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문화속에서 영적성숙을 위한 리더십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달라스 윌라드(Dallas Willard)를 필두로 한 미국의 “신학 및 문화 사상가 그 룹”(TACT, Theological and Cultural Thinkers)은 그리스도안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진정한 변혁이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진정한 변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1) 하 나님이 주신 사명, 2) 개인적인 삶, 그리고 3) 우리의 공동체에서 무엇이 필수적인 요 소(핵심 개념)인지를 알아야만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대문화속에 서 그리스도안에서 성장하기 위한 온전한 변혁을 위해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일상 의 대인관계, 그리고 공동체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개념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고자 한 다. 특별히 리더십 관점에서 성경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외적인 모습이 아닌 예 수 그리스도의 내면의 정체성에 대한 핵심요소, 일상의 제자들과 맺는 삶 가운데의 필수적인 요소, 그리고 예수그리스도께서 공동체에 두고 있는 핵심가치를 살펴봄으로 현대문화가운데 회심중심적 복음을 넘어 그리스도안에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해 볼 것이다. 영적성숙은 그것을 위한 특별한 공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것은 방향을 설 정해 주는 지도원리들과 상당한 시간에 걸쳐 시행착오를 통해 발전할 실행과정일 것 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독교인들이 신앙의 세속화, 사사화, 다원화가 강조되는 현대문화속에 서 영적성장을 위한 진정한 변혁의 모습을 그들의 외적인 모습이 아닌 어 떤 가치관과 삶의 내용을 보여주어야 하는지를 추적하고자 했다. 그 결과, 먼저 정체 성 면에서 있어서는 우리의 내면의 정체성이 ‘주님이 리더되심’을 알고 따라가야 하며, 일상의 삶에서는 우리의 삶의 기준이 ‘따르는 이들을 섬기는’ 주님의 모습을 따라가야 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동체 부분에 있어서는 내가 속한 ‘공동체에서 연약함까지 나눔으로 믿음과 신뢰를 보여줄 수 있는’ 참된 제자도를 실천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 리게 되었다. Despite great efforts and countless wonders in the Korean Church, transformation and changed lives have not been the norm. The Theological and Cultural Thinkers (TACT) group, while they knew they could not develop a complete understanding of all the dimensions of spiritual transformation, were aware that they had to go deeper into the greatness and depth of our formation in Christ. This group wants to determine the crucial elements - the key concepts - that have to be present in our personal lives, our communities, and our God-given mission if real transformation is going to take place. As I worked on this article, it soon became clear that I was not going to come up with a formula for developing a spiritual-formation church. What was necessary were guiding principles that would set the direction of spiritual formation and then a process of implementation that would develop by trial and error ove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Serving a community of believers in their formation in Christ is no small undertaking. Spiritual formation is not a program or technique but a careful and painful process that is unique to each community of believers. In this article, I urge that spiritual formation occurs in believers as they engage in personal formation (identity), daily life formation, and community formation. These three dimensions of spiritual development must not be compartmentalized or separated but organically connected. Our formation in Christ occurs in three dimensions. First, we engage in personal formation(identity). This involves taking personal initiative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in regard to our identity - “God is leader.” Second, we are shaped in Christ as we join those around us - “Serving others.” Most leaders in our world exercise authority and power for personal gain and preservation. Even our best leaders, who use their power and authority as a means of serving the people they lead, still retain their primary identity from their role as leader. Relinquishing power and authority to lead seems like a nonnegotiable. In the kingdom of God leaders do not derive their identity from their leadership role. The fundamental identity of every citizen of the kingdom is that of a servant. This should be even more evident in the leaders of the kingdom. Third, we are formed in Christ as we live in community with other believers. -“Becoming a trustable community to embrace vulnerability.” The most basic principle of community is the ability to “trust God and others with me.” It is essential that three dimensions of spiritual formation be done organically rather than in a compartmentalized or isolated way. It is the interaction of these three dimensions that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exponentially.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교회와 신앙인의 실천에 관한 연구- 기독교 리더십의 관점에서 -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교회와 신앙인이 사회의 변화를 위해서 행해야 할 신앙 실천의 모습이 무엇인지를 기독교 리더십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서구사회는 후기세속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고 한국사회는 세속적이고 반기독교적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교회는 아직 크리스텐덤(Christendum, 기독교세계)의 가치관에 사로잡혀 있어서 사회와 교회 사이의 균열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한국교회에 나타나고 있는 크리스텐덤의 모습은 교회 밖의 사람들과 지역사회의 필요를 외면한 채 내 교인만 챙기는 모습(attractional), 삶의 실천이 없는 이원론적인 교인들의 삶(dualistic), 소통이 어려운 계층적인 리더십의 모습(hierarchical)으로 한국교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이와같은 한국사회에서 교회의 성공여부는 교회 뿐 아니라 세상속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달려있다. 