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직경, 길이, 식립 위치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 발생률에 대한 후향적 연구

        홍수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직경, 길이, 식립 위치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 발생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2014년 2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 보철과에서 3명의 보철전문의에게 구치부 단일 치관으로 임플란트 보철 수복을 완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관찰 기간은 보철물을 최종 합착한 날로부터 2022년 9월 이내의 최종 내원일로 하였다. 총 505명의 환자에서 697개의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를 추적 관찰하였다. 대상 환자의 전자 진료기록부와 방사선 사진을 통해 임플란트의 생존 여부 및 합병증을 기록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고정체의 직경과 길이, 식립 위치, 그리고 환자의 성별과 연령이 평가되었다.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과 합병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결정하기 위해 통계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임플란트의 평균 관찰 기간은 43.4개월이었다. 관찰 기간 중 15개의 임플란트가 제거되었고 이에 따른 전체 임플란트의 3년 누적 생존율은 98.5%, 5년 누적 생존율은 94.4%이었다. 임플란트의 5년 누적 생존율은 직경 4.0 mm 이하(89.5%)일 때보다 4.0 mm 초과(97.0%)일 때 더 높았고, 남성(92.4%)보다 여성(98.8%)에서 더 높았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고정체의 길이, 식립 위치, 환자의 연령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697개의 임플란트 중 173개(24.8%)에서 기계적, 생물학적 합병증이 발생했다. 합병증은 지대주 나사 풀림(52건), 보철물 탈락(44건), 인접면 접촉 상실(26건)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지대주 나사 풀림은 하악 대구치 부위(10.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여성(5.1%)보다 남성(9.5%)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65세 이상(5.1%)보다 65세 미만의 환자(9.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지대주 나사 풀림 발생률은 고정체의 직경, 길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결론 :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3년 누적 생존율은 98.5%, 5년 누적 생존율은 94.4%이었다. 임플란트의 합병증 발생율은 24.8%였으며, 이 중 기계적 합병증은 20.1%, 생물학적 합병증은 4.7% 발생하였다. 임플란트의 5년 누적 생존율은 고정체 직경이 4.0 mm 이하, 남성일 때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지대주 나사 풀림은 가장 많이 발생한 합병증이었으며 식립 부위는 하악 대구치에서, 성별은 남성, 연령은 65세 미만일 때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Purpose :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posterior single implant according to the implant diameters, lengths and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ho had been restored single implant prosthesis in the posterior area by the three prosthodontists in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Daeje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in the period from February 2014 to May 2018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observation period was from the final setting of the prosthesis to the final visit date within September 2022. A total of 505 patients with 697 posterior single implants were observed. The survival, complications of implants were investiga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Fixture diameters, lengths, position, patient's sex and age were assessed as possible factor affecting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s of implant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of survival and complications of posterior single implant. Results : The average of observation period of implants was 43.4 months. 15 implants were removed, and the 3-year and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total implants were 98.5% and 94.4%, respectively.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higher in implants with diameter >4.0 mm(97.0%) than implants with diameter ≤4.0 mm(89.5%), and in females(98.8%) than males(92.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But the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implant lengths, position, and the patient’s a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Of the 697 implants, 173(24.8%) had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s. Complications occurred in the order of abutment screw loosening (52 cases), decementation (44 cases), proximal contact loss (26 cases) and so on. Abutment screw loosening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molar region(10.5%), in males(9.5%) than females(5.1%), and in patients aged < 65 years(9.4%) than patients aged ≥ 65 years(5.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The occurrence rate of abutment screw loosening according to fixture diameters and length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Conclusions : The 3-year and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the posterior single implant were 98.5% and 94.4%, respectively. The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 were 24.8%, the mechanical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 were 20.1%, and the biological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 were 4.7%. The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implants were lower in implant with diameter ≤4.0 mm, and in ma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Abutment screw loosening which wa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complica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molar region, in males, in patients aged < 65 yea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 콩 종실의 물리적 특성과 알칼리 붕괴도

