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에듀테크, 그리고 ‘학교라 불리는 곳’

        서봉언(Seo Bonge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3

        본 연구는 교사가 경험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의 도입 및 학교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에듀테크가 교내외 요인들에 의해 학교에서 확산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에듀테크 활용 교육의 중심현상은 ‘에듀테크의 확산’과 ‘효과의 불확실성’이었다.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증적인 효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 효과의 불확실성도 배태되어 있었다. 효과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에듀테크는 학교 전반에 빠른 속도로 확산하였고, 이는 환경 요인, 외 부 요인, 교내 요인들의 영향이 컸다. 이러한 에듀테크의 확산에는 기반 조성이라는 충분조건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또한, 교사 간 협력적인 분위기는 심리적 여유와 안정을 토대로 형성되었고, 시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은 시교육청과 학교 간 신뢰를 형성하게 하여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함양이 중요해지고 있었다. 초기 핵심요원을 따라가며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접하고 친숙해지면서 점차 교사 개인마다 다채로운 수업설계 능력을 요구받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에듀테크 활용 교육은 ‘기본 기기의 격차 해소’와 ‘다양한 수업’ 등과 같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고, 더불어 보급된 기기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이라는 과 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에듀테크에 관한 학술적 논의가 시작되는 시기에 현장의 경험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school change using EduTech experienced by teachers. As a result, EduTech is spreading in school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central phenomena of education using EduTech in schools were spread of EduTech and the uncertain effect . Although education using EduTech is actively conducted, there is still a lack of information on empirical effects, and uncertainties i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EduTech are implied. Despite the uncertainty in the effect, EduTech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school, which was large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external factors, and in-school factors. This spread of EduTech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sufficient condition of fully equipped facilities. In addition, the cooperative atmosphere between teachers was formed based on psychological relaxation and stability. Active support and help from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formed trust between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and it promote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for education using EduTech. Ultimately, the cultivation of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was becoming important. As teachers became familiar with education using EduTech while following ‘the core teachers’, each teacher was gradually required to have a variety of instructional design skills. Finally, education using EduTech has provided new possibilities such as binding the gap with basic devices and various classes and has the task of efficient management of allocated de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field experience at the beginning of academic discussions on EduTech.

      • KCI등재

        초·중등학교 에듀테크 팀 역량 도출

        이은상(Lee, Eunsang),김동건(Kim, Donggeon),이동국(Lee,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s, competencies and relative important behavioral indicators of members of the edutech team in K-12 schools. In order to derive the concept and competencies of edutech, prior literature review, behavior event interview, and two-step review by expert validity were conducted. An expert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t behavioral indicators of members of edutec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ncept of edutech team would be: a team which designs, executes and manages edutech 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cooperation with various members based on their expertise in education to realize the goals of K-12 school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four categorized clusters of competencies of edutech team and finalized 13 competencies and 36 behavioral indicators. edutech team’s competencies include 1) competency to understand the school curriculum; 2) competency to desig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3) competency to explore future education; 4) competency to explore edutech; 5) competency to design and build edutech environment; 6) competency to use edutech; 7) competency to manage edutech; 8) competency to establish and evaluate school edutech policies; 9) competency to draw and execute edutech budgets 10) competency to comply edutech legal systems and ethics 11) competency to share school’s visions 12) Competency to facilitate edutech utilization 13) collaboration competency. The relative important behavioral indicators of the members showed that teachers wer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dedicated personnel wer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edutech. This study c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support edutech s on-site settlement in the promotion of future education and edutech policy.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에듀테크 팀의 개념, 역량, 구성원의 상대적 중요 행동지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듀테크 팀의 개념과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검토, 행동사건인터뷰,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그리고 에듀테크 팀 구성원의 상대적 중요 행동지표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에듀테크 팀의 개념은 ‘초·중등학교의 목표 실현을 위하여 교육과 에듀테크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구성원들과 협력하여 에듀테크 기반 학습환경을 설계, 실행, 관리하고 학교 구성원의 활용을 촉진하는 팀’으로 도출되었다.에듀테크 팀의 역량은 4개 역량군으로 유목화하여 총 13개의 역량과 38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에듀테크 팀의 역량은 1) 학교 교육과정 이해 역량, 2) 교수학습평가 설계 역량, 3) 미래교육 탐색 역량, 4) 에듀테크 탐색 역량, 5) 에듀테크 환경설계 및 구축 역량), 6) 에듀테크 활용 역량, 7) 에듀테크 관리 역량, 8) 학교 에듀테크정책 수립 및 평가 역량, 9) 에듀테크 예산 편성 및 집행 역량, 10) 에듀테크 법제도 및 윤리 준수 역량, 11) 학교 비전 공유 역량, 12) 에듀테크 활용 촉진 역량, 13) 협업역량이다. 에듀테크 팀 구성원의 상대적 중요 행동지표로 교원은 교육과정 관련 행동지표, 전담인력은 에듀테크 관련 행동지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과 에듀테크 정책 추진에서 에듀테크의 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에듀테크 시대에서의 기독교교육: 연결과 공유, 개별 맞춤형, 체험과 실감을 중심으로

