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강은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조직시민행동은 조직구성원에게 공식적으로 요구되는 역할행동은 아니지만 개인 및 조직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으로 정의된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효과성 및 서비스 질과 관련이 있으므로 영리조직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나, 아직 사회복지조직에서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의 공정성 정도와 사회복지사들이 수행하는 조직시민행동을 파악하고 조직공정성의 인식수준이 사회복지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90개의 사회복지관중에서 33개의 복지관(기관당 5명)을 대상으로 165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다. 2002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에 걸쳐 29개의 사회복지관으로부터 총 12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120개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인식하고 있는 기관의 조직공정성은 평균 3.09(5점 기준)로 보통보다 높았으며, 분배공정성은 2.70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은 3.21로 분배공정성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조직시민행동은 3.80으로 업무와 관련해서 조직에서 규정되지 않은 역할외적인 행동을 비교적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 행동의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양심적인 행동을 가장 많이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예의바른 행동, 이타적인 행동, 정당한 행동과 참여적인 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공정성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 전공여부와 급여수준에 따른 분배공정성의 인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넷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사회복지 전공여부, 급여수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직위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와 재직기간에 따른 참여적 행동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다섯째, 사회복지관의 특성에 따른 조직공정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설립된지 10년 미만인 복지관이 설립된지 10년 이상인 복지관에 비해 절차공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원수가 20명 이상인 기관에서 절차공정성의 수준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 차이도 각각 유의미하였다(p<.05) 여섯째, 사회복지관의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을 살펴보면, 설립된지 10년미만인 복지관에서는 조직시민행동을 더 많이 수행하였으며, 20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기관에서 예의바른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일곱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p<.005), 분배 공정성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의 증진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측면에서 조직내 정책이나 의사결정이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나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상사와의 부하직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관련해서 자신의 업무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것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직내 지지체계가 확립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업무의 전문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업계획이나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재량권이 보장되어야 하며, 수퍼비전을 통한 적절한 지식과 정보가 교환되어 업무에서의 문제점을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새롭고 도전적이며 보람있는 업무에 대한 욕구가 큰 사회복지사일수록 조직에서 요구하지는 않지만 조직의 발전에 기여하는 업무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응답자의 성장욕구는 4.03(5점 기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복지사들의 욕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하며, 수행하는 업무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적인 성장욕구에 부응하는 업무분장과 부서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s defined as extra-role activities which are not formally required by the job, but discretionary activities for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OCB is considered critical in the for-profit organizations because of its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rvice quality, but it has not been reviewed in the setting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the organizational justice and OCB in social welfare centers(SWC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CB among the social workers,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samples of 165 social workers were selected from 33 SWCs(five workers per center) out of total 90 SWC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3 in 2002 by mail and on-site visiting. A total of 127 questionnaires from 29 SWCs were collected and finally 1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egree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was 3.09 out of 5.00 point. Also distributive justice was marked 2.70 in average, while procedural justice was marked 3.21 in average. Second, social workers' citizenship behaviors were marked 3.80 out of 5.00, which shows that social workers were likely to do more than what was required by their job description. Third,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justi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worker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appeared to perceive the distributive justice higher than those who did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by the level of annual salary. Fourth, regarding the OCB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academic background(social welfare majored or not)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OCB. However, OCB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 to the higher position and longer employment. Fifth,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justice by the characteristics of SWCs, SWCs younger than 10 years old showed higher procedural justice level than older ones. Moreover, social workers who work with more than 20 employees have appeared to perceive the procedural justic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20. Sixth, regarding OCB by the characteristics of SWCs, SWCs younger than 10 years old and SWCs with more than 20 employees were marked higher OCB score. Seven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CB revealed that the procedural justi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CB.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OCB of social workers as follows. First, in point of welfare organizations, it is required that organizations should have fair procedures for making polices or decisions and they need to have smooth communications and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of the organization. Second, in point of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t is required the support systems in SWCs so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that their job is important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organization. Also, social workers need to have more discretions in planning programs and share proper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 problem solving through supervision.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al workers who have higher needs for the new, challenging and fruitful job are doing more voluntary actions for the organization development. The social workers' growth needs were as high as 4.03 out of 5.00 point in this study. This shows that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for the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satisfy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Also job allotment and arrangement should be met with the needs for the specific career goal of social workers.

