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석우 몬시뇰의 한국천주교회사 연구

        김수태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9 敎會史硏究 Vol.0 No.55

        최석우 몬시뇰(1922~2009)은 해방 이후 한국인에 의한 한국천주교회사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죽을 때까지 고민한 사제였으며, 거기에 대한 대답을 찾고자 열심히 공부한 학자였다. 그의 등장은 한국천주교회사에서 제대로 체계적인 훈련을 받은 전문 연구자의 탄생을 알려주는 것이다. 동시에 프랑스인이나 일본인과 같은 외국인이 아니라, 앞으로 한국인에 의하여 교회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주도되는 것을 예고해 주는 것이었다. 몬시뇰은 한국천주교회사에 대한 통사 저술을 계속해서 강조하였다.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그는 시대사 연구를 계속해서 확대시켜 나가면서, 한국천주교회사의 거의 전 시기를 다루었다. 그리고 통사의 저술에 분류사 저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면서, 다양한 분류사 연구를 통해서 통사의 내용을 풍부하게 채워가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통사의 저술을 위해서 교회론에 기반을 둔 독자적인 시대구분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서 한국천주교회사의 내용들을 선교사에서 순교사 및 문화사로, 그리고 다시 민족사를 거쳐서 구세사적 접근으로 나아가는 변화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몬시뇰은 한국천주교회사 연구를 어떠한 사관으로 행해야 하는가를 또한 깊이 고민하였다. 처음에 그는 교회사가 역사학과 신학이라는 두 개의 영역에 속하는 학문이라고 보았다. 이에 그는 교회사 연구와 역사의 올바른 관계를 위해서 사료론을 집중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는 교회사가 민족사만이 아니라, 그리고 세계사와의 관련성을 추구하는 세계화라는 주제까지 지향해야 한다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결국 그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교회사가 신학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교회 개념의 적용이 교회사 연구의 출발점이며, 동시에 그 방향은 구세사적 해석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몬시뇰의 한국천주교회사 연구는 한국천주교회사 속에서 그 역사적 위치를 뚜렷하게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한국천주교회사 연구에 대해서 ‘최석우 사학’으로 불러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Monsignor Choi Seok-woo(1922~2009) was a priest who thought about what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do after liberation, and was a scholar who studied hard to find the answer. His appearance marks the birth of a well-trained professional researcher in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t the same time, it was to forsee the full-fledged study of church history by Koreans, not by foreigners such as French or Japanese. Monssignor continued to emphasize the introductory whole history writing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fter receiving Ph.D, he continuously expanded his study of the history of the times, covering almost all periods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writing the taxonomy is very important for the writing of the whole history, he tried to fill the contents of the whole history through various Categorized History. Based on this research, he set up an independent period division based on ecclesiastical theory for the writing of the whole history. Through this, he tried to show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ontents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from history of missionary, to history of martyrdom, and cultural history, and then through national history to salvation approach. Monsignor also pondered what kind of view of history he should carry out regarding the stud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t first he considered church history as a discipline under two areas; history and theology. He focused on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for establishing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of church history and history. And he understood that church history should be directed not only to national history but also to the theme of globalization, which seeks to relate to world history. This approach eventually led him to gradually emphasize church history as theology. This is because he saw the application of the church concep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of church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he believed that salvational interpretation should be applied to that direction of the study. In this way, Monsignor’s study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clearly holds its historic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Then, it might be enough to call his study of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as ‘Choi Seok-woo History’.

