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함아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stress on post-transplantation adjustment and to examine how social support has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and social adjustment. The respondents of the research were composed of a total of 132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ho were sampling in Korea liver transplant association and the online liver cafes. They were 19 years of age or older and three months had passed after liver transplant. In this study, liver-transplanted recipients showed that a high level of social adjustment and the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appeared to be lower, especially social support ha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and socia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ed that liver transplant recipients had a high level of social adjustment ability and the role of extended family members was shown the highest level in the subdivisions. Second,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which liver transplant recipients suffered the most, was ‘unpredictability of future health and life expectancy’, followed by ‘economic burden caused by treatment’. Moreover, most respondents were tak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breadwinner, so they were experiencing stress from family Third, the level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o transplant recipients were above average, and they perceived family support as the greatest among the social suppor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an influence that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had on social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level of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the lower level of social adjustment. Fifth, the social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and social adjustment. In other words, if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get much social support, they will be able to overcome stress and adjust better in society even if the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level is very hig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s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tical direction. Aft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provided with professional psychosocial counseling and education. In addition, social workers should let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get help through various professional supporting systems in order to help the recipients reduce their transplantation-related stress. Since recipients have to get medical treatment lifelong, they need intervention of teamwork with medical teams so that they could receive accurate information from medical teams about physical problem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ere males responsible for family and were experiencing stress from family. However, through intervention for reinforcement of family functio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should be aided to receive support from family constantly, since they perceived family support as the greatest supporter. Moreover, recipients, who are volunteering as counselors, should be properly educated and allocated in order to counsel and support those who have already received a liver transplant or those who are planning to receive one. Also, active support is needed in order to help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to get together and to invigorate the gatherings. In additio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that have economic difficulties should be provided with economic support through connection with sponsors, and all transplant recipients should be linked to welfare policies so that they could receive benefits as the disabled. To make social work practices more professional and active, it is necessary to secure work force of social workers in charge of organ transplant. Also,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offered to expand benefit cost to let social workers’ activities be acknowledged as just insurance benefit.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welfare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liver transplant recipients, such as employment of the recipients and related discrimination and social prejudice, strict criteria of insurance benefit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not hastily generalize about all liver transplant recipients, because of its limits on size and scale of sampling. In other words, research should be done constantly by studying enough and various cases, because healthy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ctively adjusting to society, for example in liver transplant association or online cafes, are likely to respond positively, and because there are too many males in their fifties. Moreover, comparative study on social adjustment before and after liver transplant is needed an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done to help employment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총 132명으로 한국간이식인협회와 간이식인 온라인 까페에서 표집하였으며, 간이식 후 3개월이 지나고 만 19세 이상의 성인 간이식 수혜자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간이식 수혜자들의 사회적응 수준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식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첫째,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응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사회적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확대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이식 수혜자가 가장 많이 경험하는 이식 스트레스는 ‘앞으로의 건강, 질병경과 등이 불확실함’이었고, 그다음으로 ‘치료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나왔다. 또한 연구 대상자 대부분이 가장의 역할과 책임을 지고 있어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이식 수혜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수준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지지를 가장 크게 인지하고 있었다. 넷째,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식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식 수혜자들은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간이식 수혜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게 되면 이식 스트레스가 높다하더라도 이를 잘 극복하고 사회적응을 잘 해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적인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간이식 수혜자와 가족에게 이식 후 사회적응에 관한 전문적인 심리사회적 상담과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지지체계의 확보를 통해 수혜자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수혜자들은 간이식 후 평생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신체적 문제에 대해 의료진으로부터 정확한 정보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진과 팀웍을 이룬 개입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간이식 수혜자들 대부분이 가정을 책임지고 있는 남성이 많아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간이식 수혜자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중 가족이 가장 큰 지지원인 것으로 나타나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개입을 통해 수혜자들이 지속적으로 가족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도와야 한다. 또한 간이식 후 상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수혜자들을 잘 교육하고 배치하여 간이식 전, 후에 있는 대상자들의 어려움을 상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수혜자와 가족들이 함께 자조모임에 동참하고 자조모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야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간이식 수혜자들에 대해 외부 후원자원의 연결을 통한 경제적 지원과 이식 수혜자가 5급 장애인으로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복지정책과 연결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사회사업의 실천을 전문적이고 적극으로 할 수 있도록 장기이식담당 사회복지사의 인력확보가 요구되며, 사회복지사의 활동이 정당한 보험수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급여수가를 확대하는 제도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간이식 수혜자에 대한 고용과 관련된 차별과 사회적 편견, 엄격한 보험급여 기준 등에 대한 복지 정책과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표본의 크기와 모집의 한계가 있어서 연구결과를 간이식 수혜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간이식인협회나 온라인 까페에서 활발히 사회적응을 하고 있는 건강한 간이식 수혜자가 응답을 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으며 50대의 남성이 많아 이후에는 충분하고 다양한 사례를 확보하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간이식 전, 후 사회적응에 대한 비교연구와 간이식 수혜자들의 실직이나 구직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시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남북관계의 전환점이 된 6·15 남북 공동성명이 있은 지 어느덧 1주년이 되어가고 있다. 30년만에 남북한 대화의 물꼬가 트이고, 남북관계에 대해 합의를 이루어냈던 그 감동만큼이나 남북관계는 지난 1년 동안 외적, 내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중 남한의 주류사회에 포함되지 못한 채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1천3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표명은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문제가 