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종교와 온라인 교회에 관한 연구

        김승환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Digital turn, which is accelerating due to COVID-19, is causing new changes in religious behavior and form. Beyond the issue of places and forms of worship, the formation of religion and changes in the type of faith through digital media are leading to the emergence of new churches. This study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religion. If online church studies are now focusing on online worship and church formats,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digital religion on a broader level. Heidi A. Campbell examines the changes in religion through digital media, explaining how each religion uses the media and how to understand the distortions and changes in faith through media technology. Various types of online churches have already been attempted in the British and American regions. Tim Hutchings describes various online churches such as Church of Fools, St. Fixels, I-Church, and Lifechurch. In the post-COVID-19 era, online and offline churches have no choice but to coexist. The Church will continue to be a hybrid church, both online and offline. Christians do not belong to one religious community and will have a multi-belonging sense of participation in several communities. Online Christian, which utilizes digital media, reveals different distinctions in sense of belonging, acceptance of authority, and form of faith. Online Christians maintain loose but consistent relationships, are familiar with anonymity that guarantees free activity, and have the creativity of a new faith life, not the old way.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by theologically examining how changes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brought by digital transformation can change the church form and the type of faith in the future. 코로나로 인하여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digital turn)은 종교 지형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예배 장소와 형식의 문제를 넘어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종교성(종교적 형성)과 신앙 유형의 변화는 새로운 교회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종교의 디지털 전환을 살피면서 그 특징들이 무엇인지를 설명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교회에 집중하고 있다면, 조금 더 넓은 차원에서 디지털 종교(Digital Religion) 현상에 주목할 것이다. 하이디 캠벨(Heidi A. Campbell)은 미디어를 통한 종교의 변화들을 살피면서 2000년대 들어서 각각의 종교들이 미디어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으며, 미디어 기술을 통한 신앙의 왜곡과 변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잘 설명한다. 영미권에서는 이미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교회가 시도되어왔다. 팀 허칭스(T. Hutchings)가 설명하는 Church of Fools, St. Fixels, I-Church, Lifechurch.tv 등은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교회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즉, ‘혼종적 교회’(Hybrid Church)가 지속될 것이다. 하이브리드 처치는 한 교회 안에 온라인-오프라인 교회(Online-Offline Church)가 공존하는 것을 뜻하며, 성도들은 하나의 종교 공동체에 소속되어 신앙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형태의 참여와 소통을 통한 다중적 소속감(multi-belonging)을 지니며 종교 권위의 수용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다.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으로 등장한 ‘온라인 성도’(Online Christian)은 소속감, 권위수용, 신앙형태 등에서 다른 구별성을 드러낸다. 온라인 성도들은 느슨하지만 일관된 관계성을 유지하며,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 익명성에 친숙하고,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신앙생활의 창조성을 갖는다. 소속감(친밀감)과 종교 권위 인식의 변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성도들의 ‘디지털 신앙’(digital faith)은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를 중심으로 더욱 연구해야 할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져오는 종교 환경의 변화가 앞으로의 교회 형태와 신앙의 유형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신학적으로 고찰하면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온라인 예배와 교회 변화에 대한 신학적 연구 : 김교신의 ‘무교회주의’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정희(Jung-Hee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1