      • KCI등재

        저작권 관리를 통한 교회문화유산 활성화 방안

        정윤정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9 敎會史硏究 Vol.0 No.55

        한국인 최초로 세례를 받은 이승훈 베드로가 이 땅에서 첫 세례식을 거행한 1784년을 한국 교회 신앙의 첫 출발점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230년 역사 속에서 한국교회는 신앙적인 측면에서는 물론이거니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 나름의 역할을 충실히 하여 왔다. 특히 한국교회는 교회 신앙이 뿌리내리는 과정 속에서, 성당 건축물을 비롯한 유물, 미술품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하 ‘한국 교회문화유산’이라고 한다)을 형성하였고 이러한 한국 교회문화유산은 우리 사회 전반의 다채로운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쳐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국 교회문화유산을 구성하고 있는 성당 건축물, 성물, 성화, 유리화, 이콘, 조각물 등 여러 유형의 문화유산은 서양의 전래적인 건축 양식, 미술품 제작 기법, 테마 등으로 고착화되어 왔다. 교회문화유산에 대한 서양식 건축 양식, 디자인 등은 교회 신앙의 정통이라는 미명하에 교회 공동체와 개인 신자의 면에서 이를 선호 내지 당연시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고, 결국 한국 교회문화유산의 ‘현대화’와 ‘토착화’라는 행보에 상당한 난제를 부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교회문화유산의 ‘현대화’와 ‘토착화’라는 실천방향은 저작권 관리와는 직접적이고 발전적인 관계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새로운 건축 양식과 교회미술 제작 기법, 소재, 테마 등을 통한 한국 정서를 담은 교회문화유산을 구축할 수 있다. 한국교회는 저작권 관리를 통하여 문화유산을 보존과 보호, 보호와 활용이라는 측면에 있어 교회문화유산 운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해당 교회문화유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만큼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가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 천주교 문화유산 보존 관리 지침』 상의 분류체계를 기초로 하여 문화재청과 유네스코의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교회문화유산 분류 체계를 제시한다. 새롭게 제시한 분류 체계를 반영하여 ‘공세리 성지’를 표본으로 주요 교회문화유산에 대한 특징, 저작물성, 저작권 관리를 분석하여 교회문화유산에 대한 생성부터 저작권 관리의 역할과 중요함을 제시함과 아울러 관리 방안을 도출한다. 본 논문이 한국 교회문화유산 활성화를 위한 또 하나의 화두를 제시함으로써 저작권 관리에 대한 좀 더 깊고 의미있는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Korean Church has formed a diverse cultural heritage (the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including cathedral architecture, artifacts and so on, in the course of the faith of the church. It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various cultures. However, various types of cultural heritage such as cathedral architecture, sacred arts, stained glass, icon, and sculpture, which constitute the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until now, have been fixed with architecture, art and so on of the Western technique and theme. The Western style architecture and design of the church cultural heritage showed a tendency to prefer it in terms of the church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believer in the name of the orthodox of the church faith. As a result, the ‘modernization’ and ‘indigenization’ give considerable difficulties to the way. The direction of ‘Modernization’ and ‘Naturalization’ of the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establishes a direct and developmental relationship with copyright management. Based on above that,, a new style of architecture, church art, materials and themes featuring Korean sensibilities can build the New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Korean churches will be able to find out how to manage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conserv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copyright management. Because copyright management has been involved since the birth of the church’s cultural heritage, it can provide information to become a unique cultural heritage in building cathedral buildings and producing artworks. For copyrights management, above all, an efficient system of information is important because accurate information about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is needed. In this respect, a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is sugges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UNESCO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Management Guideline. And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copyrights, and copyrights management of major church cultural heritage of ‘Gongseri Shrine’, reflecting the newly proposed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is, it suggests the plans as well as the importance and role of copyrights management from the creation of the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deeper and more meaningful discussions and researches on the copyrights management for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by suggesting another issue for activating Korean Church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레지오 마리애 선서문에 대한 논쟁 : 그 교회사적 의미와 신학적 전망