즉, 교회를 변화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더 근본적인 과제는 신앙의 실천을 통해서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다. 교회는 복음의 회복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실천을 필요로 하고, 신앙인은 ‘신실한 살아가기’를 통한 신앙인됨의 실천을 필요로 한다. 첫째, 교회의 복음의 회복과 연관해서 우리 삶의 대부분의 문제는 복음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위기에 처한 한국 교회의 변화와 회복은 본질적 측면에서 복음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현대 사회와 문화 속에서 교회의 사명을 온전히 감당할 때 가능하다. 복음대로 사는 모습은 바로 한국교회가 보여주는 크리스텐덤 방식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것은 복음의 중요한 내용이 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대속적 죽으심, 그리고 부활을 구체화함으로 복음을 살아낼 혜안을 제시하는데, 복음의 실천에 따른 하나님 나라의 모습으로 ‘가치가 전복된(Upside-Down), 안에서 밖으로(Inside-Out), 현재성과 미래성을 동시에 갖고(Forward-Back)’있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살도록 도전한다. 둘째, 신앙인의 실천을 통해서 한국사회를 선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것은 제임스 헌터(James D. Hunter)가 제안한 ‘신실하게 살아가기(Faithful Presence)’의 모습이다. 신앙인으로 신실하게 살아가는 모습은 신앙공동체 안에 있는 사람뿐 아니라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온전한 신실함을 보여야하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에서 최선을 다해서 헌신해야 한다. 크리스천들이 사는 일상의 삶속에서 복음대로 신실하게 살아가는 것이 하나님 나라를 향한 건설적인 변화와 저항의 역할을 감당할 것이다. 본 소고는 교회가 이제 크리스텐덤의 패러다임을 내려놓고 복음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고, 신앙인들에게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앙과 실천에 대해서 기존의 힘에 의지해서 영향력을 끼치려고 했던 패러다임과는 다른 ‘신실하게 살아가기’라는 방법을 제시해 줌으로 세상 속에서 교회와 신앙인의 역할에 대해서 기독교적인 세계관과 담론의 새로운 길을 생각해 보게 할 것이다. To be Christian is to be obliged to engage the world, pursuing God’s restorative purposes over all of life, individual and corporate, public and private. This study examines the Christian faith and its different paradigm of Christian engagement with the Korean society. In this essay, I consider the ways what Korean church and Christian really needed to make Korean society a better place through an ideal of Christian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Leadership. Leadership theorists emphasize that leading change is the crucial feature of leadership. The present essay looks at how Christians should act in the world to obey the call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in accord with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 In Korean society we see secular and post-secular elements mixed, and pluralism and anti-Christian culture coexisting, even though the Korean church embraces the Christendom paradigm. In this situation, Korean church needs to find a third way to make Korean society a better place; not through political theologies and engagements which have often failed or gone tragically awry, but by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the biblical gospel, and accomplishing through practice of “faithful presence,” as introduced by James D. Hunter. First of all, a comprehensive view of the biblical gospel is needed for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ity because most of our problems in life come from a lack of proper orientation to the gospel. Thus, one of the most urgently needed things today is a careful treatment of how the gospel, biblically understood, ought to shape everything we do in local church, all of our ethics, all of our priorities. The three legs of the gospel’s message are that Jesus came, died for us, and is coming back. When Korean Christians understand these three aspects of gospel – incarnation/upside-down Kingdom, atonement/inside-out Kingdom, resurrection and restoration/forward-back Kingdom – they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hristendom paradigm of the Korean church and recover the calling. A church that truly understands the implications of the biblical gospel will look like an unusual hybrid of various church forms. This gospel centered community of faith will be a life-changing recovery of the gospel: gospel renewal. Secondly, Christians can influence Korean society with paradigm of Christian engagement through an ideal of Christian practice: “faithful presence”. First, faithful presence means that we are to be fully present to each other within the community of faith and fully present to those who are not, Second, faithful presence requires that Christians be fully present and committed to their tasks. Third, faithful presence in the world means that Christian are fully present and committed in their spheres of social influence, whatever they may be: their families, neighborhoods, and places of work.

