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남금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거나 혹은 임종에 임박한 환자, 생애말기 환자를 돌보는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인식과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과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종환자 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4년 06월 01일부터 2014년 06월 30일까지 4주에 걸쳐 수도권 소재의 3개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 104명, 응급실 의사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죽음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누미야 요시유키(2002)가 개발한 사생관 척도를 차영례(200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대상으로 Beckstrand(2008)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의사를 대상으로는 Marck 외(2014)가 개발한 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Weigel 외(2007)의 “Professional End-of-Life Attitude Scale"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빈도 분석, t-test, ANOVA,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응급실 의료진의 죽음 인식 정도는 5점 척도로 평균 3.30(±.27)점이었고, 간호사가 평균 3.31점, 의사가 평균 3.27점으로 측정되었다. 2.응급실 의료진의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은 5점 척도로 각 영역의 점수는 높을수록 임종환자 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응급실 환경 영역은 평균 2.95(±.68)점, 숙련도 및 역할 영역은 평균 3.08(±.49)점, 동료와의 관계 영역은 평균 3.30(±.40)점, 구조적 요인 영역은 평균 3.34(±.52)점, 임종대처자세 영역은 2.94(±.51)점으로 측정되었다. 3.응급실 의료진의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5점 척도로 평균 3.23(±.28)점이며,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3.37(±.37)점,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3.21(±.31)점으로 측정되었다. 4.응급실 의료진의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죽음부정이 낮을수록, 죽음관여도가 높을수록 응급실 환경, 동료와의 관계, 구조적인 요인과 관련한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의료진의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죽음부정과 죽음불안이 낮을수록, 죽음관여도가 높을수록, 구조적 요인과 관련된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5.죽음인식,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 성별, 최근 한 달 간 경험한 임종환자 수에 의해 응급실 의료진의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26.6% 설명할 수 있으며(F=5.720, p=.001), 응급실 의료진의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 성별이 가장 유의하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p<.001). 죽음인식,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 임종환자 돌봄 교육 유무, 직종에 의해 응급실 의료진의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34.0% 설명할 수 있다. 응급실 의료진의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에 가장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죽음불안(p<.001) 및 전문가적 임종돌봄 태도(p<.001)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임종환자 돌봄 교육 유무(p= .001)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개인적 특성, 죽음인식,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응급실 의료진의 보다 나은 임종환자 돌봄 태도를 위해서 긍정적인 죽음인식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에 따른 행정적, 실무적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코로나-19 시대 불교수행을 통한 의료진의 회복탄력성 연구

        성재량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4

        전 세계는 지금 2019년 12월 중국 우한 시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질환인 코로나-19로 전례 없는 변화들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코로나-19라는 감염병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받고, 다양한 정신건강에 대한 위협을 경험할 수 있는 의료진에게 불교수행이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불교의 실천적 원리인 사성제를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2020년 2월 코로나-19 감염병이 본격적으로 도래한 이후 불교수행을 경험한 의료진 50명을 실험군으로 배정, 경험하지 않은 의료진 50명을 대조군으로 배정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의료진 1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성제는 의료진이 현재 처해있는 현상적 고통을 알고 고통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 이론적 틀이 되며, 불교수행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둘째, 불교수행을 경험한 의료진에게서 우울증이 감소하고, 회복탄력성(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불교수행이 우울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수행을 경험한 의료진과 경험하지 못한 의료진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낸다. 우울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전체가 낮아지며, 대조적으로 우울증이 낮을수록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불교는 수행을 통해 마음을 공부하는 종교이다. 마음공부를 통해 삶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이 커지며, 감성이 풍부해지며. 긍정적인 감정들을 불러일으킨다. 이런 요인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해주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가져다주며, 자신의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성취감 높은 삶의 질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불교수행을 경험한 의료진은 우울증이 낮으며, 이는 건강한 마음의 탄력성(회복탄력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이며 치유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world is now experiencing unprecedented changes due to Covid-19, a viral respiratory infection known to have occurr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This research seeks to explore whether Buddhist practice is effective in resilience for medical staffs who deal with extraordinary stresses and are exposed to various mental health crisis in the Covid-19 era. The specific Buddhist practice here refers to the Four Noble Truths which is the essence of Buddhist teachings. In this study, 100 medical staffs ar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conducted for the subject. Among them, one half has experienced Buddhist practice, and the other half has not sinc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The survey is conducted using a formalized questionnair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are obtained. First, the Four Noble Truths provides a theoretical frame for the medical staffs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al sufferings and findin the cause of the sufferings. And it helps to suggest fundamental solutions to be free from such sufferings. Second, it is confirmed that depression has decreased and resilience (self-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ositivity) increased among the medical staffs who have experienced Buddhist practice. Third, the effect of Buddhist practice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is shown a distinct contrast between the group who has experienced the practice and the group who has not.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is, the lower the resilience level and sub-factors such as capability of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ity level become. In contrast,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is, the higher theresilience level and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ositivity become. Buddhism is a religion that studies the mind through practice. Thepractice contributes to increase the sense ofsatisfaction and happiness, to enrich emotional granularity, and to promote positive emotions. All these elements help to reduce everyday stress, to bring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 o increase to steer the life toward one intends to, and finally to ensure the quality of fulfilling life. As a result, the medical staffs who have experienced the Buddhist practice show low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depression means higher resilience and effectiveness in healing. And this is objectively proven by the study.

