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식정보화 시대의 국방과제로 情報保護에 關한 硏究

        장돈훈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식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전 세계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국방, 통신, 금융, 전력 등 주요 사회기반시설이 정보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됨에 따라 해킹, 컴퓨터바이러스 등의 사이버 테러가 국가 안보를 위해하고 사회불안을 야기 시키는 새로운 위협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정보 그 자체가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중요한 원천임을 인식하고 자국의 정보체계 보호를 위한 기반체계 구축이 초미의 관심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정보체계를 이용한 군 정보의 유출은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심각성이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이에 따라 나타나는 국방과제로의 정보보호의 문제를 다루었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국방과제는 미래전에서의 승리를 목표로 하여 첨단기술 및 정보통신망을 활용한 적의 중추신경마비와 중심표적에 대한 효과적인 파괴를 통해 적의 전쟁의지를 사전에 말살하는 것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미래전은 기존의 전장개념을 넘어서 사이버공간(cyber space)을 새로운 전장으로 포함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시대의 국방문제를 전장의 개념에 사이버 스페이스를 포함하여 새롭게 인식할 때 나타나는 전투양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각종 국방대책수립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체계 위협요소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국방능력보유가 요청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지식정보사회에서 적으로부터 주 공격위협 대상인 국가 및 조직의 정보자산을 방어하고 유지하는 데 요청되는 정보 보호정책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및 범위로는 정보보호의 기존 문헌 및 정보보호 정책 추진현황을 기초로 하여 정보 보호에 관한 고찰과 미래전장 양상과 정보전 변화를 알아보고, 미래전에서 핵심요소인 정보보호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정보 보호 정책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중 군 비밀과 관련된 사항은 제외하였으며 정보 보호를 위한 발전방향으로 전산 및 데이터통신분야를 중심으로 정보체계 위협평가 모델 제시 및 발전방향 도출로서 기술적인 세부사항은 제한하였다. 결론에서는 효율적인 정보보호를 위한 대책으로 먼저 총체적인 방안으로서 위협분석을 통한 정보 보호 모델과 이를 위한 정보체계 보호전력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위협분석을 통한 정보체계보호 모델은 보호대상식별에서 보호대책 구현에 이르는 수행절차를 단계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취약수준 결정 및 위험을 산출하고 잔존위험에 대한 수용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피드백화함으로서 효율적인 대응책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전력구축 방안으로는 미래 전장환경에 대비하여 정보보호 정책적인 측면에서 정보체계 기반구조 보강을 위한 조직 및 기능강화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체제 구축을 제시함으로서 전문지식과 기술력에 의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체계 보호대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정보통신 발달에 따른 미래안보환경 및 전장양상을 고려할 때 공군 정보체계에 대한 보호대책은 현실을 발판으로 예상되는 미래를 거시적인 측면에서 예상하고 이를 준비함으로서 광범위하고 총체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미래전장에서 결정적 승리를 위해 근원적인 정보 보호대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한국 소방산업 진흥 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산업 글로벌화 전략을중심으로

        임채필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is related with a plan of system and the policy development for fire industry globalization. The issues were analysed from the condition of the policy enforcement of fire industry promotion and analysis results of the fire industry's environment, in order to prepare the strategy of fire industry promotion system's globaliz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globalization's plan which is the measures of fire-fighting industry promotion act improvemen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fire industry promotion fund. This study suggested the promotion policy such as the globalization's strategy and the activation plan to support the overseas market expansion.

