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신라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혜린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recent era of globalization of educatio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visiting Korea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trend,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provide diverse and appropriate services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and educational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se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among foreign students attending Silla University and, based on this, proposed a plan to promote the us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239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suggest specific and practical service improvement plans and the need for program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and satisfaction among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atus was identifi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unable to use library services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to use the librar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use the university library to learn Korean as part of their language training course. Third, in the case of Silla University's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were many students from various countries and languages. Fourth,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website and APP support only Korean and English, making it less accessible to students who cannot speak Korean or English. Fifth, international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were found to use library facilities more than the library materials. Sixth,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were affiliated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library for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library usage rat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is a need to provide education on the use of multilingual libraries through new student orientation. Second, there is a need for libraries to provide a variety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and books based on the language us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in the case of multilingual language materials that are not available in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it is necessary to inform students that they can provide materials requested through interlibrary loan with other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many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domestic universities. Fourth, there is a need to build a multilingual website and APP service and provide interpretation services through the librarian desk. Fifth, there is a need to produce pamphlets regarding overall library facilities and equipment in multiple languages and place them at the library entrance.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brary service system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o that foreign students can use the services they require. 최근 교육의 세계화 시대가 열림에 따라 한국을 찾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국적, 교육 과정 등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라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한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서비스 개선방안 및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도서관 이용법을 알지 못해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어학연수 과정으로 한국어 학습을 위해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다양한 국가 및 언어를 사용하는 유학생이 많았다. 넷째, 신라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와 APP에서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하여 한국어와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라대학교 유학생의 경우 도서관 자료의 이용률보다 도서관 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한국어교육원 소속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에 따라 제안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통한 다국어 도서관 이용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한국어 학습교재 및 도서 자료를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신라대학교 도서관에 갖춰지지 않은 다국어 언어자료의 경우 국내 대학교 중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타 대학도서관과의 상호대차를 통해 학생들이 요구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 넷째, 다국어 홈페이지 및 APP 서비스를 구축하고 사서 데스크를 통한 통역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전반적인 도서관 시설 및 설비에 관한 팸플릿을 다국어로 제작하여 도서관 입구에 비치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신라대학교 도서관과 한국어교육원과 협력을 통한 외국인 유학생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 『万葉集』と古代韓国 : 新羅を中心に

