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간을 통해 본 안정복의 서학 인식과 대응 양상

        조지형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神學展望 Vol.- No.220

        This paper examines Ahn Jeong-bok’s awareness and response to Catholicism in the late 18th century, focusing on the 19 letters he left. The reason why we specifically examined his letter in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hn Jeong-bok’s awareness and response to Catholicism in more detail by life cycle, taking into account the timing and recipient of the letter. Through this,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by identifying Ahn Jeong-bok’s activities and actions in the final years of his life after writing a critical article on Catholicism. Ahn Jeong-bok became a disciple of Lee Ik and encountered Catholic books, and in his mid-40s, he read De Deo Verax Disputatio(天主實義) and pointed out heresy based on discussions on the theory of heaven -hell and soul theory. In particular, Ahn Jeong-bok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concepts of Li(理) and Taeguk(太極) used by Matteo Ricci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Neo-Confucianism. However, at this time, his criticism of Catholicism remained largely at the level of academic research. On the other hand, as a young disciple of Lee Ik engaged in full-fledged Catholic faith activities after 1784, Ahn Jeong-bok’s criticism of Catholicism changed into a steep difference between “heretical exclusion” to protect Neo-Confucianism. This period corresponds to the later years of his life, over the age of 70, and he recognized the danger of Catholicism until his death. He wrote letters to the young disciples of Lee Ik to recommend that he stop Catholicism. In addition, he also left critical writings on Catholicism such as the Cheonhakgo(天學考) and the Cheonhakmundap(天學問答)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promote a coalition of criticisms of Catholicism with colleagues around him, while spreading awareness against Catholicism. In particular, it is a very remarkable point that Ahn Jeong-bok devoted himself to the spread and sharing of anti-Catholicism awareness right up until the moment he died. As such, Ahn Jeong-bok’s series of responses to Catholicism can be said to explain why he is a key figure in the group that criticizes Catholicism. 본고는 18세기 후반 안정복의 서학에 대한 인식과 대응 양상을 그가 남긴 서간 19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서간에 주목한 이유는 편지의 작성 시기 및 수신자를 고려하여 안정복의 생애 주기별로 서학에 대한 인식과 대응 양상을 더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서학 비판 저술 이후 안정복의 말년 활동이나 행보를 규명하여, 한국 천주교회 설립 초기의 여러 문제들을 보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안정복은 성호 이익의 문하에 들어가면서 서학서를 접하였으며, 40대 중년기에 천주실의 등을 읽고 천당지옥설, 영혼론에 대한 논의를 근거로 이단성을 지적하였다. 특히 마테오 리치가 사용한 리(理)와 태극(太極) 개념의 모순성을 유교 성리학의 관점에서 비판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당시 순암의 서학에 대한 비판은 대체로 학문적인 연구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 한편, 1784년 이후 성호 문하의 젊은 사류들이 본격적인 신앙 활동을 벌이자, 안정복의 서학 비판은 유교 성리학을 수호하려는 ‘벽이단’(闢異端)의 층차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는 순암이 70세를 넘긴 인생의 만년기에 해당하는데,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천주학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성호 문하의 젊은 사류들에게 편지를 보내 천주학을 끊을 것을 권고하였다. 이와 더불어 천학고 · 천학문답 등의 서학 비판 저술을 남기기도 하였으며, 주변 인사들과 서학 비판 연대를 도모하는 한편, 반서학 인식을 확산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안정복이 노병(老病)과 싸우며 세상을 뜨기 직전까지도 반서학 인식의 확산과 공유에 매진하였다는 점은 매우 특기할 만한 지점이다. 이처럼 안정복이 보여준 일련의 서학에 대한 대응 양상은 그가 왜 성호우파 즉 공서파의 핵심 인물인지를 말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충돌과 화합