        박준양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6

        최근 한국 교회에서 레지오 마리애 선서문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고,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가 이 문제를 논의하였다. 그래서 선서문의 두 번째 단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서한을 한국의 3대 세나투스에 보냈고, 이것이 레지오 마리애 세계본부(콘칠리움)에 전달되었다. 콘칠리움은 영적 지도자 비드 맥그리거 신부의 의견서를 첨부해 답변 서한을 보내왔다. 여기에서, 선서문의 내용은 주로 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마리아 그리뇽의 저서 내용이 반영된 것이며, 그 신학적 입장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신앙교리위원회의 문제 제기는 성모 마리아가 ‘공동 구속자’이며 ‘모든 은총의 중개자’임을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성령께서 마리아에게 모든 것에 대한 운영을 넘겨주실 수 있다.”는 것이 선서문의 요점이라고 강조한다. 이에 대해, 신앙교리위원회는 맥그리거 신부의 의견서에 대한 답변서를 작성해 신학적으로 반박하는 입장을 전달하였다. 이 답변서는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몽포르의 수도 가족들에게 보낸 1997년과 2003년의 서한에 나타난 교도권적 가르침에 근거해, 성 루도비코의 문체는 우리 시대의 사람들에게 당황스러울 수 있기에 언어적 표현에서 변화가 꼭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따라서 이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 헌장」 제8장의 내용에 비추어 재해석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마리아의 역할은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하고 보편적인 중개에 종속되는 것이기에, “그리스도에 대한,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하여 복되신 삼위일체에 대한 마리아의 전적인 상대성”이 분명히 드러나는 것임을 설명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 루도비코의 말을 직접 인용해, 마리아는 “오로지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만 존재”하기에 곧 “하느님의 메아리”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동 구속자’나 ‘모든 은총의 중개자’라는 명칭은 적합하지 않고, 마리아의 역할은 참여적 중개임을 밝힌다. 레지오 마리애 운동이 활발한 한국에서 많은 선의의 신자들이 선서문에 나온 일부 모호한 표현으로 인해 더 이상 혼란을 겪지 않게 되기를 바라는 것이 신앙교리위원회의 관심임을 밝히면서, 앞으로 이에 대한 신학적 교육을 위해 힘쓸 것이라고 말하며 답변서는 마무리된다. 이후 지금까지, 이에 대한 콘칠리움의 의견 표명은 없다. 이러한 선서문 논쟁은, 공의회의 정신으로 성찰해야 할 일들이 아직도 한국 교회 안에 남아 있다는 자각을 통해, 지속적인 교회적·신학적 쇄신의 과제에로 연결된다. 그리고 대중 신심에 대한 신학적 탐구를 통해 성령과 마리아의 관계에 대한 재정립 작업을 해야 할 과제를 남겨주었다. 이 논쟁은, 한국 교회의 현대사 안에서 서구로부터 도입된 레지오 마리애의 선서문에 대해 한국 지역 교회의 신학자들과 공식 기관에 의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그 교회사적 의미를 지닌다. 즉, 공의회 이전 유럽에서 시작된 레지오 마리애 운동의 정신과 영성을 신학적으로 새로이 조명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한국 교회 안에서 스스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교회사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서구 교회로부터 복음이 전해졌던 한국 교회에서, 이제는 역으로, 신학적 차원에서 서구 교회에 공헌하고 기여하는 흐름이 시작되었다는 교회사적 전환을 암시하기도 한다. Concerns over the Legion of Mary Promise have been raised recently within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prompting the CBCK Committee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to officially address the issue. After due consideration, the Committee issued a letter to the three regional Senatus of Korea and expressed concerns over the questionable language found in the second paragraph of the Legion Promise. The letter was then sent to the International Centre of the Legion of Mary (Concilium Legionis Mariae), after which the Committee received a response containing a reflection prepared by Fr. Bede McGregor, the spiritual director of the Concilium. Fr. McGregor’s reflection asserts that the Legion Promise does not raise theological concerns, as the Promise draws primarily from the writings of St. Louis-Marie Grignion de Montfort. According to Fr. McGregor’s reflection, the Committee’s concerns stem from its failure to acknowledge Mary as ‘Co-Redemptrix’ and ‘Mediatrix of all graces.’ The reflection goes on to emphasize how the key notion contained in the Legion Promise is that the “Holy Spirit could hand over the entire conduct of affairs to Mary.” In response, the Committee has issued a response paper rebutting the theological positions of Fr. McGregor’s reflection. Turning to the teachings of the Magisterium of the Catholic Church articulated in Letters of St. Pope John Paul II to the Montfort Religious Family in 1997 and in 2003, the Committee’s response paper reiterates the late Pontiff’s claim that there is “no doubt certain changes in the language seem imperative,” given that St. Louis-Marie’s style can “surprise our contemporaries.” For this reason, the Committee contends that St. Louis-Marie’s words need to be reinterpreted in ligh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Chapter 8 of Lumen Gentium in particular, to conform to the Council’s teachings on Marian theology. The Committee echoes the Magisterium’s position that the role of Mary is subordinate to the unique and universal mediation of Jesus Christ, which clearly establishes “Mary’s total relativity to Christ and through him, the Blessed Trinity.” The Committee then ties these principles to St. Louis-Marie’s own words that “Mary only exists with reference to God” and is “the echo of God.” The Committee’s response paper concludes by underlining that its “major concern is to protect the many good faithful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from possible confusion or embarrassment caused by some ambiguous expressions of the Legion Promise.” The Concilium has yet to issue a statement in response to the Committee’s response paper. The recent debate surrounding the Legion Promise invites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to realize the continuing need to reformulate her faith in the spiri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part of this mission to engage in constant ecclesial and theological renewal,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is especially being called to reform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and Mary through theological reflections on popular piety. In addition to such a theological perspective, the debate also carrie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mmittee and the Concilium was initiated by concerns raised by theologians with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ogether with its official assembly of bishops, which is significant given that the Korean faithful were first introduced to the Legion of Mary through the churches of Europe. This marks a significant poi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as it has undertaken the task of reinterpret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ological foundations of the Legion of Mary which originated in the West predating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once nascent Korean Catholic Church that received the seed of the Gospel from the Western world is now contributing to the theological developments in the West, perhaps sign...

      • KCI등재

        인물로 보는 동성학교의 가톨릭 교육 성과와 한국 가톨릭 학교의 전망

        김선필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Korean society has gone through turbulent times over the past 100years. For the past 100 years, Dongsung School has been striving to cultivate figures who serve with truth and love, and such figures have supported and grown Korean society. In fact, many Dongsung alumni have played their role in various parts of society. They have put the nation and the Church before the individual interests and have devoted themselves to their community. This paper was able to confirm the Catholic school image present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rough the figures produced by the Dongsung school. Deep-rooted tree do not leave their seats in harsh rain and wind. Thanks to keeping its place, trees bear many fruits and become the cradle of life for countless birds. Today, the reality of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and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of regulations are blowing in Korean Catholic schools. However, I am sure that if they stand firmly to not lose their identity as a Catholic school, they will be able to bear numerous fruits like that tree. This is because those 100years of history and figures that Dongsung School endured prove it. 한국 사회는 지난 100년 동안 격동의 시기를 보내왔다. 이러한 시기를 ‘복음화와 전인 교육’이라는 한결같은 신념으로 함께 해온 동성학교의 100년은 의미가 깊다. 지난 시간 동성학교는 진리와 사랑으로 봉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애써왔고, 그런 인재들이 한국 사회를 지탱하고 성장시켜왔다.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마태 7,16) 이 논문을 통해 살펴본 동성인들은 개인의 이익보다는 민족과 교회를 우선하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위해 헌신할 줄 아는 인물들이었다. 이 논문은 동성이 배출해낸 인물들의 면모를 통해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제시하는 가톨릭 학교상(想)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급변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도 가톨릭 정신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해온 가톨릭학원과 동성학교 구성원 모두의 노력 덕분이었다. 뿌리 깊은 나무는 모진 비바람 속에서도 자리를 떠나지 않는다. 그렇게 제자리를 지킨 덕분에 나무는 많은 열매를 맺으며, 수많은 새들이 깃들이는 생명의 요람으로 자리하게 된다. 오늘날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과 규제 일변도의 국가 교육 정책이라는 비바람이 동성학교를 비롯한 한국 가톨릭 학교에 불어오고 있다. 하지만 가톨릭 학교로서 정체성을 잃지 않고자 굳건하게 버티고 선다면, 우뚝 선 저 나무와 같이 수많은 열매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동성학교가 버텨낸 저 100여 년의 역사와 인물들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국 교회 교무금 제도의 기원인 공소전에 대한 고찰