        홍수영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High quality soybean (Glycine max Merrill) varieties for suitable culinary and manufacture of various soybean products is one of main breeding objectives in Korea. Seed characters such as water absorption, seed hardness and alakai digestibility may be helpful to select best breeding lines. Total of 87 soybean cultivars developed from 1930 to 2002 in Korea were grown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07 and analyzed those seed characters. Average 100 seed weight of 87 cultivars was 20.95±7.228g, and those of cultivars for paste and sauce, soybean sprouts and cooking with rice and vegetable were 21.50g, 12.49g and 30.06g, respectively. Average water absorption ratio was 127% with the range of 122∼143% and was not influenced by seed weight or usage. Water absorption ratio of Geomjeongolkong was the lowest with 84%, while those of Jangdan- baekmok and Iksankong were the highest with 146∼147%. Average seed density was 1.31±0.111g/ml, and Daepoongkong had the highest seed density with 1.78g/ml and Dajangkong had the lowest density with 1.09g/ml. Seed hardness after water absorption was 0.45±0.048kg in average with the range of 0.40∼0.52kg, while seed hardness after cooking was 0.13± 0.045kg in average with the range of 0.05∼0.27kg. Jinpoomkong 2 and Seonamkong showed lower seed hardness, while Janggyeongkong and Seonamkong showed higher seed hardness both before and after cooking. Variation of alakali digestibility value (ADV) before cooking of cultivars tested was small with the range of 0~1.0. Janggyeongkong, one of cultivars for paste and sauce, showed the lowest ADV with 1.9. Cooking soybean seeds showed greater ADV range with 1.0~4.6, but most of the cultivars showed ADV in the range of 1.0~1.6. Geomjeongkong 3 and Geomjeongkong 4 showed higher ADV of 4 than other cultivars. Seed volume showed the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ed density (r=-0.532**), an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ed hardness after water absorption (r=0.3766**), amount of water absorption (r=0.9628**) and 100 seed weight (r=0.9839**), and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4265**) between seed hardness before and after cooking.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6학년 미술교과서 수록작품 현황 분석 : 국가, 장르, 시대를 중심으로

        홍수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ed at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rt textbooks and examined the range of art works that appeared in them. In particular, this study specifically looked at; which countries’ works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the type of genre of the work. As well as this, Korean art works were also examined, considering what era they were referenc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works included in each publication highlighted a big deviation, showing a difference in numbers of two to three times in each textbook. On the other hand, if the textbooks are divided into domestic and foreign works, most textbooks contain similar works of art. Secondly, the works of France and America were included in all textbooks. Asian art works were a few included in the textbooks, but Japanese and Chinese works were included in about 20 works. Thirdly, in terms of the genre of the art works, painting work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in almost all textbooks, followed by sculpture and design. The proportion of architecture, prints, and calligraphy works was relatively low, and some textbooks did not contain any architecture or calligraphy works even in the specific grade group.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xtbooks featured contemporary art. Finally, in respect to the Korean artworks featured; the majority of the textbooks contained art works from the Korean Joseon Dynasty. The works of the previous era were not heavily featur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ollowing five points: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inconsistencies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in each textbook. Second, foreign artworks should be included evenly from a variety of countries and due to limited Asian works being featured; these should be expanded and featured more frequently. Third, each textbook should contain all genres of art works. Fourth, the textbook compilation guidelines need to be adapted to strengthen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identify our art culture. Finally,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art work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of production and the intention of the artist in detail. 우리나라는 학교 교육의 시작과 함께 오랜 기간 서양의 미술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많은 사람들이 서양의 미술작품을 동경하지만, 우리 미술품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다문화 시대와 맞물려 초등 학습자들이 우리 고유의 미술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은 다양하겠으나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기에 교육의 핵심 개념이 담긴 교과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방향을 구안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초등 검인정 미술교과서 내 수록작품의 경향을 분석하여 검인정 미술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 우리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미적감수성 교육과 미술 문화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미술 교육이 강화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미술작품을 국가, 장르, 시대를 기준으로 하여 외국작품의 경우에는 어느 국가의 작품이 가장 많이 실려 있는지, 교과서에 수록된 미술작품은 어떤 장르의 작품이 주를 이루는지, 우리나라 작품의 경우에는 시대별로 어느 시대의 작품이 많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사별 총 수록작품의 수는 교과서마다 2~3배의 차이를 보일 정도로 큰 편차를 보였다. 반면에 국내외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일부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각 교과서마다 비슷한 비중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국가별 수록작품은 프랑스와 미국의 작품이 모든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었고, 특히 아시아의 경우는 일본과 중국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다른 아시아 작품을 매우 적게 다루고 있었다. 셋째, 전체 미술작품을 장르별로 보면 거의 모든 교과서에서 회화 작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조소와 디자인 작품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상대적으로 건축, 판화, 서예 작품의 수록 비중이 매우 낮았으며, 일부 교과서에는 학년군 내에서도 건축이나 서예 작품이 전혀 수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특히 어떤 교과서는 현대미술을 대부분 취급하고 있었다. 넷째, 우리나라 미술의 시대별 작품은 대한민국, 조선시대 순으로 큰 비중으로 다루면서, 그 전시대의 작품들이 아주 적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의 다섯 가지를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각 교과서마다 전체 수록 작품 수의 편차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외국작품의 경우 다양한 국가의 작품을 고르게 수록하되 아시아 미술작품은 확충하여 수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교과서마다 누락된 장르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과서 편찬 방향에 있어서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자료를 보다 강화시키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끝으로, 미술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작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이나 작가의 의도를 자세히 기술해야 할 것이다.

