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기업가정신과 그릿이 사회적기업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원을 매개효과로

        김태진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경제 발전이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 환경오염, 실업률 증가 등의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도 점차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는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신기업가정신’ 선포를 통해 기존의 ‘기업가정신’에 사회적 가치 제고를 포함하면서 창업 분야에서도 사회적 경제를 중심으로 지원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가정신과 함께 심리적 특성 중 그릿(Grit)이 사회적기업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사회적기업가 정신, 개인적 심리 요인인 그릿, 창업지원이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창업지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기업가정신과 그릿(Grit), 매개변수인 창업지원, 종속변수인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대해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 일반창업자, 벤처 기업가들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결과자료를 토대로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은 sub-요인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사회적 목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므로 통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인적 심리 특성인 그릿(Grit)은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하위개념인 ‘일관된 관심’과 ‘끈질긴 노력’으로 sub-요인별로 분석하였다. 매개변수인 창업지원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육지원’과 ‘자금지원’ sub-요인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인 창업지원과의 상관관계에서도 정(+)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릿(Grit)은 부분적으로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직접적인 음/양의 기울기와 함께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고, 매개변수와의 결과 역시 부분적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사회적기업가정신이 높은 사람이 창업지원을 매개효과로 하였을 때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가 높아지고, 사람의 심리적 특성 중 그릿(Grit)은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직접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그릿(Grit)의 각 sub-요인들은 창업지원의 sub-요인인 ‘교육지원’과 ‘자금지원’ 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창업지원은 일반 기업과는 다른 방향을 제시해야 하므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적기업 창업을 위한 지원정책 개발 시 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분야별 교육/자금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그릿(Grit)을 통해 창업지원의 매개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기업가 정신의 틀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사회적기업가정신, 그릿(Grit), 일관된 관심, 끈질긴 노력, 창업지원, 교육지원, 자금지원, 창업 의지

      • 기업연계형 사회적기업 이해당사자들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권희연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업연계형 사회적 기업 이해당사자들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우리 사회에 사회적 목적을 성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연계형 사회적 기업 당사자들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당사자의 유형, 사회적 특성 중 조직구조, 이해당사자간 사회적 네트워크, 성과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업연계형 사회적 기업과 관련하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의 특성에 대한 하위차원 중 조직구조(m=3.342), 사회적 네트워크(m=3.3223)에 대한 문항 평균값보다는 사회적 기업의 성과(m=3.485)의 평균값이 약간 더 높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항목에서는 사회차별에 대한 인식정도(m=4.203)가 매우 높았으며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참여에 대한 의지정도의 평균값(m=3.362)이 다른 사회복지의식 항목들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항목에서는 사회차별에 대한 인식정도(m=4.203)가 매우 높았으며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참여에 대한 의지정도의 평균값(m=3.362)이 다른 사회복지의식 항목들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이해당사자 유형에 따라 복지의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를 실시하였을 때 사회적 기업가가 가장 복지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업 종사자보다는 사회적 기업 연계 기업 담당자의 복지의식이 높게 나타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복지교육 및 경험에 따른 복지의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사회복지를 전공여부에 따라 사회복지관련 교육 여부에 따라 사회복지관련 기관 근무경험 여부에 따라 기업연계형 사회적 기업의 이해당사자들의 복지의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이해당사자의 유형, 사회적 기업의 특성, 사회복지 교육 및 경험과 복지의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복지관련기관 근무기간과 사회복지관련 교육시간이 가장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r=.715)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복지의식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r=.242)를 나타냈다. 다섯째, 사회적 기업의 특성(조직구조, 사회적 네트워크, 성과) 중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을 때 성과변수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 교육 및 경험(사회복지 전공 여부, 사회복지 관련 교육시간, 사회복지관련기관 근무기간)변수 중 회귀모형으로 적합성을 검정하였을 때 사회복지관련 교육시간만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함의는 다음과 같다. 기업연계형의 사회적 목적 수립을 위해서는 기업의 다양한 자원들 즉 재정관리, 경영 노하우 등의 재무적 지원 뿐 아니라 사회적 기업의 사회복지적 목적과 관련된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기업연계형 사회적 기업이 지역사회라는 유기체의 한 부분으로서 운영되고 지역개발, 지역재생의 역할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연계하는 기업의 특색이 아닌 사회적 기업 자체적인 독립적 색을 갖추기 위한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활발한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more improved strategies for achieving social goals on the basis of the factors affecting on welfare consciousness of stakeholders of business-connected Social Enterprises. Thus, We classified the factors into the type of stakeholders, organizational construction of social attribute, social networks between stakeholders and performance factor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stakeholders working related to business-connected social enterprise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for establishing social purpose of business-connected type, the education related to social welfare goal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as well as the various resources of enterprises; financial supports including finance management and business know-how. Secondly, because social enterprises are expected and required to be operated as a part of community and play roles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resuscitation, activ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develop networks for specific characters of social enterprises themselves not the connected company.