      • 국내 대학 캐릭터 디자인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상욱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대사회는 고도의 정보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 속에서 가장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의 전달과 선택 정보들의 유인을 위해 도상학적이고 축약되어진 단순화된 시각적 기호가 대중을 이끄는 힘을 가진 존재로 부각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로 인하여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대학 이미지에 캐릭터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캐릭터 그 자체가 어떤 대상을 특정화 하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 이르라 이러한 캐릭터의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주로 청소년층을 겨냥한 팬시용품에 사용되던 캐릭터가 올림픽이나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이벤트를 거치면서 기업, 공공단체로의 마스코트로써 뿐만 아니라 제품의 홍보와 판촉을 위해 적극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학 이미지에 캐릭터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그들만의 독특하고 창조적인 이미지를 통하여 일반인에게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고 독자적인 대학 이미지를 정립시켜 나아가고 있다. 캐릭터 산업은 이제 고부가가치 황금 산업이며 미래 산업으로써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각 대학에서도 대학이라는 한정된 장소에서 벗어나 캐릭터의 존재를 인정하고 전문적인 시각에서의 접근과 지속적인 관리로 대학 캐릭터의 이미지를 발전시켜 보다 폭 넓은 디자인 소재를 개발하고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 개발에 주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학 캐릭터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캐릭터의 중요도로 인해 여러 대학이 그 대학의 이미지 전달을 위해 캐릭터를 제작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중 38개 대학이 2D를 이용한 캐릭터로 제작되었으며 5개 대학은 3D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외국대학과는 달리 제작 그 자체로만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소재의 빈곤성이 문제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각 대학의 캐릭터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 앞으로 대학 캐릭터의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he modern society is the high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biggest change is the method of human commuincation. For the rapid and correct information traveling and seletive information leading, the summary, simple and visual signal is embossed with the existence to lead the public. Due to this environment change, the character has begun to be used for the college image actively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Because the character itself has the big power to specify some objects, it can practice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giving to the masses appropriately. Recently, the use extent of these characters is expanding gradually, so the characters that was mainly used for fancy goods aimed at teenagers are used actively for PR(public relations) and sales promotion of the product as well as enterprises, public groups through some big events such as the Olympics or expositions. Through the characters are used their special and creative images in the college image, it is possible to come close the consumer familiarize and stand the personal college image. The character industry is the high value golden industry and future industry. so it is growing up as an important industry at the side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all colleges have to recognize the chatacter's exitence to get out of limited place and have to need to concentrate the chatacter's various improvement through the specialized approach and the lasting managenent. In this study, that analysis and collect the data about college characters With the result some colleges product the characters and use them for their image delivering. But contrary to foreign colleges, the production is over just as production. the serious problem is the poverty of material.

      • 국방 CALS의 효율적인 구현방안 고찰

        임홍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1. 연구배경 및 목적 자국이익을 가장 우선시 하는 새로운 시대흐름에서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안녕을 위해서는 엄청난 국방비 지출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복지국가로 가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무조건 국방비 지출을 늘릴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국방 예산은 감소 추세에 있고 무기체계는 복잡화, 지능화, 세분화, 고가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리고 장비운영, 시설, 인력, 물자의 유지비용에 대한 증가로 군수예산 절감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무기체계 운영 유지비 절감 및 국방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소요 예산의 정확성, 투명성, 효율성을 재검토하여 투입 자원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시대적인 요구사항이며, 이런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국방부에서는 21세기 고도 정보화 군을 건설하고 국방업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종이 없는 국방업무 수행체제로의 전환, 시스템 개발기간 단축, 품질향상 및 비용절감 등을 목표로 국방분야에 CALS를 적용하기 위해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의 CALS도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군수부문에서 가장먼저 시작되는 과정단계 선상 위에 있다. 