        최근 우리는 온라인 예배를 통해 우리는 교회의 외형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소형 교회들은 문을 닫았고, 메가 처치(Mega Church)만이 재정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교회의 외적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보고 교회의 본질이 변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온라인 예배를 통해 우리가 가지고 있던 교회의 개념이 무너지고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예배의 특성이 한국 교회와 성도, 성직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는 아직도 미지수이다. 2천 년이 넘게 생존해왔던 교회가 온라인 예배와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붕괴되어 사라지게 된다면 우리에게 남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교회의 본질과 다양한 변화 양상을 통해 우리가 추구한 것은 교회의 변화이며 교회의 새로움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예배가 바꾸어놓을 한국 교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80년 전 우리나라에 ‘무교회주의’ 운동을 일으킨 김교신 선생의 교회와 신앙에 대한 기록 등을 통하여 앞으로 나타날 온라인 교회와 온라인 종교 활동에 신학적 근거를 찾아보았다. 무교회주의의 근본 정신인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하는 성도의 삶이 구현될 때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전적 기독교인들이 나타날 것이다. 이들이 모인 집합과 단체가 교회의 양육과 돌봄의 기능까지도 가질 수 있다면, 교회론이 달라져야 한다. 교회의 형식과 제도에 매몰되지 않고, 진정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꿈꾸는 기독교 신앙이 있는 곳이 바로 교회가 될 것이다. Recently we can sense through online worship that the appearance of the church is changing. Small churches are closed, and only Mega Churches are maintaining their finances. Given these changes, the nature of the church cannot be changed by seeing the external form of the church change. However, the concept of the church we had is collapsing through online worship. It remains to be seen how the nature of online worship, which allows participation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will affect Korean churches, saints and priests. If the church, which has survived for more than 2,000 years, collapses and disappears due to online worship and the Corona 19 pandemic, what remains for us? So far, what we have pursued through the nature of the church and through various aspects of change is the change of the church and the novelty of the church. In this study, we predict things in Korean churches that online worship would change and tried to reflect on them. Through Kim Kyo-Shin’s church and records of faith, which started the “church-free” movement in Korea 80 years ago, we looked for theological basis for the upcoming online churches and online religious activities. When the life of the saints with Jesus Christ, the fundamental spirit of apostolicism, is realized, the full identity of Christians beyond time and space will appear. If the groups and organizations they gather can even have the functions of raising and caring for the church, the church theory should change. It will be the church where there is a Christian faith that is not buried in the form and system of the church, but dreams of true gospel and union with Jesus Christ.

      • KCI등재후보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의 영적 생명력: 공동체로서의 교회 회복과 세이비어 교회의 사례

        권문상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0 No.-

        The online era, which represents today’s pandemic and the reality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evitably dilutes the sense of community experienced in face-to-face society, and furthermore, the religious life caused by the prolonged pandemic makes the decrease in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character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is threatened and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a decrease in the number of members cannot be excluded. In this article, we discuss how the church as a community can maintain and promote spiritual vitality in a completely different pandemic and online era, and prepare the church for a culture of an ‘online community’, a community with a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 than before. There is a need to reconstruct an ecclesiology. As a concrete action plan, we look for a system that will not lose its spiritual vitality in the era of pandemic and online, modeled on the Savior Church in the United States which best embodies the communality of the church. The Savior Church is a representative church of the 21st century that internalizes a life of dialectical union between the inward journey of faith and the outward practical journey as a sanctifying community. In this church, the lasting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ecuring the church’s communality are discovered, as well as today’s churches in the era of pandemic and online can strengthen their spiritual vitality by using this church as a model. Thus, the Korean church can maintain and strengthen the spiritual vitality by realizing the church’s communal nature by simultaneously realizing external social service while forming an internal sanctifying community. 오늘의 팬데믹과 제4차 산업혁명의 초연결 사회의 실상을 대변하는 온라인 시대는 필연적으로 대면 사회에서 경험하는 공동체성을 상당 부분 희석하게 할 가능성이 크고, 나아가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한 신앙생활 만족도 하락에 더하여, 결과적으로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특성이 위협받게 하며 성도 수의 감소 현상도 함께 겪게 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할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에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영적 생명력을 어떻게 유지 및 증진할 수 있을 것인지, 교회는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성격의 공동체 곧 ‘온라인 공동체’ 문화에 대비한 교회론을 재구축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그것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서 교회의 공동체성을 가장 잘 구현시킨 미국의 세이비어 교회를 모델로 하여 우리는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에 영적인 생명력을 잃지 않을 시스템을 찾아본다. 세이비어 교회는 성화 공동체로서 내적인 신앙의 여정과 외적인 실천 여정의 변증법적 연합의 삶을 내재화한 21세기의 대표적인 교회이다. 이 교회에서 교회의 공동체성 확보의 항구적인 원리와 실제가 발견되는 것은 물론,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를 맞이한 오늘의 교회도 이 교회를 모델로 하여 영적인 생명력을 견고하게 다질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교회도 내적인 성화 공동체를 이루면서도 외적인 사회 봉사와 섬김을 동시에 실현하여 교회 공동체성을 실제화함으로써 영적 생명력을 유지하고 강화시킬 수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속 뉴노멀 시대 미국의 선교적 교회에 관한 연구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 미국의 선교적 교회의 사역에 대한 연구, 특히 새들백교회의 온라인 소그룹 사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한국의 많은 교회들은 온라인 사역을 감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속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역의 방향성이나 사역을 위한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기 도 했다. 온라인 예배는 그나마 신경을 써서 감당을 했으나, 온라인 소그룹은 어떻게 인도하고 진행할지 몰라서 코로나 상황이 지나가기만을 기다리는 교회가 많았다. 그 러한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한국교회는 온라인 공간도 하나의 선교지가 될 수 있다 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온라인 사역에 대해서 좋은 모범을 보여주는 교회 중 하나 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새들백교회(Saddleback Church)이다. 새들백교회는 500여 개가 넘는 사역을 모두 온라인으로 전환하면서 코로나 상황 속에서도 24,000명이 넘 는 세례자가 생겼다. 새들백교회는 제자도와 온라인 소그룹 사역에 탁월함을 보여주 고 있다. 이 논문은 새들백교회의 온라인 소그룹의 노하우를 살펴봄으로 디지털 미션필드 사역을 감당할 때 필요한 사역의 방향성과 실제에 대해서 나눠볼 것이다. 한국 사회의 교회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봄으로 앞으로 앞으로 선교의 방향성에 대한 고 민을 통해서 온라인 사역의 출발은 교인과 지역사회의 필요(felt-need)에서 출발해야 함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한 사역이 일회성의 사역이 아니라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 향성이라는 생각으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사역 커리큘럼의 온 디맨드(on-demand) 화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 of missional 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amid the Covid-19 situation, especially the online small group of Saddleback Church. Amid the Covid-19 situation, many churches in Korea are forced to start online ministry. However, church also had difficulties because church did not know the direction of the ministry or how to prepare for the ministry. Online worship was handled with care, but there were many churches waiting for the Covid situation to pass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to start and proceed with online small groups. Experiencing such trial and error, I came to think that online space could be a missional site. One of the churches that sets a good example of online ministry is Saddleback Church in California, USA. Saddleback Church has converted all more than 500 ministries online from offline, creating more than 24,000 baptists despite the Corona situation. Saddleback Church shows excellence in discipleship and online small group ministry.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know-how of the online small group of Saddleback Church and share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ministry necessary to handle the digital mission field. By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church in Korean society, we will consider the direction of missional work in the future and see that the start of online ministry should start with felt-need of believers and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on-demand the ministry curriculum, which can continue to be used with the idea that such a ministry is not a solution but a dire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온라인 예배에 따른 예배음악 저작권 침해 문제와 그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오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1

