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 소형포교당의 운영과 포교방향에 관한 연구

        정기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도심 취약지역 소형포교당의 열악한 운영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형포교당에 적합한 운영과 포교 방향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논자는 한국 도심포교의 역사와 포교 현황 그리고 성장 요인을 살펴보고 변화된 한국 사회 속에서 불교포교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려고 하였으며, 특히 도심의 소형포교당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주요 사찰들은 대부분 산속에 있으면서 승가의 수행처나 강원 아니면 문화재 관람용 사찰이기 때문에 구조나 기능적으로 신도 관리나 교육포교 등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교통문제도 커다란 장애 요인 중 하나였지만, 사찰들이 주로 승가 위주로 운영되면서 재가자들에 대한 신행 상담이나 교리 교육 등 신도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는 없었다. 이렇게 소극적이던 불교가 도심 포교당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것은 대중들의 강한 종교 욕구에 부응하고, 개신교를 비롯하여 타 종교의 급속한 확대에 위기의식을 느꼈으며 그리고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도시민들의 문화 주체 의식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도심 포교당의 등장은 불교의 대중화라는 점에서 현대 한국불교의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는 서구적 개념의 경제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으며, 도시 집중으로 인하여 인간 소외 현상과 스트레스는 심각해졌다. 이러한 사회변화 속에서 상대적으로 종교욕구는 분출하였지만, 불교계는 이런 욕구를 제때에 간파하지 못하고 산중 사찰에서는 ‘자발적으로 사찰을 찾는 사람으로만 구성하는’ 구습의 포교를 지속하였다. 불교계나 종단에서 신흥도시와 도심 변두리 등 경제 여건이 열악하고 어려운곳(소외되고 취약한 지역)에 관심을 갖지 않고 소홀히 함으로써 전통종교인 불교는 그 영향력을 급속히 상실해 가고 있다. 그러는 사이에 타 종교의 교세는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 도심의 소외 지역 포교 방법과 전략 설정은 이런 위기 속에서 불교계의 선결과제가 되었다. 도심에는 대형포교당이 소수 있고 도심 변두리나 주변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에는 창건한지 오래지 않은 소형포교당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런 소형포교당들은 전반적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소형포교당들이 유지 발전과 불교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성장해 가는 방법과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본 연구는 소형포교당에 맞는 운영과 포교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찰과 포교당의 구분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산속에 있는 절은 포교보다는 찾아오는 신도 위주로 운영해 왔기 때문에 절의 규모가 작아도 대개 사찰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편 도심으로 들어와 처음부터 포교를 목표로 설립했고 포교를 주된 기능으로 운영하고 있는 절은 규모가 커지고 신도수가 확장되어도 포교당, 포교선원으로 부르고 있다. 혹자는 포교사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논자는 논문의 주 연구 대상인 취약지역 소형포교당의 범위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려고 한다. 도심의 변두리나 신도심 개발지역, 도심에서도 경제력이 취약한 지역 그리고 주위에 교회 전도관은 많고 사찰은 없어서 불교가 필요한 지역에서 소형으로 포교당을 설립하고 불교포교에 전념하고 있는 곳이다. 그 객관적인 기준은 첫째, 도심의 빌딩이나 다세대 주택 그리고 편의시설 등의 일부에 입주하여 소규모로 설립하고 포교하는 곳. 둘째, 신도 가족 축원장 기준 300세대 이하이며 신도수 600명 이내인 곳. 셋째, 상주 재적 승려 수가 1-2명 이내인 곳이다. 위와 같은 요건을 충족하면 소형포교당으로 분류할 것이다. 소형포교당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건물 관리비나 운영진의 활동비 그리고 포교비용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소형포교당 설립자들은 일반적으로 설립 자금도 부족하고 포교 방법과 운영관리 및 신행활동 지도의 대안도 없이 포교당만 설립해 놓으면 잘 운영 되리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개인 포교당의 반수 이상이 3년 이내에 양도하거나 문을 닫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개인 손실도 크지만 관련 불자들의 실망감과 더불어 불교 저변 확대 및 삼보정재의 막대한 피해가 되고 있다. 포교는 조계종의 3대 종책 사업이고 한국불교의 미래가 포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불교에서 포교가 갖는 정확한 위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포교의 노하우가 널리 공유되거나 전달되지도 않고 있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고 소형포교당에도 적합한 포교방법이나 기법 등이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는 성장한 포교당의 학술적인 부분 즉 이론에 치우쳐 추상적이고 문장이 어려워 소형포교당에서는 실제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도심에 소형포교당의 포교가 성공적으로 유지되려면 사회 변화와 환경에 맞는 포교 마인드도 중요하지만, 포교활동에 있어서 마케팅적 개념 도입과 포교방법, 운영 관리 및 새로운

      • 불교명상이 유일신 신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재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71