우리 군이 CALS를 도입하거나 도입 추진 중인 단계를 살펴보면 현재까지 추구하거나 진행된 군수부문은 대부분 내부 업무의 효율화와 내부 정보공유화에 너무 치우쳐 있기 때문에 무기체계 관련정보의 확보나 획득 등 구매/조달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외부 정보공유화에 취약하거나 미흡한 점이 많았다.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가장 먼저 도입했음에도 국방분야에서의 CALS의 효용성을 지금의 현 상황에서 살펴볼 때 그 효과가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국방분야의 외부 정보공유화가 취약하고 미흡한 상황하에서는 무기 시장의 독점적 폐해와 구입과정에서의 폐쇄성 등으로 인해 린다 김 사건과 같은 청탁과 비리문제가 계속해서 붉어져 나오게 될 것이며,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방향을 구매/계약의 공개 및 정보공유화를 추구하기 위한 국방 CALS의 효율적인 구현 모델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는 첨단 무기 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21세기 신국방 건설을 위한 군수 모델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CALS의 도입 필요성은 학계나 언론 그리고 산업계까지 현재 정보화를 접하는 분야에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음은 물론 그 중요성을 강하게 인정하고 있다. 군 조직이라고 예외대상은 될 수 없으며 이에 우리는 효율적인 국방 CALS의 모델과 발전의 방향을 제시해 줌으로써 군수기능의 효과성, 경제성, 능률성을 극대화시켜 군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인 작전지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군 조직의 최종목표인 작전지원 능력향상은 CALS를 통한 군수성과 극대화에 의해서 실현된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필요한 국방 CALS의 효율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사례연구(case study)를 이용하였으며,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한 이유는 먼저 통계적 조사를 위한 대상의 선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즉, 국방부 구매 체계의 폐쇄성과 접근의 한계와 구매 관련분야(국방/민간업체)의 자료 제공의 비협조로 인한 정확한 통계학적 접근은 고려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군 조직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사례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다시 말해서 구매 체계, 목적, 대상 등에 대한 비밀 유지고수와 남북 대치 상황에 기초한 우리 군 조직만의 특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또한 사례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국내외 연구보고서, 인터넷 자료, 기존의 국방 CALS 관련 발표자료, CALS와 관련된 각종 문헌연구를 참조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를 이어 제2장은 CALS에 대한 일반적 고찰로 CALS의 일반적인 사항인 CALS의 정의 및 역사와 CALS의 도입 필요성과 기존에 발표된 CALS 도입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제3장은 국방 CALS의 추진 현황에서는 국방 CALS의 정의 및 현 국방 CALS의 실태와 문제점을 문헌연구를 통해 나타난 점을 파악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개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제4장 추진해 나아가야 할 국방 CALS 모델에서는 한국 국방 CALS의 구축 전략으로 CALS 유형 중 현 시점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국방 CALS 유형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3. 결론 및 제언 양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변환되고, 냉전시대에서 화해무드시대를 지향하는 시대적 조류 현상 속에서도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선 그 무엇보다 국방의 중요성이 새삼 재강조 되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 하에선 국방력 강화가 최우선적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사회복지 혜택에 대한 열망과 요구의 강도가 더욱 커져만 가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보면, 국방비 지출을 계속해서 증가시키기는 무리수라고 보여진다. 또한 국방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첨단무기장비들은 국외에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의 실정을 고려해 볼적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군에서 추구하는 내부 업무의 효율화와 내부 정보공유화를 높이는 CALS도 중요한 점을 인정하지만, 그 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서 국방 CALS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는 구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추진중인 첨단 미래군을 지향하는 군 조직의 경우에는, 조직의 필요성과 추구하는 바에 따라서 국방 CALS의 요소기술 달리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이제는 국방 CALS의 시스템 목적이 정보산출 뿐만 아니라 정보 공유를 위한 정보전달, 관리에 보다 비중을 둔 CALS의 유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앞서 제시한 기준에 따른 CALS 유형분석에서 보았듯이 구매/조달의 효율화와 외부 정보공유화를 추구하는 CALS 유형 Ⅲ, Ⅳ가 현재의 군 조직에서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군의 전투력 강화책인 첨단무기장비체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구매/조달 공정과 유통/판매/서비스 공정을 중점적으로 지원해 주는 요소기술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구매/조달 공정과 유통/판매/서비스 공정을 가장 잘 지원해 줄 수 있는 CALS의 요소기술이 EC/EDI이다. 다시 말해서 효율적인 국방 CALS의 실현을 위해서는 EC/EDI를 기반으로 한 CALS가 구현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제4장의 4. CALS의 구현방안에서 보았듯이 Data의 집결과 공유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정보가 정보를 산출하는 고도화된 CALS는 앞서 제시한 <표 4-3> CALS 유형Ⅲ, 유형Ⅳ의 효과와 EC/EDI의 도입효과에서 알 수 있듯 CALS 유형Ⅲ, Ⅳ과 EC/EDI 중심의 CALS는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본 연구를 종합하면 논문이 시사하는 바는 한국의 국방 여건에 가장 적합한 국방 CALS의 구현방안을 찾으려는 시도와 노력을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효율적인 CALS 구현방안에 따른 EC/EDI의 CALS 구축의 효과만 중점을 두어 아직까지 법과 제도의 미제정과 미비점으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의 애로사항인 보안문제, 교환방식, 결재의 효력문제 등의 주변 환경적 한계요인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주변 환경적 한계요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간과한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과 문제점을 보충·보완하여 보다 나은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국가 방위를 책임지는 "합법적 무력집단"인 군 조직의 특성과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효율적인 국방 CALS 구현방안과 더불어 정보유출 방지에 대한 정보보호 연구도 병행해서 추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후 국방 CALS 연구를 하는 사람들에게 이러 문제점과 한계점을 인지시키고 연구에 이 논문이 조그마한 참고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국방정보보호 발전방안