사회적 이목을 집중할 만큼 수적으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적응은 이들의 개인적 삶의 안녕이 갖는 중요성과 함께, 상이한 사회·문화적 상황하에서 적응되고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설명해 냄으로써 남북한의 사회통합을 준비하는 기초 자료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 수입, 거주기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94년 이후 국내 입국한 20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중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설문지는 총98case로 남자가 58명(59.2%), 여자가 40명(40.8%)으로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38세이며, 교육수준은 고등중학교와 대학졸업이 각각 41.8%, 30.9%를 차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50%가 기혼이고, 현재 28.5%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무직은 22.4%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도는 평균 4.0(sd=.50)으로 비교적 잘 적응하고 있으며, 사회적응 하위영역 중 '부모로서의 역할'에 가장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월평균 수입은 도시근로자 평균소득(238만6천원, 2000)의 45.8% 수준인 109만3천원(sd=60.32)으로 월 100만원 이하의 수입을 버는 비율이 58.9%로 대부분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수준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거주기간은 평균 3년4개월(sd=26.52)이며, 조사대상자의 85.7%가 남한 입국 전 제3국 체류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체류기간은 평균 1년 6개월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는 평균 86.06(sd=18.75)으로 비교적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중 정보적 지지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지지제공원으로는 '친구(17.4%)'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 따라 남자는 '친구(61.5%)', 여자는 '남편(21.7%)'으로 서로 다른 조사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지제공원으로 여성은 가족에서, 남성은 직장에서의 사회적 지지를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Holland & Moods(1982)의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은 평균 29.39(sd=4.31)로 Lee 외 동료들(1994)이 조사한 한국인의 자기효능감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중 수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과 거주기간에 따른 사회적응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입과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이들의 열악한 경제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이 고정 수입이나 안정된 직장을 갖지 못하고 있어 경제적인 상황이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하위영역별로 영향력 있는 요인을 살펴보면 '사회적 관계 및 여가생활'영역과 '직업상의 역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식이 성립되었다. '사회적 관계 및 여가생활'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수입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전 영역에 대해 분석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사회적 관계 및 여가생활'이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적응을 측정하여 사회적 지지가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업상의 역할'에서는 성별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성별이 상관관계나 차이검증에서 통계적으로 무의미했던 분석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을 가진 대상자가 대부분이 남자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직업유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상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입과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이 중 수입이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거주기간은 남한 입국 초기에는 높은 적응 수준을 보이지만 거주기간 3년을 기점으로 사회적응 수준이 낮아지고 6년을 기점으로 사회적응 수준이 다시 향상되고 있어 선형관계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이 외에도 탈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가족 문제와 남한 입국전 제3국 체류기간,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적 특성 등을 반영한 후속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1 years that the South-North Joint Declaration was declared that is turning 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ith beginning of 21 century. It has caused so many chang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or past 1 years as the enormous impression that we experienced in our mind. However is not included in the changes official announcement about 1,300 North Korea Defectors who have suffered from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as outsiders of South Korea. The problems of North Korea defectors are so small that a few people give their attention to them. But study on how they adjust themselves to South Korea society can be significant basic data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of two separated Korea, North and South as well as it can contribute to giving and enlarging the view to increase their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of social adjustment focused on gender, income, duration of residenc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to try to find out the ways to help North Korea defectors adjust themselves to South Korea Society. To examine the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North Korea defectors who was over 20 years, had lived in South Korea at least for 2 years, and was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is study. 98 North Korea defecto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Male is 58 and female is 40 in number. They are 38 in average age. Almost 41.8%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almost 30.9% graduated from college. Half of interviewees are married. Almost 28.5% are employed and 22.4% are unemplo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shows that North Korea defectors are relatively well adjusted to South Korea society indicated by average 4.0 in social adjustment scale. They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sub-scale of parent role. Their monthly average income was 1,093,000. It is the same as the 45.8% of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employees in cities. It shows that north korea defectors had experienced economic difficulties. They had lived in South Korea for about 3 and 1/3 years. They had experience to stay in the third country before South Korea for about 1 and half years in average. The results showed that north korea defectors had not a few social support network indicated by 86.06 in social support scale. Friend appeared to be the great sources of social support. With respect to gender, for male friend was the great source of social support and for female husband was. The results supports the Holland & Moods(1982) study, which assumed that female tends to find their support sources in her family and male tends to find them in his work place. The north korea defectors showed average 29.39 in self-efficacy. It is higher than one of south korea in the study Lee et al.,(1994). Incom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relation to social adjustment but gender and duration of residence were not. Income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he factors to influence social adjustments of north korea defectors, and income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social adjustment. The results implies that most of north Korea defectors dont have stable jobs or economic source so that their poor economic states influence their social adjustment to south Korea. In analysis of subscales of social adjustment, social relationship and leisure and role in work plac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cial support and income had a significant relation to social relationship and leisure ,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ir social adjustment in the area social relationship and leisure . It is different from the overall analysis of social adjustment. The results seemed to come from the fact that social relationship and leisure was used to measure degree of adjustment in formulating social relationship. In analysis of role in work place , gender played the most influential role contrary to the overall analysis of social adjustment with respect to gender. The results seemed to come from the fact that female have less opportunity to get a job than male so to be include less in the group who was subject of analysis with respect to role in work place. The other factors, duration of residence and self-efficacy can not be determined as non influential factors to social adjustment even if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duration of residence gave us some interesting issue. There were two significant turning points in their social adjustment; after 3 years when north korea defectors lived in south korea they showed poor social adjustment, but after 6 years they came back to the previous social adjustment states. The follow up study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problems of separated family caused by defect, duration of stay in the third countr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defectors.

