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석우 몬시뇰의 한국천주교회사 연구

        김수태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9 敎會史硏究 Vol.0 No.55

        최석우 몬시뇰(1922~2009)은 해방 이후 한국인에 의한 한국천주교회사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죽을 때까지 고민한 사제였으며, 거기에 대한 대답을 찾고자 열심히 공부한 학자였다. 그의 등장은 한국천주교회사에서 제대로 체계적인 훈련을 받은 전문 연구자의 탄생을 알려주는 것이다. 동시에 프랑스인이나 일본인과 같은 외국인이 아니라, 앞으로 한국인에 의하여 교회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주도되는 것을 예고해 주는 것이었다. 몬시뇰은 한국천주교회사에 대한 통사 저술을 계속해서 강조하였다.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그는 시대사 연구를 계속해서 확대시켜 나가면서, 한국천주교회사의 거의 전 시기를 다루었다. 그리고 통사의 저술에 분류사 저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면서, 다양한 분류사 연구를 통해서 통사의 내용을 풍부하게 채워가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통사의 저술을 위해서 교회론에 기반을 둔 독자적인 시대구분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서 한국천주교회사의 내용들을 선교사에서 순교사 및 문화사로, 그리고 다시 민족사를 거쳐서 구세사적 접근으로 나아가는 변화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몬시뇰은 한국천주교회사 연구를 어떠한 사관으로 행해야 하는가를 또한 깊이 고민하였다. 처음에 그는 교회사가 역사학과 신학이라는 두 개의 영역에 속하는 학문이라고 보았다. 이에 그는 교회사 연구와 역사의 올바른 관계를 위해서 사료론을 집중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는 교회사가 민족사만이 아니라, 그리고 세계사와의 관련성을 추구하는 세계화라는 주제까지 지향해야 한다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결국 그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교회사가 신학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교회 개념의 적용이 교회사 연구의 출발점이며, 동시에 그 방향은 구세사적 해석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몬시뇰의 한국천주교회사 연구는 한국천주교회사 속에서 그 역사적 위치를 뚜렷하게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한국천주교회사 연구에 대해서 ‘최석우 사학’으로 불러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Monsignor Choi Seok-woo(1922~2009) was a priest who thought about what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do after liberation, and was a scholar who studied hard to find the answer. His appearance marks the birth of a well-trained professional researcher in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t the same time, it was to forsee the full-fledged study of church history by Koreans, not by foreigners such as French or Japanese. Monssignor continued to emphasize the introductory whole history writing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fter receiving Ph.D, he continuously expanded his study of the history of the times, covering almost all periods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writing the taxonomy is very important for the writing of the whole history, he tried to fill the contents of the whole history through various Categorized History. Based on this research, he set up an independent period division based on ecclesiastical theory for the writing of the whole history. Through this, he tried to show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ontents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from history of missionary, to history of martyrdom, and cultural history, and then through national history to salvation approach. Monsignor also pondered what kind of view of history he should carry out regarding the stud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t first he considered church history as a discipline under two areas; history and theology. He focused on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for establishing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of church history and history. And he understood that church history should be directed not only to national history but also to the theme of globalization, which seeks to relate to world history. This approach eventually led him to gradually emphasize church history as theology. This is because he saw the application of the church concep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of church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he believed that salvational interpretation should be applied to that direction of the study. In this way, Monsignor’s study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clearly holds its historic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Then, it might be enough to call his study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s ‘Choi Seok-woo History’.

      • KCI등재

        최석우(崔奭祐) 교회사학(敎會史學)의 사학사적(史學史的) 의의(意義)

