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적벽가 리듬형의 변화연구 : 박봉술제 자진모리를 중심으로

        김나연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적벽가 리듬형의 변화연구 -박봉술제 자진모리를 중심으로- 김나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 신용문 본 연구는 동편제의 호방하고 거친 맛, 씩씩하고 웅장함이 특징인 박봉술제 적벽가 중에서 <적벽화전> 대목에 주목하였다. 적벽가는 꿋꿋한 우조, 빠른 장단과 호령조로 장수의 늠름함과 기상, 부모, 자식, 사랑하는 아내를 고향에 두고 전쟁에 나온 군사들의 애환과 슬픔, 그리고 전쟁의 긴박함 등을 잘 표현한 음악이다. 적벽가의 여러 대목 중 에서도 적벽화전 대목은 장단과 사설, 붙임새가 특이하여 이를 분석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겠다. 연구 방법으로 자진모리의 장단별 리듬형태 분석을 통해 3분박 중심의 리듬유형 (A형). 2분박 중심의 리듬유형 (B형). 3분박과 2분박 중심의 혼합 장단유형 (C형). 2분박과 3분박 중심의 혼합 장단유형 (D형)으로 분석하였고 붙임새 유형으로는 대마디 대장단, 잉어걸이, 완자걸이, 교대죽을 리듬분석의 분포와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1. 3분박 중심의 장단유형 (A형-총 78종) 2. 2분박 중심의 장단유형 (B형-총 37종) 3. 3분박과 2분박의 혼합 장단유형 (C형-총 18종) 4. 2분박과 3분박의 혼합 장단유형 (D형-27종) 첫째, 3분박 중심의 리듬형태는 총 138장단으로 78종류의 다양한 리듬변화가 나타났는데 가장 많이 출현한 리듬은 A-1의 리듬형태로 총 138장단 중 11회 출현하였으며 표1의 A-1~A-29의 리듬형을 제외한 49종류의 리듬형이 단 1회 출현으로 다양한 자진모리장단의 리듬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둘째, 2분박 중심의 리듬형태는 총 37장단 중 29종류가 출현하였고 그 중 단 1회 출현하는 리듬형태가 22종류로 아주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3분박과 2분박의 혼합 리듬형태는 총 21장단 중 17종류가 출현하였다. 넷째, 2분박과 3분박의 혼합리듬형태는 27종류가 출현하였고 가장 많은 반복이 단 3회이고 단 1회 출현한 리듬형태가 18종류로 다른 리듬형태와 마찬가지로 잦은 반복보다는 다양한 리듬변화를 보이며 적벽화전 대목의 이면을 잘 표현하여 전쟁의 생생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붙임새는 대마디 대장단, 잉어걸이, 완자걸이, 교대죽이 출현하고 있으며 대마디 대장단은 모두 3분박 중심의 리듬형태에서 전체 231장단 중 45회, 잉어걸이는 31회 걸쳐 출현하였고 첫 박에 걸린 경우, 10박에 걸린 경우, 7박에 걸린 경우, 4박에 걸린 경우, 첫 박과 10박에 동시에 나타난 경우 등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3분박, 2분박, 혼합박에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완자걸이는 총 52회 출현하였고 교대죽은 총 21회 출현하였으며 리듬분석과 붙임새 분석을 통하여 적벽화전에서 표현되고 있는 전쟁의 긴박함, 군사들이 처한 상황의 묘사, 슬픔, 조조의 패배 등의 이면을 아주 잘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바로 박봉술제 적벽가의 특징이라 하겠다. A Study on the Change of Rhythm Types in Pansori Jeok Byeok Ga (Song of Redwall) -Focusing on Park Bong Sul-je Jajinmori Kim Na Yun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Jeok Byeok Hwa Jeon part (passage) of Park Bong Sul-je Jeok Byeok Ga, which was characterized by open-hearted, harsh, brave, and magnificent Dong Pyeon-je (Eastern School). By using strong Ujo, fast Jangdan, and shouting tone, Jeok Byeok Ga expressed well the gallant spirit of generals , the joys and sorrows of solders who left their parents, children, and loved wives in their hometowns, and the tension of the wa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eok Byeok Hwa Jeon part which was unique in Jandan(rhythm), narrative, and Buchimsae, and so examine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rhythm types by Jangdan in Jajinmori into 3-part-divided time(Bak)-centered Jangdan type(Type A), 2-part-divided time(Bak)-centered Jangdan type(Type B), 3-part-divided time(Bak) and 2-part-divided time(Bak)-mixed Jangdan type(Type C), and 2-part-divided time(Bak) and 3-part-divided time(Bak)-mixed Jangdan type(Type D). As Buchimsae types, this study analyzed daemadidae Jangdan, Ingeogeoli, Wanjageoli, and Gyodaejuk along with the distribution of rhythm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3-part-divided time(Bak)-centered Jangdan type (Type A- 78 types in total) 2. 2-part-divided time(Bak)-centered Jangdan type (Type B- 37 types in total) 3. 3-part-divided time(Bak) and 2-part-divided time(Bak)-mixed Jangdan type (Type C- 18 types in total) 4. 2-part-divided time(Bak) and 3-part-divided time(Bak)-mixed Jangdan type (Type D- 27 types in total) First, 3-part-divided time(Bak)-centered rhythm type was a total of 138 jandgdans, and showed the diverse rhythm changes of 78 types. The most frequent rhythm was the rhythm type of A-1, which appeared 11 times among 138 Jandans. Except the rhythm types of A-1~A-29, 49 rhythm types appeared only once, which constituted the diverse rhythm types of Jajinmori Jangdan. Second, 2-part-divided time(Bak)-centered rhythm type was 29 types among a total of 37 jangdans. 22 rhythm types appeared only once, so the rhythm types appeared diversely. Third, 3-part-divided time(Bak) and 2-part-divided time(Bak)-mixed Jangdan type was 17 types among a total of 21 Jangdans. Fourth, 2-part-divided time(Bak) and 3-part-divided time(Bak)-mixed rhythm type was 27 types. The most frequent repetition was only three times. 18 rhythm types appeared only once. So, like other rhythm types, this type shows diverse rhythm changes rather than frequent repetitions, so that the reverse side of Jeok Byeok Hwa Jeon part can be expressed well and then the vividness of the war can be felt. In Buchimsae types, Daemadidae Jangdan, Ingeogeoli, Wanjageoli, and Gyodaejuk appeared. Daemadidae Jangdan appeared 45 times among 231 Jangdans in 3-part-divided time(Bak)-centered Jangdan type. Ingeogeoli appeared 31 times. Ingeogeoli was classified into being hung on 1st Bak, being hung on 10th Bak, being hung on 7th time(Bak), being hung on 4th time(Bak), and being hung on both 1st time(Bak) and 10th time(Bak). Ingeogeoli was appeared diversely in 3-part-divided time(Bak), 2-part-divided time(Bak), and mixed time(Bak). Wanjageoli appeared 52 times in total. Gyodaejuk appeared 21 times in total. Through analyzing rhythm and Buchimsae, this study found that Jeok Byeok Hwa Jeon expressed very well the tension of the war, solders' situations and sorrows, and Jojo's defeat at the reverse side, which was the very characteristics of Park Bong Sul-je Jeok Byeok Ga.

      •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중학교 자유학년제 미술 수업지도 방안 연구

