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연구의 과제

        이지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Task of Researching Korean Language Degree Papersfor Foreign Graduate StudentsJeeyou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egree thesis research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asks of degree thesis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degree thesis reviews by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53 research papers and 20 foreign graduate student degree papers were analyzed from 2006 to 2021. Degree thesis research has a high proportion of research by comparing degree paper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genr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 structure were revealed, and the typical academic expression was analyzed,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in introduction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on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esis review, the termination expression, hedges, and discourse marker did not appear in various ways, and the same type of expression was repeatedly used or inappropriate for the thesis.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research on each component of a thesis is needed, and it was suggeste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should diagnose problems through language expression research used in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and seek ways to educate them to write a thesis. Key Words: Foreign Graduate Students, Korean for Academic Purpose, Dissertation, Genre Analysis, Academic Expression Analysis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연구의 과제이 지 영** 요약: 이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한국어 교육 전공 유학생의 학위논문 심사본 분석을 통해 학위논문 쓰기 교육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 논문 53편과 외국인 대학원생 학위논문 심사본 20편을 분석하였다. 학위논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전공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을 비교하는 방식의 연구 비중이 높은 편이다. 장르 분석을 통해 논문 구조의 특징을 밝히고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학술 표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서론과 선행연구 분석의 연구 비중이 다른 구성 요소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학위논문 심사본 분석 결과 종결 표현, 완화 표지, 담화 표지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고 같은 유형의 표현이 반복해서 사용되거나 학위논문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 과제로 학위논문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외국인 대학원생이 학위논문 작성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표현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위논문 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외국인 대학원생,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학위논문, 장르 분석, 학술 표현 분석 □ 접수일: 2022년 2월 7일, 수정일: 2022년 2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본 연구는 2020학년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Professor, Sangmyung Univ., Email: jeey705@smu.ac.kr)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서론 텍스트 구조 분석

        손다정(Son Dajung),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서론 텍스트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은 장르적인 특징이 매우 뚜렷하기에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위 논문의 장르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발표된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중 외국인이 작성한 논문 서론의 내용을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박사 학위 논문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을 처음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처음부터 바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보다 연구 주제와 관련한 배경을 먼저 소개하고 해당 분야의 선행 연구를 살피거나 교육 현장의 필요를 부각하면서 연구 주제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문헌 연구보다 실험 연구 등의 논문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방법이나 가설을 설명하는 경우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학위 논문 서론의 텍스트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보다 체계적인 학위 논문 작성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ses on analyzing dissertation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ext structure in the introduction section,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for a doctoral degree in Korean Education. Currently in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several students are mastering Korean as part of their academic studies. They must learn to write dissertations, as it is a required genre of academic writing. As a form of academic writing, dissertations are a tool to communicate with members of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as a result, include typical genre characteristics that are agreed upon in the community. Therefor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sertation writing as a genre, and demonstrate the ability to write dissertations that reflect this understanding. Hence, we analyzed the introductions of research articles that were recently written by foreign doctoral students. We conducted a genre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sections with an emphasis on content that produced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researches. Systematic, genre-based instructions on writing the introduction section in Korean research articles are required, emphasizing the differences and gaps identified from previous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roductions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s as a genre.