        최병욱(Choi, Byung Wook) 한국교회사연구소 2016 敎會史硏究 Vol.0 No.48

        이 연구는 중국인 천주교도이자 청년 시절 예수회 신부였던 마샹보[馬相伯]의 활동과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중국 근대사회의 흐름에서 겪어야 했던 내적 문화충돌의 경험은 어떠했으며, 예수회를 탈퇴한 이후 정치무대에서의 활동과 다시 교회에 돌아와 천주교 토착화를 위해 어떻게 천주교와 중국 문화와의 화합을 꾀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주제로 서술하였다. 첫째, 청년 시절 예수회 신부이자 민족주의자로서의 충돌의 과정을 서술하였다. 마샹보는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나 천주교 교육을 받고 자랐지만, 전통 유학교육도 함께 받았다. 그가 태어났을 때는 아편전쟁이 발발한 시기였다. 이제 천주교는 이전과는 달리 열강의 힘을 업고 들어온 종교가 되었다. 천주교 선교정책에 변화가 발생하면서 마샹보의 내면에서 문화적 충돌이 발생하게 되었고, 예수회를 탈퇴하게 된다. 둘째, 마샹보의 중국 천주교 토착화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샹보가 인생의 전반기에 예수회 신부이자 민족주의자로서의 내적 충돌을 겪었다면 인생의 후반기에는 천주교와 중국문화와의 화합을 꾀하고자 중국 천주교의 토착화를 위해 힘썼다. 당시 중국 사람들은 천주교를 서양인의 종교 즉, ‘양교’(洋敎)로 간주했다. 천주교 및 외국 선교사의 ‘양’의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서 가장 유효한 방식은 바로 중국 천주교의 토착화이다. 마샹보는 천주교의 ‘양교’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서는 먼저 외국 선교사들이 중국의 국적을 취득해야 하고 중국어를 배워 중국어로 선교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학문 선교를 주장하면서 천주교 대학 창립에 앞장섰으며, 마테오 리치적 방법으로 중국에서 천주교가 뿌리내릴 것을 주장했다. 마샹보는 ‘양교’의 천주교가 토착화의 과정을 거치면 서양의 종교가 아니라 중국 사회에 융합되어 중국 고유의 종교가 될 것을 의심하지 않았다. 이후 마샹보의 중국 천주교의 토착화에 대한 노력은 사회의 광범위한 동의를 얻었다. 그는 중국 천주교 토착화 운동에서 선구자의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activities and thought of Maxiangbo who used to be a Chinese Catholic and a Jesuit father in his youth, in order to investigate his internal experience of cultural conflict to be faced in the flow of Chinese modern society and his activities at political stage after his withdrawal from the Society of Jesus and also to investigate how he tried harmony between Catholicism and Chinese culture for inculturation of Chinese Catholicism when he returned to the church again. This study described two main subjects. First, it described as a Jesuit father in his youth and conflict process of Maxiangbo as a nationalist. Maxiangbo was born from an Catholic family and was raised with Catholic education but he also receive a traditional Confucianism education. He was born when the Opium War broke out. Unlike before, Catholicism became a religion which entered into China carrying powers on its back. There occurred cultural conflict inside Maxiangbo as change arose in Catholic mission policy and he withdrew from the Society of Jesus. Second, it described Maxiangbo"s inculturation method of Chinese Catholicism. While Maxiangbo experienced internal conflict as a Jesuit father and a nationalist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life, he tried to harmony between Catholicism and Chinese culture for inculturation of Chinese Catholicism during the latter half of his life. Then Chinese people considered Catholicism as western religion, i.e. "yangjiao(洋敎)". The most effective way for Catholicism and foreign missionaries to change image of "west" was the very inculturation of Catholicism. Maxiangbo insisted that foreign missionaries had to acquire Chinese nationality and to learn Chinese language in order to change image of "yangjiao" and to propagate religion in Chinese language. In addition, insisting study mission, he took the lead in foundation of Catholic college and also insisted to take root of Catholicism in China through the adaptive method of Matteo Ricci. Maxiangbo had no doubt that Catholicism of "yangjiao" became the religion indigenous to China after having been fused into Chinese society from western religion if it went through process of inculturation. Afterwards, Maxiangbo"s efforts for inculturation of Chinese Catholicism gained broad agreement of society. It can be said that he played a role of pioneer in inculturation movement of Chinese Catholicism.