      • 골프 드라이버 스윙시 구질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홍수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body segment movement, variables for ball quality, and carry at golf driver swing according to the ball quali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Regarding the impact variables according to the ball quality through the track man and carry, club speed was the fastest at draw shot, ball speed was the fastest at straight shot, and smash factor was the lowest at draw shot. About the vertical launch angle, the fade shot showed the highest launch angle while the max height of the ground and ball was the highest at fade shot. And carry was the longest at draw shot. For the flight time, it was the longest at draw shot. The landing angle was the largest at fade shot. About the club head position change and traictory, at the overall event point, the fade shot drew a more outer traictory at the point of the follow through (E6) than the straight or draw shot. Regarding the angular speed of shoulder rotation, at the overall event point, the fade shot showed the greatest angular speed change in the follow through (E6). Also, about the angular speed of pelvic rotation, at the overall event point, the draw shot showed the greatest angular speed change at the point of down swing (E4). About the right wrist cocking angle orthogonal to the X-Z plane, at the impact (E5) point, the fade shot indicated 1.1 deg difference than the straight shot while the fade shot showed 0.96 deg difference as the angular difference of the draw shot. Concerning the stance angle change, both straight and fade shots were open as the concept of open stance whereas the draw shot was close as that of close stance. 본 연구는 골프 드라이버 스윙 시 신체 분절의 운동학적 특성과 구질 결정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의도적인 구질변화에 따른 준거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PGA소속 프로 4명을 선정하였고, 피험자들은 각각 자신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총 15회의 샷을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이트 샷의 경우 스퀘어 스탠스, 페이드 샷의 경우 오픈 스탠스, 드로우 샷의 경우 클로즈 스탠스를 취하였다. 구질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피험자 구질에 따른 샷을 분석하였다. 또한, Motion Analysis사의 Eagle 4 카메라 12대를 이용하여 클럽헤드의 위치 변화, 국면별 스윙 소요시간, 클럽헤드 속도와 각속도, 왼손 손목 코킹각, 오른손손목 코킹각, X-Z 평면에 정사영한 오른손 손목 코킹각, 어깨회전 각도변화, 골반회전 각도변화, 어깨회전 각속도 변화, 골반회전 각속도 변화, X-Factor를 분석하였고 구질 측정 장비(Trackman) 이용하여 클럽속도(Club Speed), 볼 속도(Ball Speed), 볼 충격량(Smash Factor), 볼 출발각도(Vertical Launch Angle), 볼 탄도(Max Height), 비거리(Carry), 좌우편차(Carry Side), 비행시간(Flight Time), 볼이 지면에 떨어지는 각도(Landing Angle), 클럽페이스 각도(Club Path), 토탈거리(Total Length)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은 Turkey로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첫 번째, 구질에 따른 임팩트 변인과 비거리에서 클럽속도의 경우는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고, 볼 속도의 경우에서는 스트레이트 샷의 경우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볼 효율성은 구질에 상관없이 클럽스피드에 비해 볼에 전달되는 효율이 낮게 나타났고, 볼 출발각도는 페이드 샷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지면과 공의 최고점 높이는 페이드 샷의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거리에서는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길게 나타났다. 또한, 좌우 편차는 스트레이트 1.7 R로 오른쪽으로 편차가 났고, 페이드는 10.6 L로 왼쪽으로 편차가 나타났으며, 드로우는 12.98 R로 오른쪽으로 편차가 났다. 비행시간의 경우는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볼이 지면에 떨어지는 각도는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클럽페이스 각도는 임팩트 시점에서 스트레이트 샷과 드로우 샷은 (-)값으로 닫혀서 맞았고, 페이드 샷은(+)값으로 열려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났다. 전체거리에서는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멀리 나갔고, 다음 스트레이트 샷, 페이드 샷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났다. 두 번째, 국면별 전체 소요시간은 스트레이트 1.98 sec, 페이드 1.85 sec, 드로우 1.92 sec로 스트레이트 샷의 경우가 가장 길게 나타났다. 셋 번째, 클럽헤드 위치 및 궤적의 변화는 X축 위치변화에서는 구질에 상관없이 유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Y축 위치변화는 페이드 샷의 경우가 스트레이트 샷, 드로우 샷 보다 앞쪽으로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또한, Z축 위치변화는 백스윙 탑에서 페이드 샷의 경우가 스트레이트 샷 보다 0.03m 높게 나타났고,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네 번째, 클럽헤드 속도변화에서는 전체적인 이벤트 시점에서 구질에 상관없이 백스윙 탑에서 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클럽헤드 가속도변화에서는 임팩트 시점에서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섯 번째, 왼손 손목 코킹각은 다운스윙 시점에서 페이드 샷의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났다. 일곱 번째, 오른손 손목 코킹각은 다운스윙 시점에서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적은 각도를 나타내었다. 여덟 번째, XZ 평면 정사영한 오른손 손목 코킹각은 임팩트 시점에서 페이드 샷의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아홉 번째, 어깨회전 각도 및 골반회전 각도에서 어깨와 골반의 비구선 모두 어드레스에서 목표방향보다 열려있는 상태로 나타났고, 임팩트 시점에서 또한 목표방향으로 열려서 히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어깨회전 각속도 및 골반 회전 각속도 팔로우 스루 시점에서 페이드 샷의 경우가 어깨회전 각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골반회전 각속도에서는 임팩트 시점에서 드로우 샷의 경우가 가장 높은 각속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열 두 번째, 어깨회전 각가속도 및 골반회전 각가속도는 임팩트 시점에서 페이드 샷의 경우가 어깨회전 각가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골반회전 각가속도에서는 페이드 샷의 경우가 임팩트 시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열 세 번째, X-Factor 변화는 구질에 상관없이 백스윙 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 네 번째, 스탠스 각도변화는 어드레스 시점만을 보았으며, 스트레이트 샷과 페이드 샷은 (+)값으로 열려있는 상태로 나타났고, 드로우 샷의 경우는(-)값으로 닫혀있는 상태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구질측정 장비를 이용한 데이터 에서는 클럽속도, 볼 속도, 볼 효율성, 볼 출발각도, 지면과 공의 최고점 높이, 비거