        김나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interest toward beautiful and pleasant urban environment and space is increasing. It led to creation of new towns, and expansion of urban space, and old city centrals are facing issues such as decreased population and financial loss. Governments started to proceed urban restoration project separately in leading region and general region. As a part of urban restoration design,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 method using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To make ou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a stage of developing dreams and talent of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chose 'expansion of free-year system' as the main task of educational innovation, and currently runs 1 year free-year system in most of the middle school.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to proceed long-term project class based on free-year syste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rban restoration design in the arts, gym class program in free- year system and use the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for the design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 participant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create an education method and make it applicable to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local cases through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among various urban restoration,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make it applicable, and applied to the lesson plan. The scope of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urban restor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understand the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based on cases from Chonbuk region. After investigating, analyzing cases, applying to local region, the target location is selected to design the outdoor and surrounding environment by each group. With the 34 lessons from free-year system,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education method in project format to let students experience the urban restoration design process directly and suggested this as a lesson plan. The basic purpose of arts and gym activity of free-year system is to secure the maximum autonomy of students by operating based on students' common interest, and support the autonomous cap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For this, the Ministry of Education suggested project programs to improve the personality and aesthetic emotion. This study applied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as a part of cultural restoration business among various categories of urban restoration. The elements of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are categorized into hardware and software elements. Hardware elements are architectural use, us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use as the space of record, and software elements are storytelling, program, operation of commercial space. Unlike the existing curriculum, the free-year system don't have any materials such as curriculum or textbook. Free-year class that focuses on experiment and practice make it more crucial to accurately delivery information. Thus, this study applied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and suggested 34 lessons of urban restoration design clas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lesson plan to experience process of urban restoration design with one subject for a year unlike existing curriculum. The result of effectively applying the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to middle school free-year system is as below. First, to apply long-term project class to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urban restoration, and his study used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among various approaches. The contents were based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about history and culture of local buildings and spaces that one may pass by in the daily life. By analyzing and exploring the community,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community spirit. Second, based on the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from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analysis by group, this study suggested a lesson plan about storytelling and modelling of space. Students delivered their opinion on discussion throughout the lesson plan, and learned to cooperate from group activities of listening to others' opinion. Third, to apply the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to the class, this study created the lesson plan for 17 weeks. To apply the contents to the class, this study suggested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is a basic design process which can help students find, explore and solve problems. Free-year system class using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must not just end as a simple making and decorating activity, but the urban restoration project class that communicates with local community and shares history and culture should be a creative class that includes communicating and problem solv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systematic and creative education method for free-year class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as one of the various education method by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and providing a long-term project to free-year system that was difficult to do in the curriculum.

