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복安鼎福의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비평과 반서학적反西學的 인식의 확산—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의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

        조지형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ademic pedigree and life histories of Nam Han-jo, a scholar from Yeongnam region, to researc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at he had, and to investigate the phases that the flow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was spread into Yeongnam region through him. Nam Han-jo originally studied under Lee Sang-jeong and succeeded to Yeongnam Yi School scholastic mantle. As he studied under Ahn Jeong-bok after his teacher died, he recognized the true nature of Western learning that was very problematic among Geungi Namin scholars and held critical position on it. While he was in charge of correction of 「Cheonhakmundab (天學問答)」 by his teacher’s recommendation, he left a book 「Ansunamcheonhakhokmunbyeonui(安順菴天學或問辨疑)」 that states his opinions and criticitisms. This book well shows Nam Han-jo’s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e tendency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done by 18th century Geungi Namin scholars affected Yeongnam region’s Namin with the medium of Nam Han-jo. Therefore, such scholars who had academic exchange with Nam Han-jo as Jeong Jong-ro, Jo Sul-do, HwangYong-han, Shin Che-in and Lee Dong-geub left their own books that contain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In addition, Ryu Geon-hyu, who was a pupil of Nam Han-jo, wrote 『Yihakjibbyeon (異學集辨)』. As shown above, Nam Han-jo played a great role in spreading anti- Western learning awareness throughout Yeongnam region in the late 18th century. 본고는 영남 출신 남인 학자 남한조南漢朝의 학문적 계보와 생애사를 검토하여 그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의 형성 과정과 실질을 살피고, 그를 통해 영남 지역으로 서학 비판의 흐름이 확산되어 가는 국면을 탐색하였다. 남한조는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서 본래 이상정李象靖 문하에서 수학한 영남 이학파理學派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이었다. 그는 스승 사후에 다시 안정복安鼎福에게 나아가 수학하면서 당시 근기 남인 사이에서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던 서학西學의 실체를 인지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는 스승의 권유로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교정 작업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과 비평을 개진한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라는 저술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조선에 서학이 치성하게 된 원인을 탐색하다가이성호천주실의발변의李星湖天主實義跋辨疑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 두 저술은 남한조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을 가장 잘 보여준다. 18세기 후반 근기 남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서학 비판의 흐름은 남한조를 매개로 하여 이상정 문하의 영남 이학파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에 남한조와 교유하던 영남 지역의 여러 문인들, 예컨대 정종로鄭宗魯, 조술도趙述道, 황용한黃龍漢, 신체인申體仁, 이동급李東汲은 각각 반서학적 인식을 담은 저술들을 남기게 되었다. 한편 남한조의 제자였던 류건휴柳健休는 『이학집변異學集辨』을 찬술하였다. 이처럼 18세기 후반 반서학적 인식과 흐름이 근기 지역에서 영남 지역으로 확산되고, 영남 지역 안에서 반서학 정서가 확고하게 자리잡게 된 배경에는 남한조의역할이 매우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 KCI등재

        안정복<SUP>安鼎福</SUP>의「천학문답<SUP>天學問答</SUP>」에 대한 비평과반서학적<SUP>反西學的</SUP> 인식의 확산 - 손재<SUB>損齋</SUB> 남한조<SUB>南漢朝</SUB>의 「안순암천학혹문변의<SUB>安順菴天學或問辨疑</SUB>」

