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Impact of a Body Self-Compassion Program on Body Image and Experiences of Exercise

        Paulson, Gretche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ProQuest D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943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Body image concerns are a prevalent and pervasive issue among young adult women and are associated with a hos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including disordered 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Body image concerns play a role in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behavior, where negative body image is related to lower levels of exercise engagement. Self-compassion is a way of relating to oneself with kindness and understanding, particularly in the presence of suffering or feelings of inadequacy. Self-compassion consists of three interrelated components: self-kindness, common humanity, and mindfulness, and has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reducing body image concerns, while fostering positive body image. Self-compassion is also associated with positive health behaviors, such as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gulation. Given the evidence of self-compassion’s impact on body image and the critical role body image plays in exercise participation, self-compassion interventions designed to specifically address body image concerns may have the potential to impact exercise engagement.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body image and the role of body self-compassion in exercise motivation. There were three aims of this dissertation including 1.)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elf-compassion interventions on body image; 2.) to test the effects of a unique body self-compassion intervention on body image and intrinsic motivation to exercise and 3.)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women’s experiences of engaging in body self-compassion activitie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hat teach self-compassion and their impact on body image. Database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PsycINFO and Web of Science and a narrative synthesis was conducted using PRISMA guidelines for systematic reviewers. Twelve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hich evaluated a variety of self-compassion interventions including self-compassion meditations, writing exercises, and group-based discussions in an adult, female pop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the heterogenous nature of the interventions (variety in design, duration, and delivery format), interventions utilizing the teachings of self-compassion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both reducing negative body image and promoting positive body image. A three-week body self-compassion program was conducted among women exercisers to determine its impact on self-objectification, body appreci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o exercise. 53 women, ages 18-25,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intervention (n =34) or control group (n=19). Each week,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listen to a 3-minute audio meditation, followed by a 3-minute journaling reflection prior to their normal exercise routine. Finding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effects on body image or intrinsic motivation for exercise. Despite these findings, a descriptive summary of open-ended responses provided insight into how the participants incorporated body self-compassion both towards their bodies and within their exercise routine. Participants demonstrated engagement and compliance demonstrating acceptability for the intervention approach.The purpose of the third study was to explore how engaging in a body self-compassion intervention impacts women’s relationship with their bodies, in general, and during exercise. Following the intervention described above, seven women participated in one-on-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using a thematic analysis approach. Two themes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engaging in body self-compassion: changing my narrative and uncovering my intuition. The women conveyed that body self-compassion shifted their perspectives to a more accepting and appreciative view of their bodies and supported their ability to listen to their bodie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deeper insight into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omen may have when applying a self-compassionate mindset towards their bodies and how this can impact their relationship with exercise.Previous literature suggests self-compassion interventions to be an acceptable and effective tool in addressing body image concer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one-on-one interviews and reflections from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s intended to cultivate body self-compassion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body appreciation and body connection within the exercise domain. .

