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Uncanny Cosmopolitan in Kazuo Ishiguro's The Unconsoled

        안선영 고려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가즈오 이시구로의 『위로 받지 못한 사람들』에서 나타나는 현대 세계주의자의 모습과 그 사회 문화적 의미 안선영 본 논문은 가즈오 이시구로(Kazuo Ishiguro)의 네 번째 소설『위로 받지 못한 사람들』(The Unconsoled)의 연구를 통해 지구화되어 가는 현대의 시대적 맥락 안에서 출현하게 되는 세계주의자의 특성을 살펴본다. 1장에서는 작가 이시구로와 그의 작품들에 관한 개괄적인 소개를 한다. 이시구로는 비록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여섯 살 때 이후로는 줄곧 영국에서 성장하고 교육을 받은 영국인이다. 그러나 종종 그의 태생적 배경만이 부각되어 이시구로의 작품 집필 의도가 왜곡된다. 이에 대해 이시구로는 자신의 작품들이 세계 각처의 다양한 독자들로부터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국제적”이고도 “보편적”인 주제들을 다룬다고 반박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위로 받지 못한 사람들』은 이시구로의 주제의식 중의 하나를 이전 작품들보다 더 확장하여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의 배경은 유럽의 한 도시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지명과 일시조차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곧 작품의 이야기가 어디서든 어느 때나 일어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라는 것을 가리킨다. 작품은 또한 상실감, 외로움, 시간에 쫓기는 압박감 등등의 묘사를 통해 전세계의 현대 도시인들의 공통적 경험을 다룬다. 작품에서 설명하는 현대인들의 공통된 경험이란 구체적으로 2장에서 다루듯이, “집”과 관련하여 연상작용으로 일어나는 아늑하고, 안정된 정서(homely)와 심상들이 그 반대 개념(unhomely)과 일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집”을 잃은 현대인들은 거처가 어디든 간에 배회하고 표류하는 삶을 영위하게 된다. 3장에서는 현대인들의 공간에 대한 명확한 이해 내지는 지각이 어려워진 면모를 살펴본다. 미로와 같이 난해한 것으로 인지되는 도시는 그들의 불안정하고 소외된 정서를 반영하는 것이다. 4장에서는 위와 같은 조건들이 언캐니한 세계주의자(uncanny cosmopolitan)의 출현을 촉진하게 됨을 주장한다. 현대시대는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위치를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불변하는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근대적 의지를 부추기기보다는, 오히려 현실세계에 대한 참여를 소홀하게 하고, 표류하는 불안정한 정체성과 삶의 방식을 편향하게 한다. 소설의 주인공 라이더(Ryder)처럼 무의미한 배회를 하게 될 뿐인 것이다. 세계를 무대로 여행하는 과정에서 라이더는 공적인 일에만 비중을 두게 되는데, 이것이 그가 현실세계를 형성하는 다양한 정치, 경제, 문화적 요소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작품에서 드러나다시피, 라이더는 궁극적으로 자신의 방문자 혹은 아웃사이더로서의 위치를 내세움으로써 그가 여행하는 세계에 대한 진지한 관여를 삼간다. 즉 세계화로 인해 재정의되고 재편성되는 문화와 정치, 경제적 역학관계에 대한 비판이나 고찰은 전무하며, 오로지 방황하는 개인이 있을 뿐이다. 위와 같은 라이더의 삶은, 그가 끊임없이 세계를 무대로 여행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온전한” 세계주의자로 바라보는데 무리가 있음을 드러내준다. 여러 가지 경계선, 국경 등등 세상을 정의하고 분류하며 구획했던 것들이 세계화의 정세에 의해 재조정됨으로써 라이더와 같은 현대인들은 “집”에도 속하지 못하고 “세계”에도 속하지 못하는 불명료한 영역에 처하게 되었다. 바바는 이렇듯 라이더와 같은 초국가적인 경험을 갖고 일정 지역의 법과 질서에 간섭 받지 않으며, 다양한 문화들이 섞이는 모호한 영역에 속해 있는 사람들을 언캐니하다고 정의한다. 라이더가 언캐니한 세계주의자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이런 맥락에서이다. 그리고 이것은 곧, 개인에 국한되어 있는 듯한 경험이 세계화되는 국제적 상황을 함축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라이더의 내러티브는 바바가 설명하는 현대의 “세계문학”의 유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접근은 이시구로의 작품을 현실세계와 동떨어진 채 오로지 이야기로서의 문학적 미덕을 갖추고자 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을 새롭게 해준다. 라이더의 소위 말해 꿈과 같이 무형적이고 비현실적인 내러티브는 역으로 현대 세계의 다양한 양상들을 첨예하게 보여주는 매우 현실적인 세계 문학의 하나일 수 있는 것이다.