        김영화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Development strategies of military information protec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cyber war and terror are very essential in new military environment.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new paradigm war patterns based on new developed IT(Information Technology). The threats are very critical to new environment including wire and wireless equipment. Nowadays, many researcher concentrate on new technology to solve the threats due to changed war patterns in ubiquitous environment. We have to make new plan for improving overall military information protection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Joint Chiefs of Staff with regard to "improvement in the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institution", "the strengthening of information protection and organizations/human resources for conducting the cyber-war",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and "the securing of core technology". To provide policy and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we should establish multi-level and multi-stratum information protection promotion strategies. Also, we have to construct the technological structure in order to implement the strategies, establish high technology protection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war. In terms of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we should strengthen organizations with powerful responsibil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nd increase professional staffs and educate them by considering quality and quantity. With regard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we should follow many rules according to military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y structure. The order to secure mutual management between network timing systems, and expand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data drain prevention systems, we need to strengthen the cyber war s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education for training actively to cope with treats to the systems. Development strategy of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 ubiquitous environment is presented in this dissertation. Specially, in air force, requirements to construct and management to protect the information system against cyber war are focus on the headquarter control to concentrate their command. This leads to requir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in order to protect outside intrusion and threats.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된 전쟁양상과 이로 인한 정보보호 위협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보보호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사이버전 대응능력 완비를 위한 국방정보보호 발전 방향을 도출하였다. 우선 전쟁양상 변화에 따른 위협의 변화를 파악하고 군의 전체적인 차원에서 취할 수 있는 국방부/합참 차원의 군 전반적인 국방 정보보호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정보보호 정책/제도 발전’, ‘정보보호 및 사이버전 수행 조직/인력 강화’, ‘정보보호체계 구축’, 그리고 ‘핵심기술 확보’ 측면에서 주요 내용을 도출하였다. 정책/제도 측면에서는 날로 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준?다계층 정보보호 추진전략을 정립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구조 수립과 첨단 IT 기술 보호정책 수립, 그리고 사이버전 대응정책 및 수행절차 수립을 하여야 하며, 조직/인력 측면에서는 정보보호 전담조직을 강화하고 정보보호 전문 인력의 선발 확대 및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정보보호체계 구축 측면에서는 각 체계의 네트워크화 구성시 각 체계간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하여 국방정보체계 기술구조를 준수하고 또한 전자자료 유출 방지체계의 적용을 확대하며 체계에 대한 테스트 및 위협에 대한 능동적 대응을 위한 사이버전 모의 훈련체계 구축 및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사이버전 수행을 위한 방호 빛 대응능력 및 정보보호 기반 기술의 핵심기술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공군 차원에서는 미래 사이버 전장공간에서 실제 정보보호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중앙 부서로서 착안사항 및 각 제대별로 작전 수행시 겪게 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현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 空軍 情報化 敎育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차호선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대사회가 정보화사회로 접근해 가면서 우리 군도 경영의 합리화 및 업무향상성 증대를 위해 컴퓨터 및 자동화체계를 도입하는데 매우 적극적인 양상을 띠고 있다. 현대문명의 총아인 컴퓨터는 과학기술은 물론 공장자동화, 사무자동화, 교육훈련, 여가활동에 이르기까지 생활의 거의 전 분야에 걸쳐 활용하고 있다. 