      • Body-Conscious Look에 나타난 미적 특성 고찰

        조경희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943

        라이크라(Lycra) 출현이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온 스트레치(stretch) 신소재는 제2의 피부(second skin)의 개념과 함께 편안하고 자유스러운 스포츠 룩으로서 또는 에로틱한 란제리 스타일로서 현대패션의 진취적인 미 표현에 근본적인 역할을 감당해 왔다. 특히, 1990년대 패션은 21세기를 앞두고 새 밀레니엄 시대에 대한 기대와 전망과 함께 사회적, 문화적 미적 가치는 물론 기술적 진보의 가치까지도 포괄적으로 표현하면서 나타났는데 그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이 바로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Body-conscious look)의 유행이다. 바디컨셔스 룩은 신체 밀착의 매력과 함께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에게 즘 더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하도록 새로운 영감을 불어 넣어왔고, 특히 1990년대 동안에는 현대 패션디자인에 새로운 미적 개념을 더하면서 사용범주와 미적 표현의 다양성이 크게 증가되고 확산되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를 풍미했던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의 미적 특성들을 분석, 고찰함으로서 바디컨셔스 룩의 근원이 되고 있는 스트레치 소재의 미적 특징과 가치를 재인식 하고 새로운 세기를 앞둔 대중들의 미적 욕구와 미 가치의 방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의 유행은 지금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20세기말 패션의 미를 정리하고 21세기의 패션디자인과 미(美)에 대한 전망도 함께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 있는 연구가 되리라 생각된다. 연구범위는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이 급속도로 유행하면서 확산, 발전하였던 1990년대의 스타일을 분석하는 것에 집중하고, 유명 디자이너들의 바디컨셔스 룩에 대한 의식과 작품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연구방법은 문헌, 사진 조사와 패션 관련 전문회사들의 방문, 패션쇼 등을 통한 자료 수집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1990년대의 전반적인 패션 경향과 유행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살펴본다. 현대패션에서 바디컨셔스 룩의 형성과 진보는 스트레치 신소재의 발달과 이용의 확산에서 비롯된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 고찰로서, 스트레치 신소재의 발달과정과 함께 스판덱스, 라이크라를 비롯한 현재 바디컨셔스 룩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스트레치 소재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바디컨셔스 룩이 스포츠웨어와 속옷류로부터 파생되어 일상복의 패션 아이템으로서 유행하기까지의 배경을 살펴본다. 그리고, 바디컨셔스 룩에 대한 확실한 예술관을 가지고서 꾸준히 스타일을 발표 해오고 있는 유명 디자이너들의 디자인들을 미국, 프랑스, 이태리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면서 그들의 작품철학에서 드러난 미적 특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본론에서는 작품 분석을 통해 표출된 현대적 미 특성과 이미지의 개념들을 관련 저술들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는데 미적 특성들간의 관계 파악을 쉽게 하기 위해 미 양식으로 분류하여 고찰, 정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에 나타난 미적 특성들을 분석, 고찰한 결과 크게, 기능주의(functionalism), 미니멀리즘(minimailsm), 에로티시즘(eroticism), 미래주의(futurism)의 미 양식의 특성을 띄며 나타났다. 1. 기능주의적 미는 유연한 신축적 특징으로 인해 자유롭고 편안한 활동복으로 입혀지는 데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즉, '편안한', '자유스러운' 등의 패션이미지와 함께 현대사회에서 요구되고 있는 다목적 기능(flexibility)을 충족시켜준다. 또 다른 기능적 미적 특성은 획일화(uniformity) 현상으로 나타났다. 획일화는 일할 때 입는 옷이라는 의미로서 기능수행의 의복 의미를 내포하며, 동시에 스트레치 소재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해 외적으로 간결하고 획일화된 스타일로서의 동일복화 현상을 의미한다. 2. 미니멀리즘 미적 특징은 스트레치 소재의 신축성으로 인해 신체라인을 그대로 드러낸 단순성(simplicity)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소(less)'로서 '최대(more)' 효과를 내는 최소주의의 현상으로 나타났는데 즉, 소재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해 다트, 솔기선, 여밈 등 옷의 구성선이 축소, 또는 절제되므로써 옷의 형태와 사이즈가 점점 더 좁아지고,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정과정과 가격단가 역시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편, 피부밀착의 최소 아이템인 속옷류가 바디컨셔스 룩의 아이템으로 나타나므로서 양적인 면에서의 최소화가 나타났고, 더욱 가벼워지고 더욱 얇아진 소재로부터 신체노출이 더욱 강조되어지면서 질적인 면에서도 최소화가 나타났다. 3. 에로티시즘 미적 특징은 밀착된 옷을 통해 드러난 건강한(healthy) 섹시(sexy) 미 추구에서 볼 수 있다. 즉, 스트레치에 의해 몸에 밀착되어지는 스타일은 신체를 보다 볼륨있고 섹시하게 보이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흐르도록 하였다. 또한, 더욱 얇아지고 가벼워진 스트레치 소재로부터 오는 투명성(transparency)과 누드(nude) 효과, 그리고 얇은 소재들끼리 겹쳐 입는 레이어링(layering) 효과로부터 에로틱한 미가 잘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신체 강조가 지나치게 강조되어 표현되어졌을 때는 관능적인 페티시(fetish)양상을 띄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피부위에 텍스쳐를 주는 듯한 타투 효과 역시 에로틱의 극단적인 표현으로서 나타났다. 남성복에서도 역시 남성의 신체라인을 드러내거나 비치는 소재를 통한 노출 현상으로 나타났는데, 결과적으로 유니섹스와 앤드로지너스 스타일 유행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특히 남성의 여성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 미래주의 미적 특징은 기능주의, 미니멀리즘, 에로티시즘의 미적 특성들이 복합적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띄면서 나타났다. 즉, 바디컨셔스 룩의 미래주의 미는 스트레치 소재의 신체 밀착성과 유연성으로부터 오는 편안함과 자유스러움 추구의 기능적 성향이 미래에도 중요한 컨셉으로서 더욱 강조되어지리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계절과 나이의 구분 없이, 또 일할 때와 여가 또는 파티를 즐길 때 누구나 어디서나 편하게 입을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의 동일옷(multifunctional uniform)은 바로 미래의 대중적인 패션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또한, 신체 밀착으로부터 단순하게 드러난 신체 실루엣은 바로 미니멀한 라인의 최종점이자 곧, 미래패션의 이미지이다. 미래에는 더욱 최소화된 라인으로 되어 결국 구성상 가장 미니멀한 몰딩옷(moulding garment)으로 귀착될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광택, 메탈릭, 투명 스트레치 소재의 하이테크(high-technology)이미지에서도 역시 미래주의 미적 특성이 나타났다. 즉, 광택, 메탈릭 소재는 미끈한 바디 슬릭(sleek) 효과로서 무(無)의 이미지와 함께 미래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의 의미를 시사하고, 얇고 가벼워서 투명하게 보이는 스트레치 소재는 신체를 투사되어 보이게 하는 누드 이미지 효과와 함께 시공간을 초월한 미래세계로의 동경과 우주의 투명함을 시사한다. 결국, 바디컨셔스 룩은 간결하고 획일적인 특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같은 스타일이 입혀지는 보편화 현상(universality)을 가져왔고 이와 같은 의복의 보편적 동질성은 미래적인 이미지를 암시한다. 그리고, 이것은 아메리칸 캐쥬얼 스포츠 룩이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패션 스타일로서 뿌리내리고 있음을 시사하며, 동시에 미래세대와 미래환경에 대해서도 보편적인 스타일이 될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으로 볼 때,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에서 보여진 미적 특성 개념들은 하나의 분리된 미적 양식 개념들이 아니고 내포되어 있는 이미지들이 서로 중복되어 연결되어진 복합적인 미 양식 개념들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바디컨셔스 룩에 나타난 전반적인 미적 특성들은 스트레치 소재가 지닌 미의 특성들과 직결되어 나타났다. 즉, 바디컨셔스 룩의 현대미의 위상은 바디컨셔스 룩의 근본적인 요소인 스트레치 소재 미의 성공적인 연출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에서 보여진 복합적 미의 특성들은 현대인의 미의식과 가치관이 잘 반영되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90년대의 젊고 건강한 몸매 가꾸기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과 반응이 과거의 소극적 개념에서 벗어나 신체강조와 노출이라는 적극적이고 자연스러운 개념으로 변하면서 바디컨셔스 룩 유행을 통해 일반적인 미적 특징으로 드러난 것이다. 미래는 현재의 글로벌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됨에 따라 세계는 균일화된 사회가 될 것이며 또한 기후 환경변화를 정면적으로 겪게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환경 친화적 기능성과 편안함이 생활의 핵심 컨셉으로 강조되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신체 자체가 착용하고 있는 옷만큼이나 중시되어질 것이기 때문에 미래의 기능적 실용성은 우리의 건강한 육체로부터 오는 신체미와 직결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따라서, 미래패션 역시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첨단 텍스타일에 의존하면서 감성적, 정신적인 욕구를 잘 충족시켜주는 더욱 편안하고 기능적이 될 것이라고 전망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가장 성공적인 디자인은 인체를 터치한 스타일이 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는 견지에서 볼 때, 스트레치 소재에 의한 바디컨셔스 룩은 건강한 신체미 표출과 더불어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우리의 자유 옷(freedom clothing)이자, 곧 21세기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도 잘 어울어지는 미래의복(the clothing of the future)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new stretch materials that have been widely developed since the original appearance of Lycra continue to play a basic role in a comfortable and liberal sporty look as well as an erotic lingerie style with the concept of a second skin. In the 1990's, particularly, fashion showed the value of technological progress as well as social and aesthetic value with expectations toward the new millennium, and it's body-conscious look by the use of stretch materials that were cost effective and appeared throughout the field of fashion design. The body-conscious look has inspired fashion designers to explore more progressive and innovative design and the scope and use of these new materials and presenting effects have also been expanded and divers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stretch fabrics that is the basis of body-conscious look, and to grasp the direction of aesthetic desires and value of people who look to the new millennium ahead. This is done by analyzing and examin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ody-conscious look by stretching fabrics over the human form. Considering that the body-conscious look using stretch fabrics has continued until now, it is a meaningful study that summarizes much of the modern beauty of 20th century fashion and makes us contemplate the concept of beauty in 21st century fash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sing the style of the 1990's when body-conscious look using stretch materials was expanded and developed. It also concentrates on famous fashion designers' consciousness and analysis of work.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data collection through visiting fashion-related companies and fashion shows as well as literature and photo investigation. In regard to content,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overall trend of the 1990'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fashion and vogue in the 1990's. The formation and progress of the body-conscious look in modern fashion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new stretch material and the expansion of it's use, so this study examines stretch material mainly used for a body-conscious look such as spandex and Lycra as well as the developing processes of new stretch materials. It also looks at the background of how the body-conscious look developed from sports wear and lingerie thus becoming popular as daily fashion items. This study also analyzes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f famous fashion designers who have continuously showed work of the body-conscious look with their using philosophies by dividing them into American, French and Italian designers. The body of this study is focused on grasping the principal features of modem beauty and the meaning of this image concepts through related literature categorizing them into aesthetic styles to facilitate the grasp of relationships between aesthetic fea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and examining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body-conscious look, they show functionalism, minimalism, eroticism and futurism. 1. Functional beauty has value through the development of free and comfortable clothing. That is, it fulfills the flexibility(multi-purpose) of fashion required in the modem society with image of 'comfort' and 'freedom'. Another functional feature appeared as uniformity. Uniformity means work wear connoting functional wear, it also means uniformed wear as a simplified and unified style because of the flexibility of material itself. 2. Minim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conscious look are found in a simplicity that reveals the body line with stretching material. It also appears as minimalism, which has the effect of 'more' with 'less'. That is, flexibility of the material makes the form and the size of clothing narrowed and the details including darts and seam-allowance reduced, and the processing and prices become also reduced. On the other hand, lingerie, which is the minimal item that closely adheres to the body, has brought minimization in quantity, and the aspect of quality has also become minimized with lighter and thinner material that makes the body exposure stressed. 3. Erotic characteristics of a body-conscious look by using stretch materials appear mainly as a new image of modem fashion such as 'healthy', and 'sexy' by the influence of daily sports and the emphasis on healthy beauty. That is, the body-conscious style makes the trend of preference to the sexy body with a volume. Erotic characteristics of it also appear from transparency and nudity effected by lighter and thinner stretch materials as well as a layering effect. This beauty of transparency symbolizes modem feminity as well as visual freshness. Eroticism of the body-conscious look shows fetish-like aspects when expressed with an exaggerated body and a tattoo effect is also another extreme effect of eroticism revealing the body with stretch materials. This effect extends into men's clothing, exposing body lines as well as exposure of the body through transparent material. It exerts a great factor of prevailing androgynous style and unisex, and the feminization of males stands out. 4. The aesthetic features of futurism appear as the aesthetic features of functionalism, minimalism and eroticism have a symbolic meaning. The futuristic beauty of the body-conscious look is under the premise that practical and multi-purpose clothing that has the functional traits of pursuing comfort and liberalism will be preferred and more emphasized by society in the future. Accordingly, multi-functional uniforms that anyone can wear at work or party imply the meaning of clothing that symbolizes popular fashion of the future. Futuristic characteristics of the body-conscious look are also found in simple clothing lines that is a curved silhouette of the body as the final destination of minimal lines. It has become minimized with less construction line by the better qualities of stretch fabric, which is the image of future fashion. This minimization of clothing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t will, after all, reach moulding garments that are the most minimal in its structure. Another futuristic beauty of the body-conscious look is the futuristic image of high-technology stretch materials having glossy, metallic and transparent qualities. Glossy and metallic materials are often used in soft stretch materials, which suggest the image of infinite possibility of the future with its body sleek effect. And, the transparent stretch materials symbolize the desires for future world and the transparency of the universe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with the nude image effect of the body. After all, the body-conscious look, by using stretch materials, has become the aspect of uniformity and universality because of its simple and uniform characteristics. This universalized uniformity suggests futuristic image. It has been a common style for both men and women all over the world, which means that a casual look, so-called American style, becomes universalized. It will also be an universal fashion style for future generations and environment with univers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the beauties of future. Referring to the previously mentioned featur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 body-conscious look are not separated aesthetic concepts and they are rather complex aesthetic concept of beauty with overlapped and linked images. Secondly, overall characteristics shown in a body-conscious look are directly related to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tretch materials, and the status of body-conscious look is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advanced technology in textiles, which is the basis of a body-conscious look. Thirdly, the complex aesthetic features of the body-conscious look by stretch material reflects well modern people's aesthetic concept of beauty and value. It means recognition of and response to body shaping and health of people of the 1990's changing from a passive concept into natural and positive concept, and it appears as the general features of beauty through the body-conscious look in the 1990's. As globalization is accelerated, the world will become a more standardized society. It also seems that it will emphasize environmentally friendly functionalism and comfort with predictions of suffering changes of climates and environments. The body itself will be highly considered as much as its clothing, This study shows that the functional practicality of the future will be directly related to beauty of the body. Accordingly, fashion of the future will seem to be more comfortable and functionally dependent on cutting-edge textiles. In the sense that the most successful design touches the body, the body-conscious look by stretch material will also become our freedom clothing equipped with both functionality and beauty to symbolize the clothing of the future.