        The church’s use of media platform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because of development of the media industries and Covid-19 pandemic, and yet,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is on the ri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copyright infringement by church and to study the solutions.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of church music when churches use media platforms for online worship and suggesting the solutions for knowing its danger and responding to the problem. For this, the status of churches’ use of media platform, and copyright managing groups and companies with regard to church music were studied, and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urch music which its copyright is most frequently infringed in case of online worship, the copyright, its holders, and types of church music as copyright were reviewed. And then, the behaviors which are likely to infringe copyright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ir relations with copyright. In addition, as most of copyright infringements occur because of public transmission, the issue of the copyright in public transmission of church music and the domestic and overseas cas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se researche, church’s responsibilities for copyright infringement and its seriousness were revealed. For churches to solve the issue of their copyright infringement, with their changes in perception that they should use the works which they get the licenses rather than judging if the used music infringed the copyright, they should respond quickly to the behaviors infringing copyrights. Also, for solving radically the issues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future, it is necessary for denomination as well as church to respond to them, and various educations and policies about copyright, and solving the matter through legislation shall be made.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observe the copyright with regard to church music expressed as bundle of rights, and to solve the problem, and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contribute to develop the culture and industry of church music through protection of copyright of their holders subjected for copyright laws, and their fair use, and to conduct missions using legally church music in the world of media platform, a new mission field. 미디어 산업의 발전과 코로나19로 인해 교회의 미디어 플랫폼 활용이 급속도로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저작권 침해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에 교회의 저작권 침해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그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 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가 온라인 예배를 드리기 위해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할때 발생하는 예배음악 저작권 침해 문제에 대해 고찰하여 그 위험성을 알고 저작권 침해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회의 미디어 플랫폼 이용현황과 예배음악 관련 저작권 관리 단체 및 회사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특히 온라인 예배 시 가장 많은 저작권 침해가 일어나는 예배음악을 중심으로 저작물성, 저작자, 예배음악 저작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저작권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저작권 침해가 가능한 행위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저작권 침해가 공중송신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예배음악을 공중송신할 때 발생하는 저작권 문제와 국내외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저작권 침해 문제에 대해 교회가 책임져야 할 법적 책임과 그 심각성이 상당함을 알 수 있었다. 교회가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이미 사용된 저작물이 저작권을 침해했는지 판단하기보다는 저작권을 확보한 저작물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교회의 인식변화와 함께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 발 빠른 대응을 해야 한다. 또한, 향후 발생할 저작권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교회뿐만 아니라 교단 차원의 움직임이 필요하고 다양한 저작권 교육과 정책, 입법을 통한 문제 해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권리의 다발로 표현되는 예배음악 관련 저작권에 대해 이해하고 지킴으로써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저작권법의 목적인 창작자의 권익 보호와 공정한 이용을 통한 예배음악의 문화 및 산업 발전에 이바지함은 물론, 새로운 선교지인 미디어 플랫폼 세상에 적법하게 예배음악을 활용하여 선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온라인 교회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윤영훈 ( Young Hoon Yoon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6 No.-