        하정숙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inquires into ancient Korea as it appears in ‘Man'yōshū’, especially the traces of Shilla whose data remain also in Korea. ‘Man'yōshū’ is the oldest existing collection of Japanese poetry and the largest anthology that decorates the history of ancient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it has in it many poems that hold Korean things and subject matters, it is a valuable material for studying Korean ancient literary works, especially Hyang-ga (i.e., the Sillian song), which are difficult to study due to the lack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To begin with, Chapter 1 describes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method. Chapter 2 selects and investigates the people presumed to be the Toraijins(The person who has migrated from the other countries to Japan and has come.) the ancient settlers in Japan who were originally from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Hata Family' that is now being studied by several historians as the people who came over to Japan from Shilla. The songs by those who are presumed to have been in the second or third generation of Toraijins show littl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of Toraijins’ origin. This study regards it as meaningful to be able to confirm that the people presumed to be Toraijins from Shilla appear in ‘Man'yōshū’ Chapter 3 looks into the group of songs by Kenshiragishi (the envoys sent to Shilla), which shows the status of the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authentic history books. It seems that these songs came into existence almost as soon as the their original texts did. Their content indicates that the envoys were sent in the midst of bad weather, the prevalence of small pox and the perilous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Shilla. Flowing the achievements of the research so far, this study reviewed many questions about the scribe, the editor and the argument that though seemingly based on the real story, these songs were in fact fictions. In addition, the study sees these songs as the ones reconstructed by Otomono Yakamochi in an effort to revive the meanings of their original texts based on the actual documents, and assumes that the scribe was Hatano Tamaro who is thought to be a descendent from one of the Toraijins from Shilla. In addition, the study looks into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groups of songs also may lead to “Power of women” and “A taboo against singing the destination,” with Yakamochi’s “Hoping to return to Kyoto” in Etchu as the point of contact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Vol. 15 is composed of the first half, “The 145 songs of Kenshiragishi” and the second half, “The 63 sad farewell songs shared by Naka Tomino ahson Yaka Mori and his wife, Sanono Otogamino, when he was transported to Echizen in the 11th year of Tenpyo” Chapter 4 looks into the expression, 韓 (カラ:Kara)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oreans in ‘Man'yōshū’. The word “Kara” is supposed to have been read 'Kara' in ancient Korea as well as in Japan. The word “Kara” was used as the name of a country, but studies found that it also had the meaning of “fortress”, or “large”. the word “Kara” is thought to have lost its archtype starting in the Heian period, when Japan’s exchange with Shilla began to be cut off. In particular the word “韓国(カラクニ: Karakuni)” in the original text of songs No. 4240 and 4262 draws our special attention, for the word 韓 (カラ:Kara) is presumed to have the meaning of “large”. No other usages are found in the ancient time, and since most of the usages in ‘Man'yōshū’ are considered to have the meaning of 韓 (カラ:Kara), there is a difficult point in saying that it merely means 唐 (Tang) of China Chapters from 5 through 8 compare ‘Man'yōshū’and the Shillian Hyang-ga. Chapter 5 investigates the idea of 言霊 (Kotodama meaning “spirits are imbedded in the words”), which was prevalent in both Korea and Japan at that time. It is quite certain that the verbal expression spun off from the various forms of expressions such as “song” and “dance” in the ritual ceremonies in the ancient time, and evolved into a form of the literature. Japan and Shilla shared the idea of Kotodama in that process. In addition, ‘Man'yōshū’ came to reconfirm the spiritual power of the words as a different meaning and the shamanistic efficacy thus far, and establish the idea of Kotodama anew in oder to promote the absolute power and authority of the Japanese emperor during the entire period from 7th to the late 8th century, when a political oder of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was in th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with the emperor as the center. In other words, ‘Man'yōshū’leveled up the idea of Kotodama into a national dimension from that of the folk-belief that was disappearing at that time. Similarly, in Shilla people, shamans and officials at the same time, were employed to stabilize the troubled domestic situa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states. In addition, the belief in Kotodama in ‘Man'yōshū’ confirmed the country’s verbal activities conscious of the “foreign country” using the specific expressions of “言霊の幸はふ国 (kotodamano saiwaukuni)” and “言霊の助くる国 (kotodamano taseukulukuni)”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continental culture. On the contrary, it seems that the simultaneous roles of officials and shamans in Shilla were gradually taken over to buddhist monks after the idea of patriotic Buddhism was added to the folk belief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continental culture. It can be said that the negative thought had been already given a new notion beyond its primitive meaning or content when the expressions of “Kotodamano saiwaukuni” and “kotodamano saiwaukuni” emerged from the negative idea of ことあげしない (kotoagesinai) in Japa 『万葉集(만요슈)』에 보이는 古代韓國, 특히 한국 측에도 자료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新羅의 흔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万葉集』은 현존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歌集이며 동시에 上代 문학사를 장식하는 최대의 歌集이다. 