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일터영성이 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

        안선영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Hospice patients have a high demand for holistic care because they think of death during the disease process and go through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cris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nurses to provide quality holistic care to patients in the hospice ward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hospice nursing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ehavior of nurses in the hospice ward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5th to April 10th, 202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7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at 16 inpatien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 Metropolitan City, Db Metropolitan City, U Metropolitan City, and K Province. As the data collection metho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Interpersonal Skills measurement tool was used that developed by Warner (2007) and modified by Jeong (2011). To measur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or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K-PES-NWI) was used that developed by Lake (2002) and modified Cho et al. (2011). The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tool was used that developed by Seok (2015). To measure Caring Behavior, The Caring Behaviors Inventory(CBI) was used that developed by Wolf et al. (199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2017). The data were analyzed by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WIN 26.0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kills of the subjects was average 56.00±7.20 and mean average 3.73±0.48. The degree of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average 79.22±11.48 and mean average 2.73±0.39. The degree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was average 157.14±28.90 and mean average 4.91±0.91. The degree of Caring Behaviors of the subjects was average 116.02±13.14 and mean average 4.83±0.54.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Caring Behaviors by age (F=5.869, p<.001), education level (F=6.026, p=.003), religion (F=4.192, p=.007), and Working experience as a nurse (F=12.646, p<.001), Working experience as an hospice nurse (F=6.655, p<.001), and job satisfaction (F=10.664, p<.001)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ing Behaviors and Interpersonal Skills (r=.50,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r=.38, p<.001), an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r=.59, p<.00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Interpersonal Skill (r=.58,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65, p<.001). 4.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Caring Behaviors were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β=.409, p<.001), Working experience as an hospice nurse (β=.252, p<.001), and Interpersonal Skills (β=.234, p=.005), which accounted for 40.8% of variance in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improving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Interpersonal Skills taking into account their Work experience for enhancing Caring Behaviors of nurses working in hospice ward. 호스피스 환자들은 질병과정 중에 죽음을 연상하고, 신체, 정신, 사회, 영적인 위기 상황을 겪기 때문에 전인적인 간호요구가 높다. 그러므로 호스피스병동에서 대상자들에게 양질의 전인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들의 돌봄행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호스피스간호의 수준을 향상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1월 25일부터 동년 4월 10일까지였다.