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민중신학

        정지석(Jung Ji-Seo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4

          본 글은 함석헌의 민중사상을 연구하고, 그것이 민중신학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기독교 민중론, 민중 평화론과 민중 주권론(반 국가주의 사상)으로 분석된다.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1930년대 주로 기독교 고난 사상의 영향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이 기독교 민중론은 그후 함석헌 민중사상의 기본 뼈대가 되었다. 1940년대 이후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동서양 종교를 포괄하는 종교적 보편주의 사상에 근거한 민중의 종교적 영성을 강조하는 특성을 띠면서 민중의 역사 주체론과 사회적 실천론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본 글에서 민중 평화론과 민중 주권론(반국가주의 사상)으로 다뤄진다.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민중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진다. 이를 위해 먼저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1세대 민중신학자들(안병무, 서남등, 김용복)의 민중사상 간의 유사성이 분석된다. 또한 둘 사이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차이점도 다뤄진다. 이것은 민중 평화론(함석헌)과 민중 해방론(안병무)의 관점에서 분석된다. 이 연구를 통해 본 글은 민중의 평화 영성에 기반한 함석헌의 민중 평화론을 오늘의 시대 상황에서 민중신학의 새로운 논의의 주제로 제기하고자 한다.   This essay explores Ham Sokhon"s idea of minjung and its influence on Minjung Theology.   Ham Sokhon"s idea of minjung is analyzed in three ways: Christian idea of minjung, Minjung pacifism and Minjung sovereignty (anti-statism). In 1930s Ham Sokhon"s early idea of minjung was mainly expressed as a Christian idea of minjung, based on Christian idea of suffering in particular, which thereafter became a basic framework of Ham Sokhon"s idea of minjung. Since 1940s, Ham Sokhon"s idea of minjung was characterized as the minjung pacifism and sovereignty, which were based on the minjung spirituality and the social activism of minjung.   It is argued that Ham Sokhon"s idea of minjung had a great influence on Minjung Theology. Similarities between Ham Sokhon"s idea of minjung and the theological thinking of the early Minjung theologians, Ahn Byungmu, Suh Namdong and Kim Yongbok, are deal with in various aspects. On the other han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injung pacifism (Ham Sokhon) and the minjung liberation (Ahn Byungmu).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Ham Sokhon"s minjung pacifism should become a key idea of Minjung Theology today.