      • 입원환자의 손위생 인식과 의료진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

        백은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4

        연구는 입원환자의 손위생 인식과 의료진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를 조사하고, 참여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의료진 손위생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시 소재 G병원에 입원한지 48시간이 지난 만 19세 이상의 성인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8월 1일 부터 8월 30일까지이었다. 손위생 인식과 의료진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는 Longtin 등(2009)의 연구와 Wu 등(2012)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2인과 간호학 교수 2인의 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손위생 인식은 총 9문항으로 ‘예’의 응답률이 3.1~ 49.2%이었으며 ‘의료진이 손위생 하는 것은 나의 건강관리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가 49.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내가 손위생 하는 것은 나의 건강관리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가 46.1%이었다. ‘나는 손위생 교육을 받고 싶다’가 3.1%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의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는 57.0%, 간호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는 57.8%이었다. ‘만약 의료진이 손위생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내가 알려주는 것에 대해 고마워한다면’의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72.7%, 간호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71.9%로 증가하였다. 3) 대상자의 의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는 연령이 낮을수록, 종교 가 없는 경우, 미혼인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재원기간이 짧을수록 유의하게 높았고, 간호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는 남성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재원기간이 짧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4) 손위생 인식 중 ‘의료진이 손위생 하는 것은 나의 건강관리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손위생 하는 것은 나의 건강관리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의사나 간호사가 나를 만지기 전에 손위생 한다면 마음이 편할 것이다’에 ‘예’로 응답한 대상자가 ‘아니오’로 응답한 대상자보다 의사와 간호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유의하게 높았다. 5) 대상자의 의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 영향요인은 학력과 재원기간이었고, 간호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 영향요인은 학력, 재원기간, ‘의사나 간호사가 나를 만지기 전에 손위생 한다면 마음이 편할 것이다’라는 손위생 인식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대상 입원환자의 의료진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는 환자의 연령, 학력, 재원기간, 손위생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의료진이 손위생 한다면 마음이 편할 것이라는 인식,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의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 영향요인은 학력과 재원기간이었고, 간호사 손위생 증진활동에 대한 참여의지 영향요인은 학력, 재원기간, ‘의료진이 나를 만지기 전에 손위생 한다면 마음이 편할 것이다’라는 손위생 인식이었다. 따라서 의료진 손위생 증진을 위한 환자 참여전략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연령, 학력, 재원기간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진과 병원 조직 문화의 수용도를 파악하고 이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he descriptive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hat help enhance a program for healthcare work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by investigating hospitalized patients’ perceptions to hand hygiene as well as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nhancing the activities for healthcare work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and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ose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among the adult patients aged 19 or older,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48 hours since admitted to G Hospital located at J City. Of them, 130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from 1 August 1 to 30 in 2013. The questionnaire to identify the perception to hand hygiene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healthcare work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es by Longtin et al., (2009) and Wu et al,, (2012).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validity by 2 infection control nurses and 2 professors in nur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the subjects’ perception to hand hygiene, a total of 9 items were presented. Their response rate of “Yes” ranged from 3.1 to 49.2%. The highest rate was 49.2% in ‘I consider health workers’ washing their hands very important for my health’; the lowest 3.1 % in 'I would like to receive hand hygiene training' was 3.1%. 2)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articipation to enhance physician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was 57.0%.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nurs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was 57.8%. In ‘If health workers thank me for reminding them to perform their hand hygiene,’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articipation to enhance physician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increased by 72.7%;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nurse compliance with hand 71.9%. 3)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physician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who were aged younger, was unmarried, had higher education level, and was hospitalized during the shorter length of their hospital stay. For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nurs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males showed a higher rate, especially those at their lower age, with their higher education level, and hospitalized during their shorter stay. 4) In the subject's perception to hand hygiene, the subjects, who answered ‘Yes’ in ‘I consider health workers’ washing their hands very important for my health,’ ‘I consider my washing their hands very important for my health,’ and ‘I would feel more comfortable if I knew physicians and nurse had peformed hand hygiene before coming into contact with me,’ was higher in the rate of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physician and nurs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5) It was found out that the subjects’ education level and hospital stay had an influence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physician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and that the subjects’ education level and hospital stay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I would feel more comfortable if I knew physicians and nurse had peformed hand hygiene before coming into contact with me,’ influenc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nurs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As a result, for the hospitalized patients 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health work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 level, length of hospital stay,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hand hygiene, perception that they would feel more comfortable if physicians and nurse had peformed hand hygiene. Factors, which had influenced the pati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physician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were observed to be their age and education level; those having influenced the pati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to enhance nurs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turned out tro be their age and education level and their perception of ‘I would feel more comfortable if I knew healthcare workers had peformed hand hygiene before coming into contact with me.’ Therefore,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a strategy through patients’ participating in enhancing healthcare work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age, education level, and length of hospital sta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cceptability of the patients’ participation by healthcare workers and in terms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velop the enhancement program thereof.