게다가 그 안에는 한국적인 요소, 소재를 가진 노래가 많이 보이기 때문에 남아 있는 문헌, 자료가 적어서 연구가 어려운 한국의 고대문학, 특히 향가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서론과 선행연구, 연구 방법에 관해 서술한다. 그리고 제 2장에서는 여러 역사학자들에 의해 일본으로 건너 간 신라계라고 연구되고 있는「秦氏(하타씨)」를 중심으로 신라계 渡来人이라 추측되는 인물들을 선택하여 고찰하였다. 도래계 2, 3세대라 추측되는 그들의 노래는 평범하고 도래계로써의 특징은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 신라에서 일본으로 건너 간 도래인이라 추측되는 사람들이 『万葉集』 안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에 의의를 둔다. 제 3장에서는 正史에 나타나 있지 않은 당시 양국의 교류 상황을 보여주는 遣新羅使(켄시라기시: 신라로 보내진 사신)歌群에 관해 고찰했다. 遣新羅使歌群은 그 원문과 가까운 시기에 성립되었다고 보인다. 그 내용으로 보아 악천후와 천연두의 유행, 험악했던 일본과 신라의 관계 속에서 파견된 것을 알 수 있다. 筆録者(필록자: 기록을 한 자)에 관한 의문과 編集者(편집자)에 관한 의문, 실존 기록처럼 보이나 실은 창작이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의문점에 대해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성과를 답습해 가며 고찰했다. 또한 이 歌群은 실제 기록을 근거로 大伴家持(오토모노 야카모치)에 의해 원본의 뜻을 살리면서 재구축된 歌群이라 보았었으며, 筆録者로서는 신라계 도래인의 자손이라 여겨지는 秦田麻呂(하타노 타마로)라고 추정했다. 또 巻十五의 전반부 '遣新羅使人等の歌一四五首(켄시라기시 의 노래 145수)'와, 후반부 '中臣朝臣宅守が天平十一年に越前へ配流され、妻狭野弟上娘子と交わした悲別贈答歌六三首(나카토미노 아손 야카모리가 텐표 11년에 에치젠으로 귀양보내져 아내인 사노노 오토가미노 오토메와 나눈 슬픈 이별가 63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의 歌群은 家持의 越中(엣츄)에서의 「帰京願望(쿄로 돌아가기를 희망함)」를 접점으로, 또한 「妹の力(여성의 힘)」와「到達地を詠まないタブー(도달지를 읊지 않는 터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닐까라고 고찰했다. 제4장에서는 『万葉集』 안에 한민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カラ(카라)」라는 표현에 대해 고찰했다. 「韓(カラ)」는 고대한국에서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kara」라고 읽히고 있었다고 추측되고 있다. 그「カラ」는 국명으로써도 사용되고 있었지만 「城(성)」「大(크다)」을 나타내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고 연구되고 있다. 일본의 平安時代(헤이안 시대), 즉 신라와의 교류가 단절되었던 시점으로부터 「カラ」는 그 원형을 잃었다고 여겨진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4240번 노래와 4262번 노래의 원문의 「韓国」(カラクニ: 카라쿠니)인데, 이것은 「大」를 의미하는 「韓」가 아닐까 추측된다. 上代에 다른 용례가 보이지 않으며 『万葉集』 안의 대부분의 용례가 「韓」라고 여겨지므로 단순히 중국의 「唐」을 의미한다는 해석에는 난점이 있다. 제 5장에서 제 8장까지는 『万葉集』과 한국의 신라향가와의 대조를 행했다. 제 5장은 한국과 일본의 당시의 「言霊(코토다마: 언어에는 영혼이 실려 있다)思想」에 관한 고찰이다. 고대 제사 의식 중 「歌(노래)」「踊り(춤)」등 여러 가지 표현 가운데 언어표현이 자립해 문학이 발생한 것은 확실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言霊思想」가 나타난 것은 일본과 신라, 양국의 공통점이다. 또 『万葉集』의 경우, 율령국가의 건설을 서두르고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이라는 정치적 질서를 세우는 7세기 말에서 8세기 전반에 걸쳐, 천황의 절대적 권력, 권위를 선양하기 위해 그때까지 다른 의미로써 언어가 가지는 영력, 노래가 가지는 주술적 효능을 다시 확인하고「言霊思想」를 새로이 정립시킨다. 즉 「言霊思想」를 사라져 가고 있던 민간신앙에서 끌어올려 국가적 차원까지 높였다. 신라의 경우도 통일 후 혼란한 국내정세를 바로세우기 위해 「官(관, 관원)」겸 「巫祝(무당)」를 고용한 점이 공통된 점이다. 또 萬葉歌에서의 言霊信仰은 대륙문화의 수용 과정에 있어 구체적으로는 「言霊の幸はふ国(코토다마노 사이와우쿠니)」「言霊の助くる国(코토다마노 타스쿠루쿠니)」라는 표현으로 「外国」을 의식한 자국의 언어활동을 확인시켜준다. 여기에 대해 신라에서는 처음에는 「官」겸「巫祝」였으나 대륙문화의 수용과정에서 호국불교 사상이 가미되어 이후에는 「官」겸「巫祝」의 역할을 승려가 담당하게 되었다고 보인다. 일본에서 「ことあげしない(코토아게 시나이)」라는 부정적인 사고에서 「言霊の幸はふ国」「言霊の助くる国」라는 표현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원시적인 의미, 내용이 아니라 거기에 새로운 관념이 부여된 것이다. 향가도 향가를 노래한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복소수 학습내용의 연계

        김유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학습내용 경감의 계속된 결과로 제7차 교육과정에는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많은 내용이 삭제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대학교의 이공계열 학과로 진학하는 경우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바뀌면서 고등학교의 자연계열 학생들은 미적분과 통계기본,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 간의 연계성의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복소수 단원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복소수의 중요한 성질들이 6차 교육과정을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 삭제되어 있다. 그 결과 대학에서 복소수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복소수의 명확한 의미를 요구할 때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심화 학습으로 학생들이 복소수의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학생의 수준에 맞게 제시하여 고등학교 수학과 대학교 수학의 연계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복소수 내용과 대학교에서 배우는 복소수의 학습내용을 알아보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복소수 학습과정에서 복소수 학습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학생들이 차 방정식의 해가 개 있음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복소수 단원을 학습 할 때 복소수를 대수적인 연산을 위한 문자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수 체계의 관점에서 복소수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복소수의 극형식을 접함으로써 고등학교 1학년의 복소수단원과 삼각함수 단원 간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학생들이 대학교에 진학하여 복소함수론을 학습할 때, 고등학교의 복소수 내용과 대학교의 복소함수론의 내용이 각 각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에서 배운 복소수가 대학교에서 학습하는 복소함수와 연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고자 한다. In 7th mathematics curriculum, many concrete concepts about complex number have already been deleted. In result, high school students have several trouble in pursuance of getting a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ly we suggest method that help high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about complex number and connection of a high school education with a university education for complex number. Then Students understand that equation of th degree has th roots and polar form of complex number. Furthermore students will understand connection of complex number with a trigonometric function.

