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살심리 개선을 위한 재구조화에 기초한 목회상담 방법론 연구

        전성호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대한민국은 17년 연속 OECD 자살률 1위 국가다. 매년 최소 만 명 이상이 자살로 죽고 있지만, 오래 지속된 자살률로 인해 이러한 현실은 사회적으로 무덤덤하게 여겨지는 듯하다. 그럼에도 자살과 관련된 고민은 가벼울 수 없다. 교인도 이러한 고민에 예외는 아니다.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 자살은 구원과 반대되기에 신앙인의 자살은 안타까운 개인만의 현상을 넘어, 신앙 정체성(믿음)의 상실을 걱정케 한다. 한국 사회에 지속된 자살현상을 야기하는 역동이 신앙인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신앙인의 믿음체계 또한 약화시키고 있다면, 자살과 관련된 사회현상은 이를 촉발하는 구조이거나, 구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제는 20년을 바라보는 지속된 자살현상 앞에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자살심리에 관한 근본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 구조의 폐해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다만, 정신분석의 이론을 주창한 프로이트로 돌아가 인간의 심리구조를 통해 자살심리를 다룬다. 자살과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우울심리에 관한 프로이트의 분석에서 출발하여 자살 심리의 메커니즘과 구조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자살에 이르는 우울이 초자아의 억압에 따른 자아의 심리라는 사실을 정리한다. 자살 심리를 야기하는 초자아의 변화를 위해, 목회상담적 대안으로 초자아 재구조화를 제안하려 한다. 제안된 초자아 재구조화의 신학적/목회상담적 함의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초자아 재구조화를 적용한 자살심리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후 이론과 사례분석에 기반한 자살심리 개선을 위한 목회상담 방법론을 제안하며, 결론에서 요약과 논문의 기여점 및 제언을 알린다.

      • 여성적 감수성에 의한 내적심리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혜영 신라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7