      • 병원의료진의 언론노출과 진료실적간의 관계 : 일개 대학병원 사례를 기준으로

        김성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91

        This study conduc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of outpatients’ reservation data and media report(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4) by hospital staff at a university hospital in Bundang using SAS V9.4 package to analyze the impact of hospital staff’s media exposure on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This study’s result is as follows. First, when press media mentions,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for new patients and the first visit patients after waiting day on average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se of research hospital, new patients and the first visit patients’ waiting day on average is 18.9 days and there is a increase of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approximately after 3 week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Secondly, when press media mentions,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for new patients have relatively increased than the first visit patients and broadcasting media which has relatively significant to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is TV media such as cultural broadcasting and broadcasting news. It has more distinct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than print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Third, hospital staff of non-selective treatment who make an appearance at press media have more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Nonsurgical hospital staff who make an appearance at press media have more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at press media in case of treating the first visit patients. Fourth,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for hospital staff who hold the rank of Professor in case of making an appearance at press media have relatively increased, but the rank of Associate Professor and Assistant Professor(Full Time Lecturer) is not significant.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cases of hospital staff’s media exposure only for a year at a university hospital in Bundang and data for new customer so interpretation of its result has limits than using data for many years. To sum up these research findings, hospital staff’s media exposure is substantially related to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for outpatients and it has more medical treatment activities in case of broadcasting media exposure such as TV. 본 연구에서는 분당소재 일개 대학병원 의료진의 2014년 1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언론보도 실적 및 외래진료 실적 자료를 분석하여 의료진의 언론노출이 진료실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AS(V9.4)를 이용하여 다중선형 회귀분석과 하위그룹분석을 나누어 시행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 의료진이 언론매체에 출연한 이후 신·초진 환자에 대한 진료 실적이 증가하였다. 연구대상 병원의 경우 신·초진 환자의 외래 평균 대기일수가 18.9일 인데, 분석결과 의료진이 언론에 출연 후 약 3주가 지난 시점에서 신·초진환자의 진료 실적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TV 방송(교양, 뉴스 등) 출연 시 신문, 잡지 등 인쇄매체에 비해 신·초진환자의 진료 실적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셋째, 의료진의 특성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비선택진료 의료진의 신환환자 진료 실적이 더 증가하였으며, 비외과계 의료진의 경우 신환 및 초진환자의 진료 실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넷째, 의료진의 직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교수직급이 언론에 출연한 경우 진료 실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부교수와 조교수(전임강사)직급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분석대상이 분당소재 일개 대학병원의 의료진에 대한 11개월간의 언론노출 건수와 신규고객에 대한 데이터만을 분석한 관계로 다년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했을 경우에 비해 결과 해석상의 한계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의료진의 언론매체에 노출이 실질적으로 외래진료실적과 연관관계가 있고 TV등 영상매체에 노출된 경우 더 높은 진료 실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군 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참여 의지 영향 요인