      •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진섭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ffects the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ans the percentage of the programs carried out by professionals among all the programs in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 The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implies what a social service organization makes effort to improve social inclusion for clients. It was measured with two dimensions of 'client-centered' and 'community-centered', consisting of the total 40 composite Likert-typed items.For this study,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of 'Children·youth centers', 'organizations for disabled', 'organizations for the aged',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centers', and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on one manager of mid-level or higher.The Social Inclusion Team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of Yonsei University has performed a research on 'Dynamics of Community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Social Inclusion in the Era of Localization' in 2006. The team has collected data from 809 institutions which includes centers for Children&Youth, for disabled, for the aged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centers. The data collected in the first year research was used in this study for secondary data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was applied.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s effects on both CTSI and COSI. Second, the hierarchical culture has a mediating effect on CTSI while both the group culture and the development culture has effect on COSI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guidelines on future social policy to make the social service providers understand what they should concern for the social inclusion. Also, it presents the conseq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more effectively to the excluded people. 오늘날처럼 사회복지시설의 역할이 과거 시설보호를 통한 처우개선과 같은 협소한 수준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의 사회통합(sicial inclusion)이란 광범위하고 거시적인 수준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시설의 노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시설에서 다루어지는 인간문제들의 성격과 복잡성 때문에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실천지식이 필요한 것도 이유이지만(최성재 외, 1997), 무엇보다도 사회통합이 갖는 속성 자체가 지금까지 사회복지조직에서 논의된 어떤 사회적 과제보다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은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조직의 가치관, 신조, 및 조직이 나아가야 행동패턴을 규정하는 조직문화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는 사회복지지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동시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통합재제연구단(2006)이 「지방화시대의 사회통합화 지역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역동성에관한 연구(이하 사회통합배제연구)」의 수행을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내에 구성된 연구팀이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수집한 1차년도 데이터(아동·청소년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종합사회복지관)에 관한 자료(총 809개소)를 2차분석(secondary data analysis)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 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은 62.4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시설의 대상유형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종합사회복지관(72.5점)의 전문성 수준이 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생활시설(52.7점)에 비해 이용시설(74.9점)의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사회복지시설의 조직문화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조직문화 성향은 집단문화(16.1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개발문화(15.9점), 합리문화(14.8점), 위계문화(11.5점)의 순으로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상유형과 이용형태에 따른 시설구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셋째,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지향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CTSI 수준은 평균 79.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COSI 수준은 평균 76.1점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시설유형 모두 75~77점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CTSI의 경우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영향관계 역시 p<.001 수준에서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사회통합지향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문화(p<.05)와 개발문화(p<.05)가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TSI의 관계에서는 위계문화(p<.05)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2-3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TSI와의 관계에서 위계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와 가설 3-1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관계에서 집단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그리고 가설 3-2 ‘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관계에서 개발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란 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지만 연구가설에서 제시했던 나머지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은 지금까지 크게 부각되지 못했던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지향성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의 성향이 강하며 사회통합지향성을 위해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회적으로 심각해지는 양극화 현상과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인한 사회적 배제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뿐 만 아니라 개인, 민간, 국가가 모두 사회통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참여적 의사결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십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정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오늘날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의 문제는 이념적인 근거와 실용주의적 근거 등으로 그 활용이 제기되고 있다. 즉, 이념적인 근거는 그 동안 종사자의 경영참여와 같은 조직의 민주적인 운영을 위해서 제기 되었으며, 실용적인 근거는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가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되기에 앞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현실적인 증거에 토대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실용적인 근거를 위한 실증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수준과 자신들이 지각한 직무성과의 수준을 파악하고,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총 92개의 사회복지관 중에서 33개의 복지관을 대상으로 230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우편을 통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그 결과 20개의 복지관, 총 142명의 사회복지사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참여적 의사결정의 수준은 총 5점 기준에서 평균 3.58점으로 보통 수준(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의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으로 인해 실제보다 높게 측정을 했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수준이 높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동일한 측정을 다른 업무조직에 종사자들에게도 동시에 실시한 후, 그 측정된 평균치와 비교하는 등의 판단을 위한 준거기준이 요구된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측정한 