      • KCI등재

        기독교대학에서의 갈등양상과 화해조정 방안에 대한 연구

        계재광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4 No.-

        Conflicts at a Christian university are ultimately conflicts related to the university’s spirit of establishment and crisis of identity among its memb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identity crises a Christian university experiences in shifting environments and seek ways to restore its true being to carry the weight of its identity and mission. Today, Christian institutions dedicated to training youth for the Kingdom of Christ experience conflicts that emerge in attempts to transform itself.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a way to relieve these conflicts through methods of reconciliation and mediation by recovering a Christian identity and spirit of establishment. For the Christian university to overcome such conflict and restore a Christian identity, first, at an intra-individual level, it must put Christ at the center of its journey toward reconciliation and possess an individual consciousness that obeys God as Christ did. Second, at the dyadic level, members of the Christian university must act as ambassadors of reconciliation in their daily life and form relationships through listening courteously and unassumingly. Finally, at the group level, members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in community, and work to become a caring and respectful one open to sharing in weakness. 기독교대학에서 갈등은 궁극적으로 설립정신과 정체성의 위기와 연관된구성원들의 갈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정체성의위기를 경험하는 기독교대학이 그 본질과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 회복해야할 모습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특별히 기독교리더십의관점에서, 기독교적 정체성과 설립정신을 회복함으로 하나님 나라에 헌신할일꾼들을 키우길 원하는 기독교대학 구성원들이 현재의 기독교대학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생겨나는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지 화해조정 방안을 통해서 그 길을 모색하고자 했다. 기독교대학이 갈등을 넘어 그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개인내면차원에서는 기독교대학 화해의 여정의 중심을 예수그리스도에게 놓고, 예수님처럼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자 하는 구성원 개인의 자각이 있어야 한다. 둘째, 일대일 관계차원에서는 기독교대학 구성원들이 일상의 삶에서 화해의 대사로서 겸손한 경청을 통한 신뢰의 관계를 만들어 가는 모습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차원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깨닫고, 기독교대학의 문화가 연약함까지 나눌 수 있는 존중과 배려가 있는 공동체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리더십에 있어서 신앙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8

        2007년도 Reveal이라는 연구팀은 교인들이 교회활동에 참석률이 높으면 영적성장, 즉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증가로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연구했다. 하지만 결론은 교회활동 참석률의 증가 자 체가 영적성장과 직결되는 일은 없었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친밀감의 정도에 따라서만 좌우된다는 결론이었다. 에릭슨은 친밀감 발달에 있어서 정체성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타자와의 진정 한 제휴는 견고한 자기 확정의 결과임을 강조한다. 교인이 그리스도와 진정한 인격적 관계를 맺기 위 해서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인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아 정체성 내지는 신앙 정체성을 살펴볼 필요 가 있다. 정체성, 즉 내가 누구인가를 아는 것으로부터 오는 안정감은 리더십의 핵심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그리스도와 친밀함을 가지기 위해서 중요한 신앙 정체성의 확고함을 위해서 함께 준비되어 야 할 요소들이 무엇이 있는지 리더십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신앙 정체성은 먼저 하나님을 알고 하나 님 안에서 나를 아는 것이다. 우리 삶의 근거가 하나님께 있음을 발견하고, 그와 같은 사랑의 관계 안 에서 하나님의 인정을 받게 된 사람은 자신의 참된 정체성을 획득하는 한편 삶의 안전과 의미를 발견 하게 된다. 신앙 정체성의 확고함을 위해서 그리스도인 리더들은 자신과 하나님을 바르게 이해하는 자기인식능력의 배양이 필요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더 기대하는 영적성숙을 추구하고자 하는 결 단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자신의 연약함까지 나눌 수 있는 신뢰와 섬김의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것 이 중요하다. 기독교인 리더들이 자기인식능력을 키워하고, 영적성숙의 중요성을 깨닫고, 연약함까지 나눌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2007, the research team 'Reveal' tested the theory that Christians' high attendance rate in church activities would be related to spiritual growth as defined by greater love for God and others. But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church attendance rate was not necessarily related to spiritual growth, and that personal relationship (i.e. intimacy) with Jesus Christ was more deeply connected to spiritual growth. Erikson stressed the importance of self identity in developing intimacy with others, and he also said genuine relationship with others comes as a result of a soundly constructed self-ego. To develop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Jesus Christ, Christians should look into their self-identity, especially spiritual identity. Safeness that comes from knowing who you ar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define leadership. This study focused on the issues to develop a strong spiritual identity for leadership aspects. Spiritual identity is to know God and understand who you are within God. Individuals who find the reasons for their lives in God and are recognized by God can develop their true identities and discover safeness and meaning for their lives. To develop a sound spiritual identity, Christian leaders should foster the ability to be aware of God and themselves, make decisions to pursue spiritual growth by expecting God's guidance, and build a community of trust and serve where they can share their weakness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 세대에 적합한 리더십을 위한 연구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화(super-intelligence)를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하는 현실을 살아가는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s) 세대에 적합한 리더십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코터(John P. Kotter)는 그 속도를 예측하기 힘들만큼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공동체를 다시 만들거 나 새롭게 변화시켜 나가는 전체의 과정을 리더십이라고 정의 한다. 