      •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신념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성,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원 순복음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북한은 1990년대 중반에 식량공급이 중단되자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었다. 북한 주민들은 경제적인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북한을 떠나고, 이러한 현상들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유를 찾아 중국을 비롯한 제3국을 거쳐 대한민국에 입국하고 있다. 2019년 6월 말 현재 대한민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33,000여명이다(통일부, 2019).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해 정부는「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및 생활안정에 대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 의료, 심리 등 실제적인 사회적응과 자립자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실태를 분석하여, 남한사회에서의 진로신념이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정체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밝힘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적응과 생활안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인천시, 비수도권, 기타지역에서 현재 대한민국에 정착하여 생활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증된 문항과 수정·보완한 항목들로 구성하여 사전조사를 2018년 6월 11일부터 2018년 6월 22일까지 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16부 응답의 분석을 통해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였다. 본 조사의 설문은 2018년 7월 9일부터 2018년 9월 21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총 350부를 발송 후 340부를 수거하였으며, screening test를 거친 333부 가운데 일관성이 없거나 불성실한 설문의 응답을 제외한 최종 322부가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3.0와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항목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선행연구들에서 추출하여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하여 내적 일관성과 내용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수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으며 Cronbach’s Alpha 계수를 통해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에 제시된 구성개념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결과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진로신념(3개), 자아정체성(2개), 자아탄력성(3개), 사회적응(2개)의 4개 변인에서 총 10개의 하위요인 영역을 선정하였다. 4개의 변인 모두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신념이 높으면 자아정체성, 자아탄력성, 사회적응이 높아지거나 조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르면 진로신념은 남한거주기간이 1년 미만의 북한이탈주민이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10대인 북한이탈주민은 자아정체성에 대하여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자아탄력성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과 자영업자가 높았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응은 남한생활적응정도에 따라 10점이 가장 높았다.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신념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데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신념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한민국에서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에게 남한사회의 적응에 유용성을 입증해주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가치체계를 확립하도록 돕는데 기여할 것이며, 그들이 자기정체성을 견고히 하고 그 어떠한 난관과 어려움 속에서도 본래의 자기로 회복하여 정상적인 자기 생활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그들의 가교적인 역할로 향후 통일한국에서 사회의 통합을 이루는데 지침으로 삼을 것이다. 또한 한반도의 분단으로 인하여 비롯된 정치·경제·사회 및 문화 등의 이념과 이질감을 극복하고 남한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도록 하는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한다.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가 심리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미애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사 회적지지와 스트레스가 지역아동센터의 아동들의 심리사회적으로 적응하 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수준은 5점 척도에 평균 3.7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지지, 친구지지, 센터교사지지 순이었다. 스트레스 수준은 5 점 척도에 평균 2.12으로 보통이하로 낮게 나타났으며, 학업영역, 부모영 역, 학교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순이었다. 심리사회 적응 수준은 3점 척도로 높을수록 심리사회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심리적응은 1.52, 사회 적응은 1.57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개인내 적요인을 통제한 후 사회적지지인 친구지지, 가족지지와 센터교사지지를 투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과 친구지지가 증가할수록 심리적응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변수에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을 투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심리적응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며, 친구영역과 학업영역에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심리적응 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응을 종속변수로 통제변수와 독립변수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를 모두 투입하였을 때 자아 존중감이 증가할수록 심리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친구스트레 스와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심리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는 학업영역, 친구영역, 자아존중감 순으 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개인내 적요인을 통제한 후 사회적지지를 투입하였을 때 가족지지가 증가할수록 사회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변수 에 스트레스를 투입하였을 때 학년이 높을수록 사회적응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고, 남자일수록, 부모영역의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사회적응에 부(-)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에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모두를 투입하였을 때 학년과 성적이 높을수록, 여자일 수록 부모영역의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사회적응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의하면 보호와 학습의 도움만으로는 아동들이 심리사 회 적응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지역아동센터의 기능이 확대되어 아동들이 심리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 을 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화가 필요하다. 또한 아동들이 심리사회 적응 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심리사회적응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났다. 이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 자기 주도적이고 창 의적인 사고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 경험을 하게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루어 진다면 아동들이 보다 더 심리사회적으로 적응 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는 심리적응에, 가족지지는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아동센 터의 아동들의 적응영역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즉 심리적응이 힘든 아동 에게는 친구지지가 많도록 지도하고, 사회적응이 힘든 아동에게는 가족 지지가 주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 있다. 넷째, 스트레스 중 부모영역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친구영역과 학업영역은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적응 의 아동에게는 가정에서 부모자녀 간에 개방적이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 어져 부모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부모지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심리적응을 위해서 친구와의 관계에서 스트레 스를 받지 않도록 친구와의 관계를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 며, 학업영역에서의 스트레스를 덜 받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경험하게 되는 특기적성, 문화체험 등 학교수업과 학업성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동의 학업능력수준에 맞는 다양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 개발하고 서비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 연구를 통한 후속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성을 위해 지역 내의 지역아동센터를 확률표집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 지역에 있는 전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의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의 스 트레스를 잘 나타내는 척도를 사용하여 심리사회 적응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 정신장애인 요양시설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미영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요양시설에서 실시되고있는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참여정도와 사회성숙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정신장애인 요양시설의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실질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 