      • 초기 성인 커플의 부모화가 거부민감성과 강박적 돌봄을 매개로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검증

        김나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부모화와 이성관계 만족도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강박적 돌봄의 매개효과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기 성인 커플 212쌍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23에서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해 인구통계학적 정보과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AMOS 26.0에서 문항묶음을 제작하여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해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였다. 최종모형을 대상으로 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한 다음 등가제약모델을 설정해 성별에 따른 효과 크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부모화와 여성 이성관계 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주요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는 이성관계 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으며, 거부민감성과 강박적 돌봄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없었고, 남성의 강박적 돌봄은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를 감소시켰으며, 여성의 강박적 돌봄은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와 파트너의 이성관계 만족도를 감소시켰다. 넷째, 최종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강박적 돌봄은 부모화와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다섯째,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부모화 된 초기 성인은 애정관계에서 강박적 돌봄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를 낮추며, 여성의 경우 파트너의 이성관계 만족도 역시 낮춤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pulsive caregiv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MIP). Data were collected from 212 early adult coup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3 to examine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Moreover, using AMOS 26.0, the model fit was confirmed by conducting item parceling, an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t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inal model by conducting bootstrapp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were tested by forming equality constrained mo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except for man parentification and woma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parentification had a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 significant effect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pulsive caregiving. Third, the rejection sensitiv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s compulsive caregiving decreased thei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omen’s compulsive caregiving decreased their and their partner’s satisfaction. Forth, path analysis of the final model showed that compulsive caregiving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ifth,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actor and partner effect. Therefore, parentified early adults tend to compulsively do caregiving, consequently reducing thei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ven their partner's in the case of wome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요양시설 노인을 위한 구강건강 관리 평가도구 개발

        김나연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요양시설 노인들은 구강 건강에 취약하여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고, 인지 기능, 관절 움직임 및 보행능력 등이 저하되어 스스로 구강관리를 수행하기 어렵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구강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강 건강관리 및 평가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필요하지만, 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노인의 신뢰도, 타당도, 실무적용 가능성이 검정된 구강 건강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도구 구성요인 목록 형성, 예비 평가도구 문항 구성 및 내용 타당도 검정, 예비조사, 최종 도구 평가, 최종 도구 실무적용 가능성 평가 및 도구 확정 순서의 절차를 거쳤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요양시설 노인의 건강 상태 6문항, 구강관리 문제 수준 10문항, 구강 건강 평가 7문항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검정을 통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한 후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수정⸳보완한 도구의 최종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최종 문항은 건강 상태 6문항, 구강관리 문제 수준 6문항, 구강 건강 평가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최종도구 평가를 위하여 본 조사 및 타당도와 신뢰도, ROC 곡선 및 최적 경계점수를 확인한 후 실무적용 가능성 평가를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시설 노인 100명과 실무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할 현직 1년 차 이상의 임상 치과위생사 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내용 타당도지수 산출(Content Validity Index, CVI), 평가자 간 신뢰도(percent agreement, kappa statistics)와 상관계수 분석(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area under ROC curve (AUC), 민감도, 특이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실무적용 가능성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평가자 간 일치도 검정에서 구강관리 문제 수준은 99∼100%, 구강 건강 평가에서는 틀니, 입술, 점막, 치은, 음식물 잔사 항목에서는 90∼99%, 혀 86%, 치면세균막89%, 구취 70%, 타액 69%로 나타났고, 평가자 간 신뢰도 검정 결과, 구강관리 문제 수준의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는 1.000, 구강 건강 평가의 ICC는 .958로 나타나 교육을 받은 평가자라면 어렵지 않게 동일한 결과를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구강건강 평가는 준거 도구 점수는 11.4, 개발된 도구 점수는 12.8로 나타났고, 상관계수 값은 .884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p<.001), 동시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에서 판단 기준을 정하기 위해 cut-off value를 확인한 결과, 구강관리 문제 수준은 민감도(sensitivity) .988, 특이도(specificity) .895로 나타났고, 6.5점을 기준으로 구강관리 문제 수준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구강건강 평가는 민감도(sensitivity)가 .782, 특이도(specificity)가 .962로 나타났고, 9.5점을 기준으로 구강건강 평가 시 중등도 상태임을 구분할 수 있었다. 