      • KCI등재

        쿰란 공동체의 예정론 - 1QH와 CD를 중심으로: 쿰란 공동체의 예정론

        조명기(Cho Myung-Ki)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9

          본 논고는 쿰란의 예정론이 쿰란의 어떠한 사상적 기초 위에서 형성되었으며 어떤 형태로 쿰란에 영향을 끼쳤고, 쿰란의 신학을 이끌어왔는지를 연구한 논문이다. 즉, 쿰란이 가진 800여 개의 문헌 중에서 초기 유대교의 발전과정에 나타난 쿰란의 종교사적인 발전과정을 쿰란 초기 발굴 때 나타난 문서들, 1QS, 1QH, CD에 나타난 쿰란의 예정사상을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여 쿰란의 실존신학의 측면에서 예정론을 고찰한 논문이다. 따라서 방법론적으로 4Q169, 4Q180, 4Q509, 4Q554, 11QT, 희년서(Jubilee)에 나타난 사상들을 비교 논증의 방식으로 분석하여 쿰란의 예정론이 가진 종교사상적인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하는 데 있다. 즉, 쿰란의 계약사상과 선택사상과 같은 쿰란적 신학사상 등이 쿰란의 예정론을 형성하는데 사상적인 기초 역할을 했으며, 이렇게 형성된 쿰란의 예정론은 쿰란의 신학을 종말론적이며 실존적으로 쿰란을 흔들림 없이 이끌어 갔다는 것이다. 쿰란이 처한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종말론 속에서 자신의 실존의 문제를 예정론이라는 쿰란의 신학으로 보완 발전시켜 나갔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쿰란의 예정론은 쿰란이 처한 존재의 자리와 의미, 그리고 쿰란의 생명력인 쿰란의 신학에 견고한 연속성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쿰란의 예정론은 신학적으로 성서에서 출발한 계약 사상과 선택 사상을 기초로, 문학적으로는 종말론적 분위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혼란한 BCE 2세기에서 CE 1세기에 이르는 정치적 종교적 과도기에 의존하며 발전한 쿰란적 실존신학이며 종말론적 공동체 신학이다. 그러므로 쿰란의 선택신학과 계약신학이 종말론을 만나면서 창조적으로 변형되어 특징적인 쿰란신학으로 발전한 것이며, 쿰란의 정치, 종교, 사회적 환경 등과 맞물리면서 쿰란 내에서 실존적인 신학으로 쿰란을 이끌어 갔다고 볼 수 있다.   Qumran has a lot of diverse theology, for example, Doctrine of the Messiah, Eschatology, God, Man, Predestination, and Covenant theology, Selection Theology, etc. Most of all, This paper presents the study of How Qumran build up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which theological basis supports the doctrine of Qumran predestination, and what is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predestination in the Sitz im Leben of Qumran. Especially, This article gives to you new paradigm you can interpretate the scrolls and theologies of Qumran through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Qumran has two kinds of doctrine of predestination, one is the deterministic or absolutized view of Predestination, the other is the moderate views of predestination. The strict view of predestination (deterministic) is expressed in the Rule of the Community(1QS), the War Scroll(1QS), and Thanksgiving Hymns(1QH). The most thorough presentation on predestination is found in the Thanksgiving Hymns. The moderate view of predestination is expressed in the Damascus Document(CD). The Qumranic teaching on predestination is considered the most distinguishing of the Sect"s doctrines. But about the doctrine of Qumran"s predestination the most scholars deny that the Qumran Sect drew their concept of predestination from the Old Testament, other alien sects or other jewish sect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s basis of the continuity and the thought of Qumran community. Therefore CD has a more important emphasis on the foreknowledge, the foreordination, and the preterition. On the other hand, 1QM, 1QH, 1QS and Josephus have a reproba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wicked, the Kittim, sons of Belial, sons of Darkness. This article come up with that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as transformed on the Covenant theology and Selection Theology of Qumran in Qumranic eschatology.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s Qumranic Existentialism for the continuing existence of Qumran community.

      • KCI등재

        과정신학의 범재신론 지평에서 본 안병무의 민중 메시아론

        김희헌(Kim Hi-He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0

          이 글은 안병무에 의해 완성된 모습으로 나타난 〈민중 메시아론〉을 과정신학의 범재신론으로 재해석한다. 역사적으로 〈민중 메시아론〉은 그 진정한 의미가 왜곡된 채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그것은 〈민중 메시아론〉이 민중을 메시아로 이해하는 급진적 인간론으로 전통적인 기독론과 속죄론을 대체하려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은 근본적인 해석학적 자기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즉, 전통적인 기독론이 전제하고 있었던 메시아와 피구원자 사이의 절대적 간격이라는 신학적 이원론은 하나님과 민중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해명하려 하였던 〈민중 메시아론〉의 비이원론적인 사상을 오해할 수밖에 없도록 하였고, 그 형이상학적 토대인 실체론적 철학은 신학적 이원론을 심화시킴으로써 〈민중 메시아론〉에 대한 정당한 이해를 불가능하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어떻게 전통적 서구 신학의 근본문제인 신학적 이원론을 극복하고, 〈민중 메시아론〉에 함축된 의미를 밝혀 낼 것인가?   이 글은 과정신학의 범재신론이라는 새로운 신학적 지평 위에 〈민중 메시아론〉을 위치시켜 그 포괄적 신학사상을 드러내려고 한다. 다시 말해, 범재신론이라는 역동적인 신학적 세계관을 제시함으로써 이원론적 신학 방법론을 극복하고, 과정사상이라는 유기체적 형이상학을 통해 신학적 이원론의 뿌리가 되었던 실체론적 철학의 문제를 걷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과정 범재신론과의 신학적 대화는 〈민중 메시아론〉이 유사 기독론이 아니라, 하나님과 민중의 관계에 대한 관계론적 이해였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 글은 〈민중 메시아론〉에 쏟아진 비판에 대한 변론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민중 메시아론〉이 21세기의 신학적 논의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대안사상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affirm the legacy of Korean minjung theology by reinterpreting its essential idea of minjung messiah in a philosophical dialogue with process thought. In a minimum sense, this study is a theological defense of the idea of minjung messiah, probably,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minjung theology, through which fundamental insights of the theology are conveyed. Historically, the idea of minjung messiah has suffered from a misunderstanding that minjung theology conceived of minjung as the messiah and substituted the radical minjung anthropology for Christian doctrines of christology/soteriology. This erroneous conception has often occurred when the idea of minjung messiah was placed within the philosophically dualistic framework of traditional doctrines. In order to avoid such a mistake, this study consciously makes a turn to a broader discussion with process panentheism in which the idea of minjung messiah should be reinterpreted, not as a quasichristology, but as a non-dualistic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injung.