        김덕헌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보편교회법은 신자들이 교회의 필요를 지원할 의무가 있다고 밝히지만, ‘교무금’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교무금 제도는 ‘공소전’(公所錢, pecunia Kongso)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공소전은 공소 회장 또는 본당 신부의 관리 아래 공소 기금으로 적립되거나 신부들의 순방 비용으로 사용된 헌금을 말한다. 공소전이 교무금 제도로 정착된 것은 1931년 9월 한국의 첫 지역 공의회의 결정에 의해서이며, 1932년 반포된 『한국 교회 공동 지도서』에서 교무금에 대한 세부 내용을 규정함으로써 공소전은 비로소 교무금 제도로 정착된다. 공소전은 현행 교무금 제도의 기원으로써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나 공소전이 어디서 유래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의 교무금 제도로 정착되었는지 등을 다룬 연구는 사실상 거의 전무하다. 리델 주교에 계승하여 조선대목구장에 오른 블랑 주교는 1884년 9월 대목구 성직자들의 연중 피정 기회를 이용하여 시노드를 개최하였고, 그 결정 사항은 블랑주교가 1887년 9월 21일 공포한 『조선교회 관례집』이라는 지도서 안에 수렴되어 제시되었다. 『조선교회 관례집』은 크게 세 개의 장으로 구분되는데, 제2장에서 ‘공소전’을 조선교회 신자들이 후원의 형태로 선교사들에게 바친 돈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조선교회에서 자생적으로 생긴 것인지 아니면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1803년 9월 중국 사천에서 시노드가 개최되었는데, 포교성성은 1822년 6월 29일 사천 시노드 교령을 승인하였다. 사천 시노드 교령은 신자들이 바치는 자선금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물론 이 자선금을 ‘공소전’이라고 명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천 시노드를 통해 선교사들에게 봉헌되는 자선금이 교회의 애덕 사업과 사목활동을 위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은 추후 한국 교회의 공소전 규정이 마련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드망즈 주교는 1912년 1월 25일부터 지침서 작업에 착수하여 5월 26일 성령 강림 대축일에 『대구대목구 지도서』(Directorium MissionisTaikou)를 공포하였다. 이 지도서에는 『조선교회 관례집』의 규정보다 더 상세해진 공소전에 대한 규정이 언급된다. 이 규정은 1923년 『서울대목구 지도서』(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에 수렴되면서 공소전이 한국 교회 안에서 정착되어 가는 과정이 확인된다. 1932년 9월 26일 『한국 교회 공동 지도서』가 공포되는데, 여기에서 각별히 주목되는 것은 공소전이 비로소 교무금으로 정착된다는 것이다. 공의회 교령은 교무금과 관련된 전체 주교들의 공통 규정을 제시하기로 결정하며, 교무금 모금은 오직 주교가 지정한 방법에 따라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각별히 『한국 교회 공동 지도서』는 교무금의 세부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교무금은 교구의 재정 보조와 본당 사목활동비로 사용되는 한국 교회의 고유한 문화로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Canon law states that christians have a duty to support the needs of the church, but it does not mention of 'denarius cultus'. It is known that the 'denarius cultus' system originates from 'pecunia Kongso'(公所錢). In September 1931, Korea's first council established 'pecunia Kongso' as a 'denarius cultus'. 'pecunia Kongso' i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origin of the 'denarius cultu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its origin.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 states that 'pecunia Kongso' is money that believers donated to missionaries in the form of donations.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originated from the Korean church or whether it was influenced by outsiders. In September 1803, a synod was held in Sichuan, China, and the Ministry of Propaganda approved the Sichuan Synod Decree on June 29, 1822. The Sichuan Synod Decree mentions refers to the donations offered by christians. Of course, The Sichuan Synod Decree did not specify this money as a 'pecunia Kongso'. However, through the Sichuan Syn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aritable funds were used for charity work and pastoral activities of the church. On May 26, 1912, F. Demange published the 『Directorium MissionisTaikou』, which include more detailed regulations are mentioned than those of the 『Coutumier de la Mission de Coree』. As this regulation was accepted in the 『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 in 1923, the process of 'pecunia Kongso' being settled in the Korean church is confirmed. On September 26, 1932, the 『Directorium Commune Missionum Coree』 was published, and 'pecunia Kongso' was established as a 'denarius cultus'. The 『Directorium Commune Missionum Coree』 provides detailed guidelines for 'denarius cultus', establishing as a culture in the Korean church that uses the 'denarius cultus' as financial aid for the diocese and for pastoral activities in the parish.