본 도구의 효용성, 구성의 적절성, 포괄성,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실무에서 사용 적용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요양시설 노인의 구강건강 관리 평가도구를 통해 일상 구강관리 및 전문가 구강관리를 수행하기 전 구강관리 문제 수준에 대해 파악할 수 있고, 정기적으로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도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구강관리와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키워드 : 요양시설 노인, 구강건강 평가, 신뢰도, 타당도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show weak oral health status with a high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hile the reduced cognitive function, joint motion, and gait ability prevent self-care of oral hygiene.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have a precise guideline of oral health care and assessment, but such guidelines are not readily available. Thu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ral care assessment tool with verified reliability, validity, and potential use in practice for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the tool involved creating a list of items to compose the tool, forming the questionnaire of the preliminary tool, verifying its content validity, conducting the preliminary test, evaluating the final tool, verifying the potential use of the final tool in practice, and confirming the use of the final too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ix questions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ten questions on oral care problems, and seven questions on oral health assessment were formed for the questionnaire of the preliminary tool. After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tool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questions, the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test,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osed. The revised and complemented tool contained six questions on health status, six questions on oral care problems, and nine questions on oral health assessment. To evaluate the final too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tests of validity, reliabilit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 and cut-off scores, after which the potential use of the tool in practice was verifi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0 elderly patients at a care facilities and 10 clinical dental hygienists with at least one year of practice, to perform the test and verify the potential use of the assessment too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ntent validity index (CVI), and inter-rater reliability (percent agreement, kappa statistics), as well as the analyses of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OC curve, area under ROC curve (AU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ovel tool were of outstanding levels, with a high potential for practical use. The inter-rater agreement was 99 -100% regarding oral care problems, and regarding oral health assessment, 90–99% for dentures, lips, mucosa, gingiva, and food residues; 86% for tongue; 89% for dental plaque; 70% for halitosis; 69% for saliva.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1.000 on the ICC analysis for oral care problems and .958 on the ICC analysis for oral health assessment, which indicated that trained raters would be able to produce consistent results. Th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884,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between the standard tool (with the score of 11.4) and the novel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ith the score of 12.8).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using the developed tool with confirm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cut-off value was examined. The results for oral care problems were. 988 for sensitivity and .895 for specificity, while a score of 6.5 led to the distinction of the level of oral care problems. For oral health assessment, the results were .782 for sensitivity and .962 for specificity, while a score of 9.5 differentiated severely affected health. When the utility of the tool, suit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tructure, comprehensivenes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analyzed, high scores were obtained to indicate a high potential for practical use. The novel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for oral health care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is anticipated to allow analyses of the level of problems related to oral health care before routine as well as professional care. Moreover, regular checkup of oral health status will enabl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Utilization of the tool will als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oral care and oral health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Keyword: Elderly in care facilities, Oral care assessment, Reliability, Validity