      • KCI등재

        김찬국의 평화 사상

        이명권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5

        Bible scholar Kim Chan-Kook’s idea of peace is primarily based on the Bible.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theology of liberty and liberation based on social justice according to the prophetic thought of the Old Testament. Therefore, his theology and the idea of peace are formed by the practical result of the demands of the times of Korean society. His lectures and writings show the value of college democracy that he experienced through his college life and his interest and affection for the marginalized people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He also emphasized the personal salvation of Christians, but even more important was the social salvation of oppressed and marginalized people. On the basis of this biblical theology, Kim’s philosophy of peac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as a biblical peace idea, the Old Testament emancipation thought of the Exodus and the justice thought of the prophets Isaiah and Micah are foundational. Second, peace involves democracy and equality. He lived in the dark period of the 1970s, personally committed to the human rights movement, and was a democratic and equitable thinker who resisted irrational and unequal social structures. Third, his idea of peace is evident in his missionary activities: Human rights and industrial missions, and prison and hospital missions. Fourth,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We are hoping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emocratic procedures. Although Kim Chan-kuk did not have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peaceful reunification, he showed the will of unification in the whole of his peaceful thoughts, just like Israel’s unification will based on biblical theology. 성서학자 김찬국 교수의 평화 사상은 우선적으로 성서에 기초를 두고 있다. 특히 구약 성서의 예언자 사상에 따라 사회 정의에 입각한 자유와 해방의 신학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신학과 평화 사상은 한국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따른 실천적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그가 대학 생활을 통해 경험했던 대학 민주주의의 소중한 가치와 한국 사회 전반에 걸친 소외된 자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그의 강연과 저술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개인 구원도 중시하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압제당하고 소외받는 계층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구원이었다. 이러한 성서신학적 바탕 위에서 김찬국의 평화 사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되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성서적 평화 사상으로서 구약의 출애굽 해방 사상과 예언자 이사야와 미가의 정의 사상이 기초가 되었다. 둘째, 민주와 평등의 평화 사상이다. 1970년대의 암울한 시대를 살면서 인권 회복 운동을 위해 몸소 실천했고 부조리와 불평등한 사회 구조에 저항한 민주와 평등의 사상가였다. 셋째, 그의 평화 사상은 선교적 활동에서도 두드러진다. 인권과 산업 선교, 교도소와 병원 선교 등을 통해 선교적 평화 사상을 실천해 간다. 넷째, 평화 통일 사상이다. 한반도의 비핵화는 물론 민주적 절차에 따른 한반도 평화 통일을 바라고 있다. 김찬국이 평화 통일을 위한 실천적 활동은 별로 없었을지라도, 성서신학에 기초한 이스라엘의 통일 의지와 같이 그의 평화 사상 전반에 남북통일의 의지가 나타나 있다.