      • 초감각적 몸과 ‘촉지(觸知)적 공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이종세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943

        Heated arguments between existential rationalism and cognitive relativism in modern times have greatly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the West's traditional liberal arts and science, whereas post-modern ideology has formed new discourses and shared theories of various fields. The mysterious secrets of our body as a private subject are being gradually revealed in the midst of scientific development, and the philosophical and ethical aspects of our body are being renewed with the flow of change. Some social scientists assert that the function of our body will steadily become weakened in an automated, technological society, and that industrialization will make cities bigger and inhumane. However, such pessimistic views stem from a customary attitude of defining science as having continuously changing fluid characteristics and of specifying our body as a simple physical subject that performs its biological functions. As R. Darwin asserted, our body does not exist as a passive subject, being selected by an environment. The advent of new media will require our body to accommodate another space and to evolve into an active sensory organism. As a result, our body will evolve into 'Hyper-body' that systemizes itself in oder to satisfy the needs of a genuine life in that spac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rel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a trans-structured hyper-body and a palpable space. Like the fundamental composition elements of the process that creative artistic behaviors produce basic compositional elements from the initial Avant-Garde Movement; like drastic formational responses of an accepting art were integrated with more than two academic fields; like a combinational media design for forming an interdigitation in the states of time vs. space, reality vs. virtuality, and body vs. mind; like various experiments that expand between the trace of an expression, which uses our body as the topic of a convers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ur body's the existential thinking system and experiential cognitive system will be re-interpreted as a new phenomenal system through a creative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is will be clarified by itself in the process of inferencing an experiential original form and when classifying sensory and perceptual facts. Our body will always be a sourceful topic of arguments when approaching a creative space. A palpable space also starts form a question about our body, but our body no longer stands in the center of a regulatory system and an engineering module, and it is not a model of a personified interpretation. A new hypothesis will state the reversibility of time and a free movable space, and it will include the expansion of an experiential place and conceptual thinking. De-constructived hyper-body and a palpable space have an relationship of interdigitation as dramatized sensory subjects, and they will appear as a self-configuration generation mode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yn-aesthetic immersion. A new epistemological theory and post-phenomenalism of the thinking system in the coming era are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rules of space and the relational structure of objects. In addition, both the possibility of materialization and hypothetical actuality are understood through an intuitive thinking system from a post-structural perspective. The main flow of this study is making an analogical interpretation by focusing on the framework of a logical structure.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2, the logical thinking system of our body will be investigated as a base for generating a new space through the renewed understanding of our body with time. On the time line of history, which is classified into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the main subject of recognition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phenomena of time, which moves from the God to humans, from mind to body, from reasoning to emotion, and from perception to palpa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re-recognized space and de-constructive body, the formative and phenomenal system of beauty, as well as the structure of meaningful generation by a language sign analysis, will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s of philosophy, art and media. In Chapter 3, changing from a reasoning-centered teleological space to a palpable sensible space is confirmed to be related to the de-constructived characteristics of Hyper-body, along with an expansionary perception and active palpation behaviors. The advent of new media requires the expansion of our body's receptive capabilities and senses. Forming a syn-aesthetic relationship between tactile sensation and other senses will be suggested as the possibility of new 'Palpation space' which is perceived and expressed by active and tactile movements. In Chapter 4, to investigate a de-constructive relationship between Hyper-body and Palpation space, major relational words will be derived in terms of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vism' by focusing on the conceptual elements of philosophy, pure art, and experimental spatial works of art. The meaningful stems of compound words are used as a matrix on the analytical coordinates consisting of the x_structural axis, y_sensory axis, z_spatial axis. The subjects of cases will be materialized step by step after classifying them into the properties of contact, operation, and syn-aesthetics. In Chapter 5, after clarifying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de-constructive Hyper body and Palpation space, a definition of a new verified palpable space, as well as methods of generating and materializing the concept of a creative space will be suggested by basing on the inductive inference that is proven above. The new interest of de-constructivist regarding our body stems from the awareness of crisis that an approach to our body is cutoff by the death of a perceiving subject. Such crisis awareness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s of Niche's theory of biological body; A. Artaud's Theater of Cruelty, which attempted to remove the reproduction authority of supernatural philosophy, languages, and words in an accidental, impromptu way; disintegration and destructive phenomena of body that can be seen in Kafka's literary works and the Avant-Garde Art Movement; and an aesthetic phenomena that lead to death in such states as lunacy and schizophrenia. Common phenomena observed from de-constructivist' arguments about body are rejecting the modern dualism and rationalism; and presupposing an unconscious world, madness, and a language structure system of constructivism and de-constructivism. a body as an object of operation and suppression of power from a microscopic aspect (Foucault), a body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 Gatari), a body as simulacre that does not have any flesh (Baudrillard)--they all represent other characteristics of our unrealistic and disunited body that is induced when a boundary between truth and non-truth becomes ambiguous, as well a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a voting signifiant and an intention signifie is abolish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our body is a language itself, and can be interpreted as a structure. Within a semiotic tetragon, our body demonstrates itself as a disintegrated appearance in such ways as a subject vs. others, and a non-subject vs. non-others. It becomes de-construction i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vergence and advergence. De-construction has the 'de-composition', 'inter-textuality', and 'hyper-represent'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breaking-away and re-unification forms a new meaningful relationship by using a compound structure of classified prefixes (de-, re-, inter-, im-, sur-, non-). It can be explained as complex and pluralistic value using re-constructived locutionary spatial words. Second, the advent of new media and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on are re-construction as Hyper-body focusing on tactile sensation along with the meaningful disintegration of body, and pursues Palpation space. Hyper-body, which is discussed in post-humanism, is being juxtaposed in a new relationship between Palpation space and a subject as a body's return phenomenon in digital aesthetics or cybernetics, but it opens an interactive possibility within transcendental idealism and playful sensation. Paradoxically, the disappearance of body and the risky phenomena of re-appearance, which are discussed negatively from a trans-historical perspective, can be a new starting point in the discussion of Palpation space. Third, de-constructived Palpation spac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central and changeabl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self-organization’; an occurring, revitalizing relationship by ‘self-resonance’; and a resonance relationship and extreme-facticity by both syn-aesthetic immersion and a complete receptive system of ‘self-transpersonal'. Our body, which lives in a modern society, is accustomed to responding to the speed of media which appear incessantly. The media has the power of canon that can even change the paradigm of life beyond basic functions that are needed for humans and the world to communicate, so our body is afraid of failing to respond to the speed. In a given environment, our body has to learn and sense new things, and should be re-structuralized in order to unite the world and our body. As such, in the midst of heated arguments, the topic about ‘body’ can be a trite discussion that can never be complete, but discussions about body and reproduction methods cannot be a simple matter. Even in the future, body will always appear as a new subject and will remain as an important discussion topic. A relationship between evolved Hyper-body and Palpation space will have an interactive position between reality and a virtual world, and this will be in the center of a new blended academic field. Even though Palpation space may look to be not related to practical functionality and value, but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future of spatial designs which respect humans' sensory behaviors and emotional space. 근대의 존재론적 합리주의와 인식론적 상대주의 사이의 강렬한 논쟁은 서양의 전통적 인문과 과학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탈-근대적 사상은 새로운 담론들과 다양한 분야의 공유적 이론을 형성하였다. 사유의 주체로서 몸은 과학의 발달 속에서 신비로운 비밀들이 하나씩 밝혀지고 있으며 철학적, 윤리적 몸은 변화의 흐름 위에 새롭게 펼쳐지게 된다. 일부의 사회학자들은 자동화되어가는 기술사회 속에서 몸의 기능은 점점 쇠퇴할 것이며 산업화의 결과는 거대한 도시의 양산과 비인간적 사회를 만든다는 비관적 태도를 주장하기도 하지만, 이는 과학을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적 성격으로 정의하는 반면 몸은 단지 고유한 생명적 기능을 이행하는 물리적 대상으로 규정하려는 관습적 태도일 것이다. 몸은 다윈(R. Darwin)의 주장처럼 환경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수동적 존재로만 머물러 있지 않는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또 다른 공간의 수용능력과 능동적 감각체로 진화될 것을 요구하며 우리의 몸은 그곳의 진정한 삶과 욕망의 충족을 위하여 스스로 조직화되는 ‘초감각체(hyper-body)'로 진화될 것이다. 탈-구조화된 초감각적 몸과 촉지적 공간의 관계적 특성을 연구의 논제로 다루고자 함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최초의 아방가르드 운동처럼 창조적 예술 행위들이 생산하는 과정의 본질처럼, 수용예술의 급진적 형태에 대한 반응처럼, 둘 이상의 학문 분야가 통섭되는 모습처럼, 시간과 공간, 실재와 가상, 신체와 정신의 교호(交互)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혼성매체 디자인처럼, 몸을 화두로 내세우는 사유의 궤적과 기술의 발전 사이에서 증폭되는 다양체의 실험들처럼, 존재론적 사유체계와 경험론적 인식 또한 해체와 재구성의 창조적 과정을 거쳐 새로운 현상으로 해석될 것이며, 이는 감각과 지각의 사실 분류와 경험적 원형을 유추하는 과정 속에서 그 스스로 명백해질 수 있을 것이다. 몸은 언제나 고유한 담론의 원류로서 창의적 공간의 근원적 주제로 남아있다. 감성적 공간 또한 몸의 질문에서 시작되고 몸은 더 이상 규범적 질서체계와 공학적 모듈의 중심에 서있지 않으며 의인(擬人)적 해석의 모델도 아닐 것이다. 새로운 가설은 시간의 가역성과 공간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말할 것이며 경험적 장소와 관념적 사고의 확장을 포함할 것이다. 탈-구조화된 초감각적 몸과 촉지적 공간은 극화된 감각상태의 교호적 관계에 놓이며 공감각적 몰입 특성을 가진 자기-구성적 생성모델로서 등장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다가올 시대의 새로운 감각론과 후기 현상론의 사유체계가 공간의 제반 규범 및 물질적 구조들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직관적 사고체계를 통한 구체화의 가능성을 후기 구조주의적 입장에서 가설의 실제성을 이해하고 논리적 구조의 틀을 중심으로 한 유추적 해석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흐름이 된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시대에 따른 몸의 논리적 사유체계가 몸의 재인식과 함께 새로운 공간을 발생시키는 기저로 작용하고 있음을 고찰한다. 전근대, 근대, 탈근대로 구분되는 역사적 선상에서 인식의 주체가 신에서 인간으로, 정신에서 몸으로, 이성에서 감성으로, 시각에서 촉각중심으로 이동되는 시대적 현상들의 고찰로서, 탈-구조화되는 몸과 재인식되는 공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언어기호사변에 의한 의미생성 구조와 미의 형상적, 현상적 체계를 철학, 예술, 매체의 측면에서 접근한다. 3장에서는 이성 중심의 합목적 공간에서 촉각 중심의 감성적 공간으로 변화되는 것은 능동적 촉각행위와 지각의 확장과 함께 초감각적 몸으로 탈-구조화되는 특성과 관계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새로운 매체의 출현은 몸의 수용 능력과 감각의 확장을 요구한다. 촉각과 타 감각들의 상호 의존적 관계의 공감각적 형성은 새로운 촉지(觸知/능동적 촉감각 운동에 의해 지각되고 표상되는)적 공간의 가능성으로 제시될 것이다. 4장에서는 초감각적 몸과 촉지적 공간의 탈-구조적 관계성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후기구조주의 입장에서 철학, 순수예술 및 실험적 공간작품의 개념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의미상의 주요관계 언어들을 도출한다. 계층적 통사적 합성어로 링크된 의미줄기는 x축_구조체, y축_감각체, z축_공간체의 분석 좌표 위에 매트릭스로 활용되며, 사례대상은 접촉성, 조작성, 몰입성으로 분류되어 촉지적 공간의 가치를 단계적으로 구체화시킬 것이다. 5장에서는 탈-구조화된 초감각적 몸과 촉지적 공간의 관계적 특성을 분명히 하고 이상으로 증명된 귀납적 추론을 바탕으로 검증된 새로운 촉지적 공간의 정의와 함께 어떤 방법을 통해서 창의적 공간의 개념을 생성하고 구현 가능한가를 제시한다. 몸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자들의 새로운 관심은 인식주체의 죽음으로 인해 부재한 몸의 접근이 차단되어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한다. 이 위기의식은 니체의 생리학적 몸의 이론과 초인철학, 언어, 말의 재현적 권위를 즉흥적, 우연적 방식으로 제거하려했던 앙토냉 아르토(A. Artaud)의 ‘잔혹극’,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이나 카프카의 문학에서와 같이 몸의 해체 및 파괴현상, 광기나 정신분열증과 같이 죽음으로 이르는 미학적 현상의 연장선에서 파악할 수 있다. 후기구조주의의 몸 담론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은 근대의 이원론과 합리주의를 거부하고 광기 내지는 무의식 세계와 탈-구조주의적이면서 구조주의의 언어구조체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시적으로 편재하는 권력의 억압과 조작대상으로서의 몸(푸코), 욕망하는 기계로서의 몸(들뢰즈/가타리), 탈 육화되는 시뮬라크르(Simulacre)로서의 몸(보드리야르)은 기표, 기의의 차이 해소와 진리, 비 진리의 경계가 모호해짐으로써 유발되는 비현실적이고 분열적인 몸의 또 다른 특징이기도하다. 이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은 곧 언어이며 구조로 해석된다. 기호학적 사변형 속에서 몸은 주체와 타자, 비 주체와 비 타자의 의미소간 분절된 모습을 보여주며, 이접과 역접의 탈-구조적 관계특성 위에 분열된 존재로 탈-구조화되어진다. 탈-구조는 탈-구성적, 간-텍스트적, 초-재현적 특성을 포함하며 이탈과 재결합의 과정은 분류된 접두어(de-, re-, inter-, im-, sur-, non-)의 합성구조로 새로운 의미관계가 형성된다. 이는 재-구조화된 발화적 공간 언어체로서, 복합적이고 다원적 가치로서 설명될 수 있다. 둘째, 새로운 매체의 출현과 탈-구조적 현상은 몸의 의미적 해체와 함께 촉각 중심의 초감각체로 재결합되며 촉지적 공간을 지향하게 된다.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에서 논의되는 초감각적 몸은 디지털미학이나 사이버네틱스에서 몸의 재귀현상으로 새로운 촉지적 공간과의 주체적 관계 속에 병치되어 있으나 초월적 이상과 유희적 감각 안에서 상호 교호적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으며 탈 역사주의의 관점에서 부정적으로 논의되는 몸의 사라짐과 재현의 위기 현상은 역설적으로 초감각적 몸에 의한 촉지적 공간 논의로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셋째, 탈-구조화된 촉지적 공간은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 과정 속에 다-중심적이고 변용적 관계성, ‘자기-공진화(self-resonance)’에 의한 발생적이고 활성적 관계성, ‘자기-초월화(self-transpersonal)'의 완전한 수용체계와 공감각적 몰입성에 의한 극사실성과 공명적 관계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몸은 쉴 새 없이 등장하는 매체의 속도에 반응하는데 익숙해져 있다. 매체는 인간과 세상의 소통에 필요한 기본적 기능을 넘어서 삶 전체의 패러다임을 바꿀 만한 카논(Canon)적 위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몸은 속도의 반응에 낙오됨을 두려워하기도 한다. 주어진 환경 속에서 몸은 늘 학습되어지고 새롭게 감각하여야 하며 세상과 내 몸의 일치됨을 위해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이처럼 긴장된 논쟁의 화두 속에서 ‘몸’이라는 주제는 결코 완성될 수 없는 진부한 논의의 대상일 수 있지만 몸에 관한 담론과 재현의 방식은 어떤 방식이든 단순히 범주화될 수 없기 때문에 미래에도 몸은 여전히 중요한 논제로서 언제나 새로운 함의(含意)적 주체로 등장할 것이다. 진화되는 초감각적 몸과 촉지적 공간의 상호 협력적 관계는 현실과 가상 사이의 교호적 위치를 갖게 되며 이는 새로운 융합학문의 중심에 놓여 질 것이다. 촉지적 공간은 비록 기능과 실용적 가치와는 멀어져 보이지만 인간의 감각적 행위와 감성적 공간을 존중하면서 공간디자인의 미래를 더욱 풍부하게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19세기 상징주의 회화를 응용한 Body Painting 연구

