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및 과학지도지식이 과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Science Teaching Initiative of Infant Teachers: Focusing on the Constructivist Belief, Play Teaching Efficacy,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8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selecting variables as constructivist belief, play teaching efficacy,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Also, it found the relative influence followed by the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differs by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350 infant teachers were selected to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method wa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has showed that the variables except their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gave influence for the science teaching initiativ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influencing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is found to be higher in the order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tructivist belief, and play teaching efficacy. Also,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shows different aspects in the groups of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Through this kind of result, to improve their science teaching initia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rovide political support to height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번역하기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selecting variables as constructivist belief, play teaching efficacy,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selecting variables as constructivist belief, play teaching efficacy,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Also, it found the relative influence followed by the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differs by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350 infant teachers were selected to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method wa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has showed that the variables except their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gave influence for the science teaching initiativ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influencing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is found to be higher in the order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tructivist belief, and play teaching efficacy. Also,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infan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itiative shows different aspects in the groups of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Through this kind of result, to improve their science teaching initia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rovide political support to height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과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지도지식을 선택하고, 이 변인들이 과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영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변인들의 영향력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를 제외한 변인들이 과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쳤고, 상대적 영향력은 과학지도지식,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과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교사의 과학지도적극성 향상을 위해 과학지도지식과 구성주의신념, 특히 학력이 낮은 영아교사집단에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과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지도지식을 선택하고, 이 변인들이 과학지도적...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과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지도지식을 선택하고, 이 변인들이 과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영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변인들의 영향력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를 제외한 변인들이 과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쳤고, 상대적 영향력은 과학지도지식,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과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교사의 과학지도적극성 향상을 위해 과학지도지식과 구성주의신념, 특히 학력이 낮은 영아교사집단에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라영, "표준보육과정 과학적 탐구하기를 기초로 한 영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운영 및 요구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2 이영자, "탐색 및 놀이활동 중심의 1,2세 영아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 21 (21): 133-154, 2001

      3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침서"

      4 김태희,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5 김정주, "자연친화적 수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05-124, 2009

      6 김지혜, "자연친화 교육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 행동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07-340, 2007

      7 김석우, "인과모형의 이해와 응용" 학지사 2001

      8 이지혜, "유치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정은,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77-211, 2014

      10 남기원, "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 현황 및 어려움에 대한 교사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49-378, 2013

      1 박라영, "표준보육과정 과학적 탐구하기를 기초로 한 영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운영 및 요구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2 이영자, "탐색 및 놀이활동 중심의 1,2세 영아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 21 (21): 133-154, 2001

      3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침서"

      4 김태희,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5 김정주, "자연친화적 수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05-124, 2009

      6 김지혜, "자연친화 교육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 행동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07-340, 2007

      7 김석우, "인과모형의 이해와 응용" 학지사 2001

      8 이지혜, "유치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정은,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77-211, 2014

      10 남기원, "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 현황 및 어려움에 대한 교사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49-378, 2013

      11 김복희, "유치원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강병재, "유치원 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9-57, 2015

      13 이지현,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23 (23): 207-226, 2003

      14 임은정, "유아교사효과 관련 변인 분석 :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5 김은선, "유아교사의 환경관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문태형,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성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21-34, 2005

      17 김영실,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8 서정민,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185-200, 2017

      19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20 유은영,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5-26, 2013

      21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18 (18): 283-301, 1998

      22 조부경,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능력향상: 무엇을 어떻게"

      23 신은수,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한국육아지원학회 5 (5): 5-23, 2010

      24 신은수,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23-252, 2007

      25 김현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6 조정화,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교수적극성과 과학불안"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39-158, 2013

      27 노은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과학교육의 운영실태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67-83, 2008

      28 한유미, "유아과학교육의 목표와 교수방법 간의 일관성과 관련된 주요변인: 과학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121-138, 2004

      29 조형숙, "유아 교사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33-50, 2004

      30 신은수,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31 이은진,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135-158, 2013

      32 이은진,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강좌 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405-429, 2010

      33 김민정, "영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적극성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65-91, 2017

      34 이재진,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83-203, 2013

      35 최석란, "영아의 발달적 특성과 놀이지도" 11 : 125-144, 2005

      36 신희이,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37 성민경, "영아교사의 수학활동적극성에 대한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및 수학활동지도지식의 영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38 서지은,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39 성민경,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5 (25): 37-50, 2018

      40 정영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10∼21개월 영아의 공동주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37-155, 2015

      41 김민정,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97-114, 2015

      42 이수진,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육 목표와 교수방법의 인식 및 실제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3 김희정,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놀이 인식 조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4 장인옥, "보육시설의 과학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107-133, 2008

      45 천현정,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0

      46 권미성,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77-296, 2013

      47 김헤라,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43-58, 2014

      48 고영미, "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9-67, 2011

      49 성영화, "보육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 및 상업화된 프로그램 실시여부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 한국보육학회 10 (10): 73-89, 2010

      50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2002

      51 신은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20 (20): 27-42, 2000

      52 최지현, "놀이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와 교수 효능감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3 현윤희, "구성주의 관점을 가진 유치원 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실제" 1 (1): 21-52, 2014

      54 김양은, "교수 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 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07-227, 2008

      55 박성혜,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105-134, 2003

      56 김아경,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7 김헤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81-296, 2013

      58 박혜순, "과학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9 한미라, "경남지역 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실태와 유아과학교육의 방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5-65, 2006

      60 Phillips, D. A.,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NAEYC 1987

      61 Riggs, L. M.,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74): 625-637, 1990

      62 Ashton, P. T.,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35): 28-32, 1984

      63 Gibson, S.,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64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97

      65 Wenner, G., "Science and mathematics efficacy beliefs held by practicing and prospective teacher: A 5-year perspective" 10 (10): 181-187, 2001

      66 Wilcox-Herzog, A., "Measuring teachers' perceive interactions with children: A tool for assessing beliefs and Intentions" 6 (6): 47-56, 2004

      67 Luo, 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Texas University 2000

      68 Wenglinsky, H.,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69 Inan, H. Z., "Examining pre-schoo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10 (10): 2309-2323, 2010

      70 Heiniger, M. L., "Enriching the outdoor play experience" 70 (70): 87-90, 1993

      71 김민정, "2세 영아의 과학적 탐구 과정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