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현황

        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기독교학교의 역사는 개화와 함께 개신교 선교사의 내주로부터 시작된다.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선교를 위해 취한 중요한 방법의 하나는 바로 교육사업이었다. 이는 개화기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근대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개신교 선교사들이 교육 사업을 통하여 선교를 실천하고자 한국에 내주하여 많은 기독교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그러나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독교학교는 오늘날 학문의 수월성(academic excellence)을 추구하면서 그 근본기능인 선교의 목적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의 기독교학교 중에서도 여성교육을 주도한 이화여자대학교의 기독교교육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현재 이화여대 기독교교육의 현실을 파악해봄으로써 앞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서론인 제1장에서는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의 설립이념을 밝히고 현재 기독교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것이다. 또한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도 함께 기술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기독교학교가 설립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대표적으로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이념을 간단히 기술할 것이다. 제3장에서는 대표적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변천과정을 채플과 기독교 절기행사, 기독교 교양과목의 세 측면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실시되는 기독교교육에 대해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할 것이다. 제5장에서는 기독교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을 다시금 밝히고 선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기독교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채플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화여자대학교의 보다 나은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The history of mission school begins with the missionaries moving into the Korea in the age of civilization. As peoples' interest about the Occident civilization was increased, the modern education was required in Korea. So the Protestant missionaries practiced the education business as one of the important method for missionary work and established many mission schools. However, orientating academic excellence, the mission school is now losing the basic purpose as missionary work. For this reason, I researched the historical changes in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hich could be appreciated as the leader of the education of wome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of Ewha University,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rough the present diagnosis. The study is consist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One reviews the ideology of Ewha's establishment and the necessity of present condition of religious education,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e way of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suggested. Chapter Two explores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mission school. I choose nest four mission schools and shortly described the ideology of educational establishment ; Paichai Haktang, Ewha Haktang, Jungshin girl's school. Chapter Three exams the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education in Ewha. I classified this as the three aspects; chapel, christian subdivisions of the seasons the ideology of education and christian. Chapter Four examines the present religious education practised in Ewha analyzing the result of making up questions. Chapter Five explained the ideology of education of Ewha agai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to reach the goal of missionary. And content of this treatise is summarized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more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프로그램 개발전략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는 지식 기반의 무한경쟁 사회이고, 지식과 감성의 융합이 경쟁 우위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시대이다. 또한 21세기는 브랜드 시대이다. 기업 가치 형성의 핵심적 요인인 브랜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 속에 바람직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브랜드 경영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대학은 시장에 부응해야 하는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폐쇄적인 상아탑’이 아니며 전통적인 학제, 교수 방법 등에서 탈피하여 시장 관점에서 학생, 기업, 정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와 요구에 부응하여 지속 가능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미 세계적인 명문대학들은 경쟁과 자율을 핵심가치로 삼는 세계 시장의 원리를 수용하며 차별화된 경쟁전략을 수행해왔다. 또한 국내의 유수 대학들도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해 각자의 전문화, 특성화된 분야를 확보하여 집중적으로 투자, 육성해 나가고 있다. 이화여대도 122년간 세계적인 전문 여성 교육의 본체로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최고 여성 지도자 배출을 위해 혁신과 도전을 추구해왔다. 이화여대가 당면한, 그리고 현재 목표로 하고 있는 글로벌 명문대학을 행한 행보를 위해 글로벌 기준과 시장 상황에 부합하여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이화’브랜드를 관리하는 체계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의 국내 핵심 거점으로서 파주 캠퍼스 교육 연구 복합단지 조성 준비에 맞춰 통일되고 체계적인 '이화'브랜드 정립을 시급히 마련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대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세우기 위해 먼저 브랜드의 정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 도출하였고, 또한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파워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적 구성 요소 중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요인들에 대해 다른 국내외의 대학들은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는지 실제 사례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 했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의 관리 방법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이화여대의 현재의 UBID 운용실태를 살펴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글로벌 최고 최대 명문 대학으로 나아가기 위한 UBID 정립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화여대를 위한 전용 서체 개발 및 고유 컬러 지정 등 UBID 전략을 제언하였다. 