        황지호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Body Painting mobilizes all expressible methods visually in human's body and image does videotex. Depart in static work painting in person's body and I can speak as work that inspire vitality in the work. The primitive ages of to protects oneself from fierce animal at the very least and displays class or consecratedness or Body Painting that is used by conduct the incantation enemy or is used long time ago to distinguish strain by resources that demonstrate nation's strong power of combination and force in 2002 Korea and Japan World Cups use. Though Body Painting can feel animation whenever a person moves, there is the sense. I have approached as commercial painting more intimate and near to us there is Body Painting used to event in local festival, business event and play movable property commercially. Modern Body Painting is having infinite development possibility as applied fine arts field that express symbolic concept of writer in human body concretely through creative form and contents. Can improve art sex and power of expression of work by linkage with various art. Body Painting work is similar with symbolism esthetics that writer's creation intention is serious view measure and was in fashion in 19th century in terms of various aesthetic expression is possible. Body Painting to part of reed art mainly in virtue study estimation study. This investigator studied book and connection books and literature for systematic theory thesis. Examinesed Body Painting's origin and arranged to a proof and studied Byeoncheonsa by age. Also, studies various Body Painting expression method and arranged to a proof. This investigator studies symbolism that is 19th century art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and analyze similarity and characteristic as Body Painting's whereabouts. Special quality about inside mind vent of mortality of symbolism is good material of Body Painting at point that start from viewpoint about human. Body Painting can say that interest about human is the basicest that representation is possible art through human body. Because 19th century symbolism art embosses writer's idea, object connected with individual, woman, dream, deathlife etc. were handled to main notion. Symbolism art developed because was expressed as synthetic form of several field of art of literature, music, art etc.. in same age. Because Body Painting has personality as composite art that several factors with music, model's rhythm, lighting, painting material and technique are synthesized, there were symbolism art and similarity. In this study, I wished to review in Body Painting work of creative work with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 of symbolism. I wished to suggest motive that analyzes several characteristics of 19th century symbolism conversation and esthetics that writer's idea is reflected mainly and is new in Body Painting field. With such symbolism esthetics study, I wished to display Body Painting of work that have art sex. That is a representative symbolism painter as for symbolism writer's study extent diagonally, I put limiting point by Mungkeu, Reudong. Expressed in canvas and human body and compare various techniques that is applied in symbolism with study of singularity. Body Painting is effective to manage subject that is private regarding symbolism reflect writer's idea to three-dimensional space that is a human body and when produce work regarding human body by Body Painting specially, effect that raise subject was enlarged. Can help symbolism pictorial expression can give possibility as new theme Body Painting writers through work study and develops various Body Painting territory I am considered. This research paper wished to present Body Painting as new motive through Body Painting work study that apply symbolism art. Body Painting은 인간의 신체에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이미지를 영상화하는 것으로 사람의 몸에 그림을 그려 정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그 작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원시 시대의 적이나 맹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계급이나 신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또는 주술적 행위로 사용되거나 종족을 구별하기 위해 오랜 세월 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Body Painting이 2002 한일 월드컵에서 민족의 강한 단결력과 힘을 과시하는 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진바 있다. Body Painting은 사람이 움직일 때마다 생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상업적으로는 지방 축제, 기업체 이벤트 및 놀이동산 등에서 행사용으로 이용되는 Body Painting도 있는데 상업적인 페인팅이 우리에게 더 친근하고 가깝게 다가와 있다. 현대의 Body Painting은 작가의 상징적 개념을 창조적인 형식과 내용을 통해 구체적으로 인체에 표현하는 응용미술분야로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다양한 미술사조와의 결합으로 작품으로서의 예술성과 표현력을 높일 수 있다. Body Painting 작품은 작가의 창조 의도가 중요시 되며 다양한 미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19세기에 유행하였던 상징주의 미학과 유사하다. Body Painting은 선행연구에서 주로 바디 아트의 일부분으로 평가 연구되었다. 본 연구자는 체계적인 이론 정립을 위해 단행본 및 관련 서적과 문헌을 연구하였다. Body Painting의 기원을 살펴보고 표로 정리하였으며 시대별 변천사를 연구 하였다. 또한 다양한 Body Painting 표현방법을 연구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자는 19세기 미술사조인 상징주의를 연구하고 상징주의의 특징들을 분석하여 Body Painting의 소재로서의 유사성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징주의의 인간의 내부 심리 표출에 대한 특성은 인간에 관한 관점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Body Painting의 좋은 소재가 된다. Body Painting은 인체를 통해서 표현이 가능한 예술임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이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상징주의 예술은 작가의 이데아를 부각시켜 개인과 관련된 사물, 여인, 꿈, 죽음과 삶 등이 주요 관념으로 다루어졌다. 상징주의 미술은 동시대의 문학, 음악, 미술 등의 여러 예술분야의 종합적인 형태로서 표현되어 발전하였다. Body Painting은 음악, 모델의 율동, 조명, 페인팅 재료와 기법 등 여러 요소들이 종합된 종합예술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어 상징주의 예술과 유사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징주의의 성격과 특징을 바탕으로 창조적 작업으로서의 Body Painting 작품에 재조명 하고자 하였다. 작가의 관념이 주로 반영된 19세기 상징주의 회화의 여러 특징과 미학을 분석하여 Body Painting 분야에 새로운 모티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상징주의 미학 연구를 바탕으로 예술성을 지닌 작품으로서의 Body Painting을 선보이고자 하였다. 상징주의 작가의 연구범위로서는 대표적인 상징주의 화가인 모로, 뭉크, 르동으로 제한점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상징주의에서 응용된 다양한 기법들을 캔버스와 인체에 표현하여 비교해보았다. Body Painting은 인체라는 3차원 공간에 작가의 관념을 투영함으로 상징주의와 관련하여 개인적인 주제를 다루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인체와 관련한 작품을 Body Painting으로 제작 할 때 주제를 부각시키는 효과가 증대되었다. 작품연구를 통해 상징주의 회화적 표현은 Body Painting 작가들에게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Body Painting 영역을 발전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논문은 상징주의 미술 사조를 응용한 Body Painting 작품연구를 통해 새로운 모티브로서의 Body Painting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상용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체온 측정