        현대 예술가는 분명하고, 일반적으로 따를 만하다고 여겨지는 노선을 더 이상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점은 오늘날에는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내지 바로크에 비견할 만한 양식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성의 결여는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자유를 가져다 주었다. 즉 현대 예술은 전통적 예술과는 달리 열려져 있다. 따라서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오늘날은 매우 다양한 대답이 존재한다. 현대는 다양성의 시대이다. 예술의 표현은 개인의 경험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어진다. 이는 작가 개인의 주관적 표현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 개인을 바탕으로 표현되어지는 예술은 작가의 삶과 적극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그 진실의 향기를 전할 수 있다. 시몬느 드 보브와르(Simon de Beauvoir:1908-1986)가 자신에 대해 무엇인가 쓰려고 할 때 "나는 여자"라는 자각과 함께 출발하게 되더라고 <제2의 성>(Le Deuxieme Sexe, 1949)에서 말하고 있듯이, 어떠한 여성 작가도, 설사 그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하더라도, 자신의 성에 대한 인식이 그의 창작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인도 작품에 제작에 있어 내면 심리의 표출 그리고 표현되어 지는 양식을 통해 본인의 자아 정체성에 대해 고민했다. '나는 어떠한 정체성을 갖고 살아가고 있는가?' 그리고 성(性) 정체성에 대한 인식했고 작품에서 말하고 자하는 바가 본인이 여성이기에 나타나는 필연적 결과임을 알았다. 본 논문은 여성적 감수성으로 실내공간의 이미지를 통한 내적 심리 표현 연구이다. 본인의 작품의 화면은 실내공간과 같은 하나의 공간을 보여 준다. 이 공간은 여성이기에 느끼는 세상에 대한 소외, 두려움, 공포들로부터 보호받고 편안히 휴식을 취하며 자유로울 수 있는 '나만의 방'이다. '나만의 방'에는 '나'를 '의자'라는 실체적 사물에 투사시켜 일체화된 자아의 모습이 존재한다. 인간은 이성(理性)이 제일이고 이 이성이 리얼리티(reality)의 모든 측면들을 다 지배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곧 남성은 이성적인 존재로서 창조주이고, 그 창조주는 이성이 결핍되어 있는 모든 존재들에게 그의 이성을 부여해줄 권리가 있다고 하는 이러한 견해는, 여성과 남성을 감각/ 이성, 자연/ 문화 라는 이분법적 사고들을 고착시켰고 이는 미술에서 곡선/ 직선으로 나타난다. 본인의 작품에서 주요 구성요소는 '선(線)'이다. '방'의 이미지는 단순화된 직선으로 구성되며 매끄러운 붓 터치는 작가의 감정을 느낄 수 없다. '나'로 대변되는 '의자'에만 간혹 곡선의 드로잉이 보인다. 곡선과 직선의 조화 혹은 대조는 본인의 사회에 대한 내적 심리의 이중적 표현방법이다. 이 논문을 통해 본인은 내면심리가 어떻게 여성적 감수성으로 이미지화 되어 예술공간으로 표출되는지 그 방법을 모색해 보려 한다. Contemporary artists have no specific lines which are obvious and suitable to follow. It means there are no remarkable modes comparable to former ones such as Romanesque, Gothic, Renaissance, Baroque, and so on. However this circumstance allows artists to have freedom to express themselves. That is, contemporary art is open to artists unlike traditional art, so there are various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art?". The present time is an age of variety. Artistic expressions are shown variously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s. It's not about the judgment of right or wrong through subjective expressions of artists. Art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is related to the life of artists and emits the scent of truth through various expressions. This study begins with the cognition of feminine sensibility of the researcher as a female artist. Any female artist, though not a feminist like Simon de Beauvoir or Virginia Woolf, may accept the fact that the cognition to gender affects her own creative working. The researcher also recognizes her own identity in the form of psychological expression. The researcher's works show space similar to interior space. This space represents `a room of one's own' which can protect women from isolation, anxiety, fear toward the world and give comfort and freedom. Self reflected on `a chair' as a real object exists in `a room of one's own'. Human beings regard reason as the highest good in the real world and give it a right to dominate all aspects of realities. Furthermore, men are considered as creators, rational beings, granting reason to beings suffering from lack of it. This view makes people adhere to dichotomous ideas such as men and women, reason and sensibility, culture and nature, and so on. In art, these ideas are expressed as curved lines and straight lines. The main factors in the researcher's works are `lines'. The images of `a room' are expressed with simplified straight lines and the artist's feeling is not expressed with smooth brushworks. Some curved lines are shown on `the chair' reflecting `me'. Harmonies and contrasts between curved and straight lines are dichotomous expressions of the researcher's psychology in contemporary society.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화와 양육행동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588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학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행동을 유형화하고 어머니 양육행동의 유형이 자녀의 안정적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머니 양육행동 잠재집단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후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부모 교육 및 자녀 양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개교의 1학년 아동 총 98명의 어머니와 아동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양육행동, 양육불안, 신경증, 외향성, 자녀의 자극추구 척도와 아동의 학교적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4와 Mplus 8.0을 사용하여 각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 양육행동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행동 잠재 집단 구분에 미치는 영향요인(어머니의 연령, 취업유무, 외향성, 신경증, 양육불안, 자녀의 성, 자극추구)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 유형은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해결하위․자율중위집단’, ‘해결․자율중위집단’, ‘해결하위․자율상위집단’, ‘해결․자율상위집단’의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어머니 변인(연령, 취업여부, 양육불안, 어머니의 신경증과 외향성), 자녀 변인(성, 자극추구)은 어머니 양육행동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의 잠재집단에 따라 자녀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을 해결적 개입과 자율성 조성이라는 두 차원의 수준에 따라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함으로서 맞춤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어머니 양육행동 유형 중 특수성을 지닌 ‘해결하위․자율상위집단’을 발견함으로서 학교현장에서 어머니의 자율성 조성 양육행동이 자녀의 학교생활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s with children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their children's stable adjustment to school life. To this end, we tried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potential group classification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arental education and child rearing related to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n this study,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anxiety, neuroticism, extraversion, children's stimulus-seeking scale,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were measured for a total of 98 mothers and homeroom teachers of first grader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s between each major variable were examined using SPSS24 and Mplus 8.0,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extraversion, neuroticism, parenting anxiety, child's sex, stimuli-seeking) were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mother-rearing behavior were classified into four potential group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solving sub/autonomous middle group', 'solving/autonomous middle group', 'solving sub/autonomous supergroup', and 'solving/autonomous supergroup' Second, maternal variables (age, employment status, parenting anxiety, maternal neuroticism and extroversion) and child variables (sex, stimuli-seeking)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groups for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basis for developing a customized parenting education program by classifyi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to four potential groups according to two levels of intervention and autonomy. Second, the discovery of the ‘solving sub/autonomous supergroup’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suggests that mothers’ autonomy fostering parenting behavior can improve children’s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 검도 수행의 내적동기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무경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검도 수행의 내적동기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검도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대상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월말까지 광주·전남에 검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성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으로 27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답변되었거나 무응답 등 신뢰성이 떨어진 14부를 제외한 256부를 최종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며,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연구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다음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ANOVA, Scheffe검정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영향을 검증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내적동기,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검증에서 성별, 운동기간, 단․급별에 따른 내적동기는 유능, 재미, 노력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즐거움, 몰입감, 자아실현감,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내적동기는 재미, 유능, 노력, 긴장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즐거움, 자신감, 몰입감, 자아실현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서는 정신적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신체적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 동기에 따른 내적동기는 재미, 긴장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즐거움, 몰입감, 자아실현감,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빈도에 따른 내적동기는 긴장, 노력, 유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시간에 따른 내적동기는 긴장, 유능, 재미, 노력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자신감, 즐거움, 몰입감, 자아실현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는 정신적 만족과 신체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내적동기가 심리적 행복감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미와 노력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능과 긴장은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가 심리적 행복감의 자신감, 몰입감, 자아실현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미, 유능, 노력, 긴장이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동기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능은 정신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능과 노력은 신체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신감, 몰입감, 즐거움은 정신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과 자아실현감은 신체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적동기는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도출할 수 있으며, 심리적 행복감도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aims at examining the influence on mental feeling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ving of Gumdo performance inner motive to offer basic materials for activating sports-for-all Gumdo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the aim, this dissertation selected a selection group performing at Gumdo hall in Gwangju. Jeonnam from the end of JAN to DEC, 2014, drew sample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executed questionnaire survey with 270 copies in total. This dissertation used 256 copies as the last material except 14 incredible, unfaithful or no answer. The survey tool was questionnaire. By preliminary investigation, this dissertation checked up suitability and application probability to study, ver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used them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ver the material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investigation, this dissertation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ANOVA, and Scheffe examination.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effect among variables, this dissertation execu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ttained the result as followings. First, in the case of difference verification of inner motive, mental feeling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ving, classified with demostatistics, inner motive classified with sex, train period, Gumdo capability (dan) had a differenc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apability, amusement, and effort, and mental feeling of happiness had a differenc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enjoyment, feeling of immersion, feeling of self-realization, and feeling of confidence. But, satisfaction with living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ner motive classified with ag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musement, capability, and tension, and mental feeling of happines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joyment, feeling of confidence, feeling of immersion, and feeling of self-realization. In the case of satisfaction with living, men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physical satisfaction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ner motive, classified with participation moti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musement and tension, and mental feeling of happi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musement, feeling of immersion, feeling of self-realization, and feeling of confidence. But, satisfaction with living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ner motive classified with exercise frequenc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nsion, effort, and capability, but mental feeling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ving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ner motive classified with exercise tim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nsion, capability, amusement, and effort, and mental feeling of happines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feeling of confidence, feeling of immersion, and feeling of self-realization. Satisfaction with liv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mental satisfac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the influence on enjoyment of feeling of mental happiness of inner motive, amusement and effort had an influence, and capability and tension didn’t have an influence on enjoyment. In the case of the influence on feeling of confidence over feeling of mental happiness, interesting, capability, effort, and tension had an influence on confidence. Third, in the case of th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ving of inner motive, capability had an influence on mental capability, and capability and effort had an influence on physical satisfaction. Fourth, in the case of th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ving of feeling of mental happiness, feeling of confidence, feeling of immersion, and enjoyment had an influence on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of confidence and feeling of self-realization had an influence on physical satisfaction. So, this dissertation leaded to the conclusion that inner motive had an influence on feeling of ment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ving, and feeling of mental happiness, and that feeling of mental happiness had an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ving.