      • 신라오기 마당극 공연에 나타난 분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은주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신라 말기의 문인(文人)인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시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五首)에서 읊은 다섯가지 놀이인 금환(金丸), 월전(月顚), 대면(大面), 속독(束毒), 산예(狻猊)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특징을 분석하고, 분장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노천에서 시작되어 실내라는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분장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마당극의 정확한 캐릭터 분석과 그에 걸맞은 분장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역사적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마당극의 개념과 <향악잡영> 오수에 나타난 캐릭터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분장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및 선행 연구, 인터넷 사이트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치원의 <향악잡영> 오수를 분장 측면에서 분석하면 오수는 신라시대 마당에서 연희되었던 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의 다섯 가지 놀이로 분류되었다. 둘째, <향악잡영> 오수를 바탕으로 신라오기의 캐릭터를 분석하면 금환 캐릭터는 묘기를 펼치는 서커스단의 곡예사나 광대로 분석되었다. 월전 캐릭터는 민중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가면희로 해석되었고, 대면 캐릭터 또한 네 개의 눈을 가진 황금색 가면을 쓰고 귀신을 부리는 춤을 추는 가면희로 해석되었다. 속독 캐릭터는 신령 시 되는 새의 형상을 한 청색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군무로 분석되었고, 산예 캐릭터는 속특국에서 장무로 행해지다 신라로 유입되면서 북청사자놀음의 사자탈로 전승되었다. 셋째, 마당극 신라오기의 캐릭터를 분장 디자인 개발 측면에서 접근하면 금환의 분장은 한국적인 광대를 표현하기 위해 가면의 모양처럼 흰색 파운데이션을 얼굴에 도포하고, 눈은 하회탈의 이미지를 적용하였다. 헤어는 오방정색을 컬러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월전의 분장은 민중의 희로애락을 연출하기 위해 여덟 가지 표정의 가면을 제작하여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대면의 분장은 캐릭터 연구결과 네 개의 눈을 가진 황금색 가면을 쓴 사천왕상이었으나 대본이 요구하는 바를 수행하기 위해 도깨비의 형상을 분장으로 표현하였다. 얼굴의 중앙부에 오방정색 중 서쪽에 해당하는 레드 계열이나 동쪽에 해당하는 청색 계열을 포인트로 도포하였다. 속독의 분장은 객석을 향한 일면에 새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청색 계열의 판타지 메이크업을 하였고, 헤어의 연출은 금색 오브제를 사용하였다. 산예의 분장은 벽사진경의 상징성을 담아 전승된 북청사자놀음의 사자탈을 제작하여 표현하였다. 비록 최치원의 <향악잡영> 오수인 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의 연희가 우리 고유의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이는 여러 시대를 거쳐 우리의 미풍양속을 담은 전통연희로 계승되어 발전하였다. 연희 공간인 마당을 통해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유연한 움직임을 특징으로 우리의 양식이 깃든 마당극의 명맥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마당극의 분장 디자인은 분장사에 의해서 결정이 되지만 무대 환경이나 연출 의도에 의해서도 다양한 캐릭터로 변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라오기와 같이 전승되어 오는 마당극의 경우 올바른 캐릭터의 분석을 우선시하여 마당극의 활성화와 더불어 분장 디자인의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haracters Geumhwan, Woljeon, Daemyeon, Sokdok, and Sanye, which appear in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written by Choi Chi-won, a writer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to develop make-up designs for the characters. As Madanggeuk started outdoors and moved into the indoor space, the importance of make-up increa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hasizing the need for accurate analysis of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make-up. As a study method, we analyzed the concept of the Madanggeuk and the character shown in five poems of the <Hyang-ak-jabyoung>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and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make-up design accordingly. To this e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roun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rior research, and Internet si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Choe Chiwon's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in terms of make-up, it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plays: Geumhwan, Woljeon, Daemyeon, Sokdok, and Sanye, which were performed in madang during the Silla Dynasty.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s based on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Geumhwan was analyzed as an acrobat or clown in a circus performing tricks. The character of Woljeon was interpreted as a mask play which expressing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Daemyeon's character was also interpreted as a mask play which is driving out a ghost, wearing golden mask with four eyes. Sokdok's character was analyzed as a group dance with a blue mask in the shape of a sacred bird. Sanye's character was transfeerred to the lion mask of Bukcheong-saja-noreum when it was introduced to silla after it was conducted as Jangmu in Sogh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roaching the character of the Madanggeuk Silla Ogi in terms of make-up design development, Geumhwan's make-up was applied a white foundation like a mask to express the Korean clown. And the eyes applied the image of a Hahoe mask, and the hair used color spray to express the five cardinal colors. Woljeon's make-up was humorously expressed by producing masks with eight facial expressions to express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The character sudy found that Daemyeon make-up was a four-eyed, golden masked statue of Four Heavenly Kings. But, to fulfill the script's requirements, the shape of Dokkebi was expressed in make-up. The center of the face is covered with a red or blue color corresponding to the west or the east. The Sokdok make-up was done with a blue series of fantasy make-up to express the image of a bird on the front page of the audience, while hair's production used gold objet. The costume of Sanye was expressed by producing a lion mask of BukcheongSajaNoreum, which was inherited with the symbolism of Byeoksajingyeong. Even if the performance of Geumhwan, Woljeon, Daemyeon, Sokdok, and Sanye, which appear in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written by Choi Chi-won is not intrinsic to us, throughout history, it was inherited and developed into a traditional performance containing our aesthetic customs throughout many eras. Through the madang, a performance space, it has maintained its reputation as a Madanggeuk with our lifestyle, having active communication and flexible movements with the audience. The costume design of this Madanggeuk was determined by the make-up artist, but it was also transformed into various characters by stage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production. However, in the case of Madanggeuk like the Silla Ogi which has been handed down,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the correct characters will be prioritized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stume design as well as the revitalization of Madanggeuk.