        조지형(趙志衡)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본고는 영남 출신 남인 학자 남한조南漢朝의 학문적 계보와 생애사를 검토하여 그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의 형성 과정과 실질을 살피고, 그를 통해 영남지역으로 서학 비판의 흐름이 확산되어 가는 국면을 탐색하였다. 남한조는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서 본래 이상정李象靖 문하에서 수학한 영남 이학파理學派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이었다. 그는 스승 사후에 다시 안정복安鼎福에게 나아가 수학하면서 당시 근기 남인 사이에서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던 서학西學의 실체를 인지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는 스승의 권유로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교정 작업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과 비평을 개진한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라는 저술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조선에 서학이 치성하게 된 원인을 탐색하다가 「이성호천주실의발변의李星湖天主實義跋辨疑」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 두 저술은 남한조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을 가장 잘 보여준다. 18세기 후반 근기 남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서학 비판의 흐름은 남한조를 매개로 하여 이상정 문하의 영남 이학파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에 남한조와 교유하던 영남 지역의 여러 문인들, 예컨대 정종로鄭宗魯‧조술도趙述道‧황용한黃龍漢‧신체인申體仁‧이동급李東汲은 각각 반서학적 인식을 담은 저술들을 남기게 되었다. 한편 남한조의 제자였던 류건휴柳健休는 『이학집변異學集辨』을 찬술하였다. 이처럼 18세기 후반 반서학적 인식과 흐름이 근기 지역에서 영남 지역으로 확산되고, 영남 지역 안에서 반서학 정서가 확고하게 자리잡게 된 배경에는 남한조의 역할이 매우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ademic pedigree and life histories of Nam Han-jo, a scholar from Yeongnam region, to researc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at he had, and to investigate the phases that the flow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was spread into Yeongnam region through him. Nam Han-jo originally studied under Lee Sang-jeong and succeeded to Yeongnam Yi School scholastic mantle. As he studied under Ahn Jeong-bok after his teacher died, he recognized the true nature of Western learning that was very problematic among Geungi Namin scholars and held critical position on it. While he was in charge of correction of 「Cheonhakmundab (天學問答)」 by his teacher’s recommendation, he left a book 「Ansunamcheonhakhokmunbyeonui (安順菴天學或問辨疑)」 that states his opinions and criticitisms. This book well shows Nam Han-jo’s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e tendency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done by 18th century Geungi Namin scholars affected Yeongnam region’s Namin with the medium of Nam Han-jo. Therefore, such scholars who had academic exchange with Nam Han-jo as Jeong Jong-ro, Jo Sul-do, Hwang Yong-han, Shin Che-in and Lee Dong-geub left their own books that contain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In addition, Ryu Geon-hyu, who was a pupil of Nam Han-jo, wrote 『Yihakjibbyeon (異學集辨)』. As shown above, Nam Han-jo played a great role in spreading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roughout Yeongnam region in the late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적법절차의 발전과 대서양 세계의 법문화: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를 중심으로

        조지형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8 世界憲法硏究 Vol.14 No.2

        본 연구는 실체적 적법절차를 중심으로 1215년의 대헌장에서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에 이르기까지 적법절차의 개념적 발전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적법절차는 흔히 절차적 적법절차와 실체적 적법절차로 구분되고 후자는 전자보다 나중에 등장하는 파생적 개념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처음 적법절차의 개념이 등장했던 대헌장의 제39조에 이미 실체적 적법절차의 이념이 `이 나라의 법`이라는 언어를 통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발전과정을 보여준다. 17세기 중반 에드워드 코크에 의해 이 나라의 법이라는 개념이 적법절차와 동일하게 치환되었다. 북아메리카에 영국 식민지가 건설되면서, 영국인의 권리와 함께 적법절차의 개념도 도입되었다. 식민지인들은 자신들의 영국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적법절차의 개념을 지방화하는 동시에 대헌장과 에드워드 코크의 권위 그리고 근본법의 개념에 의존했다. 미국혁명에 임박하여, 윌리엄 블랙스톤의 의회만능주의가 도입되었지만 실체적 적법절차의 개념을 소멸시키지는 못하였다. 미국혁명은 근본법의 정신과 실체적 적법절차의 개념을 강화시켰다. 적법절차의 개념을 잉태했던 영국에서는 의회만능주의가 만연하게 되었던 반면, 영국 식민지에서는 의회만능주의가 배격되고 실체적 적법절차의 이념이 혁명 정신의 일환으로 발전했던 것이다.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의 제정으로 적법절차의 개념이 헌법화되었다. 수정조항 제5조의 입헌취지에 대한 역사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명확히 구명되기 어렵다. 그러나 적법절차에 대한 알렉산더 해밀턴의 설명을 검토해보면, 실체적 개념이 분명히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연방대법원에서 실체적 적법절차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성문헌법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법제도적이며 법문화적인 걸림돌이 해소되어야 했다. 이에 비해, 주 대법원에서는 이내 실체적 적법절차가 분명하게 적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evolution of due process of law, with special regards to substantive due process. Critics of substantive due process have insisted that the concept of due process was initially a guarantee of procedural regularity and that judges invented a substantive reading of due process during the post-Civil War period. The "law of the land" of Chapter 39 of the Magna Carta, however, is comprehensive to embrac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safeguards against arbitrary royal command. In the mid-fourteenth century, the phrase of "due process of law" was first used by Parliament to confine the king`s council to the usual procedures of the common law. In some statutes, the term of "process" referred to writs of the common law. But the usage of "due process of law" and "process" does not mean that the concept of law in the phrase of "the law of the land" does not embrac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components since the statutes used the phrases of "old law" and "writ original" at the common law. In the mid seventeenth century, in his Institutes of the Laws of England, Sir Edward Coke first argued that "the law of the land" and "due process of law" had the same meaning. His higher-law interpretation on Chapter 39 prevailed in the co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American colonies. By provincializing the "law of the land," the colonies required the published law of the province to answer by due process of law substantively as well as procedurally. Additionally,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American colonists resorted to the Great Charter in their struggles with the King of England and Parliament over the power to tax, since they believed the Charter as substantive safeguards against arbitrary powers. As natural law limits on the powers of government were commonly assumed, the American colonists denounced parliamentary supremacy argued by Sir William Blackstone and paved a road to the revolution. This paper considers Alexander Hamilton`s comments on due process of law in the New York legislature in 1787 as formidable, if not conclusive, evidence for substantive components of the Fifth Amendment. In fact, there is no clue in the words of James Madison, who introduced the Fifth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to show that it embraced substantive components. Also there is no debate on the due process of law clause in the first federal Congress. Besides, the state constitutions and laws except New York had used the phrase of "the law of the land" instead of "due process of law." This leaves inferences about the framers` intent on the Fifth Amendment to be drawn from circumstances rather than analysis of direct evidence in the Congress. It was New York who proposed the term of "due process of law" for the Fifth Amendment in its 1787 state bill of rights. Eleven days after the adoption of the state bill of rights, Hamilton clearly defended his substantive reading of due process of law in 1787, while opposing a pending bill to disqualify former privateers from holding public office.