이 연구의 목적 은 기독교 리더십의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과 융합의 도전 속에서 교회 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맞아들이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기독교 리더십이 무엇인 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서 한국교회의 기성세대들이 디지털 네이티 브 세대를 마주하며 함께 새로운 미래시대를 동행하기 위해서 준비하고 갖추어야 할 리더십이 무엇인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는 초연결과 초지능으로 특징지어지는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이 시대가 필요로하는 인재상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특징과 그들 의 영적인 필요성을 연구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를 위한 플랫폼(platform) 리더십을 찾아볼 것이다. 그 리더십은 정체성을 찾 아서 오고가는 혁신(converted)의 리더십, 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연결(connected) 의 리더십, 감정까지 다독여주는 협동(collaborative)의 리더십이다. 본 연구가 4차 산 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대한 이해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교 회가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리우는 세대와 함께 새로운 미래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 를 놓치지 않고 함께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kind of leadership essential for the upcoming generation, digital natives, who are characterized by hyper connectivity and super intelligence in its transi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hn P. Kotter defines leadership as the process of forming or reforming an organization or system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models of biblical leadership that will allow the church to adjust to the innovation and challenge of the oncom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In other words, the current generation of the Korean church must find a model of leadership that will effectively accommodate to the upcoming digital native generation, and su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First, this research will delve into the specific human resources and talent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over, it will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spiritual needs of digital natives. Finally, this study will seek out platform leadership for digital natives. Said leadership includes converted, connected,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epare the Korean church, and ultimately Christianity, in integrally understanding the digital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독교리더십 방향성에 관한 연구

        계재광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4 No.-

        For the church, on-site worship was suspended. There was an emptiness in the changing worship environment, where no church members were present, and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gathering. The church has since transitioned to online worship.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where the direction of Christian leadership post- COVID19 era should be headed. The New Normal era has arrived. The church should stick to the immutable value of the gospel, but accommodate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time it lives in. Most of this responsibility lies upon the shoulder of church leaders.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set up a new model for Christian leadership. On behalf of Christian leadership, the first step in transformation is to focus on one’s identity on God at the intra-individual level. Second, Christian leadership must communicate and delegate with followers at the dyadic level. Third, leadership must help the church become a beacon of hope by finding a platform for virtual communication in order to cultivate a healthy community. 교회는 현장 예배가 중단되어 온라인 예배의 현실화를 경험했다. 성도들이 한명도 없는 예배 환경의 변화가 주는 공허함이 있었고, 모이는 예배의소중함을 체험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교회는 이제 현장예배를 드리게 되었다. 코로나19 이후 ‘교회는 어디로 어떻게 가야할까’라는 고민을 하지 않은목회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앞으로의 나아갈 길과 비전을 설정할 때 리더십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독교리더십의 방향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뉴 노멀(New Normal)시대가 도래했다. 교회는 복음의불변적 가치는 고수하되, 복음이 전해질 문화와 시대에 맞게 변화해야 할것은 변화해야 한다. 그 변화의 책임은 대부분 교회 리더들에게 있다. 이러한 때에 기독교 리더십이 지향해야 할 푯대를 정하는 작업은 중요한 일이다. 기독교 리더십의 방향성에 대해서 교회 변화의 첫 걸음은 리더와 구성원들의 신념과 태도를 바꿈으로 나타난다는 전제하에 리더의 개인내면 차원에서는 정체성을 하나님께 초점 맞춘 기독교 리더십이 되어야 하고, 일대일 관계차원에서는 팔로워들과 특히 젊은이들과 소통하고 위임하는 기독교 리더십이 되어야 하며, 공동체차원에서는 서로가 연결될 수 있도록 디지털 참여경로를 찾음으로 교회가 지역사회의 희망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 리더십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위드코로나 상황 속 디지털 미션필드 사역에 대한 연구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gital mission field which expand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ue to COVID-19, churches held services and ministered to their congregation virtually for the past three years. In the present, ministry has taken a hybrid format as COVID-19 has become endemic, but the pandemic continues. 