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김지영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신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불안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한 t-test,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취업불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취업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취업불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학교 소재지를 통제하였을 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특성을 완화시키면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고, 이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 간의 완화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를 반영하여 맞춤형 진로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취업불안을 겪고 있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수준을 측정하여 불안장애가 발병할 수 있는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그에 따른 예방적 개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취업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함께 다룰 수 있는 진로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job –seeking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usality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14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of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anxiety according to the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seeking anxiety according to the grades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job-seeking anxiety according to majors in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in engineering, nature, medical health, arts and sports, and other fields were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in humanities, social studies, business and economics, and education. Four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university students positively predicted job-seeking anxiety. Fif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negatively predicted job-seeking anxiety. Sixth, when school lo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as controll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n the causality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In other words, by allevia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ho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anxiety can be lowered. In this case,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ore effective the mitigation effect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incre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ustomized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need to be conducted to reflect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anxiety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and lo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job-seeking anxiety to select high-risk groups that may develop anxiety disorders and to make preventive intervention accordingly. Third, in order to alleviate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need to be conducted to deal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directions of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 한·중 대학PR활동의 비교연구

        유췌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저출산 장기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대학(교)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멀티미디어의 다양화 및 급속한 발전으로 대학홍보영상은 대학들이 더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주고 경쟁력을 높이며 신입생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따르면 기존 홍보영상의 내용과 형식은 비교적 단일하여 새로운 형식과 내용의 홍보영상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광고홍보영역에서 대학홍보영상에 관한 연구가 많이 없고, 한국과 중국의 대학홍보영상에 관한 비교연구도 없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 2021 QS(World University Rankings) 세계대학평가기관에서 발표한 아시아 600위권 대학교 순위명단을 참고하여 한국과 중국의 상위 50개 대학의 홍보영상을 분석하고 두 국가 간 어떠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순위에 따라 두 국가의 대학홍보영상이 각자 어떠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대학 전체 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의 석사학위자 남자 1명과 학부 재학생 여자 1명을 선정하고 중국의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남자 1명과 박사과정 중국인 여자 1명 총 4명이 코딩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의 대학홍보영상은 각 분석유목에서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의 홍보영상은 중국 대학의 홍보영상 보다 영상메시지의 정보가 더 포괄적이다. 내용별 분류측면에서 두 나라는 여전히 프레젠테이션 해설형 홍보영상 위주지만 뉴미디어의 발달로 한국이나 중국에서도 새로운 홍보 동영상이 등장하고 있다. 형식적 차원에서의 소구방법 전체를 비교해보면 중국은 한국보다 홍보영상이 더 활발하다. 내용적 측면에서의 소구방법의 분석결과 한국 대학홍보영상에서 제시한 소구내용은 중국 대학홍보영상에서 제시한 내용보다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순위에 따라 한국 대학이든 중국 대학이든 순위만 봐도 큰 차이가 없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홍보영상의 차이점을 제시하면서 향후 학교 홍보영상의 개발 및 제작에 참고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홍보영상의 현황 제시를 통해 앞으로 대학PR 활동의 연구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상의 유사성과 획일성을 탈피하여 더욱 다양하고 혁신적이며 경쟁력 있는 홍보영상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학홍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aftermath of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due to the prolonged low birth rat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universities) is getting fierce, and with the diversification and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university promotional videos are a way for universities to instill a better brand image,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attract more new students. It has become one of the most effective tools.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content and format of the existing promotional video is relatively uniform,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format and content of the promotional video.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university publicity images in the area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nd there are no comparative studies on university public relations images in Korea and Chin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motional videos of the top 30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by referring to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released by the 2021 World University Rankings (QS) World University Evaluation Agency and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ccordingly, this study refers to the list of the top 600 universities in Asia published by the 2021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in the UK, analyzes the promotional videos of the top 50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lso, I would like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university promotional videos according to the university rankings, and also try to explo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overall university rankings. In order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a total of 4 coders were selected to assist in coding, one Korean master's degree male and one undergraduate student female were selected, one male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China and one Chinese woman in a doctoral program, participated in cod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s university promotional images in each analysis category. The message composition of Korean university promotional video is more comprehensive than that of Chinese university promotional video. In terms of classification by content, both countries still focus on presentational commentary-type promotional video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new promotional videos are also appearing in Korea and China. Comparing the overall appeal method at the formal level, China has more active promotional videos tha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ppeal method in terms of content, the content of appeal presented in the Korean university promotional video was more diverse than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Chinese university promotional video. According to the ranking,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Korean universities and Chinese universities just looking at the rank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promotional videos for schools in the future while present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s university promotional video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in university PR activities in the future by displaying the current status of promotional videos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innovative and competitive promotional videos will emerge by breaking away from the similarity and uniformity of video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university promotional videos will appear.