      • 제주 보리 생산자의 지역생산품에 대한 주제분석

        안선영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주 보리 생산자 대상 심층인터뷰를 통한 주제분석과 보리 가공품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주의 지역생산품인 보리의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특산물, 지역특산음식,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등이 지역에서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므로,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관광트렌드변화를 반영하여 관광자원이 풍부하지만 관광객이 일부 지역으로 치우친 제주에서 발전이 필요한 서남부를 공간적 범위로 삼았다. 연구 대상과 범위를 종합한 결과 제주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 주 소득작물이자 주식으로 사용된 귀한 작물이었지만 이제는 한정된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제주 보리를 구체적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제주 보리는 생산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보리 특산품은 서로 유사하며 특색이 없어 제주 보리 생산자를 대상으로 지역생산품인 보리를 연구하여 지역관광 발전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 보리 생산자로 제주 서남부 지역의 보리 생산자 중 판매를 목적으로 재배하고, 기본 재배면적 2,000평이상, 최소 5년 이상 재배에 참여한 전문가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일대일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한 후, 심층인터뷰에서 도출된 주요 진술문을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요 진술문 중 유의미한 내용은 90개가 추출되었으며, 이를 13가지의 주제로 범주화한 후, 범주화된 주제를 5개의 대주제로 다시 분류하였다. 5개의 대주제는 논이 귀했던 섬인 제주에서 보리가 차지했던 위상, 변화가 필요한 보리의 수익구조, 보리재배의 고민점, 농가의 보리 판로 고민, 보리의 재발견이다. 이와 함께 소비자조사를 통해, 보리가 지역의 특색있는 가공품으로 변화될 경우 경쟁력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 고찰해보면 보리 생산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지자체와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협력하여 지역관광 발전을 위해 지역생산품을 활용한 특색있고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개발한다면 긍정적인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관광과 연관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의견을 함께 연구 및 분석하는 선행연구가 없었다는 점, 부족했던 제주 보리에 대한 연구에 다양한 각도로 의견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barley farmers in Jeju island, an analysis and consumer survey on barley-based processed produc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using barley as a local product of Jeju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In this research,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because local specialities including local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tourism resources. Additionally, reflecting the change in tourism trends,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 island, which needs more development, was selected in scope among the places that are rich in tourism resources but are biased toward tourists in Jeju island.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subject and scope of the research, Jeju barley, which was a precious crop used as the main income and a staple food in Jeju island until the early 1980‘s but used as a limited tourism resource now,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of the research. Based on barley farmers in Jeju isl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by studying barley as a local product because barley specialities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have no speci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barley farmer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 island, who cultivated for the purpose of sale, had a cultivation area of 6,600㎡ or more, and selected experts who participated in cultivation for at least 5 years. For a research method, a one-on-one interview was conducted then the main statements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were analyzed by the subject. As a result, 90 significant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main statements. After categorizing 90 statements into 13 themes, they were reclassified into 5 major points. The five main points are as followed 1) the status of barley on Jeju island where paddy fields were precious, 2) the profit structure of barley that needs change, 3) the troubles of barley cultivation, 4) the concerns of the farmers' market for barley, and 5) the rediscovery of barley. In addition, through consumer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competitiveness if barley is transformed into a unique locally processed product. The result of the research would be of positive meaning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if a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ies consider the difficulties of barley farmers and cooperate with them in order to develop attractive tourism resources utilizing local products.   The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research encompasses not only that there was no previous research which analyze the notion of farmers and consumers related to local tourism together but also that the point of view on barley in Jeju island was presented with various perspectives.