      • 성공경험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 어플리케이션 설계

        홍수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를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절차는 Bandura의 자기효능감과 성공경험과 관련한 문헌고찰 및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개념을 정리하였고 이후 자기효능감 외에 심리학 개념을 다룬 국/내외 어플리케이션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성공경험 기록’, ‘성공경험 회상’ 다음 두 가지의 기능을 구성하였다. 성공경험 기록의 목적은 일상 속에서 작은 성공을 계속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것, 성공경험을 하기까지 발휘된 능력에 대해 인식을 하는 것이다. 다음, 성공경험 회상의 목적은 목표와 관련된 경험 중 성공경험을 회상하고 기록하게 하여 긍정적인 자기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Ovenapp을 이용하여 화면 디자인과 함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자평가는 1주간 프로토타입을 사용하게 하였고, 사용 전후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와 함께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25.0을 이용하여 paired samples t-test로 진행하였으며 만족도 조사 분석은 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 프로토타입 사용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p=0.013) 만족도 조사 결과로는 성공경험 인식과 목표 실행 및 동기 부여, 그리고 사용할 의향이 있다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경험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 어플리케이션은 자기효능감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설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추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홍수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첫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구간별 소요시간은 다운스윙에서 숙련자처럼 소요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공을 멀리 보내기 위한 요소로 판단된다. 둘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신체중심 전⋅후 변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처럼 움직임이 거의 없어야 정확히 히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체중심 좌⋅우 변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와 비숙련자 모두 임팩트에서는 공의 진행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체중을 실어서 히팅하는 동작으로 판단된다. 신체중심 수직 변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수직 상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확히 히팅하려는 이상적인 스윙의 자세로 판단된다. 셋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신체중심 전⋅후 속도는 다운스윙에서 숙련자가 전⋅후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멀리 보내기 위한 이상적인 스윙의 형태로 판단된다. 신체중심 좌⋅우 속도는 임팩트에서 좌측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체중을 실어서 히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체중심 수직 속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빠르게 나타나 이는 거리를 멀리 보내기 위한 이상적인 자세로 판단된다. 넷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오른쪽 어깨 관절각도는 다운스윙에서 숙련자가 적게 나타나 이는 가파르게 하여 다운블로우 형태로 히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왼쪽 어깨 관절각도는 다운스윙에서 숙련자가 적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동작은 가파르게 하여 다운블로우 형태로 히팅 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동작으로 판단된다. 오른쪽 팔꿈치 관절각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비숙련자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각도를 크게 함으로서 힘을 실어서 히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왼쪽 팔꿈치 관절각도는 백스윙탑에서 숙련자가 크게 나타나 이는 회전운동량을 크게 하여 멀리 보내기 위한 동작으로 판단된다. 오른쪽 손목 관절각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더 큰 각도를 나타나 이는 각도가 커지면서 힘을 실어 히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왼쪽 손목 관절각도는 백스윙탑에서 숙련자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클럽헤드를 스퀘어 하게 가져가는 이상적인 자세로 판단된다. 다섯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X-Factor는 백스윙탑에서 숙련자가 더 큰 각도 차이가 나타났고, 이는 클럽헤드 속도를 빠르게 하여 거리를 멀리 보내기 위한 자세로 판단된다. 여섯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O-Factor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더 큰 각도 차이가 나타났고, 이는 클럽헤드를 스퀘어 하게 가져가 정확히 히팅하기 위한 자세로 판단된다. 일곱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클럽헤드속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유형별에서 빠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곧 비거리 증가 요인으로 판단된다. 볼 효율성은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높게 나타나 이는 정확히 히팅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진입 각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이는 클럽을 가파르게 하여 다운블로우 형태로 히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클럽패스는 임팩트에서 숙련자는 (-) 값으로 Out-In 궤적을 나타냈으며, 비숙련자는 (+) 값으로 In-Out 궤적을 형태로 스윙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페이스 각도는 임팩트에서 숙련자는 타켓라인의 왼쪽 방향 (-) 값으로 나타났고, 비숙련자는 타켓라인의 오른쪽 방향 (+) 값으로 나타났다. 볼 속도는 임팩트 후 볼 속도를 의미하며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빠르게 나타나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직발사 각도는 임팩트 후 볼의 비행 각도를 의미하며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적은 각도로 나타나 이는 거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최고점 높이는 임팩트 후 볼 비행 시 최고점 높이를 나타낸 것으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곧 거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면과 각도는 임팩트 후 볼이 지면과 떨어지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떨어져서도 런거리가 적어서 컨트롤 하기 용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행시간은 임팩트 후 볼이 지면과 만나기 전까지 총 비행시간을 의미하며 숙련자가 더 오랜 시간 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스핀 축은 숙련자는 타켓라인의 오른쪽 방향 (+) 값으로 나타났고, 비숙련자는 타켓라인의 왼쪽 방향 (-) 값으로 나타났다. 회전량은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회전량이 많을수록 거리와 컨트롤에 용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거리는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멀리 날아갔다. 