      • KCI등재

        한·중 천주교 선구자 정약종(丁若鍾)과 서광계(徐光啓) 비교 연구

        신의식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6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천주교의 대표적인 평신도인 한국 측의 정약종(丁若鍾, 아우구스티노, 1760~1801)과 중국 측의 서광계(徐光啓, 바오로, 1562~1633)를 중심으로 그들의 신앙 실천을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은 초창기 천주교 전파에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먼저 한국 천주교 초기의 주춧돌 역할을 담당하였던 정약종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는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난 후 그 스스로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에 대한 것이고, 둘째는 그렇게 깨닫고 찾은 참 진리를 어떻게 전교하였는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반상관계가 명확하던 조선시대에 어떻게 다른 신분의 사람들에게 신앙을 전파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정약종의 전교 태도를 살펴보는 데 상당히 유의미하였다. 셋째는 문서로 인한 선교에 대한 것이다. 특히 정약종이 『쥬교요지(主敎要旨)』를 언문으로 작성한 이유는 소외된 이들을 선교의 대상자로 주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식이 있는 양반들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천주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상민과 천민을 대상으로 복음 전파에 힘썼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는 정약종이 일기에 궁흉지언(窮凶之言)을 남긴 이유는 자신의 주장과 죽음으로 기존의 가부장적 사회질서와 성리학적 국가질서를 동시에 극복해 낼 수 있기를 바랐던 점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측에서는 중국 천주교회의 3대 기둥 중 한 명인 서광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는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당시 사대부들이 천주교에 입교할 때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축첩(畜妾)에 대해서 서광계는 담대하게 천주교 입교를 결정하고 세례를 받았다는 것 등에서 그의 견고한 믿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는 주변 인물에 대한 전교활동을 살펴보았다. 서광계가 천주 신앙을 받아들인 것은 자신이 직접 선교사를 찾아가 종교에 대해 알아본 후 세례를 받았고, 그 후 자신의 고향에 천주교 선교사를 모셔와 천주교를 전파하는 서광계식의 전교방식을 활용하였다. 이후 그의 제자들도 이러한 방법을 따라 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로는 남경교난과 같은 어려운 때에 호교서(護敎書) 집필을 통해 천주교를 공식적으로 옹호하고 보호한 서광계의 공헌은 지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천주교 초기 평신도를 대표하는 정약종과 중국 천주교 초기 평신도를 대표하는 서광계를 약 200년이라는 시간 차를 극복하고 비교 언급한다는 것은 그리 녹록한 일은 아니었으나, 다음과 같은 공통부분을 도출해 내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그 첫째로 두 사람 모두 각자의 나라에서 초기 천주교의 기틀을 다지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점이다. 둘째로 그들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천주교 전파를 실천하였던 것이다. 특히 정약종은 천민과 부녀자들에게, 서광계는 서광계식 전교방식으로 선교사를 모셔와 불모지인 곳에 천주교를 개교하는 식의 서광계식 전교방식을 구축하였다는 점 역시 버려진 대상에 천주교를 전파하였다는 점에서 비슷한 면을 찾을 수 있다. 또 이들은 당대 지식인으로서 저술활동을 통한 전교 즉 문서 선교라는 방식을 통해 초기 천주교회의 기틀을 마련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공교롭게도 그들의 인생에 있어 42세의 나이는 이들에게 아주 중대한 시기였음을 ...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study their faith practices, focusing on Jung Yak Jong(丁若鍾, Augustino, 1760~1801) of Korea and Xu Guang Qi(徐光啓, Paulo, 1562~1633) of China. They are the one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in the early days. For a start, focused on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Jung Yak Jong, who played the role of grounds in the early days of Catholicism in Korea. The first is about how he changed himself after accepting the Catholic faith, and the second was how to teach the true truths he realized and found. Especially, status system It was significant to examine the attitudes of Jung Yak Jong’s evangelism by learning how to spread faith to other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when the relationship was clear. The third is about missionary work by documentary. In particular, We can tell the reason why Chu-chiao yoo-chih(主敎要旨) was written in Hangeul is probably because of his missionary work.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knowledgeable class members, but also those who had relatively poor understanding of Catholicism and the people who tried to preach the gospel. Fourth, the reason why he left “extremely ugly word”(窮凶之言) in his diary, it was found that this claim was made in that he wished to overcome the existing patriarchal social order and the sacramental national order at the same time through his claim and death. The Chinese side looked at Xu Guang Qi, one of the three pillars of the Catholic Church in China. First, we looked at the part of accepting Catholic faith. Xu Guang Qi boldly decided to join the Catholic Church and was baptized to confirm his solid beliefs about the concubinage(畜妾), which was the biggest obstacle when the envoys entered the Catholic Church at the time. Secondly, we examined the missionary work. Xu Guang Qi’s acceptance of the Catholic faith was baptized after he went to the missionaries to find out about religion. Later, his disciples were seen following this metho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official support of Catholic advocacy through the articles in support of Catholicism(護敎書)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in the traditional era.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of overcoming and comparing the time lag of about 200 years the comparison between Jung Yak Jong, who represents the early layman of Korean Catholicism and Xu Guang Qi, representing the early layman of Chinese Catholicism. However, I have achieved results that lead to the following common parts. The first is both of them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laying the foundations of early Catholicism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Second, they practiced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regardless of their status. Especially, Jung Yak Jong was similar in that he spread Catholicism by establishing a Xu Guang Qi style communion method in which the Xu Guang Qi enshrines missionaries in the teaching method and opens Catholicism in a barren place. In addition, they were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and the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arly Catholic Church through the method of their mission work, or documentary mission, through writing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ge of 42 in their life was a very important time for th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bove,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Korea and China who practiced the doctrine and re-examine their contributions to establishing early Catholicism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Particularly, re-examining their faith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source to renew our faith. It is important not to overlook the foundations of Korean-Chinese Catholicism in order to form a relationship with each countries’ Catholics. As a result, this paper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the growth of Catholicism in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후기 서학서(西學書)의 수용과 보급