      •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승미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community, traditional market is the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carry on transactions the goods and the services, and where many useful information and social associations exist. It played major role of creating the local culture and 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ut the emergence of Big discount stores which are established with the help of an external capital and business district changes to SSM(super super market) are now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markets and this fact leads the spilling out of the local economy power. Traditional market is the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find out their value of life and pursuit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t is more than just the place which consumption, distribution, and production takes place. Therefore, money has to circulate in the community not being discharged into industry giants and that's why we have to protect our traditional markets. There are many discussions to revive the traditional markets and "establishing social enterprises type traditional markets" are one of them. They are expected to be helpful not only for the revitalizating traditional markets themselves but also for the local economy. They also could create new jobs for the low wage earners and vulnerable group members. The importance of a community based social enterprise is embossed and will continue to exp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1. to find ou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ocial enterprises in the traditional market, 2. to suggest better solutions for the success of them. Ultimately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summary on the methods of supporting and cultivating community based social enterprises are the following. strategic factors, organization structure, environmental factors and network of traditional market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enterprise's profit. enterpreneurship and organization structure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enterprise's public outcomes. Social enterprise's public outcome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enterprise's profit.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five ideas can be suggested to make the social enterprises type traditional market succeed. First, people who plan to try social enterprise type traditional market have to listen to the voices of community residents. In order to do so, you need to do benchmarking. Second, need to develop creative and discriminative items which big discount stores can never copy. Many events and programs also needs to be developed. Third, community network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artnership with local government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also needs to be fortified. In other words, the active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 is the key to establishing infrastructure of market and making the community network strong. Especially, local government could solve the problems like the shortage of convenient facilities with the cooperation of a mutual aid society in the market Fourth, traders in the market needs to develop the sense of ownership and enterpreneurship. Various programs for that purpose also needs to be developed. Fifth, young and professional workers needs to be injected. Traditional market needs to develop new sales items and also needs to concentrate the idle resources of market and community. 전통시장은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재화, 서비스를 생산하고 소비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원 간 상부상조하며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향유하는 공간과 서민경제와 연결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외부의 자본으로 설립되는 경우가 많은 대형마트나 SSM을 중심으로 지역상권이 변함에 따라 지역 내 전통시장의 기반이 위협받고 있으며, 지역의 경제력이 외부로 유출되고 있다. 전통시장은 물건을 생산·분배·소비하는 것을 넘어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삶의 가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지역의 자본이 외부가 아닌 지역으로 돌아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며, 지역의 공동체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재조명 받고 있다. 정부는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려는 다양한 방안과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인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 사업”은 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부족한 사회서비스의 제공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시장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이 시장내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 사업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으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시장의 전략적 요인과 조직구조, 환경적 요인과 지역 네트워크는 사회적기업의 영리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의 기업가 정신과 조직구조는 공익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의 공익적 성과는 영리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첫째, 시장을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시장들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형 업태들에게서 얻기 어려운 독창적이고 차별적인 아이템 개발이 필요하다. 시장에서만 볼 수 있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 네트워크를 강화시키고 지자체 지원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과 파트너십이 더욱 견고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시장의 인프라와 지역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시장내 편의시설 마련 등의 공간마련 문제는 시장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 크므로 상인회와 협조하여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여 도움을 주어야 한다. 넷째, 시장 상인들이 주인의식을 갖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함양시켜야 한다. 다섯째, 시장과 지역의 유휴자원을 모으고 새로운 아이템을 개발하고 기획할 수 있는 젊은 전문인력이 시장에 투입되어야 하며, 청년 실업자 청년 예비창업자들에 대한 대안적 일자리를 전통시장에서 창출하여야 한다.