전체거리는 임팩트 후 총 거리를 의미하며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멀리 나타났다. 좌우편차는 임팩트에서 숙련자는 타켓라인의 오른쪽 방향 (+) 값으로 나타났으며, 비숙련자는 타켓라인의 왼쪽 방향 (-)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숙련자의 경우 오른쪽 방향으로 떨어져서 런 거리가 적으며 컨트롤하기 용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덟째,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아이언 클럽 유형별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전⋅후 반력은 임팩트에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적게 나타났으며, 이는 발 뒷부분이 늦게 떨어져 정확히 히팅 하려는 자세로 판단된다. 좌⋅우 반력에서는 임팩트에서 숙련자와 비숙련자 모두 공의 진행방향으로 (-) 값을 나타냈으며, 숙련자가 더 큰 좌⋅우 반력을 나타나 힘을 실어서 히팅 하려는 동작으로 판단된다. 수직 반력에서는 다운스윙에서 숙련자가 모든 아이언 클럽 유형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정확성을 높이려는 동작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and an effective golf swing map by identifying the kinetic differences of swings using iron golf clubs of skilled and unskilled golfers.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equipment, ground reaction force analysis equipment, and TrackMan equipment that can measure the pitch and flying distance of the golf ball, were used. 8 skilled male golfers who are member of KPGA were selected as skilled golfers, and 8 male armature golfers who had played golf for more than 1 year were chosen as unskilled golfe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experiment. First, time-specific intervals for iron golf club swing determined that shortening the downswing time, like a skilled golfer, helps to send the ball farther. Second, not shifting the body center before and after the swing, like skilled golfers, makes for a more accurate shot. Both Left and right body shift displacement was found in the same direction of the ball movement, which determined that shots are made by applying body weight.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body was an upward vertical motion, which demonstrates that a skilled golfer is trying to make an accurate shot using an ideal posture. Third, speed before and after body center displacement showed that the skilled golfer is faster, and it is determined to be the ideal swing form.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of the body moves to the left very quickly with the weight at the point of impact to make a shot. The vertical velocity of the center of the body is faster at the point of impact with skilled golfers, which is determined to be an ideal position for a shot. Fourth, the angle of the right shoulder joint by skilled golfers shows that skilled golfers are making the shot with a sharp down-blow. The angle of the left shoulder joint was smaller in the down swing of skilled golfers, and this is determined as the natural movement for steep down-blow shot. The angle of the right elbow joint showed a greater impact for skilled golfers than for the unskilled golfers, which shows that golfers can put more weight on the shot by making the angle wider. The angle of the left elbow joint appears larger at the peak of the back swing of skilled golfers, which is judged to increase movement and provide grater rotational momentum, which sends the ball farther. The angle of the right wrist is greater at the point of impact of skilled golfers, which determined that they try to apply more weight to make a shot. The angle of the left wrist was larger at the peak of the back swing of skilled golfers, which is judged to be the ideal position to make the club head square. Fifth, the X-Factor for swings using iron golf club swing by skilled and unskilled golfers is a larger angle difference at the peak of the back swing, which is the posture to make the speed of the club head faster to increase distance. Sixth, the O-Factor showed greater angle difference of the hips at the point of impact,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posture for an accurate shot by making the angle of the pelvis high. Seventh, the speed of the club head at the point of impact was faster for all types of golf club, which is the determining factor for increasing distance. Ball efficiency is higher at the point of impact, and it is determined that skilled golfers make accurate shots with all types of iron clubs. The entry angle shows a significant angle difference by skilled golfers at the point of impact, and this shows that skilled golfers make the club angle steep to make a down-blow shot. The club-pass by skilled golfers at the point of impact is (-) and showed an Out-In track, and unskilled golfers showed (+), which shows that they swing in the form of an In-Out track. Face angle is (-) on the left of the target line at the point of impact by skilled golfers and (+) on the right of the target line at the point of impact by unskilled golfers. Ball speed means the speed of the ball after impact, and it was faster for all iron club types by the skilled golfers, which affects distance. Vertical launch angle means the angle of the ball flight after the impact, and it is indicated as a smaller angle by skilled golfers for all iron clubs, which is an influencing factor for distance. The peak height means the highest point during the ball flight after impact, and skilled golfers showed a high peak height for all iron club types, affecting the distance. The ground angle means the angle that the ball falls to the ground. This angle is large by the