로 이끌어 나가고자 백양사에서 고불총림을 열었다. 이러한 고불총림을 적극적으로 호지하고자 한 것은 묵담 성우이다. 백양사에 출가한 그는 대은 낭오(大隱 朗旿, 1780~1841)와 금담 보명(金潭 普明, 1765~1848)이 서상수계를 통해 전수 되어 금해 관영(錦海 瓘英, 1856~1937)에 까지 이어진 율맥을 전수한 율사이다. 수좌인 동시에 백양사 산하에 광성의숙(廣成義塾)에서 신문물까지 수학한 신지식인이었다. 또한 만암 종헌으로부터 대선법계를 수지하기까지 한다. 정치의 종교개입은 군사정변 이후에도 이어졌으며 국망의 시기부터 이어져 온 불교 내 신지식인들의 성과가 일괄 ‘왜색불교’로 매도되어 색출되는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암울한 상황을 대변하는 것은 보성 두석이다. 건봉사에서 출가한 그는 도심포교사와 교육자의 길을 걷는다. 1940년 10월 동경 일본대학 종교과 전문부를 졸업하고 귀국한 그는 국화 여자전문학관 교수, 동국대학교 교수 겸 교무처장을 맡았으며 전시(戰時)에는 진해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숙명여자대학교의 교수 겸 교무처장으로 선임된 후 동 대학 문리과 대학장에 취임하였으며 1961년 10월에 동국대학교 총장으로 선임 된다. 1962년 동경 일본대학으로부터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받기도 하지만 1962년 5월 31일 불교재산관리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대처승’으로 규정되어 축출된다. 불교 내 신지식인들이 축출되면서 조선시대에 유학자들이 주도하던 사회 지식인 계층은 개항 이후 다양한 종교가 점유했지만 이념대립으로 인한 좌익 축출과 ‘왜색불교’ 논란으로 인한 신지식인 축출로 인해 불교계가 차지하는 위치는 크게 실추 된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타개하기 위해 대륜 세영과 묵담 성우가 총무원으로 부임하여 개선의 노력을 하지만 대법원의 승소판결조차 군사정변으로 인해 집행할 수 없는 초유의 상황을 맞게 된다. 국망의 시대 이후 지속적으로 정치의 종교개입을 받는 상황 속에서 고불총림에서 나타난 원융과 화합에 대한 유지를 잇고 보살승단의 방향성을 확고히 천명하기 위해 대륜 세영은 1970년 한국불교 태고종을 창종하게 된다. 이러한 창종조의 사상을 호지하여 중흥한 것은 덕암 전득이다. 그는 대륜 세영과 마찬가지로 유점사에서 출가했기에 그 인연이 깊다고 볼 수 있다. 덕암 전득의 부종수교 첫째는 교육사업과 포교사업이다. 현대적 보살상의 인재양성을 위해 동방불교대학과 동방불교 대학원 대학교를 건립하였다. 만해 용운의 조선불교 자주성을 수호 정신이 깃들어 있는 『불교』지를 지속 간행하기 위하여 월간불교사를 중흥하였다. 둘째는 계율확립과 문화사업이다. 1991년 태고총림으로 지정된 선암사에 금강계단을 설치하고 수계산림 의식을 종단 차원의 대법회로 확장하였다. 또한 옥천범음회를 중흥하였는데 불교의식은 한때 ‘허례허식’이나 ‘매불행위’로 주목받아 퇴출될 위기에 있었다. 하지만 발전된 형태의 불교의식인 ‘영상재’를 장엄하게 엄수하고 있으며 이는 2009년 유네스코의 세계무형문화재에 등재된 바 있다. 영산재는 현재 봉원사, 청련사 등에서 이를 보전, 전수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불교 태고종의 종명은 태고 보우가 이은 석옥 청공의 임제선에 대한 적통성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근 100여년의 불교사의 개혁과 근대 시민사회 혁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불제자들의 자리이타의 보살상이 깃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근대 불교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방치와 매도되어 있는 선지식들의 발굴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치중립적이고 온전한 서사적 관점이 불교적 미래지향으로 이어질 때 현대사회의 이분법적 갈등과 반목을 주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현대적 보살상이 제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불교 태고종 성립사의 연구가 이에 관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최근 5년간(1998-2002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각종 병원성 세균의 항생제 내성양상

        최우혁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Background: Because the main factor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bacterial resistance include the injudicious use of antibiotics,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use of antibiotics. During the past decades, the frequency and the spectrum of bacteria resistant to various antibiotics have increased in hospitals and the gene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evailing patterns of resistant