      • KCI등재

        漢文敎育學 學位論文의 成果와 課題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7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내용 분석이다. 대학에 박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된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은 모두 28편이다. 이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의 내용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연구 영역, 연구 주제, 내용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과 자료를 중심으로 해당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의 成果를 정리하고, 課題를 몇 가지 제안했다. 지난 20여 년 사이 모두 28편의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이 보고되었다.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한문 교사’가 연구의 주체로 그 지위를 확고히 했다. 학위기는 교육학 박사와 문학 박사 두 종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활용하였고,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선택, 활용한 논문도 적지 않았다. 특히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합 수행한 논문도 제출되었다. 연구 방법에 따른 양적,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 생성했고, 교실 수업 연구의 경우, 관찰 및 면담, 전사 자료 등을 생성했다. 근대 이전 한문 교재와 근대 이후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 교과서가 연구 자료로 폭넓게 활용되었다. 이 논문은 개별 박사학위논문의 是非를 따지거나 褒貶을 수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개별 논문의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및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成果와 課題를 확인하는 작업은 향후 필자와 동학들의 한문교육학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자료 수집, 분석에 羅針盤과 礎石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octoral Degree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ubmitted to universities as doctoral dissertations is 28.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particular, the paper was analyzed based on research areas, research topics, content and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n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paper on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iled and several proposals were made. Over the past 20 years, a total of 28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he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acher as a Researcher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olidified its statu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degrees: Doctor of Education and Doctor of Literature. He used literature research as a basic method of research, and selected and utili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papers that carried out the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also submit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and in the case of classroom class stud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transcription data were generat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and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post-modern curriculum were widely used as research materials for research. This paper has no purpose in determining or carrying out the 是非 of individual doctoral dissertations. Checking 成果 and 課題 through review of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data of individual papers is judged to be 羅針盤 and 礎石 in the future,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Chinese-language education research topics by writers and alumni.

      • KCI등재

        漢文敎育學 博士學位論文의 成果와 課題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octoral Degree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ubmitted to universities as doctoral dissertations is 28.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particular, the paper was analyzed based on research areas, research topics, content and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n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paper on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iled and several proposals were made. Over the past 20 years, a total of 28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he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acher as a Researcher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olidified its statu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degrees: Doctor of Education and Doctor of Literature. He used literature research as a basic method of research, and selected and utili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papers that carried out the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also submit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and in the case of classroom class stud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transcription data were generat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and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post-modern curriculum were widely used as research materials for research. This paper has no purpose in determining or carrying out the 是非 of individual doctoral dissertations. Checking 成果 and 課題 through review of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data of individual papers is judged to be 羅針盤 and 礎石 in the future,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Chinese-language education research topics by writers and alumni. 이 연구의 목적은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내용 분석이다. 대학에 박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된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은 모두 28편이다. 이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의 내용 분석에초점을 두었다. 특히, 연구 영역, 연구 주제, 내용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과 자료를 중심으로해당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의 成果를 정리하고, 課題를 몇 가지제안했다. 지난 20여 년 사이 모두 28편의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이 보고되었다.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한문 교사’가 연구의 주체로 그 지위를 확고히 했다. 학위기는 교육학 박사와 문학 박사 두종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활용하였고,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선택, 활용한논문도 적지 않았다. 특히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합 수행한 논문도 제출되었다. 연구 방법에 따른양적,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 생성했고, 교실 수업 연구의 경우, 관찰 및 면담, 전사 자료 등을생성했다. 근대 이전 한문 교재와 근대 이후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 교과서가 연구 자료로 폭넓게활용되었다. 이 논문은 개별 박사학위논문의 是非를 따지거나 褒貶을 수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개별 논문의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및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成果와 課題를 확인하는 작업은향후 필자와 동학들의 한문교육학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자료 수집, 분석에 羅針盤과 礎石이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 아유르베다 연구에 관한 논문 동향 분석