        조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4 No.-

        18세기의 조선은 중국에서 간행된 한문본 서학서적에 관한 연구와 독서를 통해서 유럽의 과학기술과 사상에 접할 수 있었다. 이를 조선에서는 西學으로 불러왔다. 그러나 특히 조선사회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던 것은 천주교 신앙이었다. 따라서 조선에 천주교가 설립된 1784년을 전후하여 서학이라 할 경우에는 주로 천주교를 뜻했고, 서학서적은 천주교 서적들을 뜻하게 되었다. 본고는 18세기말부터 19세기 개항이전의 시기에 조선 천주교회에서 취하고 있었던 천주교 서적의 보급을 위한 노력을 먼저 검토하였다. 이에 이어서 본고는 천주교 서적의 수용과 보급에 대한 정부의 반대 입장 내지는 탄압정책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즉, 본고는 조선에 전래된 서학서의 종류나 그 구체적 내용에 주목하기보다는 당시 서학서적의 보급을 위한 조선교회의 노력과 이를 금지하고자 하던 조선정부의 정책을 주목해 보았고, 이것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즉, 조선에 천주교 서적이 전래되기 시작한 때는 17세기 전반기였다. 그러나 이 서학사상은 곧 양반 지식인의 범위를 벗어나 일반 민중에게로 확산되어 갔다. 그리하여 조선 천주교회가 세워진 18세기 80년대 이후부터 서학 즉 천주교 서적의 번역 간행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었다. 당시 교회 지도자들은 신도들에게 천주교 신앙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서적의 보급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18세기 말엽에는 주로 漢文西學書들이 한글로 번역되었다. 1801년에 이르러서는 당시 조선에 전래되어 있던 120여종(199책)의 한문서학서 중에 83종(128책) 정도가 한글로 번역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서적의 번역뿐만 아니라 저술활동도 나타났다. 정약종의 "주교 요지"(the Principle of Catholicism)가 그 대표적 예이다. 그리고 1836년 프랑스 파리외방선교회 (Missions Etrangers de Paris)의 선교사들이 들어와 활동한 이후 "신명초행"(Pensez-y-bien), "프란시스코 살레지오의 전기"(la Vie Devote) 등 프랑스의 종교서적들이 번역 소개되었다. 그리고 신자수의 증가에 따라 18세기 말엽 이래로 번역되어 읽혀 왔던 천주교의 기도서, 교리서, 전례서들이 본격적으로 간행되었다. 그리하여 1860년대 초반 서울에서 모두 2만 여권의 각종 천주교 서적이 간행되어 전국으로 보급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정부 당국은 천주교 신앙이 왕조의 지배이념이었던 성리학에 위배되고, 군주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도를 부정하는 反사회적 사상으로 규정했다. 정부는 천주교 신앙을 탄압하는 정책을 강행했다. 그 탄압 정책에서 중요한 부분은 천주교 신앙의 전파를 막기 위해 서학서 즉 천주교서적의 보급을 금지하는 것이었다. 정부는 천주교 서적의 소지자들을 찾기 위해 노력했고, 천주교 서적을 찍어내던 판목을 압수하여 소각시켰다. 18세기 말엽부터 진행된 천주교 서적의 보급을 위한 노력은 성리학 중심의 조선사회에 대한 사상적 도전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부의 탄압은 전통사회의 질서를 유지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본고는 바로 이와 같은 사실이 서적에 대한 정책을 통해서 어떻게 진행되어 갔는지를 집중적으로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 작업은 서학과 실학과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전제되는 작업이 될 것이다. In 17th century, Korean society accepted western science and ideas by reading western books translated in China. They called such studies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In the domain of seohak, it was catholicism which attracted korean people and provoked many social problems. Since the establishment of catholic church in 1784, seohak had been understood as Catholicism and sohak books had meant catholic books. Catholic books arrived in Ko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Catholicism spreaded out not only yangban intellectuals but also common people. Since the years of 1780s, leaders of Korean Catholic Church tried to translate and to distribute catholic books to propagandize people for catholicism. At first they translated Chinese written catholic books into hangul. In 1801, 83 books(128 volumes) were translated into hangul. Some leaders wrote catholic books in hangul like Chugyoyoji (주교요지, the Principle of Catholicism). After the arrival of french missionaries of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in 1836, french religious books were translated and distributed; Pensez-y-bien (신명초행), la Vie Devote(프란시스코 살레지오 傳) etc. In the begin of 1860s, about 20,000 vernacular catholic books were published and supplied all over the country. The korean government regarded catholicism as a anti-social and anti-confucian idea which denies loyalty to the king and filiarity toward one's parents. The government suppressed catholicism by prohibition of vernacular catholic books and burning their printing blocks. The efforts to spread vernacular catholic books were understood as the ideological defiance to Korean confucian society. Governmental suppression to it was the effort to conserve their traditional orders.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재인식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도의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현재적 의미와 미래적 가치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강원도 천주교를 재인식하는 것이다. 강원도 천주교는 19세기 초의 교난(敎難) 시기에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이 박해를 피하여 강원도의 산중으로 이주한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후 강원도 천주교는 교우촌(敎友村)의 시련기를 통하여 잠재력을 강화하고 횡성의 풍수원 성당과 원주의 용소막 성당 등으로 제도화 되면서 정착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 천주교의 기원적 사건인 교난(敎難)의 의미를 배경으로 지역 연구의 관점에서 강원도 천주교를 고찰함으로써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규명한다. 천주교는 16세기에 서학(西學)이라는 신문화로서 인식되었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종교의 위상으로서 조선에 수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천주교는 여러 차례의 교난을 거치면서 수많은 신자의 처형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은 전국 각지로 도피해야 했다. 강원도 천주교의 뿌리는 교난으로 인한 신자들의 도피다. 신자들이 지역적 특성을 활용하여 도피하면서 형성된 강원 지역의 천주교 문화는 ‘주변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강원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정착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ㆍ신학적 갈등이 교우촌의 과도기를 거쳐 제도화를 통해 해소된 역사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에 있어서 강원 지역은 단지 외피나 주변으로서 전체에 참여하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 체계가 그 안을 관통하는 ‘전체적 부분’(total part)이다. 강원도 천주교 문화는 중심부의 박해로 인하여 형성되었으나, 바로 그 때문에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자생적으로 성장했으며 결국 중심부의 제도화를 촉발하고 그 바탕을 제공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가 중심과 지역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n the Catholicism in Gangwon province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Gangwon province"s local identity and to systemize its actual signification and its future value. Catholicism in Gangwon area is rooted in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some catholics who did reject renegade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to avoid the oppression. Henceforth i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fortification of its potential in the period of transition during which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were formed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by foundation of some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and Wonju"s Yong-so-mak. In this paper I consider in the viewpoint of area studies Gangwon"s catholicism and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on a background of persecution which constitutes the fundamental evenement for Korean catholicism. The Catholicism has been received in the late 18th century as a proper religion after having been regarded as Western Learning. It has suffered, however, several rounds of persecution, and consequentially innumerable christians were executed in the most atrocious way. In this condition many christians who did not apostatize had to seek refuge all across the country. The origin of Gangwon"s catholicism consists to escape persecution and to take refuge in this region. Then catholic culture in Gangwon area would be easily regarded as "local" for it has been formed by the fact that under favor of Gangwon"s geographical condition christians took refuge in this province. But the process through which catholicism has been settled in Gangwon area by foundation of churches such as Pung-su-won, is an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ologico-political conflicts of center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period transition of catholic communties and their institutionalization in legal church. Therefore, in Korean Catholicism Gangwon area is rather a "total part" in which total system projects itself than a surface or local which is only a portion of the whole. It is true that Catholic culture of Gangwon area has originated in the escape from the persecution of center. However, it could, by this fact itself, grow in autochthonic way on the public substratum, and it has finally stimula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enter in constituting its basis. In this perspective I show that catholicism of Gangwon province contributes to a new understa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 KCI등재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 양상