      • 자기 불일치와 구획화가 우울 증상 및 조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나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 불일치가 우울 증상 및 조증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획화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만 18세 이상 성인 462명을 대상으로 자기 불일치, 구획화, 우울 증상, 경조성 성격, 조증 증상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불일치와 구획화 는 각각 우울 증상과 정적 상관관계를, 조증 증상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자기 불일치가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획화가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제 자기와 이상적인 자기 간의 불일치가 높더라도,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는 구획화 수준이 낮은 개인은 우울 증상 수준이 낮았다. 반면, 자기 불일치가 조증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획화가 조절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우울증을 겪고 있는 개인들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자기 개념이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자기 측면의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compartmentalization would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depressive, and manic symptoms. For this purpose, the levels of self-discrepancy, compartmentalization, depressive symptoms, manic symptoms, and hypomanic personality were measured for 488 adults aged 18 or older through an onlin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elf-discrepancy and compartmentaliza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nic symptoms. Further, it was found that compartmentalization has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ve symptoms. Specifically, Individuals with lower compartmentalized organization have relatively low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even if they have a high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ideal self. On the other hand, compartmentalization does not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manic symptom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to look at how self-concepts are organized and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self-aspects in depressed individual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장소성 변화 연구 : 종로구 익선동을 중심으로

        김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Korean cities are trying to express their regional identity based on their unique history of formation, unique culture and differentiation, and to use the place itself as a means of urban marketing. However, it has not been long since discussions on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regional discrimination" began in the course of Korea’s urban planning. Since 2010, cities have focused on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and made efforts to gain competitiveness through their uniqu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to break away from the standardized and homogenized appearance (2018, Yoo Hana). However, these efforts were only in the beginning of the plan and began to undermine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in a uniform and integrated way based on finance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he area in Ikseon-dong, Jongno-gu, Seoul, is a 100-year-old residential hanok village which was created in the 1920s and 30s. Ikseon-dong was designated as an urban environment readjustment zone in 2004, but after 10 years of business delays, it became an old and forgotten area. However,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promotion committee in 2013, Ikseon-dong began to turn into a new and unique place, with the creation of unique and young-sense shops and studios in 2014. From 2016, the placeness of Ikseon-dong has been transformed from a quiet old one to a hot place with more people. Although the placeness of Ikseon-dong has been changing due to commercialization,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 plan since 2018 to preserve the past things without investigating or recording the changes. This can be seen as based on the idea that the changing location of Ikseon-dong should be fixed and maintained in its original form.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at recording the changing appearance of the placeness of Ikseon-dong was a priority. Therefore, this study chronologically recorded the history and appearance of Ikseon-dong by using the placeness component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y, assuming that placeness is always changing in line with the global era. Three components of placeness (physical elements, behavioral elements and meaningful elements) were set up as analysis frameworks and each was analyzed from 2013 to 2019. Physical elements were analyzed by changes in the use, type of business, and appearance of buildings at different times through field surveys, roadview photographs, and literature surveys. In particular, behavioral and semantic fac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siders(residents and merchants) and outsiders(visitors) considering that they would have different experiences with Ikseon-dong. 10 insiders were deeply interviewed by groups and 100 Naver blog posts of each quarter were analyzed by web crawling for outsiders.