        원재연(Won Jae-yeon)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3

        최석우 몬시뇰은 한국 천주교회사에 대한 집체적 연구를 시작한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창설자로서, 구원사와 실증사의 조화를 통해서 전체사적 전망을 제시한 선각적 교회사가였다. 최석우 몬시뇰의 교회사학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석우 몬시뇰이 추구한 교회사 연구의 이상적인 형태는 교회사가 신학과 역사학의 두 영역에서 서로 공존하며 대화를 나누는 것이었다. 둘째, 최 몬시뇰은 신학으로서의 교회사를 추구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교회’라는 용어에 대한 신학적 개념 정립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최 몬시뇰은 처음에는 교계제도로서의 교회 개념이 중요하다고 보았지만, 차츰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특히 평신도의 능동적 참여가 보장되는 교회가 더욱 중요하다고 보게 되었다. 셋째, 최 몬시뇰은 한국 교회사 연구에서 원사료의 발굴과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중요시했다. 이는 그의 실증주의적 역사학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비롯된 경향으로, 달레, 다블뤼, 정약용 등 교회 측 인사의 기록뿐만 아니라 관찬 연대기와 재판 기록 및 척사론자들의 문집에 나오는 기록들도 매우 중시했다. 넷째, 최석우 몬시뇰은 박해기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 진출, 다산 정약용의 신앙과 가톨릭 사상, 안중근의 애국 활동과 신앙심,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의 영성과 활동 등에 대한 연구와 저술을 통하여 구세사적 관점에서의 교회사 연구를 진전시켜, 단순한 선교사와 그리스도교사의 범위를 초월하는 전체사로서의 교회사를 조망하고 추구하였다. 최 몬시뇰은 우리 벽돌로 지은 ‘한국 교회사’라는 건축물을 짓게 되었다는 점에서, 한국인에 의한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의 소망이 실현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 교회사 연구의 진정한 토착화는 실현되지 못한것 같다. 그것은 벽돌의 재질을 따지기 전에 그 벽돌로 지을 ‘교회사’라는 ‘무형(無形)의 성전(聖殿)’에 대한 건축설계도와 각종 도면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구체적 내용에 대한 합의가 아직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최석우 몬시뇰이 소망했던 “국산 벽돌로 지은 한국 교회사라는 무형성전의 건립”이 아직도 요원한 현실이 안타깝다. Msgr. Andrea Choi seok-woo is the founder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Church History who has started joint rearches on the catholic history in Korea with his fellow workers. He was the pioneer who showed the view of total history though harmonious research of Salvation and of Positivism in Catholic history. The research meaning of catholic church history studied by him was as follows. First, his ideal type of studying church history was that of communicating and coexisting between the division of catholic theology and of secular histoy. Second, he regarded formulating the concept of church most highly, for pursuing of church history in theologic viewpoint. He focused on the concept of church as catholic hierarchy at first, but he gradually became to attach much more importance to it as God’s people. Third, he stressed on the excava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on systematic analyses of them in studying Korean catholic history. This stress was came from the viewpoint of regarding Positivism in studying histoy, with focusing not only on the church data of Rev. Dallet, bishop St. Daveluy and John Jeong Yak-yong, but also on the persecutor’s materials such as annals of government, judicial records, and personal books worked by anti-catholic confucianist. Fourth, he has researched and wrote such papers as of French missionaries’ coming to Korea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of John Jeong Yak-yong’s belief and catholic thought, of Thomas Ahn Joong-keun’s patriotic movements and his catholic faithfulness, of the spiritualities and activities on Rev. st. Andrea Kim Dae-keun and his friend Rev. Thomas Choi Yang-eop, and of etc. Through these works, he inquired into studying of church history in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became to search and have the observation concerning total history of church, with transcending the mere history of mission or with surpassing the histoy of Christian. Msgr. Andrea Choi wanted that the study on Catholic history in Korea by foreign bricks might become by Korean. And now, he thought it became true. But I do not think so, in the strict point of view. Because we Koreans have not been able to reach an consensus on the concrete plan of Korean catholic history. Until now, we are in such needy circumstances that we do have enough discussions of total history containing of salvation history.