      • 전라남도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 효과분석

        김정연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nurturing policy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policy. Because these social enterprises depend o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more than before, they have showed the limit of their own competition and independence. 55 social enterprises has been cancelled or returned their business. After closing the support of government fund business, the social enterprises also reduce the working servic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job creation effects based on the Jellanamdo social enterpris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It was analyzed how the funds of government and self-governing body affected the job creation effects through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otal number of paid-workers, the number of socially marginalized, the number of employee of social working, and the number of itself employe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ecision factor for total number of paid workers, there were 10% of significant differences at least in the government financial funds and business funds and it increased the number of the paid workers. The marginal effect to the number of paid workers by the each support institutions was 11. 5 people per government fund, 100 million won and 24.6 people per private business fund, 100 million won at the same condition. According to the unit amount, the private business ranked highly at the job creation effects of the paid workers. The job creation effects for the paid workers were analyzed the 300 people by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43 people by private business.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authentication type, 5 people for the job provision, 4 people for the integrated type rather than the social service type and other type. The number of working people was hired differently by the organization type; 12 people of Welfare Corporation and NGOs relatively private business at the commercial law. And 5 people were more in the cooperation and unions. According to the certificated years, the private business established before 2009 had 8.4 people more than ones established after 2010. In addition, county regions people were 3 more that urban areas. Secondly, to analyze the decision factor of the socially marginalized, the government support funds increased the working people at the 10% of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rivate businesses and general donations. The marginal effect to the number of the socially marginalized by the each support institutions was 6.4 people per government fund, 100 million won, and 13.8 people per private business fund, 100 million won, and 16.5 people per general donation at the same condition. According to the unit amount, it ranked as the general donation, the private business and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n order at the job creation effects of the socially marginalized. The job creation effects for the socially marginalized were analyzed the 167 people by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24 people by private business, and 5 people by general donation. Thirdly, as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factor of social enterprises employee, the financial support increased the number of employe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rginal effect to the number of the socially marginalized by the each support institutions was 2.7 people per government fund, 100 million won and 1.6 people per private business fund, 100 million won. According to the unit amount,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anked highly at the job creation effects of the of social enterprises employee. Finally, it was the decision factor of itself employees. Though the financial support increased the number of itself employe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rginal effect to the number of the socially marginalized by the each support institutions was 8.8 people per government fund, 100 million won and 23 people per private business fund, 100 million won. The job creation effects for itself employees were analyzed the 230 people by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40 people by private business.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authentication type, 0.3 people for the job provision and 0.8 people for the integrated type rather than the social service type and other type.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은 양적 성장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들 사회적기업이 재정지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심화됨에 따라 자생력을 갖추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미 55개의 사회적기업은 사업신청을 취소하거나 반납하였으며, 정부의 인건비 지원이 종료된 이후 사회적기업은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주요 목적인 고용창출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에 주목하고 전라남도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고용창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사회적기업의 총유급근로자수, 취약계층근로자수, 사회적일자리고용자수, 자체고용근로자수 등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식을 통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이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총유급 근로자 수의 결정요인을 보면 정부지원금과 기업후원금은 적어도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총유급 근로자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기관별 지원금의 총유급 근로자 수에 미치는 한계효과는 다른 조건이 일정한 경우에 정부지원금 1억원당 11.5명, 기업후원금 1억원당 24.6명으로 단위지원금 당 총유급 근로자 고용창출효과는 기업의 후원금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총유급근로자 고용창출 효과는 정부지원금 300명, 기업후원금 43명 등으로 분석되었다. 인증유형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사회서비스형과 기타형에 비하여 일자리제공형이 5명, 혼합형이 4명 정도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조직형태별로 보면 상법상 회사에 비해 복지법인과 비영리조직이 12명 정도 적고, 민법상 법인과 조합은 5명 정도 많게 나타났다. 