skilled golfers for all iron club types, which also determines that it is easy to control because of the short run distance. Flight time means the total flight time until the ball falls to the ground, and it was found to longer for skilled golfers, which affects distance. The value of spin axis is (+) and was on the right of the target line for skilled golfers, and (-) and on the left of the target line for unskilled golfers. Rotation amount was higher for all iron club types by skilled golfers at the point of impact, which shows that the higher the rotation the easier it is to control the distance. Flight distance was longer by skilled golfers for all iron club types. The total distance means the total distance after striking the ball, and it was farther for skilled golfers for all iron club types. Left and right deviations were shown as a (+) value on the right of the target line at the point of impact for skilled golfers and a (-) value on the left of the target line for unskilled golfers, which showed a short running distance of the ball and is determined to have easier control. Eighth, the reaction force was small before and after the point of impact for all iron club types by skilled golfers, which was determined to be the posture for accurate shots with their balls falling late on the ground. Left and right reaction force is determined as a (-) value, indica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all, with skilled golfers applying stronger left and right reaction force to make a shot. The vertical reaction force was higher in the down swing by skilled golfers for all types of iron club, which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shot.

      • 밀레니얼 세대의 공유주택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홍수영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ousing survey, the incom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as 2.665 million won,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ordinary households in 2018 at 3.095 million won. Price to Index Ratio (PIR) was 6.9 and Rent Index Ratio (RIR) was 18.6% in metropolitan area, while the PIR and RIR outside the area were 4.6 and 15.5% respectively, saying that the burden of housing cost seems to be higher in metropolitan region. Young households as a whole had RIR of a 20.1%, out of their monthly income for the monthly rent. In the case of housing occupancy, 45.3% lived on a monthly rent with a deposit, and 18.9% lived on their own house, which is lower than other households. The percentage of younger generation living in single-family houses was high at 42.4%, and the percentage of them living in multi-unit dwelling such as studio, study room, and dormitory was relatively higher at 12.8% than other generations. Others where young generation live consist of apartment (32.6%), terraced house (1.1%), and non-residence building (1.0%). The average residence period of younger households was 1.5 years in 2017 and 1.4 years in 2018, showing a shorter residence period compared to general households (8.0 in 2017 and 7.7 in 2018). The percentage of young households with three or more residents living in single-room houses was 0.5%,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ouseholds (0.2%), and similarly, the percentage of them living in underground, semi-underground and rooftop houses was also higher at 2.4% than that of the general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systematic programs to support housing, the actual condition of youth residence is poor.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housing such as Room Share and Share House to reduce housing costs. Furthermore, the market for share houses is developing at a rapid pace, not just simple home sharing, but by providing rental methods and services through professional management. As a result the residents can have different purposes of creating and sharing communities beyond simple housing. The study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Share House used by the current youth(millennials)generation and studied the impact of each characteristic on rent determination using a hedonic price model. Through research on shared housing that has not been studied enough, hopefully the study can contribute to changes in housing policies in the favor of youth generation housing. The research targeted Share Houses within Seoul area and collected data from the Share House platform dividing it into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building, dwelling unit and operation of each Share House. According to research, the Northwest (Seodaemun-gu, Eunpyeong-gu, and Mapo-gu) area has the rent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and in case of location, as it gets further from colleges and subways the rent declines. On the other hand, a large supermarket (Costco, E-mat, etc.) within 500m and the Share House located in a corner of the street lead to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rent. The building characteristic shows that aging building and central heating system reduce the rent, while the building types show that apartment or office hotel increases it. In terms of dwelling unit, bigger rooms have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rent, while the half-ground, bunk bed, and multiple residents in a single room reduce the rental fee. Similarly, the number of users per bathroom is directly proportional with the ren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 indicates that the rent is comparatively lower in social housing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r the private enterprise and the approval of pets. Rent charges increased where there are special common spaces (except veranda, terrace, balcony, living room etc.) such as the spaces for reading, exercising, and movies. Other than that community gatherings through reduced wage events, and the women exclusiveness were a factor of the increase in rent. 