      • KCI등재

        샤를르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3

        샤를르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는 최초의 한국 천주교회사 통사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제대로 된 사학사적 분석과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책은 서론과 본론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이를 각각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소개한 책과 혹은 순교사 중심의 호교론적 저술로서만 그 성격을 규정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한국천주교회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한국천주교회사》의 몇 가지 중요한 특징들을 검토해 보았다. 역사 연구를 위한 훈련을 받지 않았던 다블뤼 주교와 역사가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던 달레를 비교할 때 《한국천주교회사》가 달레의 단독 저술임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달레가 한국사와의 관련 속에서 천주교회사를 서술하려고 한 사상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려고 했음을 지적해 두었다. 이 때문에 그는 조선을 둘러싼 대외 관계 속에서 천주교의 수용과 발전이 어떻게 주체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다루고자 하였다. 달레는 한국인들이 무신론자에서 유신론자로, 배교를 통해서 순교로 어떻게 나아가는가 하는 개종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그 결과 그는 한국 천주교에 대한 박해사의 서술에 많은 비중을 두었는데, 특히 박해가 정치 사상적인 이유에서 일어났음을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박해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 천주교가 수용되면서 일어난 커다란 변화를 함께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선교지에 대한 서구 사회의 편견을 없애려고 노력하였던 것이다. 달레는 특히 한국 천주교회사 속에서 선교의 역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하는 부분도 새롭게 이해하였다. 또한 한국 천주교가 종교의 자유를 어떻게 획득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는데, 그것은 달레가 앞으로 열리게 될 새로운 시대에 천주교가 한국 사회를 위하여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을 크게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달레의 한국관을 부정적으로만 평가할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런 까닭에 《한국천주교회사》에 실려 있는 방대한 내용들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s a member of Paris Foreign Mission Society(La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M.E.P.), Father Charles Dallet’s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is the first book to cover about the whole history of Korean Church. Despite such a significance,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has not yet been properly analyzed and evaluated in the domain of historical studies. The book is mainly divided into introduction and body parts however, each part was separately defined. One as introduction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the other as Apologetics text focused on martyrs. Therefore, novel approach is required for proper understanding of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This study examined few major features of the contents of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By comparing Dallet’s outstanding ability as a historian with Bishop Daveluy, whom had never received a training for historical studies, the fact, that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was Dallet’s solitary work, was found. Dallet’s attempt to apply research method of history of thought by describing Korean Church history in relation with Korean history was also mentioned. Due to this attempt, Dallet tried to deal with how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Catholic voluntarily took place while regarding foreign relations of the Chosun Dynasty. Dallet specifically narrated the history of conversion by describing how koreans became theists from atheists and how koreans proceeded to martyrdom through perversion of faith. As a result, Dallet placed a importance on describing the history of persecution in Korean Catholic. He especially elaborated that such persecutions occurred due to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s. Dallet tried to show significant change that took place, regardless of such a brutal persecution,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e acceptance of Catholic. Through these efforts, he endeavored to remove prejudice of Western society about their new mission field, the Chosun Dynasty. Dallet had original understanding about how the history of mission works took place in Korea regarding Korean Church history. Thereupon, he also gained interests in the matter of whether Korean church could attain the freedom of religion. This was because Dallet greatly anticipated the role of the Catholic church inside the Korean society in upcoming epoch. This fact proves that Dallet’s view of Korea can be positively evaluated. Due to these reasons, thorough and systematic analyzation of vast amount of contexts in the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is necessary.