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Da광역시, Db광역시, U광역시, K도에 소재한 16개 병원의 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의 병동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37명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해당 병원의 간호부서장, 병동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 및 진행 절차에 대하여 협조를 구하고 대상자들에게 자료수집에 대한 동의를 얻은 후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돌봄행위 측정도구는 Wolf 등(1994)이 개발하고 Wu 등(2006)이 수정·보완한 문항의 Caring Behaviors Inventory(CBI)를 김나연(2017)이 번역한 도구를, 대인관계능력 측정도구는 War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주)PSI 컨설팅이 번안한 도구를 정태영(2011)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는 Lake(2002)가 개발한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PES-NWI)를 조은희, 최모나, 김은영, 유일영, 이남주(2011)가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업무환경 측정도구(K-PES-NWI)를, 간호일터영성 측정도구는 석정원(2015)이 개발한 간호일터영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1.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정도는 평균 56.00±7.20(도구범위: 15-75), 평균평점 3.73±0.48(척도범위: 1-5)으로 중간이상이었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정도는 평균 79.22±11.48(도구범위: 29-116), 평균평점 2.73±0.39(척도범위: 1-4)으로 중간정도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일터영성 정도는 평균 157.14±28.90(도구범위: 32-224), 평균평점 4.91±0.91(척도범위: 1-7)으로 중간이상이었다. 대상자의 돌봄행위 정도는 평균 116.02±13.14(도구범위: 24-144), 평균평점 4.83±0.54(척도범위: 1-6)으로 중간이상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행위 정도는 연령(F=5.869, p<.001), 학력(F=6.026, p=.003), 종교(F=4.192, p=.007), 총 임상경력(F=12.646, p<.001), 호스피스병동 근무경력(F=6.655, p<.001), 근무 만족도(F=10.66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돌봄행위는 대인관계능력(r=.50, p<.001), 간호근무환경(r=.38, p<.001), 간호일터영성(r=.59, p<.001) 정도와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일터영성은 대인관계능력 정도와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r=.58, p<.001), 간호근무환경 정도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r=.65, p<.001)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일터영성(β=.409, p<.001), 호스피스병동 근무경력(β=.252, p<.001), 대인관계능력(β=.234, p=.005)이었고, 이들 변수들의 총 설명력은 40.8%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일터영성, 호스피스병동 근무경력, 대인관계능력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에 따라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호스피스병동 근무경력을 고려하여 간호일터영성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 전략이 포함된 돌봄행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호스피스를 위한 목회 상담 연구

        박현웅 호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삶에 대한 인간의 영원한 갈망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죽음 앞에서 겸손해지고, 숙연해진다. 인간은 죽음에서 도피하려고 시도하였지만, 아무도 자기의 죽음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죽음이란 무엇인가? 라는 끊임 없는 물음은 삶이 무엇인가? 라는 의미를 되찾게 해 준다. 삶과 죽음은 떼어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다. 죽음을 우리 자신의 삶의 한 부분으로서 인정하고, 받아 들여야 하는 것이다. 우리가 인정하든 안 하든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히 9:27) 라고 하신 말씀처럼, 죽음을 수용해야 할 존재라면 이제 죽음에 대한 이해와 함께, 죽음을 어떻게 맞이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인간 모두가 임종자임을 인식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에 대한 아픔과 슬픔, 고립감, 죽음과 심판에 대한 두려움, 삶의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영적인 요구들에 귀기울여야 할 것이다. 전통적인 의료 행위에서는 환자의 신체적 간호에 초점을 맞춰 왔으나, 이제는 전인 의료의 차원에서 임종환자의 치료는 신체에서만 머물러서는 안되며, 심리적, 영적인 전인적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대안으로 호스피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제, 이러한 호스피스의 사역에 있어 전인적인 돌봄을 감당할 수 있는 곳이 바로 교회이다. 특히, 목회자는 살려주는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만큼, 삶과 죽음의 분기점에 서 있는 자들에게 인간이 걸어가야 할 바른 길을 제시해 주며, 임종자들이 겪는 신체적, 심리적, 영적인 불안과 고통과 남는자들을 위한 슬픔 들을 위로해 주며 평안케 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일을 전통적인 교역 방식으로 임종자에 대해 전인적으로 돌보지 못한 부분들이 많다. 이러한 대안으로 목회 상담 기법을 사용하여, 호스피스 들과 연계하면서, 목회적 돌봄을 이끌어 가야겠다. 더 나아가 남는 유가족들에 대한 목회적 배려를 통해 구원 사역을 틀을 확고히 해나가며, 유가족이 속해 있는 공동체들을 위한 목회 사역을 통해, 사랑과 관심과 인정이 넘치는 교회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야겠다.