국토해양부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청년 1인가구의 소득은 일반가구의 월소득액인 309.5만원보다 낮은 266.5만원으로 일반가구의 월평균 소득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은 수도권의 경우 6.9배, RIR은 18.6% 이며 수도권 이외의 PIR과 PIR은 각각 4.6배 15.5%로 수도권의 주거비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청년가구의 경우 20.1%로 월 소득의 20.1%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유형태의 경우 45.3%가 보증금이 있는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고, 자가로 거주하는 비율은 18.9%로 다른 가구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청년가구는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42.4%로 일반가구(33.3%)에 비해 높았으며, 주택 외에 거주하는 비율은 12.8%로 다른 특성가구(일반가구4.4%, 신혼부부1.9%, 노인가구1.4%, 저소득가구 6.9%)에 비해 높았다. 청년가구의 경우 평균 거주기간은 2017년도1.5년 2018년도의 경우 1.4개월로 일반가구(2017년도 8.0년, 2018년 7.7년)에 비해 거주 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가구의 3인 이상 단칸방 거주 비율은 0.5%로 일반가구 0.2%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지하, 반지하, 옥탑방 거주비율은 2.4%로 일반가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정책적 주거지원 프로그램들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청년가구의 거주실태는 열악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주거비 절감 등을 위한 룸셰어, 셰어하우스 등의 새로운 주거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점차 단순한 홈 셰어링이 아닌 전문적인 관리를 통한 임대방식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거주자의 목적 또한 단순한 주거를 넘어 커뮤니티형성과 공유를 하는 등 빠르게 셰어하우스 시장이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에 맞춰 현재 청년세대(밀레니얼세대)의 셰어하우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각 특성들이 임대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헤도닉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가 미진한 공유주택의 연구를 통해 청년세대의 주거행태에 따른 주거변화와 정책의 검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는 서울 내의 공유주택으로 데이터 수집은 셰어하우스 플랫폼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각 공유주택의 입지특성, 건물특성, 주호특성, 운영특성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서북권(서대문구, 은평구, 마포구)일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임대료는 낮으며, 입지특성의 경우 대학교 입구까지의 거리 멀수록, 지하철입구까지의 최단 직선거리가 멀 수록 임대료는 감소하였다. 반대로 500m 내 대형마트(코스트코, E마트 등)가 있는 경우와 공유주택의 건물이 코너에 위치해 있는 경우는 임대료에 양(+)의 관계를 보였다. 건물특성의 경우 건축물의 경과년수가 오래되거나, 중앙난방방식인 경우 임대료는 감소하였으며, 건물 건축물유형은 아파트와 오피스텔일 수록 임대료는 증가하였다. 주호특성의 경우 방면적이 넓을 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반면 반지하인 경우와 2층침대인 경우, 하나의 방에 거주인원이 많아질 수록 임대료는 감소하였다. 또한 욕실 1당 사용 인원이 많을 수록 임대료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운영특성에서 국가나 민간업체에서에서 지원해주는 사회주택의 경우와 반려동물 양육이 가능 할 수록 주변에 비해 임대료는 낮게 형성되어있다. 특수공용공간(베란다, 테라스, 발코니, 거실 이외의 공간 예) 독서공간, 운동공간, 영화시청룸 등)이 있는 경우 임대료가 증가하였다. 그 외에 임대료 삭감의 이벤트를 통해 커뮤니티 활동을 도모하는 경우와 여성전용의 경우 임대료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 2007년 개정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내용에 관한 교사 인식 연구

        홍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9학년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주요 학습 내용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교사들이 슬기로운 생활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을 알아보고, 둘째, 2학년 1학기 슬기로운 생활 1 ~ 3단원의 단원별 주요 내용에 대해 내용의 중요도, 내용이 명료하게 제시된 정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개발자의 검토를 토대로 단원별 주요 내용을 추출하여 설문지로 제작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담임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설문지 총 9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기로운 생활 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슬기로운 생활 문제점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 내용 양과 수준의 적정성, 종․횡적 연계성과 마찬가지로 단원별로 가르쳐야 할 중요한 개념이나 기능을 분명하게 설명하는 교육 내용의 구체성과 관련한 문제에도 보통이상의 동의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교육 내용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양과 수준의 적정성이나 내용 연계성을 위주로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전 교육과정 개정 때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의 적정성과 연계성에 대해 고려 할 뿐만 아니라 단원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교육 내용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슬기로운 생활 교과에서 강조하는 기초 탐구 능력과 관련된 내용보다 단원에서 이해해야 할 내용이나, 가져야 할 태도와 관련된 내용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에서는 탐구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은 그 것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슬기로운 생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에 대해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사들 간의 보다 활발한 의사소통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셋째,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1에서 3단원의 내용이 명료하게 제시된 정도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각 단원별 주요 내용이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드러나긴 하였지만 잘 설명된 수준까지는 아닌 것으로 결과가 드러났다. 