      • KCI등재

        유홍렬의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와 그 특성

        박광용(Park, Kwang-Young)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3

        유홍렬은 일생을 역사학자로 살았지만, 동시에 뛰어난 교육 행정가이자, 열심한 가톨릭 평신도 사도직 활동가였다. 그의 한국사 연구는, 조선의 성리학 사회를 구명하는 노력에서 시작하였으나, 한국 천주교회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로 귀결되었다. 달레는 복음전래사와 순교사를 서술하였고, 주로 프랑스 선교사들의 기록을 사용했다. 이에 반해서 유홍렬은 한국 사회에서의 천주교회사를 서술하였고, 연대기를 위시한 국가 편찬 사료들을 보완했다. 유홍렬의 천주교회사 연구는 이전보다 폭넓고 철저하게 문헌 고증을 했다는 특징이 있다. 단편적인 사료들을 발굴하여, 교회사를 조금이라도 보완하려 노력했다. 다만, 개척적 저술이라서 오류들이 가끔 나타난다. 다음으로, ‘근대화론’과 ‘자체발전론’의 시각으로, 새롭게 밝혀낸 자신의 연구 성과들을 정리했다. 조선 교우들은 스스로 천주교를 수용하고 전파했는데, 이는 우리 민족이 ‘서구적 근대 사회’로 발전해 나가는 데 직접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조선 교우들은 근대적 휴머니즘이나 실험과학적 사고방식에 대한 변별 없이도, 천주교 사상을 받아들여서, 곧바로 서구 근대사상을 수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아마도 많은 부분이 오류일 것이다. 결국 유홍렬은 성리학이 우리 민족의 올바른 신앙생활-사회생활을 저해한 근원이라고 파악하였다. 반면에 이러한 비과학적이고 불평등한 역사적 상황을, 한국 천주교회가 극복해갔다고 파악하였다. 곧 달레의 호교론도 이어받고 있다. 서구 지향 근대화로 조국 건설에 이바지한다는 슬로건은 1960~1970년대 국가적 표방인데, 유홍렬은 이를 한국 천주교회사를 통하여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유홍렬의 사고는 너무 단순하고 자의적이지만, 사목적으로도, 대중적으로도 오늘날까지 폭넓은 이해를 받고 상당한 지지를 유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대 역사학은 크고 작은 인과 관계를 밝히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고, 이를 구성체적으로 또는 구조적으로 통합하여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홍렬의 역사학은 이 부분에서 한계가 있다. Yoo Hong-youl had lived as a historian all the time, excellent educrat and activist of Catholic lay apostolate, too. His study of Korean history had started trying to follow up Korean Neo-Confucianism society, and boiled down to total understanding of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Dallet had wrote a history of the Evangelization and of the martyrdom in Chosun Dynasty, using mainly French sources. In contrast, Yoo had wrote about the Catholic Church history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made up for the chronicles of Chosun Dynasty which is past Korea, and the historical data of the Dynasty, using mainly Korean sources. Above all, Yoo’s Catholic Church research has more perfect and much more historical sources than before. Scrappy remains and feeds the research a daunting, his trying to back up a little more on the history of the Church. Sometimes we can find a few mistakes in this research because it is pioneer writing. Next, he said the newly uncovered and organized them in his research with the theory of modernization and the theory of autonomous development. Chosun Christians accept Catholicism spontaneously and propagate to their nation, so Chosun society had had a big impact directly and developed into a modern Western society. Chosun Christians fell into the Catholic ideas and directly could get the Western modernism without distinguishing the modern humanism or the empirical-scientific way of thinking from the Catholicism. This is probably a lot of error. Eventually, Yoo thought that Neo-Confucianism was the bar for the people to become courteous believers in Catholicism. He thought Chosun Catholic Church had overcome these non-scientific and historical situation of inequality. So, he succeeded to the Dallet’s apologetics. The modernization of the Western-oriented slogan was a national promotion in 1960~1970’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otherland, Yoo had showed that situation throughout the Catholic History of Korea. These Yoo’s attitudes could be so simple and arbitrary, but because of its pastoral needs and public needs, Korean Catholic accept and support it significantly until this day. However, modern history aims not at clarifying great and small causes and effects but at examining and explaining the result of a structural or a social organic integration. This could be filling up the shortage of Yoo’s research.