      • KCI등재
      • [논단 9] 최양업 신부 소작 天主歌辭의 목적과 특성

        조지형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本稿的目的是围绕崔良业神父所作的天主歌词谈论几个主要问题, 以及分析他所作歌词作品的特性。崔良业神父所作的作品在天主歌词的私人展开侧面具有重要的意义。仅作为作家他著作了许多作品, 作品所具有的威像和影响力非常大, 从内容上摆脱了形成期的天主歌词中表现的对天主教的拥护和批判的论调, 简单易懂地解释天主教的教理和教导, 进入宣传普及的阶段这一点就可以看出来。对此, 本稿将基于先行研究的成果, 对崔良业神父所作的天主歌词的亲著性与否、作品的范畴、创作的时期和目的和作品的特性等开展真正的论议。 首先, 对过去崔良业神父所作的有名的22篇天主歌词作品中作者明确地发表的4篇应确定作者, 建议推定<十诫讲论>的作者为闵克可, <思乡歌>的作者不详。只能认为除了这些作品以外的16篇为崔良业神父的著作。 崔良业神父明确地意识到韩文将对传教活动和信徒们的教理教育提供非常好的机会。因此, 他回到国内开始活动的初期, 作为高效的司牧活动的一环, 利用国文的歌词样式创作作品。崔良业神父著作歌词是在他回到国内开始活动的初期, 推测具体在1851年 10月左右的时候。其主要目的是用于对加入天主教和准备接受洗礼的预备信徒们的教理教育。 为了附应这个目的, 形式上采用了短小分量的单形构造、反复和对比构造、交换唱构造等, 不仅可以让人容易地理解教理的内容, 而且易于背诵, 且可以用歌曲哼唱或吟诵。从内容来看, 一方面说明了天主教核心教理, 通过对事后世界的深化解说, 让信徒们通过教理学习奠定信仰生活的基础, 另一方面强调了天主教信徒的生活态度。 본고는 최양업(崔良業, 1821~1861) 신부가 지은 천주가사를 둘러싼 몇 가지 주요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아울러 그가 지은 가사 작품들의 특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양업 신부가 지은 작품들은 천주가사의 사적 전개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단일 작가로서는 가장 많은 수의 작품을 지었고, 작품이 지니고 있는 위상과 영향력이 크며, 내용적으로 발생기 천주가사에서 보이고 있는 천주교에 대한 옹호와 비판의 논조에서 벗어나 천주교의 교리와 가르침을 쉽게 해설하여 널리 알리는 단계로 진입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에 본고는 선행연구의 성과를 기반으로 최양업 신부 소작 천주가사의 친저성 여부, 작품의 범주, 창작의 시기와 목적, 작품의 특성 등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간 최양업 신부가 지었다고 알려진 22편의 천주가사 작품 중에 작자가 명확히 밝혀진 4편은 작자를 바로잡아야 하며, <십계강론>은 민극가로 추정하고, <사향가>는 작자미상으로 해야 하는 것이 온당할 듯하다. 이들 작품을 제외한 16편만을 최양업 신부의 저작으로 보아야 한다. 최양업 신부는 한글이 전교 활동과 신자들의 교리 교육에 좋은 계제임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에 들어와 활동하던 초기에 효과적인 사목활동의 일환으로 국문으로 된 가사 양식을 활용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던 것이다. 최양업 신부가 가사를 지은 것은 국내에 들어와 활동을 시작한 초기, 구체적으로는 1851년 10월을 전후한 시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천주교에 입교하여 세례 받을 준비를 하는 예비신자들에 대한 교리 교육에 활용하려는 목적이 강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 형식적으로는 짧은 분량의 단형 구조, 반복과 대비 구조, 교환창 구조 등을 취하여 교리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게 함은 물론 암송을 쉽게 하며, 나아가 노래로 읊조리거나 음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천주교 핵심 교리를 설명하고, 사후세계에 대한 심화된 해설을 통해 신자들이 교리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신앙생활의 기반을 삼을 수 있게 하는 한편, 천주교 신자로서의 생활 태도를 강조하였다.

