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학과 경영학을 사례로 하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을 분석하고 그 발전 과제를 논의한 연구다. 연구문제는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결과 및 효과, 발전 과제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도입 배경을 ‘교육에의 관심 촉구’, ‘professional school에 걸맞는 견고한 커리큘럼으로의 재편’, ‘self-regulation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와 구조조정’, ‘교육에 관한 systematic approach’로 나눠보았다.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과정은 공통적으로 ‘해외 인증기준의 벤치마킹과 한국형 인증기준의 수립’으로 요약되었다. 인증제의 결과 및 효과로는 ‘교육장면에서의 긴장감 요구’와 ‘지속적 수업 개선 유도’, ‘교수들 간의 의사소통 활성화 및 공동체 의식 증대’, ‘교육공동체로서의 협동 체제 구축’, ‘전문가로 단련시키고 훈련한다는 면에서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음’을 들었다. 또한 특히 경영학에서는 교수 충원 유도를 통한 교육여건의 개선을 가져왔다. 향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발전 과제로는 먼저 대학 차원에서 ‘인증받은 대학교육 시스템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작동하고 움직여 나갈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것’, ‘교육에 관한 관심과 평가 필요’, 다음으로 인증원 차원에서 ‘각각 평가자와 피평가자인 인증원 운영주체와 해당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이분화 방지’, ‘인증기준 작성시 stage를 고려하고, 각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적절하게 밟는 것’, 마지막으로 대학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지속적 networking과 공생’으로 분류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troduction and steering of Education Accreditation, concentrated on the cas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discuss a few tasks for its improvement. The subjects of our research are catego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results and effects, and tasks for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re classified as ‘stimulating the interest in education’, ‘reorganization into a solid curriculum well-matched with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elf-regulation’,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can be summarized commonly as the bench-marking of the foreign accreditation criteria. The results and effects are listed as ‘formation of the tens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requirement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lectures’, ‘active communication of professors and community spirit’, ‘cooperation system as educational community’, ‘training of the students as specialists’. In particula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enable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by inducing supplement of professors. As for the task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is suggested. For the universities, ‘activation of the already accredite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interes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or the Association of Accreditation, ‘prevention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accredi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tages in fram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by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ach discipline’, finally for the society level, ‘continuous networking and coexistence of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university’.

      • KCI등재

        미국 고등학습위원회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개혁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이영학(Lee, Young-Ha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미국 북중미학교기관협의회 산하 고등학습위원회의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개혁에 따른 시사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제2주기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수립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의 주요 요소인 인증모형, 인증 주기 및 종합평가, 평가준거, 결과판정, 인증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고등학습위원회 및 한국대학평가원의 기관평가인증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제2주기 기관평가인증제 시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대학의 특성과 질 수준 차이를 반영한 다양한 인증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최소 수준 질 인증과 함께 기관의 지속적인 질 제고를 유도하는 평가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 사명에 근거한 평가를 강화하고 정량적 평가를 최소화하며 평가위원 풀을 확대하고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질 제고 강화를 위해 중간평가를 엄격하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정부는 기관평가인증제 결과를 대학구조조정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여섯째, 기관평가인증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 및 대학정보공시제와 연동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features of HLC institutional accreditation model and the implication on the second perio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of Korea. This research focus on accreditation model, accreditation period, comprehensive evaluation, criteria, decision making for accreditation status and accreditation supporting system. This research draws following suggestions to the second perio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of Korea. 1.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hould apply various accreditation model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institute. 2.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hould focus on the autonomous quality improvement of institute with the quality assurance. 3.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hould be reduced and qualitative evaluation based on mission and objects should be reinforced. 4. The interim evaluation should be strictly enforced for quality improvement. 5. The government should enlarge reflection the results of accreditation on financial aid to universities. 6. The web-based accreditation supporting system interworking with "Higher Education in Korea" service is needed.