        우선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87

        본 연구는 군 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 정도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편의 추출한 세 개 군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로 자료 수집은 2020년 10월 26일부터 2020년 11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총 133부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인 군 병원 입원환자의 평균 연령은 27.29세였으며, 성별은 남성이 130명(97.7%)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교육 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98명(73.7%)으로 가장 많았고, 계급은 병사가 86명(64.7%), 간부가 47명(35.3%)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입원 일수는 21.12일이었으며,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1명(38.3%)이었다. 복용 중인 약물이 있는 대상자는 86명(64.7%), 수술 및 시술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11명(83.5%)이었다. 군 병원 입원환자의 평균 입원 횟수는 2.23회이었으며, 환자안전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6명(4.5%), 환자참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21명(91.0%)이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심도가 높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각각 67명(50.4%), 110명(82.7%)이었다. 2. 대상자의 환자안전 지식은 평균평점 5점 만점 중 4.35점,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평균평점 4점 만점 중 3.19점, 의료진과의 관계는 평균평점 7점 만점 중 5.88점이었다.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는 평균평점 4점 만점 중 3.63점이었으며, 의료진의 격려가 있을 경우 평균평점 3.69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는 건강관심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건강관심도가 높다고 응답한 경우 환자참여 의지가 높았다(t=-3.725, p<.001). 의료진의 격려가 있을 경우에도 건강관심도가 높은 대상자가 환자참여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575, p=.011). 4. 대상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는 환자안전 지식(r=.463, p<.001), 건강관리 자기효능감(r=.597, p<.001), 의료진과의 관계(r=.638,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료진의 격려가 있을 경우에도 대상자의 환자참여 의지는 세 개 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관리 자기효능감(β=0.272, p=.009), 의료진과의 관계로 나타났으며(β=0.424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4.3%이었다. 의료진의 격려가 있을 경우, 환자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 지식(β=0.200 p=.042), 의료진과의 관계로 나타났으며(β=0.405, p<.001), 모형의 설명력은 33.6%이었다. 본 연구는 군 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가진다. 일반적 상황에서는 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의료진과의 관계가, 의료진의 격려가 있는 상황에서는 환자안전 지식과 의료진과의 관계가 환자참여 의지의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 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환자와 의료진 간 협력적 관계 형성을 위해 상호작용의 기회를 확대하고, 의료진이 환자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이를 격려할 수 있도록 군 병원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of patient participation in ROK Military Hospital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nd the data ware collected from October 26, 2020, to November 6, 2020. The 133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atient safety were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patient-provider relationship. When encouraged by the medical staff,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s willingness were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the patient-provider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campaigns to increas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wareness of patient participation and develop programs that can enhance health-related self-efficacy. Besid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staff and develop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patients and medical staff.

      • 119구급대원과 응급실 의료진의 인수인계 인식과 수행도 및 중요도의 차이

        나윤정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73

        Objectiv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esent handover status to improve the quality of handover between 119 paramedics and emergency department(ED) staff,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handover an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status and importance in the question items that have to be handed over, and present the improvement measur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70 paramedic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ejong Special City,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and 107 ED staff working in regional and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the same province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 28, 2020 to Sept. 23, 20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277 copi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119 paramedics and ED staff respectively and a total of 66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ver. 26.0(IBM, USA) to find out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chi-square test, Fisher, IPA, and ANOVA. Results: 1) To look at the handover status, relying on memory, as handover method for 119 paramedics was the highest at 37.6% and in case of ED staff, verbal handover was the highest at 66.7%. 2) Among 119 paramedics, those who had ever experienced handover education was 27.1% and among ED staff, it was 20.6%. 3) 87.0% of paramedics and 89.7% of ED staff experienced handover errors in the question of 'I had not experienced sufficient handover due to personal disposition' during the handover error experience. 4) To look at the overall perception of hand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 handed over or was handed over sufficiently about patient information(p=.000).' and 'I think that important information was sometimes not handed over or I could not hand it over(p=.000).' 5) To look at the performance status among handover items, ‘onset(p=.000)’, 'occurrence place(p=.001)', 'injury mechanism(p=.005)' of 119 paramedics and ED staff,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6) The question items that patient’s name, guardian accompaniment status, history of visiting overseas, and (infant)weight items showed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nd importance between 119 paramedics and ED staff. 7) In 119 paramedics, those who experienced handover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rformance(4.01±0.47) than those who didn’t and in ED staff, those who experienced handover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rformance(3.54±0.54) and importance(4.34±0.35) than those who didn’t. 8) In the improvement measures to the present handover process, 119 paramedics responded, 'Personnel’s attitude needs to be improved and communication is necessary(48.8%).' and ED staff responded, 'Handover method and details need to be improved(43.5%)'. Conclusion: The detailed guidance that standardizes the items that need to be handed over in busy fields needs to be developed to improve the handover process between 119 paramedics and ED staff and increase mutual trust, and based on this, unified handover education to reduc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fire station and hospital will have to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it is considered that standardized tool needs to be developed in the handover process. Keywords: handover, miscommunication, performance, importance, 119 paramedic, emergency department(ED) staff