      •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한 새싹삼 성분 및 기능성 검정을 통한 고부가가치 재품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박무용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삼류는 수 천년간 우리 민족과 함게 하여 왔으며 주로 구근 뿌리를 활용한 약용과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2006년 새싹삼 재배방법의 개발 이후 새싹삼에 대한 재배의관심이 증가하였으며 2016년을 기점으로 활발한 상업적인 재배 연구와 재배방법이 비약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방향이 재배방법의 개량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수경재배, 토경재배, 컵 재배, 박스재배, 점적호수 활용재배, 스마트팜 재배, LED광의 활용한 재배, 스프링클러노즐재배, 하우스재배,등의 방법으로 새싹삼을 농민들이 재배 하는등 재배방법에 관한 연구에 주력 하였다.. 새싹삼의 기능성 약리 작용 검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 하여 새싹삼의 기능성 분석 및 검정을 통하여 대량 소비와 생산의 밑받침을 통한 농산물에서 산업화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었다. 특히, 재배 방법의 변경으로 산삼과 홍삼에 함유 하고 있는 사포닌 Rg3가 새싹삼에도 함유 되어 있는 Rg3의 증가와 효능의 연구 실험을 위한 검증를 통해, 새싹삼의 사포닌과 조단백질, 조지방 ,잔류농약 분석 등을 분석하여, 새싹삼을 활용하여 만든 제품이 기능성 식품 과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는 시금석으로 자리 잡길 기대 한다. 이에 새싹삼의 연구가 조금 더 심도 있고 기능성과 생의학적 효과을 검정하여 6차산업과 제 4차 산업 혁명에 적합한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 연구을 하여 새싹삼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화와 생의학적으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오 소재로서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었다. PPD계 사포닌인 20(S)-ginsenoside Rg3는 HepG2 세포에 대한 apoptotic 세포사멸 효과와 동시에 세포 생존을 향한protective autophagy(세포자가사멸)를 일으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5.26) PPT계 사포닌인 20(R)-ginsenoside Rh1 및 Rh4의 경우는 세포사멸 효과와 동시에 autophagic cell death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나 진세노사이드의 구조-활성간 특이성이 가지고 있다.26)-(2004 서울대학교.정종헌,간암 세포주에서 진세노사이드의 자가포식 작용 유도,초록29줄-12줄) 본 연구에서는 새싹삼의 재배방법에 따라 PPD계 사포닌인 20(S)-ginsenoside Rg3의 성분 증가와 새싹삼 뿌리에서 새싹삼 추출물6년근과 K사 홍삼의 열수 추출물보다 많은 양의 Rg3가 우수하게 추출되어지는 수준에 26)있어 다양한 생의학적 기능성 재료로서의 효과가 우수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HePG2(간암세포)와 B16-F10(피부암인 흑색종)에 새싹삼 추출물을 투여 하여 독성실험과 사멸율을 실험 및 확인 연구하여 의생명․바이오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약용 성능 효과를 증명하여 새싹삼의 활용이 증대되어 6차 산업과 필요로 하는 기반 테이터로서의 활용을 기대 한다. 기존 방식대로 새싹삼담금주,새싹삼고추장등을 제조,숙성시켜 사용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 제품의 성분 분석을 하여 바이오 기능을 첨가한 새싹삼추출물을 활용해, 다기능성 바이오 새싹삼 제품의 생산과 연구에 기본적 데이터 활용 및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적은 면적에서 콘테이너등을 활용한 도시농업에서의 응용가능성도 함께 연구 하였다. For thousand of years, ginseng has been working with the Korean people which has been used mainly for medicinal and dietary purposes using bulbous roots. Interest in growing sprout ginseng has increased since the development of sprout ginseng cultivation method in 2006 ,and as of 2016, active commercial cultivation research and cultivation methods have increased rapidly.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was mainly improved by cultivation method of growing sprout such as hydroponic cultivation, soil cultivation, cup cultivation, box cultivation, spot lake utilization cultivation, smart farm cultivation, LED light cultivation, sprinkler nozzles cultivation, house cultivation, etc. Due to the lack of research as regards functional pharmacology of sprout ginseng, we plan to conduct this study for its function as an industrial material in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support of mass consumption and production through analyzing and testing the functionality of sprout ginseng. 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cultivation method will lead to the increase of saponin Rg3 which is contained in mountain and red ginseng and it is expected that products made using sprout ginseng will become a touchstone used as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by analyzing saponin, crude protein, crude fat, and residual pesticides etc of sprout ginseng. Therefore, we hope that in depth study of sprout ginseng by testing the functionality and effectiveness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suitable material for the 6th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e used for industrialization and high value added bio-material. Through injecting sprout ginseng extract into HePG2 (liver cancer cells) and B16-F10 (skin cancer melanoma) to test and verify toxicity and mortality rates, we hope to prove the performance effect of functional medicinal herbs that can be used in the bio-industry, and also the use of sprout ginseng as a necessary base tester for the 6th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basic35) data for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bio-sprout ginseng products by utilizing sprout ginseng extract that adds bio function through analyzing the ingredients of the products as well as manufacturing and ripening sprouts, samchum liquor, red pepper paste, etc using the existing method.