      • KCI등재

        베르뇌 주교 서한 자료의 편찬사

        조현범(Cho, Hyeon-Beom) 한국교회사연구소 2021 敎會史硏究 Vol.- No.59

        파리외방전교회 문서고, 로마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문서고, 프랑스 르망교구 대신학교 도서관 등지에는 베르뇌 주교의 서한들이 보관되어 있다. 베르뇌 주교가 직접 쓴 친필 서한 원본도 있고, 이를 베껴 쓴 필사 서한도 있으며, 나중에 친필 혹은 필사 서한을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타자기로 정서한 자료들도 있다. 본고는 베르뇌 주교가 통킹, 만주, 조선 등지에서 작성한 서한들이 현재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그 서한들이 사료로 편찬되어 오늘날 우리의 손에 전해지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베르뇌 주교 서한 자료들이 들어 있는 문서철이 어떤 성격을 지닌 것이며, 주목해서 바라보아야 할 점들은 무엇인지도 함께 조명하였다. 그리고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자료가 있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도 살펴보았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측으로부터 자료 협조를 받아 확인한 바에 따르면, 베르뇌 주교가 남긴 서한 자료는 총 287통에 달한다. 그중에서 조선대목구장에 임명되기 이전에 쓴 것은 149통이며, 조선대목구장으로서 쓴 것은 138통이다. 로마 교황청 포교성성에 보낸 서한 여섯 통을 제외한 나머지 서한들은 파리외방전교회 문서고에 원본 혹은 필사본이나 타자본으로 보관되어 있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최석우 몬시뇰은 파리외방전교회 한국 지부장 마르셀 펠리스 신부와 협력하여 파리와 로마에서 베르뇌 주교 서한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그 가운데에서 조선대목구와 관련된 서한 130통만을 선별하여 1995년 판독 자료집으로 간행하였다. 그리고 2018년 다시 한국교회사연구소는 판독 자료집의 내용을 원문과 대조하여 오류를 바로잡고 대역 자료집으로 간행하였다. 베르뇌 주교의 서한 자료를 정리하고 번역하여 자료집으로 펴냄으로써 앞으로 1855년부터 1866년 사이의 조선 교회사를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의 서한 자료를 편찬할 때 두 가지 점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선교사 서한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조선대목구 관련 각 문서철은 누가 언제 묶었는지, 왜 그러한 일련번호를 붙였는지 등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남아 있다. 선교사 서한 자료들을 국내로 반입하여 교회사 사료로 편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의문들을 풀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선교사 서한 자료의 번역본이나 대역본을 만들고자 한다면 사료 편찬의 원칙이 있어야 한다. 본래 사료가 소장된 문서고에서는 나름의 기준으로 사료들을 분류하고 정리하여 문서철을 생성하기 때문에 그 문서철이 지닌 통합성과 완결성을 완전히 무시해서는 안 된다. 가급적 특정 문서철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문서철의 성격과 분류 방식을 밝히고 또 그 속에 들어 있는 개별 서한 자료들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모두 판독하고 번역하여 자료집에 담는 것이 사료편찬의 기본 원칙이다. Bishop Berneux’s letters are stored in the Archive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ary Society, the Archives of the Vatican’s Congreg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Humankind, and the Library of the Diocese of Le Mans in France. Some of the original letters were written by Bishop Berneux, some copies were handwritten letters, and others were handwritten or typewritten so that the letters could be read more easily later.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how many letters that Bishop Berneux wrote in Tonkin, Manchuria, and Korea remain today, and what process they went through before they were compiled as historical documents and passed down to our hands toda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in which Bishop Berneux’s letters are preserved, and the points to be paid attention to, are also highlighted. And if there are materials that have not yet been discovered, we looked at what to do in the future. The history of the compilation of the letters of Bishop Berneux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Korean Church History Research Institute, there are totally the 287 letters left by Bishop Berneux. Among them, he wrote 149 letters before he was appointed to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and 138 letters as the Vicar apostolic of Korea. Except for the six letters addressed to the Congregation for the Congregation for Evangelism in Rome, the remaining letters are kept in the Archive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ary Society in the forms of originals, manuscripts, or typefaces. Seok-Woo Choi, Monsignor of the Korean Church History Research Institute, in cooperation with Father Marcel Pélisse, the head of the Korean branch of the Paris Foreign Missionary Society collected historical records about Bishop Berneux in Paris and Rome. In 1995 they published a compilation of Bishop Berneux’s letters written in Korea. And in 2018, the Korean Church History Research Institute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former book with the original text, corrected the error, and published it as an new critical version. It would be of great help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between 1855 and 1866. We propose to consider two points when compiling the documents of French missionaries’ letters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archival system of European Catholic Church. Still remain some questions about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such as who tied them when, and why they were given such serial numbers. Second, if one wants to make a translation or an critical version of missionary documents, he must have the principle of compiling historical records. The basic principle of historical compilation is to keep the original form of a specific file as much as possible, reveal the nature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file, and include all the document without omitting any individual letter.