        趙志衡 ( Cho Ji-h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본고는 燕巖 朴趾源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이 그의 손자 瓛齋 朴珪壽에게 계승·확장되는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암이 지닌 천주교 인식과 대응의 양상을 살피는 것은 18세기 노론 인사들의 서학-서교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였는가 하는 점을 살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암은 노론 핵심인 반남박씨 가문 출신으로 北學派를 대표하는 문인이었다. 북학파 문인들은 일찍부터 서양의 과학기술과 자연과학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燕行을 통해서 자신들의 학문적 논의를 진전시켜 나갔다. 하지만 북학파 문인들은 종교적인 부분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다른 북학파 문인들과는 달리, 연암은 천주교에 대해서 허황된 학설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즉 연암은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천주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친서학-반서교의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양상은 沔川郡守 재임 시기의 행적에서 잘드러난다. 이 시기 연암에게 천주교는 어리석은 백성들을 꾀어내어 비루한 습성들을 지니게 하는 매우 위험한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천주교에 대한 대응 방식에 있어서는, 천주교도들을 붙잡아 형벌을 가하고 배교를 강요하는 등의 강력한 대응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신에 수령이 지극한 정성과 진실된 마음으로 백성들에게 신뢰와 감동을 주어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연암은 이러한 방식을 직접실행에 옮겨, 천주교에 빠진 백성들의 마음을 돌리고 배교시키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같은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은 가문 내 후손들에게 계승·확장되었으며, 연암의 손자였던 박규수가 남긴 「闢衛新編評語」에서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박규수는 몇 차례 진행된 국가적인 천주교 박해가 실효성이 없었음을 강변하는 한편,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연구하여 그 모순점을 비판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1866년 병인박해 당시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가서는 백성들을 교화하는 데 주력하며 천주교도를 한 사람도 처형하지 않았다. 이러한 천주교에 대한 대응 방식은 조부 연암이 보여준 모습과 상호 참조가 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Catholic and the aspect of correspondence of Park Ji-won. In addition, it has been looked into how Park Ji-won's perception and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ere inherited and extended to his grandson Park Kyu-su.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examining one aspect of the Catholic and Western learning perceptions that the Noron scholars had in the 18th century. Park Ji-won was from a core family of Noron and a representative literary person of Northern Studies. The scholars of Northern studies were very interested i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ural science, and they advanced their academic discussions through history travels to Chinese. Park Ji-won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Catholic and thought it's an absurd theory. In other words, Park Ji-won was taking the position of ‘pro-Western learning, anti-the Catholic’ that was positive about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ut negative about Catholicism During his tenure as a Myeoncheon governor, Catholicism to Park Ji-won was recognized as a very dangerous idea that enticed foolish people to have poor habit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way of corresponding Catholicism, he raised the problems of a strong response to arrest and penalize Catholics, and instead insisted that Suryeong should be moved and taught the people with sincerity and trust. In fact, he put this in practice by himseld and made good results. Park Ji-won's perception of and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ere inherited by his grandson, Park Gyu-su. Park Gyu-su argued that the several Catholic persecutions at 『Byeokwuisinpyeongeo』 were ineffective, while he insisted that actively accepting and studying Catholic books and criticizing its inconsistency to prevent the spread of Catholicism. Also, at the time of the Byeongin Catholic Perceptions in 1866, he focused on educating the people as a Pyeongan-do governor and did not execute even a single Catholic. Such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as similar to his grandfather, Park Ji-won.

