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공경험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 어플리케이션 설계

        홍수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를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절차는 Bandura의 자기효능감과 성공경험과 관련한 문헌고찰 및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개념을 정리하였고 이후 자기효능감 외에 심리학 개념을 다룬 국/내외 어플리케이션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성공경험 기록’, ‘성공경험 회상’ 다음 두 가지의 기능을 구성하였다. 성공경험 기록의 목적은 일상 속에서 작은 성공을 계속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것, 성공경험을 하기까지 발휘된 능력에 대해 인식을 하는 것이다. 다음, 성공경험 회상의 목적은 목표와 관련된 경험 중 성공경험을 회상하고 기록하게 하여 긍정적인 자기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Ovenapp을 이용하여 화면 디자인과 함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자평가는 1주간 프로토타입을 사용하게 하였고, 사용 전후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와 함께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25.0을 이용하여 paired samples t-test로 진행하였으며 만족도 조사 분석은 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 프로토타입 사용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p=0.013) 만족도 조사 결과로는 성공경험 인식과 목표 실행 및 동기 부여, 그리고 사용할 의향이 있다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경험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 어플리케이션은 자기효능감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설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추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 社會的 支持가 老人의 自己效能感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강미선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김해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노인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 중에서 성별, 종교, 배우자유무, 근로활동 유무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 그리고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인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그리고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김해 지역의 노인대학에 재학 중인 만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기초로 5주간 실시하였다. 김해시종합사회복지관과 김해시동부노인종합복지관에서 수집한 총 251부의 설문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기법이 사용되었고, 6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 중에서 가운데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6개의 독립변수들 중에서는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노인의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기에도 건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인의 질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마다 노인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보건복지사례관리서비스모형의 개발이 요구되며, 지역의 보건소나 마을회관 또는 경로당의 적극적 활용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예방적 복지를 강조하기 위한 차원에서 스포츠 활동 등 노년기의 건강유지를 위한 다양한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바우처 제도 등을 개발하여 노인의 활동 참여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안이 될 것이다. 독립변수들 가운데 노인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가족의 지지정도 변인이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지지는 인간의 기본적인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스트레스 예방과 스트레스 상황을 맞이하더라도 효과적인 완충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민 상담등의 정서적 지지, 청소, 식사준비, 세탁, 가사노동, 수발 등과 같은 도구적 도움의 교환, 다양한 정보의 교환 등을 통하여 가족의 지지가 노인이 사회에 통합 될 수 있는 구심점이 되기 때문이다. 노년기의 우울증과 급증하는 노인자살의 문제도 가족의 지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가족 간의 유대관계를 복원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족 돌봄지원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다양한 정보와 교육의 제공 등 노인의 삶을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돌봄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친구들과의 유대관계 유지를 위해 노인대학에서 노인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노인의 자기 효능감 유지 및 강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노인대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한 방안이 될 것이다. 핵심 용어: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

      • 시니어의 기술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장수진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니어의 기술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역할을 포함하여- 본 연구는 시니어의 기술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회복탄력성이 이들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만 40세 이상의 남녀 시니어 (예비)창업자들로, 20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가설검정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결과, 첫째, 기술 스트레스는 시니어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시니어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기술 스트레스와 시니어의 창업의지 간에, 또 자기효능감과 시니어의 창업의지 간에 부분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니어의 창업의지를 극대화하는데 자기효능감이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선행이론을 지지하였고, 시니어들이 창업의지를 가지고 창업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선행변수로서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나아가 새롭게 독립변수로 투입된 기술 스트레스도 자기효능감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또, 회복탄력성이 간접적인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었다. 단, 기술 스트레스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시 된다. 주제어 : 시니어창업, 기술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창업의지 The Influence of Senior’s Technical Stress and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 Including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Soo-Jin Chang Department of The Global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ang-Hyuk Suh Ph. D.) This study empirical analysed how senior’s technical stress and self-efficacy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whether resilience functioned as a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20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survey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a convenience sample of senior men and women aged 40 and over who ha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hypothesis testing, the IBM SPSS Statistics 24.0 was us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Empirical studies showed as follows. First, technical stress affected senior’s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self-efficacy turned out to affect senior’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rd, resilience came out to have a partial-mediating effects between technical stress and the senior’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s well as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senior’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se research outcomes supported the preceding studies that self-efficacy played key roles in maximizing senior’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seniors to promote entrepreneurial activities with an intention of starting a new business. Furthermore, the technical stress newly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be the next most important factor after the self-efficacy.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resilience has been doing an partial-mediating effects.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technical stress affected the will of start-up, but it appeared to be a positive relationship. For generalization of this find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Subjects : Senior Startup, Technical stress(Technostress), Self­efficacy, Resili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 흥미 및 태도와의 관계

        김경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흥미와 수학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은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학생의 수학흥미, 수학태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학생의 수학흥미와 수학태도는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흥미․태도간의 관계분석을 위해 전북 A시에 위치한 218명의 학생과 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전체집단에서 수학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흥미․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남자중학생집단에서 수학교수효능감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결과에 대한 기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 사이에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간의 부적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수학흥미․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의 순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K은행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 인식의 조절효과