실제적 참여의 수준과 기대하는 참여의 수준간의 차이가 .4773으로 나타나, 표준편차 .6644의 2/3(67%)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전체 의사결정과 관련한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의 수준은 평균 3.59점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각 차원별 직무성과의 수준을 살펴보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형성 3.65점, 업무수행 및 업무량관리 3.58점, 그리고 전문가적 지식, 기술 및 태도 3.55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참여적 의사결정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응답자의 직위 이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응답자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즉, 응답자의 성별, 연령, 직위, 총 근무년수 등에 따라 직무성과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다섯째, 참여적 의사결정의 수준이 절대적으로 종사자의 직무성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변혁적 리더십유형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관장의 거래적 리더십유형은 직무성과에 조절적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의 관리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참여적 의사결정을 제고하는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의사결정 통제수준이 참여적 의사결정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다양한 의사결정과정에서 구성원의 참여를 제도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전제로써 조직구성원 자신의 의지와 수행능력 대한 확신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기관의 종사자인 사회복지사는 리더와의 관계가 물질적 보상들을 통한 교환적 관계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조직과 종사자들간 심리적인 결속(psychological bond)을 강화하는 변혁적 리더십유형이 직무성과를 제고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특히 고려되어져야 할 구체적인 내용은 업무의 할당과정이나 교육훈련을 계획하는 과정에 사회복지사의 실질적인 참여를 확대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조직 내 참여적 의사결정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문제는 참여가 제대로 이뤄지는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작동하게 하느냐이다. 다섯째, 조직의 리더와 사회복지사들간의 협조적인 파트너십의 형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성공적인 PDM 프로그램이 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양자간의 기본적인 신뢰관계와 상호존중이 이들 간에 존재해야만 한다. Recently, the issue of work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PDM) is discussed by two major reasons. First, as the "ideological" reason,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PDM) is supported by the advocators that value freedom in work places. Second, many intellectuals advocating PDM as the "practical" reason have been testifying the assumption that PDM can really improve the worker's performance before being applied. And, it is argued that the ideological reason for PDM is not proper as a practical issue. Therefore, this study is initiated by the practical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PDM of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s(SWC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DM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social workers, and the influence of PDM on the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s, samples of 230 social workers were selected from 33 SWCs(seven worker per center) out of total 92 SWC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 total of 142 questionnaires from 20 SWCs were collected and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egree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PDM was 3.58 out of 5.00 point. But, Due to respondents' social desirability, the finding cannot be judged as a high level. Nevertheless, the difference(0.477) between the actual level and the desired level of PDM was within the Standard Deviation(0.66). 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on general decision-making in organizations was relatively high. Second, the average level of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was 3.59. This result showed within the standard deviation(0.46). When workers' job performance can be showed according to the specific dimensions(the relationship of clients, performance and work management, professional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they were 3.65, 3.58, 3.55 respectively. Third, regarding the PDM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worker's perception except for their organizational level. Fourth, regarding the job performa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worker's perception except for their educational level. Also, there was difference by their gender, age, organizational level, the total span of work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Fifth, the effect of PDM o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 especially the level of control on decision-making among the dimensions of PDM was showed significantly(p< .01). but, the actual and desired level of PDM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dimensions of PDM. Therefore, the assumption that the high level of PDM would lead to high level of performance could not be always accepted. Finall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op executives' leadership styles in SWCs was showed as a significant variable only their transformational style. Specially, interactional factors between the desired level of PDM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influenced significantly o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p< .05).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 to increase PDM of social workers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 organization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ntrol on decision-making is the strongest factor in the dimensions of PDM, which is not surprising because this factor gets at the essence of worker's involvemen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DM can be needed their willingness and ability to conduct as the precondition making worker's participation formal in a variety of decision-making. Seco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strengthens a psychological bond between social workers and leaders can be a useful means to increase the workers' performance because their relationship is not considered as the transactional relation such as a physical compensation. Third, it can be the most effective one to expand the scope of social workers' actu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assigning work and planning a job training. Fourth,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decision-making system in organization. Namely, the issue is not what it works but how it works. Fifth, a basic level of trust and mutual respect must exist between social workers and leaders in social organizations. Ther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ir willingness and ability to conduct PDM shoud be needed to set up PDM in a viriety of decision-making in social work organizations.