      • KCI등재

        박해시기 조선 천주교회의 배교자와 회심자

        방상근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9 敎會史硏究 Vol.0 No.55

        Since its founding in 1784,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been maintained and developed in repetition of persecu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Church. Among the believers who rebuilt and developed the church at this time were martyrs, apostates, repentants. However, the apostat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Korean Catholic research. In the 1990s, however, apologists became part of Korean church history, and the understanding that Korean church history is necessary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 history has emerged. This article also summarizes the content of the apostate and the repenter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Catholic believers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more than 50% of the arrested became apostates, and the main apostasy reason for apostates was the lack of conviction of the God and doctrine. And the repenter chose martyrdom according to ‘logic of martyrdom’ after restoring faithfulness by self awareness and the counsel of acquaintances. ‘The logic of martyrdom’ refers to the conviction of the existence of God, the recognition that the world is a place to stay for a while, the firm belief in the Eternal Happiness of Heaven and the Eternal punishment of hell. The Church imposed certain penance on these repenters, and the penance rules were different from time to ti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Sichuan Synod Order(1822), the Pastoral letter of the Berneux Bishop(1858), and the Customary of the Korea Mission(1887). The rule of 1858 was the strictest. Perhaps it is because of the different situations in which the church is based. 한국 천주교회는 1784년에 설립된 이래, 박해와 교회의 재건을 반복하는 가운데 유지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 시기 교회를 재건하며 발전시킨 신자들 중에는 순교자도 있고, 배교자도 있으며, 배교했다가 회심한 신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에서 배교자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어 배교자도 한국 교회사의 일부이고, 한국 교회사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 글 역시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박해시기 배교자와 회심자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 본 것이다. 박해시기 천주교 신자들은 체포자의 50% 이상이 배교를 하였고, 배교자들의 주된 배교 이유는 천주와 교리에 대한 확신의 부족에 있었다. 그리고 회심자는 스스로의 자각과 지인들의 권면으로 신덕을 회복한 후 ‘순교의 논리’에 따라 순교를 선택했다. ‘순교의 논리’란 천주의 존재에 대한 확신, 현세는 잠시 머무는 곳이라는 인식, 상선벌악에 따른 천당의 영복(永福)과 지옥의 영벌(永罰)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말한다. 교회는 이러한 회심자들에 대해 일정한 보속을 부과했고, 보속 규정은 시기에 따라 달랐다. 「사천 시노드 교령」(1822), 「베르뇌 주교의 사목서한」(1858), 『조선교회 관례집』(1887)의 내용에 차이가 있으며, 1858년의 규정이 가장 엄격했다. 아마도 교회가 처한 상황에 따라 보속 규정이 다르게 적용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윤형중 신부의 순교정신과 순교자 현양회