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element of Ikseon-dong and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how the place called Ikseon-dong was created and changing. The analysis showed that since 2013, changes i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laceness of Ikseon-dong has changed a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The physical elements of Ikseon-dong have changed from hanok to unique cafes and restaurants. Behavioral factors changed from residence and community to changing the use and apprearance of buildings. From an outsider’s perspective, behavior has changed from walking to dating, visiting cafes/restaurants and watching various shops. The semantic elements have changed from images of old, uncomfortable and dirty to clean, many people and bright. Insiders also feel that the change to a chain store or name of other places or Japanese-style building, rather than just an element in Ikseon-dong, reduces the attraction of Ikseon-dong. Outsiders were able to see that it had changed from quiet image to unique, pretty, and various images. Although Ikseon-dong suffers from commercial gentrific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reveal and record that new placeness is being reproduced due to changes in the three elements and interactions. 서울시를 비롯한 국내 도시들은 경쟁력을 키우기 위하여 독특한 역사와 고유한 문화, 차별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발현시키고 장소 자체를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도시계획의 흐름에서‘지역의 정체성’과‘지역별 차별성 강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2010년 이후부터 각 도시들은 지역 커뮤니티의 역할을 중시하고, 지역만의 정체성 및 차별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여 획일화되고 동질화된 모습에서 탈피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2018, 유하나).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계획의 초반에만 있었을 뿐,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기보다 재정에 기반한 획일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장소의 모습과 특징을 훼손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대상인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일대는 1920-30년대에 조성된 약 100년 된 주거용 한옥밀집지역이다. 익선동은 상업지역으로 2004년에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10년간의 사업 지연으로 건물은 노후화 및 슬럼화되었고 익선동은 낡고 잊혀진 동네가 되었다. 하지만 2013년 추진위원회 해산 이후 2014년부터 익선동에 독특하고 젊은 감각의 가게와 예술가들의 작업실이 생기면서, 익선동은 새롭고 독특한 장소로 변하기 시작했다. 이후 2016년부터 익선동의 장소성은 조용하고 낡았던 모습에서 사람이 많아지는 핫 플레이스로 새롭게 변했다. 한편 익선동의 장소성은 상업화에 따라 2016년 이래로 계속 변하고 있으나,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조사나 기록 없이 과거의 모습만을 보존하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여 2018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이는 변화하고 있는 익선동의 장소성을 고정시키고 본래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에 근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익선동의 장소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기록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발맞추어 장소성은 늘 변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Relph(1976)와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장소성 구성요소를 분석틀로 이용하여 익선동의 역사 및 모습과 시기별 장소성을 기록했다. 장소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물리적 요소’,‘행태적 요소’,‘의미적 요소’를 분석틀로 세우고 각 요소의 변화를 2013년에서 2019년까지 분석하였다. 물리적 요소는 현장 조사 및 로드뷰 사진, 문헌 조사를 통하여 시기별로 건물의 용도·업종·외관의 변화 모습을 추적했다. 특히 행태적 요소와 의미적 요소는 내부인(주민 및 상인)과 외부인(방문객)이 익선동에 대한 체감과 경험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부인은 10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시기에 따른 행태와 의미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외부인은 네이버 블로그 글을 분기별로 100개씩 웹 크롤링한 후 시기별로 방문객의 행태 및 의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후 익선동의 시기별·요소별 특성을 도출하고 익선동이라는 장소가 어떻게 생성되고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래로 다양한 주체들의 행태적 특성 변화로 인해 물리적 특성이 변하고, 의미적 특성이 변하면서 익선동의 장소성은 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익선동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는 크게 ‘한옥’,‘좁은 골목’에서‘독특하고 예쁜 가게 외관’,‘카페, 맛집 등 다양한 가게’로 변화하였다. 행태적 요소는 내부인의 입장에서는 ‘거주’,‘커뮤니티 활동’에서‘용도 및 외관 변화’,‘초기 상인의 이주’‘커뮤니티의 와해’로 변화하였다. 외부인의 입장에서는‘산책’에서‘데이트’,‘카페 및 맛집 방문’,‘다양한 가게 구경’등으로 행태가 변화했다. 의미적 요소는 내부인에게‘낡고 오래된’,‘불편하고 더러운’등의 이미지에서‘깨끗한’,‘사람이 많아진’,‘밝아진’등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했다. 또한 내부인들은 익선동에만 있는 요소들이 아닌 체인점이나 타 상호명, 일본식 건물로의 변화는 익선동의 매력을 절감하는 요소라고 느끼고 있다. 외부인들은‘조용한’,‘한적한’분위기에서 ‘독특하고 예쁜’,‘다양하고 구경거리가 많은’등의 이미지로 변했다고 체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익선동이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을 겪고 있으나 세 가지 요소의 변화와 상호작용으로 새로운 장소성이 재생산되고 있음을 밝히고 기록하는 데 의의를 둔다.