인증년도별로는 2009년 이전에 설립된 기업이 2010년 이후 설립된 기업보다 8.4명 정도 많고, 지역별로는 군지역이 시지역보다 3명 정도 많다고 분석되었다. 둘째로 취약계층 근로자 수의 결정요인을 보면 정부지원금은 적어도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취약계층 근로자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후원금과 일반기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다고 분석되었다. 지원기관별 지원금의 취약계층 근로자 수에 미치는 한계효과는 다른 조건이 일정한 경우에 정부지원금 1억원 당 6.4명, 기업후원금 1억원 당 13.8명, 일반기부금 1억원 당 16.5명으로 단위지원금 당 취약계층 근로자 고용창출효과는 일반기부, 기업후원금, 정부지원금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취약계층 근로자 고용창출 효과는 정부지원금 167명, 기업후원금 24명, 일반기부 5명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로 사회적 일자리사업 근로자 수의 결정요인 분석결과 지원금은 사회적 일자리사업 근로자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원기관별 지원금의 사회적 일자리사업 근로자 수에 미치는 한계효과는 다른 조건이 일정한 경우에 정부지원금 1억원 당 2.7명, 기업후원금 1억원 당 1.6명으로 단위지원금 당 사회적 일자리사업 근로자 고용창출 효과는 정부지원금, 기업후원금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체고용 근로자 수의 결정요인은 다음과 같다. 지원금은 자체고용 근로자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원기관별 지원금의 자체고용 근로자 수에 미치는 한계효과는 다른 조건이 일정한 경우에 정부지원금 1억원 당 8.8명, 기업후원금 1억원 당 23명으로 단위지원금 당 자체고용 근로자 고용창출효과는 기업후원금, 정부지원금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체고용 근로자 고용창출 효과는 정부지원금 (총액 26.08억원) 230명, 기업후원금 (총액 1.73억원) 40명 등으로 분석되었다. 인증유형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사회서비스형과 기타형에 비하여 일자리제공형이 0.3명, 혼합형이 0.8명 정도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개선방안

        이민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국내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개선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국내외 사회적기업의 활동은 지역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의식의 함양 등 다양한 형태로서 지역과 주민들의 활동을 촉발할 수 있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윤을 추구하기 보다는 사회 환원에 맞추어진 기업성향은 사회적기업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사회적기업은 2007년 「사회적 육성법」 제정 후 비약적인 양적 성장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급속한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을 위해 국내외의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연구 기반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국내외 지원제도에서 도출된 한계점 및 문제점을 가지고 국내 사회적기업이 독립된 기업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및 함의점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정부지원이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가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경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social economy is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economic model that overcomes the contradictions and crises of the capitalist system and solves the problems of inequality,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e environment, and unemployment that modern society faces. The social economy has brought about remarkable growth in many countries based on the community initiative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common interests and social value creation. Unlike Europe's social economy, which has developed spontaneously centered on local communities, Korea's social economy has achieved high quantitative growth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government-led fostering policies. However, as the limitations of Korea's social economy ecosystem were revealed, the government policy was shifted to 'creation of an ecosystem in which social economy enterprises can grow on their own'. These policy changes have a great impact on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of Korea, which has not yet matured, and the creation of social value performance for sustainabil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reality. This study selects government suppor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as factors influencing social value performance, which is the basis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and examines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with various variables to ensure policy, practical, and It was intended to present academic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Jeollabuk-do region, where social economic activities are revitalized, was set as the research scope,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illage enterprise managers and workers located in Jeollabuk-do.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government suppor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Jeollabuk-do? Fourth, how do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of 72 question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Data of 467 response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6, 2022, and SPSS 21 and Amos 23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vernment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innovation performanc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structural social capital, cognitive social capit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Second, bot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value performan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First, as policy suggestions, supplementary measures for social economy enterprises with insufficient social value performance, discovery of policies that can increas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and substantialization of education for social economy enterprises were presented. Second, as practical suggestions, the need to increase the cognitive social capital of social enterprises, the creation of balance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al value index (SVI),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the region and civil society were presented. Third, as an academic proposal, it wa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research on social value performance needs to be expanded to social, economic, and innovative performance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자본주의 체제에서 비롯된 모순과 위기를 극복하고 현대사회가 직면한 불평등, 빈부격차, 환경, 실업문제 등을 해결하는 대안적 경제모델로 사회적경제가 활용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협동과 연대, 공동의 이익과 사회적가치 창출이라는 공동체적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여러 국가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가져왔다. 