      • 사회복지조직의 폭력 예방대책과 사회복지사의 폭력 피해경험 특성 분석

        김정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국내연구는 국외와 비교하면 다소 늦게 관심 받기 시작했으며 그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대다수의 연구들이 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소진, 이직 등을 다루고 있어, 폭력 피해경험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폭력 피해경험을 유형(언어적, 신체적, 성적, 기타 폭력)에 따른 피해 빈도만을 측정하고 유형별 심각성을 고려하지 않아 정확한 사회복지사들의 폭력 피해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웠다. 이에 폭력 유형별 심각성을 고려하여 피해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을 예방 및 감소할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폭력 피해경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하고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수교육 의무대상인 전국 사회복지시설 4,241개소를 모집단으로 하여 409개 시설을 선정 후 1,18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고 회수하여 최종 1,1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69.4%가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이 있었으며 폭력의 피해 빈도는 신체적 폭력, 기타 폭력, 언어적 폭력, 성적 폭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가중치를 반영한 피해경험지수로 하여 파악하면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언어적 폭력, 기타 폭력 순으로 확인된다. 둘째, 폭력 피해경험빈도에서는 기타 폭력의 지속적인 업무 방해가 가장 높게 응답되어 사회복지사들이 1년 평균 최소 10회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력 피해경험지수에서는 성적 폭력의 성기 노출이 가장 피해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평균 피해경험지수가 가장 낮은 욕설·저주와 비교하면 약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은 안전관리시설이 평균 0.80 종류, 내부규정 및 관련절차가 0.62 종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으며, 이를 전체 예방대책으로 살피면 평균 1.41 종류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 유무가 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두 가지 하위차원인 안전관리시설과 내부규정 및 관련절차로 폭력 피해경험을 살핀 결과, 그리고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이 유형별(언어적, 신체적, 성적, 기타) 폭력 피해경험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이 매우 높음과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의 폭력 피해경험이 빈도와 지수에 따라 피해정도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을 낮추기 위해 사회복지조직의 추가적인 예방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현재 갖추고 있는 예방대책 점검이 요구된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위한 인식 제고 및 관심을 협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정책 마련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 과업특성과 정보기술활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직무성과 중 업무수행을 중심으로

        조미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과업 특성별로 정보기술활용정도를 살펴보고, 과업특성과 정보기술활용정도가 직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정 정보기술의 활용은 기본적으로 효율성 향상에 그 목적이 있지만, 정보기술의 활용이 가져다주는 효율성 향상의 효과 내지는 정보기술의 적용가능성은 과업의 특성별로 다를 수 있다. 즉 조직의 정보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 기술중심적 사고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정보기술과 더불어 조직의 과업이 주요 변수로 고려되어야 함을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81개의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하여, 한 기관당 4∼6명씩 총 360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 배포·회수하였다. 2003년 5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 조사한 결과, 55개의 복지관으로부터 총 25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부실한 13부와 응답자가 사회복지사가 아닌 7부를 제외한 23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과업특성을 다양성, 난이도, 상호의존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모두 보통보다 낮은 점수로 총점 5점을 기준으로 상호의존성 2.93점, 다양성 2.79점, 난이도 2.52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직무성과는 3.55점으로 보통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정보기술활용정도는 전자우편, 상용소프트웨어, 정보시스템으로 기술유형을 구분하고, 각 기술유형별로 하루평균사용횟수 및 시간, 사용의 자발성을 측정하였다. 정보기술을 전혀 활용하고 있지 않은 사회복지사는 9명(3.8%)이였으며, 229명(96.2%)은 3가지 정보기술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을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우편, 상용소프트웨어, 정보시스템 3가지 모두를 활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사가 95명(39.9%)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유형별 활용정도는 정보시스템, 상용소프트웨어, 전자우편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점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21.70, 18.72, 16.49로 낮았으며, 전체적인 정보기술활용정도 역시 27.57로 사회복지사의 정보기술활용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의 과업특성이 정보기술활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과업의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상용소프트웨어와 전체적인 정보기술활용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과업특성과 정보기술활용정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기술유형에 관계없이 과업의 난이도와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기술활용정도는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업특성과 직무성과에 대한 정보기술유형별 조절효과에 대해 상호작용항의 투입에 따른 중다회귀분석의 R² 변화량에 따른 검증 결과, 모든 정보기술유형에 대해 활용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자우편활용정도는 과업의 상호의존성과 순수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단계 상호작용항 투입에 따른 R²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기에 2단계 상호작용항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하여도 조절효과가 있다고 할 수 없었다. 