대학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발휘하여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일관성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 및 지속적인 유지, 보완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또한 브랜드 경쟁력의 제고에 경영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우리의 대학도 자랑스러운 세계 최고 브랜드로서 세계 속에 이름이 널리 알려지고 각인되어 당당히 우리의 이화 브랜드를 자랑하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We call the 21st century a knowledge-based infinite competitive society and the integra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has risen to the kernel of competitive advantage. Also, it is a century of brand. Brand, an essential factor of company’s value formation is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angible asset of enterprises. Every company around the world focuses on brand business strategy ultimately for building up desirable images in the heart of their consumers. In this era, universities are to maintain active correspondence in ever changing environment under industrial view that meets market’s needs. “Tower of Ivory“ or academic elitism is not an appropriate term for colleges anymore and they should deviate from traditional educational disciplinary and teaching methods. The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should meet values and demands of diverse interest groups such as students, companies,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s prominent universities have already accepted international market principle that regards competitiveness and autonomy as core concepts. In the same way, national top universities allocate chief notions in enhancing university’s brand values and in order to do so, they procure specialized fields and concentrate investing and fostering them. Ewha Womans University, world’s body of professional women’s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the country’s development and pursuit challenge and innovation for creating supreme women leaders for 122 years. To reach the current goal of being global leading university, Ewha is in need of integrated and specialized “Ewha” brand management system by global standards and market situation. And in a preparation of Paju Education and Research Campus Complex, nation’s hub base in global era, building integrated and organized “Ewha” brand is essential. This paper aims for developing specific university brand identity strategies for Ewha Womans University. First of all, it covers th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of brand definition and brand identity. This brings out brand identity constituents, effective brand management methods, and power brand construction techniques. Next, it compares and examines actual native and foreign university management cases of visual factors of brand identity constituents to deduce 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UBID) rat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After that, we look at the present condition of Ewha UBID and compare it for the necessity of UBID settlement of accomplishing global top leading university. And finally, it proposes UBID strategies for Ewha Womans University. In order to display competitive and spirited university brand, construction of concrete and consistent brand identity, constant preservation and complement, restless efforts to gain positive images are required. Focusing management capacities on brand competitive power is another prerequisite. Through these courses, Ewha will be identified and remembered as one of the best brand name. I expect to take great pride in watching Ewha brand stretch around the world soon.

      • UI(University Identity)시스템을 반영한 모바일 앱(App)디자인 개발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모바일 앱(App)중심으로

        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스마트폰 시장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은 기존 미디어 이용 형태를 급속하게 변화시키며 우리들의 생활 속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확산되어 라이프스타일의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급증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열풍으로 보고 있다. 2007년 1월 아이폰 출시로 애플에서 운영하는 앱스토어(App store)의 수 많은 앱의 개수가 쏟아지면서 국내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의 이름으로 2008년 8월에 발표하여 10월부터 이용이 시작되어 앱의 수는 2012년 3월, 현재 45만개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 많은 앱으로 인해 앱의 종류와 디자인의 중요성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국내 각 대학들은 학생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학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앱을 개발하였고, 이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 앱은 주로 도서관 빈자리 현황과 도서 반납과 대출, 대학내 건물 위치, 학생식당 메뉴, 강의시간표, 사이버 캠퍼스 등 대학종합정보시스템 전반의 효율성 향상과 재학생의 행정 처리의 개선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만들어 졌다. 현재 많은 대학들은 수요에 발맞춰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능적 컨텐츠를 주로 갖춘 UI(University Identity)를 반영하여 개성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각 대학교 앱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인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두 방식으로 앱을 만들고 있으나 정보전달의 그래픽요소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서비스 앱 시장인 구글의 안드로이드에 등록되어있는 대학교 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앱 디자인 연구를 진행 하였다. As the smart phone market expanded rapidly, new media has changed the previous media usage massively and has become a era of our lifestyle that has rapidly came into our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ccordingly, the widespread increase of smart phone is taken as a boom in the application market that provides the mobile application. Ever since the i-phone was released in January, 2007 by Apple, numerous apps came out to the market from the App store and in Korea, as it was released in the name of Google’s ‘Android market’ in August, 2008, it started it use from October and as of March, 2012, the number of the app has reached 450 thousand. Due to such a huge number of app, the type of app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become a major topic. Leveraging such trend, local universities has developed apps for the student and user convenience and to transcend the school information and its usage has risen as well. School app was made mainl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university total information system that shows vacant seats and book renting in the library, university facility location, school cafeteria menu, class timetable, cyber campus etc and improve the administrative works for the students. Upon the demand of the app, numerous universities are developing creative design that reflects the UI which is equipped with functional contents that helps school life. Due to the usage of mobile device of the users, although the universities are making apps in types of Apple’s app store and Google’s Android, the graphic components to transcend the information are similar an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niversity app which is registered on Google’s Android and started the Ewha Womens University app design study based on such analysis.