      • KCI등재

        한국 천주교회의 미국 천주교 외방선교회(메리놀회)와의 교류와 그 의의

        최선혜(Choi, Seon Hy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6 敎會史硏究 Vol.0 No.49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천주교회와 미국 천주교회의 교류를 검토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사를 보다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있다. 유럽의 천주교회와 달리 미국 천주교회는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외방 선교에 나서기 시작하였다. 이에 아시아 선교를 목표로 ‘미국 천주교 외방선교회’(메리놀회)를 창설(1911)하였고, 한국 천주교회는 메리놀회 창설 직후 부터 교류를 시작하였다. 한국 천주교회는 무엇보다 아시아 선교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촉구하였으며, 한국은 동양의 그 어떤 나라보다도 영성이 일어나는 준비된 선교지임을 강조하였다. 세계 제1차 대전이 발발하여 전쟁이 장기화되자 한국 천주교회는 더욱 절박하게 미국 천주교회가 선교지에 대한 책임을 깨닫게 되기를 촉구하였다. 메리놀회는 외방 선교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촉구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요청에 진지한 반응을 보였다. 창설자 월시 총장은 선교사 파견을 위한 초석으로 아시아 천주교회 순방길에 올랐고, 직접 진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여정에서의 경험을 담아 여러 출판물을 통해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와 현황을 소개하고 한국에서 순교한 선교사의 전기도 출간하며 한국 교회에 대한 관심과 후원을 호소하였다. 한국 천주교회는 일제의 압박에도 시달리고 있음을 전하며 일본 정부가 일본과 한국 모두를 파멸시키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천주교인이 되는 것과 관련해 한국인에게 가장 큰 두려움은 일본 경찰의 감시를 받는 것이며, 교묘하게 자행되는 일본 정부의 그리스도교 압박으로 개종자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며 안타까워하였다. 메리놀회도 이러한 요청에 적극 반응하며 한국에 진출하는 문제의 중요성을 집중해 다루었다. 마침내 교황청은 메리놀회의 한국 선교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고, 메리놀회는 순교자의 나라인 한국은 메리놀에게도 감동적인 곳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천주교회의 미국 천주교회를 향한 선교의 책임과 당위성에 대한 호소, 아시아 선교를 목표로 한 미국 외방선교회의 적극적 호응, 이에 대한 교황청의 후원과 승인으로 마침내 미국 천주교회의 한국 진출은 이루어졌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 American Catholic Church.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atholic Church in Asia, there had never been a direct exchange with the American Catholic Church. Only after the 20th Century did the American Catholic Church begin leading foreign missionary work. After the mid-19th Century, Fr. Walsh, Fr. Price, and Mother Mary Joseph Rogers founded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Maryknoll) with the aim of creating mission in Asia. The Korean Catholic Church hoped that the American Catholic Church would realize its responsibility in foreign missions, and wanted it to recover it’s reputation by realizing that the United States was the only country with Protestantism, and prejudiced as a country known only for its money. Maryknoll responded genuinely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s request regarding foreign missions. As a cornerstone for sending missionaries, Superior General Fr. Walsh visited Korea where he discussed making advances in Korea. By publishing a magazine and Korea-related books, the history and circumstanc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hich transpired out of persecution and martyrdom were introduced, and garnered further interest and attention about the Korean Church. Ultimately, the Vatican officially allowed Maryknoll a mission in Korea.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the American Catholic Church’s missionary work, the active response to create Asian missions by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 and the Vatican’s support and approval is subsequently what brought about the entrance of the American Catholic Church into Korea.