      • KCI등재

        화이트헤드주의 진화 신학 소고 : 존 호트(John F. Haught)의 진화 신학

        이경호(Kyung-Ho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8

        현재 세속의 사상가들이 진화(evolution)라고 규정하는 우주의 전개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시급히 요청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것이 그들이 말하는 대로 우연, 투쟁, 자연 선택, 그리고 무작위성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지, 아니면 다른 활동을 주악상(Leitmotiv)으로 인해 발생하는지의 문제는 신학자들과 과학자들 간에 첨예한 대립을 보일 것이다. 우선은 모든 관련 과학적인 자료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기본으로 하면서 필자의 판단대로 그것이 인류 발생적 원리(의식 또는 생명 발생적 원리)를 어느 정도 고려할 수 있다고 본다면, 그 진화사의 결정체인 인간 의식적 수준의 덕목들, 가령 윤리적 · 종교적 · 미학적 · 언어적 존재의 출현은 진화의 방향이 매우 상향적(upward)이었음을 증언한다고 하지 않을 수 없을 지도 모른다고 본다. 본 글은 이런 진화의 상향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신학자의 관점에서 진화의 주요한 동인들을 검토하는 사상의 근거로서 20세기 초기에 활동한 과정 철학자 알프레드 노드 화이트헤드(Alfred N. Whitehead, 1886-1947)의 형이상학을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왕에 그 사상에 근거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풍성한 진화의 신학에 대한 작업의 결실을 맺어온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의 진화 신학자 존 호트의 사상을 도입 소개하고자 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화이트헤드주의 신학자로서 필자는 호트의 진화의 신학이 화이트헤드의 사상을 진화의 신학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호트의 진화의 신학이 화이트헤드주의적이라는 점을 화이트헤드 철학으로부터의 활용 가능한 개념들과 그의 신학적 주장을 연결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진화는 실제로 화이트헤드주의적인 세계에 대한 신의 계속적인 창조라고 보게 된다. The writer argues that a theological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e secular thinkers (mainly evolutionary biologists) have named as Evolution is urgently needed. Theologians and natural scientists will no doubt disagree when it comes to the notions of accidents, the struggle for survival, natural selection, randomness, or other activities of rhythmic performance and the place for explanations that rely upon the principleof divine final cause. Firstly, we are ought to stand on the basis of the various fpr,s pf evidence many natural sciences present (especially, biological ones). Then, in my estimate, if we can consider the Anthropic principle (or life- and consciousness-generated principle) to some degree we may find common ground. The emergence or generation of human event towards ethical, religious, aesthetic, and linguistic levels of being as a dramatic crystal of the evolutionary history may allow us to think of the evolution in terms of a consistent upward trajectory. From the theologian’s point of view, we must recognize the upward direction of evolution in the history of the Universe, the writer is willing to make use of the metaphysics of the process philosopher Alfred N. Whitehead to check the leading motives (causes) of evolution. And the writer introduces John F. Haught, a science-theological professor at Georgetown University in the USA whose thought has been very fruitful in contributing to the theology of evolution on the basis of Whitehead’s thought. The writer will assert that he has transcended Whitehead’s metaphysical thought in his own theology of evolution. And consequentially the writer proposes that Whiteheadian evolution-theology emerges from his conceptual system and that evolutionary biology be understood and God’s ongoing act of creation.

      • KCI등재

        동서의 현실과 신학적 현실 개념: 동양 신학을 위한 예비 검토

        천병석(Cheon Byung Su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8

        본 논문의 목적은 동양신학의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 신학은 아시아적 정체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의도로 시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가 오히려 신학의 정체성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 신학적으로 동서양의 현실을 조망하는 관점을 취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회학적 현실개념(P. Berger)과 그것에 착안하여 구성된 소위 신학적 인간학(W. Pannenberg)을, 동양적 현실개념(김충렬)과 비교하여, 그것들은 단지 서구적 현실개념(박동환)일 뿐이고 하나님의 현실성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밝힌다. 서양 종교로서의 기독교를 비판하는 '종말론적 관찰방식'(K. Barth)과 '비종교적 해석'(D. Bonhoeffer)은 서양적 현실이 아니라, 인간의 현실 가운데 하나님의 현실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동양적 신학의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하나님 현실성의 이론적 근거가 분명하게 설정된다면 동서양의 유산들은 모두 이론형성의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학에서의 동양적 이론형성의 가능성은 무엇보다 신학적 근거 설정을 뚜렷하게 획득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Generally, Eastern theology was attempted with the intent to justify the eastern identity. Such attempt seems to have been in the risk of actually losing the identity of theology itself. So instead,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that overlooks theologically the reality of Eastern and Western. By comparing 'the sociological concept of reality' (P. Berger) and 'the so-called theological anthropology' to conceive that concept (W. Pannenberg) with the concept of 'the Eastern reality' (C. H. Kim), this research clarifies that those are only 'the concepts of the Western reality' (D. H. Park) and don't reach 'the reality of God'. The 'eschatological observation method' (K. Barth) and the 'non-religious interpretation' (D. Bonhoeffer) that criticize Christianity as a Western religion, show the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indirectly in that they capture the reality of God in the middle of reality of human. If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ality of God is established clearly, the heritage of both East and West can be used as a reference of theory building.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can be distinctly acquired best through theological basis.