및 재활치료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있는 정신장애인 요양시설 신생원의 환우 중 프로그램에 참여 및 사회화 가능성이 있는 환우 114명(남자 80명, 여자 34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의 문제를 감안하여 관찰자가 체크한 20문항의 체크리스트를 SPSS/WIN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입원기간이 길수록 사회성숙도 수준이 대체로 낮아졌는데, 이는 나이가 많아지면서 더불어 입원기간이 길어지므로 외부와의 단절된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사회성숙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가족관계나 대인관계의 특성에서도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관계가 좋을수록 사회성숙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내 생활정도나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태도는 적극적일수록 사회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숙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움직임이 많고, 동작인 운동프로그램이나 야외활동 프로그램 등에서 사회성숙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참여할수록, 적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보다 사회성숙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할수록, 보다 활동적이고 동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할수록, 더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할수록 사회성숙도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시설에서는 보다 많은 환우가 보다 많은 프로그램, 특히 활동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 줘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e of society adaptation training program executed in mentally handicapped person rehabilitation center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participating level and social maturity. With the result of this, it is also to promote the quality of society adaptation training program and suggest the guide of program development for the sake of society returning and medical treatment of mentally handicapped pers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14 handicapped persons(male 80persons. female 34persons) who were admitted in Shinsangwon. mentally handicapped person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Daejon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ult, 20questions checklist checked by observer with regard to confidence problem, was statistically analysed with SPSS/WIN. The main result o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the older and longer duration persons, the lower social maturity level. It is supposed that, as the patients get older, they usually spend more time in the hospital than younger once, therefore, the isolated time from the society increased. and which cause the decrease of social maturity in the targets. Next, in term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family or others, the patients who have the better relationship were showed the high scores of social maturity.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positive attitude to the usual life or program in the hospital makes the social maturity high.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r not. the targets. who joined the program shows the higher social maturity than not joined targets. Specially, dynamic training with much movement or field programs help increase the social maturity of targets. Namely, the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more programs show the higher social maturity.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seems important to give more chances or motives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to participate in more active programs.

      •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혜영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3

        Psychosocial maladaptation of early youth shows very much diverse types and degrees. Especially, early youths psychosocial maladaptation can not be overlooked since its a predictive sign for such chronic adulthood problems as depression, alcoholism and anti-social behavior. Previous studies imply that juvenile problems are closely connected with improper parenting behaviors. Many studies so far, however, mostly deal with somewhat middle or late period of youth, thus, studies of the early youths behavior problems are a very few. Also only specific behavior problems of youth such as delinquency and depression have been exclusively focused on, requiring investigations of the general psyhosocial maladaptation symptom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the early youth affect their psychosocial maladaptation. To test a net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its influence upon youth's maladaptation was investigated excluding main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s. And most effective parenting behavior that affects youth's psychosocial maladaptation was sought by analytically comparing juvenile delinquents under probation with normal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611 normal children in Seoul(3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94 middle school students) and 154 children under probation. To test the hypotheses,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K-YSR, Index of Peer Relation(IPR) and Personality Scal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one-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norma early youth by demographic variable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attention problem than elementary schoolers. But in other areas, there was not an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somatic complaints,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boys, while boys showed higher degrees of externalizing and delinquent behaviors. The low income level group them high & midd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in total behavior problems,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ternalizing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while there was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delinquency, aggressivenes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s for the attention problem children of labor wor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those of managers, officials and professionals. Children of fathers with education below middle school also showed higher degrees than groups whose fathers having academic careers above high school or university. Children whose mother's education is below middle scho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in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externalizing problems,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than those having mothers with high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y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ers than middle schoolers and girl students than boys had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of their parents' intimacy/rationality. Also children with siblings perceived their parents' intimacy/rationality more strongly than the single child, so did children of high income family while those of middle or low income family did not. Boys perceives parents' control more strongly than girl students, and children of low income family perceived mother's control more strongly than those of middle or high income family Children whose fathers were labor workers perceived their mother's control more strongly than children whose father were self-sustaining businessman, a manager, an official or a professional. As for parents' over protectiveness, boy students perceived it more strongly than girl students. As for mother's neglect,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than elementary schoolers, so did the group of the second or last child while the first one did not. Children whose fathers were either self-sustaining businessman perceived their parents' neglect more strongly than children whose fathers were either an official or a professionals. 