      •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내적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류인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8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인종·민족·문화를 수용하여 통합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시대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는 한 주체로서의 결혼이주여성이 심리적으로 안정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이들의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개인내적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적응(생활 만족도, 우울)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내적 특성(자아 존중감, 적응 유연성, 내외 통제성)은 심리적 적응(생활 만족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C도 소재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효한 응답자료 141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dows 10.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적응에 차이가 있었다. 이들의 출신국가와 직업 유무는 생활 만족도에, 출신국가, 월평균 소득, 직업유무, 자녀의 수는 우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내적 특성 중 자아 존중감과 적응 유연성은 심리적 적응의 하위 영역인 생활 만족도 및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내적 통제성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내적 특성 중 심리적 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자아 존중감과 적응 유연성은 심리적 적응, 즉 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내적 통제성은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내적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심리적 적응의 하위 영역인 생활 만족도를 가장 크게 예측하는 변인은 자아 존중감이었으며, 우울을 가장 크게 예측하는 변인은 적응 유연성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높은 자아 존중감과 높은 적응 유연성을 지니게 되면 생활 만족도는 높아지고, 우울은 낮아져 심리적 적응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적응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상담기법과 전략을 통해, 시대적 이슈가 되고 있는 우리 다문화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이 당당한 구성원이 되어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가정을 이루어나가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nd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se wome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se women, in particular the effect of internal trait of im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foreign wives based on their demographic factors? Second, how does internal trait of these women affect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1 im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in C province, who responded to several self-report psychological inventories, including the Self-Esteem Scale, Resilience Scale, Locus of Control Scale, Life Satisfaction Scale, and Depression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of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andard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SPSS 10.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oreign wives' psychologic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factors. Among the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 to the foreign wive's nationality, employment status, the number of children and monthly average income of their family, there were difference in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trait, especially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im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and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Third, the internal trait of foreign wives, especially Self-Esteem and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지속적 수영운동 참여가 내적동기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강영구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는 지속적 수영운동 참여가 내적동기와 심리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수영 운동 참여자의 심리적인 측면과 지속수행의 관계를 밝혀 지도자에게 이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1년 대구광역시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한 5곳의 수영장에서 6개월 이상 수영을 실시한 성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수집된 총 자료는 280명의 것이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26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0.0 통계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했으며, 분석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 되었다. 첫째, 수영운동참여 수준에 따른 내적동기와 심리적 행복감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속적 수영운동참여와 내적동기 그리고 심리적 행복감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지속적 수영운동참여는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수영운동 참여자의 내적동기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지속적 수영운동참여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수영운동참여가 대체적으로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고 있으며 심리적 행복감의 긍정적 작용은 오랜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참여하며 수영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감정의 내적동기유발이 작용할 때 심리적 행복감의 요인이 나타날 수 있으며 내적동기가 선행변수로 작용될 때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지도자가 운동참여자의 심리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더불어 생활체육의 참여가 증대될 수 있도록 체육지도자의 체계적인 교육과 양성 그리고 고용의 기회 확대와 체육시설확보 및 유치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lies in def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aspect of participants in swimming and continuous exercise by analyzing how continuous participation in swimming affects internal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t also aims to provide swimming instructors with basic materials that can help promote extensive understanding of it.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in 2011,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an adult population of 280 in total who had swum for more than six months at five different swimming p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umi-si, Gyeongsangbuk-do. Of all the questionnaires, twenty of them that turned out to have untrustworthy responses were excluded and only 26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7.0 program were utilized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analysis, variou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wimming. Seco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swimming, internal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were interrelated. Thir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swimming had an impact on internal motivation. Forth, internal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swimming had an influe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Fift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swimming affected psychological happiness. Putting together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appears that participation in swimming overall has an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which can be found when a participant enjoys swimming and is internally motivated by practicing it on a regular basi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psychological happiness is possible when internal motivation acts as an anteced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aspect of participants. Furthermore, to promote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sports instructors,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s well as establishment and attraction of more sports facilities.