      • KCI등재후보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 관리 실태

        장상란,서현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ring some data for applying to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an accreditation system. For these, this study found out some changes, effects, methods of improvement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how directors and teachers of the child care centers made efforts for management after the accreditation and found out actual conditions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according to categories of barometers after the accredit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recognitions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after the accreditation, most of directors and teachers were opposed to the accreditation to the presentation of an annual report once a year and to the pertinence of revaluation by index. The teacher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were somewhat oppos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enters, their scale and their number of years : en particular, were more opposed the centers less than a year in the accreditation and the teachers of the 3rd-5th scale class. But also the percentage of reapplication after expiration was elevated. The reasons why they would not reapply were a working power of child care, a little favor on the accreditation, self-control of the centers, etc. Second, about the effects after the accreditation, most of them were positive in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a qualitative level of centers. And there were also an improvement of the centers and their speciality, the positive changes of child care program and educational process, and parents' high recognition in the community. Third, for the methods of improvement after the accreditation, most of them claimed for a continual financial support, a supply of the piece rate for the teachers. In addition, there were imminent complements: reeducation, supervision by the experts, diversity and actuality of certification index, management and inspection after the accreditation. Lastly, it was revealed that the actual condition for maintenance and the management after the accreditation in general made a good management. The centers often made a check making a good use of an accreditation index, and made an effective management to maintain the accreditation sphere, and made various efforts for the management after the fact, trying teachers' education and a self-control, encouraging learning. But it proved that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and manage it after the fact: teachers' speciality and their overwork, management of special activities, financial problems, etc. They made efforts comparatively to improve center environm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maintenance of actual conditions of the accreditation. The national and public centers in the types and the 6th-10th class in the scales were evaluated to make a bett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seven items by index. And the other factors didn't have almost influenced.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소재한 기관 중 평가인증을 통과한 기관의 시설장 230명과 보육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평가인증 이후 제도에 대한 인식, 변화와 효과, 개선점, 그리고 인증 후 관리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와 그에 따른 지표의 영역별 사후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평가인증 후 제도에 대한 인식은, 평가인증 유효 기간, 연차보고서 제출, 그에 따른 지표를 활용한 재평가의 적절성 여부에 반대하는 의견을 보였다. 둘째, 인증 후 효과는, 보육시설의 질적 개선과 수준을 향상시켰다고 반응을 하였고, 셋째, 인증 이후 제도의 개선 방안은, 계속적인 지원금 지급과 교사들에게 성과급 지원 등을 요구하는 비율이 높았다. 넷째, 평가인증 후 사후 유지관리 상태는, 인증지표 활용으로 수시로 점검을 하고 있으며, 평가인증 영역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효과적 운영 관리 및 필수항목 체크의 준수 철저와 교사교육과 자율장학을 실시하면서 사후 관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일본의 기관평가인증제 비교 연구

        이영학 한국일본교육학회 201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5 No.1

        This Study aimed to compare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of Korea and Japan on five matters:(1) history and legal background, (2) independence of agency, (3) process of accreditation, (4) method of decision making for accreditation, (2) criteria. To accomplish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handbooks and references of accreditation of four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gencies: Korean(KCUE), Japan(JUAA, NIAD-UE, JIHE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Korean had developed it's own institutional accreditation model based on Korean cultures emphasizing score and speed. Thus, Identity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model is high but compatibility is low. But, Japan had developed compromise model between identity and compatibility. Based on the finding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recommend followings;First, it's needed longer terms for accreditation process. Second, the Korean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gency must be secured independence from the outside. Third, the incentive mechanism from government is needed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Korean universities. Fourth, the decision making for accreditation in Korea should be based on the fulfillment of minimum requirements. Fifth,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gency should develop international compatible criteria for accreditation. 한국은 1994년부터 2006년까지 2주기에 걸쳐 기관평가인증제를 실시하였으며 현재 새로운 기관평가인증제 시행을 위해 준비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기관평가인증제를 비교분석하여 한국 기관평가인증제 시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한국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대학평가원을, 일본은 대학기준협회, 대학평가·학위수여기구, 일본고등교육평가기구의 3개 기구를 대상으로 평가준거 등 5개 주제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이 지금까지 시행해 온 기관평가인증제는 점수와 속도를 중시하는 한국의 특징이 반영된 독자적 평가모형이며 다른 국가 기관평가인증제 모형과의 호환성은 낮은 편이다. 반면, 일본은 한국에 비해 기관평가인증제의 독자성은 낮지만 다른 국가 기관평가인증제 모형과의 호환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기관평가인증제 시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평가 추진 일정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여 신뢰성 제고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 기관평가인증제를 실시하는 기구의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들의 기관평가인증제 참여를 독려하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 넷째, 평가인증의 판정은 점수에 의한 판정은 지양해야 한다. 다섯째, 평가준거는 대학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제의 정치적 함의