      •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이 당뇨 대상자의 지식, 자가 관리 및 당대사에 미치는 효과

        안선영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당뇨 대상자에게 적용한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이 당뇨지식, 자가 관리 및 당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 및 프로그램 중재 기간은 2011년 6월부터 9월까지 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증평군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로 실험군 46명과 대조군 46명으로 총 92명이었다.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에서는 요구도 조사를 통해 대상자를 사정한 후 건강문제를 진단하여 그에 따른 목표를 선정하였으며, 교육과 상담, 정보제공, 의뢰, 연계 및 중재를 시행하였다. 당뇨병 관리에 대한 정보는 충북 만성 질환 관리단의 교육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당뇨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관리,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합병증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은 8회의 가정방문과 2회의 전화방문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정방문은 1주에서 3주, 5주에서 8주와 12주째 실시하고, 전화방문은 4주와 10주째 실시하였다. 가정방문은 1시간 정도 이루어졌고, 교육과 상담을 통해 피드백을 주고받았으며, 전화방문은 15분 정도에서 대상자 실천 정도를 확인하여 지지적인 간호를 해 주었다. 연구도구는 2010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당뇨 집중건강관리지침에 수록된 당뇨 대상자 요구조사표 중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수준과 자가 관리에 대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 test, Fisher exact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위해서 ANCOVA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Kuder-Richardson's ρ 와 Cronbach’s alpha계수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당뇨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지식수준이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57.993, p< .001). 2) 제 2가설인 ‘당뇨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 관리가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85.650, p< .001). 3) 제 3가설인 ‘당뇨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 수치가 감소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7.129, p=.009).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은 당뇨 대상자에게 당뇨 지식과 자가 관리를 향상시키고 혈당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를 관리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율적인 간호중재로서 보급이 확산될 경우 실무 발전에 기여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 당뇨병 환자, 당뇨지식, 자가 관리, 당대사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ve Health Management Program, lately conducted by regional public health center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effect of the program that is adjusted for changing demand of patients, to present the effect by comparing the control group who do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method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a twelve-week Intensive Health Management Program.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nsisted of diabetic education, counseling, service coordination, supervision, and intervention.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osed of 46 registered patients in Jeungpyeong Public Health center, respectively.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8 times of home visiting and 2 times of telephone coaching from 4 trained home nurses for 12weeks; the control group patients received ordinary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ata for the knowledge and the self-care behaviors were gained by using a questionnaire and HbA1c measures. Also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from June, 2011 to September 2011.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PC+. In order to analyze outcome measures, ANCOVA was use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knowledge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F=57.993, p<.000). 2) The self-care behaviors of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F=85.650, p<.000). 3) Glycemic level(HbA1c level) of experimental group was controll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F=7.129, p=.00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nsive Health Management Program can be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better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as well as improving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s. Therefore, ongo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maintenance of these results. Keywords : Intensive Health Management Program, diabetic patients,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glycemic control

      • 광산업의 동태적 생산효율성 변화 및 결정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안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광산업은 빛을 생성&#8228;제어하여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데 필요한 부품&#8228;소재&#8228;장비&#8228;시스템을 포괄하는 산업으로 기존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우리나라 산업에 새로운 활로를 가져다 줄 핵심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2000년도에 광산업이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으로 정부로부터 지정되면서 광산업이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집중 육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광주지역 첨단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광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 인프라, 기업, 기업지원기관 등 질적 측면에서도 세계적인 광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고 있으며, 중앙정부나 타 지역으로부터 우수 사례로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광산업 및 관련 기업들은 최근 들어 조선, 자동차, 에너지, 의료 등 타 산업과 융&#8228;복합을 통해 기존산업의 획기적인 고부가가치화 실현이라는 중대한 해결 과제와 함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업 경쟁력 확보라는 