bacterial strains for the empirical sele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Method: Between 1998 and 2002, bacterial infections in Kyoung Ju Hospital of Dongguk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clinical isolates were characterized. Results: The isolation rates for methillin-resistant S. aureus strains have gradually increased over last 5 years. However, some gram-negative bacilli and gram-pasitive cocci revealed the steady or decreased level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during this period. When compared with the average rates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btained from the nationwide surveillance in Korea, the clinical isolates from Kyoung Ju Hospital do not appear to possess the higher resistance rates. Conclusion: Since the year 2000, the resistance rates for most of the nosocomial infections have been relatively well controlled at Kyoung Ju Hospital mainly due to the strict isolation of ICU in addition to the intensive education and the preventive control of infections.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adequate use of antimicrobials needs to be considered. In addition, special attention must be paid to determine which kind of antibiotics to be used and when to use them in regard of controlling nosocomial infection.

      • 중국 대학교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 : 신수사학 논증 모형을 중심으로

        진유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현재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 중 상당수는 한국 대학교(원) 진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유학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들이 학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논증적 글쓰기 능력이 부족하여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조차도 원활한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Williams & Colomb(2007)의 논증 모형은 각 요소의 역할을 통해 논증 과정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구성 능력이 부족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수사학 논증 모형을 중심으로 하는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의 쓰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쓰기 교육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쓰기 교육은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논증적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않아 학습자들이 한국 대학교에 입학한 후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중국 내 대학교의 쓰기 수업은 어휘, 문법 활용 등 표현 능력을 위주로 교육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내용 전개 능력, 논리적인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결과 중심 교수법으로 인해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 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논증적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논증적 글의 개념, 신수사학 논증 모형, 논증 구조를 살펴보았고 교수 방법으로는 장르적 교수법, 다섯 단락 글쓰기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2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논증적 글쓰기 1차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3.1.