        1. 이론적 기초와 가설도출 기독교 신앙의 본질은 타력신앙이다. 즉 유일신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순종의 신앙이다. 기독교인들은 인간의 구원과 완성은 스스로의 노력과 책임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하나님의 사랑과 은총으로 이루어짐을 믿는다. 하나님의 섭리와 은총이 없이는 인간 스스로의 구원은 없다고 보는 신앙관이다. 반면에 불교 신앙은 자력신앙이다. 즉 불교에서는 자신의 수행으로 깨달음과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불교 신앙에서는 인간 구원의 중보가 되는 구세주 메시아가 필요하지 않다. 붓다는 구원과 해탈의 길을 위한 안내다 혹은 모범자의 위치이지 구원의 주체로서의 구세주는 아닌 것이다. 유일신교의 자력 신앙과 불교의 타력신앙이 서로 상반될 길인 것처럼 보이지만 연구자는 이 두 길은 상반된 길이 아니라 상보적인 길이라고 본다. 기독교의 성경에 보면 기독교의 구원이 오직 예수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구원이 자신의 믿음과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는 구절도 있다. 불교 경전에서도 타력 신앙이 필요함을 말하는 법구가 있다. 즉 구원과 해탈을 위해 부처님의 가피가 있어야 함을 말하는 법구가 있다. 불교의 신앙을 한다는 것은 삼보에 귀의 한다는 것이다. 삼보에의 귀의는 부처님, 법, 스님의 인도와 가피를 서원하는 것이다. 불교의 신앙길에도 부처님의 인도와 가피로 해탈과 열반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가설 “불교명상이 유일신 신앙자의 신앙성장과 발달 요인이 된다.”는 유의미함이 입증되었다. 유일신 신앙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불교 명상이 유일신 신앙을 부정하거나 약화시키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독교와 불교 신앙의 교육과 실천에서 상호보완적인 요소가 많다. 즉 타력 신앙 중심의 기독교에서 자력 신앙 중심의 불교의 수행법을 수용하여 적용한다면 기독교 신앙을 강화시키는 요인 될 것이다. 불교 수행은 삼학(계정혜)의 체제로 이루어졌다. 사마타 명상과 위빠사나 명상을 위해서 먼저 계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계율을 준수하여 도덕적으로 윤리적인 청정한 삶이 이루어질 때 사마타와 위빠사나 명상이 심화될 수 있다. 계수행이 유일신 신앙자에게 유익함은 (1) 마음의 정화와 청정함의 계발과 유지 (2) 겸손한 신앙 자세 확립 (3) 신성과 혹은 불성을 계발하여 자연 혹은 우주와 일체의 체득이다. 위빠사나 명상을 통한 마음챙김 개발은 기독교 신앙성장 발달에 유용한 수행법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불교 수행법 중 사마타 명상은 집중력을 계발하여 마음의 고요함과 평온을 증득을 위한 것이다. 사마타 명상을 통해서 번뇌에서 벗어나 선정의 요소들이 일어난다. 사마타 명상을 통해서 번뇌에서 벗어나게 되면 마음의 정화와 청정함이 증득할 수 있다. 불교 명상과 기독교의 기도가 추구하는 바는 각각 다르지만 사마타를 통해 나타나는 종교적 경험과 기도에서 나타나는 종교적 경험과 유사하다. 따라서 기독교가 이러한 사마타 명상을 기도하는 방식으로 적용하게 된다면 기독교 신앙인이 추구하는 것들이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 기독교 신앙의 최종 목적은 신과의 합일이다. 사마타 명상은 기독교인들이 추구하는 신과의 합일에 이르게 하는 유익한 방편이 될 수 있다. 마음을 정화하고 청정하게 하면 내 안에 있는 신성이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위빠사나 명상은 기독교의 죄성을 이해하고 그 죄성을 소멸시키는 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독교는 인간의 고통과 불행은 인간이 죄성에 사로잡기 때문이라고 본다. 위빠사나 명상을 통해서 죄성의 무상함을 관찰하게 된다면 인간이 죄성으로부터 벗어나 선한 성품을 계발하고 신성과의 교통을 경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 결과 분석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인 ‘10주 불교 명상 프로그램’의 마음챙김 계발효과와 관련하여, 분석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마음챙김 척도 점수가 상승하긴 했지만 실험집단의 점수상승폭이 더 컸고 특히 비판단적 수용과 현재자각 요인은 실험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마음챙김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며, 이상을 고려하여 다음의 가설을 채택하였다. -가설 1. 불교명상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마음챙김(과정변인)이증가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지될 것이다(채택) 가설 2-1.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신-이미지(소속감, 승인감)가 유의미하게 발달할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지될 것이다.(부분 채택). 가설 2-2. 기독교 신앙이 성숙함에 따라 신앙발달검사의 2~3단계에 속하는 응답수는 줄어들고 4~5단계에 해당하는 응답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지될 것이다. (기각) -가설 2-3.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기독교 신앙이 성숙함에 따라 나타나는 내재적 신관과 초교파적 태도, 신 또는 주변 존재들과의 강화된 연결성을 측정하는 통합적 영성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지될 것이다. (채택) -가설 2-3.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신앙 행동 수준이 유의미하게 상승할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지될 것이다. (채택) 3. 종합논의 본 연구는 불교명상 및 기독교 신앙 발달에 대한 문헌 연구를 기초로 마음챙김을 핵심 기제로 삼아 기독교 신앙인들의 신앙발달에 포커스를 맞춰 불교명상 프로그램인 ‘10주 불교 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나누어 10주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사후 및 추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불교명상이 기독교 신앙발달에 끼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는 마음챙김의 향상 및 이를 통한 기독교 신앙의 유일신 신관의 긍정적 발달 및 신앙의 균형잡힌 통합적 발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본 프로그램를 통해 불교명상의 핵심 기제인 마음챙김이 계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 점수의 유의한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이렇게 계발된 마음챙김이 기독교 신앙 발달 관련 주요 측정변인들에 각각의 마음챙김 측정치(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들을 공변량으로 투입한 결과, 마음챙김의 네 개 요인들이 기독교 신앙 발달의 다양한 차원(현존, 도전, 소속감, 통합성, 초월성, 초교파성, 연결성, 통합적 영성, 실천적 영역)의 계발에 상당한 긍정적 효과를 끼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10주 불교명상 프그램의 다른 핵심기제인 사마타 명상과 자비명상이 끼치는 영향력은 검사를 통해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음챙김의 하위 요인 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에서는 사전-추후만 유의한 점수 상승이 있었고 사전-사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실제로 점수 상승폭도 약 10%에 그쳤으며 이는 참여자들의 마음챙김 수준이 보다 크게 유의미하게 상승하려면 2시간씩 10주, 총 20시간의 프로그램만으로는 부족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혹은 실험참여자들의 숫자가 16명으로 적은 것 역시 몇몇 요인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불교명상에 기초한 ‘10주 불교 명상 프로그램’이 기독교 신앙 발달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면 상당히 고무적이다. 우선, 신의 현존을 느끼고 신에 대한 사랑과 신뢰의 감정을 반영하는 신앙-이미지의 소속감 요인(현존, 도전)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정확히 어떠한 기제로 불교명상이 이러한 신-이미지의 긍정적 변화를 낳았는지는 연구를 통해 밝혀내지 못했지만, 프로그램 내의 마음챙김과 자비명상 요소가 참여자들의 자각 수준과 긍정적 정서에 영향을 끼쳤고 이것이 신의 현존을 보다 생생하게 느끼고 사랑과 자비의 이미지로서 신을 떠올리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비록 본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이 기존의 신앙 수준(주로 인습적 수준)을 벗어나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하게 하는 데는 실패하였지만 통합적 영성 척도 점수의 상승을 통해 볼 수 있듯이 성숙한 신앙의 다양한 측면들의 계발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마음챙김과 밀접한 통합성 외에 초교파성과 연결성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한것에 주목할 만하다. 특히 최근 기독교계에 가해지는 신앙의 배타성, 편협성, 자기중심성에 대한 혹독한 비판을 고려할 때, 기독교와 완전히 다른 문화적, 종교적 전통에 기초한 불교 명상 프로그램의 경험이 참여자들의 신앙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으로 강화하고 기존의 배타적 태도와 자기중심적 신앙을 극복하여 보다 다양한 종교적, 영적 전통의 인정, 타자와의 소통의 가능성의 문을 연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불교 명상이 기존의 신앙 발달 수준에 고착되어 있는 이들에게 새로운 활로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기독교계가 다른 종교의 영적 수행체계를 들여옴으로써 오히려 자신의 신앙을 건강하게 다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보다 자세히 탐구되어야 할 주제이다. 4. 제한점과 제언 몇몇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무선할당의 원칙을 지키지 못했다. ‘명상과 심리치료’를 수강하는 기독교 신앙인들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면서 비교집단에는 비슷한 연령, 성비, 종교 경력의 신앙인들을 설정하였다. 명상과 심리치료라는 과목을 택한 참여자들의 경우, 비교집단과 사전점수 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집단은 불교명상의 체험에 자원자들이고 비교집단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이미 초교파적인 태도를 어느 정도 지니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참여자 수가 18명으로 적은 관계로 우연에 따른 유의한 효과 혹은 유의한 효과가 있음에도 배제되었을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명상 집단에 적합한 10~20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복수의 집단을 돌리는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자원의 한계로 이를 실행하지 못하였다. 추후의 연구들은 이를 반영하여 복수의 집단을 돌려 효과 검증의 객관성을 한층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자가 프로그램 진행을 했다는 점에서 연구자와 진행자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이 연구 결과를 오염시켰을 위험성이 남아 있다. 이후 10주 불교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훈련을 받은 다른 진행자가 실시하여 비교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처치효과를 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바람직성이 작용해 응답에서의 긍정적 편향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비교집단의 경우 측정요인들의 전반적인 평균 점수가 6점 만점에 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반복적인 측정에 따른 학습효과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비교집단의 경우 실험집단에 비해 근소하긴 했지만 사전-사후-추후에 걸쳐 몇몇 요인들의 유의한 점수상승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추후의 시점을 종강시점에 맞춰 약 5주로 제한한 것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지속적 효과를 보기에 적합한 시점이 최소 3개월임을 감안할 때 추후 효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검증을 어렵게 한다. 이상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복수의 무선할당된 불교명상 집단의 진행을 통해 명상이 기독교 신앙에 끼치는 효과를 추후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으로 관찰하는 좀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또한 불교명상의 기제가 마음챙김 외에도 사마타, 자비명상 같은 기제들이 또 다른 신앙발달 효과를 지닐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이에 대한 연구들이 축적될수록 종교간 상호촉진 효과가 밝혀질 것이며 이는 결국 진리는 하나이며 종교는 그것을 표현하는 다양한 표현 방식이라는 영원의 철학의 주장으로 귀결될 것이다. 강이 수만 갈래로 나뉘는 흐름이 있으면 하나로 합쳐지는 흐름이 있듯이 본 연구는 불교와 기독교의 흐름이 합류할 수 있는 가능성의 문을 열었으며 이 문이 이후의 연구에 의해서 계속 커지고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The basis of the Christian faith is one of dependence on others. This means that it is a faith of belief and obedience to the only one God. Christians believe that salvation and perfection is not based on their own effort or responsibility but only on the grace of God's love. It is a faith that believes that without the grace of God there can be no salvation. On the other hand the Buddhist faith is one based on one's own efforts. This means that a person can receive enlightenment and nirvana by practicing asceticism. Accordingly in the Buddisht faith there is no need for the mediator the Messiah for human salvation. Buddah just shows the way for salvation and enlightenment. He is in the position of being the model not as the main subject of salvation. At first glance it appears that the faith of dependence on the one and only God and Buddhism which is based on one's own effort seem to be going opposite ways but this researcher asserts that these two ways are in fact not opposite but complementary ways. In the Christian Bible we can see that the salvation of Christians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Jesus Christ, but we can also see salvation as being realized based on one's own faith and effort. The hypothesis in this research shows the significance that "Buddhist meditation is one element for the spiritual growth of a person who believes in the one God."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at contrary to the thought of people who believe in God, Buddhist meditation does not deny or weaken the faith of those who believe in G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re are many complementary elements between the education and practice of the Christian and Buddhist faiths. This means that if Christianity which is a faith based on dependence accepts and incorporates the Buddhist self-discipline and training which is based on personal effort, then this can be an element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Christian faith. The researcher was able to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 through Vipassana meditation was a useful method of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faith. The Buddhist training practice method of Samatha meditation js to help develop one's concentration and tranquility and peacefulness of the mind. Through it one can escape from anguish and receive beneficial ele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research is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 through a "10 week Buddhism medit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oth the tes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score with regards to mindfulness, the increase in the scores of the test group was greater. Especially the elements of the acceptance of being non-judgmental and present aware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s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gram used in this research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indfulness and considering thi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chosen. Hypothesis 1. The test group which experiences Buddhist meditation will reach an increased state of mindfulness a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is effect will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has finished.(adopted) Hypothesis 2-1. The test group a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will significantly develop the image of God (sense of belonging and sense of acceptance). And this effect will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has finished. (partly adopted) Hypothesis 2-2.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the Christian faith those who reply that they belong to the 2~3 stages of the inspection of faith will become smaller and those who reply that they are in the 4~5 stages will significantly increase. And this difference will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has finished. (rejected) Hypothesis 2-3.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the Christian faith the scores which measure the overall spirituality of the test group a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with regards to the internal divinity and interdenominational attitude, and the increased connection to God and the surrounding existences, will significantly increase. And this effect will extend even after the program has finished. (adopted) Hypothesis 2-4. The level of the action of faith of the test group a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will significantly increase and this difference will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program has finished. (adopted) This research is about the effects of Buddhist medit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faith. For this a "10 week Buddhist medit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effects of mindfulness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faith was developed. Afte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tes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and a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of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a 10 week Buddhist medit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faith. This effect c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 and the positive effect that this had on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faith with regards to the view of God as the only one God, and the overall well balanced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faith. Through this program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mindfulness which is the established core of Buddhist meditation could be developed. The scores for attention concentration, acceptance of criticism, awareness of the present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matched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fact that this researcher conducted this research project himself means that there is a danger of the contamin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Because of this there is a need for other scholars who have gone through this 10 week Buddhist meditation program in the future to compare and verify the results. To conclude, in order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 a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was used and social desirablity was applied which means a positive bias could exist. Especially in the comparison group the elements that were measured showed a general average of 4 and above out of a total of 6. In reality in the case of the comparison group even though it was slight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of some of the criteria showed a significant rise as compared to the test group. To conclude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there is a need for a larger and more long-term scale study and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Buddhist meditation on those of the Christian faith. And we should not ignore the possibl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n the development of faith of other established forms of Buddhist meditation besides mindfulness like the meditation on mercy in Samatha meditation. In order for this kind of research to be accrued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religions should be disclosed and the conclusion be drawn as an eternal philosophy that truth is one and that religions are a different expression of this truth. As many tributaries flowing into a river combine together to make one river this research that the flow of Buddhism and Christianity combining has been opened and after based on this thesis it is expected that this combining can continue to grow.