어려운 환경에 직면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의 경영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지만 광산업체 기업 규모의 특성상 중소 영세업체가 대부분이여서 기업 스스로 이를 해결할 수가 없는 상황이며, 기업 지원기관이나 정부에서도 신생산업인 광산업에 대한 산업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성과 평가 및 기업 현황 분석에 있어서 매출액, 기업체수, 종업원수 등에 한정된 성과 지표만으로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재무제표상의 지표만으로는 기업의 생산성이나 효율성을 명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계의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으로 지역 간 산업의 성장률 격차를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지역 간 산업의 생산효율성 격차에 기인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핵심적인 성과지표로 지역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통적인 효율성 측정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DEA모형은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에 기반을 두어 다수의 투입물과 다수의 산출물을 가진 다수의 의사결정단위(decision making unit: DMU)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비모수적(non-parametric)인 접근방법이다. DEA모형은 투입의 관점(산출에 대한 투입최소화) 혹은 산출의 관점(투입에 대한 산출최대화)에서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어 학계 등에서 효율성 측정을 위해 많이 활용되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광산업체를 대상으로 총요소생산성을 기술적 효율성 변화, 기술 진보, 규모 요인으로 분해하고, 지역산업 지원사업의 정책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방사적 DEA모형(CCR모형, BCC모형)분석 뿐만 아니라 투입 및 산출요소의 잔여(input and output slacks)를 반영해 정확한 효율성 값을 계산하기 위한 비방사적 SBM(slacks-based measure of efficiency) DEA모형을 사용하여 광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적 및 비방사적 DEA모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단계의 광산업체 생산성 및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본 연구에 가능한 모든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기업현황데이터 수집과 자유도 등의 문제로 인하여 유사 산업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 및 광산업 관련 전문가 등의 자문을 통해 투입 및 산출요소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광산업 기업의 정태적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술효율성(TE)은 CCR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순수기술효율성(PTE)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CC모형을 이용하였고, 규모 효율성(SE)은 기술효율성을 순수기술효율성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고 방사적 및 비방사적 모형을 이용하여 광산업체의 효율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간의 효율성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Wilcoxon-Mann-Whitney에 의해 개발된 순위합 검증(rank-sum test)을 이용 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광산업의 시간 흐름에 따른 광산업의 동태적 생산성 변화 분석을 위해 Malmquist 생산성지수(MPI)를 활용하여 2007년부터 2010년까지의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Mann-Whitney에 의해 개발된 순위합검증(Rank-Sum Test)을 이용하여 방사적 및 비방사적 모형간의 차이검증을 비교를 통한 생산성 변화 검증이 의미 있는 것 인지 검증하였다. 다섯번째 단계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토빗 회귀모형(Tobit regression model), 통합시계열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광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하였으며, 광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에 따라 국내 광산업체 2,021개사 중 데이터가 유효한 기업 881개사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의 생산성 및 효율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수, 연구개발비, 총자산을 투입변수로, 매출액을 산출변수로 선정하여 정태적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업종별로는 광전변환기기, 광재료, 관측검사기기 분야의 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규모수익가변을 가정하는 BCC모형에서는 레이저기기와 영상표시기 분야가 추가되어 모두 5개 업종이 효율적인 상태로 나타났다. 투입 및 산출요소의 비효율성(output shortage)은 산출방향 SBM 모형으로 측정한 결과는 대부분의 업종에서 종업원수의 과잉투자로 나타났다. 둘째,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간의 효율성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Wilcoxon-Mann-Whitney에 의해 개발된 순위합 검증을 이용한 결과 CCR모형으로 측정한 기술적 효율성 값은 양측 근사유의확률이 0.086으로 유의수준 5%로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에 따라 기술적 효율성 점수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BCC모형으로 측정한 순수기술 효율성 값도 유의확률 0.436로 유의수준 5%에서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의 순수기술 효율성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에 의한 총요소생산성 변화 지수를 살펴보면, 2007년부터 2010년 사이에 평균 3.4%~5.0%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산업의 생산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종업원수가 효율성 증가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비 또한 생산효율성의 결정 요인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산업인 광산업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 측면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방사적 및 비방사적 DEA모형을 활용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국내 광산업 관련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 평가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안선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이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경험하는 것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6명으로 여학생 4명, 남학생 2명이다. 사례는 2022년 1월 3일부터 1월 14일까지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주 5회, 회기 당 120분,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다양한 미술활동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 행동, 인지를 조절 및 점검하며, 참여자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학교생활적응 동기를 유발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회기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학교 담당자와의 사전면담, 집단미술치료 전 회기 관찰일지, 참여자 미술 작품 사진, 참여자의 사후 심층 면담 및 전 회기 녹음 파일과 축어록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정독하고, 연구 참여자 언어적 표현과 미술작업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표현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을 거쳐 정리 후 분석하는 진행과정을 거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집하여 분석된 자료는 총 5개의 상위 범주와 14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에서 상위 범주는 <기다리던 미술치료이지만, 내 그림을 설명하는 것이 어려움>, <미술활동을 하면서 내 마음처럼 되지 않을 때 부정적 기분이 올라옴>, <어떤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고 이루어냄>, <미술을 통해 새로운 소통방법을 알아감>, <나와 친구의 변화를 경험하고 학교생활에 즐거움을 느낌>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참여자는 COVID-19로 인해 또래 친구들과 단절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집단미술치료에 연속해서 참여하여, 자신의 정서 상태를 인식하고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여 표현하는 경험하였다. 