우리 군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고 과학화, 첨단화되고 있는 무기체계 운용과 군의 정보화목표인 "미래 정보전 수행능력을 갖춘 정예 정보화 군" 육성을 달성하기 위해 국방 통합정보관리체계의 구축 및 전문요원의 양성과 일반 이용자의 정보 인력화를 위한 정보화 관련 교육체계를 전면적으로 개선 보완하여 활성화하는 계획과,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정보화교육은 정보통신특기를 중심으로 한 단편적인 업무개발 및 자료처리, 현재 운영중인 시스템에 대한 운영유지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용자에 대한 교육도 국방부 및 공군본부의 정보화교육 지침에 의거 각 부대별 자체적으로 교육계획을 수립, 운영하고 있어 체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군이 정보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군장병의 정보화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방안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군 정보화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를 통해 공군의 정보화교육에 있어 도출된 과제는 첫째, 정보화교육체계, 둘째, 교육방법, 셋째, 교육지원 환경상의 문제 등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개선방향으로서 정보화 교육체계 면에서는, 전 장병에 대한 컴퓨터 교육을 필수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전문가 및 이용자들에 대한 정보화인력양성 모형을 설정하고, 양성모형에 의거한 전문요원 및 이용자에 대한 교육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이다. 교육방법 면에서는, 교육방법의 과학화를 위해, CBT, CAI 등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과 원격교육을 확대 운영하며, 교육지원 환경면에서는, 장병 정보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과, 정보자원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훈련자원 확보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군이 정보화사회에 얼마나 빨리 적응하고, 이에 걸 맞는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정보화 교육체계의 확립은 간부들의 의식변화가 가장 중요하다. 또한 국방정보화의 추진목표인 "미래 정보전 수행능력을 갖춘 정예 정보화 군" 육성을 위해서 작게는 단위부대인 전대급 부대로부터 학교기관, 상급부대에 이르기까지 정보화에 대해 어떠한 기준과 방식으로 실시하고 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선사항에서 제시한 부분들에 대하여 세부적이고도 장기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부서간 협조 하에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인력 정보화가 곧 국방의 주요전력인 정보전력화의 밑바탕이 되고, 첨단 무기체계를 운용하는 공군의 선진화 달성을 위해서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As the modern society changes toward information-oriented, our military organization is also actively being engaged in acquiring computers and automation systems for the pursuit of rational management and output improvement. A creature of modern civilization, computer is being used in almost all the fields including factory automation, business automation, educational training and leisure activities, not to mention scientific technology. Our military is making computer modified educational plans and in the process of reforming IT(information technology)-related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status of "the elite information-oriented force that can fight the future information warfare." As a matter of fact, the information education so far, has targeted only information-communication specialtie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mainly fragmental work management, simple data analysis and the maintenance of old operational systems. User education was done separately by each organization in accordance of MND/HQ ROKAF information education guides which produced unsystematic education. Therefore what is urgently needed for the milita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T environment is to find the ways of systematic IT education and dissemination. Three factor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find the ways of systematic IT education and dissemination: IT education system,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 support environment. What can be done in education system category? For the experts and general users, IT human asset training model has to come out so it can help structuring solid educational system. What can be done in educational methods? To have a scientific educational method, I recommend CBT, CAI and cyber education. What can be done in education support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encourages IT training has to be established and insuring human assets who can use information resources with high efficiency is also on the top of the priority list. In conclusion, our military leaders have to change their minds in order to fit their organization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In pursuit of achieving the status of "the elite information-oriented force that can fight the future information warfare," we need to set up the basics and methods of how to practice and manage IT, from small units to educational organizations. We cannot ignore detailed long-term practical plans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departments. Human factor is in the foundation of strong IT-oriented force. The creation of advanced air force much depends on how effectively use information.