      • 저도자아( Hypoego)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초기불교적 이해를 중심으로

        정민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연구는 저도-자아 현상에 대한 초기불교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저도-자 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초기경전에서 나타나는 붓다의 가르침을 토대로 현대심리학의 저도-자아와 초기불교의 자아관념[有身見]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저도-자아 문항, 척도의 개발 및 분석 그리고 타당도 검증과정 등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II-1. 현대심리학의 저도-자아’에서는 저도-자아와 고도-자아의 특 성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저도-자아는 ‘현재 경험 중심적인 자각’, ‘비사변 적 주의’, ‘자기 객관화’, ‘타인의 평가에 대한 비 반응성’의 4요인으로 정의하 였으며 이러한 저도-자아의 특징은 초기불교의 수행이 추구하는 방향과 매우 유사하였다. ‘II-2. 초기불교와 저도ㅡ자아’는 저도-자아 현상에 대한 초기불 교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저도-자아 구성개념과 유사한 붓다의 가르침을 경전 안에서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초기불교 안에서 자아의 강화상태는 ‘유신견’에 해당되는데, 유신견을 다루는 초기불교의 수행법은 현대인들이 지니는 고도- 자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기 경전은 유신견을 제거하기 위해 사띠(sati) 수행을 제안하는데, 마음챙김 (sati)을 통해 유신견을 제거하는 방법은 저도-자아의 상태를 만드는 과정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두 번째 구성은 ‘저도-자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실험 적 접근이다. ‘III-1. 저도-자아 척도의 개발’[연구1]을 위해 초기경전인 5부니까야와 위숫디막가(淸淨道論)의 일부 등에서 저도-자아 구성개념과 가까 운 설법, 대화, 질문과 답변 등을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초기경전 에 나타나는 저도-자아적 구성개념을 탐색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내용 타 당도 평가를 거쳐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이 추출되 었다. 이어서 문항 신뢰도 검사를 통해 각 요인 당 7문항씩, 총 28문항을 선 별하였다. ‘III-2. 저도-자아척도의 타당화’[연구2] 과정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 해 총 24문항을 저도-자아 척도로 확정하고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4요 인 구조의 연구모형의 CFI는 .906, TLI는 .894, RMSEA는 .057로 적합하다. 저도-자아 척도의 타당도 검증 결과, 해리 경험과는 부적 관련성을 보였으며, 마음챙김, 자기자비, 이타성 및 용서와 같은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과는 상당한 크기의 정적 관련성이 나타났다. 반면,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병리적 심리 특 성과는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명상 유경험자 집단과 무경험자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저도-자아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명상의 발 전과정에 저도-자아 척도가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불교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저도-자아 척도를 개발하여 명상 자에게 적합한 저도-자아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준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융합연구는 붓다의 가르침을 통한 개인의 수행(bhāvanā)과정을 객 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시도라고도 볼 수 있다. 명상을 통한 자아관념의 수 준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행의 방법, 기간, 대상에 따라 저도-자아와 자아관념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 였다.