      • 임상시험코디네이터가 인식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만족도 영향요인

        이혜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43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 임상시험코디네이터(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CRC)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임상시험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상호협력 증진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임상시험코디네이터로 3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3년 4월 14일부터 4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8.0(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7%를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34.50±7.75세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9.44±6.76년, 현 기관에서 CRC로 근무한 경력은 평균 4.87± 4.61년이었다. 대상자의 65.7%가 개인교수 소속이었고, 79.9%가 계약직이었다. 대상자가 임상시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의사소통하는 의사의 직책은 교수이며, 가장 빈번하게 의사소통하는 간호사의 직책은 일반간호사였다. 2. 대상자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 인식에 대한 점수는 5점 만점 중 3.30±0.40점이었고 하위영역별 개방성 3.21±0.57점, 정확성 3.10±0.59점, 직종 간 상호이해 3.32±0.43점, 적시성 3.54±0.59점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3.42±0.61점이었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의료진 간 의사소통 인식은 정확성 영역에서 현 기관 CRC 경력(t=2.467, p=.015)과 선호하는 의사소통 방식(F=3.391, p=0.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의사소통 만족도는 의료진 간 의사소통 인식의 모든 하위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의사와의 개방성(r=.609, p<.001), 의사와의 상호이해(r=.615, p<.001), 의사와의 적시성(r=.552, p<.001), 간호사와의 개방성(r=.550, p<.001), 간호사와의 적시성(r=.407, p<.001), 간호사와의 상호이해(r=.387, p<.001), 간호사와의 정확성(r=.285, p<.001), 의사와의 정확성(r=.245, p<.001) 순서로 나타났다. 5. 의사소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진 간 의사소통 인식의 하위영역 중 의사와의 개방성(β=.242, p<.001), 의사와의 상호이해(β=.285, p=.004), 의사와의 적시성(β=.116, p=.039), 간호사와의 개방성(β=.235, p<.001), 간호사와의 정확성(β=.157,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2.9%였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선 의료진 간 의사소통의 개방성, 정확성, 직종 간 상호이해, 적시성 영역에 대한 인식 향상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타 직종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바탕으로 편안하고 개방적인 조직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며, 정확하고 즉각적인 정보교환을 위한 맞춤형 의사소통 전략 개발과 이를 통한 교육 및 훈련이 기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박계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40