      • 사이버테러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범준 牧園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사회 건설에 있어서 국가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중요하게 자리잡은 사이버테러에 대해 국가 정보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도출하여 국가 정보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식정보사회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이론적 정의와 국민의 정부시절 시작한 사이버 코리아 21 및 e-KOREA VISION 2006이 진행중인 2003년까지 사이버테러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기술적, 관리적, 정책적 대응방안을 통하여 국가 정보화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총 6개의 장으로 편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 지식정보사회의 정의와 정보화 역기능으로서의 사이버테러의 등장 및 피해사례, 제3장에서는 국가 정보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의 사이버 테러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제4장에서는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정책을 확인하고, 제5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사이버테러에 대한 기술적, 관리적,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제6장에서 결론을 맺을 것이다. 본 논문의 중요한 논지는 지식정보사회의 건설에 있어서 역기능으로 등장한 사이버테러는 국가 정보화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등장하여 국가생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서 중요성을 갖을 것이다. 연구의 기초가 된 2003년도까지의 자료는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방안 없이 추진된 국가 정보화는 우리사회를 마비시킬 정도로 피해규모는 엄청났으며 후발주자로 국가 정보화를 추진하는 우리의 실정상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방안 없이는 국가 정보화와 더 나아가서 국가생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하에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렇게 중요한 사이버테러에 대해 첫째, 기술적 대응방안, 둘째, 관리적 대응방안, 셋째,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지식정보사회 건설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사이버테러에 대한 올바른 대응방안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지난 국민의 정부 시절에 국가 정보화에 대한 계획을 작성하여 실행해 왔고, 현 정부도 국가 정보화가 미래 국제사회에서의 생존에 얼마만큼 중요한지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테러는 더욱 통합화, 은닉화 되면서 확산속도와 파괴력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이버 코리아 31 및 e-KOREA VISION 2006이 진행중인 2003년 '1.25 인터넷 마비사태'와 같은 국가급 대형사태는 국가 정보화의 방향속에 사이버테러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며, 국가생존이 걸린 막중한 정책인 지식정보사회 구현에 커다란 걸림돌으로 작용하고,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것을 절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국가정보화에 더욱 막강해지는 사이버테러에 대해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국가 정보화에 있어서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갖을 것이다.

      • 공동주택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안정윤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ICT의 발전은 사회 각 분야와 경제, 문화, 산업 등 모든 변화를 초래하는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산업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Internet)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크게 대두되는 문제는 개인정보 유출 문제이다. 개인정보 유출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다면 사회적으로 더욱더 커다란 혼란과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에 입주하려면 다양한 개인정보를 의무적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게 제공해야만 한다. 그렇게 제공된 개인정보는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 의해 대규모의 개인정보 파일이 만들어지고 있고 나름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주거 형태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 주체와 정보 주체의 분쟁 및 갈등, 유출 사고, 관리상의 어려움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는 개인정보에 대한 개념을 고찰해보고 본 연구의 주제와 맞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도「헌법」과「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개인정보 침해와 관리기준, 개인정보 관리 실태점검, 공동주택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 전문가 심층면접 FGI (Focus Group Interview) 및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통계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은「개인정보 보호법」인지도,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과 방법, 개인정보의 이용 제공, 개인정보의 저장 및 관리, 개인정보처리의 시스템 관리, 개인정보 안전한 처리를 위한 내부관리체계의 수립 여부, 정보관리 주체와 정보 주체의 교육 여부, 공동주택관리 애로사항 및 정책제언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 및 개선 필요의식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였다. 첫째, 공동주택 내 개인정보 보호 인력 확보 기준 마련. 둘째, 개인정보 유출대비 내부대응 세부 규정 신설. 셋째, 개인정보 보호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넷째, 개인정보 주체(입주민) 대상 「개인정보 보호법」 홍보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종합하면 공공주택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이 명확하게 설정돼야 하고 개인정보 침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관리 주체들의 강제적이고 의무적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또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 관리 시 기준이 될 구체적인 조항들을 관리규약에 제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로써 이론적 고찰과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향후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정보화사회의 군사혁신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수익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세기의 전환과 함께 정보문명 패러다임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안보환경이 본질적으로 변혁됨에 따라 선진 강대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차원의 군사혁신이 추구되고 있다. 