      • 불교 수행에 있어서 우뻬카(Upekkhā)에 관한 연구 : 초기·상좌부 불교를 중심으로

        박재은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71

        Buddhism is composed of a theoretical doctrine system and a fulfillment system meaning the practice of clear and pure doings. While the theoretical doctrine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intellectual aspects of phenomenon, clear and pure doings emphasizes practical behaviour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To put this simply, this is a matter of realization and cultivation. Representative practices in early Buddhism present a parallel practice of the Jhāna of Samatha, based on the religious precepts, and the insight of Vipassanā. This system including all precepts, Jhāna, and añña are accompanied by a series of methods leading to the ultimate destination by gradual cultivation. Also, in the process of this gradual improvement, Sati is introduces as a key method of practice essential in the practice of the Jhāna of Samatha and insight of Vipassanā. Sati is not only emphasized in Samatha and Vipassanā, but is also always required in the bearing of the precepts. However, there are no performative advantages of found Upekkhā in the unique functions of Sati. Also, the unique functions of Sati cannot be found in Upekkhā as well. Therefore, the two practically need each other. Upekkhā and Sati can be peacefully carried out only when they mainta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ogether rather than acting independently. In terms of the practice of Buddhism, compared to Sati, which has received quite attention up until now, Upekkhā, despite its practial importance and weight, has not been well known and it's a fact that is has been out of interest. However, in practice, Upekkhā has much of an important weight as Sati does. Since Upekkhā possesses important factors essential for practice, its importance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e key functions of Upekkhā are fair observation and calm composure based on sense of balance. This allows one to make fair observations when viewing a phenomenon without prejudice or other thoughts and maintains balance of the mind so that one’s thought do not lean to a certain direction due to preference, hatred, and so on. Also, since preventing agitation, this maintains inner calmness as well. Above all, balance works as the key property of Upekkhā. A break in balance leads to agitation, and agitation cannot ensure fair observation or calm composure. In addition, is Sati is not supported by Upekkhā, it can be said that peaceful practice cannot be carried out, and in terms of actual practice, Upekkhā and Sati show characteristics of accompanying each other which indicates that Upekkhā is as important in performace as Sati. In fact, Upekkhā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Samatha and Vipassanā, and shows participa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Not only in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but it is also described as a complete state of mind of the meditator the religion who has achieved complete añña as well. So to speak, it implies ambiguous values such as playing the role of a tool and including the inner stage of total realizat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have been discovered in detail through research of Upekkhā in terms of the practice of Early Buddhism and Theravāda Buddhism.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the word, Upekkhā meant fair observation, balance, calm composure, and such, but in modern literature, there are attempts to understand Upekkhā using the words skillful, force, energy, penetration, altruism, and so on. Especially, these studies regarded ‘Tatramajjhattatā’ and Upekkhā to be the same, an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tatra’ in ‘Tatramajjhattatā’ changed to ‘specific’ then to ‘specific neutrality’, which is expressed differently than the origin of the term. Also, Upekkhā is only known in ten types. The main reason why Upekkhā and ‘Tatramajjhattatā’ are being regarded as the same, and discussions of the ten types of Upekkhā are ongoing was found out to be the result of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Visuddhimagga, a literature of Theravāda Buddhism from the 5th century, as is. Visuddhimagga does inherit the traditions of early Buddhism, but since there are contents that seems to be added in later generations, relying only on this literature has the risk of narrow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Upekkhā or leaving partial misunderstandings. Secondly, among the predicates modifying Upekkhā, only fragmentary parts have been included or known such as neutrality, indifference, physically indifferent feeling, and so on. However, when examining the examples set in Nikāya, an early scripture, these predicates have been confirmed to be far from Upekkhā and more colorful types of Upekkhās than actually known have been discovered. Also, all Upekkhās were considered to be in complete balance, but actually Upekkhās applied in Supermundane and Mundane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in some cases even show differences in qualitative levels as well. Thirdly, in Vibhaṅga, a treatise of Abhidhamma, ‘Majjhattatā’ modifies Upekkhā, which initially was used alone. However, in Visuddhimagga, ‘tatra’ was added and as a result, it has unfolded to the form of ‘Tatramajjhattatā’ of today and became to mean ‘complete neutrality’. This predicate is difficult to fi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has been taken root as a unique expression method of Visuddhimagga, and most Pāli related literature after Visuddhimagga uses Upekkhā and ‘Tatramajjhattatā’ as synonyms. The reason why regarding ‘Tatramajjhattatā’ and Upekkhā as the same is irrational is because all Upekkhā are not considered to be of a complete balanced state. Fourthly, when examining the classification methods on Upekkhā in Visuddhimagga based on Early Buddhist scriptures, changes of the Upekkhā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re shown in forms such as disappearing in Visuddhimagga or going through transformations and even turning into something new, and there even has been some discoveries of differences along with similarities in terms of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Upekkhās are all the same as explained by Visuddhimagga, but rather than the expression method being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there are cases where it possesses a different characteristic to start with and show qualitative differ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ifth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Visuddhimagga, a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plan that can be differentiated with Visuddhimagga. Due to these attempts, an emphasis can be made on the plural aspects of Upekkhā. However, since each Upekkhā possesses two or mor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 flexibility must be kept in mind that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 can be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observer. Therefore, the optimum way to guarantee the uniqueness of Upekkhā is to not categorize them in a certain frame. Sixthly, Upekkhā-cetovimutti has only been known as a noble quality that treats all existences equally, but in the practice of the Jhāna of Samatha, it was found out that it plays the role of the subject of practice that can demonstrate concentration as high as to reach the base of nothingness. Also, Upekkhā measures strengths with the other factors of Jhāna and helps stabilize Jhāna, which except for the immaterial sphere, especially the Upekkhā most solid in the fourth Jhāna plays the role of the practical factor of Jhāna that is the basis for the optimal Vipassanā. Also,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out that Upekkhā portrays Sati while Sati supports Upekkhā, which are usually accompanied by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Visuddhimagga, Upekkhā is described to only exist in the material sphere, but according to Early Buddhist scriptures, it was confirmed that it also appears continuously in the immaterial sphere as well. Then again, in achieving perception-feeling-cessation, along with Upekkhā, Sati as well ceases to exist and so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precondition of Jhāna, ‘mindfulness right here’ is not fulfilled. Henc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for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status of perception-feeling-cessation which is at the top of the 9 revel meditative attainment of the practice of Jhāna. Seventhly, when practicing the four foundations of indfulness in Jhāna, it allows the meditator to keep balance of the mind and to see things fairly, and not only in Jhāna but also in the everyday life, when Sati does not lose its target, Upekkhā provides a fair observation based on the balance that does not agitate. Also, after Buddha was introduced in the fourth Jhāna, the reason why he reached complete nirvana was inferred to be because all pains that are accompanied in complete nirvana are viewed with insight as añña and the peace of Upekkhā was maintained that does not view them as neither something painful nor enjoyable, all due to Upekkhā and Sati which are the most solid in the fourth Jhāna. Eightly,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gradual fetter of the noble ones, most Upekkhās can be viewed as possessing a useful tool to remove the fetter and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cess. Then, Upekkhā Pārami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ust be cultivated in order to become a noble one, and at the same time a inner quality a noble one possesses like Buddha. Ninthly, it was found out that although Arahant, being complete does not mean that all activities of the mind stop, but rather means living by maintaining Upekkhā at all times. Also, in order to develop Upekkhā, Sati must be maintained, and above all, it was learn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concentrate on developing Upekkhā to enhance gradually. As the functions of Sati are required in terms of practice, Upekkhā as well can be seen as having the same weight. This is because it must be maintained in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as well as after achieving the destination, and it possesses a key practical capability that has to remain to the very last moment. If Upekkhā is developed and maintained, negative emotions that exist can be shut off and while one leans one’s minds to Upekkhā, his or her mind becomes and remains clean. While this happens, new wrong thoughts or emotions do not form during the process and even when negative emotions suddenly occurs in a conscious level, one is able not to react sensitively to them. Also, since one is able to live without meaningless arguing of right and wrong by being overly involved in others’ matter in the sundry world and even if such occurs inevitably, one is able not to be too excited or too depressed and rather maintain a balanced view, a comparatively mature decision can be made. So to speak, one becomes equipped with a proficient mental power. Since Upekkhā possesses the usefulness of being utilized to develop not only Supermundane but also Mundane that hopes to lead a more stable, peaceful and carefree life, it will newly be established as a helpful physical and mental quality for all regardless of Supermundane or Mundane.