        전상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The spread of COVID-19 makes people to check their body temperature in daily routine. Human body’s immune system works when human get disease or virus and the body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result of immune system. Therefore, the person who has body temperature over 37.5˚C may have COVID-19. We can estimate our body temperature using contact and contactless thermometer, but we need to purchase it and carry it. It is uncomfortable, so if we used the device that we always carry, we could check our body temperature easily. In prior studies, there are only studies that estimate the ambient temperature using mobile devices and studies that estimate the body temperature using extra sensors. So, we focus on estimation of the body temperature using single mobile device. We use smartphone as a mobile device to estimate the body temperature for reducing the expense of purchasing thermometer and checking the body temperature easily. We suggest the framework that makes the smartphone to estimate body temperature using smartphone battery’s physical property. The framework consists of three phases that are data collection, data transformation and temperature estimation. We collect data from smartphone contact with water and hand and each data for training and test in data collection phase. Then, we use regression and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to apply data from hand for test data in data transformation phase. Last, temperature estimation phase finds out the temperature of data from hand which has the most relevant increase pattern with given data from water. We apply classification method to estimate body temperature and the classifier that we use is Support Vector Machine. We divide the training data into training data and test data to verify that the SVM is adequate for body temperature estimation. The result is 92% accuracy. Then, we apply training data and new test data to same classifier and the result is 82% accuracy.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전세계적인 확산으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은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일로 자리 잡았다. 사람은 어떤 병에 걸릴 경우 초기에 체온이 증가하는 증상을 보이는데 이는 몸의 면역 반응으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나타나는 증상이다. 따라서 체온 측정을 통해, 37.5˚C가 넘을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의심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체온 측정은 비접촉식 체온계와 접촉식 체온계를 사용하는데 해당 기기들은 따로 구매하여 구비하거나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지니고 있다. 개인이 원할 때마다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체온계를 구매하고 휴대하는 것보다 일상 생활에서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기기를 사용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면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연구 사례에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해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추가적인 센서를 사용해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 연구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기존 연구들은 모바일 기기만 단독으로 사용하여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 시도를 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앞서 밝힌 추가적인 체온계 구매를 위한 비용 지출과 추가적인 체온계의 휴대 필요성과 모바일 기기 단독으로 체온을 측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인의 필수 휴대 기기인 스마트폰을 사용해 체온을 측정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스마트폰의 배터리 온도가 증가하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체온을 예측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며 이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세 단계로 구성했다. 첫 단계는 학습용 데이터와 테스트용 데이터에 필요한 배터리 온도 증가 패턴에 관한 데이터를 물과 손에 스마트폰을 접촉시켜 수집한다. 두번째 단계는 물과 손에서 얻은 배터리 온도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Regression과 Linear Transformation 기법을 사용해 Fitting시켜 그 차이를 줄이고 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학습용 데이터, 손에서 얻은 데이터를 테스트용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한다. 마지막 단계는 앞서 구한 학습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테스트용 데이터의 손의 체온을 예측하기 위해 학습용 데이터에서 가장 비슷한 온도 증가 패턴을 보이는 데이터를 찾아 손의 체온을 예측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Classification 기법을 사용해 체온을 예측하며 Classification을 진행하는 Classifier로 대표적인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사용했다. 먼저 수집한 학습용 데이터를 다시 학습용 데이터와 테스트용 데이터로 나누어 Classifier를 학습시키고 테스트 했을 때 92%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수집한 학습용 데이터와 새로운 테스트용 데이터를 사용해 Classifier를 학습시키고 테스트 했을 때 82%의 정확도로 체온을 예측하는 결과를 보였다.