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e advent of COVID-19 entering us into a ‘With COVID-19’ era. The rapid decline in South Korean society’s conception towards Christianity has unfortunately coincided with COVID-19. For the church to understand how to do ministry in a digital mission field, this research will examine one Korean church and several North American churches, their partner ministries, and how they serve their respective congreg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pecifically focus on three leverage points of the digital mission field. First, discovering the population’s felt-needs via virtual and in-person interaction. Second, emphasizing earned trust through consistency and sincerity as a gospel centered ministry. Third, searching for ways the church can continue to evangelize and hopefully instill positive perceptions in South Korean society. COVID-19 forces a coexistence of in-person and virtual lives in alternation.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deeply ponder if it plans to continue to serve its people virtually or completely return to in-person ministry. But the church must not forget that our lives have increasingly virtualized, inevitably expanding the digital miss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위드코로나19(With COVID-19) 상황 속 메타버스(Metaverse)나 온라인 사역과 같은 디지털 미션 필드(digital mission field)에 대한 사역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교회는 예배와 사역을 온라인으로 대체했다. 현재는 온라인과 대면 사역이 함께 상존하는 가운데 코로나19가 종식없이 계속적으로 함께하는 질병이 되는 엔데믹(endemic) 시대를 맞이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우리의 일상의 한 부분이 되는 위드코로나 상황을 전제로 출발한다. 이 시점에 한국사회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이 급격하게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 연구는 먼저 디지털미션필드에 해당하는 온라인 사역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지 그 혜안을 얻기 위해서 한 개의 한국교회와 여섯 개의 미국교회의 사역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위드코로나 상황 속에서 디지털미션필드 사역을 위해서 주안점을 둬야할 세 가지 중점(leverage point)을 살펴볼 것이다. 첫째는 온-오프라인의 병행을 통해 사람들의 실질적 필요(felt-needs)가 무엇인지를 발견해 내는 일이다. 둘째는 지속성을 통한 진정성을 획득할 수 있는 복음 중심 사역에 대한 강조이다. 마지막으로는 오늘의 선교가 어떻게 좋은 교회에서 자랑스러운 교회로의 전환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을지를 살펴볼 것이다. 위드코로나 상황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일상이 공존하는 현실이다. 한국교회가 온라인 예배와 사역들을 계속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코로나19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것인지를 고민하는 상황 속에서, 더 많은 사람들의 일상은 디지털미션필드 이뤄지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교문화가 한국교회 리더십 형성에 미친 영향 - 유교의 권위주의 영향을 중심으로 -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2

        조직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가 그 조직 문화의 다방면에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 이미 사회 속에 지속적으로 스며들어 있는 문화적 가치가 결국에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에 관한 공감대에 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국사람은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든지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그들의 삶과 사상에 있어서 유교적 가치관을 따라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리더십은 유교에 뿌리를 둔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유교의 권위주의가 한국교회 리더십 형성에 미친 영향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유교적 권위주의의 특징은 권위에 대한 강한 복종을 요구하고, 중앙집권적인 계층적 성향이 강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성별과 연령, 지위에 따른 불평등과 차별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한국문화에 유교문화는 그 발자취를 남겼고, 유교적 권위주의는 한국교회의 리더십에 영향을 끼쳤다. 유교적 권위주의는 한국교회 내에서 카리스마적인 리더십, 계층적 리더십, 지위에 따른 리더십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적 권위주의가 한국교회 리더십에 끼친 영향을 분석함으로 다음 세대를 위한 알맞은 리더십 개발을 도모해야할 것이다. 이 논문은 첫째,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수직적 집단주의의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한국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쳐왔던 유교 문화의 모습 가운데 권위주의의 영향을 살펴 볼 것이다. 셋째, 유교의 권위주의 영향으로 한국교회 안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리더십의 형태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던사회 흐름에 익숙한 세대와 리더십의 모습을 살펴봄으로 권위주의 리더십의 변혁의 필요성을 고찰할 것이다. Societal culture has the most significant and strongest effects on all organizational culture. Pervasive cultural values can also influence shared conceptions of members of nations concerning effective leadership. Culture influences whether followers accept and follow leader behaviors or behavioral patterns. No matter what religious affiliation one may have, all Koreans are practically Confucianists in the sense that they all follow Confucian norms of behavior and share Confucian moral values in their way of life and thinking. The leadership patterns of the Korean church seem to be influenced by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leadership patterns which have their roots in Confucianism. Present-day Korean society is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Confucianism. In the process, Christianity may also have been discarded.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on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in regard to authoritarianism of Confucianism. Authoritarianism of Confucianism emphasizes an absolute obedience to authority, hierarchical tendency, and distinction between gender, age, and statuses. As Confucianism left their footprints on Korean culture, Confucian authoritarianism has an influence on leadership in Korean church. These authoritarian leadership patterns can be explained by charismatic, hierarchical, and positional leadership styles.