      • KCI등재

        정약전(丁若銓)과 서교(西敎)

        조성을(Cho, Sung-Eul)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4

        정약전이 서교를 수용한 것은 1784년 4월 이후이며 적어도 1786년 3월까지는 비교적 열심이었고, 1787년 12월의 정미반회를 계기로 거리를 두게 되었으며 1791년 신해교안을 계기로 서교와 완전히 결별하였다. 1795년 7월과 1799년 4월에도 서교와 관련이 있다고 모함당했으나, 그 증거는 전혀 찾을 수 없었다. 1801년 2월 신유교안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을 때도 이미 서교와 관계를 끊은 것이 문초 중 밝혀졌고, 1801년 겨울 다시 황사영 백서 사건에 연루되었으나 관계없음이 밝혀져 죽음을 면하고 흑산도로 유배 길을 떠났다. 1795년 이후 1801년까지 모함이 여러 차례 계속되었으나 공서파(攻西派)에서는 아무런 서교 관련 증거도 제시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관계를 끊었다는 증거만이 드러났다. 이것은 이미 1787년 12월 정미반회를 계기로 서교에 거리를 두게 된 정약전이 1791년 신해교안을 계기로 서교와 완전히 결별하였음을 의미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정약전은 1776년 상경 이후 본격적으로 소장성호학파의 학문에 젖어들었다. 이것은 대체로 양명좌파적 경향에 더하여 원시유학적 경향을 띤 것으로 보이고 이런 학문적 경향은 그가 서교를 수용하는 사상적 태반으로 기능하였다고 하겠다. 퇴계 이황의 리발(理發)의 철학은 양명학을 비판하기는 하였지만 사상사적으로 볼 때 기호남인들에게 수용되면서 중국에서 양명학이 행한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하면서 영향을 미쳤다. 이런 기능이 성호 이익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소장성 호학파 단계에 이르러 양명좌파적 경향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또 여기에 이익의 원시유학적 경향이 결합되어 이것을 사상적 태반으로 하여 상당수 소장성호학파 사람들이 서교를 수용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런 소장성호학파 가운데 대표적 인물의 하나가 바로 정약전이었다. 하지만 그는 서교를 떠났다. 정약전의 사상 전개와 관련하여 서교의 영향을 부정할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는 조선 주자성리학과 조선 후기 실학의 내재적ㆍ발전적 길 위에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Jeong, Yakjeon had taken part in Catholicism since April 1784 and believed in it at least until March 1786. However, he started to keep his distance from Catholicism after Catholic Meeting in December 1787, called Jeongmi Banhoi Event(정미반회사건), and abandoned his religion completely in 1791 when Catholic Persecution called Sinhae Persecution(신해박해) had arose. Nevertheless he was alleged to be involved in Catholicism in July 1795 and April 1799, there was no evidence. In February 1801, he was arrested during another Catholic Persecution, called Sinyu Persecution(신유박해). However it turned out that he had nothing to do with Catholicism through interrogation. In the winter of that year, he was accused of being involved in Hwang, sayeong Baekseo(황사영백서) again, but his innocence was proved. So he was banished to a remote island, Hewksando. He was, so to speak, alleged repeatedly that he believed in Christ from 1795 to 1801. However, the anti-Christian couldn’t prove the connection between him and Catholicism. On the contrary, it was revealed that he disconnected himself from the Catholicism. It means that Jeong, Yakjeon had forsook his religion since December 1987, Jeongmi Banhoi Event, and separated himself from Catholicism entirely. The Young Seongho School(소장성호학파) had an inclination for the left wings of Yangming School and the Primitive Confucianism. And it was the foundation of Jeon, Yakjeon’s thought, who became a Christian. Yi Hwang’s philosophy criticized the Yangming School, but Kiho Namin accepted it and developed into the left wings of Yangming School. In addition, adding Seongho’s inclination for the Primitive Confucianism upon which its idea was based on, Young Seongho School embraced Catholicism. One of the members of the Young Seongho School was Jeong, Yakjeon. Thus Jeong Yakjeon’s acceptance of Catholicism was grounded on the innate intellectual development during Joseon Dynasty.