      • 대학의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브랜드숍에 관한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전우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university is facing an extreme change in social, cultural environment, which represents globalized, information-oriented and generalized education society, and is experiencing double pains in existence and competition.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ety’s viewing and understanding on the university and the criticisms on a property of the university and the role itself expands, the necessity that exists as culture of a society and other multi-valued university in a comprehensive meaning has been required. The educational market changed from the seller's market to the buyer's market, the width of selections to the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onsumers, can select a desired university in a wide selection. In addition, as the consumption paradigm transfers from functional consumption to emotional consumption, consumers try to satisfy their own desires in their personal dimensions and show the trend that selects products in dependence on the corporate image. Th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tool integrally managing the identity and image of a university is necessary to communication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and the identity of a university to the persons concerned and the general public with a meaning of existence amid social change in an aspect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could play such a role. The brand shop in the university’s identity is an induction of strategic system which can communicate and enhance the university’s image by guaranteeing and differentiating the personality of a university.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s image, can show function as multi-fields of connected device and unity the process from idea to the educational market by using as ways and means to fix and maintain a university’s identity corresponds with a university’s principle and vision, and can enhance value and quality of a university through visual or figure media. As there is the necessity that should understand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comprehensively and multi-dimensionally, the present research has a purpose in suggesting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as a part of basic activities for preparing a method to communicate a university’s definite identity. For this purpose, a general concept of identity and imag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age was considered, and the university’s identity in the dimension of the corporate identity was established. Also,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through a general concept, identity and distinguished strategy of the brand shop were investigated and the importance of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in establishing the university's identity was found out through a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s identity and brand shop. And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close analysis on its theoretical basis. The identity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a direction that the brand shop should move forward in the future were searched for amid competition. The proposed management strategies to operate the brand shop of university in a dimension of the identity are as follows. First, a dedicated organization is necessary. Second, visual guidelines should be reestablished. Third, the brand shop should more actively cope with development of products matched with desire of buyers. Fourth, the consistent university image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independent brand shop. Fifth,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oducts quality and acquisition effect of human resources should be obtained through linkage with students. Sixth, the redesign of a sale process through construction of an online shop and the integrated on-off-line service design should be achieved. The research results could propose a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and a method approaching management of the brand shop for the image enhancement and identity establish of university on the future. Most of all, Because the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is largely changing due to the university culture that is becoming globalized, infomationized and characterized, it is thought that the brand shop will have a value as a revitalizing strategy of the total university that spiritual, behavioral and visual aspects are comprehensively managed in a point that a separate response of the university also become to bump into its limit easily. 