      •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고립감을 통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예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신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을 통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4년재 대학교에 재학생중인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고립감이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감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자본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사회적 고립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심리자본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긍정심리자본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social isolation,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COVID-19 stress and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u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34 undergraduates attending 4-year university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and data was processed with SPSS 21.0 Program for analyze moderated mediation effect.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social isolation partially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t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isolation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eclined if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high. Third, it turned ou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d the influence of COVID-19 stress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rough social isolation, which validat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en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high,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isolation increased. Based on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ed significant implication, limitation in the research and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as well.

      • 대학교양과정으로서의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S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숙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되는 결혼준비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가족과 결혼>이라는 교양과목을 듣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받기 전과 받은 후의 결혼관, 가족관, 사랑관, 배우자관, 성의식, 성역할관에서의 변화를 측정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 S대학교 학생 중 2002년 2학기 교양과목인 <가족과 결혼>을 수강하는 6개 분반 410명의 남녀학생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에는 결혼관, 가족관, 사랑관, 배우자관, 성의식, 성역할관 등이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0.0 version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T-test,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에 있어 성별의 주효과와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관에 있어 성별의 주효과와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랑관에 있어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주효과와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배우자관에 있어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주효과와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성의식에 있어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주효과와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성역할관에 있어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주효과와 성별과 결혼준비교육의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views on marriage, family, love, spouse, sex and gender-role.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was performed as an elective course of the university named <Family and Marriage>.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10 university students taking the course of <Family and Marriage> in S University in Pusan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02.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regarding their views on marriage, family, love, spouse, sex and gender-role. Using SPSS, 10.0,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viewpoint on marriage, there found a main effect in gender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Second, regarding viewpoint on family, there found a main effect in gender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Third, regarding viewpoint on love, there found main effects in both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and also fou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Fourth, regarding viewpoint on spouse, there found main effects in both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and also fou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Fifth, regarding viewpoint on sex, there found main effects in both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and also fou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Sixth, regarding viewpoint on gender-role, there found main effects in both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and also fou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premarital education.

      •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대학의 '여성리더'에 관한 연구 : 신라대학교 사례로

        김은진 신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여성의 지위는 성평등한 교육실현 및 여성계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사회적, 경제적으로 조금씩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들도 보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리더에 대한 성별고정적인 시각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으며, 여성이 사회에서 고위직에 오르거나 정치적 대표성을 띄지 못하고 있어 질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사회생활의 전단계인 대학 내에서의 리더경험이 사회에서의 리더를 육성해내는 데 유리하게 작용하는 개인적·사회적 자본으로서 작용되고 있으며, 학내 여성의 지위가 사회전반의 여성의 지위, 특히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와 관련이 있음을 염두에 둘 때, 여학생의 학내 리더경험은 사회에서의 여성리더 양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남녀공학 대학 내 리더경험이 남학생과는 달리 여학생에게 제한적이어서, 학생회 조직에서 여학생이 대표성을 띄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여대에서 리더경험이 가능했던 여학생들이 남녀공학 전환으로 인해 어떠한 영향을 받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으며, 한국사회에서 남녀공학 전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이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만약 여대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대학에서 남학생이 상대적으로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리더의 위치에서 여학생이 배제된다면, 이는 우리 사회전반에 깔린 성별위계 및 성역할고정관념의 깊이를 대변하는 동시에 '리더'에 대한 성편견적 인식의 심각성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대학에서 '여성리더'에 대한 인식 및 현황을 살펴보고, 대학생활에서 여성리더의 위치가 생성되는 구조와 배경을 여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대학 내 단대학생회나 학과학생회 활동을 경험하거나 리더로 활동 중인 33명의 남녀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공학전환 초기 대학 내 학생회 조직에서 여성리더 현황 및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둘째, 대학 내 학생회 조직에서의 여성리더 '배제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여성리더들의 전략적 대응 및 저항요소를 살펴보고, 대안으로서의 여성리더십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공학 전환 4년째를 맞고 있는 대학 내 학생회 조직의 리더 성비를 본 결과, 재학생 중 남학생이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리더위치를 상당부분 점유해 학내 공식조직인 총학생회, 단대학생회, 학과학생회의 리더위치에서 여학생이 점차 배제되고 있었다. 