        양성진(Sung-Jin Y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1

        본 논문은 교육과 기술이 융합된 에듀테크(EduTech)의 특성과 방향을 규명하며, 에듀테크 시대에서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언할 것이다. 연구자는 에듀테크의 특성을 세 가지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분석한다. 첫째,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과 지능형 에듀테크 플랫폼은 연결과 공유의 가치를 지닌 에듀테크이다. 둘째, 학습 분석과 학습 지원 시스템은 학습자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대안을 제안하는 개별화 맞춤형 에듀테크이다. 셋째, 가상․증강현실과 메타버스의 기술은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더욱 실감나게 체험하는 에듀테크이다. 연구자는 에듀테크의 특성에 따라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언한다. 첫째, 연결과 공유의 가치를 가진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거시적인 접근에서 연결과 공유의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가정, 학교, 신앙공동체, 지역사회, 가상세계가 연결과 공유하여 하나님 나라 백성을 양성한다. 둘째, 개별화 맞춤형 교육을 추구하는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미시적인 접근에서 개별 맞춤화 돌봄 교육이다. 지식과 정보의 단순한 가르침을 넘어서서 목회적 돌봄으로 양육하는 것이다. 셋째, 체험과 실감의 시스템을 갖춘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체험과 실감의 이야기 교육이다. 이야기는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서로 연결하고 공유한다. 특별히 이야기 교육의 변증법적 해석과 상상력은 개인의 이야기, 신앙공동체의 이야기, 경전의 이야기를 서로 연결하고, 공유하며,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 This article articulat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EduTech, which combines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EduTech in three technical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at EduTech has the value of connecting and sharing based on technology of cloud-based platforms and intelligent EduTech platforms. Secondly, Edutech enables the learners to experience an individualized customized learning that proposes alternatives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learners with learning analytics and learning support system. Lastly, EduTech allows learners to engage in real and virtual worlds more realistically based on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nd Metaverse. It suggests the direc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duTech. First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needs to form a Christian education ecosystem that entails connection and sharing in a macroscopic approach. Families, schools, faith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and the virtual worlds connect and share with each other to nurture the people of God. Second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enables learners to experience personalized care education in a microscopic approach. It means nurturing with pastoral care which goes beyond teaching. Last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pursuing vivid experience and realization, needs to approaches it with narrative pedagogies. Stories connect and bulid the Christian educational ecosystem. In particular, dialectical interpretation and imagination in narrative pedagogies connect individual stories, stories of a faith community, and stories of scriptures, allowing them to connect, share, and experience each other vividly.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에듀테크에 관한 논의와 현황 분석 연구