        본 연구에서는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을 조사하여 그 유형을 기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환자가 소생 불가능한 상황에서 생명 종결에 관한 윤리적 의사 결정을 내릴 때 간호사는 동료 의료인의 가치를 존중하고 환자의 권리와 전문직의 의무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가치의 균형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간호사는 안락사에 대한 개념의 확립이 필요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자신의 의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의료진의 안락사에 대한 의식을 구조화하여 유형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Q-모집단은 의료진과 일반인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하였고 안락사와 관련된 문헌 조사를 이용하여 표집한 총 150개의 진술문을 내용의 중복과 표현의 명확성을 고려하여 의미와 주제별로 38개를 Q-표본으로 완성하였다. P-표본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이 다양하도록 표집하여 36명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38개의 Q-진술문을 5×12㎝의 카드에 인쇄한 후 연구 대상자로 하여금 강제 정상 분포가 되도록 각자의 의견의 중요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 Q-분류하도록 하였고 결과는 QUANL프로그램으로 Q-요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구조는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1. 제1유형은 합리적 판단형으로 명명하였다. 이 유형은 모든 조건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안락사를 선택하여야 하고 그 구체적인 고려 사항으로 가족의 부담, 환자의 삶의 질, 치료의 유용성을 중요시 하였다. 그리고 의술이 합리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면 안락사에도 쓰일 수 있다고 지각하였다. 2. 제2유형은 신의 권한 존중형으로 명명하였다. 이 유형은 다른 유형보다 종교적인 신념이 중요한 의사결정의 요인이었다. 그래서 고통을 의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생명은 절대적인 신의 권한 안에 있어서 절대 인간이 관여해서는 안된다고 인식하였다. 3. 제3유형은 자율성 존중형으로 생명 보다 우선하는 가치는 삶의 질이고 삶의 질이 낮다고 본인이 인식한다면 자율적인 의지로 생명을 종결시킬 수 있고 도움을 요청할 권한이 있어 안락사는 받아들여야 한다는 유형이다. 4. 제4유형은 치료 지향형으로 의술은 절대로 생명의 종결에 쓰여서는 안되고 의술의 기본 입장은 생명을 보존하고 유지하는데 있다고 지각하고 있어 안락사에 의료진이 동참하는 것은 전문직의 의무에 반하는 것이라는 유형이다. 5. 이상의 네 가지 유형의 공통된 견해는 안락사의 찬·반과 관계없이 안락사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고 우리나라의 의료 실정에서 말기 환자를 위한 복지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생명 유지 치료를 중단하는 것을 안락사의 일종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환자의 생명의 종결에 직, 간접으로 관여하는 의료진의 안락사에 대한 유형을 구조화하여 각 유형에 속한 대상자들이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할 경우에 어떤 윤리적인 요소가 고려되고 어떤 요소가 우선 순위로 작용하는지 파악했다는 것이다. These researches carried out so that we researched consciousness over euthanasia of patients who can't resuscitate and then classified those types, described the properties. When the patients make decision their ethical opinion concerning life termination under the circumstance can't resuscitate, the nurses have regard to the colleague medical specialist value, need to balance th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patients right and specialist duty. In order to do like that, nurses have to establish the concept about euthanasia and need to have systematically, reasonable opinion oneself. Thereby we will organize the health professionals consciousness over the euthanasia, and then intend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ose types. A method of research, from the object point of view, we utilize the Q methodology useful to objectiveness of the concept of high abstractness that can recognize differently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 and perception. Concrete method of research is : To collect Concourse we interviewed the health professionals and 15 common run of peoples in depth, classified a total of 150 statements which are gathered by literature investigating related euthanasia by 38 category with meanings and theme in consideration of repetition of contents and definition of presentation, and then made up Q-Sample consist of 38 typical statements to extract from individual category. P-Sample are gathered to be vary population sociological properties over the 38 health professionals and, let have Q-sorting individually the importance of opinion on 9-point scale to be make the forced normal distribution by printing 38 statements on the 5×12 cm card. The results are analyzed by QUANL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the health professionals way of thinking are classified by 4 types. The 1st type was named Reasonable Decision Style. This type has to select the euthanasia by concerning all of the condition reasonably. Charge of family, quality of patient life and useful of medication are concretely important concern. Furthermore, it is recognized that they can also utilize medicine in euthanasia if make reasonable ways use of it. The 2nd type was named Authority of God Respect Style. This type was made decision by religious faith. It is more importance element than the other type. Thereby it is recognized that they have to think the pain into the meanings, human being don't have to involve in the life in absolutely Only God authority. The 3rd type is Autonomous Regard. Euthanasia must allow because that if it is recognize, value prior to life is quality of life, and it is lower for oneself, can terminate theirs life by autonomous will and have the rights to ask for helping The 4th type is Treatment-Oriented. This type was persisted medical agents euthanasia involving oppose to the practitioner duty because that they are recognized which the medicine don't use for life termination absolutely, the primary standpoint of medicine conserve and maintain the life . The above a common opinion of 4 types are needed to guideline of euthanasia whether for or against the euthanasia, recognized urgently that need to the public welfare supporting for the last stage patient under our circumstance, and used to take stopping of life maintain medication to a kind of euthanasia. So, Meanings of this research is that understood, when the objector belong under the other type experienced the ethical trouble over the euthanasia, what kind of ethical elements are concerned with it, was operated to the priority.