      • KCI등재

        드라큘라에 나타난 가톨릭주의와 억압된 욕망

        손영희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19 영미문학페미니즘 Vol.27 No.2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characterization of Van Helsing and Dracula is built upon Ruskin’s dichotomization of Christianity as medieval proto-Protestantism (Protestant Catholicism) and Roman Catholicism. Ruskin’s dichotomy relies on the demonization of Roman Catholicism which is viewed as promoting homosexuality and female sexuality. Protestant Crusaders are initially suspicious of the use of Catholic symbols that Van Helsing introduces. However, it is not their science and technology but Catholic rituals of exorcism that can overpower Dracula. By demonstrating the magical power of Catholic symbols, Van Helsing leads them to accept Protestant Catholicism. However, in contrast to Dracula’s protestant spirit of rebellion against accepted norms, Van Helsing seems to be a repressive Roman Catholic Inquisitor who performs a sadistic ritual of staking Lucy to defend the norms of gender and sexuality. Thus it is difficult to contain Van Helsing and Dracula within Ruskin’s dichotomy. The fact that Jonathan Harker catalyzes the reintroduction of Roman Catholicism in Britain implies that Dracula is equivalent to the Oxford Movement. Since Catholicism is accepted by Protestants in Dracula, it becomes evident that the conventions of Gothic fiction that entail the demonization of Catholicism are not viable in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Irish Catholicism in poetries of Yeats and Heaney

        Hong, Sungsook 한국예이츠학회 2006 한국예이츠 저널 Vol.25 No.-

        Republic of Ireland is called a 'saint's country' since more than 90% of population believe in Catholicism. The Irish Catholicis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rish society and culture by offering the hierarchical order to Irish people's way of life. And also, Catholicism had been a symbol of nationalism and played the role to confirm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It is also true that since Free State Ireland, Catholicism with the word 'Gaelic' has contributed to making the national identity or 'racy Irish atmosphere'. However, the Irish Church of the 20th century was dedicated neither to spirituality nor the intellectual enhancement of the faith, but to material and social advantage. At the first stage of his writing, Yeats tries to consider Irish Catholicism as holy, combining it with mysticism of theosophy. And also he uses it to strengthen nationalism. However, Catholicism of that time, unlike what Yeats thought, sticks to the practical line, which makes Yeats criticize its materialistic ends. Meanwhile, talking about Heaney, although he accepts its values of contributing to the communal union and he himself is a serious devotee to pilgrimage going to Lough Derg or Station Ireland. Heaney feels at ease because of Catholic's fanaticism and oppression imposed on individuals.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although these two poets, Yeats and Heaney, accept that Irish Catholicism has contributed to inspiration of the national patriotism and promoted the modernization of independent Ireland, they criticizes that Irish Catholicism is lacking its artistic spirituality and that it is a trap from which artists are to escape.