두 번째, 연구 참여자는 갑작스러운 문제 상황에도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고의 힘을 기르고, 미술활동 과정에서 스스로 세운 목표를 이뤄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였다. 세 번째, 연구 참여자는 보다 자연스러워진 상호작용으로 자기조절능력을 높여 참여자와의 관계 속에서 서로의 변화된 장점을 발견하여 지지와 격려를 주고받았으며 집단미술치료에 재참여하게 된 동기를 달성하고, 이후 학교생활에서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은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정서에 대해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미술활동 중 갑작스러운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스스로 세운 목표를 이룰 수 있었다. 이로써,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은 미술활동으로 자신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게 되었고, 또래 친구들과 단절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재참여하게 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서 지지와 격려의 관계를 한 번 더 맺음으로써 참여자의 학교생활에 있어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ddl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collective art therapy to improve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what those experiences entail. To that aim,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six students (four female, two male) in third grade at the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From January 3, 2022 to January 14, 2022, collective art therapy was conducted over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ten 120 minute-long sessions. Collective therapy was designed to improve self-reg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grade students. The purpose was to enable students to set their own goals through diverse art activities; to regulate, monitor, and recognize their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s; and to provide an experience in which students were motivated to overcome difficulties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he study material was collect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with school representatives, an observation log prior to collective art therapy, photographs of the participants’ artwork, post-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recorded files, and verbatim records. The study materials were analyzed through a repetitive comparison analys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llectiv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grade students. The researcher carefully and repeatedly read the collected materials and examined participants’ verbal responses and non-verbal expressions portrayed in their art. The researcher analyzed these by open coding, categorizing, and confirming the categorization.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were extracted into a total of five main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The main categories for this study’s collective art therapy case are “difficulty explaining own drawings despite the anticipated art therapy,” “emergence of negative feelings when art activities do not turn out as intended as one wished,” “achievement of work without giving up,” “learning new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art,” and “experiencing changes in the self and friends and feeling joy in school lif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re-participated in the school’s collective art therapy to escape the feeling of isolation among their peers due to COVID-19; they recognized their own emotions and adapted their emotions into positive ones. Second, participants nurtured the ability to transition into thinking positively in the face of sudden problematic situations and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en accomplishing goals they established for themselves in the art activities. Finally, participants developed improved self-regulation abilities through more natural interactions, which led them to discover positive changes among themselves and their peers. The participants supported and encouraged each other and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art therapy. This, in turn, led to their experiencing a force of joy in their school life. In summary, the middl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ame aware of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They portrayed these in a positive manner through collective art therapy to improve their self-regulation abilities. They were able to accomplish their own goals by discovering their own ways of transitioning into thinking positively, even in sudden, difficult situations during their art activities. By learning how to cope with these situations, the students achiev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art activities. Furthermore, collective art therapy the students re-participated to escape from the isolation from their peers led to positiv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school lives. This is because they were able to form better relationships by supporting and encouraging one another once more.