        본 논문은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그동안 한국 교회가 강조해 온 주일성수와 교회 활동에 상당부분 제동이 걸린 현 상황을 통해 한국 교회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제 교회는 온라인 서비스나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온라인 교회라는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변화하는 미디어 변혁의 시대에 사이버스페이스는 새로운 교구이며 선교지란 인식이 필요하다. 교회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일상을 반영해야 한다. 디지털로 매개되는 종교 생활은 매우 다면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온라인 교회의 기본 전제는 기존 교회와 동일한 형식의 목회 프로그램을 온라인 공간에 제공하는 것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예배의 급진적 혁명이라기보다는 기존 실행의 변형과 재구성이라고 보아야 한다. 온라인 세계의 특수한 성격을 반영하고, 새로운 접근과 프로그램들이 창조될 때에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는 ‘가능성의 공간’이다. 가능성은 긍정과 부정, 아직 발현되지 않은 모든 결과들을 포함한다. 온라인 예배가 종교의 개인화의 가능성과 동시에 네트워크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차별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교회가 수행하는 예배와 성도의 교재는 공간을 넘어 하나님과 신자 간의 신실한 만남을 통해 가능하다. 이런 전제 속에 우리 시대 교회는 익숙한 형식을 넘어 늘 새로운 환경과 상황에 따라 창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위기 극복을 넘어 교회의 새로운 지평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Since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Korean churches have faced to serious problems. They have been emphasized on active participation in worship and ministries. Yet these activities are strongly restricted for the potential infection. However, Korean churches have developed online worship and fellowship during the chaotic time.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searches for new possibility of online church beyond online service. Beside the pandemic issue, online religion is an integral part of our global reality with the populariz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e church should reflect on the fact that cyberspace can be a new parish and mission field. The basic assumption of online church is not to supply offline church programs via online. It has to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 of online life. Yet it does not mean a radical change. It is a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church heritages transforming them into proper ways within online ecology. Cyberspace is a place of possibility, which includ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It can accelerate the individualization of religion, or can make an alternative networked community beyond the time and space. Worship and communion of the saints are possible with the presence of God in everywhere. In this perspective today’s church can expand the horizon in today’s crisi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직면한 교회 공동체에 관한 신학적 성찰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과 본회퍼의 『신도의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이준봉(Joon-Bo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3 No.-

        바야흐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교회의 사역 형태는 변화에 직면하였다. 기존의 오프라인 대면 방식에서 온라인 비대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여러 혼란과 반발이 동반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혼동 가운데에서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도의 공동생활』을 통하여 현시대의 교회론을 재정립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온라인 교회에 관한 찬반양론의 선행 연구를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본회퍼가 제시한 교회 공동체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고에서는 크게 다섯 가지 유형의 공동체를 다루는데 각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예수그리스도에 의한 공동체 / 말씀 공동체, ② 소그룹 공동체, ③ 개인이 자유롭고 성숙한 공동체, ④ 섬김의 공동체, ⑤ 고백과 성찬 공동체이다. 이후에는 앞서 정립한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교회 공동체의 실현 가능성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고는 온라인 교회 공동체의 정당성을 확립하여, 추후 오프라인 사역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수립해야 함을 주장한다. The post-coronavirus era has arrived, and a method of the church’s ministries encountered changes. There were several confusion and oppositions as the preexisting offline way of church ministries had been switched to online untact way. This article rebuilds the contemporary ecclesiology through Dietrich Bonhoeffer’s Life Together in the period of dislocation. To prepare the work, it considers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pros and cons for online churches. Then, this paper analyses five characteristics of church communities from the theory of Bonhoeffer. Each component is as follows. These are 1) the community of Jesus / the community of God’s word, 2) the small group community, 3) the community which lets people be free and mature, 4) the community of serving, and 5) the community of confession and communion. Afterward, it searches the possibility of an online church community in the post-coronavirus era based on the previously referred theories. Consequently, the study establishes theological justifications of the online church community and asserts to formulat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nd offline ministries.