      • KCI등재

        『西京詩話』의 구성 체제와 문헌적 특성

        조지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0 No.-

        본고는 18세기 초반 평양 출신 문인 김점(金漸)에 의해 편찬된 『서경시화(西京詩話)』 의 구성 체계 및 수록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그 문헌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경시화』 는 지역을 기반으로 형성된 시화(詩話)라는 점에서 그 특수성에 주목을 받아왔지만, 문헌 자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편찬자 김점의 생애 및 편찬 의도를 파악하고, 『서경시화』 에 대한 세부 내용 및 구성 체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서경시화』 의 편찬자 김점은 가문과 지역을 기반으로 학문적 성장을 하였던 바, 20대 후반의 나이에 진사가 되었지만 대과에는 미련을 두지 않고, 자신의 세거지에서 지역의 유자(儒者)로서 의미 있게 살아갈 방도를 고민하였고, 그 일환의 하나가 지역의 문학적 성과를 정리하여 책으로 편찬하는 일이었다. 이에 1728년 34세 때 평양 출신 문인들과 그들의 시문을 모아 『서경시화』 의 1차 편찬을 마쳤다. 이를 통해 지역 출신 문인들의 위상과 문학적 성취를 드러내 지역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불식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내었다. 한편 1차 편찬 이후 김점은 서술 범위를 평안도 전 지역으로 확대하여 5년여에 걸쳐 수정 증보 작업을 통해 1733년 그의 나이 39세 때인 1833년에 현재 우리가 보는 『서경시화』 를 완성하였다. 『서경시화』 는 1차 편찬 작업과 2차 수정 보완을 거치면서 그 내용과 성격이 크게 바뀌었다. 1차 편찬에서는 ‘서경시화’라는 제목에 걸맞게 평양 출신 문인들의 시문을 위주로 다루었다. 하지만 수정 보완을 거치면서, 평안도 전 지역 출신 인물들의 시문을 모으고, 그 작품의 범주도 한시뿐만 아나라 한문산문 및 국문시가까지 포함하였다. 또한 지역 문인들의 위상과 문학적 역량을 보이기 위한 여러 부가기록들을 추가하고, 지역 출신 인물들과 관련된 다양한 일화에 이르기까지 아우르면서 시화(詩話)와 잡록(雜錄)의 성격을 두루 지니게 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고려・조선의 주요 문인들 및 중국 사신에 이르기까지 외부 문인들이 평안도지역 내에서 산출한 문학적 유산도 모두 섭렵하고자 하였다. 결국 김점의 『서경시화』 는 최초 평양지역 문인들과 그들의 시문을 다룬 ‘시화’에서 출발하였지만, 최종적으로는 지역 출신 인물과 외부 인사에 의해 지역 내에서 산출된 모든 문학적 유산을 총괄하려는 ‘평안도지역 문학 총화(叢話)’로 거듭나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composition system and contents of 『Seogyeongsihwa』 compiled by Kim Jeom from Pyongyang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identify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eokgeongsihwa』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for its distinctiveness in that it is an area-based Sihwa (a story about poetry). In this study, it focused on identifying the life and compilation intention of Kim Jeom, an editor,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composition system in 『Seogyeongsihwa』 . Kim Jeom, an editor of 『Seogyeongsihwa』 , compiled 『Seogyeongsihwa』 to realize his intention to eliminat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he region by revealing the status and literary achievements of local litterateurs. After completing the first compilation of 『Seogyeongsihwa』 in 1728, Kim Jeom finally completed it through the revising and enlarging work for five year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Seogyeongsihwa』 changed greatly as it went through the first compilation and second revision and supplement. In the first compilation, it mainly dealt with poems by writers from Pyongyang in line with the title ‘Seogyeongsihwa’. However, this has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 new content has been add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collects the poetry and prose of writers from all parts of Pyeongan-do, and the category of the work includes not only Chinese poems, but also Chinese prose and Korean poems. Second, it added various additional records to reveal the status and literary competence of local writers. Third, it contains various stories related to people from the region. Fourth, in addition to this, it also explored all the literary legacies produced by outside writers who were from the leading writers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to Chinese envoys within the Pyeongan-do area. After all, Kim Jeom's 『Seogyeongsihwa』 started with Shihwa, which deals with writers and their poems in Pyongyang, but it was eventually reborn as the Pyeongan Provincial Literary Assorted Writings to oversee all literary legacies produced within the region by local figures and outsiders.