      • KCI등재
      • KCI등재

        1940년대 일제의 한국천주교회 통제 양상

        윤선자(Yoon, Seon-Ja) 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7

        일제의 한국 강점 이후, 일제는 서구열강들과 대적하지 않기 위해, 한국 천주교회는 선교권을 보장받기 위해 서로를 견제하였지만 직접적·총체적으로는 충돌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일제의 천주교회 정책은 1920년대의 회유에서 통제로 달라졌고,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에는 압박의 강도를 더욱 강화하였다. 일제는 천주교회를 감시하였고, 외국인 선교사들을 추방하였으며, 한국인 신부들과 신자들을 감금하고 재판에 회부하였다. 한국천주교회의 구성원들은 성직자이건 평신자이건, 외국인이건 한국인이건 상관없이 일제의 감시 대상이 되었고 미행당했으며 경찰서 유치장에 감금당하였다. 간첩 행위를 할 것이라 의심받았고, 천황 신앙에 굴복할 것을 강요받았으며, 고문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성직자들과 신자들은 일제의 모든 회유를 물리쳤고 협박을 견뎌냈다. 일제의 천주교회에 대한 압박은 체포와 감금에서 멈추지 않았다. 평양교구의 메리놀회 선교사들은 적국인 미국인이라는 이유로, 광주교구와 춘천교구의 골롬반회 선교사 중에서도 미국·호주·뉴질랜드 국적의 선교사들은 적국 국민이라는 이유로 추방당하였다. 추방당하지 않은 외국인 선교사들은 활동 제한을 당했고, 연금되었다. 몇몇 신부들과 신자들은 재판에 회부되었다. 여수본당의 이민두 신부는 군기보호법 위반, 매괴학교 교사 고강순은 천황에 대한 불경과 치안 방해, 제주도의 선교사들과 신자들은 국방보안법·군기보호법 등의 위반, 계명학교 교사 김종국과 사촌 김종군은 보안법·불경죄, 화산본당 김영호 신부는 불경죄와 육군형법·해군형법 위반 혐의로 각각 재판을 받고 형을 선고받았다. 일제는 이들을 스파이 혐의로 의심하였고, 비국민이라며 비난하였다. 그들의 천황 신앙에 동조하지 않았고, 그들의 침략전쟁에 함께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일제의 감시와 감금, 추방과 재판은 한국천주교회를 크게 위축시켰다. 외국인 선교사 수는 크게 감소하였고, 한국인 성직자 수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며, 전도사 수도 급감하였다. 선교 인력의 감소는 신자수에 영향을 미쳤다. 경성교구·평양교구·연길교구 외에는 모든 교구의 신자수가 감소하였다. 세 교구의 신자수 증가는 많은 숫자의 한국인 성직자들, 가톨릭 운동, 일제의 식민통치권 밖이라는 것이 이유였다. 일제는 한국천주교회에 천황 신앙, 전쟁에의 협력을 강요하였다. 그러나 한국천주교회의 성직자들과 신자들은 불경, 치안 방해, 군기보호법 위반 등의 죄목으로 처형되기까지 일제에 항거하였다. 그렇게 1940년대 전반기의 한국천주교회는 일제의 폭압을 견디고 교회를 지켜냈다. Aft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strength in Korea, the Japanese colonial rule checked each other in order not to confront the Western powers, and the Catholic Church to secure the right to mission to Korea, but did not directly or collectively clash. However, after the outbreak of World War II, the Catholic Church policy of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from conviction in the 1920s to control,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increas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monitored the Catholic Church, expelled foreign missionaries, imprisoned Korean priests and believers and brought them to trial. Member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hether priest or believer, or foreigners or Koreans, were subject to Japanese imperial surveillance, followed, and imprisoned in a police detention center. He was suspected of committing espionage, was forced to succumb to the faith of the emperor, and was tortured. But the priests and believers resisted all convictions and endured threats. The Japanese imperial pressure on the Catholic Church did not stop at arrest and imprisonment.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Maryknoll Fathers & Brothers in Pyongyang Diocese were deported because they were Americans, and among the Missionary Society of St. Columban in Gwangju and Chuncheon Dioceses, American, Australian, and New Zealand nationals were deported for being nationals. Foreign missionaries who were not deported were restricted from work and were detained. Several priests and believers were brought to trial. Priest Lee Min-doo of Yeosoo Cathedral violated the Military Confidentiality Protection Act, teacher Ko Gang-soon was handed over to trial for disrespecting the emperor and for obstructing the security. And missionaries and believers in Jeju Island were tried on charges of violating the National Defense Security Act, teacher Kim Jong-gook and his cousin Kim Jong-goon on charges of security law and blasphemy, and priest Kim Young-ho on charges of blasphemy and violating the Army Criminal Act and the Navy Criminal Act. The Japanese imperialists suspected that they were spy and accused them of being non-nationals. It was because they did not agree with their emperor’s faith and did not join their war of aggression. Surveillance, imprisonment, deportation, and trial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greatly reduc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number of foreign missionarie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Korean priest hard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evangelists sharply decreased. The decrease in missionary workforce affected the number of believers. With the exception of the Gyeongseong Diocese, Pyongyang Diocese, and Yeongil Diocese, the number of believers decreas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elievers in the three dioceses was due to the large number of Korean priest, the Catholic movement, and outside the colonial rule of Japan. Japan forc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to cooperate with the emperor’s faith and war. However, the priests and believer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protested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until they were executed for crimes such as disrespect, obstruction of security, and violation of the Military Protection Act. Thus,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first half of the 1940s endured the Japanese imperial repression and protected the church.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관련 교과서에 나타난 천주교회사 서술