      • KCI등재후보

        예배의 본질과 온라인 예배

        진지훈 ( Jin Jihoon ) 한국교회법학회 2020 교회와 법 Vol.7 No.1

        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으로 제대로 된 신학적 논의나 준비가 없이 시작한 온라인 예배를 진단한다. 먼저, 교회사 속에서 공동체 예배의 의미와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를 논하고 이어서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신학적으로 평가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구약의 공동체 예배는 특정한 날과 장소에 제한되었다. 하지만 임마누엘이신 예수님의 오심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사라졌다. 또 구약의 예배는 출애굽 사건을 소환하여 재 진술하는 형태였지만, 신약의 예배는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을 소환하여 재진술한다. 기독교 역사 속에서 예배는 교회적 행사로서의 공동체성을 가지면서 말씀과 성례의 이중 구조를 형성하고 지켜왔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들의 공동체 예배도 그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성과 말씀과 성례의 이중 구조를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그것들이 지켜진다면 그 외의 것들은 얼마든지 변화와 새로운것들의 수용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오늘날의 디지털 문화도 마찬가지다. 여기에서 우리는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을 말할 수 있다. 온라인 예배는 대규모 집회 장소 없이도 공동체의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성찬을 할 수 없다는 취약점이 드러났다. 하지만 초대교회 때도 부득불 예배에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집사들을 통해서 떡과 포도주를 보내 집에서 그것을 먹고 마심으로 성찬에 참여하게 했다는 기록은 온라인 예배 시에 가정에서 미리 준비된 떡과 포도주를 실시간으로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온라인 예배는 코로나 19라는 예상치 못한 사건 속에서 찾은 창의적 방법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온라인 예배가 단순히 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형태로 변질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님이 일반은총으로 주신 디지털 문화를 선하게 사용하여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온라인 예배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diagnoses the online worship service that recently issued with Covid-19 pandemic.64) First, it discusses the meaning and core values of the worship in church history, then theologically evaluates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and suggests some guide lines for the online service. Worship in the Old Testament era was restricted to specific days and places. After coming of Jesus, however, all limitations disappeared. In the Old Testament, people recalled and restated the Exodus event for the worship, but we call and restatement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In the church history, worship has formed and preserved a twofold structure of word and sacrament. And also oneness was another core component because worship was an ecclesial event. Therefore we must keep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aintain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Christian worship. Others can change and accommodate new ones. It is not different for digital culture in the cyber society in which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We can speak of the possibility of online worship service. Online worship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homogeneity of community without gathering in physical place. But it was evaluated having an important weakness of being unable to celebrate the sacrament. However, we can find the record that people who did not attend the worship service also joined the sacrament taking bread and wine delivered by the deacons in the early church. Here, we can see the possibility of Sacrament in the online worship service. It is meaningful that online worship is a creative method found in the unexpected event of Covid-19. However, online worship service should not be abused for human convenience. We have to develop online worship service that pleases God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as a common grace