        김영례(Youngry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유르베다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국내 아유르베다 연구에 관련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학술정보사이트(RISS)에서 검색한 논문 중 학위논문은 최근의 박사논문 16편과 석사논문 11편으로 총 27편, 국내학술지 논문 106편을 전수 조사하여, 최근 학위논문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연도별로, 국내 학술지 논문은 학술지에 최초로 게재된 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시기를 4시기로 분류하여 논문의 연구종류·연구분야·연구방법·연구주제별로 아유르베다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종류별 분석에서 1997년 한의학 박사논문을 효시로 아유르베다가 국내에 도입된 이후 석사와 학술지 논문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었고, 2018년 이후부터는 석사논문의 수보다 박사논문의 수가 많다. 둘째, 연구 분야별 분석은 초창기에 한의학과 미용학에서 연구되었으나, 현재는 한의학, 미용학 뿐만 아니라 자연치유학, 상담심리, 요가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셋째, 연구방법별 분석은 시기에 차이가 있으나 문헌연구가 많다. 제 1시기는 전부 문헌연구였으나, 제 2시기에는 실험연구와 조사연구가 많았다. 반면 제 3시기에는 문헌의 연구가 많았는데 이 때는 원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과도기라 사료된다. 제 4시기에는 임상을 기반으로 하는 현상학 연구와 내러티브 등 질적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어 질적·양적발달을 보이고 있다. 넷째, 연구 목적별 분석에서 초기에는 대부분 이론적 접근이지만, 최근에는 아유르베다의 발달을 위한 체질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및 척도개발 등이 연구되면서 실천적 접근의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에 대한 동향분석 연구를 최초로 시도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전인교육을 목표로 하는 교육학에서 전인적 학문인 아유르베다의 연구가 더 활성화되기를 제언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trend of thesi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domestic Ayurveda research was analyzed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Ayurveda. Methods For this, among thesis searched on the academic information website (RISS), 16 recent doctoral thesis, 11 recent master thesis, total of 27 thesis, and 106 domestic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The trend of Ayurvedic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research field, research method, and purpose of research by classifying papers from 2002 to 2020, which were first published in journals, into four periods. Results The trend of Ayurvedic research was analyzed by the research type, research field,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urpose of the paper. First, in the analysis by research type, after Ayurveda was introduced in Korea with a doctoral thesis in oriental medicine in 1997, master 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have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the number of doctoral thesis has been more than the number of master s thesis after 2018. Second, in the analysis by research field, it was studied in medicine and cosmetology in the early days, but now it is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natural healing, counseling psychology, yoga, and pedagogy. Third, in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 there are many literature studies in general. the 1st period was all literature studies, but in the 2nd period there were many experimental and research studies. On the other hand, in the 3rd period, there were many literature studies, and original textbook studies were dominated. This is considered to be a transition period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the 4th period, qualitative studies such as phenomenological studies and narratives were conducted based on clinical practice, show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velopment. Fourth, in the analysis by research purpose, initially, most of research purpose were theoretical approaches, but in recent years, program development and scales development according to constitution for the growth of Ayurveda has been studied, increasing the practical approaches research. Conclus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was the first to conduct trend analysis research on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and suggests that the research of Ayurveda, which is a holistic discipline, will be more active in pedagogy aiming for holistic education.