        박경연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9 敎會史硏究 Vol.0 No.54

        일제시기와 해방을 전후한 시기에 활동하였던 윤형중 신부는 가톨릭 교리의 전파를 위해 전 생애를 바쳤다. 그는 《가톨릭靑年》의 창간부터 시작하여 《경향잡지》·《경향신문》 등 가톨릭의 언론 창달과 저술 활동뿐만 아니라 순교자에 대한 현양에 열성을 다했다. 윤형중 신부는 병인박해 때 순교한 윤자호의 후손으로, 그의 집안은 독실한 신자 집안이었다. 그의 오촌 당숙은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의 장편소설 《은화》의 저자 윤의병 신부이다. 때문에 그는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성직자의 길을 결심하였다. 윤형중 신부는 사제서품을 받은 후 경성대목구의 출판부 보좌로 전근되어 1933년 《가톨릭靑年》을 창간하였다. 편집위원은 윤형중 신 부를 중심으로 장면, 장발, 정지용 등이었다. 이들과 함께 당시 문학계·예술계를 통틀어 수준 높은 가톨릭 잡지를 출간하였던 것이다. 이후 《경향잡지》의 편집장과 경성대목구 출판부 부장에 임명되었고《경향신문》의 창간까지 그의 언론 활동은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언론 활동과 더불어 윤형중 신부가 주력하였던 것으로 순교자 현양이 있다. 그는 순교자들에 대한 신심이 매우 두터웠다. 그는 순교의 의미에 대한 깊은 신념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가톨릭 교인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알리고자 하였다. 그에게 있어 순교란 곧 ‘가톨릭 진리의 증명’이었다. 즉 인간이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면서 죽음을 당하는 것은 ‘천주의 사랑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윤형중 신부는 ‘순교정신’은 언제나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때 그의 순교정신은 한국사회의 시대상황과 맞물려 적용되는 한계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일제의 전시체제기와 함께 순교정신은 더욱더 강조되었다. 순교자를 현양하는 것은 곧 ‘보국’을 위한 길이 되었던 것이다. 순교정신은 해방을 전후로 하여 가톨릭교회의 반공사상을 확립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우리는 순교정신을 가지고 반공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그 골자였다. 윤형중 신부는 ‘순교자 현양회’를 통해 그의 순교정신을 실현시켰다. 1939년에 설립되었던 순교자 현양회는 발족하기 직전, 일제 당국에 의해 중단되었다. 이는 해방 후 최초의 한국인 신부였던 김대건 신부의 순교 100주년에 맞추어 다시 발족되었다. 순교자 현양회는 순교자에 대한 현양과 존숭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가톨릭 신앙을 강화시키고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그 활동 내용 중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한 일은 박해시기의 유물 수집과 순교지의 확보였다. 윤형중 신부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공간 그리고 한국전쟁에서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한국사 전반의 시대에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전 생애를 언론 활동에 매진하였고 순교자 현양에 대한 필요성을 제창하였다. 때문에 윤형중 신부는 많은 저서와 글을 남겼고 이를 통해 당시 한국 가톨릭교회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Father Yun Hyung Joong, who was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round liberation, devoted his entire life to spread the Catholic doctrine. Starting with the founding of The Catholic Youth, he devoted himself to the creation of Catholic media and writing activities, as well as martyrdom. Yun was a descendant of Yun Ja Ho who was martyred during the persecution and his family was a devout believer. Therefore, from an early age, he naturally decided on the path of a priest. Yun was transferred to the publishing counselor of Kyungsung Diocese after receiving the ordained priests and founded The Catholic Youth in 1933. Later, he was appointed editor-in-chief of the Kyunghyang Magazine and director of the Kyungsung Diocese Publishing Department, and his media career accelerated until the founding of the The Kyunghyang Daily News. In addition to his media activities, Yun focused on the exaltation of martyrs. He was very devoted to martyrs. He had a deep faith in the meaning of martyrdom and wanted to inform not only Catholics but also general public. For him, martyrdom was a proof of Catholic truth. In other words, it was “to prove the love of the heavenly soul” that man was killed at the sacrifice of his life. Yun emphasized that martyr spirituality is always necessary. At this time, his martyr spirituality brought limits to be applied in conjunction with the situation of the Korean society. Along with the Japanese wartime system, martyrdom was emphasized even more. The martyrdom soon became the way to protect the country. Martyrdom spirituality played a role in establishing the anti-communism of the Catholic Church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e goal was to launch an anti-Communist struggle with the spirit of martyrdom. Yun realized his martyr spirituality through Martyr’s Exaltation Committee. The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39, was suspend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shortly before its launch. It was re-launched after liberation, in time for the martyrdom of Father Kim Dae-gun, the first Korean priest. Martyr’s Exaltation Committee aimed to promote and honor martyrs and strengthen their Catholic faith.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o collect artifacts during the persecution and secure martyrdom. Yun has made a separate column titled “The Martyr’s page” in Kyunghyang Magazine and announced its activities in detail and detail. Yun Hyung Joong liv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pace for liberation, and the entire Korean history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o-democracy movement.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journalism and advocated the need for martyrdom. Therefore, Yun wrote many books and writings, which allows him to look at a section of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at that time.