      • SW교육 수업 구성이 컴퓨팅 사고력과 태도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나연 인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class constitution which could enhance th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cognition by SW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managed for software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is the verification results to research data and analysis the outcome on the basis of th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cognition to confirm the outcome of software education and refers many documents such as management report and plan about curriculum of 15th middle schools where the schools attended on the research for software education. SW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are run by research school consist of SW education of informational curriculum, SW convergence education of general curriculum, SW education of after school activity and SW field learning activity. Among them, SW education of informational curriculum is confirmed as having much influence to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cognition.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1.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could influence class formation and times using SW educational devices.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could be enhanced when enough class times(at least 68th) is secured for activities at which learners could code through EPL and as the result treat physical computing. 2. Learners’ attitude and cognition could influence learners’ levels. 1) The result of analysis for class using physical computing is as follows. Junior learners like freshmen have a good effectiveness in using Entry sensor board which has low difficulty on utilizing it as not having circuit than using Arduino board which could be complex on utilizing as having more complex circuit. So, the class on using Arduino board is regarded proper to senior learner. 2) The result of analysis for class not using physical computing is as follows. Junior learners feel difficulty in class using EPL and unplugged devi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treat the simple educational devices, basic concepts and enough class times(at least 34th) is needed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As for 2th learners, attitude and cognition could be enhanced by using EPL class(at least 34th). 3. According to the result mentioned befor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cognition show the differences on the class forms with SW educational devices and learners’ levels and these three factors seem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1) To freshmen learners, to let them get enhancement o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cognition, it is important that enough class times(at least 34th) and studying contents that could make learners have interest and choosing SW educational devices related diverse phenomenon to occur at actual life to basic principles of SW. 2) To senior learners, it is analysed as important for us to have enough class times(at least 34th) and is possible to utilize diverse SW educational devices than juniors to do. 3) The positive result of managing SW education could stem from securing enough class times for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SW while learners could check the results through directive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simply proposed activities and SW educational devices chosen by learners’ levels. 본 연구는 SW교육 연구 중학교에서 운영한 SW교육활동으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태도 및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SW교육도구 및 수업시간 등의 수업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 조사 및 결과 분석을 위해서 SW교육 연구 중학교 15개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문서화한 운영계획서 및 운영보고서 등의 자료를 참조하였으며 SW교육의 운영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태도 및 인식의 검증 결과를 기준으로 학교별 교육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 학교에서 운영한 SW교육활동은 크게 정보교과의 SW교육과 일반교과의 SW융합교육, 방과후 활동의 SW교육, SW체험학습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정보교과의 SW교육이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태도 및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은 SW교육도구에 따라서 수업 형태와 수업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학습자가 EPL을 통하여 직접 코딩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지컬 컴퓨팅을 동작시켜 보는 활동에서 충분한 학습시간(68시간)이 이루어졌을 때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 2. 학습자의 태도 및 인식은 학습자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1)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수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학년과 같은 저학년 학습자의 경우 회로 구성으로 활용 면에서 복잡함이 있을 수 있는 아두이노를 활용하는 수업 보다 회로의 구성이 없어 활용 면에서 난이도가 낮은 엔트리 센서보드를 활용하는 수업이 좀 더 효과적이었다. 3학년과 같은 고학년 학습자의 경우 아두이노를 활용한 수업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하지 않은 수업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학년과 같은 저학년 학습자의 경우 언플러그드와 EPL을 활용한 수업에서 어려움을 느꼈다. 그러므로 한 가지 종류의 교육도구를 활용하거나 기초적인 개념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것과 충분한 학습시간(34시간 이상)이 중요하였다. 2학년 학습자의 경우 EPL을 활용한 수업(34시간 이상)에서 태도 및 인식이 향상될 수 있었다. 3. 앞서 살펴본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태도 및 인식은 SW교육도구에 따른 수업의 형태와 수업 시간,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며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1) 저학년 학습자의 경우 컴퓨팅 사고력과 태도 및 인식이 모두 향상되기 위해서는 활용 면에서 난이도가 낮은 SW교육도구를 선정하고 실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현상을 SW의 기초적인 원리와 연계하여 학습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학습 내용과 충분한 학습시간(34시간 이상)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고학년 학습자의 경우 저학년의 학습자 보다 다양한 SW교육도구의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충분한 학습시간(34시간 이상)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SW교육도구를 선정하고 제시되어 있는 대로 단순히 실행시켜 보는 활동보다 학습자가 직접적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면서 SW의 원리를 이해해 나갈 수 있는 충분한 수업시간이 편성되었을 때 긍정적인 SW교육의 운영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김나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most widely distributed among the teaching staff at nurser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vestigate the actual working environment,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improve the environment.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Question 1. How does job stress differ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Question 2. How does job satisfaction differ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Question 3. How i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ssoci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85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at 104 nurseries given financial support for labor costs (national/public, corporate, and workplace) and those given no financial support (private and home) in Incheon. Previous studies (Kim, 1992; Kim, 1999; Gwon, 1990; Seong, 1994; Jang, 2006) using the translation of the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which is D’Arienzo's (1981) adaptation of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lark (1980), were consulted to measure job stress. Previous studies (Song, 1993; Yu, 1996; Lee et al., 2001; Cho, 2004) using the adaptation and translation of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 manufactured by Jorde-Bloom (1989) and the Purdue Teacher Opinionaire (PTO) manufactured by Bently and Remple (1970) were consult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19.