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did not escape this influence. Thus we need to critically examine confucian authoritarianism and their influence on Korean church leadership to develop appropriate leadership for new generations. Examining such a influence is a primary aim of this article. To this end, I will firs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authoritarianism of Confucianism and present some limitation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approaches, before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s and present leadership environments, considering perspectives from charismatic, hierarchical, positional leadership within Korean churches. Finally, I will present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horizons for future research on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leadership.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교회리더십에 대한 연구 - 교회의 20대 젊은이들이 바라보는 다문화 사회 -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리더십의 관점에서, 다문화사회를 맞이한 한국교회가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적 수용방안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리더십 이론가들은 변화를 이끄는 것이 리더십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본 소고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역교회의 준비 실태를 살펴보고 다문화 가정을 효과적으로 돕고 수용할 수 있는 지역교회로 변화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특히,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했다. 연구의 핵심적인 사항을 요약하면, 첫째, 다문화 사회 속에서 교회의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지역별 선별 교회 에 설문한 내용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일반이해와 결혼이주자에 대한 기본 인식에 대해서 논 했다. 특별히 교회의 20대 젊은이들의 다문화와 결혼이주자에 대한 인식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20대 크리 스천들이 한국인은 단일민족이라고 생각하며 단일민족임을 자랑스러워하는 비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많았고, 더 나아가 결혼 이주자의 사회적응을 위해서 도와주자는 인원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적었다. 둘째, 이렇듯 20대 크리스천의 다문화 감성을 방해하는 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다른 세대에 비해서 문화적 이질감에 대한 배타성과 불관용성이 심했고, 권위적이고 순혈주의적 문화의 힘에 함몰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더 나아 가 다문화 가정을 접하는 빈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반정도 밖에 안되는 모습을 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20 대 크리스천의 다문화 감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기독교 리더십 관점에서 찾아본 결과, 20대 크리스천 의 다문화 가정을 향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고, 다수자 대상의 타자이해 교육이 필요하며, 다문화 가정과도 연약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공동체 의식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또 하나의 소외계층이 되어가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교회가 섬기게 될 때, 교회의 미래 가 될 20대 크리스천들의 다문화 감성을 키워줄 수 있는 방법을 숙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orean church is preparing to accommodate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leadership. Leadership theorists emphasize that leading change is the crucial feature of leadership. This research focuses on looking at local churches' prepar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amining how churches can help multicultural families effectively, especially in relation to leadership.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standard awareness of "marriage immigrants"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of selected churches.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arriage immigrants" among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is focused on especially. Many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think Korea is still a ethnically homogenous society, and this age group is prouder of this fact than any other age group. Also,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are less willing than other age groups to help "marriage immigrants" settle down in Korean society. Second, the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face obstacles to developing multicultural sensitivities in that they feel a much stronger cultural exclusivism and intolerance to multicultural families than other groups, and they also show authoritarianism and ethnocentrism.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urveys show that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meet multicultural families half as often as other age groups. Finally, to develop a multicultural sense in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in view of Christian leadership, we need to stress a change of perspective in young Christians in regard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families. We must also teaching the Korean people at large about how to understand the Other.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 strong sense of community to share a sense of vulnerability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ill be a chance to reflect on raising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with a multicultural identity who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the future when the church serves underprivileged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