      • KCI등재

        自菴 金絿의 유배 생활과 ‘憂中有樂’의 면모

        조지형 한국시가문화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6

        본고는 16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자암(自菴) 김구(金絿, 1488~1534)의 한시 작품들을 통해 그의 南海 유배 기간 중 내면 의식과 생활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김구의 남해 유배기 한시 작품들의 주제적 경향은 크게 다섯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는데, ①유배 생활의 괴로움과 병리적 고통, ②인간적 情懷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 ③남해 생활에 대한 적응과 交遊, ④산수 유람과 음악적 풍류, ⑤탈속에 대한 지향과 仙的 풍류가 바로 그것이다. 김구는 13년간의 유배 생활이 지속되면서 차츰 남해 생활에 적응해 나갔고, 심리적으로도 일상을 회복한 측면이 엿보이고, 무엇보다도 주변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교유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김구는 이들과 어울리면서 유배 기간에도 여러 모임을 함께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시와 술과 음악이 늘 빠지지 않았다. 한편 김구는 이들의 도움과 비호로 남해 일대의 승경을 유람하기도 하였다. 결국 이러한 측면들이 유배 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호방한 풍류의 모습이 가득한 「화전별곡」이라는 작품의 창작을 가능케 한 기반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nner side of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life during Kim Gu's banishment to the Nan-hae(南海) through Chinese poem works written during from 1488 to 1534 by Ja-am(自菴) Kim Gu(金絿), who was active during the early 16th century. The Kim Gu's theme tendency of Chinese poem works can be mainly organized into five types of ①agony and allergic pain of banished life, ②humane mind and longing for family, ③application and interaction upon live in the Nam-hae, ④landscape sightseeing and musical appreciation, and of ⑤aim to escape the world as well as truthful appreciation. As Kim Gu's banished life continued on for 13 years, he began to gradually adapt to the life in the Nam-hae while showing the aspects of mentally restoring the daily life and actively interacting with people near. Accordingly, Kim Gu spent his period of banished life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along with these people and such courses of meetings were always accompanied by the poem, alcohol, and music. On the other hand, Kim Gu, under protection and help of these people, was able to travel to places around southern sea with beautiful scenery. As a result, such aspects are assessed being the base allowing Kim Gu to write 「Hwajeonbyulgok(花田別曲)」 full of magnanimous appreciation for the arts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written during his period of banis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