세계화, 지식 정보화와 교육보편화로 대변되는 사회·문화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학은 대내·외적으로 큰 변혁기를 맞고 있으며, 생존과 경쟁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대학에 대한 사회의 시선과 인식의 변화, 대학의 특성과 역할 자체에 대한 비판이 확대되어 포괄적인 의미에서 사회의 문화, 기타 다가치적인 대학으로 존재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교육 시장은 생산자 중심의 시장(Seller's Market)에서 소비자 중심의 시장(Buyer's Market)으로 변화되어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이 주도권을 갖고 마음에 드는 대학을 고를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더불어 기능소비에서 감성소비로 소비 패러다임이 이전되면서 소비자들은 감성적이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하며 기업의 이미지에 의존하여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명사적 사회 변화 속에서 대학의 존재의 의미와 아이덴티티를 이해관계자 및 일반대중에게 소구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통합 관리할 차별화·특성화된 도구가 필요하며, 대학 브랜드숍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의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브랜드숍은 대학의 개성을 확보하고 차별화하여 대학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전달할 수 있는 전략적 시스템의 도입이다. 대학의 이미지와 관련하여 대학 브랜드숍이 대학의 이념과 비전에 부합되는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활용됨으로써 다분야적 연결 장치로서 기능을 발휘하고 개념에서 시장에 이르는 과정을 통합할 수 있으며 시각적 또는 문자적 매체를 통해 대학의 가치와 품질을 고양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학 브랜드숍을 총체적이고 다차원적으로 이해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의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 활동의 일환으로 대학 브랜드숍의 가치와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측면의 문헌연구에서는 아이덴티티와 이미지의 일반적인 개념 및 관계를 고찰하고 기업의 아이덴티티 차원에서 대학의 아이덴티티를 정립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브랜드숍의 개념과 아이덴티티, 차별화 전략을 통해 대학의 브랜드숍의 개념을 살펴보고, 대학의 아이덴티티와 브랜드숍 간의 관계를 통해 대학의 아이덴티티 확립에 있어 대학 브랜드숍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론적 근거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토대로 이화여자대학교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이화여자대학교의 외부 상황과 내부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경쟁 속에서 이화여자대학교의 정체성과 앞으로 브랜드숍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 아이덴티티 차원의 대학 브랜드숍을 운영하기 위해 제안된 전략은 첫째, 전담 조직이 필요하며 둘째, 시각적 가이드라인이 재정립되어야 하며 셋째, 구매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넷째, 독립된 브랜드숍을 통해 일관된 대학 이미지를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다섯째, 학생 연계를 통해 제품의 디자인과 품질의 질적 향상, 인적 자원의 획득 효과를 얻어야 하며 여섯째, 온라인 매장 구축을 통한 판매 프로세스의 재설계 및 온·오프라인의 통합된 서비스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의 이미지 제고와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브랜드숍 운영의 장기적인 플랜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세계화, 정보화, 특성화되어가는 대학 문화에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의 개별적 대응도 쉽게 그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는 점에서, 정신과 행동 그리고 시각적 측면이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대학 전체의 활성화 전략으로써 가치를 가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학생 선교운동의 역사와 현황

        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1886년 이화학당의 개교는 한국 여성들에게 기쁜 소식이었다. 당시 남존여비라는 인습의 속박 가운데 있던 여성들을 이화는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여 보다 가치있는 삶을 살도록 인도하였다. 그야말로 이것은 선교적 사건이었다. 이것을 가능케 한 힘은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에 바탕을 둔 기독교 정신으로 이화는 그 시작부터 선교적 사명을 가지고 출발했다. 하나님의 선교가 이화 안에서, 그리고 이화를 통해서 확장되어 갔다. 이화의 역사는 바로 선교의 역사였던 것이다. 115년 이화의 역사가 이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화는 하나님의 선교가 일어났던 선교현장이었을 뿐 아니라 이것을 확장해 나가는 선교공동체였다. 이화의 역사 속에서 일어났던 크고 작은 선교운동을 통해 이화가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하는 선교공동체임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화 선교역사의 중심에는 학생들이 있었다. 그들은 이화에서 진리를 체험했고 이를 다시 이웃에게 전하였다. 즉 이화의 학생들은 일찍부터 선교에 눈을 떴다. 초창기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선교사들의 선교사업을 돕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이화학당과 함께 감리교 선교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보구여관과 정동교회 등을 중심으로 학생들은 이화의 선교사들을 도와 선교사업에 동참했다. 