이를 통해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서 주요 학습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활동 제재로 나타난 내용에 비해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이해해야 할 내용이 명료하게 제시된 정도가 낮다는 결과를 통해 슬기로운 생활에서 강조하는 탐구 활동 뿐 아니라 탐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알아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 제시를 좀 더 명료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조사한 결과 8개의 항목 중 6개의 항목에서 ‘중요함’과 ‘매우 중요함’ 사이의 응답을 보여 주었으며 나머지 두 개의 항목 또한 ‘중요함’에 가까운 응답을 보여 주었다. 교사들이 내용 개선 방안으로 ‘중요함’ 이상의 응답을 한 항목은 ‘각 단원에서 핵심적으로 가르쳐야 할 지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각 단원의 활동에서 탐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설명을 한다’, ‘각 단원 학습 활동 중 필수로 수행해야 할 영역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표시한다’, ‘교사용 지도서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내용을 함께 제시한다’, ‘각 단원 학습 목표를 ‘내용+활동’으로 진술할 때 내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각 단원에 제시된 교육 내용 간 논리적 관계성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등의 항목으로 나타났다. 양과 수준의 적정성, 내용 연계성 및 구체성과 같은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부터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기준으로서 교육과정의 특성을 갖추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 및 결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의 문제점으로 타 교과와의 중복 문제가 가장 많이 응답된 점을 생각해 볼 때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통합교과 단원별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통합교과 별로 강조해야 할 내용과 축소해야 할 내용을 구분하여 내용 중복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내용 중요도 조사 결과를 통해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과,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에 대한 내용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수업 관찰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성격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한 교사들 중 반 이상이 슬기로운 생활을 ‘사회과 및 과학과의 예비단계의 교과’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성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차이가 어디에서부터 시작하는 지를 고찰하고 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며 현재와 같이 지나치게 지식 위주 수업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재고해 봐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irst semester second grade educational content in the 2007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problems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regarding the educational content in the 2007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opin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degree of content importance and degree of content clarity in the first semester second grade educational content units 1, 2 and 3? Third, What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ze these questions, I took professional advice and made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the main contents of each uni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98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eaching second grade at elementary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SPSS Win 12.0 program. The study utiliz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gree that the specification of statement is as important as the relevance of content and articulation in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o the statement of contents specifying what students should know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 think that basic inquiry and cognitive content is important, of course, but attitude content is more importan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mphasis of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and the teachers' one. So I think developers and teachers need more communication about the main contents of Intelligent Life Curriculum. Third, the teachers think that some of the main contents of the units are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text book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n second grad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units 1, 2, and 3. So,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hould present its main contents more clearly. Fourth, in the questionnaire,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n a scale of 1 to 5, ranging from "not important" to " very important". 6 items out of 8 item were indicated as between "important" and "very important" and the others were indicated as almost "important". For the curriculum, the items which teachers checked as more than "important"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content clarity were : "Present clearly the key concept in each unit," "Present specific inquiry activities and methods," "Concretely present required contents and optional contents in learning activities," "Educational contents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are presented instructional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state more specifically than activities," "Present clear organizational structure which can show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al contents." Consequently, this research has prove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newly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asist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s and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