      • 국내 아유르베다 연구에 관한 석·박사 학위논문 동향분석

        김영규(Kim Yeong Kyu),윤천성(Youn Chun 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6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국내 아유르베다 연구에 관련된 학위논문 분석을 통해 국내 아유르베다 연구의 현재 상황과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과 학술정보 사이트인 RISS에서 검색한 논문 77편 중 주제와 관련 없는 논문 17편과 논문 확인이 불가능한 논문 2편을 제외한 58편을 분석하였다. 아유르베다는 인도의 전통의학으로 5천년 이상의 역사를 통해 체계화되었다. 아유르베다는 대체의학뿐 아니라 뷰티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연구가 제한적이며, 유용성에 비해 연구의 빈도가 적은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아유르베다를 표준화하고, 활발히 연구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국내 아유르베다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해 보면 첫째, 1997년 발표된 이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석사학위 논문의 경우 소폭 감소하였으나 박사학위 논문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어 향후 질적인 성장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전공별로 아유르베다를 주로 활용하는 분야는 뷰티산업분야가 가장 많았고, 상담심리, 한의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중이 가장 많았고, 연구 주제별로 실천적 접근에서 건강과 미용 영역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유르베다 연구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척도개발이 요구되며, 경영이나 리더십, 심리 분야에 대한 연구로 연구범위를 확장한다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통해 아유르베다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인지적, 심리적, 신체적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으로 제한하여 학술지를 포함한 전체 아유르베다 연구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국내 아유르베다의 학위논문에 관한 동향분석을 최초로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current status and trend of research on domestic Ayurveda through master’s thesis related to domestic Ayurveda. A total of 58 theses were analyzed, however 17 theses among 77 thesieses which is not related to theme and 2 uncertain theses were excluded. It was deducted by searching it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rough website of RISS. Ayurveda was organized through the history of over 5,000 years in traditional medicine in India. Ayurveda is being used in various areas, such as beauty industry as well as alternative medicine,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and not actively researched compared to its usefulness. therebefore,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order to standardize Ayurveda and lay the groundwork for active research. As results of the study, it has been researched continuously since 1997, in particular, master’s thesis was decreased. However, doctor’s thesis has been researched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see qualitative growth in the future. Second, the most activated field for Ayurveda in major was beauty industry. Counseling psychology and Korean medicine was followed. Third,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as the most part in study method. In addition, health and beauty was mostly researched in practical approach for each title.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it is required to develop standardized scale in order to develop Ayurveda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applied in a variety of fields if research scope will be expanded. Also, it is proposed that there is possibility for cogniti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if Ayurveda utilized program is developed through program research study.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difference from a total of study on Ayurveda including academic journal. However, it has significance that trend analysis for domestic Ayurveda is firstly conducted.

      • KCI등재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이기용(Ki-Yong Lee),이건남(Gun-Nam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융합인재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초등 STEAM 관련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내용은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초등 STEAM이라는 키워드를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 논문은 총 190편이었다. 분석 기준은 논문 특성(발표연도, 발표대학, 발표학위), 연구목적 및 교과, 연구 대상 및 방법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Excel 프로그램 활용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2022년 발표된 STEAM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 특성별 연구동향 분석 결과, 먼저 발표연도별로는 2013년 29편, 2017년 28편, 2014년 및 2015년 각각 26편 등의 순이었다. 또한, 발표대학별로는 경인교육대학교(47편), 서울교육대학교(27편), 부산교육대학교(18편) 등의 순이었으며, 발표학위별로는 석사학위논문이 177편, 박사학위논문 13편이었다. 둘째, 연구목적별로는 영향 및 효과(86편), 개발(35편), 개발 및 적용(34편), 분석(18편) 등의 순이었으며, 교과별로는 과학 교과(79편), STEAM(38편), 예체능(29편), 실과(15편), 수학(12편) 등의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학생(145편), 문헌(26편), 교사(19편)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방법별로는 양적 연구(139편), 문헌 연구(32편), 질적 연구(12편) 등의 순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론을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교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 기준을 세분화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i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elementary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published between 2012, when STEAM gained prominence, and 2022. To that end, four research contents were identified. A total of 190 thes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fter searching the “elementary STEAM” keyword in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d thesis characteristics (publishing year, publishing university, and intended degree), research purposes and subjects, and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Research methods involv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utilizing Excel. The specific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publishing years, 29 theses were published in 2013, 28 in 2017, and 26 each in 2014 and 2015. Regarding publishing universities,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ok the lead with 47 theses, follow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7) and th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In terms of degrees intended for publication, master’s degrees comprised the majority of publications with 177 theses, while only 13 were doctoral degrees. Second, regarding research purposes, 86 theses were published on influence and effect, 35 on development, 34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18 on analysis. Concerning subjects, 79 theses focused on science, followed by 38 on STEAM, 29 on arts and sports, 15 on practical studies, and 12 on mathematics. Third, regarding research objects, 145 theses focused on students, 26 on works of literature, and 19 on teachers. In terms of methods, 139 theses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32 were literature reviews, and 12 wer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subdividing the analysis criteria in terms of research purposes, subjects, and methods.