그러다가 1900년대 이후 학당 안에서 자발적인 학생단체들이 생겨났다. 1903년 러빙 소사이어티를 선두로 비슷한 시기에 계몽대, 공주회, 선교회 등 학생 단체들이 조직되었고, 1920년 이화전도대와 1922년 이화 YWCA의 창립을 계기로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일제라는 암울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들의 선교활동은 민족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화의 학생들은 복음으로 민족을 깨우고 농촌을 계몽하는 데에 앞장섰다. 해방 후 이화 YWCA는 학생회로부터 분리되어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해 나갔고, 1960년대와 1970년대의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학생회안에 만들어진 계몽부와 선교부를 통해 전개되었다. 계몽부는 6·25 이후 폐허가 된 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방학마다 교수와 학생들이 힘을 합쳐 전도와 의료봉사, 계몽활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고, 선교부는 1961년 한국 최초로 파키스탄에 선교사 3명을 파송하는 등 학생회를 통하여 적극적인 선교운동이 전개되었다. 한편 1970년대 이후 학원복음화를 기치로 내건 선교단체들이 학내에 등장하면서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학생회 안에서의 운동과 학생회 밖에서의 운동으로 나뉘어졌다. 학생회 밖에서의 선교운동은 선교단체 외에도 다락방 전도협회의 전도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는데, 다락방 전도운동은 이화여대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화의 학생, 교수들이 여기에 많이 참여했음을 볼 수 있다. 1975년 학도호국단이 발족하면서 학생회 선교부는 해체되고 학내의 모든 기독학생 단체들을 종교부로 편입되었다. 80년대는 급격한 사회, 정치적 변화와 함께 학원자주화 투쟁이 표출된 시기로 종교부는 학생회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으로 인해 약화되기에 이르렀고,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로 양극화되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종교분과 안에서는 복음주의 기독 써클을 중심으로 연합의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교목실에서는 1986년에 이화학원선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기독써클의 연합운동은 90년대에 들어 더 적극적으로 전개되어 1993년 이화기독학생연합이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로 지금까지 기독학생들은 양극화를 지양하고 협력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연합운동에 동참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1995년부터 시작된 기독학생들의 총학생회 선거운동은 연합의 획기적인 분기점이 되었다. 당시 양극화되고 개별화된 기독학생 선교운동에 대한 자성에서 비롯된 이 운동은 기독학생들의 선교관이 보다 통전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이 간접적인 계기가 되어 1998년부터 지금까지 새내기 신앙수련회가 실시되고 있는데, 이는 교수, 학생, 동창이 연합함으로써 학원선교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연합운동은 협력선교의 중요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침체된 기독학생 선교운동의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된다. 또한 이외에도 1996년 학생처의 선교장학생 제도가 신설되었는데, 매년 선발된 학생들이 해외 단기선교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러한 선교활동을 통해 미래의 세계선교를 준비하고 있다. 선교장학생 제도는 이화의 선교정신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이화 기독학생 선교운동의 비젼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화의 선교역사는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이화의 선교정신이 살아있는 한 하나님의 선교역사는 이화를 통해서 확장될 것이다. 이화의 선교정신은 한마디로 받은 것을 나누어 주는 것이다. 이화의 선교운동은 115년 전 이화가 받은 하나님의 은혜를 내 이웃과 민족, 나아가 세계에 값없이 나누어 주는 운동이다. 이러한 선교정신이야말로 이화를 가장 이화답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선교정신을 계승하고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것이 선교공동체인 이화의 사명이며 비젼이라 하겠다. The opening of Ewha Hakdang in 1886 was truely a good news to Korean women. Especially in those days of harsh prejudicial treatment on women, the foundation of Ewha finally gave Korean women a chance to recover their self-respect as human being and discover their potentials for a further progress.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Christian values the school upheld from the very beginning; God's love and His justice. Ewha had a missionary vision from the start and shared the Gospel within and without. The History of Ewha was at the same time the history of the missionary work here in Korea. Ewha's 115 years of history attest us to this. Not only was Ewha the place where the missionary work took place but it also was the community that undertook it. We see this bearing truth from witnessing all small and large-scale missionary work done through this school. The students of Ewha had always been in the center of the school's missionary work. They have opened their eyes to truth early at Ewha and sought ways to spread it. Through Pokunyokwan(a service exclusively for women) and Chungdong church which were built together with the methodist missionaries, Ewha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arly efforts of helping foreign missionaries with their work. But after 1900, voluntary student organizations started to appear within the school. The Loving Society of 1903 as their