      • 일 지역 가정간호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김영미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modern society, because the numbers of cancer patients and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rates of chronic illnesses, such as cerebrovascular disease,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are increasing, so too the demands for in-home visiting care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burdens on families regarding hospitalizations. In-Home visiting care offer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are for terminally patients to allow them to meet a comfortable death in familiar surroundings along with the care of their fami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subjects regarding their knowledge of in-home hospices and to inspire in-home visiting care hospice recognition. For this purpose, the recognition of and the demand for hospice care was sought from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a general hospital or an organization that had a domiciliary care division in the Busan reg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3 to November 15, 2008.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by chi-square test using SPSS WIN 14.0.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cluded 47.3% male and 52.7% female subjects. Their average age was 68 years, and the age of 70's was the oldest. (Editor Note to Author: It is not clear what is meant by "age of 70’s."It might be preferable to list the age of the oldest subject.) Most of the subjects were married. Education levels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elementary school graduates to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or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Regarding economic status, 53.7% was regular state. As for primary nursing care, spouses provided nursing care for 47.8%. By insurance types, 75.1% with health insurance was the highest rate. Most of the subjects were not employed. 2) Subjects’ disease distinctive quality With regard to the subjects’ diagnoses, nervous-system disorders represented 47.0 %,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subjects, followed by cancers at 20.5%.Regarding the diagnosis period, over 5 years was reported by 39.1%,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regarding health conditions, 55.6% reported difficulty for complete recovery. With respect to conditions of activity, most subjects found it difficult to live daily life. 3) Subjects’ hospice recognition and needs For all subjects, 68.3% were recognition of hospices, and their recognition regarding hospices was primarily through the mass media.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53.6 %) knew the definition of a hospice, and 81.2%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needed hospice care. However, only 16.1% of the subjects had ever received hospice nursing service. If the subjects had an incurable disease, just 74.1% wanted to know the truth, and 70.2% replied that they had prepared for death. Regardingcaring for subjects who had an incurable disease, 54.7% wanted to hav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nursing to minimize pain and a peaceful death. When asked about the time at the hour of death, most of the subjects wanted to be with their family, and they replied that the most helpful person is a nurse. Most subjects (77.8%) agreed that hospice ward management should be just for the impending death patient, and for equipment management types, most subjects hoped for housing-hospice type. 4) Hospice recognition and needs based on subjects’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ages and education levels, there was a small statistical difference for the group who had recognition of hospices. The group younger than their 60's was more aware than those over 60 years of age (χ² = 4.516, p=.034) and those with more than a high school education were more aware than those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and health condition,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for the group in which the subjects knew the exact definition of a hospice. Those with more than a high school education was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χ² = 12.147, p= .000) and the subject group who had incurable diseases had a higher percentage (65.8%) who knew about hospice care than the subject group who had curable diseases at 40.7% (χ² = 12.709, p= .000). The group that thought hospice care is needed showed a small statistical difference based on their current health condition. The subject group who had incurable diseases at 87.5%was higher than the subject group who had curable diseases at 73.6% (χ² = 6.351, p= .012). The group's responses to wanting to know the truth regarding a diagnosis of terminal cancer had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sand current health conditions. The group who had over a high school education (χ² = 6.890, p= 009) and had an incurable status (χ² = 4.319, p= .038) had higher rates than the other groups. For the question that asked if you need hospice care, then you should receive hospice service, the group of patients with an incurable status had a higher rate (χ² = 5.561, p= .018). For the question asking if you would agree to management in a hospice ward, the incurable patients’ group had a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 tha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d a curable status (χ² = 4.480, p= .03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1) To obtain a grasp for in-home visiting care clients regarding their recognition and needs for hospice care, it is required to repeat the research by targeting other regions. 