      • 서울시 외국인투자기업의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안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준 세계도시인 서울시의 외국인투자기업의 투자 특성과 입지 특성을 밝혀 세계 경제에 통합되며 그 위상이 변화하고 있는 서울시의 도시공간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서비스업에 대한 외국인투자가 급증하는 세계 추세와 함께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며 서울시에 대한 외국인투자 역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입지하고 있는 서비스업체 외국인투자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대한투자진흥공사 산하의 외국인투자 종합지원실의 자료를 기초로, 재정경제부와 서울시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정리, 보완하였다. 9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현존하고 있는 서울시 서비스업체 외국인투자기업 1690개사를 도출하여 투자업종과 투자규모, 투자국별 특성을 투자 경향과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서비스업체 외국인투자기업의 특성과 동향을 투자업종과 투자규모, 투자비율, 투자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금융업, 숙박업 중심의 투자에서 최근 무역업, 사업서비스업, 도소매업 중심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또한 투자규모면에서 대규모투자보다 소규모 투자 중심의 투자가, 투자비율면에서는 100% 지분 소유의 단독투자 형태가 선호되고 있다. 또한 투자국별 특성은 일본과 미국 중심의 투자에서 투자국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서울시의 서비스업체 외국인투자기업의 업종별 입지 특성을 살펴보면 도소매업과 무역업, 보험업, 부동산업, 기타서비스업이 서울시의 본사집중이 탁월하다. 업종마다 선별적인 집중 및 분산 패턴을 보이지만 전 업종에 걸쳐 강남구와 서초구의 강남지역과 중구와 종로구의 도심지역, 그리고 영등포구의 여의도동을 중심으로 집중 분포하고 있다. 셋째, 투자가 집중된 지역인 도심과 강남지역, 그리고 영등포구의 여의도동은 특화된 업종과 투자규모 및 투자비율, 그리고 투자국별 특성을 다르게 나타내 각 투자지역마다 특화된 고유한 기능과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서울의 외국인투자기업의 입지 패턴은 국내기업의 입지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심지향에서 강남지역을 선호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강남지역은 산업의 고도화를 이끄는 정보서비스 기능과 고차서비스 기능이 특화되어 있어 서울시 기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With researching investment aspects and locational traits of foreign-invested firms, this paper aims to analyz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function of Seoul city changing its status and being integrated into world economy.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foreign firm's investment on service industry is recognized and foreign investment in Seoul is also concentrated on service industry. Concerning these fact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foreign-invested firms of service industry located in Seoul. The data of 'KISC' (Korea Investment Service Center) in 'Korea Trade Promotion Corporation' are basically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of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and 'Seoul City Hall' are also used for complem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data on December 31, 1997, 1690 foreign-invested firms of service industry which are now present a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ir investment catagories of business, investment scale, investment proportion, investment characteristics by home countries are toget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invested firms of service industry which are examined by the investment catagories of business, investment scale, investment proportion, investment home countries are as follows: Recently, investment trends are changing from finance and hotel oriented to business service, wholesale and retail and trade oriented investment. In the aspect of investment scale, a small-scale investment rather than a large-scale is distinctive. With researching investment proportion, a single investment type of 100% owned share is preferred. In the aspect of investment home countries, recent trends are also changing from U.S.A and Japan centered to diversed countries. Secondly, when the locational traits of investment business of catagories are investigated, the headquarters of wholesale and retail and trade, insurance, real estate, and other services are distinctive in Seoul. Each services show the selective centralized patterns or dispersed patterns, but through overall catagories of business, most firms are centrally distrbuted at Southern part of Kangnam-gu and Seocho-gu, civic center of Joong-gu and Jongro-gu, and Yoeuido-dong, Youngdeungpo-gu. Thirdly, CBD, Kangnam area, Yoeuido-dong, Youngdeungpo-gu where there are intensive investment have different traits by specialized catagories of business, investment propo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me countries. This shows the specialized fun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by each invested region. Fourthly, the location patterns of foreign-invested firms in Seoul have similar trends with domestic corporations. It changes from CBD oriented to Kangnam preferred trend. Especially, in Kangnam area, the information service function and the higher-order service are specialized with dominating the growth of Seoul city's function.