      • 소아암 환자의 보호자와 의료진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바탕으로

        김지율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2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wareness of art therapy in caretakers and medical staffs of children with cancer based on a focus group interviewing strategy.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medical staffs who worked in the field of pediatric and adolescent health care and 9 caretakers of children with cancer. Three separate rounds of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wo types of coding were used for more in-depth analyses. The interview groups for the medical staffs in the same work place were organized. Similarly, the caretakers who used the same medical center where their children had been or were being treated were grouped. The interviews were proceeded following the four steps of the focus interview method proposed by Kruger(2009) with revisions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by 3 parent areas, 8 subjects, and 22 subcategories. The parent areas consisted of (1) the need of art therapy from the medical schools, (2) the effect of art therapy, and (3) the role of art therapy requested by the caretakers of children with cancer as well as the medical staffs. The care for patients' senti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ir mentality were remarked as two key subjects regarding the need for art therapy. As for the effects of art therapy, positive changes of patients and enhanced patient care were pointed out. Lastly, regarding the interviewees' needs of art therapy, they specified four key issues such as enhancing patients' interests in art therapy, containing more art educational aspects, improving more effective functions of communication among patients, caretakers, and medical staffs, and offering special ar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with cancer. An additional meaning of this study is an in-depth analysis on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through direct interactions with medical staffs and caretakers in the field. Howeve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should be cautious because of the limited sampling size. Further research with various populations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소아암 환자의 보호자와 의료진들의 병원학교에서 시행되는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을 사용 하였다. 인터뷰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속의 의료진8명과, 소아암 환자의 보호자9명으로 총17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이들에게 총 세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 하였고, 두 가지의 코딩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참여자의 특성으로 의료진 집단은 동일한 병원의 근무자로 구성 하였고, 보호자 집단은 해당 병원의 치료경험이 있거나 치료 중인 환자의 보호자로 구성 하였다. Kruger(2009)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4가지 질문 단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적인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병원학교 내 미술치료의 필요성, 병원학교 내 미술치료의 효과, 향후 의료진과 보호자가 바라는 미술치료의 역할이라는 3개의 영역과 8개의 주제, 2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 되었다. 병원학교의 미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환자의 심리·정서관리와 환자의 심리 파악이라는 두 개의 주제가 드러났다. 미술치료의 효과 영역에서는 환자의 긍정적 변화와 환아 관리 두 가지의 주제가 나타났고, 미술치료를 통해 바라는 점으로 환자의 흥미유발, 미술 교육적 측면 보완,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차별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병원학교의 미술치료에 대해 의료진들과 소아암 환자의 보호자들의 실제 경험에서 나온 관점들을 기초로 비교 분석 하여 병원학교 내 미술치료의 효용성과 의료진과 보호자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사실적으로 알아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수의 의견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에 한계를 가진다. 추후 앞의 제한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된다.

      •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김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24

        Most research on medical accidents is related to medical disputes and malpractice of relief system.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which explores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patients injured by medical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f patients harmed by medical acciden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ians' explanation and attitude and PTSD symptoms. A total of 180 patients were drawn from a medical accident organization and online communities related to medical accidents. Results showed that 171 (95%) of the subjects experienced full PTSD symptoms and their severity of the PTSD Symptoms was as high as those who experienced other severe traumatic events. Though the main effect of clinician’s explanation and attitude on PTSD symptoms was not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ians’ explanation and attitude and PTSD symptoms. In other words, whe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low, the poorer the explanation and attitude of clinicians, the more severe the symptoms of PTSD. Drawing from these results, psychological, social,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alleviate and prevent PTSD symptoms of patients injured by medical accid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의료사고 관련 연구들은 의료분쟁 및 피해구제와 관련한 법이론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의료사고 환자들의 심리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사고를 겪은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현황을 알아보고,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PTSD 증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의료사고 단체와 의료사고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모집된 총 180명의 의료사고 환자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 중 171명(95%)이 완전 PTSD 증상 수준으로 선별되었으며 다른 외상 경험자들과 비교해도 PTSD 증상의 심각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가 PTSD 증상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PTSD 증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수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 때는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에 따른 PTSD 증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을 때는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가 미흡할수록 PTSD 증상이 악화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사고 환자들의 PTSD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하는데 있어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