2) It will be required to research nursing-mediations plans that are reflective of in-home visiting care clients’ need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velop individual and practical care. 3) To revitalize the in-home visiting care hospice servic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manage hospice educational programs for in-home visiting care-professional nurses. 사회는 암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뇌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질환자의 발생률과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장기 입원에 대한 가족적 부담으로 효율적인 재가 간호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가정 호스피스는 대상자가 친숙한 환경의 가정에서 가족의 돌봄을 받으며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말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정 호스피스 대상자의 발굴과 가정 호스피스 인지도 및 활성화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소재한 가정간호 사업실이 있는 기관과 종합 병원 가정간호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가 47.3%, 여자가 52.7%로 여자가 남자 보다 다소 많았으며 연령은 평균 68세였으며 70대가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대부분 기혼이었고, 교육정도는 초졸, 중졸, 고졸이상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경제 상태는 보통이 53.7%, 가족동거유형은 자녀들과 함께 사는 경우가 47.8%, 주간병인은 배우자가 47.3%, 보험유형은 건강보험이 75.1%로 제일 높았으며 직업은 대부분 무직이었다. 2) 대상자의 질병 특성 대상자의 진단명은 신경계 질환이 47.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악성 신생물로 20.5%였다. 진단 시기는 5년 이상이 39.1%로 가장 많았고, 신체 상태는 완치가 어려운 상태에 있는 대상자가 55.6%로 가장 많았다. 활동정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일상생활이 어려운 대상자였다. 3)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대상자의 68.3%가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가 있었으며,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경로는 주로 메스컴을 통해서였다. 호스피스에 대한 정의를 바르게 알고 있는 대상자는 53.6%였으며,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1.2%가 호스피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호스피스간호를 받아 본 적이 있는 대상자는 16.1%에 불과했다. 불치병일 경우 진실을 알기를 원하는가에 대해서는 74.1%가 진실을 알기를 원했고, 죽음을 준비해야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0.2%였다. 불치병에 걸린 대상자의 치료에 대해서는 54.7%가 최소한의 통증과 평화로운 죽음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영적 간호를 원하였다. 임종 시에 대상자의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있기를 원하였고, 가장 도움이 되는 사람은 간호사라고 응답하였다. 임종자들 만을 위한 호스피스 병동 운영에 대해서는 77.8%가 찬성하였고, 시설운영형태에 대해서는 가정에서 호스피스를 받는 형태를 가장 많이 원하였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호스피스 인지가 있는 군의 분포는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60세 미만 연령층에서(χ² = 4.516, p=.034), 또 고졸이상 군(χ² = 7.318, p= .007)에서 높게 분포하였다. 호스피스 정의를 바르게 알고 있는 군의 분포는 교육정도와 현 신체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졸이상 군(χ² = 12.147, p= .000)에서,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χ² = 12.709, p= .000)에서 높게 분포하였다.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은 현 신체 상태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에서 높게 분포하였다(χ² = 6.351, p= .012). 말기 암 진단에 대한 진실을 알기를 원하는 군의 분포는 교육정도와 현 신체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는데, 고졸이상 군에서(χ² = 6.890, p= 009) 그리고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의 군(χ² = 4.319, p= .038)에서 높게 분포하였다. 호스피스가 필요하다면 호스피스를 받겠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에서 높게 분포하였으며(χ² = 5.561, p= .018), 호스병동의 운영을 찬성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이 완치가 가능한 상태의 군 보다 높게 분포하였다(χ² = 4.480, p= .034).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가정간호대상자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 타 지역을 대상으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2) 가정간호대상자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개별적이고 실질적인 가정 호스피스 간호중재 방안 개발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3) 가정 호스피스의 활성화를 위해 가정전문간호사들을 위한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 호스피스 患者의 죽음에 대한 家族의 理解

        이재광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족의 소중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오늘날 핵가족화, 개인이기주의가 팽배하여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지만 가족의 소중함은 여전히 크다. 그런데 가족의 구성원이 호스피스 환자가 될 때 그 가족의 고통과 절망은 실로 엄청나다. 본 논문은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원이 겪는 고통과 절망을 파악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호스피스 환자를 둔 가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위안이 되는 일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호스피스 환자를 둔 가족의 기초 자료는 대전에 소재하는 소망병원과 원호병원, 평화병원에 입원하여 암 진단을 받은 호스피스 환자로 하였다.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는 가족 구성원 중 6가족 6명을 연구자가 직접 선정하였다. 참여자는 먼저 설문조사에 응하게 하고, 스스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하고, 그대로 녹음하였다. 그 결과 호스피스 환자에 대한 가족 구성원들의 변화는 육체적 피곤, 불안, 초조, 정신적 고통이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심리적 안정감의 상실, 일상생활의 변화, 생활의 패턴 붕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죽음을 준비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호스피스 환자가 소중하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도록, 그 가족들에게 위안과 적응을 줄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의료보험 혜택이 충분히 주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정책과 전문적인 호스피스 병원이 여러 곳에 설립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suffering and hopelessness that the family members of the terminally ill in a hospice experience. The analysis will provide basic data to support the family members of the terminally ill in a hospice. Structured interviews are employed. All of 6 subjects are the family members of 6 terminal cancer patients at three hospices in Daejon. The data are analyzed phenomenologically. There are three results. First, they change from physical fatigue, anxiety, restlessness and emotional pain. Second, they experience loss of emotional stability and collapse of everyday's way of life. Last, they are loaded with fear of death and anxiety to help the dying prepare for death. A systematic curriculum for the family members of the terminally ill is suggested to be formulated. A policy is suggested to be implemented to formulate and exercise it.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도 및 수행도