      • 불교명상과 천주교 관상기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비교연구

        김혜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 안에서 불교명상과 관상기도를 실천하는 수행자들이 겪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고유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류의 영적 여정에서 오랜 전통을 지닌 대표적인 수행 체계인 불교명상과 천주교 관상기도의 경험을 깊게 탐구함으로써 종교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영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메시지를 발견하고 종교간 대화와 이해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불교명상과 관상기도를 일상 안에서 실천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수행 과정에서 체험하는 현상학적 경험의 본질은 무엇이고, 그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 속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고, 불교명상과 관상기도 참여자들의 진술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의미단위와 범주로 전환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0년 이상의 수행 경험을 가진 30대-70대 연령의 사람들로서, 불교명상 수행자 7명, 천주교 관상기도자 7명,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의 기간 동안 개별적인 심층 인터뷰와 전화나 메신저를 통해 수집되었다. 인터뷰는 참여자당 1~3회, 1회당 2시간 내외로 소요되었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 녹취되어 Giorgi의 네 단계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불교명상이 8개의 구성요소와 24개의 하위구성요소, 관상기도는 9개의 구성요소와 27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먼저 불교명상에서 도출된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 첫 번째 구성요소는 ‘명상을 통한 의식의 변화로 다양한 경험들이 일어남’이 밝혀졌다. 참여자들은 명상을 통한 비일상적이고 다양한 의식 상태의 경험속에서 의식의 성장과 발달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현실을 객관적으로 직시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수용하면서 자신의 근원을 발견하고 통찰의 지혜를 얻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새로운 자아인식과 자기 비움을 통해 자아초월로 나아감’이다. 참여자들은 명상 속에서 자아에 대한 자각이 깊어지면서 스스로를 새롭게 인식하고 인정 및 수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이를 통해 과거의 욕심과 집착을 내려놓으며 자아를 비우고 자아초월로 나아가는 인격의 변화와 성장을 드러냈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공 혹은 무아 체험은 진리의 깨달음 속에 영원으로 나아가는 경험’이다. 깊은 명상의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공 혹은 무아 체험을 통하여 진리를 자각하고 영원성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체험을 통하여 깊은 고요 속에 번뇌가 사라짐을 느끼며 어느 것에도 연연함이 없는 마음을 가지면서 자신의 본성을 발견한다고 표현하였다. 네 번째의 구성요소는, ‘인간의 본질인 영성(불성)은 자유와 통합의 초월적 여정으로 인도함’이다. 참여자들은 의식이 보다 확장되면서 삶과 죽음의 한계를 넘어서 과거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극복하고 통합하며, 또한 에고가 사라진 무의 상태 속에서 자기 본질에 대한 초월적 인식과 깨달음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의 구성요소는, ‘과거의 업의 사라짐의 경험과 우주와 하나로 일치됨’이다. 참여자들은 깊어지는 명상 속에서 과거의 업들이 사라지고 자연과 우주와 하나로 일치되면서 의식이 확장되는 경험을 보였다. 여섯 번째의 구성요소는, ‘마음의 고요로 번뇌가 사라지고 자유와 통찰 속에 성격이 변화함’이다. 깊은 수행의 경험은 번뇌로부터 벗어나게 하면서 마음 안에 있던 고통이 사라지고 자유로 인도되는 경험이다. 또한 자신의 정서에 대한 자각과 통찰력이 생기고 성격과 무의식의 구성요소들을 의식화하면서 자기치유 속에 진정한 자신과의 만남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곱 번째의 구성요소는, ‘통합된 인격의 변화는 행복과 자비의 실행으로 나타남’이다. 참여자들에게서 깨달음은 곧 긍정적인 인간관계 속에서 자연과 삶을 즐김과 동시에 타인을 위한 이해와 자비의 실천으로 이어졌다. 이제까지의 모든 수행 경험들이 참여자 안에 통합되면서 개인의 영적 변화를 넘어 타인에 대한 연민과 이해의 폭이 넓어져 사회적 이타행(利他行)으로까지 나아가는 것이다. 마지막 구성요소는, ‘타종교와의 대화와 일치에 대한 관심이 일어남’이다. 참여자들은 불교명상 경험이 깊어지면서 타종교에 관심을 가지고 상호 대화와 협력에 대한 기대감과 노력의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상기도에서 도출된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그 첫 번째 구성요소는, ‘의식의 변화와 다양한 비일상적 신비체험들’이다. 관상기도를 통한 의식의 변화 속에 참여자들은 깨어있는 마음과 새로운 통찰을 얻는 경험, 진리에 대한 깨달음, 그리고 일상적이지 않은 다양한 신비적 경험들(예. 타인의 고통을 알아차림)과 함께 하느님의 신비를 깊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정화를 통한 하느님과의 일치는 깨달음과 행복의 경험임’이다. 참여자들은 하느님과 더 깊게 일치하기 위하여 그 이전에 정화의 시기를 경험하였고, 또한 하느님과의 일치로 깊은 깨달음 속에서 지복을 경험하였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새로운 자아인식과 자기비움을 넘어 자아초월로 나아감’이다. 참여자들은 기도 안에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자기의 깊은 내면을 새롭게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면서 자기비움을 통하여 자아초월로 나아가는 경험을 하였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공 체험은 영원 속에 머무는 초월적이며 우주적인 경험임‘이다. 참여자들은 기도가 깊어지면서 영원 속에서 우주와 일치하는 초월적 경험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공 체험에 관하여 표현하였다.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신⋅자연⋅우주⋅인간의 소통과 전인적 인격 실현의 통합적 영성’이다. 참여자들은 자연과 우주, 인간과 신이 함께 소통하는 영적 인식 속에 비가시적 세계를 통찰하면서 자기 내면의 힘을 발견하는 동시에, 몸ㆍ마음ㆍ영의 통합된 인격을 형성하고 경계로부터 벗어난 자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구성요소는, ‘우주적 연결 경험과 초월적인 하느님 안에서의 일치’이다. 참여자들의 내면세계는 인간을 넘어 자연과 동물과 우주로 확장되면서 그 모두를 잇는 우주적 연결성, 신비와 초월의 하느님과 하나가 되는 경험을 겪었다. 일곱 번째 구성요소는, ‘심리적 자유와 통찰은 내⋅외적 화해로 인도함’이다. 참여자들은 기도 속에서 과거의 부정적 정서가 사라지고 자유와 평화 속에 통찰을 얻는 한 편, 자기 내면과 외부의 것들이 화해됨을 경험하고 억압된 감정이나 근심이 사라진 경험을 보고하였다. 여덟 번째 구성요소는, ‘개인의 통합적 성장은 공동체적 정체성으로 확장됨’이다. 이제까지의 모든 경험들이 내면에서 응집되고 통합적인 힘으로 발현하면서 참여자들은 공동체와 사회를 위한 헌신과 사랑의 실현을 보여주었다. 한 편 이러한 충만한 기도 경험으로부터 온 긍정적 경험과 함께 부정적 경험도 나타났는데, 그것은 내면의 지복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세상에서 경험하는 현실의 고통에 관한 경험이다. 마지막 구성요소는, ‘타종교에 대한 이해와 대화의 관심이 나타남’이다. 관상기도 참여자들은 타종교에 대한 이해와 수용, 그리고 종교적 화해와 대화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기대 속에, 그것을 위한 자신과 교회,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현상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불교명상과 관상기도 경험 구성요소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끌어냈고 이에 대한 이론적 분석틀은 Wilber의 통합이론을 중점적으로 활용하였다. 유사점 비교에서는 9개 구성요소에서 19가지의 경험내용이, 차이점 비교에서는 9개 구성요소에서 10가지의 경험내용이 각각 비교되었다. 비교 구성요소는 의식의 변화, 공/무아 체험과 하느님 체험, 자아초월 경험, 통합적 영성, 우주적 일치 경험, 심리적 변화, 사회적 관계 변화, 종교적 관점 등이 유사점과 차이점에서 공통적으로 이루어졌고, 유사점에서의 신비체험과 차이점에서의 내면의 정화 경험은 각각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불교명상과 천주교 관상기도 수행 경험의 질적 연구 자료를 각각 제시하고, 이를 다시 유사점과 차이점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 이유와 의미에 대해 Wilber의 통합이론을 활용해 기술하였다. 종교 간의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비교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라는 점, 그리고 경험의 유사점과 차이점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다양한 이론을 동원하지 못한 점, 불교명상의 스펙트럼이 매우 넓기 때문에 그 중 일부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lived experiences of the practitioners of Buddhist meditation and Catholic contemplation. Buddhist meditation and Catholic contemplation are traditional systems of self-discipline in Buddhism and Catholicism respectively. By exploring how meditation and contemplation affect the lives of those who practise them and contribute to the integral growth of the person,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small contribution by way of some practical suggestions on these disciplines.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that practitioners have undergone in their lives, and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applied Giorgi’s phenomenology in order to translate th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into the meaning units and to structure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14 persons between 30 and 70 years of age who are practising meditation or contemplation. The period for collecting data was from September 2014 till August 2015.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 various ways including phone, internet messages and especially in-depth interview. Each participant was subjected to one to three interviews, each interview lasting one to three hours. Recording and memo were carried out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entire data from the interviews have been faithfully transcribed and analyzed just as the participants told.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Giorgi’s four concrete steps of scientific phenomenology. 2,020 meaning units and 230 articles of the meaning unit summary were deducted by grouping the identical meaning units. For Buddhist meditation, 24 sub-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the next step and, after grouping them, 8 components were finally deducted. And for catholic contemplation, 27 sub-components were identified and 9 components were finally deducted. The general structure of Buddhist meditation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ing ego in meditation (self-awareness and alteration of consciousness), to experience self-development finding one’s own nature in meditation (attaining nirvana, and integration), to finally service for others (transpersonal and compassion). The entire components of Buddhist Meditation are as follows: [Occurring various experiences in alteration of consciousness], [Advancing to self-transcendence beyond self-acceptance], [Experiencing moving toward eternity through void-experience or self-effacement], [Spiritual experiences of freedom and integrity], [Vanishing of karma and union with Kosmos], [Experience of freedom and insight after the disappearance of torments], [Integrated personality practising true love], [Being in communion with other religions]. The general structure of Catholic contemplation is to unify with God through prayers (alteration of consciousness and union with God), to achieve human growth and spiritual integration (harmony with and transcending nature and the universe), to finally service for others (insight and integration). The entire set of components in Catholic Contemplation are as follows: [Alteration of consciousness and mysterious experiences], [Achieving enlightenment in God through purification], [Becoming transpersonal beyond self-acceptance], [Transcendental experience of staying in eternity], [Integral spirituality and no-boundary freedom], [Perfect union with the universe and with God], [Integration of the individual’s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Service for others], [Being connected with other religions]. 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distinguish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Buddhist meditation and Catholic contemplation in the context of Integral Psycholog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fr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have been discussed. Such a comparativ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 좋은 친구(kalyāṇamitta)를 통한 교우관계 개선 방안 연구 : 초기불교 수행법을 중심으로