과업특성별 정보기술유형의 적합성을 논하기엔 사회복지관의 정보기술환경은 아직 전반적으로 열악한 편이었고, 따라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관에서 과업특성에 따른 정보기술의 활용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대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기에는 사회복지사들의 정보기술활용정도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활용정도가 높아지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현재 미흡하나마 활용하고 있는 정보기술이 과업의 특성에 적합하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사의 과업특성에 적합한 정보기술을 활용하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실증적인 분석이 시도되기 전에는 단언하기 어렵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기술 활용방안을 제한적이나마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사회복지사 스스로 정보기술을 활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마인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모든 업무 영역에서 정보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미 기관내에 도입된 전자우편, 상용소프트웨어, 정보시스템 등의 정보기술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정보기술활용은 정보관리 그 자체가 궁극적인 목적이 아니다. 정보기술활용을 통해 축적된 정보는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며, 업무절차에서부터 경험이나 노하우, 전문적인 기술이나 지식들까지 조직내에서 존재하는 모든 지식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지식관리시스템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시스템 도입에 앞서 정확한 업무분석과 사회복지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요구사항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모든 시스템은 우선 도입 검토단계부터 사회복지사들이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시스템이 구현되도록 해야 하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업무환경에 맞춰 시스템이 수정·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haracteristics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confirm whether task characteristics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ke any effects on job performance. Usually, information technology is used to improve job performance but depends on task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360 social workers from 81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four to six people per a center).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il and on-site visiting survey methods from May 20 to June 10. Total 238 faithful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out of 258 questionari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social worker's task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three dimensions; variability, difficulty, interdependency. On the basis of total score of 5.00, interdependency(2.93) was highest and variability(2.79), difficulty(2.52) in order. Job performance was 3.55 in average. Second, social worker's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IT) was measured by e-mail, commercial software, and information system. And each one of IT was divided into average frequency per day, average times per day, and spontaneity. Social workers who didn't use any IT were 9(3.8%), 229 persons(96.2%) use at least 1 IT. And 95(39.9%) social workers appeared to use all of the 3 IT. The highest IT type is information system(21.70), and commercial software(18.72), e-mail(16.49) in order. Total use of IT was 27.57(of total score of 100), which was low level. Third, multi-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use of IT on task characteristics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dependency, the higher the use of commercial software and total IT was. Fourth, multi-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task characteristics and use of IT showed that for all of IT type difficulty and interdependency had negati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but use of IT didn't. Fifth, on a moderat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IT on task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R²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ant. However, the use of e-mail * interdependency interaction item appeared to be a pure moderator variable. Social welfare center's IT environment is generally poor, so discussion about the fitness of IT by task characteristics may be too early. For that reason,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findings of study showed that social worker's use of IT didn't improve job performance. Regarding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s followings : First, social workers' use of IT may be too poor to discuss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This means that if use of IT is higher, effect of job performance may be significant. Second, use of IT may not fit social worker's task characteristics now. This means that if use of IT fit social worker's task characteristics, effect of job performance may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IT use to improve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are as follows : First, social worker's thought about IT must change. More active efforts to use IT is required for social workers to improve efficiency. Second, IT that social welfare centers already have(for example, e-mail, commercial software, information system, etc.) should be used more efficiently. Third,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use of IT,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decision-making. Moreover,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should also be developed to share information and knowledge, know-how etc. for all members. But, users' needs, which are found out by accurate job analysis and social workers' active participation, should be reflected to construct a successful system. And correction, modification and upgrade of the system is needed continuously in the work environment.