2. Parents' fostering behavior factors affecting early youths psychosocial maladaptation First, as a result of seeing whether there is an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ehavioral factors of mother's parenting and father's parenting, it was revealed that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fathers in such areas as intimacy/rationality and overprotection. Second, in the case of the mother, the most effective variable wa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then intimacy/rationality and overprotection in that order, while neglect was the least statistically effective variable. Mother's intimacy/rationality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n control and overprotectiveness in that order while neglect was a rather insignificant variable. To externalizing problems, intimacy /rationality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and then control and neglect in that order, while overprotectiven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behavioral elements in father's parenting on the early youth's psychosocial maladaptation, it was revealed that intimacy/ rationality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behaviors, externalizing problems, and other problem. A control was the next. Third, as a result of excluding peer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s to examine a net influence of parenting, it was revealed that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the early youth'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father's intimacy/rationality, control, and mother's overprotection. In case of externalizing behavior, father's control and intimacy/rationality and mother's intimacy/rationality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s. To total behavior problems, fathers intimacy/rationality, father's control and mother's overprotection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3. Parenting behavior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maladaptation of early youth under probation. First, in case of the mothers, control was a signification variable to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behavior or somatic complaints, anxiety and depression and social problems. But mother's parenting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r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of the youth under probat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control affected significantly the internalizing behaviors or somatic complaints and delinquency of the youth. But intimacy/rationality, overprotection and neglect were revealed to be statistically less effective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cluding peer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 to examine net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 it was revealed that only mother's control was a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 to total behavior problems. In case of internalizing behaviors, mother's control and father's control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m, while only father's control affected externalizing behaviors significantly.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은 그 유형과 정도에 있어 매우 다양하다. 특히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은 성인기의 우울증, 알콜중독, 반사회성 등의 만성적 문제를 예측할 수 있는 예견인자라는 점에서 소홀히 여겨질 수 없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청소년 문제는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문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는 중·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청소년의 특정 문제행동 즉, 비행, 우울 등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부적응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Barber(1994)는 청소년의 자율성을 억제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우울, 불안 등의 내재화 문제와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행동적 규제의 결핍은 비행,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함으로써 문제유형별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요인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Lamborn(1991)은 부모-자녀관계에서 청소년의 높은 자율성의 정도가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증상과 관련이 높다고 주장하였으므로, 이는 Barber의 연구결과와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사고의 문제 등- 의 어떤 측면에 부모양육행동 요인이 보다 더 영향력을 미치는가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요인이 그들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모양육행동의 순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이미 문제 청소년으로 판정된 보호관찰 청소년을 일반 청소년과 비교분석하므로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가장 영향력있는 부모양육행동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시내 일반 청소년 611명(초등학생 317명, 중학생 294명)과 보호관찰 청소년(서울, 인천, 대구)을 15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행동 척도, 심리사회적 부적응 척도(K-YSR), 친구 관계척도, 개인적 성격특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oneway ANOVA, t-test, 단계적 다변량 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 초기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분석 첫째, 학년 구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주의집중 문제가 중학생이 초등학생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그 밖의 문제유형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신체화 증상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외현화 문제, 비행 문제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제 수준이 낮은 집단이 중·상 집단 보다 초기 청소년의 총 문제, 위축, 우울/불안, 내재화 문제, 주의 집중문제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행, 공격성, 외현화 문제는 경제수준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직종별로는 주의집중 문제에서만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주의집중 문제의 정도는 단순기술직이 중간관리자, 고위직/전문직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중졸 이하인 집단이 고졸인 집단보다 문제 정도가 높고, 대졸이상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어머니의 학력은 총 문제, 내재화 문제, 위축, 우울/불안, 외현화 문제, 비행, 공격성 문제 등에서 중졸이하인 집단이 고졸인 집단 보다 높았고, 대졸이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양육행동의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의 정도는 자녀가 초등학생인 경우 중학생 보다 높게,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 외동인 자녀보다 맏이, 둘째, 막내인 자녀가 부모의 친밀감 및 합리성을 더 높게, 경제 수준별로 상류집단의 청소년이 중류, 하류집단의 청소년 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아버지 직종이 고위직/전문직인 집단의 자녀가 단순기술직 보다 어머니의 친밀감 및 합리성을 높게, 고위직/전문직, 자영업, 중간관리자 집단의 자녀가 단순기술직 집단의 자녀보다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력이 중졸이하인 집단의 청소년은 고졸, 대졸이상 집단의 청소년 보다 친밀감 및 합리성을 낮게 지각하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어머니, 아버지의 통제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경제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통제는 하류 집단의 자녀가 상류집단의 자녀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아버지 직종별로 단순기술직인 집단의 청소년이 자영업, 중간 관리자, 고위직/전문직인 집단의 청소년 보다 어머니 통제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어머니의 학력이 중졸이하인 집단의 자녀가 고졸과 대졸이상인 집단의 자녀보다 어머니 통제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어머니, 아버지의 과잉보호는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부모의 과잉보호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 방임은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형제순위에 따라 둘째인 집단과 막내인 집단이 맏이 보다 어머니 방임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아버지의 직종이 자영업인 집단의 자녀가 고위직/전문직 자녀보다 부모 방임의 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2. 