predecessor the Kyemongdae(enlightment club), King's Daughter Club, Mission Club and others follow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even Women Mission of 1920 and Ewha YWCA of 1922 the students missionary efforts became increasingly systematic. In times of oppressive Japanese rule, these missionary efforts also reflected Korea's liberation movements. They took the lead with the Gospel in waking up the nation and enlightening farming villages. After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Ewha YWCA from the student council and much of its missionary activities of 60's and the 70's were undertaken by its subdivisions: the Department of Enlightment and of Mission. The Department of Enlightment did much to help rebuild then war-torn country through combined efforts of faculty and students in offering medical aids and enlightenment movements. The Department of Mission in 1961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sent 3 missionaries to Pakistan and continued its efforts into the 70's. Also in the 70's was the introduction of missionary organizations(parachurch) with ' Campus Evangelization' as their slogan which brought about a change in Ewha and it divided the students's missionary activity into those focusing within student council and those focusing without. We can see that missionary efforts outside of student council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ose outside organizations like the Upperoom Evangelistic Association and many others. The movement of Upperoom began at Ewha women's college enjoying memberships from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ith the establishment of Hakdohokukdan(student council organized by government) in 1975 the Department of Mission were officially disbanded and all other Christian student clubs and organizations were transferred and put under the guidance of the Department of Religion. The Korea in the 80's were marked by rapid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due to severe college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s, conflicts were manifestative. The Department of Religion were weakened by the student council's ideological differences and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students were polarized between those upholding ideas of 'Evangelism and Ecumenism'. To counter this, many belonging to evangelical Christians clubs within the Department of Religion came together and formed an alliance in 1986 and the chaplain established Ewha Campus Ministry. Movements of Christian clubs alliance became more active into the 90's and it formed Ewha Christian Student Union in 1993. Since that time Christian students of Ewha disapprove of polarization and all a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union movements. Especially the election campaign of general student association in which Christian students participated in 1995 became the epochal turning point for Christian alliance. This movement arose out of reflection upon our past polarized and individualized Christian club missionary activities and sheds light on how current Christian student's views on missionary work become holistic. Indirectly this movement also helped institute 'Freshmen Faith Retreat' every year since 1998. Not only did these combined efforts show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any missionary work but also provided means to bring back vitality to the once stagnant missionary work. In the 90's, Ewha with the Missionary Scholarships started sending selected students abroad for short-term missionary efforts. Such scholarship programs directly reflects Ewha's profound interest in missionary and allows Christian students the chance to find vision in world missionary. Ewha's long missionary history continues even as we speak. As long as its spirit lives on, God's plan and work will continue to spread through Ewha. Our missionary efforts started by sharing that which we have graciously received from God 115 years ago, first with our neighbor and our nation; and further on sharing with the world. This is what makes Ewha beautiful and one can say that passing the spirit of Ewha on to our next generation of Ewha our common and yet the most important goal and vision for the many years to come.