      • KCI등재

        하느님의 종 124위 선정 과정과 시복 자료 정리에 관한 연구

        차기진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5

        The selection work of 124 Korean martyrs was followed the decision of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in October 1997. Next the Joint Committee to Promote Beatification of Korean martyrs was composed on October 12, 1998, and five meetings were held until June 18, 2001. And June 30, 2001, the research staff was organized to select candidates for beatificatio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priest Peter Yoo Han-young who was postulator. As a result, 122 martyrs were selected as Servants of God by the primary research work of the staff. September 12, 2001, there was composed the Committee to Select Candidates for Promote Beatification(short CSC). Since then the staff’s second research work was paralleled with the CSC’s work. As a result, 124 martyrs and 2 Witnesses of Faith were determined as Servants of God until February 2002. March 7, 2002, the Special Episcopal Commission to Promote Beatification(short SEC) approved the beatification promotion of 124 martyrs, and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of Roman Curia named the title of the beatification agenda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尹持忠) and 123 Companions” on the same year September 4. The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for the beatification of 124 Servants of God was started in the writing biographical outline. This wok began with a shared form in the first place, but shortly afterwards was entrusted to the Yang-eop(良業) Research Institute for Church History(short YRI, Chief : Cha Ki-jin). And the YRI finished writing biographical outline and published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 and 123 Companions in the name of SEC on september 19, 2003. At the same time, the first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finished. The May 21, 2004, the decree on the court constitution for the beatification of the 124 Servants of God was promulgated, and the second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entrusted to YRI. After that, YRI have published The Source Book for Beatification of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 and 123 Companions up to five volumes in the name of SEC from November 15, 2005 to February 14, 2008.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finished. 124위의 선정 작업은 1997년 10월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결정된 시복 통합 추진에 따른 것이었다. 이어 1998년 10월 12일에는 ‘한국 순교자 시복시성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2001년 6월 18일까지 다섯차례 회의가 개최되었다. 또 2001년 6월 30일에는 청원인 류한영 신부의 책임 아래 시복 추진 대상자 선정을 위한 실무진이 구성되었으며, 실무진의 1차 연구 작업 결과 모두 122명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2001년 9월 12일에는 ‘시복시성 추진 대상자 선정위원회’가 구성됨에 따라 실무진의 2차 연구 작업과 동 위원회의 활동이 병행되었고, 2002년 2월까지 시복 청원 순교자 124명, 증거자 2명의 ‘하느님의 종’이 확정되었다. 2002년 3월 7일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에서는 124위의 시복 추진을 승인하였고, 시성성에서는 같은 해 9월 4일 시복 안건의 제목을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123위”로 명명하였다.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은 124위 약전 작성에서 시작되었다. 이 약전 작성은 처음에 분담 형식으로 추진되었으나, 곧이어 양업교회사연구소(소장 : 차기진)에 위임되었다. 이후 양업교회사연구소에서는 약전 작성을 완료하여 2003년 9월 19일 시주특위의 이름으로 《하느님의 종 윤지충바오로와 동료 123위》를 발간하였다. 동시에 1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완료되었다. 2004년 5월 21일에는 124위 시복 법정 구성에 대한 교령이 공포되었으며, 2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양업교회사연구소에 위임되었다. 이후 동 연구소에서는 2005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2월 15일까지 전5권으로 된 124위 시복 자료집을 시주특위 이름으로 간행하였고, 이로써 2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완료되었다.

      • KCI등재

        한·중 천주교 선구자 정약종(丁若鍾)과 서광계(徐光啓) 비교 연구

        신의식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6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천주교의 대표적인 평신도인 한국 측의 정약종(丁若鍾, 아우구스티노, 1760~1801)과 중국 측의 서광계(徐光啓, 바오로, 1562~1633)를 중심으로 그들의 신앙 실천을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은 초창기 천주교 전파에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먼저 한국 천주교 초기의 주춧돌 역할을 담당하였던 정약종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는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난 후 그 스스로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에 대한 것이고, 둘째는 그렇게 깨닫고 찾은 참 진리를 어떻게 전교하였는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반상관계가 명확하던 조선시대에 어떻게 다른 신분의 사람들에게 신앙을 전파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정약종의 전교 태도를 살펴보는 데 상당히 유의미하였다. 셋째는 문서로 인한 선교에 대한 것이다. 특히 정약종이 『쥬교요지(主敎要旨)』를 언문으로 작성한 이유는 소외된 이들을 선교의 대상자로 주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식이 있는 양반들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천주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상민과 천민을 대상으로 복음 전파에 힘썼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는 정약종이 일기에 궁흉지언(窮凶之言)을 남긴 이유는 자신의 주장과 죽음으로 기존의 가부장적 사회질서와 성리학적 국가질서를 동시에 극복해 낼 수 있기를 바랐던 점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측에서는 중국 천주교회의 3대 기둥 중 한 명인 서광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는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당시 사대부들이 천주교에 입교할 때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축첩(畜妾)에 대해서 서광계는 담대하게 천주교 입교를 결정하고 세례를 받았다는 것 등에서 그의 견고한 믿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는 주변 인물에 대한 전교활동을 살펴보았다. 서광계가 천주 신앙을 받아들인 것은 자신이 직접 선교사를 찾아가 종교에 대해 알아본 후 세례를 받았고, 그 후 자신의 고향에 천주교 선교사를 모셔와 천주교를 전파하는 서광계식의 전교방식을 활용하였다. 이후 그의 제자들도 이러한 방법을 따라 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로는 남경교난과 같은 어려운 때에 호교서(護敎書) 집필을 통해 천주교를 공식적으로 옹호하고 보호한 서광계의 공헌은 지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천주교 초기 평신도를 대표하는 정약종과 중국 천주교 초기 평신도를 대표하는 서광계를 약 200년이라는 시간 차를 극복하고 비교 언급한다는 것은 그리 녹록한 일은 아니었으나, 다음과 같은 공통부분을 도출해 내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그 첫째로 두 사람 모두 각자의 나라에서 초기 천주교의 기틀을 다지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점이다. 둘째로 그들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천주교 전파를 실천하였던 것이다. 특히 정약종은 천민과 부녀자들에게, 서광계는 서광계식 전교방식으로 선교사를 모셔와 불모지인 곳에 천주교를 개교하는 식의 서광계식 전교방식을 구축하였다는 점 역시 버려진 대상에 천주교를 전파하였다는 점에서 비슷한 면을 찾을 수 있다. 또 이들은 당대 지식인으로서 저술활동을 통한 전교 즉 문서 선교라는 방식을 통해 초기 천주교회의 기틀을 마련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공교롭게도 그들의 인생에 있어 42세의 나이는 이들에게 아주 중대한 시기였음을 ...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study their faith practices, focusing on Jung Yak Jong(丁若鍾, Augustino, 1760~1801) of Korea and Xu Guang Qi(徐光啓, Paulo, 1562~1633) of China. They are the one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in the early days. For a start, focused on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Jung Yak Jong, who played the role of grounds in the early days of Catholicism in Korea. The first is about how he changed himself after accepting the Catholic faith, and the second was how to teach the true truths he realized and found. Especially, status system It was significant to examine the attitudes of Jung Yak Jong’s evangelism by learning how to spread faith to other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when the relationship was clear. The third is about missionary work by documentary. In particular, We can tell the reason why Chu-chiao yoo-chih(主敎要旨) was written in Hangeul is probably because of his missionary work.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knowledgeable class members, but also those who had relatively poor understanding of Catholicism and the people who tried to preach the gospel. Fourth, the reason why he left “extremely ugly word”(窮凶之言) in his diary, it was found that this claim was made in that he wished to overcome the existing patriarchal social order and the sacramental national order at the same time through his claim and death. The Chinese side looked at Xu Guang Qi, one of the three pillars of the Catholic Church in China. First, we looked at the part of accepting Catholic faith. Xu Guang Qi boldly decided to join the Catholic Church and was baptized to confirm his solid beliefs about the concubinage(畜妾), which was the biggest obstacle when the envoys entered the Catholic Church at the time. Secondly, we examined the missionary work. Xu Guang Qi’s acceptance of the Catholic faith was baptized after he went to the missionaries to find out about religion. Later, his disciples were seen following this metho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official support of Catholic advocacy through the articles in support of Catholicism(護敎書)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in the traditional era.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of overcoming and comparing the time lag of about 200 years the comparison between Jung Yak Jong, who represents the early layman of Korean Catholicism and Xu Guang Qi, representing the early layman of Chinese Catholicism. However, I have achieved results that lead to the following common parts. The first is both of them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laying the foundations of early Catholicism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Second, they practiced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regardless of their status. Especially, Jung Yak Jong was similar in that he spread Catholicism by establishing a Xu Guang Qi style communion method in which the Xu Guang Qi enshrines missionaries in the teaching method and opens Catholicism in a barren place. In addition, they were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and the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arly Catholic Church through the method of their mission work, or documentary mission, through writing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ge of 42 in their life was a very important time for th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bove,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Korea and China who practiced the doctrine and re-examine their contributions to establishing early Catholicism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Particularly, re-examining their faith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source to renew our faith. It is important not to overlook the foundations of Korean-Chinese Catholicism in order to form a relationship with each countries’ Catholics. As a result, this paper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the growth of Catholicism in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