      • 가위교합 치료시 OMI 식립위치 및 연결 강선 굵기에 따른 Dragon helix 효과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안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하악 제 2 대구치에 자주 발생하는 가위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시행되었지만 장치의 잦은 탈락과 고정원의 소실, 구치부 정출, 외상성 교합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 가위교합 치료를 위해 간접골성 고정원(indirect skeletal anchorage)과 드래곤헬릭스(Dragon helix)를 이용한 장치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접 골성 고정원과 드래곤 헬릭스를 이용하여 구치부 가위교합 치료시 연결강선의 굵기와 OMI(orthodontic mini implant)의 식립위치에 따른 상악 제 2 대구치와 OMI주변의 응력분포 및 변위양상을 유한요소 모델로 해석하는 것이다. 자연치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상악 치아들과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치조골부를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스캐닝한 10절점 사면체 요소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첫번째 실험조건은 OMI와 연결되는 강선의 굵기를 016×022 SS, 017×025 SS, 018×025 SS, 019×025 SS로 변화시켰을때, 상악 제 2 대구치와 OMI의 응력분포 및 변위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두번째 실험조건은 OMI 식립위치를 견치와 제 1 소구치, 제 1 소구치와 제 2 소구치, 제 2 소구치와 제 1 대구치로 변화시켰을때, 연결강선의 길이 변화로 달라지는 상악 제 2 대구치와 OMI 주변의 응력분포 및 변위양상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결강선의 굵기에 따른 상악 제 2 대구치와 OMI의 응력분포와 변위양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OMI가 상악 제 2 소구치와 제 1 대구치 사이에 식립이 되었을때, 연결강선의 변위가 가장 적었고, 상악 제 2 대구치 치관의 구개측 이동량이 컸으며 구개치근의 압하가 효과적으로 일어났다. Diverse treatment methods have been used to correct scissors bite that occurs frequently at the upper and lower 2^(nd) molars. But these methods had problems like bonding failure of bracket, anchor loss, and traumatic occlusion. Recently, dragon helix combined with indirect skeletal anchorage appliance had been used to correct scissors b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 finite element mode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of the upper 2^(nd) molar and OMI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OMI and the size of connecting wire when scissors bite of posterior teeth was treated with the dragon helix combined with indirect skeletal anchorage. A finite element model of 10 noded tetrahedron was produced by scanning the upper teeth with natural teeth size and shape, bracket, orthodontic wire and alveolar bone using 3D laser scanner. This study compared the teeth movements produced by four different size of the connecting wire and three different position of OMI. The sizes of the connecting wire were 016×022 SS, 017×025 SS, 018×025 SS, and 019×025 SS and the OMIs were located between upper 2^(nd) premolar and 1^(st) molar, between upper 1^(st) premolar and 2^(nd) premolar, and between canine and 1^(st) premolar.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regardless of the size of connecting wire used,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of upper 2^(nd) molar and OMI were similar. When the OMI was implanted at 90° between upper 2^(nd) premolar and 1^(st) molar, the displacement of palatal side of upper 2^(nd) molar was largest and intrusion of palatal root was effective.