      • 요가심신테라피 경험자의 몸-마음 상호성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류지명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건강의 개념이 신체적인 것만이 아닌 정신·사회적인 차원을 포함하는 다차원의 웰빙으로 변화하면서 심신 통합적 치료방법인 심신요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 요가는 미국보완대체의학의 심신훈련(mind and body practice)의 한 분야로 그 치료적 효과가 인정되었고 인간을 몸-마음-영혼의 복합체로 바라보고 빤짜 코샤에 기반하여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다섯 덮개의 균형을 도모한다. 요가심신테라피는 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요가테라피를 국내의 현실에 맞게 개발한 것으로 요가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질병의 예방, 개선, 웰빙의 증진의 치료적 맥락에서 치유에 필요한 내적 자원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심신테라피를 경험한 이들이 어떤 체험을 하였고 몸과 마음의 상호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요가심신테라피를 10회 이상 받은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두 개의 주제에 10개의 범주와 2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연구 주제인 참여자들의 요가심신테라피의 경험은 '낯설고 어려웠던 몸의 감각이 점차 미세하고 깊어짐', '몸의 습관에 마음이 연관됨을 자각하고 몸을 통해 자신을 알게 됨', '요가자세와 호흡의 연결을 통해 마음과 접촉함', '몸에 남아있는 기억, 감정, 상처와 마주하면서 정서적 해소 및 치유가 일어남', '의식이 확장되면서 비일상적 체험을 함', '자기 조절력이 향상됨', '일상생활에서 심신의 긍정적 변화로 이어짐''이라는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연구 주제인 몸-마음 상호성에 대한 인식은 '심신에 대한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이해가 통합되기 시작함', '몸에 대한 인식이 전환됨', '심신의 관계를 새롭게 느끼고 심신일체의 치유의 여정이 시작됨'이라는 3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은 요가심신테라피를 통해서 몸과 마음의 상호성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는데 참여자들은 몸의 상태 및 자세와 몸을 쓰는 방식에 정서가 연관되어 있음을 경험하였고 요가자세를 하면서 심리상태가 변화하였으며 호흡을 통해 몸과 마음이 연결되는 경험을 하였다. 특히, 몸에 대해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을 내려놓고 실재하는 몸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몸과 마음의 경험을 통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몸과 마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전환되었는지에 대한 세부적 양상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요가심신테라피에서 참여자들은 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몸과 마음의 연결을 새롭게 느끼게 되었는데 이는 몸과 마음, 즉 이성과 직관의 통합이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통찰의 순간들을 경험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자각력과 자기조절력이 요가테라피의 치유기제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몸과 마음에 대한 자기자각력을 높이는 과정이 정신적 긴장과 정서적 해소의 치유 과정이었으며 일상생활에서 자기조절이 증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s health is defined as complete well-being in terms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mind-body therapies that focus on the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have been on the rise. Among these, yoga, listed as one of mind and body practices by NCCIH(The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disease and managing health. From the Yoga perspective, we are made of body, mind, and soul, each interdependent on the other, and healing means finding a balance of 5 layers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pañca kośa model.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is a local adaptation of yoga therapy defined as the process of empowering individuals to progress toward improved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and practices of yog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ved experience of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and how a body-mind relationship is perceived. Eight participants who completed more than 10 sessions of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participated focus group interviews from July to September 2020.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alysis of data revealed two topics, ten categories, and twenty sub-categories. As the essence of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experience, the following seven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from unfamiliarity and difficulty identifying body sensations to awareness of deep sensations of the body', 'become aware of body patterns related to emotional states and learn new aspects of oneself through the body', 'connect body and mind through yoga asana and breathing practices', 'emotional release', 'change of consciousness', 'increase self-regulation', 'notice positive changes in life'. For the perception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the following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enriched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integration', 'perception of the body changes', 'a personal journey of healing starts based on the new understanding of body and mind integr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enabled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body-mind and to integrate the experience of body and mind. They also noticed the changes on a physical, psychological, and consciousness level as they practice yoga asana, and mind and body connect with breathing practices.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feel and sense the body as it is, not as an object to be examined and judged, which is similar to practicing mindfulness. Through this mind-body integr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ts developed insights about themselves, and with these insights, they view their body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mind in a completely new way. The study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healing melanism of yoga therapy, which views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as key to positive outcome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self-awareness leads to the release of mental tension and painful emotions support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at yoga can be psychotherapeutic.

      • Exploring the Effects of Body Position in Virtual Environments: The Relationship with Spatial Cognition, Locomotion Method, Presence, and Cybersickness