      • KCI등재

        「적성방향약금사학절목(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으로 본 천주교 금지 정책과 척사(斥邪) 인식

        김숙경 ( Kim¸ Sook-kyeong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9

        「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은 ‘사학’을 금지하기 위해 ‘적성방’에서 만든 ‘절목’이 다. 1801년 1월 10일 대왕대비의 척사전교에 따라 비변사는 강력한 금교 정책과 천주교 배척 내용을 담은 관부 문서를 전국에 내렸다. 이른바 신유박해의 시작으로, 정조대의 교화중심대책에서 일변해 천주교 근절을 목표로 삼은 강력한 금교책이었다. 조정은 이를 위해 오가작통법과 향약에 주목하고, 이 두 가지를 결합해 향촌의 말단 조직까지 미치는 금사학절목을 만들었다. 그렇게 탄생한 「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은 1801년 조정의 지시로 향촌단위에서 만든 절목 중 지금까지 유일하게 확인되는 문서이다. ‘향약금사학절목’에는 비변사의 지시에 따라 적성방에서 만드는 과정뿐만 아니라 오가통법을 통한 천주교 신자 색출 및 통수의 연대책임을 비롯해, 향약을 통한 풍속교화 등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다. 따라서 조선 정부의 척사 인식과 금교 정책뿐만 아니라 비변사의 지시에 따른 향촌사회의 금사학 대응책까지 들여다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러한 ‘절목’의 검토를 통해 당시 조정의 입장과 향촌사회의 대응을 면밀히 확인할 수 있다. 조정은 정조대의 교화책을 탈피해 천주교를 변혁의 종교로 인식하여 근절을 목표로 삼았고, 조정을 넘어 향촌의 지배층도 이런 인식을 공유했다. 그래서 향촌사회도 조정의 지시에 호응하여 오가작통을 통한 감시와 통제책을 시행해, 천주교의 횡적 전파를 막고 전통적 유교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조정과 향촌의 강력한 금교 정책을 시행한 결과 많은 천주교 신자가 체포되고 천주교의 확산은 저지되었다. 아울러 鄕約禁邪學節目의 제정과 실시에도 살아남은 천주교 신자들이 깊은 산속으로 피신하여 신앙을 실천함에 따라 산중 교우촌 중심으로 교회가 재편되었다. 결국 「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을 통해 신유박해 당시 조선 지배층의 천주교에 대한 척사 인식과 금교 정책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 교회에 미친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다. 「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을 검토한 의의는 여기에 있다. Jeokseongbang-Hyangyak-Geumsahak-Jeolmok (赤城坊鄕約禁邪學節目) is a jeolmok (detailed regulations) compiled at Jeokseong-bang for the prohibition of ‘sahak (wicked learning).’ On January 1, 1801, pursuant to the grand queen dowager’s order for the rejection of heterodoxy, Bibyeonsa issued across the country an official document proclaiming strict policy against Catholicism and the rejection of it as heterodoxy. It was the beginning of so-called Sinyubakhae (Catholic Persecution of 1801), and was a strict policy aiming at the eradication of Catholicism, changing completely from edification-centered measures during King Jeongjo’s reign. For this, the Royal court took notice of oga-jaktong-beop (the system of five households in one tong) and hyangyak (village self-governing rules), and combined both of them and made geumsahak-jeolmok, which applied even to the lowest organizations of rural villages. Jeokseongbang- Hyangyak-Geumsahak-Jeolmok was issued in such a context, and is the only document currently found among jeolmoks enforced at villages in 1801. The Hyangyak-Geumsahak-Jeolmok contains not only the process of jeolmok being enforced at Jeokseong-bang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Bibyeonsa, but also matters such as the tracking down of Catholics through oga-tong-beop, the joint responsibility of the head of tong, and the edification of customs through hyangyak.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historical source that reveals the countermeasures of village society taken against sahak under the instruction of Bibyeonsa, as well as the Joseon government’s perception on the rejection of heterodoxy and its policy on the prohibition of Catholicism. From the review of the ‘jeolmok,’ the position of the Royal court and the response of village society can be identified in detail. The Royal court perceived Catholicism as a religion of revolution and was determined to eradicate it, breaking from the policy of edification during King Jeongjo’s reign. And the ruling class of villages also shared this perception. Thus, villages tried to autonomously enforce surveillance and control through ogajaktong in order to prevent the horizontal propagation of Catholicism and to maintain the traditional Confucian order in village society. As a result of the strict policy against Catholicism carried out by the Royal court and villages, lots of Catholics were arrested, and the spread of Catholicism was suppressed. In addition, the church was re-organized revolving around believers’ villages in mountains according as Catholics, who survived the enforcement of Hyangyak-Geumsahak-Jeolmok, fled to deep mountains and adhered to their faith. In conclusion, from Jeokseongbang-Hyangyak- Geumsahak-Jeolmok, it is possible to know the rejective perception of the Joseon’s ruling class on Catholicism as heterodoxy as well as polices against Catholicism at the time of Sinyubakhae, and also to grasp subsequent effects on the church. The present investigation of Jeokseongbang-Hyangyak- Geumsahak-Jeolmok is significant in this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