      • 지역화 전략에 따른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일러스트레이션 제안 : 이화여대, 홍익대, 인사동을 중심으로

        이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쇼핑공간은 소비공간, 생활공간, 체험공간으로 인식되면서 쇼핑의 주요 범주에 포함되며, 쇼핑공간의 인테리어, 서비스, 문화적 요소, 분위기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마케팅 분야 중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커피전문점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으며, 그 중에서도 체험마케팅의 대표적 사례인 ‘스타벅스(Starbucks)’를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스타벅스는 다방과 인스턴트커피로 ‘카페’라는 개념이 부족했던 우리나라 커피문화를 발전시킨 일등 공신이라 할 수 있는데, 매장을 단순히 커피만을 먹고 나가는 장소가 아니라 문화를 공유하는 감성 공간으로 승화시켜왔다. 우리나라의 새로운 감성공간으로써 '스타벅스커피 코리아'가 보여준 비주얼 마케팅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어제의 흥미로웠던 스타벅스 스타일도 오랜 획일성으로 신선함을 잃고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다. 실제로 '스타벅스커피 코리아'의 만족도 조사결과를 보면 매장 분위기에 대한 만족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는 다양한 욕구를 갖고 있는 표적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차별화된 비주얼 마케팅을 통한 지역화 전략의 필요성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러한 비주얼 마케팅 요소 중 스타벅스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단순한 이미지로써가 아니라 상징적인 스타일처럼 되어버렸기 때문에 스타벅스를 상징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언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표준화된 스타벅스 일러스트레이션에 지역화를 적용하여 표적고객에 맞게 매장 차별화를 시키고, 광고로써의 일러스트레이션 역할을 강조하여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게 했다. 지역화를 적용할 지역을 선정함에 있어서는, 가장 큰 표적고객인 대학생들이 밀집해있고 지역 개성이 강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의 대학가와 한국적 특성을 고스란히 갖고 있어 지역화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는 인사동으로 결정하였다. 지역화의 도입은 새로운 일러스트를 표현하는데 있어 기존의 스타벅스와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요소로 큰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일관된 일러스트레이션에 지역 특색에 맞는 변화를 주어 고객의 시각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심리적 만족감을 주며, 스타벅스 고유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잃지 않으면서도 매장 차별화를 통해 지루함을 없애고, 해당지역의 개성을 일러스트레이션에 담아냄으로써 고객과 매장의 유대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hopping space is considered not only a space of consumption, but of living and experiencing which now belong to the major shopping components. Thus the interior, service, cultural element and atmosphere of the shopping space significantly influence consumers on choosing certain product. Among the marketing areas reflecting such consumption trends, an increasingly popular business, coffee bars, was examin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Starbucks' was select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experience marketing' case study. Starbucks contributed enormously to the development of 'coffee culture' in Korea, where the old-fashioned teahouse and instant coffee had dominated marginalizing the concept of 'cafe.' Starbucks transformed a cafe from the place just to drink coffee into an emotional space to share culture. The visual marketing of 'Starbucks Korea' has been highly successful creating a new emotional space in Korea. However, once attractive Starbucks style can also be affected by mannerism if the generic appearance stays the same and its uniqueness fades out. Actually the satisfaction survey for 'Starbucks Korea' showed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cafe atmosphere started to decrease. Thus it is necessary for Starbucks Korea to apply a localization strategy through distinctive visual marketing in order to satisfy target customers with their diverse demands. Here, the illustration of Starbucks among visual marketing elements is not a mere image but a symbolic style so that it functions as 'visual language' which symbolizes Starbuck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included applying localization to the currently standardized Starbucks illustration for making each branch distinguishable according to the target consumers, and emphasizing the role of illustration as advertisement for effectively conveying the cafe's message. Regarding the selection of the areas to apply localization, university areas around Ehwa Women's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greater effect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the biggest target group. In addition, Insa-dong was also selected since it can potentially manifest localization effects most prominently. Subsequently in-depth researches on the area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 was applied to the illustration design. By utilizing localization element in designing a new illustration, the similarity with and distinctiveness from the existing Starbucks illustration were simultaneously highlighted. In conclusion, the change of the existing illustration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can fulfill the visual demands of customers and provide psychological satisfaction. Moreover making each Starbucks branch distinctive without losing the unique Starbucks identity can add new vibrancy and reflect individuality of the area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customers and a cafe can be maximized.