      • 유소년 축구선수의 부모 동기분위기 지각과 기본심리욕구 및 내적동기의 구조적 관계

        신재우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02

        본 연구는 부모사회화 이론과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스포츠 상황에서 부모가 조성하는 동기분위기가 자녀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내적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부모의 동기분위기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내적동기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축구협회 정식 등록된 전국 17개 시도 32개의 클럽부 및 학교부 소속 남자 유소년 축구선수 294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동기분위기, 기본심리욕구, 운동 내적동기 수준에 대한 문항의 반응들을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유소년 축구선수의 부모의 동기분위기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운동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부모의 숙련분위기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내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부모의 숙련분위기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내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스포츠 문화에서 부모의 영향에 대한 연구확장과 유소년 스포츠 코칭과 관련된 현장적용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seeks to find motivations of parents in affecting the children’s psychological needs and the intrinsic motivations in sports based on the theory of parent socialization and the self-determina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research, 294 male participants(youth soccer players) from 32 club teams in 17 cities and provinces, who are officially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were questioned. The participants were questioned in fi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al motivational climate and the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based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Moreover, it is confirmed that the parental mastery climate has positive impacts on the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intrinsic motivations; Parental mastery climate also impacts the intrinsic motivations by satisfying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hildren.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is explained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of parental influences in youth sports and coaching.

      • 내적 자원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발달 장애 자녀 어머니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

        여상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내적 자원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세션이 장애 자녀 어머니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그리고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장애 자녀 어머니는 장애 자녀를 평생 돌봐야 한다는 압박감이 비장애 자녀 어머니보다 높지만 현실적으로 장애 자녀의 치료와 교육 때문에 적절한 심리치료를 제공받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동작심리치료 세션을 통해 장애 자녀 어머니의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신체적, 정서적 그리고 인지적으로 향상 시키고자한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 효능감, 그리고 신체화척도를 사용하였다. 매주 12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 되었으며, 내적 자원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초기, 중기, 후기로 총 3단계로 구성된 치료 세션은 신체 인식에서부터 시작하여 신체 감각 및 활성화를 하여 개인마다 다른 내적 자원을 찾아 신체 감각을 재조명하였다. 이렇게 재조명된 신체 감각은 새롭게 신체적, 심리적, 그리고 인지적 사고를 전환하는 단계로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치료 세션 전에 연구 대상의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세션 종료 후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신체화에 유의한 결과가 있음이 검증 되었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평균 점수의 근소한 변화가 있음을 검증했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감각된 신체의 재조명은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그리고 신체화에 긍정적 영향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해석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심리치료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소외된 장애 자녀 어머니에게 통합적인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무용/동작심리치료, 내적 자원, 장애 자녀 어머니,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기효능감, 신체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