지역사회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발전해 온 유럽의 사회적경제와 달리, 한국의 사회적경제는 정부 주도의 육성정책으로 단기간에 높은 양적 성장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견고하지 못한 한계가 드러나면서 ‘사회적경제기업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으로 정부 정책이 전환되었다. 이러한 정책변화는 아직 성숙되지 못한 우리나라 사회적경제 생태계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가치 성과의 창출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가능성 토대가 되는 사회적가치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정부지원, 조직특성, 사회적자본을 선정하여 제 변인과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활동이 활성화된 전라북도 지역을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전라북도에 소재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경영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정부지원, 조직특성, 사회적자본, 사회적가치 성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전라북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정부지원, 조직특성, 사회적자본, 사회적가치 성과 간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정부지원과 사회적가치 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72문항의 설문을 구성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22년 9월 26일부터 10월 16일까지 467건의 응답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 21 및 Amos 23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부지원과 사회적가치 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지원은 경제적성과, 사회적성과, 혁신성과, 조직문화, 조직구조, 구조적자본(Structural), 인지적자본(Cognitive), 관계적자본(Relational)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은 모두 경제적성과, 사회적성과,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지원과 사회적가치 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특성 및 사회적자본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정책적 제언으로는 사회적가치 성과가 미흡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보완대책 마련, 조직특성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발굴,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교육의 내실화가 제시되었다. 둘째, 실천적 제언으로는 사회적겅제기업의 인지적자본 증대 필요성, 사회적가치 지표(SVI)에 따른 균형 있는 성과창출, 지역 및 시민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가 제시되었다. 셋째, 학술적 제언으로는 사회적가치 성과에 대한 연구범위가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사회적, 경제적, 혁신성과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베이비부머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설립 사례연구

        김은희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베이비부머의 文化藝術分野社會的企業設立事例硏究 사회적기업학과 김 은 희 지도교수 홍 정 화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급속한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여 오며, 선진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사회구성원 또한 의・식・주 해결을 통한 생존차원이 아니라 삶의 질과 가치를 중시하는 고품격의 삶을 추구하고 있다. 사회전반에 걸쳐 양극화와 불균형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청년실업문제와 더불어 고령화 문제가 새롭게 사회적 이슈로 부상되고 있는 실정이 다. 특히 앞으로 우리 사회에 한 축으로 형성될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배려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의식구조와 삶의 형태를 분석하여 이들의 사회적・경제적 욕구와 연결된 노년의 삶을 사회적 자본으로 확대 재생산하여 개인 적 욕구 충족은 물론 사회참여를 통한 사회적 안정 세력으로 정착시켜 나가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육수준과 수득수준이 높고 안정화된 베이비부머 세대 의 사회참여 및 문화적 욕구에 초점을 맞춰 문화・예술 부문의 창의적 활동창출(상품 및 서비스개발)과 영리적 성격과 더불어 공익적 성격을 갖고 있는 사회 적 기업과 연계하여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크의 패러다임을 창출하고자 한다. 선행 사례에 대한 자료수집과 베이비부머 세대들과의 인터뷰에 의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참여 및 문화적 욕구가 상당히 높았음을 알수 있었고 각자의 삶의 형태 및 가치관에 , 따라 폭넓고 다양하다는 것이다. 둘째, 현재는 문화예술분야의 영역이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등 기타 창작활동 등 극히 제한적이고, 소규모이나, 개인의 삶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화적 욕구는 다양하여 이러한 아이디어 를 상품화 할 경우 문화예술분야의 시장 영역 잠재력의 확대가 기대된다. 셋째, 문화・예술적 욕구는 하드웨어적인 성격보다 소프트웨어적인 성격이 강하고, 삶의 질과 가치에 중심을 둔 창의적 창출이 키포인트로 소규모 자본과 인력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활동을 통하여 충족시켜 나가기에적합한 분야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 위와 같은 가능성과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질적으로 문화・예술시장의 확대와 문화적 가치를 지속적인 맞춤형 일자리로 창출하 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정부 관련 부서의 사회통합과 각 계층 간 균형 잡힌 안정을 위하여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사회적기업을 통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둘째, 사회구성원의 선진화 된 문화・예술적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차원 높고 다양한 사회적기업의 공익성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전략적인 측면에서 문화예술이라는 창의적 분야의 사업화 추진 과정에서 예술가와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문화・예술적 욕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수렴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사회적 네트워크 시스템의 조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현재의 의・식・주 문제의 단순 복지정책에서 한 걸음 나아가, 차원 높고 넓은 문화・예술적 측면의 사회구성원들의 욕구가 사회적기업을 통하여 해결될 때 우리 사회는 진정한 선진사회로의 진입통로가 열릴 것으로 확신한다.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Plan of Art and Culture for Social Enterprise by Baby Boomers Department of Social Enterprises Kim, Eun He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won University