        오종화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Companion relations are the beginning of social development and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licts of students in the process of forming companionships are inevitable, and they experience quarrels in them. In such an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find a precedent to observe one's own heart through the Buddha's teaching and meditative guidance on good friends, and to cultivate compassion and restore companionship. However, if meditation instruction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in school, students' minds can be freed from conflict and transformed into positive companionship.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alyanamitta that appeared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and studies that improved companionship through meditation. I reviewed Buddhist literature for use. It is a literature study that examines the meaning and usage of Kalyanamitta in the literature, and proposes applying the wisdom of the past to the modern school situation. To make friends, suggest ways to restore companionship. As a plan, we propose Insight Meditation(Vipassana), in which students know the qualities of good friends and recognize their own heart, and Loyalty Meditation, which fosters compassion for themselves and others. First, we analyze the teachings of Kalyanamitta i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s of the time when the Buddha survived and the Buddhist literatures of the upper seats, and discuss how the Buddha's teachings influenced anger and quarrels among monks at that time. In the scriptures, we find out how to practice the Buddha's sermons, recognize conflicts and quarrels with the merit of meditation, and find out the use cases and roles of maintaining Kalyanamitta. Particularly in'Kossambi Bhikkhus and Kalyanamitta', we look at examples of quarrels inevitable in the lives of humans at that time and now. Explain how to notice and replace it with a meditation technique that fosters compassion in the spot. Then, by applying the wisdom of the past to the contemporary school situation, it looks at how to cultivate the power to control the reaction by observing one's own mind through insight meditation and recognizing emo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students radiate love to themselves and their neighbors to study ways to reduce conflict and anxiety in the heart and lead to recovery of relationships. It is expected that the Buddha's teachings and meditation method suggestions for making good friends based on this wisdom in the school site by re-examining the meaning of Kalyanamitta, which the Buddha used in the past, will help improve fellowship.