에서는 논증적 글쓰기 교육 현황과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전공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내 대학교의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논증적 글쓰기를 어려워하며,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3.2.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쓰기 교재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재 분석 기준은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단원 구성’, ‘교육 내용’, ‘학습 활동’ 등 세 가지 측면으로 구성하였다. 교재 분석을 통해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논증적 글쓰기 관련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나 충분하지 않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논증적 글쓰기 1차 교육 모형, 3장의 설문조사 및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증적 글쓰기 최종 교육 모형을 완성하였다. 또한, 15주차로 구성된 논증적 글쓰기 수업의 교수요목을 제시하고, 이 중 한 단락 글쓰기와 다섯 단락 글쓰기의 수업 지도안 및 논증적 글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교육 모형의 실행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 전공 학생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논증적 글쓰기 지도를 실행하였으며 지도 전과 지도 후에 작성한 글을 분석하였다. 이 지도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육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한국어 교육 전문가 3명의 평가를 제시하였다. 目前國內大學韓國語專業的很多學生計劃前往韓國大學或者大學院進行深造. 進入韓國大學後,需要完成各種報告書,發表,以及畢業論文。這就需要學生具備較高的寫作能力,特別是論證文的寫作能力。但是大部分中國韓語學習者寫作能力不足, 即便是韓語等級高級水平的學生 在寫作上也面臨著很多困難。通過對當前中國大學的韓語教育現狀的分析,了解到目前國內大學韓語寫作教育方面 特別是論證文教育方面還存在著一些問題,比如說教師在教學過程中過於關注學生能否正確使用詞匯和語法進行寫作,忽視了文章的整體論證結構,文章的展開能力,以及學生思維能力的培養和提高。為了緩解這一系列問題,提高學生的論證文寫作水平,本研究以Williams & Colomb(2007)的 新修辭論證模型為中心,制定了論證文教學方案。為制定這一教学方案,具體進行了如下研究。 首先,作者通過整理國內外關於韓語教育,以及韩语写作教育現狀的研究,發現了一系列的問題,具體問題體現在以下兩個方面。第一,目前中國國內大學重視韓語翻譯教育,以及與就業相關的商務韓語教育,對於以學術為目的的學術型教育重視不夠, 導致學術型學生的寫作能力沒有得到有效的提高, 進而導致學生在韓國大學入學後在學業上面臨著較大的挑戰。第二,中國國內絕大多數大學採用結果教學法,忽視寫作過程,同時教學重心集中在語法和詞匯方面的講解和運用方面。導致學生的邏輯思維能力,文章內容展開能力,寫作認知能力没有得到有效的提高。本研究正視這些問題,認為需要重新制定和規劃針對學術型學生的論證文寫作方案的教學內容和教學方法。通過一系列研究,在本論文制定的教學方案中以論證文的概念,Williams & Colomb(2007)的論證模型,以及五段式論證文結構為教學內容, 體裁教學法的明示教學法和暗示教學法為教學方法,通過階段性寫作訓練,教授和同學的交流反饋, 提高學生的邏輯思維能力,批判能力以及議論文寫作能力。另外,在本研究中, 為了進一步明確了解學生的需求,以國內大學韓語專業三四年級的學生為對象, 進行了問卷調查. 通過問卷調查明確了解了目前國內大學韓語專業關於論證文的教育現狀,學生對於論證文寫作的心理狀況, 習作習慣 以及對論證文教育的要求。通過對學生的調查問卷結果分析,進一步完善了本研究制定的教學模型 其次,為了提出更有針對性的教學方案,作者對中國大學使用的寫作教材進行了調研分析。目前大學的寫作教材中有關於論證文的寫作指導的內容,但是內容相對簡單,關於論證文概念,論證要素,論證結構等核心內容沒有進行充分的講解分析,這對於有效提高學生的論證文寫作能力有一定的困難。通過對教材內容的分析,進一步完善了本研究中的教學模型。接下來以此教學模型為根據制定了15周的教學大綱以及關於一段式寫作課程和五段式寫作課程的具體課程方案。還提出了在教學過程中可以利用的教學資料。為了驗證本研究中制定的教學模型的效果和可行性,運用此課程模型對中國大學韓語專業的兩名學生進行了指導,通過分析學生教育前和教育後完成的文章的情況,驗證了本課程方案的效果性。最後邀請中國大學的韓語教師對本教學方案進行了評價。 本研究提出的教學方案具有以下意義,第一,有助於幫助中國大學的韓語專業的學術型學習者對韓語論證文概念,論證結構的理解。第二,以新修辭學論證模型為教學內容的教學方案,可以提高學生的思辨能力,文章的鋪展能力。經過反復寫作練習活動,最終幫助學生提高論證文寫作的能力。第三,通過新修辭模型階段性的練習,可以相對降低論證文寫作的難度,提高學生寫作的興趣。第四,通過新修辭模型的練習,可以幫助教師明確判斷學生在寫作過程中遇到的問題,進而提出有效的解決方案。比如,理由和依據的混淆,前提的誤用,反論接受的遺漏等。 綜上所述,本研究雖然有很多優點,但是也存在一些不足和局限性。首先,在提出教學模型前,對於學生實際創作的文本的具體形態分析不足. 其次,在驗證本研究中提出的教學模型的效果性和可行性時,雖然分析了學生實際寫作的文本,但是由於數量較少,導致研究具有一定的局限性。儘管如此,還是希望本研究對於中國大學以學術為目的的學生的論證文寫作能力的提高能有一點幫助,也希望後續有更多關於這一方向的研究。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