        전명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hospice volunteers’ perceived importance & performance of their activities &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59 hospice volunteers of hospice teams and wards from 6 hospitals in Daegu, Kyungbuk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th September to 1st October in 2007. In this study, instruments to measure the volunteers' perceived importance of their activities and the perceived degree of their performanc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in SPSS Win 1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importance of volunteers' activities was average 3.09(.54) and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ir activites was average 2.31(.86) which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importance.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volunteer's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reveale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r=.487, p=.000). 3.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emotional support(F=4.11, p<0.01), spiritual support(F=5.88, p<0.01), family support(F=2.97, p<0.05), and the total score(F=3.48, p<0.05).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emotional support(F=4.39, p<0.01), spiritual support(F=2.95, p<0.05), family support(F=4.25, p<0.01), the total score(F=2.75, p<0.05). According to the period of volunteer's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spiritual support(F=3.90, p<0.05), family support being separated(F=3.13, p<0.05), and the total score(F=2.72, p<0.05). 4.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emotional support(F=3.60, p<0.05), spiritual support(F=4.80, p<0.05), and the total score(F=1.73, p<0.05).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supporting hospice activities(F=4.20, p<0.05) and the total score(F=1.99, p<0.05). According to the period of volunteers'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emotional support(F=6.04, p<0.01), social support(F=3.30, p<0.05), spiritual support(F=5.24, p<0.01), and the total score(F=3.14, p<0.05). In conclusi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volunteers' activities was high, but their performances didn't reach to the level of their importance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emotional and spiritual support were high. Bu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physical care was low.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used not only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but also management for the volunteers.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포항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병동 및 호스피스 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259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9월 17일에서 10월 1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평점,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으로 자료분석 하였다. 1.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도는 평균평점 3.09(.54)점이었고 수행도는 평균평점 2.31(.86)점으로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는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지각한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의 영역별 중요도 및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r=.487, p=.000)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의 영역별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특성 중 종교에 따라 전체 중요도 총점(F=3.48, p<0.05)에서, 심리적 돌봄 영역(F=4.11, p<0.01), 영적 돌봄 영역(F=5.88, p<0.01), 사별가족 돌봄 영역(F=2.97,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에 따라 전체 중요도 총점(F=2.75, p<0.05)에서 심리적 돌봄 영역(F=4.39, p<0.01), 영적 돌봄 영역(F=2.95, p<0.05), 사별가족 돌봄 영역(F=4.2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기간에 따라 전체 중요도 총점(F=2.72, p<0.05)에서 심리적 돌봄 영역(F=3.90, p<0.01), 영적 돌봄 영역(F=3.13,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의 영역별 수행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특성 중 연령에 따라 수행도 총점은(F=1.73, p<0.05)으로 심리적 돌봄 영역(F=3.60, p<0.05), 영적 돌봄 영역(F=4.80,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따라 수행도 총점은(F=1.99, p<0.05)으로 호스피스 프로그램 지원 영역(F=4.20,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기간에 따라 수행도 총점은(F=3.14, p<0.05)으로 심리적 돌봄 영역(F=6.04, p<0.01), 사회적 돌봄 영역(F=3.30, p<0.05), 영적 돌봄 영역(F=5.24,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수행도는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기환자의 사후 세계에 대한 소망을 주고 고통 중에서도 평안을 가지게 하기 위해 환자의 영적인 돌봄과 심리적 돌봄을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신체적 돌봄 영역의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자들이 호스피스 환자에게 접근이 용이 하지 않음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 자료로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효율적 관리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 호스피스 自願奉事活動의 滿足度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關한 硏究