        루이 델랑드 신부의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사업

        김수태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敎會史硏究 Vol.0 No.51

        This work attempts to shed a new light on the Korean Catholic history of social work through Fr. Louis Deslandes(1895~1972). He, who belonged to Paris Foreign Missions and was the founder of Handmaid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social welfare at the Catholic Archdioese of Daegu from the 1920s through the 1960s. Keeping a close eye o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he took a profound interest in the direction of the social work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by which it could be a church in the world. Fr. Louis Deslandes separated a positive charitable work from a passive one. From this perspective, he regarded as passive his social work before the 1960s because he thought that it tried just to take care of a deadbeat. Such a social work would not be able to be a solution for the poor and the deserted. So, Fr. Louis Deslandes made a big change in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program according to the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stead of dead social work in which social workers just waited for people at the facility, he pursued a new social work that kept looking for the poor and the deserted positively. Through this active social work, he anticipated that they would be able to stand on their feet in both social and economic sense. The 1960s when Fr. Louis Deslandes worked actively in the field of social work was instrumental in the Korean Catholic history of social work. 이 글에서는 루이 델랑드 신부를 통해서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사를 새로운 각도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로서, 예수성심시녀회의 창립자였던 루이 델랑드 신부(1895~1972)는 대구교구에서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사회복지사업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였다. 그는 한국사회의 현실에 끊임없이 주목하면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깊이 고민하였던 인물이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가 세상 속의 교회가 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루이 델랑드 신부는 자신의 사회복지사업을 수동적인 자선사업과 능동적인 자선사업으로 구별하였다. 그는 1960년대 이전까지 자신이 실천했던 사회복지사업을 수동적인 사회복지사업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낙오자와 같은 사람들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사회복지사업이었다는 것이다. 때문에 그와 같은 사회복지사업은 가난하고 버림받은 사람들에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루이 델랑드 신부는 1960년대에 들어와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을 따라서 사회복지사업의 방향을 크게 전환했다. 그는 복지 시설을 만들어 놓고 앉아서 기다리는 사회복지가 아니라, 그의 표현처럼 사회 속으로, 사회 안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끊임없이 만나는 사회복지를 새롭게 추구했던 것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자립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루이 델랑드 신부가 활동한 1960년대는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