        이슬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K은행 직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K은행 직원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K은행 직원들이 인식하는 직무불안정성은 조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K은행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서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직무불안정성의 조절 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가 재직 중인 K은행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관련 선행연구 가운데 본 연구목적과 설계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설문지를 최종 확정하였다. 총 4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표본의 수는 389명이었으며, 이들 응답자 중 유효한 383명의 응답 내용이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쳤다. 먼저,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의 a계수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측정한 주요변수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과 직무불안정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직무불안정성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자기효능감의 나머지 구성요소인 자신감은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그 이외의 경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믿음을 뜻하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직원일수록 조직에 정서적으로 몰입하는 정도도 함께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상실가능성과 무력감이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무력감이 규범적 몰입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불안정성의 구성요소 중 직무상실가능성은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머지 직무상실가능성은 규범적 몰입에, 무력감은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구성원들이 직무불안정성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낮아지며, 지속적 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불안정성은 지속적 몰입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조절효능감과 직무상실가능성은 지속적 몰입에 정(+)의 조절효과를, 과제난이도 선호와 무력감은 부(-)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위의 두 가지 상호작용의 경우를 제외한 다른 경우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복잡성이 우울과 스트레스 지각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했다. 참여자는 대학생 452명이었다. 연구결과, 자기복잡성은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우울과 스트레스 지각에 다르게 영향을 미쳤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복잡성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하여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를 더 적게 보고했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자기복잡성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하여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보고했다. 본 연구결과는 정서적인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자기 지식에 대한 인지적인 복잡성 정도는 자기 능력에 대한 신념이 뒷받침될 때 심리적인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research tests the effects of self-complexity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level of self-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depression or perceived stress.This is a challenge to the common hypothesis that self-complexity has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or perceived stress.A total of 452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 indicates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associated with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depression and stress.That is, at high self-efficacy, individuals greater in self-complexity reported less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than those lower in self-complexity. But at low self-efficacy, individuals greater in self-complexity reported more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than those lower in self-complex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self-efficacy as well as self-complexity should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one's emotional problems. So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gree of cognitive complexity in self-knowledge can be a psychological resource when backed up by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은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강북구, 성북구, 중랑구, 금천구, 강남구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이다. 측정도구로는 자기효능감은 김아영(1997)이 수정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역할만족도는 서혜영과 이숙현(2002)이 번안수정한 측정도구를, 양육행동은 홍계옥(1995)이 번안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ronbach α 계수,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김선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효능감이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주요변인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실증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지속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규범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귀인성향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현진 관동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Impact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of Causality on Learning Attitude Seo Hyun-Jin Major in Education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do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 Kwoun Hyung-j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of causality, which were major motivation factors, to learning attitude in an attempt to give some suggestions on ways of expediting the ideal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63 fourth- and fif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Gyeonggi Province and Seou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self-efficacy inventory(Han Hye-jin, 2002), a goal orientation inventory(Sin Hye-young, 2009), an attribution of causality inventory(Park Hyeon-joo, 2005) and a learning attitude inventory(Kweon Nak-won, 198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WIN 15.0 program. Befor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verifie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were obtained to acquir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udy, and 차이분석(t-test, F-test)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multicollinearity of every independent variable was checked, and Zresid and Dunbin-Watson test were utiliz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regression analysis. All the statistical data linked to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d F-test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Hypothesis 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grade, residential area, academic achievement, the length of computer-using time and the type of family. In regard to Hypothesis 1-1, they were compared by gender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girls were found to excell the boys in self-regulating efficacy,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internal-controllable attribution, and the former took a more positive attitude to school. In relation to Hypothesis 1-2, they were compared by gender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found to be more stronger among the fifth graders than the fourth ones, and the fourth graders were ahead of the fifth ones in terms of every learning attitude involving attitude to school work, attitude to peers and attitude to teachers. Concerning Hypothesis 1-3, they were compared by residential area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The students from large urban communities were found to surpass the others from small urban and rural regions in self- efficacy, and the former took a more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internal-controllable factors and internal-uncontrollable factors were more prevailing in the former than the latter. As to Hypothesis 1-4, they were compared by self-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s a result, those who found themselves to make a better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better self-efficacy, better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better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more dominant among the others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make a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e former scored higher on internal-controllable attribution, whereas the latter scored higher on external-uncontrollable attribution. The students who viewed themselves as performing better took a better attitude to school work and peers. Regarding Hypothesis 1-5, they were compared by the length of computer-using time for academic purpos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who made use of computer for even just a little while showed a better self-efficacy, stronger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stronger internal-controllable attribution than the others who never did it, and the former took a better learning attitude. As for Hypothesis 1-6, they were compared by the length of computer-using time for nonacademic purpos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who never used computer for nonacademic purposes had a better self-efficacy and stronger mastery goal orient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and the former showed a less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took a better learning attitude. In regard to Hypothesis 1-7, they were compared by the type of family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from intact families had a better self-efficacy and took a better learning attitude. Second, as for Hypothesis 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attitude.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self-efficacy, self-efficacy subfactors (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ubfactors(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subfactors (internal-controllable, internal-uncontrollable, external- controllable, external-uncontrollabl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ttitude subfactors(attitude to school work, attitude to peers, and attitude to 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