      •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서비스이용 조절효과 분석

        유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Korea,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llows the people to receive medical services regardless of their income and ability to pay. However,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very low that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pay a substantial amount of copayment. High copayments and excessive medical costs cause a heavy burden on households and can lead to an economic risk. In particular, excessive medical expenditure may cause patients to waver or abandon medical services. Although the national and private foundations are providing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to reduce the expenditure for patients' households and receive continuous treatmen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s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social support. This study utilized 10,072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11th Wave (2016).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measured using two threshold approach. The unmet healthcare need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unmet medical experience because of economic reasons.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examined through cost of living, medical support, and product suppor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nmet healthcare needs. This indicates that the great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healthcare needs. This means that the great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However, when using social welfare services, it is improbable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ocial and welfare implications of policy and practice are suggested.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ublic medical expense subsidy to reduc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Second, there is a need to offer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of Experts for those with the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 help those with socioeconomic conditions wh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s spent thus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creases the unmet healthcare needs.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제도를 통해 전 국민이 소득과 지불능력과 관계없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OECD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건강보험을 통한 보장성이 낮고 실제로 지불해야 되는 본인부담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본인부담금은 가구에 과중한 부담을 주며, 과도한 의료비용으로 인해 경제적 위험을 겪을 수 있다. 특히 과도한 의료비지출은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을 망설이거나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 국가 및 민간재단 등의 기관에서 환자 가구의 과부담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키고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효과성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복지패널 11차 자료 가구원 10,07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과부담의료비지출은 역치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과부담의료비지출을 측정하였다. 미충족의료경험은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경험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의 경우 생계비 지원, 의료비 지원, 물품 지원 여부를 확인하였다. 과부담의료비지출과 미충족의료경험의 관계 및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과부담의료비지출이 클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부담의료비지출과 미충족의료경험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영역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과도한 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시행되는 의료비지원사업의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과부담의료비지출로 인해 미충족의료를 경험하는 대상에게 전문가의 보건·의료·복지의 통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이 과부담의료비지출을 완화시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을 낮춤에 따라 사회경제적 상황에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최현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전통적으로 사회복지사는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 찾아가 지원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개선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업무는 단지 직업적 소명의식과 봉사정신으로만 여겨왔다. 사회복지사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에는 관심이 없었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는 이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인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감정의 효율적 관리와 소진의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산업복지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경기, 인천 내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이 조절변수로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독립변수인 감정노동의 중요한 개념인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나누었으며, 소진 또한 3개의 하위차원인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성취감 결여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10년 미만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서울시 18개(종합사회복지관 11개, 노인복지관 3개, 장애인복지관 4개), 경기 19개(종합사회복지관 13개, 노인복지관 3개, 장애인복지관 3개), 인천 4개(종합사회복지관 2개, 노인복지관 1개, 장애인복지관 1개)기관에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400명의 사회복지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 중 주요 변수에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3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표면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의 각 하위차원인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성취감 결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면행위는 정서적 탈진과는 관계가 없었으나,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와 성취감 결여의 관계에서 부적영향을 보였다. 두 번째로 연구모형의 검증결과, 자기효능감은 소진의 각 하위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자기효능감은 표면행위와 성취감 결여의 정적 관계를 완충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내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슈퍼비전 또한 소진의 각 하위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표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는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면행위와 소진의 하위차원 중 성취감 결여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결과는 기존의 내면행위와 성취감 결여의 부적관계를 저하시켜 정적관계로 바꾸는 조절효과를 보인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이용자를 대면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감정노동을 완화하기 위한 감정 관리와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보호 장치와 슈퍼비전 체계의 개선,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감정적·심리적 안정을 위한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근로자지원프로그램) 도입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사회적 인식과 처우개선을 제시함으로써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deep acting) of social workers who work at Social Welfare Center, Seniors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ffects their burnout(emotion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reduced accomplishment) and to discover how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has moderating effects to buffer the relation within those two variables. Also, it is the object to suggest practical solutions for alleviating and preventing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social workers through the conclus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how the rate of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from Social Welfare Center, Seniors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influences on their burnout, I used the responses of 350 social workers by distributing a survey to 41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SPSS 24.0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to verify moderating effect by carrying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for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s an effect on emotion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of social workers. Deep acting has an effect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but was not significant with emotional exhaustion. It means that when the social workers perform surface acting the more, burnout increases, and the social workers perform deep acting the more,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had been decreased. Second,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t was partially adopted. The self-efficacy only has moderating effect within surface acting and reduced accomplishment. It came out that lesser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surface acting and reduced accomplishment. Last,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it was also partially adopted. The supervision only has moderating effect within deep acting and reduced accomplishment. It came out that decreasing the positive effect of deep acting on reduced accomplishment. Therefore, I suggest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it requires management of social workers’ emotion to prevent the burnout. Second, it requires th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the supervision system. Third, it requires the enhancement of the network with other social workers in region. Fourth, it requires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which is consult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it requires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of social work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