        이주일 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By giving them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some hospice volunteers keep supporting the activities while others discontinue the volunteering support from the lack of satisfaction. So the study looked into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to them. F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Hospice volunteer, the study has broadly three hypotheses like the below. Firstly, volunteers job related factor influences the satisfaction. That is, physical care, psychological care, spiritual care and the care for patients families in the job may cause differential degrees of the satisfaction. Secondly, their agency related factor influences the satisfaction. There are the accessibility to agency, social recogniton of agency, internal facilities of agency, and so forth, some of which affirmative aspects will result in their level of the satisfaction. Finally, the team related factor influences the satisfaction. Normally the more positive superintendents attitude, the attitude of a manager of the volunteering department and other staffs attitude, the higher they feel the satisfaction. For the examination of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I did a questionnaire survey of 112 volunteers from nationwide fifty agences, consequently got results like the below. First, as I mentioned above, the job related factor of physical care, psychological care, spiritual care and the care for patients families showed neither meaningful correlation of the influence nor statistical connection. It simply means volunteers satisfy and do their best regardless of the occupational affairs. Concerning about the agency factor such as the accessibility to agency, social recognition of agency, internal facilities of agency, it did not have any meaningful correlation, but the social recongnition of agency, to some extent, has the influence to their satisfaction. What it meant is that if a volunteer knows the agency before working in it, he (she) might has less satisfaction for the actual participation. Again, it can mean that a person having a great expectation and recognition for the agency may feel less satisfaction because the working intensity makes the person somewhat hard and tired. As regards the team related factor such as superintendents attitude, the attitude of a manager of the volunteering department and other staffs attitude, the institutional and/or bureaucratic factor except superintendent and staff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their satisfaction, while the attitude of a manager of the volunteering department had som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Definitely it means that as much kind the managers attitude, as higher their satisfaction. Finally, a background variable in personal factor, the thought of death was a significant one. It does mean that if a volunteer has a lower fear of death, the person may have more satisfaction. Similarly, if a volunteer has never thought of death or is ignorant of it, probably the volunteer cannot assist his (her) patient as well as patients family. Therfor volunteers play a great role in the matter that a hospice patient overcomes the fear of death and prepares it peacefully.

      •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임지현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plor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hospice care aides who provide various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services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n hospice. To this end, phenomenological experiential research was applied among qualitative studies to answer two questions: “What are the components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hospice care aides?” and “What is the semantic structure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hospice care aides?” A number of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hospice care aides at S Hospice Hospital in Gyeonggi-do, working 3 shifts, considering the hospice specificity such as the risk of COVID-19 infection that has not yet ended, as a single-session open group of up to 10 people, by 2023 During the month of March, they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for 70 minutes per session, 1-2 times a week, 7 sessions in total.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in 7 steps according to 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13 sub-themes and 4 major themes. The sub-themes are 'physically and emotionally difficult while caring for patient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ho are not patients', 'gaining a new perspective on myself and others', 'feeling innocence through spontaneous recollection of the past', 'Incorporating prayers and wishes of life into the work', 'Consoling and encouraging oneself', 'Feeling psychological relaxation', 'Feeling satisfaction', 'Love for others', 'Encouraging and cheering for colleagues' , 'Caring for the patient with sincerity and love', 'Feeling of reflection and reward', and 'Having a feeling of gratitude for being healthy and alive' were derived. The major themes were formed: 'discovery', 'experiencing leisure and healing in the hospital through art therapy', 'discovering the precious value of work', and 'discovering the meaning of one's life'. Second,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starts with 'phys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from caring for patients in hospitals o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self-exploration and