일반 초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행동요인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요인이 어떠한 통계적 차이가 있나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는 아버지 보다 애정, 수용 및 경청,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이과 이성적 설득을 통한 훈육을 하는 정도가 높으며 동시에 자율성을 억제하는 지타친 간섭과 보호의 정도도 높았다. 그러나 체벌, 무조건적 복종 등의 강압적, 심리적 통제와 방임은 아버지, 어머니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요인이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경우 총 문제행동에서 통제가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이었고 다음으로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방임은 통계적인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는 변인이었다. 어머니의 친밀감 및 합리성은 내재화 문제에 가장 큰 영향력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통제, 과잉보호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방임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외현화 문제에서는 친밀감 및 합리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고 다음으로 통제, 방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잉보호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행동 요인이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기청소년의 총 문제,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기타 문제에서 동일하게 친밀감 및 합리성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통제가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과잉보호와 방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행동의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결과 내재화 문제의 경우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통제, 어머니의 과잉보호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의 경우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아버지의 통제와 친밀감 및 합리성, 어머니의 친밀감 및 합리성이 유의미한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총 문제행동의 경우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후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통제, 어머니 과잉보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국, 아버지, 어머니의 애정 및 수용, 언어적 설득에 의한 훈육, 일상생활의 관심 등을 낮게 지각할수록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정도는 높아지며, 아버지의 지나친 체벌, 비일관적 훈육, 무조건적 복종, 죄의식유발등의 심리 통제, 어머니의 지나친 간섭과 자율성을 억압을 높게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부적응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행동요인 첫째, 어머니의 경우 총 문제행동, 내재화 문제 및 신체적 증상,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등에서 통제가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었고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와 방임은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어머니 양육행동요인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 및 비행,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 요인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재화 문제 및 신체적 증상, 비행 문제 등에 아버지의 통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와 방임은 통계적인 영향력이 없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부모양육행동의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결과 내재화 문제의 경우 어머니, 아버지의 통제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는 아버지의 통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총 문제행동의 경우 친구관게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통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4. 일반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의 비교 일반 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후자의 경우 부모의 통제 즉 심한 체벌, 비일관적 훈육, 무분별한 분노표현과 같은 강압적 통제와 청소년의 언어적 표현의 억압, 느낌과 생각의 무시, 죄의식 유발등의 심리적 통제만이 심리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이는 일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보호적 행동, 강압적 통제와 심리적 통제, 애정, 수용, 합리적 지도 등 다양한 요소들이 그들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상이하다. 5. 사회사업실천에 시사하는 의미 첫째, 본 연구대상자인 일반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표준점수를 비교해 보면, 외현화 문제는 63T점 이상 비율이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대략 두 배 정도 높았지만, 총 문제 및 내재화 문제, 기타 문제 등은 비율상 별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일반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정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시사하므로써 학교사회사업 활성화에 대한 절대적 필요성을 지지하고 있다. 둘째, 부모의 학력이 대졸이상인 집단은 고졸보다 거의 모든 문제유형에서 초기 청소년의 문제 평균점수가 더 높고 부모의 과잉보호가 대졸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부모 학력이 높다고 해서 바람직한 자녀교육을 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아버지 직업종류가 고위직/전문직인 경우 단순기술직에 버금가게 신체적 증상을 비롯한 내재화 문제에서 평균점수가 높았다. 이는 청소년 문제가 아버지 직업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연구결과와 상이하므로 주목할 만하다. 셋째, 일반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친밀감 및 합리성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통제와 과잉보호는 남학생이 더 높게 지각하였다. 더욱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외현화 문제, 비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비추어 볼 때 남자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게의 부정적 측면이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부모관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녀를 효과적으로 양육하고 자녀와의 상호작용패턴을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양육행동척도의 하위개념 즉, 수용 및 경청기술,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 합리적인 의사소통법을 활용한 사회복지 실천의 임상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현대사회에서 자녀양육 기능은 거의 전적으로 어머니에 의해 수행되고 있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아버지 보다 빈번하다는 이유로 아버지의 양육행동의 자녀에 대한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아버지 양육행동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통제가 어머니 양육행동보다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더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이 매우 주목된다. 이는 초기 청소년의 내재화, 외현화, 기타 문제행동을 사정하고 개입할 대 아버지 양육행동요인은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내재화 문제에는 어머니의 과잉보호 즉, 자율성을 억제하고 자녀의 연령에 적절하지 않는 보호적 행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외현화 문제는 어머니의 무관심과 방관적 태도 즉, 지나치게 자율성을 허용하는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부모의 자율성 허용정도가 문제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여섯째, 부모 각각의 양육행동요인이 초기청소년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살펴봄으로써 가족기능연구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가족내 개인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곱째,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비교에 의하면,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부모의 지나친 체벌, 비일관적이고 무분별한 분노표현, 언어적 표현의 억압, 죄의식유발, 인격적 공격 등의 강압적, 심리적 통제가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모든 유형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자녀를 인격체로 인정하기 보다 부모의 소유물로 간주하는 태도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초기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권위주의적 자녀 양육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치관 교육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정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며, 이들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응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Doeglas연구팀(1996)이 정의한 다양한 영역별 지지기능에 대한 실제적인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나는 인지된 사회적지지로 개념화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하부영역을 일상의 정서적 지지, 문제중심적 정서적 지지, 사회교제, 일상의 도구적 지지, 문제중심의 도구적 지지로 나누어 측정되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응이란 개인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조직 내에서 각 개인이 갖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지위와 그에 따르는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나가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응을 사회관계 및 여가활동에서의 역할, 핵가족 내에서의 역할, 확대가족내에서의 역할, 직업생활에서의 역할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4개의 정신보건센터, 4개의 사회복귀시설 총 8개의 기관 113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되는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두고, 