정보·지식이 인류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함에 따라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은 생존의 원리와 번영의 방식을 근원적으로 다시 정립하고 국가발전과 안보전략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상·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정보·지식에 기반을 둔 국가경쟁력과 안보·군사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미래 비전과 방책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만이 구시대의 생존·번영 원리와 방식에 고착되어 있다면 국가의 장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그 답은 구태여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국군이 군사혁신을 추구하지 않을 수 없는 당위성도 그러한 배경과 이유에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반도 주변 3국의 군사혁신 추진실태를 파악·분석하여, 한국이 현존하는 북한의 위협과 미래 불특정·불확실 위협에 공동으로 대비하는 차원에서 군사혁신 추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범위는, 정보화시대에 급격히 달라지고 있는 전쟁패러다임과 우리가 앞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추구해야 할 군사혁신의 추진방안을 제시하는데 한정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의 서술적 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안보전략 차원에서, 한국은 2개의 상이한 위협 즉, 현존하는 북한의 위협과 미래 불특정·불확실 위협에 공동으로 대비하는 개념에서 군사전략을 발전시키고 군사력을 기획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북한의 위협에 대응과 동시에 대 주변 미래 불확실성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군사혁신을 추진해야 하고, 둘째, 전력시스템 통합 차원에서, 21세기 지식·정보 중심의 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정찰·감시·지휘통제 네트워크(C4ISR)분야를 중점적으로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셋째, 주요 분야별 차원에서, 과학기술 분야는, 21세기 정보·기술군을 만드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기술을 식별하고, 이를 전략적·장기적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관련 구성요소 시스템 통합 분야는, 군사발전의 혁명성을 추구하기 위해 군사혁신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통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사·관리분야에서는 우수한 인재와 고급두뇌로 구성된 특수조직에 의해 군사혁신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이제 한국에게 있어서도 군사혁신의 추진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연의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기 위해 주변국과 우리군의 군사혁신 추진실태를 분석하여 추진방안 제시에 그치는데 불과하였다. 21세기 정보문명시대에 대비하여 급변하는 정보화와 기술혁신, 그리고 주변 안보환경에 부응하는 한국적 군사혁신에 대한 연구가 국가 전략적인 차원에서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한국군 조기경보체제 실태와 발전방향

        김영우 牧園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문은 최근 현대전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입증된 조기경보체제의 역할을 바방으로 하여 한국군의 조기경보 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조기경보 체제중 군사위성 및 항공기탑재 감시체계로 제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전문가들의 견해와 공개된 문서 등 공식, 비공식의 자료를 분석하는 문헌 탐구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조기경보 체제는 적대국의 기습적인 군사 도발에 대비할 준비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용되며 군사 과학의 발달로 현대전에서는 전략, 전술적 기습 공격이 가능하고 단기 속결전이 전재됨에 따라 전·평시 최적의 전투 준비 태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통합 활용하는 정보체제의 특수 형태로서 정보에 필수적인 정확성, 적시성 및 완전성을 갖추기 위한 정보 수집, 분석, 전파 등 제반 기능의 통합된 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조기경보 체제의 역할은 기습을 예방하고, 체제를 운용함으로써 타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군비통제의 검증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조기경보 방법에 있어서 첫째, 기술적인 측면에는 인공위성 탑재체계, 항공기 탑재체계 그리고 레이다 감시체계가 있으며 둘째, 체제적인 측면은 정보 수집체계, 정보분석/처리체계 그리고 정보전파 체계로 구성된다. 최근 현대전에서는 첨단 무기체계 못지 않게 적의 동태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여 지휘통제를 함으로써 조기경보 체제의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각종체계 즉 정보체계, 통신체계, 지휘소체계 등이 종합적으로 운용되는 C^(4) I체계가 각종 미사일 체계와 같은 화력체계, 기동체계 등과 연동되어 운용이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전쟁은 이와 같은 각종체계를 어떻게 연동 시키느냐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조기경보 체제의 역할, 최근 현대전에서의 운용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군 조기경보 체제 발전방향을 제시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한국군 조기경보 체제는 한·미 연합방위 체계하에서 조기경보와 징후감시에 대한 정보의 대부분을 주한 미군에 의존하고 있기때문에 우리의 현실은 독자적인 조기경보능력이 대단이 미약하다. 현재는 미군 정보자산을 최대로 활용하되, 조기경보 자산 철수에 대비 및 점진적 조기경보 체제 발전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이러한 체제는 각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군 나름대로의 조기경보자산을 통합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체제로 발전되어야 하며, 최근 현대전에서 입증한 바 있는 기동 및 타격체계까지 연결이 가능하며, 주한 미군 철수 시에는 독자적으로 징후감시 임무를 수행하고, 기습을 예방할 수 있는 체계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체제가 최근 현대전에서 두드러지게 활약한 전장감시 및 표적공략 지원체계(JSTARS)이다. 따라서 주한 미군의 조기경보 체제에 의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군의 조기경보 체제의 발전을 위하여 최소한 휴전선 인근의 위협부터 우리 자산으로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하고, 나아가 주한 미군 철수시를 대비하여 국력에 상응한 조기경보 체제를 점진적으로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