perception',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internal and external The four meanings of 'discovering resources' and 'encouraging a sense of mission as a hospice care aides' were revealed as mutually dynamic relationships that are closely influencing each other. This mutual dynamism ultimately resulted in his own ‘meaning of life’, which is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nd the positivity of life’. In other word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mbivalence while providing care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at hospice, relieved negative emotions that were always sensitive and tense through group art therapy even though they were physically and emotionally exhausted, and psychologically Feeling relaxed and relaxed, he discovered the value of work along with discovering his ow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In the end, all of these processes resulted in the meaning of one's life, and group art therapy becam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one's life, find the value of life, and discover the true meaning of life and the positivity of that life. In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he possibilit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to care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hospice care aides was expanded by identifying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hospice care aides who had never existed in Korea and prepar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them.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a more diverse and systematic art therapy program for hospice care aides. 본 연구는 호스피스에서 말기 암 환자와 그 가족 보호자에게 신체적·정서적·영적으로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현상학적으로 탐구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적용하여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의미구조는 어떠한가?”라는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S호스피스 병원의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으로 3교대 근무를 하는 직무 특성과 아직 끝나지 않은 COVID-19 감염 위험 등의 호스피스 특수성을 고려하여 10명 이내 단회기 개방집단으로, 2023년 3월 한 달간, 주 1-2회, 총 7회기, 회기당 70분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기술의 방법’에 따라 7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구성요소는 13개의 소주제와 4개의 대주제로 파악되었다. 소주제는 ‘환자를 돌보며 신체적, 정서적으로 힘듦’, ‘환자가 아닌 동료와의 관계의 어려움을 겪음’, ‘나와 타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됨’, ‘자발적 과거 회상을 통해 동심을 느낌’, ‘작품에 삶의 기도와 소망을 담아냄’, ‘자신을 위로하고 격려함’, ‘심리적 이완을 느낌’, ‘만족감을 느낌’, ‘타인을 향한 사랑’, ‘동료를 격려하고 응원함’, ‘정성과 사랑으로 환자를 돌봄’, ‘반성과 보람을 느낌’, ‘건강하고, 살아있음에 감사한 마음이 생김’으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소주제의 공통된 주제를 파악한 결과, ‘병원에서 지친 나를 발견함’, ‘미술치료를 통해 병원 안에서 여유를 갖고 치유를 경험함’, ‘일에 대한 소중한 가치를 발견’,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 발견’이라는 대주제가 형성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의미구조는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며 또는 동료와의 관계에서 비롯한 ‘신체·정서적으로 힘듦’을 시작으로, ‘자기 탐색 및 지각’, ‘긍정 정서 강화’, ‘내·외적 자원 발견’,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으로서 사명감이 고무됨’이라는 네 가지 의미가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 상호역동적인 관계로 드러났다. 이러한 상호역동성은 궁극적으로 ‘삶에 대한 의미 및 삶의 긍정성 발견’이라는 자신의 ‘삶의 의미’로 귀결되었다. 즉, 연구 참여자들은 호스피스에서 말기 암 환자와 가족 보호자에게 돌봄을 제공하며 양가감정을 경험하고, 신체적, 정서적으로 지쳐있었지만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늘 예민하고, 긴장되어있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고, 심리적으로 이완, 여유를 느끼며 자신의 내·외적 자원 발견과 함께 일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였다. 결국 이러한 모든 과정은 자신의 삶의 의미로 귀결되어 집단미술치료는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고, 삶의 가치를 찾으며 삶 속 진정한 의미와 그 삶의 긍정성을 발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무했던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파악하고, 그들을 위한 미술치료 개입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여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심리적 건강을 돌보는 미술치료 개입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을 위한 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호스피스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김경자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우리나라는 과학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의학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만성질환과 말기환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말기환자들의 고통을 제거하고 편안한 삶을 유지하고자 하는 요구가 팽배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말기환자를 돌보기 위해 발달한 것이 호스피스라 하겠다. 의료와 복지의 목표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며 복지사회가 추구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이다. 따라서 말기환자의 경우에도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케 하기 위해 우리사회에서 이용 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들의 마지막 생을 보다 편안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인간적인 삶에 대한 배려이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의 개념을 분석하고 호스피스 도입을 위한 제반여건을 조정하여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한 부분으로 정착될 수 있는 호스피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호스피스란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팀 접근을 통해 총체적으로 돌보는 사랑의 행위이다. 