      •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최보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educational performance between coeducation and women's universities in Korea and its effectiveness have had little empirical studies while there are contradictory views based on transcendental or personal experien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factors on female students’ educational performance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in Korea. Before the analysi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is defined based on the precedent literary review. It consider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 by dividing into Academic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The former consists of GPA, Temporary Absence, Drop Out, Satisfaction of Facilities, Satisfaction of Education, Pride in Department, and Pride in University. The latter consists of Employment, Type of Position, Conformity with Major, and Work Satisfaction. The research has three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Third, what are factors that affect on female students' educational performance? To verify these questions, it merges year 4 to year 6 (2007-2009)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with other resources. Total 873 female students were under examin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There are differences in Pride in Department and Type of Position only. Second, there were relatively significant import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educational performance, it is confirmed that there was contrast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female rate and low female rate. Third, when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of female students were examined, there was a striking result that,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per sub-factors, learning attitude was proved to be an important factor on educational performance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while job seeking activities experience and voluntary activity experience had an important factor to find employment.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and that there was relatively significant import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A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family background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had also influenced on educational performance of female students, but the fact that learning attitude for educational performance and job seeking activities experience and voluntary activity experience for finding employm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educationally. 고등교육의 역사 속에서 여자대학에 대한 역할기대와 사회적인 관심이 여전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과 학부모 사이에서 대학교육성과에 있어 불리함을 이유로 여자대학으로의 진학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들의 대학교육성과와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선험적이거나 개인적인 경험에 바탕을 둔 엇갈린 견해들만이 있을 뿐 실증적인 자료를 근거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자료의 분석을 통해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 차이 및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앞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성과 개념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교육성과는 정량적 측면과 정성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고, 학업성과와 취업성과로 구분된다. 학업성과는 학점, 휴학경험여부, 자퇴여부, 대학시설만족도, 학교교육만족도, 학과에 대한 자부심,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다. 그리고 취업성과는 취업여부, 근무형태, 전공일치도, 업무만족도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서술된다. 첫째,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 간의 대학교육성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소속 학교의 여학생 구성 비율에 따라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4∼6차년도(2007∼2009년) 자료를 중심으로 기타 자료와 결합하여 최종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으며, 여대생 총 873명을 대상으로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 간의 대학교육성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에 대한 자부심과 근무형태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소속 학교의 여학생 구성 비율에 따라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는 대체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성과의 각 하위요소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여학생비율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대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전체적으로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무엇보다도 고무적인 결과는 하위요소마다 차이는 있긴 하지만 개인특성, 가정특성, 학교특성 중 학업성과에 있어서는 수업태도가, 취업여부에 있어서는 구직활동경험과 자원봉사경험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들 간의 대학교육성과는 거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소속 학교의 여학생 구성 비율에 따라 조금 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에 있어 가정배경과 학교특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업성과에 있어서는 수업태도가, 취업여부에 있어서는 구직활동경험과 자원봉사경험이 무엇보다도 주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차원과 대학차원에서 대학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여학생에게 있어 여자대학에 다니느냐 남녀공학대학 다니느냐는 대학교육성과 있어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개인특성이 대학교육성과를 결정짓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차원에서 학생들은 학교수업에 흥미를 갖고 충실히 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직경험활동, 자원봉사경험, 영어교육경험 등이 취업성과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학생들은 학교 내외의 교육환경을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쌓는 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차원에서는 학생들의 수업태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수업태도가 주요 영향요인이라는 것은 대학교육의 질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동시에 대학이 갖는 교육 본연의 기능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은 교육의 기능과 교육의 질 제고에 대한 책무를 가져야 한다.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수법 개발, 교육환경 제공 등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구직활동경험, 자원봉사경험 등을 갖도록 장려하고 각종 경력개발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성과에 가정배경 또한 중요한 영향요인인 점을 감안한다면,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불리함이 없이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반여건을 조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대학이 해야 할 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교육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고, 여자대학과 남녀공학대학 여학생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구축된 데이터 셋이 갖는 한계로 근무형태, 취업직종, 임금 등 취업성과가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못했고, 차이 분석을 위한 집단의 분류 수준이 제한적이며 차이의 원인까지 밝혀내지는 못했다. 그리고 여학생 구성 비율 범주 구분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성과에 있어 학교의 문화나 풍토, 외부에서의 지명도 등에 관련된 부분이 설명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더 확대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