        김애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3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VEs) can disrupt the everyday connection between where our senses tell us we are and where we are actually located.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user often comes to feel that their body has become irrelevant and that it is only the presence of their mind that matters. However, virtual worlds offer users an opportunity to become aware of and explore both the role of the physical body in communi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disembodied interactions.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cognitive functions such as execution, attention, memory, and perception differ when body position changes. However, the influence of body position on these cognitive functions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In particular, little is known about how physical self-positioning may affect the cognitive process of perceptual responses in a VE. Some researchers have identified presence as a guide to what constitutes an effective virtual reality (VR) system and as the defining feature of VR. Presence is a state of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sense of being within a VE; in particular, it is a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the virtuality of the experience is unnoticed’. Higher levels of presence are considered to be an indicator of a more successful media experience, thus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being there’ is an important construct to consider when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mediated experiences on cognition. VR is known to induce cybersickness, which limits its application and highlights the need for scientific strategies to optimize virtual experiences. Cybersickness refers to the sickness associated with the use of VR systems, which has a range of symptoms including nausea, disorientation, headaches, sweating and eye strain. This is a complicated problem because the experience of cybersickness varies greatly between individuals, the technology being used, the design of the environment, and the task being performed. Thus, avoiding cybersickness represents a major challenge for VR development. Spatial cognition is an invariable precursor to action because it allows the formation of the necessary mental representations that code the positions of and relationships among objects. Thus, a number of bodily actions are represented mentally within a depicted VR space, including those functionally related to navigation, the manipulation of objects, and/or interaction with other agents. Of these actions, navig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requently used interaction tasks in VR environments. Therefore, identifying an efficient locomotion technique that does not alter presence nor cause motion sickness has become the focus of numerous studies. Though the details of the results have varied, past research has revealed that viewpoint can affect the sense of presence and the sense of embodiment. VR experience differs depending on the viewpoint of a user because this vantage point affects the actions of the user and their engagement with o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position, spatial cognition, locomotion method, presence, and cybersickness based on viewpoint, which may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processes in VE navigation. To date, numerous detail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mechanisms underlying presence and cybersickness in VR. However, few have investigated the cognitive effects of body position on presence and cybersickness. With this in mind, two separa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on viewpoint within VR (i.e., third-person and first-person perspective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body position in relation to spatial cognition, locomotion method, presence, and cybersickness in VEs. In Chapter 3 (Experiment 1: third-person perspective), three body positions (standing, sitting, and half-sitting) were compared in two types of VR game with a different degree of freedom in navigation (DFN; finite and infinite)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position and the sense of presence in 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anding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resence for the three body positions that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gnitive effect of body position on presence is associated with the DFN in a VE. Specifically, cognitive activity related to attention orchestrates the cogni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body position, presence, and spatial cognition, consequently leading to an integrated sense of presence in VR. It can thus be speculated that the cognitive effects of body position on presence are correlated with the DFN in a VE. In Chapter 4 (Experiment 2: first-person perspective), two body positions (standing and sitting) and four types of locomotion method (steering + embodied control [EC], steering + instrumental control [IC], teleportation + EC, and teleportation + IC)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position, locomotion method, presence, and cybersickness when navigating a VE.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uggested that the DFN for translation and rotation is related to successful navigation and affects the sense of presence when navigating a VE. In addition, steering locomotion (continuous motion) increases self-motion when navigating a VE, which results in stronger cybersickness than teleportation (non-continuous motion). Overall, it can be postulated that presence and cybersickness are associated with the method of locomotion when navigating a VE. In this dissertation, the overall results of Experiment 1 suggest that the cognitive influence of presence is body-dependent in the sense that mental and brain processes rely on or are affected by the physical body. On the other hand, the outcomes of Experiment 2 illustrate the significant effects of locomotion method on the sense of presence and cybersickness during VE naviga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cognitive effects of body position on spatial cognition (i.e., navigation) in VR and highlight the important implications of locomotion method on presence and cybersickness in VE navigation. 가상현실은 몸과 마음이 공간에 함께 존재한다는 일상적 경험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컴퓨터로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에서 많은 경우 사용자들은 몸은 배제되며 마음의 존재가 중요하다고 느끼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상현실은 사용자들에게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물리적 몸의 역할과 비체화된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실행, 주의집중, 기억, 지각과 같은 인지기능들이 몸의 자세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지기능들과 몸 자세의 상호연관성은 여전히 명확히 밝혀지고 있지 않다. 특히 가상현실에서 몸의 자세가 지각반응에 대한 인지과정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가상현실 연구자들은 존재감을 가상현실의 핵심 개념으로 정의하였으며 효율적인 가상현실 시스템 구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존재감은 가상공간에 있다고 느끼는 의식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속 경험을 실재 존재한다고 느끼는 의식상태를 말한다. 이런 존재감이 높을 수록 현실처럼 인지하기에 존재감은 가상현실 경험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가상공간에 존재하고 있다는 의식적 경험 ((거기에 있다(being there)), 즉 존재감은 매개된 가상경험들의 인지 연구에 중요한 개념이다. 가상현실은 사이버멀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증상은 가상현실의 사용성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으로 효과적인 가상현실 경험을 위해 사이버멀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이버멀미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할때 나타나며 어지러움, 방향상실, 두통, 땀흘림, 눈피로도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이런 사이버멀미에는 개인차, 사용된 기술, 공간디자인, 수행된 업무등 매우 다양 요인들이 관여하고 있어 명확한 원인을 규정할 수 없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사이버멀미 저감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며 이는 가상현실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공간인지는 3차원 공간에서 신체 움직임과 대상과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지시스템이다. 가상공간에서 신체 움직임은 네비게이션, 사물조작, 다른 에이전트들과 상호작용에 관여한다. 특히 가상공간에서 네비게이션은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상호작용 방식이다. 이에 가상공간을 네비게이션 할때 존재감에 영향을 주지 않고 멀미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적인 공간이동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전 연구들에 의하면 시점이 존재감과 체화감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이는 시점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과 대상들과의 상호작용 방식에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상공간에서 경험 또한 시점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배경으로 몸의 자세, 공간인지, 이동방법, 존재감, 사이버멀미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시점에 따라 분류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속 공간 네비게이션에 대한 인지과정을 보다 다각적으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존재감과 사이버 멀미에 내재된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몸의 자세에 따른 인지작용이 존재감과 사이버멀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학위논문에서는 1인칭과 3인칭 시점으로 분류된 별도의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여 가상현실에서 몸의 자세와 공간인지, 공간이동방법, 존재감, 사이버멀미의 상호연관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3인칭시점의 실험과 결과에 대한 내용을 기술했다. 3인칭시점 실험에서는 가상공간에서 몸의 자세와 존재감의 상호연관성 연구를 위해 세가지 몸의 자세 (서있는 자세, 앉은 자세, 다리를 펴고 앉은 자세)와 2가지 타입의 공간이동 자유도 (무한, 유한)를 상호 비교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공간이동 자유도가 무한한 경우 서있는 자세에서 존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가상공간에서 몸의 자세와 존재감은 공간이동자유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인지기능 중 주의집중이 몸의 자세, 존재감, 공간인지의 통합적 상호작용을 이끌어 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3인칭시점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몸 자세의 인지적 영향은 공간이동자유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1인칭시점의 실험과 결과에 대한 내용을 기술했다. 1인칭시점 실험에서는 가상공간에서 몸의 자세, 공간이동방법, 존재감, 사이버멀미의 상호연관성 연구를 위해 두 조건의 몸의 자세 (서있는 자세, 앉아 있는 자세)와 네가지 타입의 이동방법 (스티어링 + 몸을 활용한 회전, 스티어링 + 도구를 활용한 회전, 텔레포테이션 + 몸을 이용한 회전, 텔레포테이션 + 도구를 활용한 회전)의 상호 비교가 이루어 졌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위치이동방식과 회전방식에 따른 공간이동자유도는 성공적인 네비게이션과 관련이 있으며 존재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연속적으로 시각정보가 입력되는 스티어링 방법은 자가운동을 높여 비연속적 방법인 텔레포테이션보다 사이버멀미를 더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칭시점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가상공간에서 네비게이션을 할때 존재감과 사이버멀미는 공간이동방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제3장의 3인칭 시점 실험결과에 의하면 몸의 자세와 존재감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반면 제4장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1인칭시점으로 가상공간을 네비게이션 할 때는 공간이동방법이 존재감과 사이버멀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실험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몸의 자세와 공간인지 (네비게이션)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존재감 및 사이버멀미와 공간이동방법의 관련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창동 영화 속의 신체 서사에 관한 연구 : 미셸 푸코의 신체 이론을 중심으로

        양신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3

        Lee Chang-dong is the most representative film director of post-1990s South Korea. His limited collection of six films reveals social realities and depicts the contemporary existence and survival of Korean audiences. By bringing the physicality of his film characters to the forefront, Lee Chang-dong's films present images of illness, madness, and mortali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rporeal aspect of Lee Chang-dong's films, utilizing theoretical research and textual interpretation to construct a narrative theory of the body in his works. By exploring the disciplinary power of mainstream social discourse, the demands of bio-politics, and the politics of life, it portrays the current reality of individual bodies in society, expressing Lee Chang-dong's ultimate concern for the universal human body. In the theoretical research section, this paper employs Michel Foucault's theories on the body to interpret Lee Chang-dong's films. It provides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body from the dimensions of knowledge, power, and ethics. Firstly, it interprets Foucault's analysis of th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discussing how discourse and knowledge produce standardized bodies and embed them into norms. It main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urse, knowledge, and the body, where the categorization of "abnormal individuals" and madness arises as a result of discursive inscription. Secondly, it interprets Lee Chang-dong's filmic bodies through the lens of Foucault's power dimension, discussing how power generates disciplined bodies and integrates them into systems of power. It primarily examines bodies punished by power and bodies subjected to power's disciplinary techniques, addressing the modern predicament of bodies in the midst of shifting power strategies. Knowledge and power together constitute the political technology of the body, with power over life manifesting in two interconnected forms: the embodiment of various disciplinary techniques and the embodiment of regulatory technologies. The tragedy of Lee Chang-dong's characters lies in their inability to become useful bodies in contemporary disciplinary society. The body serves as a direct field for the political technologies of disciplining sexuality, situ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body and the population, encompassing the two currents of power over life that belong to both the domain of the body and the domain of life. It functions as an object of power's training on the body and as an object of power's control over the population. Thirdly, it interprets Lee Chang-dong's perspectives on the body in his films from the standpoint of Foucauldian ethics. Foucault's techniques of self and self-care aim to at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erfection. The study primarily focuses on the body of Yang Mija in Lee Chang-dong's film "Poetry," as she continuously breaks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subjectivity, experiencing the pleasure of transcending her own aesthetic boundaries amidst life's difficulties. Finally, it examines the absorption and critique of Foucault's theories of the body by feminism and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the female body in Lee Chang-dong's films. It analyzes how the female body in Lee Chang-dong's films is disciplined within mainstream discourse and subsequently subjected to feminist discourse.

      • Body Psychotherapy에서 Body-Mind Centering을 통한 몸과 마음의 연결과 변화에 관한 체험연구 : 아동심리치료사의 자기훈련 프로그램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모색