      • Ken Wilber의 사상한(AQAL Matrix)을 중심으로 한 반야심경과 사도신경의 통합연구

        이종국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50655

        This study is to view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Buddhist and Christian spiritual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Apostle's Creed(Lower-Left, Cultural worldview of the inner group) of Christian and Prajñā-Paramitā-Sutra(Upper-Left, Inner intentional consciousness) of Buddhist based on AQAL Matrix of Ken Wilb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ollowing. First, I definiti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ur upper(areas, aspects, implications, and perspective/3-value, dimension/ inching) by studying Ken Wilber's AQAL Matrix and validity(verification of requirements) claims(Spirit or the state of human beings and the reality of the connection method: attunement, atonement, atonement) as a framework or tool of integration. The followings are its contents. 1) Upper-Right(Exterior-Individual, Behavioral, Objective, Science/The Ture, IT/3rd-person) <validity claims : truth - correspondence, representation, propositional> 2) Lower-Right(Exterior-Collective, Social, Interobjective, Science/The Ture, ITS/3rd-person) <validity claims : functional fit - systems theory web, structural-functionalism, social systems web> 3) Upper-Left(Interior-Individual, Intentional, Subjective, Art/The Beautiful, I/1st-person) <validity claims : truthfulness- sincerity, integrity, truthworthiness> 4) Lower-Left(Interior-Collective, Cultural, Intersubjective, Morals/The Good, WE/2nd-person) <validity claims : justness - cultural fit, mutual understanding, rightness> Second, I examined the name, the background and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Scriptures diachronically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the history of piety formation by previous studies on the Buddhist Prajñā-Paramitā-Sutra and Apostle's Creed as the material of the integration. Third, I attempted to view AQAL Matrix by studying the Buddhist world-view of Prajñā- Paramitā-Sutra and the Christian world-view of Apostles' Creed. When it comes to the world-view of Prajñā Paramitā-Sutra, it's reasonable to analyze relating to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s inside of the Upper-Left quadrant as embassies emphasizing the personal development consciousness(the substance/ mental functioning). And as for the world-view of Apostles' Creed, relational analysis with cultural world-view on the inside of the group in the Lower-Left quadrant emphasizing collectively shared experience of God(as a religious culture) is reasonable. Fourth, the interpretation of the Upper-Lleft upper on Prajñā-Paramitā-Sutra was researched and analyzed of the mutual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states of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shown in Prajñā-Paramitā-Sutra and the basic structure(step 9 /From the point of view Early-stage of development, Mid-stage of development and Late-stage of development) of awareness. Fifth, the interpretation of the Lower-Left upper on Apostles'Creed was researched and analyzed about the mutual relationship by making an analysis of the cultural world-view shown in culture Gene(VMEMEs) structure(step 8/From the point of view Earlystage of development, Mid-stage of development and Late-stage of development) in the Lower-Left upper and Apostles' Creed. Sixth, I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ttice-like, the integration of quiet thought on Prajñā-Paramitā-Sutra (Upper-Left, Inner intentional consciousness) and Apostle's Creed (Lower-Left, Cultural world-view of the group inside).(However, will leave the integration of the Upper-Right and Lower-Right as a future research assig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integrate(grid-like/concurrent) AQAL Matrix of Ken Wilber, in an effort to pursue a timeless harmony among religious members and complementarity between Buddhism(Prajñā-Paramitā-Sutra) and Christianity(Apostles' Creed), beyond religious pluralism, conflict and mutual exclusivity. We hope that these attempts would be a tool for communication between religions, evolving as the integration of Buddhist ascetic practices and Christian spiritu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Ken Wilber의 사상한(AQAL Matrix)을 중심으로 불교의 반야심경(좌상상한, 개인 내면의 의도적 의식)과 기독교의 사도신경(좌하상한, 집단 내면의 문화적 세계관)의 사상한적 통합(격자형/공발생적인 온우주 또는 진리의 네 가지 측면 및 차원의 상관관계)을 통해서 불교적 수행과 기독교적 영성의 상호 보완적 관계형성을 조망해 보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통합의 틀 혹은 도구로서의 Ken Wilber의 사상한(AQAL Matrix)을 연구함으로서 각각의 네 가지 상한의 특징들(영역, 양상, 내포된 의미, 관점/3대 가치, 차원/인칭)과 타당성(요구검증)의 기준들(영, 인간존재의 모습들, 그리고 실재와의 연결방식: 조율-화해-합일)을 정리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우상상한 (개체의 외측 세계, 행동적, 객관적, 과학/진, 그것/3인칭) <타당성의 기준들 : 진리/사건들의 객관적 상태 - 대응성, 대표성, 계획성> 2) 우하상한 (집합체의 외측 세계, 사회적, 상호객관적, 과학/진, 그것들 /3인칭) <타당성의 기준들 : 기능적 적응/객관적 사회체계 - 시스템 이론, 구조적 기능주의, 사회시스템 망> 3) 좌상상한 (개체의 내측 세계, 의도적, 주관적, 예술/미, 나/1인칭) <타당성의 기준들 : 진실성/주관적 진실성 - 진지성, 성실성, 신뢰성> 4) 좌하상한 (집합체의 내측 세계, 문화적, 상호주관적, 도덕/선, 우리/2인칭) <타당성의 기준들 : 정당성/공통맥락 제공 - 문화적 적응, 상호이해, 공정성> 둘째, 통합의 자료로서의 불교의 반야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玄奘 譯, 649)과 기독교의 사도신경(TEXTUS Receptus, 700)을 선행연구함으로서 각 경전의 형성사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경전의 명칭과 형성배경, 그리고 구조분석 등의 통시적 연구를 통해서, 통합의 자료로서의 반야심경의 불교적 세계관과 사도신경의 기독교적 세계관을 연구함으로서 사상한적 조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반야심경의 세계관은 ‘오온관(五蘊觀)’으로서 개인적 현상의식(물질현상/정신작용)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좌상상한의 ‘개인내면의 의도적 의식’과의 관계적 분석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사도신경의 세계관은 ‘삼위일체관(三位一體觀)’으로서 집단적 공유경험(종교문화/神 認識)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좌하상한의 ‘집단 내면의 문화적 세계관’과의 관계적 분석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단, 반야심경과 사도신경은 사상한적 특성(격자형/공발생적인 온우주 또는 진리의 네 가지 측면 및 차원의 상관관계)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셋째, 반야심경에 대한 좌상상한적 해석의 측면에서 볼 때, 좌상상한의 의식의 기본구조(9단계)와 반야심경에 나타난 의도적 의식의 상태 분석을 통하여 상호관계성을 연구・분석해 보면, 오온/12처/18계와 의식의 초기 발달단계, 12연기/사성제와 의식의 중기 발달단계, 그리고 반야심경의 공관(空觀)과 의식의 후기 발단단계 등의 상호연관성을 바탕으로 오온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이 발달・진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도신경에 대한 좌하상한적 해석의 측면에서 볼 때, 좌하상한의 문화유전자(VMEMEs)의 구조(8단계)와 사도신경에 나타난 문화적 세계관 분석을 통하여 상호관계성을 연구・분석해 보면, 하나님/예수에 대한 신앙고백과 문화유전자의 초기 발달단계, 성령에 대한 신앙고백과 문화유전자의 중기 발달단계, 그리고 사도신경의 신관(神觀)과 문화유전자의 후기 발달단계 등의 상호연관성을 바탕으로 삼위일체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유전자가 발달・진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Ken Wilber의 사상한(AQAL Matrix)을 중심으로 한 통합의 관점에서 볼 때, 반야심경(좌상상한: 개인 내면의 의도적 의식/의식의 기본구조(9단계))과 사도신경(좌하상한: 집단 내면의 문화적 세계관/문화유전자(VMEMEs)의 구조(8단계))은 격자형(공발생적)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상상한과 우하상한과의 통합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 놓는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반야심경)와 기독교(사도신경)간의 ‘종교다원주의(宗敎多元主義)적인 갈등과 상호배타성’을 초월한 ‘종교일원주의(宗敎一元主義)적인 화합과 상호보완성’을 추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Ken Wilber의 사상한(AQAL Matrix)을 중심으로 한 사상한적 통합(격자형/공발생적 상관관계)을 위한 시도로서 진행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불교적 수행과 기독교적 영성의 통합으로 진화하여 종교 간의 소통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바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실천적인 측면에서 볼 때, Ken Wilber의 사상한(AQAL Matrix)을 중심으로 한 반야심경과 사도신경의 통합연구를 통해서 주장 혹은 제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에서는 불교적 수행인 ‘마음공부’, 즉 ‘알아차림 또는 마음챙김(sati)과 지혜(paññā)’를 증득(證得)하기 위한 ‘명상 수행(Meditation)’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둘째, 불교에서는 기독교적 영성인 ‘통합영성’, 즉 ‘예수를 중심으로 한 초월적 영으로서의 하나님과 내재적 영으로서의