특히, 남녀리더 및 구성원들은 여성리더를 '리더' 혹은 '동료'로서 인식하기보다는 '여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남성적 특질이 리더십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 내 조직에서 여성리더가 배제되는 요인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1) 가정 및 학교교육환경에서의 차별적인 성역할 사회화와 대학 내에 유포된 성별 이중적 잣대는 여성이 리더로서 성장하는데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2) 소수인 남학생이 토큰이 되지않고 오히려 특별대우를 받는 토크니즘 역현상이 나타나 여학생이 배제되는 특수성을 보여주었다. (3) 남녀구성원들에게 경험자 혹은 중재자로 인식되는 예비역과 여성리더와의 관계에서, 예비역을 통솔할 수 없는 여성리더는 자연히 리더로서 '능력없음'이 부각된다. (4) 학내 네트워크 형성 및 선배·교수와의 멘토관계에서 여학생은 소외를 경험하고 있었는데, 이는 리더로서의 기회와 능력개발 기회의 소외로 연결된다. 셋째, 리더에서 배제된 여학생은 남성성 수용전략을 통해 '예외여성 되기'를 시도하지만, 여전히 부차적인 위치에 머물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되고 성차별의 현실을 깨닫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의식화과정을 거치면서 여학생들은 친밀감을 바탕으로 한 여성들간의 연대의 필요성을 느낀다. 또한 학내구성원 및 리더들 사이에서도 '좋은 리더'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함께 권위적인 리더십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수평적이고 관계중심적인 '여성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학내에서 여학생이 어떻게 주변화되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학생회 조직 내 성차별이 지속되고 있으며, 여성의 지위평등이 실현되지 않고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학내 여학생의 지위평등과 여성리더의 양성을 위해서는 친밀성 있는 여성들간의 끼리문화를 여성연대의 단초로 삼아, 학내 여성네트워크의 활성화 및 멘토링시스템(Mentoring System)을 통한 여성세력화의 기반구축이 요구된다. Women's social and economic positions are gradually raised as gender quality-oriented education is realized and the feminist circle makes efforts in various ways. Laws and institutions are arranged supplementally. But there is little change in gender-based fixed ideas of women leaders, preventing women from advancing to a high social position or having a political representati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leadership at university as a prior stage to social career becomes an individual, social capital on which social leaders would be raised. Women' experience as leaders at university is very significant in becoming women social leaders later because women' positions at university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social positions, especially in labor markets. At university, the leadership is nearly closed to women. Few women represent their association.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that is, what influences have on women leaders at womens' university as their school is converted into a coed university. If at a coed university which was a womens' university in the past,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man take the leadership with women ones excluded, it reflects gender-based hierarchy and fixed ideas of our society and a serious gender discrimination in relation to the leadership.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current status of man leaders at universities that were recently converted into coed institutions.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tructure and background of women leadership at university. To perform the study, the researcher made a qualitative survey of 33 man and wom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ose students had been or now were leaders of students' association in the level of university or department. Through the survey,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current status of women leaders at universities which were just converted into coed institutions. Then the study determined what factors made women excluded from the leadership of students' association at university. Finally the study analyzed women strategies and resistance to their exclusion from the leadership of students' association and considered women leadership as an alternative.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below ; First, it was found at a university which was converted into a coed institution 4 years ago that men, relatively fewer than man ones, occupied a considerable part of the leadership of the general students association and that of students' association in the level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with women ones gradually excluded. Second, factors that prevents women from participating in the leadership of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Gender-based soci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brought by home and school education become obstacles to women development into leaders. (2) There is an inverse tokenism, especially in Silla University, that men as the minority group are specially better treated rather than becoming tokens among women ones as the majority. (3) There is a tendency that women leaders who can't control man ones having an experience of military service are recognized as incapable. (4) Women are alienated from intramural network formation or mentorship with seniors or professors, resulting in alienation from opportunities of developing leadership skills. Third, women excluded from the leadership attempt to be 'an extraordinary women' by accepting masculinity, but they come to realize that they are just in a secondary position, feeling confused with their own identity and being aware of the reality of gender discrimin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women recognize the necessity of women's solidarity based on consciousness of kind. Now there are many voice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leaders for better leaders and against authoritarian leadership. This provides the possibility of a new recognition of horizontal, relations-oriented women leadership. As described so far, women are still outsiders from the leadership of students' association at their university. The position equality of women are not still realized under gender discrimination. To accomplish such equality and thereon women leaders, it is needed to promote women networks and mentoring systems at university ensuring women's solidarity based on peer culture and friendship, ultimately creating foundations for the feminist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