        김아네스(Kim Agnes) 한국교회사연구소 2011 敎會史硏究 Vol.0 No.36

        This paper aims at critically exploring the descriptions of Korean Catholic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study examined textbooks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which include National History(Guksa),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Hanguk Geunhyeondaesa), and Korean History (Hanguksa). The study analyzes the formats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points out the problems in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Catholic history and presen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erms of formats, Catholicism was rarely selected as a topic, and the description on Catholic was minimal. National History(Guksa) selected ‘propagation of Catholic’ in late Joseon era as a sub-topic.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Hanguk Geunhyeondaesa) and Korean History(Hanguksa) described on the acceptance of Catholic and persecution under the sub-topic of social transformation in late Joseon era. In the modern history chapter, Korean history textbooks rarely dealt with religions including Catholic. Textbooks should provide more description on the achievements of Catholic churches. For example, in late Joseon Catholic churches criticized Confucius social order, and in modern history Catholic churches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nation. Chronologically, Korean history textbooks described on the acceptance of and persecution on Catholic churches in late 18th century. In describing early catholic history, current textbooks did not give weight to the catholic catechism and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ing churches volunteered by parishioners in the absence of missionaries. The textbooks should supplement such contents as catechism that early catholic believers accep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ship. They should also present the ideological and socio-political perspectives by explaining the reason why Joseon government persecuted Catholic churches and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spread of Catholicism despite the persecution. In the modem history chapter, textbooks described that Catholic institutions took the lead in provid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by running orphanages and convalescent homes. The books also mentioned that Catholic institutions established schools and published newspapers, therefore, contributed in enlightening the people. I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chapter, the textbooks described that Catholic churches continued to provide the welfare services and participated in national in dependence movements. They also give light to the Catholic parishioners in Manchuria who organized Uimindan and pioneered in anti-Japanese movement. In terms of contemporary history, a couple of textbooks described major Catholic commemorative event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Pro-Japanese activities or corruption by religious figures were rarely mentioned in the textbooks. In the future, the textbooks should present balanced point of view by describing both contribu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Catholic churches in the Korean history.

      • KCI등재

        하느님의 종 124위 선정 과정과 시복 자료 정리에 관한 연구

        차기진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5

        The selection work of 124 Korean martyrs was followed the decision of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in October 1997. Next the Joint Committee to Promote Beatification of Korean martyrs was composed on October 12, 1998, and five meetings were held until June 18, 2001. And June 30, 2001, the research staff was organized to select candidates for beatificatio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priest Peter Yoo Han-young who was postulator. As a result, 122 martyrs were selected as Servants of God by the primary research work of the staff. September 12, 2001, there was composed the Committee to Select Candidates for Promote Beatification(short CSC). Since then the staff’s second research work was paralleled with the CSC’s work. As a result, 124 martyrs and 2 Witnesses of Faith were determined as Servants of God until February 2002. March 7, 2002, the Special Episcopal Commission to Promote Beatification(short SEC) approved the beatification promotion of 124 martyrs, and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of Roman Curia named the title of the beatification agenda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尹持忠) and 123 Companions” on the same year September 4. The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for the beatification of 124 Servants of God was started in the writing biographical outline. This wok began with a shared form in the first place, but shortly afterwards was entrusted to the Yang-eop(良業) Research Institute for Church History(short YRI, Chief : Cha Ki-jin). And the YRI finished writing biographical outline and published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 and 123 Companions in the name of SEC on september 19, 2003. At the same time, the first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finished. The May 21, 2004, the decree on the court constitution for the beatification of the 124 Servants of God was promulgated, and the second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entrusted to YRI. After that, YRI have published The Source Book for Beatification of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 and 123 Companions up to five volumes in the name of SEC from November 15, 2005 to February 14, 2008.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finished. 124위의 선정 작업은 1997년 10월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결정된 시복 통합 추진에 따른 것이었다. 이어 1998년 10월 12일에는 ‘한국 순교자 시복시성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2001년 6월 18일까지 다섯차례 회의가 개최되었다. 또 2001년 6월 30일에는 청원인 류한영 신부의 책임 아래 시복 추진 대상자 선정을 위한 실무진이 구성되었으며, 실무진의 1차 연구 작업 결과 모두 122명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2001년 9월 12일에는 ‘시복시성 추진 대상자 선정위원회’가 구성됨에 따라 실무진의 2차 연구 작업과 동 위원회의 활동이 병행되었고, 2002년 2월까지 시복 청원 순교자 124명, 증거자 2명의 ‘하느님의 종’이 확정되었다. 2002년 3월 7일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에서는 124위의 시복 추진을 승인하였고, 시성성에서는 같은 해 9월 4일 시복 안건의 제목을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123위”로 명명하였다.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은 124위 약전 작성에서 시작되었다. 이 약전 작성은 처음에 분담 형식으로 추진되었으나, 곧이어 양업교회사연구소(소장 : 차기진)에 위임되었다. 이후 양업교회사연구소에서는 약전 작성을 완료하여 2003년 9월 19일 시주특위의 이름으로 《하느님의 종 윤지충바오로와 동료 123위》를 발간하였다. 동시에 1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완료되었다. 2004년 5월 21일에는 124위 시복 법정 구성에 대한 교령이 공포되었으며, 2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양업교회사연구소에 위임되었다. 이후 동 연구소에서는 2005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2월 15일까지 전5권으로 된 124위 시복 자료집을 시주특위 이름으로 간행하였고, 이로써 2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완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