사회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인 사회적응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 중에서 사회지지, 사회지지 교류, 사회지지 만족도의 변수들은 정적(+)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사회적 지지 교류이었고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 만족도 순으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즉, 사회적지지 교류가 많을수록, 총사회적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를 보면, 사회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정도가 많을수록 사회적응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그러므로, 사회적응 향상을 위해서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및 지지체계의 육성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 교제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살펴보면, 사회적 교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교제 정도가 많을수록 사회적응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사회적 교제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자조집단을 형성하고 사회적 교제 지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사회적 지지 교류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 교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지지 교류 정도가 많을수록 사회적응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사회적지지 교류가 많을수록 사회적응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사회적 지지 교류는 Suurmeijer, et al,(1995)가 언급하였듯이, 실질적 도움이나 정보제공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기능이 있으며, '원조자 원칙(helper principle)'에 따라 사회적 지지 제공자 또한 지지 상호작용 및 교류에 의한 혜택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스트레스 감소 기능이나 지지 제공자에 대한 부가적 혜택은 일반인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편견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이며, 사회복지적 개입에 있어 유용한 부분이므로, 집중적인 검토와 관심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on their social adjustment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crease social support for them and to develop their social adjustments. In this study, the social support is indicated by the actual interactions of supportive functions in various field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m(Doeglas, et al., 1996). It consists of five subordinate fields such as daily emotional social support, problem -oriented emotional social support, social companionship, daily instrumental social support, and problem -oriented instrumental social support (Suurmeijer, et al., 1995). The social adjustment is an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her social environment. We can understand them by researching how an individual accomplishes his/her role according to his/her position in social organizat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social adjustment is measured by dividing it into four roles in activities of leasure and social relationships, in nuclear families, in extended families, and in work site. The Data from 113 mentally disabled persons in S different centers (4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4 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are used in this study. They are analyzed by means of the multiple regression to measure the effect on the social supports for their social adjust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Pest, variables such a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transaction, and social support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adjustment. The highest efficient variable is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and the second is the social support, and the last one is the social support satisfaction. Namely, the more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the social support and the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ccur,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for the social adjustment, the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t means that the more social supports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are made,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Therefore, our implications of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more social support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are made,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As a result of this, the increase of social supports and social networks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to improve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requested. Thir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n social companionship for the social adjustment, the social companion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at is to say, the more social companionship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are made,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 are. Consequently, the hypothesis, 'the more social companionship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are made,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is proved. So, it is important to help the mentally disabled persons to establish their self-help groups and make their social companionship. finally,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more social support transactions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are made,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more social support with mentally disabled persons are made, the better their social adjustments are.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as Suurmeijer, et al.(1995) said, plays a role of the reduction of stress by means of providing actual helps or information. Besides, social support providers can have benefits from the social supportive transaction according to 'helper principle'. It is an important fact that such reduction of stress and additional benefits from the social support providers can promote concerns about mentally disabled persons and contribute to dissolving stigma toward them. It is a beneficial part for social welfare. Therefore, concentrated examination and concern are needed.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몽골 결혼이주여성 중심으로

        엥흐타이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2022년 11월 15날 전세계 인구가 80억 명을 기록했다고 유엔이 밝혔다. 세계 인구 증가와 세계화로 인하여 인간은 지금보다 더 나은 곳에 살고 싶어한다.결혼이주생활, 유학생활, 이주노동생활 등 다양하게 다문화 경험을 직면한다. 본 연구는 몽골 사람들 이주를 선택한 나라중에서 제일 선호하고, 거주하는 한국 남편과 살고 있는 몽골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하자고 했다. 한국통계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평균 7.2%로 증가했던 국내 체류외국인의 수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연속 감소했다(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21). 2021년 말 기준 국내 체류외국인은 1,956,781명으로, 2020년 대비 3.9%(79294) 감소했으며, 특히 외국인관광객 등 단기체류외국인이 2020년 대비 9.11%(38,807)의 큰 감소폭을 보였다(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21). 다문화 가구 수 또한 통계청이 다문화가구 수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5년에는 29만 9천 가구였으나, 2020년에는 36만 8천 가구로 증가하였으며, 국내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5년 1.53%에서 2020년 1.71%로 늘어났다(통계청, 2017; 통계청, 2021 재인용). 논문은 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헌연구법을 사용하였다. 한국 사회 적응 개념 및 생활만족도 개념에 대한 이론적 체계 정립, 몽골 결혼이주여성의 직면한 사회적 적응이 생활만족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자료(1994년부터 2022년 사이에 발간된 “몽골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적응과 생활만족도”주제를 다룬 논문과 전문도서, 인터넷 기사, 각종 통계자료, 전국타문화 가족 실태 조사 2021년 자료 등)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제와 연구방법 등 연구 설계에 활용하였으며, 전문기관의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실제 수치를 도출하고, 주변 다문화경험을 통해 논의를 주장을 하였다. 