      • 기하증명 과정에서 보이는 학생들의 사고과정 분석

        안선영 서강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 수학적 사고의 근원이 되는 것이 바로 추론과 증명이다. 중등학교 수학의 영역 중에서 증명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영역은 기하 영역이며, 따라서 기하 영역은 학생들에게 증명 훈련을 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이러한 기하 영역에서 증명의 중요성 때문에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증명을 이해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학 학습에 있어 유독 증명학습을 많이 어려워하고 기피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이 기하증명 과정에서 보이는 사고과정이나 전략을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규칙은 무엇이며 특징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 의미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는 2명의 중등학교 여학생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에게 기하증명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풀이과정을 관찰하고 인터뷰하여 인터뷰 녹취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명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보인 특징은 삼각형의 닮음과 조건을 혼동하는 것, 사각형의 정리나 정의를 혼동하거나 사각형의 포함관계를 잘 알지 못하는 것 , 삼각형의 합동이나 닮음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 그리고 주어진 그림에서 도형이 분할되어있을 경우 전체적인 도형에 집중하기 보다는 먼저 분할된 도형에 집중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성을 보인 것 등이다. 인터뷰 학생 두 명 중 학업 성취도가 비교적 낮은 학생만 보인 특징이 있다. 도형의 시각적인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과 가정과 결론을 혼동하여 서술하는 것 그리고 직관이나 경험에 의한 비논리적인 주장을 하는 것이다.

      • TV 드라마 관련 사회적 시청 행위가 프로그램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

        안선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TV 드라마에 대한 사회적 시청 행위가 프로그램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최근 연구자들이 주목하는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 행위는 TV를 시청하면서 SNS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해 온라인에 접속하여 타인과 프로그램에 관해 대화하는 다중미디어 이용 행태이자 능동적인 시청 행위를 의미한다. TV라는 전통 미디어의 고민은 온라인 공간의 활성화에 따른 다매체 시대의 경쟁상황과 이로 인한 이용자 이탈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부상한 온라인 기반의 사회적 시청 행위가 TV 프로그램의 경쟁력 약화를 촉진하는 시청 행위인지 혹은 TV 프로그램 시청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상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사회적 시청 행위의 정도가 팬 정체성 및 사회적 현존감이라는 심리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사회적 시청 행위자의 팬 정체성 및 사회적 현존감이 시청충성도, 시청만족도, 시청량 차원의 프로그램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온라인상에서의 읽기 및 쓰기 형태로 나타나는 사회적 시청 행위의 정도는 양적 지표인 이용시간과 이용횟수 및 질적 지표인 행위정도의 차원에서 살펴봤다. 팬 정체성 변인은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의 사회 정체성 개념을 기반으로 설정하고 인지적, 정서적, 평가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했다. 사회적 현존감은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며 대화하는 사람들과 함께 있는 느낌으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용시간-인지적 차원의 팬 정체성, 이용횟수-정서적 차원의 팬 정체성의 두 가지 영향 관계를 제외하고, 이용시간, 이용횟수, 행위정도의 차원에서 사회적 시청 행위를 많이 할수록 팬 정체성 및 사회적 현존감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시청 행위자의 인지적 팬 정체성과 사회적 현존감은 시청충성도, 시청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시청 행위와 그로 인한 심리적 경험이 TV 드라마의 시청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온라인상에서의 매체 이용 행위가 TV 이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 행위를 사회 정체성 이론 기반의 정체성 개념과 연결시켰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방법론적으로 팬 정체성을 인지적, 정서적, 평가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미디어 연구 분야에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실무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 시청성과 강화를 위한 TV 방송사업자 및 제작 관계자들의 노력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social viewing activities related to TV drama on program performance. Social viewing activities, which researchers have been focusing on recently, is the multi-media usage behavior and active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while watching TV by using online media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NS). The concern of TV, as a traditional media, is the competitive situation due to activation of the online space and user dev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viewing activities on online sphere can positively affect TV program performance or weaken competitiveness of TV program.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viewing activities on fan identity and social presence as psychological experience.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n identity and social presence on program viewing loyalty, audience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program viewing. The degree of social viewing activities in the form of reading and writing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time of use,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qualitative degree of social viewing behavior. Fan identity variable was constructed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categoriz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evaluation dimensions. Social presence was operationally defined by the feeling of being with the people while watching TV despite the dist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social viewing activities, TV drama viewers experienced more fan identity and social presence. Second, cognitive fan identity and social presence formed during social view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gram viewing loyalty and audienc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use of media on the internet has a positive effect on TV usage.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connects social viewing activities with the concept of identity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Methodologically, it is meaningful that a new analytical framework is presented to the field of media research by categorizing fan identity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evaluation dimensions. On the practical leve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orts of TV broadcasters and producers to enhance the program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