        이정표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3

        This paper explores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different interest groups in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higher education with political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pproach to the concepts of quality assurance and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was explored, and the groups which constitute its political ecologic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Then key participants who play major roles in the model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were identified, and their interests, resource, motivations, and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Lastly the current issues and suggestions of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were outlined Th study found that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is designed as political process and the conceptions of quality is made among competing groups for doing privileges some interests over others. Government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es as key participants are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having greater voice in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recognition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he differentiation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criteria between universities and non-universities, the publication ways and utilization of accreditation results, and designing international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criteria. It is more useful to view it as a political dimension to minimize the problems and conflicts of groups in the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이 글은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를 이해당사자간의 가치, 갈등, 권력과정으로 설명하는 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가인증과 교육의 질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정치학적 분석 틀에 의해 환경과 이에 참여하는 이해당사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평가인증제의 핵심적 참여자인 정부와 고등교육기관 간에 나타나는 갈등을 평가인증 주체, 평가인증의 목적,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평가인증 기준 설정, 인증결과의 공식화 및 활용, 평가인증기준의 국제적 대응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목표, 자원, 동기, 전략 수준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인증제를 둘러싸고 제기되는 쟁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평가인증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기술적인 과정에 초점을 둠으로써 제도 형성 및 시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이해당사자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지 못하였다. 교육의 질 개념에 대한 해석은 물론 평가인증제 형성 및 시행 과정에서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이해당사자들의 정치적 갈등과 이해관계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평가인증제의 정치적 함의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평가인증제를 정치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것은 평가인증제도 도입의 초기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집단 간 이해관계나 갈등을 최소화 하면서 제도의 합리성 및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NAEYC 평가인증제의 개정에 관한 분석 : 1998년 개정된 인증제와 2006년 개정된 인증제를 중심으로

        최명희,김선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평가인증의 가능성에 대해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 평가인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의 NAEYC 인증제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내 모든 유형의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적용되고 있는 NAEYC 평가인증제의 2006년 개정을 기준으로 개정 전과 후의 인증제 전반을 분석함으로써 인증제 모형의 현대적 동향 및 발전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미국 NAEYC 평가인증제는 2006년 9월 전면적인 재개정을 하였으며, 이는 유아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인증제 자체의 지속적인 질 개선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2006년 개정을 중심으로 1998년 개정된 인증제와 2006년 개정된 인증제의 개정의 배경과 목표를 살펴보고 인증체제의 단계와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기준 및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6년 개정된 NAEYC 평가 인증제는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질 개선에 목표를 두고 있었으며 인증체제의 단계, 기준의 구성, 그리고 지표의 내용 및 항목 수에서 크게 재조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초기 단계에 있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제가 발달해 나가기 위한 방향성 정립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more appropriate accreditation process in Korea by analyzing the past and present early childhood program accreditation system.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NAEYC’s accredit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where early childhood program accreditation is closely related to and plays a practical role in the planning, application, and the management of many programs. NAEYC’s accreditation process has been recently reorganized in September 2006, and the major mission of this reinvention was to improve not only the quality of the programs but also the quality of the accreditation system itself.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ission of the both accreditation systems established in 1988 and 2006. It also compared the steps and methods of the accreditation systems and further analyzed the standards and criteri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AEYC’s 2006 accreditation system remained to focus on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program quality. However, the detail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such as the steps, the organization of standards, and the numbers as well as the contents of criteria, were found to have made major changes. This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our current day care program accreditation system, which is still in its’ infancy.