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analyz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Cronbach's α of internal consistency was analyzed for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by the type of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in Incheon. Childcare teachers at national/public nurseries showed low levels of job stress, whereas those at home nurseries showed high levels of job stres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by the type of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their major, and the mean wage. Childcare teachers at workplace nurseries and those majoring in child studi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Teachers whose monthly average income was ≥1.8 million w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rd,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strong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the greater job stress teachers experienced, the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y showed; the less job stress teachers experienced, th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y show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determin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tatus of childcare teachers in Incheon, develop an effective plan in minimizing their job stress, and take measures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help give them a new understanding of childcare teachers' roles and promote their sense of duty. Key words: nursery, childcare teache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관내에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직원 중 가장 많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근무환경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고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인건비 지원시설(국·공립 , 법인, 직장 어린이집)과 인건비 미지원시설(민간, 가정 어린이집) 104개 시설로부터 담임을 맡고 있는 185명의 보육교사가 참여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Clark(1980)가 개발하고 D’Arienzo(1981)가 수정한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를 번안하여 사용한 선행연구(김남희, 1992; 김영선, 1999; 권기태, 1990; 성영혜, 1994; 장명숙, 2006)를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Bently와 Remple(1970)가 제작한 PTO(Purdue Teacher Opinionaire)와 Jorde-Bloom(1989)이 제작한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한 선행연구들(송유진,1993; 유정혜, 1996; 이희자 외, 2001; 조성연, 2004)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19.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합치도인 Cronbach's α 값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인천시 어린이집의 시설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시설유형, 보육교사의 전공, 평균급여에 따라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아동학을 전공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더불어 평균 180만원 이상의 보수를 받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 높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낮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천광역시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현황을 파악하고, 보육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 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모색과 더불어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길 기대해본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사명감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주제어: 보육교사, 어린이집,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 명함만들기 수업이 고등학교 학생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나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행복한 삶을 추구하며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살 수 있도록 노력한다.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 삶의 목표를 바르게 세우고 나의 존재와 의미의 가치를 찾고, 자아실현을 이루었을 때 비로소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자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을 성장시켜 나갈 수 있어야 하며, 현명한 삶의 방법을 터득하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삶의 목표를 인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미술 교과에서의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와 계기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1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프로그램을 지아이해를 중점으로 하여 명함만들기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진행한 명함만들기 수업은 총 3 차시로 ‘1 차시 : 자아탐색 및 자아이해’, ‘2 차시 : 명함만들기’, ‘3 차시 : 작품 감상’으로 구성되었다. 1 차시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진로성숙도 검사를 진행하고 3 차시의 모든 수업을 진행 한 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변화가 있는지 사후검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명함만들기 수업을 본 연구의 대상자인 고등학교 1 학년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수업의 느낀 점을 조사하였다. 명함만들기 수업을 총 3 차시로 진행하여 학생들의 작품 결과물을 통해 질적 분석을 하고, 수업 후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느낀 점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명함만들기 수업이 고등학교 1 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진로성숙도 검자지의 13 가지 문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자신의 이해 측면과 진로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함양시켰다. 셋째,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 명함을 제작해봄으로써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길러주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자아이해, 진로탐색과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여자고등학교 1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남여 모든 성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고등학교 1 학년 학생 뿐 아니라 고등학교 2, 3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의 함양을 위하여 고등학교 단계에 맞는 다양한 활동의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We pursue a happy life and strive to be satisfied with our life. We can feel happy only when we set our goal of life properly,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our life, and achieve self-realization in order to enjoy a happy life. We must be able to work toward our growth based on a good understanding of ourselves, and achieve self-realization by learning how to live wisel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specific goals of life based on our understanding of ourselves. Career education in the art curriculum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make concrete plans and rational decisions for the future. This paper developed a lesson plan to create business cards with emphasis on self-understanding of students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rough art lesson for th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lesson plan on students’ career maturity. Business cards making lesson for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essions in total: ‘the first session: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e second session: making business cards’, and ‘the third session: appreciation of works’. Before the first session, Career Maturity Inventory (CMI) was carried out and after all three sessions were finished,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to examine if there was any change i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opinion of th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business cards making lesson. After the three sessions of business cards making lesso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work and their views on the less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business cards making less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of th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13 items of the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In particular, there was an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certainty and confidence in their own career has increased as students created their future business cards. Fourth,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career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and the lesson provided the occasion for self-understanding, career search and career cho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irst-grade students in female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tudents of both sexes. There should be further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programs not only for th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for the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In order to cultivate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ies,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high schoo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