      • KCI등재

        매일공중기도 활성화를 위한 제언

        최승근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3 No.2

        COVID-19 has caused lots of pain in the churches. But it has also had positive impacts on them. For example, COVID-19 made churches rethink their identity and mission and r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prayer and caused them to pray more. Also, as online worship became essential, churches came to think about how to use online effectively rather than whether to use it. In such context, this paper proposes online-based daily public prayer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dentity and mission of the church, corporate prayer, and online utiliza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argues that daily public prayer com- posed chiefly of praise and intercession is helpful and necessary to edify the church as the priestly community for the Kingdom of God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recovery and revital- ization of online-based daily public pray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s offline and onli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complementary goods, then discusses that Sunday worship and daily public prayer should also be understood and practiced from that perspective. After expl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two ways of praying: cathedral and mo- nastic prayers, this paper theologically argues that the church needs to recover the cathedral types of daily public prayer, which is focused more on praise and intercession, in terms of the church’s identity and mission and Reformed Life Theology. After insisting that online could be a great tool to recover and revitalize daily public prayer, this paper presents some practical principles and directions when designing and practicing only dai- ly public prayer. 코로나19는 교회에 많은 고통을 안겨줬지만, 긍정적인 영향력 도 끼쳤다. 예를 들어, 교회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과 사명을 다시 생각하게 했고, 기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함으로써 기도하게 했다. 또한 온라인예배가 필수적으로 되면서, 더 이상 온라인 사용 여부가 아니라 활용방안을 놓고 고민하도록 만들었 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 공동 기 도, 온라인 활용방안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면서 온라인 매일공중 기도를 제안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찬양과 중보기도에 방점 을 둔 매일공중기도가 교회를 하나님 나라의 제사장 공동체로 형 성하고 교화하는 일에 도움이 되고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온라인 기반의 매일공중기도의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한 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보완재라는 개념의 관점으로 오프라인 과 온라인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주일예배와 매일공중기도가 보 완재로 이해되고 실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교회의 두 가지 기 도 방식인 교회적 기도와 수도원적 기도의 차이를 설명한 후, 찬 양과 중보기도에 좀 더 초점을 맞춘 매일공중기도의 회복이 필요 한 신학적 이유를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 점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오늘날 상황에서 온라인이 매일공중기 도를 회복하고 활성화하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 후, 온라인 매일공중기도를 고안하고 실행할 때 고려해야 하는 몇 가 지 실천적인 원리와 방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회중 찬송의 중요성과 기능

        이상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and the reasons for strengthening on-site worship.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function of congregational singing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and strengthening on-site worship.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looked at the worship life of Korean church members in the COVID-19 era, focusing on online worship. With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many church members have become accustomed to online worship. Satisfaction with online worship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ere many online worshipers who did not concentrate on worship and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And the weakening of the faith of online worshipers was worse than that of on-site worshipers. After examining the pros and cons of various theologians on online worship, this researcher pointed out four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1) lack of presence, 2) limitations and problems with communality, 3) problem of one-sidedness and passiveness, 4) the proportion of sermons and preachers may increase excessively. In the post-COVID-19 era, the restoration of on-site worship is the biggest task of the Korean Church. In order for online worshipers to come to the on-site worship service, there must be a differentiation in the on-site worship service. The researcher emphasized that congregational singing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make them experience the vitality of on-site worship. This researcher then examined three more functions of congregational singing related to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and the necessity of onsite worship. First, congregational singing expresses the union of congregation and strengthens a sense of unity. Second, it allows the congreg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worship. Third, it helps the congregation mature in faith.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 그리고 현장 예배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두 번째 목적은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를 극복하고 현장 예배를 강화하는 데 회중 찬송이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었다.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코로나 시대에 한국교회 교인들의 예배 생활이 어떤지, 온라인 예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이 길어지면 서, 많은 교인이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졌다. 온라인 예배에 대한 만족도도 매우 높아졌다. 그러나 온라인 예배자 중에는 예배에 집중하지 못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이가 많았다. 그리고 온라인 예배자들의 신앙 약화 현상은 현장 예배자들 보다 심했다. 본 연구자는 온라인 예배에 관한 여러 신학자의 찬성과 반대 입장을 각각 살펴본 후,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를 네 가지 지적했다: 1) 현장감이 부족하다, 2) 공동체성에 한계와 문제가 있다, 3) 일방성과 수동성의 문제가 있다, 4) 설교와 설교자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현장 예배 회복은 한국교회의 가장 큰 과제다. 온라인 예배자들이 현장 예배에 나오게 하려면, 현장 예배에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그들이 현장 예배의 생동감을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 라도 회중 찬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 연구자는 강조했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 및 현장 예배의 필요성과 관련된 회중 찬송의 기능을 세 가지 더 살펴보았다. 첫째, 회중 찬송은 회중의 연합을 표현하고 일체감을 강화한다. 둘째, 회중이 예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셋째, 회중의 신앙 성숙을 돕는다. 신앙 성숙을 돕는 첫째 이유는, 찬송이 신앙적 감정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고, 둘째 이유는, 찬송이 성경 말씀과 기독교의 진리를 가르치고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