      • KCI등재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 : 길을 열어간 발자취를 따라서

        최형묵(Hyung-Mook Choi)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나의 믿음은 길 위에 있다.” 회고록의 제목처럼, 한국 민주화 운동의 실질적 구심이자 상징인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은 과연 길 위에 있었다. 그는 언제나 길을 열어가는 대열의 선두에 있었다. 박형규 목사의 삶을 돌아보면, 굴곡진 한국 현대사에서 정말 절묘하게도 필요한 때 필요한 자리에서 주어진 상황을 돌파해나가는 역할을 맡았다. 1973년 남산 부활절 사건으로 처음 투옥된 이래 여섯 차례에 걸친 투옥, 그리고 감옥행보다 더 고통스러운 노상 예배의 여정은 그가 어떤 의미에서 길을 여는 대열의 선두에 서 있었던가 하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박형규 목사는 민중 선교의 선구로서, 민중 사건의 유발자로서 민중신학의 원천을 형성하는 역할을 맡았다. 박형규 목사는 사실상 한국 민중신학을 탄생시킨 실질적 주역이었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을 형성한 한 기원으로서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을 조명한다. 그의 장쾌한 발걸음이 일궈낸 신학 사상에서 우리는 진정한 민중 해방의 복음이 갖는 역동성을 실감한다. 우리가 그의 신학 사상을 논하는 것은 그 역동성을 오늘의 교회와 삶의 현실에서 되살리고자 하는 데 그 뜻이 있다. “My faith is on the road.” Like the title of his memoirs, the life and theology of Pastor Hyung-Kyu Park, the real center and symbol of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on the road. He was always at the forefront of the democratic movement. Looking back at Pastor Hyung-Kyu Park’s life, he took on the role of breaking through the given situation in the most necessary time and necessary place in Korea’s twisted modern history. The six experiences of imprisonment since his first imprisonment for the 1973 Namsan Easter Incident and his experience of street-worship show how was a leader. Pastor Hyung-Kyu Park played a role in shaping Minjung theology as a pioneer of people’s mission and as a cause of people’s events. Pastor Hyung-Kyu Park was in fact a real protagonist who gave birth to Korean Minjung theology. This article highlights Pastor Hyung-Kyu Park’s life and theology as a source of Minjung theology. In the theological thought formed in his great steps we realize the dynamism of the gospel of true people’s liberation. Our discussion of his theology is meant to bring that dynamism to life in today’s church and life.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서 본 소수자신학 연구

        한정헌(Han Jung 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이 논문은 우리의 시대를 소수자들의 시대로 규정한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 따라 ‘소수자신학’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현대 신학은 서구 근대성의 극한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분기하고 발산하는 소수성/소수자를 신학적으로 읽어낼 책무를 가지고 있다. 그런 시도들은 1960년대 이후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성향의 신학들-예컨대 민중신학, 해방신학, 흑인신학, 여성신학, 달릿신학 등-에서 이미 전개된 바 있다. 그것들은 각각 다양한사회·경제·정치적 배경과 맥락 속에서 발생한 고유한 신학들이라는 점에서 불연속적이지만, 동시에 보편적 소수자신학이라는 공통의 지평 위에 놓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다. 소수성/소수자를 신학적 주제/주체로 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통적인 서구 존재론과 근대성의 배경 속에서 형성된 서구 신학에 대한 비판과 극복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서구 신학은 역사적으로 서구사회의 지배적 척도나 표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을 뿐 아니라 다수자 중심의 지배체제를 고착화하는 데 일정부분 기여했다는 점에서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서의 ‘다수자 신학’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여 다수성/다수자 중심의 눈길로 쓰인 신학사에 대한 새로운 구성주의적 관점과 더불어 서구 신학에 대한 근본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소수자 신학이라는 문제 제기를 통해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특별히 자본주의와 국가 장치가 포획을 강화하는 과정에서-발생하는 다양한 방식의 소수자들을 신학적으로 이해할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minority theology’ from a Deleuzo-Guattarian point of view who have characterized our age as the one of minorities. To read out the minority ramifying and diffusing in varied forms today while the Western modernity reaching its limits is a sort of responsibility of the contemporary theology. Attempts as such, in fact, have been made since 1960’s by certain branches of radical theology - Minjung theology, liberation theology, black theology, feminist theology, Dalit theology, ect., for example. These theologies are discontinuous each other, each being originated in its own social and ecopolitical background and context, but continuous at the same time as they can be placed on a horizon of the universal minority theology they have in common. To have the minority as one’s theological subject, criticism and overcome of the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with its ontology and modernity are to precede anything else. For the Western theology not only has formed around the dominant criteria or standards of its society, but also played a certain role to fixate its governing system, in that it can be called a ‘majority theology’. Thus we need to basically review the Western theology from a new constructivist perspective. Questioning the matter of minority theology, it is the hope of this essay that it has formed the basis of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 of minorities arisen in the modern society-particularly in process of tightening the capture of capitalism and state apparatus.