        이주은,김효정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과 교육 Vol.24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Technology (EduTech) utilization in secondary art education, identify existing issues, and explore possible areas for improvement.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70 domestic academic articles from the past decade related to EduTech use in art education, analyzing factors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area, methodology, and technology type. The results, merged with insights from art teachers and expert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EduTech application in art education surged post-2019, peaking during the pandemic. Secondly, literature reviews dominated the research, research concern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on an upward trajectory. Thirdly, research areas mainly consisted of classroom teaching models and impact analysis studies. Fourthly, literature reviews emerged as the preferred research method. Fifthly, the majority of studies concentrated on immersive technologies. Lastly, interviews underscored teachers' essential role in EduTech implement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o translate findings into practice, comprehensive academic research and discussion on EduTech usage aspects in art education are necessary. Second, EduTech's use should amplify art education's inherent purpose, calling for a deeper understanding among teachers and consideration of the humanistic perspective. Third, a supportive environment is essential to facilitate EduTech-integrated lessons. As interest and significance in EduTech integration in art education escalate,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chart the course for a more effective EduTech application in art education.

      • KCI등재

        교원 양성기관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분석 및 에듀테크 분류 체계

        임철일,한옥결,채지윤,이진연,이다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4

        As a result of Education 4.0 and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ed emphasis on developing EduTech utilization capabil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Consequentl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ith a responsibility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re expanding EduTech utilization and developing and operating EduTech-based educational programs. However, the EduTech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lacks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ystem for EduTech, and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duTech utilization in the Future Education Center,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prior studies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derived an EduTech classification system. The EduTech and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and utilization statu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practice and development of EduTech-based education in futu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교육혁신 4.0과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예비 교원에 대한 에듀테크의 활용역량 함양이 강조됨에 따라 교원양성의 책무를 가진 교원양성기관에서도 에듀테크 활용을 확대하고 에듀테크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교원양성 기관의 에듀테크 활용 교육은 에듀테크에 대한 종합적인 분류 체계에 기반하고 있지 않으며,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역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습에서의 선행 문헌 검토와 교원양성기관인 미래교육센터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시행하여 에듀테크 분류 체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에듀테크와 분류 체계와 활용 실태에 대한 분석은 향후 교원 양성기관의 에듀테크 기반 교육의 실천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듀테크 활용 국어(읽기·쓰기) 수업 운영 사례 및 양상 분석

        강동훈 ( Kang Dong Ho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4 한국초등교육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활용 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를 읽기·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활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시대적 흐름이다. 이러한 디지털 대전환에 따라, 교원들의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일어나는 학교 교육의 변화와 교원의 디지털 교육 역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다양한 읽기 및 쓰기 수업 운영 사례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에듀테크 활용 읽기 수업 운영 사례를 종합한 결과, ① 다중텍스트 읽기 기반 ‘의미 구성’, ② 책 만들기 활동 기반의 ‘읽기 후 활동’, ③ 읽기 제재의 심층적인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및 시각화’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에듀테크 활용 쓰기 수업운영 사례를 종합한 결과, ① 글쓰기의 주제 선정을 위한 ‘주제 제안’, ② 글쓰기의 내용 조직을 위한 ‘마인드맵’, ③ 고쳐쓰기 및 피드백을 위한 ‘협업 기반’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끝으로, 교원들의 에듀테크 도구 활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①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 중 자신이 필요한 것을 취사선택하는 방식으로 수업에 활용하고, ② 두 개 이상의 에듀테크 도구를 필요에 맞도록 기능을 통합해서 활용하였다. 또한, ③ 교원 공동체 간 네트워크를 통해 에듀테크 활용의 구체적인 방법과 효과를 소개하고, 수업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로의 역량을 발전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증거 기반 및 실증 사례 중심의 에듀테크 활용을 통해 교실수업 혁신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에듀테크 활용은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며, 수업 목표 도달을 위한 지원 도구로써 교사의 주도하에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edutech in Korean language lessons, focusing 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 significant epochal trend. In line with this digital shif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eachers’ digital educational skills is becoming increasingly prominent.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school education and the need for digital educational competencies among teachers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various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writing lessons using edutech. The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 synthesis of edutech-based reading instruction cases showed ①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multitext reading, ② post-reading activities based on book creation, and ③ text mining and visualization for deeper analysis of reading subjects. Second, in edutech-based writing instruction cases, ① topic suggestion for selecting writing themes, ② mind mapping for content organization, and ③ collaboration-based rewriting and feedback were observed. Finally, analysis of teachers’ use of edutech tools revealed that ① they selectively utilize multiple edutech tools as needed, ② integrate functionalities of more than one edutech tool as required, and ③ develop each other’s skills through sharing specific methods and effects of edutech usage, as well as classroom application cases within teacher communities. Thus, using evidence-based edutech and empirical cases can support innovation in classroom teaching. The use of edutech is not an end in itself; however, teachers should use it appropriately as a tool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 KCI등재후보