이를 통해서 말기환자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고,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들을 질병치료 중심이 아닌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도 돌보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호스피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호스피스 현황에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선진국의 호스피스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영국과 미국, 일본은 역사는 짧지만 호스피스가 하나의 독립된 의료체계로 정착되어 발전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도 호스피스가 대두되어 다소의 적용을 보이고 있기는 하나 아직 초기단계의 수준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기관 또는 팀은 약 60개이며, 의료기관, 사회복지 시설, 종교기관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이 종교적인 배경 하에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 의료보건체계의 한 전문분야로 제도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호스피스 기관이나 활동에 대한 표준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규제도 없어 다양하고 체계화된 호스피스를 정착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 홍보 부족으로 인한 전문가와 일반대중의 인식부족은 호스피스 활성화의 저해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가 우리나라에 정착하고 활성화 방안으로 법적 제도 및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하며 호스피스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조직구조와 전달체계가 우리에게 적합한 한국형 호스피스 모델개발 및 검증을 통해 적용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그리고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각 분야의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호스피스팀의 역할 규정 등이 구체화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전문가 및 일반대중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호스피스의 이용률을 높이며 폭넓은 사회적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시행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모든 국민에게 특히 소외 계층이 제외되지 않도록 질적인 면에서 일정한 수준의 호스피스 혜택이 골고루 주어지는 방향으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people's of way of lives. It has also prolonged people's span of life,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hronological disease and the number of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igher level of economic well-being has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lives of such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osp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take good care of them. The ultimate purpose of medical service and welfare is said to be the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ves and the respect of human dignity. Accordingly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also has the right to be taken good care of. We should have much more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m spend their last lives more comfortably.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oncept of hospice system, to describe the present situation of hospice and the medical care for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in Korea,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and to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 and policy measures to cope with such problems.. We largely depend upon literature survey for carrying out this research. There are only 60 institutions or teams which can be regarded to function as a hospice. Most of them are religiously related organization, and are not formally institutionalized as a public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no standards have yet been established for the hospice activities and their organization. Furthermore, there has not been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information of the hospice system. Accordingly, there has been very few specialist on hospice and average citizens seldom have the knowledge of hospice.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legal system as well as policy support should provided in order to activate hospice system. We also suggest that a speci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ducation of doctor, nurses, social workers who can work at hospice. Finally, we suggest that a very positive public relations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in order to derive wide public support for the early introduc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system.

      • 목회현장에서 호스피스 봉사사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강훈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호스피스의 기본적인 이해부터 교회의 목회현장에서의 호스피 사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앞으로 교회의 호스피스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제언으로 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고 한다. 교회의 호스피스는 이제는 교단적인 차원의 호스피스의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개 교회에서 하는 호스피스 사역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재정적인 열악함, 인적자원의 한계, 프로그램 계발의 부족으로 인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단에서는 교단적인 차원으로 재정의 기반을 삼고 인적자원을 교육시키며 그들을 각 교회로 보내야 한다. 호스피스를 이제는 국내의 시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닌 선교적인 관점에서 선교사들에게 호스피스 교육을 적용하는 것이다. 선교사로 파송받고 그 국가로 가서 그 국민들에게 처음부터 기독교를 전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 기독교의 정신이 있고, 그들에게 도움의 혜택을 줄 수 있는 호스피스 사역이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한다. 교회는 이제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사람의 전 인생을 책임져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다. 죽음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피할 수 없는 삶의 여정 중에 하나이며 새로운 시작을 이야기할 수가 있다. 그래서 기독교인으로 죽음은 완전한 종착점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이야기할 수가 있다. 호스피스 사역은 앞으로의 목회 현장에서 필수적인 사역이다. 성도들의 목회자의 차원이 아닌 마지막까지 육신적으로 말할 수 없는 고통 가운데 있는 한 영혼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까지 영원한 생명의 길로 인도해야 하는 것이 교회 호스피스 사역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이제 관심을 갖고 섬겨야 되는 사역을 해야 한다. 교회의 호스피스 사역은 주님이 우리에게 부탁하신 명령을 순종하는 일이요, 그리스도의 증인된 우리의 사역이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들을 호스피스 사역을 통해서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닌 죽음 속에서도 평안함을 가지고 죽음을 맞이하도록 해야한다.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사역은 이제는 우리의 인식 속에서 부족한 편이다. 하지만 반드시 호스피스 사역은 확산되고 보편화되어야 할 교회사역이다. 교회 내 호스피스 사역이 확산되어 교회에게 주어진 사명을 감당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