      • KCI등재

        국내 학위논문의 진정성리더십 연구동향

        김용석,윤천성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이 연구는 국내 학위논문에 나타난 진정성리더십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학위논문 검색서비스를 통하여 확보한 366편의 국내 박사 및 석사 학위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시기별, 대상별, 분야별, 방법별, 결과별, 그리고 연구목적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의 특성에 맞게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의 분석기준을 새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학위논문에서의 진정성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2008년에 시작되어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왔으나 주로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한 관계분석 중심의 양적연구가 경영학분야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연구분야의 확장과 함께 실천적연구의 확대가 요구된다. 새로운 기업환경과 세대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변수와 측정도구의 개발, 그리고 진정성리더십의 연구결과를 기업 및 조직구성원에게 전파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등의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학술지 논문을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진정성리더십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학위논문 <선행연구>의 내용 구조 분석 연구-중국인 대학원생과 한국어 모어화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7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Master’s thesis written by Chinese graduate students based on genre analysis to find out how it differs from the same section written by Korean students.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in 30 Master’s thesis written by Chinese graduate students and 30 Master’s thesis written by Korea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level native speakers were found to used more rhetorical structure and complicated structures compared to the those of the lower-level. Moreover, Chinese learners experience difficulty in writing literature reviews and use a more simple sentence structures when compared to Koreans. The Chinese graduate students also faced issues in summarizing or evaluating previous studies and assessing their significance or the critical points causing more difficulties for in this particular genre. Most students failed to prove the significance and current direction of their research logically. The Chinese graduate students’ lack of practice in thesis writing and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language can be seen as the main reasons for the abovementioned issues.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이 작성한 석사학위논문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학위논문 쓰기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재설정하여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이 작성한 석사학위논문 30편과 한국어 모어화자가 작성한 석사학위논문 30편을 글의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이 상위집단은 하위집단보다 수사적 구조가 더 복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글의 수준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인 집단과 중국인 집단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논문 쓰기 학습 경험 부족과 모국어의 영향에서 비롯된다고 해석하였다. 끝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학위논문 쓰기 교육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초록 쓰기 교육 방안

        유민애(Yu Min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최근 장르 중심 접근법이 활발하게 연구됨과 동시에 대학에 진학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급증하면서 이들을 위한 맞춤형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학위논문의 장르 분석 연구는 아직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활 발하게 이루어졌을 뿐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초록 장르의 텍스트 속에서 나타나는 문법표현 과 그 의미·기능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실제 학습자들이 작성한 학위논문의 초록 텍 스트를 코퍼스 분석과 무브 분석을 병행하여 세밀하게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두 집단은 4개의 무브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KK집 단은 ‘2-3-4-5’ 패턴을, CK집단은 ‘2-1-4-5’ 패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두 집단의 언어적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CK집단에 비해 KK집단은 전형적인 표현의 사용이 빈번하여 글쓰기에 유용한 문법 및 정형 표현을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학술 텍스트 쓰기 교육 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재를 구안하였으며, 이는 학문 목적 학습자가 실제 학위논문 을 작성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ammar contents by func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text of abstract. The study distinguishes the text structure and grammatical function using corpus analysis and the move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actual abstract text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tive Korean speakers used ‘Move2-Move3-Move4-Move5’ patterns, non-native Korean speakers tended to favor the ‘Move2-Move1-Move4-Move5’ patterns. When they start writing the abstracts, both groups were often begins with Move2 more than Move1. Second, native Korean speakers used standardized grammatical expressions from each Move-type compared to non-native Korean speakers who seemed to have similar usage to their counterparts, especially Move4 and Move5. It was possible to extract useful usage such as natanada, boida, hwaginhada, bakhida, jeongnihada, goryeohada, silsihada, geomtohada, chuchulhada, and so on. In terms of the tense, present tense was most frequently used in Move1, Move2, and Move5, and past tense was usually presented in Move3. Thus, abstract is sufficient to become a genre sharing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study. In the end, reflecting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an effect on educational contents when teaching how to writ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