        에듀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향보,이동원,이민혜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COVID-19 has changed, humanity has recently faced a path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search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tech-related content is active. However, it is rare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to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so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practical way to apply EduTech to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by developing and apply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link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ide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of core competencies and future competencies in inventions highly related to creativity and cre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our classes (97) in the fifth grade of two schools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sangnam-do, and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one class (2 classes, 50 students) for each school.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ffect was verified by conducting future competency and invention core competency tests. First,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was developed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references of 27 teachers and 216 students, selecting two topics with high preference of 54 UCC (22.22%) and 47 work activities (19.34%). Second,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set two units consisting of UCC and 3D pens, and presented a total of six sessions and 18 sessions at three level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for each unit. In addition, workbooks for students were produced according to MOOA class modules such as Make a Foundation, Open an activity, Organize evaluation, and Activation to be consistently and eff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class module. Third,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was applied 18 times to 50 students in two classes, which are experimental groups, and its effectiveness on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in inven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no significant results are produced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average of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f invention is improv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ll sample items are p<.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01 lev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and invention core competencies. Since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tudent competency in that it can improve both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f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duTech. In particular,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which has secured connection with the school's regular curriculum, can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approach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smart device distribution or students subject to application when apply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Future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5th grade, so in-dept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check the connection with other school levels and grades, and if future education materials are developed with other contents, it is expected to add a small foundation to the growth of future talents. 이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창의․창조와 관련성이 높은 발명에서의 핵심역량과 미래역량의 신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경상남도 중소도시에 소재한 2개교 5학년 4학급(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행하고, 학교별 1개 학급(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컨텐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결측값을 제외하고 교사 27명, 학생 216명의 유의미한 응답을 확인하였다. 미래교육 실행에서 별도의 에듀테크 기기 필요 여부에 따라 1순위를 중심으로 UCC, 작품활동이 선정되었다. 둘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은 UCC와 3D펜의 2개 단원을 설정하고 단원별 초급, 중급, 고급의 3 수준으로 총 6회기, 18차시 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미래교육 수업 모듈을 4단계로 설정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인 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18차시 적용하고, 미래역량 및 발명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바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자료는 내용 타당도 검사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미래교육 프로그램이 미래역량과 발명핵심역량 모두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확보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미래역량 함양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업교육의 에듀테크 연구동향 분석

        진수현,강예빈,송영수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data for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EduTech to corporate HR Manager by exploring the trend of EduTech research in corpor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network analysis using R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264 academic papers collected based on related keywords such as enterprise, education, learning, and edutech. As a result, first of all, as e-learning was utilized in earnest in the early 2000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smart learning and edutech was also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addition to educ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EduTech in various fields such as design and complex studies has been expanded. Second, in the application of EduTech, the keywords for 'e-learning' and 'satisfaction' were 'learning transfer', and the top keywords increased by time. The education that utilizes new technology in corporate education is changing from the satisfaction of function to the interest in the transfer of learned knowledge.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keyword network of EduTech education by period, new technology keywor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ppeared in corporate education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developed.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high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corporat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trends in EduTech research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EduTech and the use of education in companie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교육의 에듀테크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기업교육 담당자에게 에듀테크 도입 및 적용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업, 교육, 학습, 에듀테크 등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264편의 학술 논문을 수집하여 R 프로그램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00년대 초 기업에서 이러닝이 본격적으로 활용되면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러닝, 에듀테크 활용으로 기업교육도 발전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경영학 외에 디자인, 복합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에듀테크를 활용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둘째, 기업의 에듀테크 활용에서 ‘이러닝’, ‘만족도’에 대한 키워드가 ‘학습전이’로 상위 키워드가 시기별로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기업교육에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교육이 단순히 기능에 대한 만족도에서 학습된 지식의 전이에 대한 관심으로 관점이 변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시기별 기업의 에듀테크 교육의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교육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증강현실, 가상현실과 같은 새로운 기술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기술의 발전이 기업교육의 방향과 연관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교육 분야의 에듀테크 연구에 대한 동향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관련 연구가 기업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의 도입과 기업에서의 교육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에듀테크를 통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적용 사례연구