      • 청소년수련시설 인증방안 연구

        맹영임,조혜영,김민,김영호,이명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중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정책적 차원에서의 품질관리와 대외적인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관인증제 도입 방안 마련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증제 관련 문헌분석 및 국내ㆍ외 주요 인증제를 조사ㆍ분석하였으며,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자, 청소년수련관이나 청소년문화의집을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의 청소년관련업무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ㆍ면접조사 분석결과와 전문가워크숍 등을 통하여 도출된 인증방안(안)에 대해서 전문가의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제운영유형은 기관인증으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인증대상은 모든 청소년수련시설이 되어야 하나 자율인증에서 의무인증으로의 점진적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인증범위는 종합인증 형태가 적절하다. 넷째, 인증방식은 포괄적 인증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증주체는 정부가 되어야 하며 인증전담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절차는 5단계 2과정(1단계 인증신청-2단계 인증시설개선-3단계 현장실사 및 이의신청과정-4단계 인증심의-5단계 인증확정 및 사후관리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일곱째, 인증기준 영역은 공통기준영역(모든 시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과 개별기준영역(시설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을 위한 선행과제로는 첫째,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법적 근거 마련 및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인증제 운영체계와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준(지표)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합리적인 인증절차(과정)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증기관(인증전담기구) 구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사후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째, 시범기간 운영 및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여덟째, 청소년수련시설평가 및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와의 통합(연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policy plans for introducing accreditation system on youth facilities, which aim to secure public reliability and quality control. In order to pursue the goal of this study, major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accreditation system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In addi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youth leaders who worked in the youth facilities including youth centers and youth cultural centers, youth participants who used the facilit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local youth policy.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roper type of accreditation system needs to be institution based. Second, while objects that have to be accredited should cover all of the youth facilities, it is recommended that mandatory system should be gradually developed from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Third, the scope of accreditation needs to be comprehensive. Fourth, the way of accrediting should be inclusive. Fifth, the operating body of this system should be the government and executive agency needs to be established. Sixth, it is appropriate that accreditation procedure is run through 5 stages and 2 processes: application for certification, improving facility to be certified, visitation the center and a series of objection, deliberation for certificating, and consulting process after being certified as well as accreditation. Seventh, accreditation standards should be separated in common criteria (which are applied to all the facilities) and specific criteria (which are varying with each facility’s properties). Additionally, we need several prerequisite tasks to be solved prior to introducing accreditation system. First, we need social consensus on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youth facilities. Second, legal basis and budget are required. Third, operating system and reliable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urth, rational procedure of cert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fth, we need to constitute the operating body. Sixth, post consulting system should be planned. Seventh, trial period and continuous appeal to the public are needed. Eighth, new accreditation system needs to be related with current evaluation system on youth facilities and certification system on youth activities.

      • KCI등재

        비서 역량개발을 위한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에 관한 기초 연구

        김지영(Kim, Jiyoung),박윤희(Yoonhee Park)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2

        이 연구는 비서학 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비서학 평가인증제 구축을 위한 과제와 기대효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면허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아닌 교육의 수월성 제고에 목적이 있는 공학 분야와 경영학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에 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 모두 교육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어 교육프로그램 평가 사례로 이해할 수 있다.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도입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인증의 결과 및 효과로 전반적인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범주화하여 비서학 교육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평가인증제 구축방안, 기대효과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비서학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품질 개선 보증과 비서학의 견고한 커리큘럼, 정체성 위협에 대한 대비, 그리고 비서직종의 차별화된 전문화를 위해서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이 필요하다.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 및 구축을 위한 과제로는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 평가인증 기준 마련, 비서교육인증을 지원, 관리, 통제하는 법적, 행정적 시스템 마련 등이 있다. 비서학 평가인증제가 도입된다면 비서학 교육 인증학과 및 졸업자에 대하여 인센티브가 보장될 수 있고, 검증된 교육과정으로 우수한 전문비서를 양성하여 사회에 배출할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비서직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서학이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비서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인증제를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역량을 갖춘 비서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of introducing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by analyzing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Both these accreditations intend to promote educational development and they could be understood as a form of evaluation of these educational programs. Introduction of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is investigated through several categorie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accreditation in each discipline, the determination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 and then the changes of it, the result and effect of accredit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ccreditation to continuous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secretarial education contents, create a well organized curriculum, establish a solid identity and to introduce diverse specialization for this secretarial profess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to secure reliability of secretarial certification, to develop and utiliz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to support, manage and control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The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itself can help provide excellent professional secretaries to society, and so there should be guaranteed incentives for the departments and graduates to obtain this cert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resources to introduce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for continuously developing secretarial science and to ensure adequate competency of secretaries.