본 연구는 몽골 결혼이주여성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어려움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된 연구문제는 첫째, 몽골여성들이 경험하는 개인적 어려움이 무엇일까? 둘째, 몽골여성들이 가족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일까? 셋째, 몽골여성들이 사회적 환경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The world's population reached 8 billion on November 15, 2022, the United Nations said. Due to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globalization, humans want to live in a better place than now. They face various multicultural experiences such as marriage migration life, international student life, and migrant labor life. This study suggested that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who live with their Korean husbands, who are most preferred among countries where Mongolians chose to migrate, will study the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which increased to an average of 7.2% every year from 2017 to 2019, has decreased consecutively since 2020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As of the end of 2021, 1,956,781 foreigners stayed in Korea, down 3.9% (79294) from 2020, and in particular, short-term foreigners such as foreign touris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9.11% (38,807) compared to 2020. The number of multicultural households also increased from 299,000 in 2015 when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began to announc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households, to 368,000 in 2020, and the share of all households in Korea also increased from 1.53% in 2015 to 1.71% in 2020. The paper mainly collected data and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for Korean soci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22.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used for research design such a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and the current actual figures were derived using data from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discussions were argued through surrounding multicultural experienc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various difficulties faced by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earch question related to this is, first, what are the pers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ngolian women?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Mongolian women experience in their family life?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Mongolian women experience in the social environment?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연구 : 교사·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우성남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 간 바람직한 의사소통 관계를 파악하고 유아의 교사⋅또래 상호작용 증진을 통해 유아가 교육기관에 잘 적응함으로써 유아발달과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부모를 대상으로 484부를 대상으로 하여 IBM SPSS 21.0 프로그램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for SPSS v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이 교사 및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교사 및 또래관계가 유아의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및 또래관계에 따라 매개효과가 있을 것인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의사소통은 유아의 사회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 의사소통이 높으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응이 높아진다. 또한, 긍정적의사소통과 교사와의 관계, 긍정적의 사소통과 또래와의 관계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의사소통과 교사와의 관계, 부정적의사소통과 또래와의 관계는 부(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의사소통이 높으면 교사⋅또래와의 관계가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 또래관계는 유아의 사회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와의 관계가 좋고 친밀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고,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할수록 아동은 협력적이고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사회적응에 있어 덜 위축된다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교사⋅또래와의 관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본 결과, 교사⋅또래와의 관계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교사⋅또래관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유아의 사회적응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 간 의사소통, 유아의 사회적응, 교사관계, 또래관계에 대한 측정 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자기 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가정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와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사회적응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sirabl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growth by adapting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the enhancement of teacher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4 kindergarten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and parents in Seoul,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v3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with IBM SPSS 21.0 program.,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purpose is First, how does the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ffect the social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Second, how does parent-child communication ability affect teacher-peer relationship? Third, how does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 affect children's social adaptation? Fourth,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bility on children's social adaptation according to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ositive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higher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infant.,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communication and teacher, positive communication and peer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communication and teacher, negative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had a negative ( ) effect.,In other words, if negative communication is high,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peers becomes wors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e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ocial adaptation of young children.,In other words,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higher the intimacy, the higher the social competence, and the more the relationship with peers is, the more cooperative the children are, the more active the interaction, and the less shrinking the social adaptation.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peers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ocial adaptati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peer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ocial adaptation.,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 peer relationship is the result that communication with parents can adjust th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In this way, it was analyzed that all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children's social adaptation had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 study measured self-reporting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when measuring mother's communication between childre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in future studies, qualita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home of the nursery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data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children and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