        장유정(Yujeong Jang),현은령(EunRyung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목표로 고등학교 미술교과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미술교육에서 에듀테크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고등학교 미술과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활동 과정에서 에듀테크의 적극적 활용이 가능한 ‘디지털 콜라주’ 수업을 내용 요소로 개발하였다. 효과성은 충북의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과 수업을 적용한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을 목표로 수집된 주요 자료는 수업 진행 참여 관찰, 학생과 교사의 디지털 수행과정 기록, 생기부 평가 기록 자료 등이다. 이후 보다 면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참여 교사 및 학생과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술 수업은 학생들에게 자료 탐색 및 구성에 물리적으로 쉬운 접근을 가능케 하였다. 학생들은 접근성이 용이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스스로 미술 활동을 구성하면서 도전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교사에게는 에듀테크의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수업의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이루는데 도움을 주었다. 결론 에듀테크는 고등학교 미술교육에 필요한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수업의 새로운 소통 관계를 맺게 하여 독특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 활동을 지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게 하여, 학생기록부의 주요 자원을 학생 스스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에듀테크의 역할은 학생 중심의 학생기록부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질적으로 보다 더 충실한 학생기록부가 될 수 있도록 도왔다. 본 연구는 학교 환경과 예산 등을 고려해 고차원의 에듀테크를 사용할 수 없었지만. 미술 수업 전반에서 에듀테크의 활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학교 현장에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possibility of applying EduTech in high school art classes.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this study developed high school art classes with the purpose of integrating ‘curriculum-class-eval-uation-recording’,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by applying those classes in the school.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of high school art in 2015 revised curricu-lum, a “digital collage” class that can actively utilize EduTech was developed as a content element.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from art teachers who applied EduTech classes for second-year students of girls' high schools in Chungbuk. The data collected for analysis include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classroom, digital performance records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evaluation records from students record. After that,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were conducted to derive more detailed results. Results Art classes using EduTech mad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access data search and organization easily physicall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es challengingly and actively while organizing art activities on their own using accessible digital technology. Moreover, teachers were a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entire course through EduTech's digital platform, helping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class-evaluation-recording.” Conclusions EduTech could provide a unique experience by giving an opportunity to effectively reveal educational goals for high school art classes and establishing novel communication relationships. Also, students were able to continuously record their own learning so students could provide the main resources for their student record. This role of EduTech helped student record become student-centered so that the student record could become more qualitatively substantial. Although this study unable to use high-level EduTech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budget, it is meaningful to imply ideas on how the use of EduTech can be carried out in the school throughout art classes.

      • KCI등재

        에듀테크를 활용한 국악교육의 방향성 모색

        이선미,김영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n looked at various example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in institu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music textbook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ctivities using edutech were suggested in the middle school group, and most of the activities were limited to classes using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education in institution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realistic content, VR, coding, and non-face-to-face education platforms. The use of various edutech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requir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First, in terms of operation, a practical class model fo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was presented. Second, in terms of methods, interactive edutech was selected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sought accordingly. Third, in terms of application, positive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edutech among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ctive introduction of edutech and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effective educational innov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