      • 가정폭력피해 쉼터여성을 위한 글쓰기명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김성수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피해 쉼터여성(이하 ‘쉼터여성’)을 위한 글쓰기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획한 이유는, 쉼터여성이 가정폭력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일반적이고 손쉬운 도구의 발견을 돕기 위해서다. 글쓰기명상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문제 해결과 아울러 본격적인 명상생활을 하는 데 직간접적인 도움이 되리라 본다. 쉼터여성과 같이 자기억압, 자기외면의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는 글쓰기명상과 같은 자기 주시나 마음챙김의 확보가 효과적이리라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개요 및 연구 문제’ ‘용어의 정의’ 등을 정리하고 있다. Ⅱ장은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을 다룬다. 특히, 본 연구자가 쉼터여성집단에게 10년 이상 명상을 안내해온 것은 본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한 요인이기도 하고, 연구의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요소 중 하나다. 프로그램의 전체 과정에서 ‘가정폭력, 마음챙김, 드러내기’는 본 논문의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다. 특히, ‘쉼터여성’은 연구를 기획하게 하는 핵심 요인임과 아울러 본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자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쉼터여성과 가해 남성의 특성을 대비함으로써 피해자와 행위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는 프로그램 연구에서 가해 남성집단을 예비연구 참여자로 설정한 배경과도 맥락을 함께 한다. 즉, ‘가정폭력’은 참여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가정 내부의 현상이므로, 이러한 부정적 현상의 동기와 과정, 배경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은 본 연구의 과정변인으로서 집착, 우울기분반응 등 쉼터여성들이 갖고 있는 대표적 심리특성 전반에 작용하는 기제다. 따라서 ‘마음챙김’ 개념과 본 연구에서의 위치, 의미와 역할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과정변인 중 하나인 ‘드러내기’는 내적 드러내기와 외적 드러내기를 총칭하는 단어다. 드러내기는 말 그대로 참여자의 내외적 사유와 표현의 내용이다. 따라서 참여자의 ‘주의집중-마음챙김-수용-비움과 선택’이라는 내적 드러내기와 ‘문자’라는 외적 드러내기의 특성 및 역할을 기술하였다. Ⅲ장은 글쓰기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예비연구 및 연구 가설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개발과정에서는 프로그램의 방향과 기획 및 연구자의 준비 등을 정리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예비연구의 대상, 프로그램 구성, 연구방법, 프로그램 실시결과, 예비연구 평가 및 보완사항 등을 논의함으로써 본 연구 준비를 위해서 어떤 예비 과정이 있었는지 기술한다. 특히, 예비연구에서는 가정폭력 가해남성 집단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본연구 참여자인 쉼터여성과의 정서적, 사회적 관계성의 의미를 돌아보고, 본 논문의 독창성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Ⅳ장의 본연구 및 프로그램의 양적 분석에서는 연구 방법과 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12명의 실험집단 참여자와 12명의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본 연구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쉼터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연구는 사전 ․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측정 척도는 6개로서 ‘집착, 마음챙김, 언어성 분노행동, 우울기분 반응양식, 공격성, 자존감’ 등이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8.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정변인인 ‘마음챙김’의 효과는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하여, 글쓰기명상 프로그램이 본 연구의 과정변인인 마음챙김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다음은 종속변인 5개 항목에 대한 효과검증에서 먼저 ‘집착’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집착 사후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더 많이 감소되긴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두 번째는 ‘언어성 분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는 ‘우울기분 반응양식’의 효과성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참여자의 우울기분 반응양식 조절에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네 번째인 ‘공격성’ 사후점수 또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의 효과성 검증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하여 본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양적연구와 함께,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적 감상 및 내적 경험을 살피기 위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연구의 현상학적 방법론 적용은 글쓰기명상 참여자 중 쉼터 입소기간을 마친 세 사람을 각각 심층 인터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인터뷰 내용 분석결과, 마음챙김과 드러내기라는 두 개의 영역에서 ‘몰랐던 나를 알게됨’ 등 7개의 범주, ‘나의 소망을 알게 됨’ 등 19개의 하위요소가 드러났다. 이에 따라 19개의 하위요소를 하나하나 분석함으로써, 과정변인인 드러내기의 This study aims to design a writing meditation program targeting women in domestic violence shelters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shelter women’ hereafter) in order to underst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motivation that first planned the study is to help development of a general, convenient tool to encourage the shelter women to overcom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such as domestic violence and others. The study assumed that this program would make both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s not only to solving of such problem but also to supporting participants in starting life of genuine meditation especially after thinking that mindfulness-based writing would work as much effectively as writing meditation would when it comes to these individuals such as the shelter women with these strong tendencies of repression, disregard and avoidance.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program. The study might not have been even tried without this self-observation that would focus on sati, a philosophy of early Buddhism, and sati is also known as ‘mindfulness’. After all, discovery of internal mechanisms which is called the self-observation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is study. From that point of view, not only are both of ‘manasikara’ and ‘mindfulness’ told to be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but they are also considered a core mechanism that are immersed in the entire process. The study first tried to summarize definitions of ‘writing meditation’. Writing meditation has been improving ever since it was created based on therapeutic writing of the West. However, as for the therapeutic wiring of the West, it was hard to find the idea of inner insight which would come first before writing. Writing meditation pursues self-reflection, self-treatment and life of genuine meditation beyond this social universality. Regar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program, the study researched definitions, roles and others of ‘1. domestic violence, 2. mindfulness and 3. disclosure’. The three definitions are the ultimate key words that would influence the entir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domestic violence’ is a phenomenon found inside a family which is very much related to life of the shelter women. In the light of that, in this chapter, theories on significance, roles and others of such negative phenomenon were reviewed. Add to that, the chapter compa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elter women with these of assailants and then, looked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victims and the assailants. Second of all, as this research process-related variable, ‘mindfulness’ is regarded as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would be applied to all these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elter women such as obsession, depression and others. The study needed to improve good understanding on definitions of ‘mindfulness’ and on its positions, significance, roles and others related to this research. In particular, ‘mindfulness’ in this study is a definition that has been hardly discussed by therapeutic writing.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summarized a theory of ‘disclosure’which is one of the other process-related variables. Disclosure is a term to indicate both of the internal disclosure and the external disclosure. Disclosure literally signifies participants’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and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express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carried out programs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A reason for why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program was follow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that the study had wanted to secure statements of individual participants in relation to the internal reflection which would not been introduced solely by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plus, the study had a desire to try the statements for any follow-up improvements in the program. The program was first conducted by a pilot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pilot research are a group of domestic violence assailants. The study selected the group of the assailants as a subject of the pilot research because as far as the study understood, the group had been psychologically closely involved as contributors to occurrence of victim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helter women which had been conducted after the pilot research was divided into these pre- and post-tests. As for the participants in the writing meditation program, an experimental group of 12 individuals and a control group of other 12 individuals were selec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argeting the groups was applied to practice of the program of this study and confirm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se six of ‘obsession, mindfulness, verbal-anger behavior, depressed mood response style, aggression and self-regard’ were collected as measurement items, and the study analyzed the six items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18.0. According to findings, in regard to effects of the process-related variable, ‘mindfulness’, the post-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at was what proved how effective the writing meditation program is at improving mindfulness, this research process-related variable. An investigation in influences on the five dependent variables comes next. First, the study looked into ‘obsession’ and found out that even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post-scores related to obsession reduced more greatly than the control group’s did, the decrease appeared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how it would affect ‘verbal-anger behavior’ was examined, an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se of the control grou

      • 코로나19 이후 대학생의 심신건강 증진을 위한 비대면 프로그램 연구 : 요가와 필라테스를 중심으로

        곽지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55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외활동에 제약이 생기고, 비대면 수업이 지속되면 서 ‘코로나 블루’를 호소하는 대학생이 늘고 있다. 감염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자가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일상 활동의 제약은 코로나19가 심신에 미치는 영향을 극복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도 시행 가능한 비대면 심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보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Ⅰ에서는 대학생의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 현황을 알아보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생활 스트레스, 근골격계 자각통증, 삶의 질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이완 중심 요가 프로그램과 필라테스 프로그램 실시 후 대학생의 불안, 우울, 긴장 이완 및 근골격계 자각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삶의 질과 생활 스트레스 및 근골격계 자각통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의 삶의 질과 생활 스트레스 및 근골격계 자각통증 간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자각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들의 삶의 질에 근골격계 자각통증보다는 생활 스트레스가 좀 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중심 요가 프로그램과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주2회, 8주간 실시 후 사전과 사후에 대학생들의 불안, 우울, 긴장이완, 근골격계 자각통증을 측정한 결과, 이완중심 요가 프로그램과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모두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긴장이완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추수 시점까지 유지되었다. 반면 두 프로그램 모두 특성불안과 우울 및 근골격계 자각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완중심 요가 프로그램과 필라테스 프로그램 중 어떤 수련을 하더라도 상태 불안과 긴장이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용부담으로 인해 심신관련 프로그램을 접하지 못하는 대학생들을 위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이완중심 요가와 필라테스의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비대면 방식의 심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심신건강 프로그램이 대학생에게 미치는 신체적인 효과뿐 아니라 심리적인 효과까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비대면 방식의 심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