      • KCI등재

        어린이집 평가인증 재인증 및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

        양서정(Yang, Seo Jeong),김수향(Kim, Soo 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재인증 및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을 살펴보고,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개선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주․포항지역의 평가인증을 통과하고 재인증을 준비 중인 원장 73명과 보육교사 389명 총 46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장상란(2008)의‘보육시설 재인증 평가 및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조사’설문지이며, 조사는 2012년 7월 19일부터 27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직원은 재인증의 인증유효기간 3년, 연차보고서 제출, 재인증 평가의 지표 적절성, 3년 후 평가인증 재신청 의향, 재인증의 보육서비스 질적 수준 개선, 교직원의 전문성 향상, 재인증 후 어린이집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 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교사 배경별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인증유효 기간 3년에 대한 찬반론은 평가인증 경과년수에서, 평가인증 재신청할 의향은 직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인증 후 평가인증제가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개선효과는 교육경력, 어린이집 유형에서, 재인증 후 어린이집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는 어린이집 유형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평가인증 재인증 후 사후 유지관리 노력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은 자체점검 주기에 대해 학기당 1-2회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평가인증 영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영관리 체계화 및 필수항목체크를 가장 우선시 하였다. 또한 교직원은 평가인증 사후유지관리의 어려운 이유를 행정사무 및 원아업무과중으로 응답하였고, 평가인증상태 유지를 위해 시설환경이나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aching staff’s perception of evaluative accreditation, re-accreditation and maintenance and to propose the means of making improvements of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 on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2 personnel including 73 directors of teachers and 389 nursing teachers who are in preparation of re-accreditation after holding one at the year of 2011, among th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ju and Pohang. Questionnaire on 'Teaching Staff's Perception on Re-accreditation and Maintenance of Child Care Center Evaluative Accreditation' of Jang, Sang Ran (2008) had been utilized as a conformance check tool. The questionnaire had been conducted from July 19 to 27, 2012.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teaching staff’s perception on re-accreditation of child care center evaluative accreditation represented positive response on the impact of that evaluative accreditation in regards to 3-years validity, submitting annual report, propriety of re-accreditation by utilizing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index, intention of re-applying for re-accreditation after 3 years, improvement effect on the quality of re-accreditatio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staffs, the effect of evaluative accreditation on programs and training courses after re-accreditation. Terms of valid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ime goes on evaluative accreditation. Intention of re-applying for re-accredi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ositions. Improvement effect on the quality of re-accreditation and effects of evaluative accreditation on programs and training courses after re-accredi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 Second, the teaching staff’s perception on maintenance of child care center evaluative accreditation showed that‘once or twice per semester’was most answered for the duration of the self re-accreditation and that‘systemizing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checking required items’ was most answered for maintaining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as a follow-up management. It had been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that ‘overload of works from administrative works and nursery works’was the primary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follow-up management. It shows the average response on facility environment and program-improving effort for maintaining accreditation status. ‘Inprogress’ was answered the second most.

      • KCI등재

        국내 대학 교육 인증제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 자체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김선희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research related to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in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y year, accreditation subject, research method), what are specific characteristics (main research methods and keywords for each accreditation subject, result and suggestions) of domestic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s were applied to conduct th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 wa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field-based accreditation system, but in the past two years, the number of that related to the major curriculum, subject,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have increased rapidly, and most of the research related to accreditation system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published, and it was conducted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he main issues commonly found are that, first, for the operation (or introduc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in advanc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various forms, workshop for participants, pro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accreditation benefits, etc.) Second, it was found that it was important to prepare a plan to minimize administrative and paperwork related to participation in the certification system. Finally, a research direction was proposed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rather than being perceived as a negative factor that increases employee fatigue, and effectively settle in the field.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자체교육인증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자체교육인증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 및 연구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 즉, 국내 자체교육인증 관련 연구의 일반적 특징(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과 구체적 특징(인증대상별 주요 연구방법 및 키워드, 제안내용)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체계적 문헌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의된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 논문을 선정하고, 분석기준에 맞춰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체교육인증 관련 연구는 현장에서 인증제가 실행되고 있는 것에 비해 연구결과물의 수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2년간 연구 논문수가 급증하였다. 초기에는 독서 인증제나 인성인증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전공이나 교과목, 비교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비교과의 경우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외 인증은 주로 타 대학 운영 사례를 분석하거나 집단 간 인식차이를 비교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구체적인 특징을 살펴본 결과 인증대상별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요 이슈는 첫째, 인증제 운영(또는 도입)을 위해서는 사전 준비(평가지표 개발, 각종 양식, 참여자 대상 설명회, 평가자 및 피평가자 대상 교육, 관련 규정과 인증혜택 마련 등)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과 둘째, 인증제 참여에 따른 행정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인증제가 구성원의 피로도를 높이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는 것이 아닌, 인증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현장에 효과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