      • KCI등재

        초기 안병무가 바라본 서구신학의 빛과 그림자

        전철(Chun 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2

        이 연구는 심원 안병무(心園 安炳皮, 1922. 6. 23~1996. 10. 19)의 민중신학 형성의 사상적 동기와 발생과정의 해명을 구체적인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안병무의 전 시기에서 1952년부터 1965년까지의 시기를 그의 사상의 초기 시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에 있어서 그의 사상적 변화를 추적한다. 안병무의 민중신학은 반신학의 성격을 지닌다. 그 성격의 뿌리에는 서구신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한 한계와 비판이 매복되어 있다. 이 연구는 안병무의 초기 사상의 시기에 그 자신이 서구신학과 교화를 어떻게 이해하였고 비판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안병무가 지적한 서구신학과 서구교회의 그림자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국가 권력과 결탁된 기독교 교회 2) 그레꼬로만 사유로 변질된 기독교 신학이다. 이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그가 바라보았던 서구신학에 대한 4가지 문제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안병무가 1956년 독일로 떠났을 때 가졌던 분명한 목적, 즉 예수를 학문적으로 밝히는 과제와 구라파 교회의 실력을 가늠하는 과제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발생사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안병무의 민중신학의 사유 형성과 발전에 초기 안병무(1951-1965)의 서구신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기여되는지를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Ahn Byung-Mus (23.6.1922-19.10.1996) Minjung-Theologie kann als Anti-Theologie bezeichnet werden. Er studierte von 1956 bis 1965 Theologie in Heidelberg und promovierte zum Thema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 Obwohl er in Europa Theologie studierte, ist Ahn sehr skeptisch gegenüber westliche Theologie, weshalb Ahn Byung Mus Minjung-Theologie als Kritik an der westlichen Theologie gesehen werden kann. Nach Ahn Byung Mus Ansicht liegt die große Differenz zwischen westlicher Theologie und Minjung-Theologie in ihrem unterschiedlichen Verständnis von der Aufgabe der Theologie. Seine Kritik an westlicher Theologie zielt daher auf die wahre Suche nach Bedeutung und Ursprung der Theologie. Für Ahn Byung-Mu liegt eine Aufgabe der Theologie in der kritischen Rekonstruktion der Wirklichkeit im Hinblick auf die biblisch-christliche Uberlieferung. Er sieht eine Schwäche der westlichen Theologie darin, dass sie durch griechisch-römisches Denken verschlechtert wurde. Aus diesem Verständnis heraus erwächst als ein zentrales Anliegen in Ahn Byung-Mus früher Minjung-Theologie der Wunsch, eine Anti-Theologie zu entwickeln. Der vorliegende Aufsatz hat zum Ziel, Licht und Schatten der west1ichen Theologie in der Wahrnehmug des frühen Ahn ByungMu im Hinblick auf seine Erfahrungen mit der Theologie in Europa zu untersuchen. Dadurch so11 diese Untersuchung Klarheit darüber schaffen, wie Ahn Byung Mus gedankliche Entwicklung der Minjung-Theologie bereits-in seiner frühen Zeit (1951-1965) grundgelegt war.