        임정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아동심리치료사가 치료자로서의 기본적 자질과 인격을 갖춰 나가기 위한 다양한 자기 훈련을 해나감에 있어서, 특히 몸을 기본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의 체험을 통한 그 활용 가능성과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Body Psychotherapy에서 Body-Mind Centering의 의미를 지향하는 여러 프로그램을 통한 몸과 마음의 변화 과정과 의미들을 고찰했으며 그러한 탐색을 위해 개개인의 현상 경험에 근거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시켜 나갔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Body Psychotherapy에서 Body-Mind Centering의 의미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의 체험을 통해 몸과 마음의 연결과 변화에 관한 경험이 어떤 것이며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경험들이 아동심리치료사의 자기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한 지에 대한 모색도 포함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서울과 경기 소재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및 보건환경대학원에서 아동 심리치료, 무용/동작 심리치료, 공연예술치료 전공생 8명으로, 연구자는 이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개인 기록(일기, 편지글 등)에서 나타난 체험 과정을 기본 자료로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자의 분석 및 해석 작업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대주제 6개로 나타났고, 관련 하위주제는 다음과 같다. 대주제 : <소외되었던 내 몸과 마음> <비로소 들여다보게 된 내 몸과 마음> <내 삶의 주인이 내가 아니었음을 발견> <나를 중심으로 새롭게 시작되는 나와의 만남> <내 몸을 받아들임으로부터 시작되는 변형의 기운> <달라진 세상> 하위 주제: <소외되었던 내 몸과 마음> 1) 무시되었던 내 몸 = 늘 아파하고 있었던 내 몸 = 전혀 듣지 못하고 알지 못했던 내 몸의 소리들 = 좋은 기억과 느낌만으로 받아들여질 수는 없었던 성 2) 벗어나기 힘들었던 감정의 고리들 = 눌리고 답답했던 마음의 굴레들 = 수수께끼처럼 얽혀 있던 가족에 대한 감정들 <비로소 들여다보게 된 내 몸과 마음> 1) 사랑해주고 싶은 나의 몸 = 내 몸에 진심으로 사과하고 감사하고 싶음 = 내 몸의 소리를 듣기 시작함 2) 몸과 마음은 하나다! = 늘 하나였던 내 몸과 마음 = 몸에서 우러나기 시작한 표현의 힘 = 지금 이 순간을 살고 싶음 = 살아나는 사랑과 화해의 기운 <내 삶의 주인이 내가 아니었음을 발견> 1) 바깥으로 향해져있던 내 삶의 잣대 = 끊임없는 비교와 채찍질의 연속 = 타인을 통해 보여지는 나 2) 닫혀져 있던 관계 <나를 중심으로 새롭게 시작되는 나와의 만남> 1) 세상을 향해 굳게 발디디고 섬 = 단단한 발 내디딤의 시작 2) 내 속의 나와 만나는 시간 = 나로 향하는 집중의 즐거움 = 깊은 곳에서 우러 나오는 표현의 욕구 3) 열려지는 관계 = 나의 변화의 시작으로 움직여가는 관계의 힘 <내 몸을 받아들임으로부터 시작되는 변형의 기운> 1) 내 몸과 움직임에서 나오는 신비한 힘 = 몸이 시작이다! = 언어와 몸을 하나로 모아내고픔 <달라진 세상> 1) 멈추지 않는 새로운 체험의 시간들 = 치유적 체험의 순간 = 새롭게 계속되는 체험의 과정들 = 내 안의 무의식에 대한 관심이 생겨남 2) 내 안에서 생겨나는 살아감의 힘 = 더욱 깊고 넓게 보이는 세상 이러한 주제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신의 몸 속에, 마음 깊은 곳에 지속되어 오고 있던 기억들, 감정들, 경험들을 부정하고 억압하고 외면하기도 했던 시간들을 서서히 받아들여 가면서 내게 일어났던 사실과 상황들을 새로운 눈으로 다시 바라 보며 내 존재가 살아 나가는데 필요한 과정이었음을 인식해가게 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몸과 마음의 연결을 체험하면서 이 둘이 별개의 분리된 실체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어느 한 영역이 또 다른 영역을 빌어 그 실체를 드러내게 되는 불가분의 통합체임을 보게 되었다. 둘째, 모든 체험의 과정은 나로부터 출발하고 다시 나로 돌아오는 과정의 연속이었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좀더 깊게 타인을 만나고 교류하는 지점들도 거치게 되었다. 객관적으로 나를 들여다보고 자각해가는 과정과 내 안의 중심을 잡고 발 디딜 수 있는 내면의 힘이 중요했다. 셋째, 진정한 치유를 위해서는 마음과 영혼과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몸의 치유가 그 토대가 되어야 한다. 한 개인의 치유 체험은 새롭게 계속되었고 또한 춤과 움직임 속에서의 황홀경 체험도 좀더 깊은 단계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심리치료사가 치료자로서의 기본적 자질과 인격을 갖춰 나가기 위한 다양한 자기 훈련을 해나감에 있어서, 몸을 기본으로 한 프로그램들의 체험이 자기 훈련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연구참여자들중 다수가 아동심리치료 전공자는 아니었지만 그들의 경험을 통해 나타난 점진적인 몸과 마음의 변화 과정은 아동심리치료사들에게서도 직접적으로 충분히 그 의미와 유용성이 살아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둘째, 아동 대상의 심리치료는 성인 대상의 심리치료보다 언어적 제한점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치료기법들을 적용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특히 아동을 위한 Body Psychotherapy에 초점을 맞춰 통칭적으로 아동의 몸에 대한 관심을 그 출발점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본으로 성인들의 체험의 의미과 그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아동심리치료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선정에 제한점을 갖고 있다. 연구의 타당성을 위해서도 연구참여자 선정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후 연구에서는 좀더 많은 아동심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몸중심 체험 수련 과정을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그러한 과정이 실제적인 자기 훈련에 얼마나 많은 의미를 담게 되었는지를 좀더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도구로서 Body-Mind Centering의 의미를 담은 프로그램들이 주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참여하여 체험했던 프로그램들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연구 도구로서 선정될 때, 그 도구가 일반적, 객관적으로 얼마만큼 타당화되어 있는 지에 대한 정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그러한 지속적 작업을 통해 Body Psychotherapy분야의 점진적 향상과 발전 또한 모색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possibility and meaning of experience of program, especially based on the body when the child psychotherapist does various self-training to have basic quality and personality as a therapist. To do this, we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of body and mind and the meaning through many programs which are oriented to the meaning of Body-Mind Centering in Body Psychotherapy, and we proceed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based on individual phenomenal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at the connection between body and mind and experience of changes is, and what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is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crete program that is oriented to the meaning of Body-Mind Centering in Body Psychotherapy And also, groping about whether such experiences can be utilized as a self-training program for child psychotherapist will be included. The participants are in graduate school of professional therapy technology and graduate school of public haelth and environment studies which i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and they are totally 8 and majoring in child psychotherapy, Dance/Movement psychotherapy or Performance and Art therap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process of experiences appeared in interview and personal records(Diaries, Letters, etc.) as a basic data. Based on thi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done step by step. There were six of main subjects after analysis, and the related sub-subjects are as follows; Main Objects : <My body and mind that have been shunned> <My body and mind that I saw for the first time> <Finding that the master of my life was not me> <Encountering myself that is centering around me and starting newly> <The power of change that is starting from accepting my body> <The changed world> Sub-Subjects: <My body and mind that has been shunned> 1) My body that has been ignored = My body that has been always sick = Voice of my body that I never have heard and known = Sex that has not been always able to be accepted with good memory and feeling 2) Rings of feeling that has been difficult for me to escape from = suppressed and stuffy restriction of mind = Feeling about my family that has been entangled like a puzzle <My body and mind that I saw for the first time> 1) My body that I want to love = Would like to apologize and express thanks to my body sincerely = Getting to hear the voice of my body 2) Body and mind are one ! = My body and mind that have always been one = The power of expression getting to rise from the body = Wanting to live this moment = The power of love and reconciliation that are getting revived <Finding that the master of my life has not been me> 1) the standard of my life that has been toward outside = Continuous comparison and whipping = Me who is seen through other person's eye 2) Relationship that has been closed <Encountering myself that is centering around me and starting newly> 1) Setting foot on tightly toward the world = Starting to set foot on 2) Time to encounter myself in me = Pleasure of concentration on me = Desire of expression rising from deep point 3) Relationship that is getting to be opened = Power of relationship that moves me into the start of change <The power of change that is starting from accepting my body> 1) mysterious power coming from my body and motions = Body is the start ! = Wanting to combine language and body <The changed world> 1) Time of new experiences that doesn't stop = Moment of healing experience = Processes of experiences that continues to be new = Getting to be interested in unconsciousness inside me 2) Power of living that rises inside me = The world that is seen more widely The result from analysis of this subjects are as follows ; Firstly, people accepted the time for denying and suppressing and ignoring the memories, feelings and experiences that have been sustained at the deep point inside himself/herself. They took a look again affairs and situations that occurred to themselves and recognized that those were necessary for their existence to live with. Experiencing the connection of body and mind in this process, people saw these two things were not separate but inseparably integrated thing that one side exposed its existence by borrowing the other side. Secondly, every process of experience was continuous process that started from me and went back to me. People encountered other persons more deeply and went through exchanging point in such process. The process of seeing and recognizing themselves objectively and the inside power to set foot on with centering of their mind were important. Thirdly, Curing body that can never be separate from mind and sprit should be a base frame for the genuine freedom. A person's experience of curing continued newly and experience of ecstasy in dance and motion enabled interest in and concentration on much deeper step.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s from su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that experience of program based on the body can be used for self-training when the child psychotherapist did various self-training to have basic quality and personality as a therapist. Many of the participants, of course, didn't major in child psycholtherapy, but the gradual changing process of body and mind appeared through their experiences can be meaningful and useful for child psychological therapist directly and fully. Secondly, psychotherapy of which objects are children applies more various therapy techniques than adults due to linguistic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we regarded the interest in the body of children as a starting point focusing on Body Psychotherapy for children. Through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process of experience of adults based on such critical mind, we could forecast whether the meaning and process of experience of adults could be applied to fields of child psychotherapy. Thirdly,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in choosing the participants. We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nts for propriety of research. In the future, we have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body-oriented training more vividly and concretely and we need to research more deeply on how much meaning that kind of process includes in the substantial self-training. Fourthly, this research importantly treated the programs that have the meaning of Body-Mind Centering as a research tool. The program that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and experienced commonly were main things, in the future research, we need to verify how much proper those kinds of tools are generally and objectively when they are chosen as a research tool. The gradual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Body Psychotherapy industry can be groped for through such continuou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