      • KCI등재

        루터 신학과 영성의 개요― 구원론과 칭의, 십자가의 신학, 성서를 중심으로

        이오갑(Lee, OKab)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8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면서 루터의 신학사상을 되짚어보는 일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특히 루터의 종교개혁이 무엇이었는지, 그 신학과 영성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글은 루터의 신학과 영성의 개요를 주요한 주제들을―구원론과 칭의, 십자가의 신학, 신앙과 행위 그리고 성서 등― 중심으로 살펴본다. 루터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세 가지 점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루터의 종교개혁은 자유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 루터는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두려움으로써 교회에 예속되어 살던 사람들을 복음으로써 자유롭게 했다. 그래서 신자들의 삶과 종교 행위의 이유가 불안이나 공포가 아니라 구원받은 자의 감사와 기쁨이 되게 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도 교권으로부터 해방시켜서, 사람들 스스로 그리고 직접 읽고 알아나갈 길을 열어주었다. 그럼으로써 사람들을 하나님의 말씀 앞에 실존적인 존재로 세우고 자발적인 선택과 결단을 가능하게 했다. 둘째, 루터의 종교개혁은 진정한 신앙과 회심 그리고 변화의 길을 열어준다. 신자들이 받은 구원과 자유가 자신들의 행위나 능력이나 자질로써가 아니라 십자가에 죽으신 그리스도의 은총 덕분임을 강조한다. 그 은총을 전적으로 믿고 받아들이는 것이 신앙이다. 그것은 동시에 자기 자신이 구원에서 무력하고 왜곡되어 있기까지 한 존재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다른 말로, 자기가 자신의 생명에서나 존재에서나 삶에서 주(主)였던 과거의 자기중심적이고 교만한 죄인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자기중심적인 자신을 떠날 때 비로소 전적타자인 하나님을 그리고 이웃과 창조세계에 가득한 수많은 타자들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셋째, 루터의 종교개혁은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감사하며 자기 차례가 되어 사랑을 하게 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흐름을 밝혀주었다. 신자들은 자신이 얻은 자유가 자신이 그것을 누릴만해서가 아니라 성자를 십자가에까지 내어주신 하나님의 사랑의 결과임을 믿는다. 즉 자신의 자유가 근본적으로는 하나님의 사랑의 결과임을, 그래서 그것이 얼마나 감사하며 소중한지를 깨닫는다. 그리고 이제는 자신도 하나님을 기쁨으로 사랑하게 되고, 하나님이 창조한 세계를 사랑하게 된다. 하나님이 주신 자유로써 세상을 사랑하고, 세상을 사랑함으로써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In commemoration of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t is significant to reexamine the ideology of Martin Luther. It seems especially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his Reformation is and the very core of his theology and spirituality.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ortant subjects of his ideology and spirituality: soteriology, justification by faith, theology of cross, faith and work, scripture. Taken as a whole, his ideology consists of three remarkable points. First, freedom plays a key role in Luther’s Reformation and ideology. With evangel, Luther liberated the men from the Church that made them afraid by constantly preaching God’s wrath over the sinners. So the cause of believers’ life and religious acts became gratitude and joy, not anxiety or fear. The scripture, Word of God, was also liberated from the Magisterium of Church allowing men to read it by themselves and understand God’s Will directly. Therefore, the believers could become an existential being in the face of God’s Word, and volunteers of choice and decision towards God and his world. Second, the genuine faith, convincement, and the way of christian life were opened by the virtue of the Reformation and the ideology of Luther. He emphasized that the salvation and freedom of believers are realized not by their works but only by the grace of Christ dead over the cross. Faith is to believe and accept grace. At the same time, it also consists of accepting the fact that the believer himself is powerless of his own salvation and that he is distorted as a sinner.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he leaves his past himself, an egocentric and arrogant sinner who was the lord of his own being or life. Leaving such himself, and only then, can he accept God the Other, the neighbors and the others in the created world. Third, in Luther’s ideology, the stream of christian life where the believer, awaken to God’s love, comes to love God and the others with gratitude at his time is ex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