      • 전남 사회적경제기업 유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상사 사회적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김형윤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Economic problems such as low growth and low employment at home and abroad, and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economic polarization, have emerged, and the social economy has become a solution to create quality jobs, overcom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poverty and class conflict. Like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s social economy-related policies were implemented through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s enactment of the Independent Community Project Pilot Act in 2010 and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in 2012. The government has been pushing for various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olicies, including intensive support for labor costs, based on related laws and projects. In this study, domestic research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books related to social economy and public purchase were collected and used as literature research materials, and related laws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were also used. In order to refer to the latest data,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The government's social economic support policy for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public institution's social enterprise product 2019 and 2020 purchase plan. In this study, based on prior research and performance analysis, we would like to make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distribution of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in Jeollanam-do as follows: First, it is urgent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and the Special Act on the Purchase Promotion and Market Support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Products, and to revise the Jeollanam-do Ordinance, and to supplement the support agency's effective operation policy. Second, without the will and effort of the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and purchasing managers, it would only meet the legal purchase r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ce elected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to make pledges, and to force appointed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to present goals and proportions of public purchase through appointment pledge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purchasing managers of public institutions in need and social economy companies to supply products. Currently, Jeollanam-do Corporation has a Jeonnam Public Purchasing Platform that can easily purchase and compare social economy products, but lack detailed information. Fourth, revitalizing the distribution of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in Jeollanam-do should be supported by self-rescue efforts to foster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e competitive independent of the government's protection and support. Lastly, I hope that the measures to revitalize the distribution of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in Jeollanam-do Province, which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expand the market not only for social and economic companies but also for socially disadvantaged companies that need to buy first. 국내ㆍ외적으로 저성장ㆍ저고용 등의 경제문제와 빈곤ㆍ경제적 양극화 등의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시장경제의 효율성을 살리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실업과 빈곤ㆍ계층간의 갈등 등 경제ㆍ사회 문제를 극복하고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사회적경제에 주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사회적경제는 다른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경기침체, 가계부채 증가, 저출산 고령화, 실업률 증가 등의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사회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2010년 행정안전부의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 시범추진” 2012년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과 2012년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개정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 기업 관련 정책을 시행하였다. 정부에서는 관련법 및 사업을 근거로 인건비의 집중지원 등 다양한 직ㆍ간접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경제와 공공구매 관련 국내 연구논문, 학술지, 서적 등을 수집하여 문헌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관련법규ㆍ지방자치단체 조례 등도 활용하였다. 가장 최근의 자료를 참고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자료를 참고 및 분석하고, 전남 사회적경제기업들의 공공 및 민간부문에 대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정책과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와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2019년 구매실적과 2020년 구매계획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전남상사 사회적협동조합의 현황과 사례를 살펴보며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전남 사회적경제기업 유통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실적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전남 사회적경제기업 유통 활성화와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법적 근거인 “사회적경제기본법” 및 “사회적경제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이 시급하며, 더불어 “사회적기업 육성법”의 개정과 전라남도 조례의 개정, 지원기관의 실효성 있는 운영방침 등 제도적인 보완 등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기관장과 구매담당자의 의지와 노력이 없다면 법적 구매비율을 충족하는데 그치고 말 것이다. 이에 선출직 공공기관장에게는 공약사항으로, 임명직 공공기관장에게는 임명 서약 등으로 공공구매 목표와 비율을 제시하도록 하는 등 사회적인 약속으로 강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수요가 필요한 공공기관 구매담당자와 제품을 납품할 사회적경제 기업이 편리하게 구매와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현재 전남상사 사회적협동조합에서는 간단하게 사회적경제 상품을 조회하고 비교하여 구매까지 쉽게 할 수 있는 전남 공공구매 플랫폼이 준비되어 있으나 기업 및 제품의 상세정보가 부족하고, 플랫폼 운용법을 숙지하지 못하는 등 운용상의 여건이 부족하여 구매 담당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경제기업 유통 활성화는 전남 사회적경제 기업인들의 최종 몫으로써 정부의 보호와 지원에서 독립하여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함양하고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는 자구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전남 사회적경제기업 유통 활성화 방안이 사회적경제기업 뿐만 아니라 우선구매가 필요한 사회적 약자기업들의 판로 확대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사회성과인센티브 및 사회성과가 사회적기업의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종철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성과인센티브는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의 사회문제 해결 성과를 화폐가치로 측정하여 보상하는 프로그램으로 사회적 가치 측정모델을 개발해 SK그룹이 설립한 비영리 연구재단인 사회적가치연구원(CSES)에서 시작되었다. 사회성과 유형은 네 가지로 환경, 사회서비스, 고용, 사회생태계로 나누어 측정한다. 본 연구는 사회성과인센티브를 받은 기업들이 직접적으로 지원받은 현금이 당기의 경제성과와 유형별 사회성과가 당기의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사회성과에 전기의 인센티브 및 경제성과가 미치는 영향, 전기의 사회성과 인센티브가 당기의 유형별 사회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사회성과인센티브와 기업에 시도되는 비용지출 등을 통해 사회성과 달성이 인센티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Social progress credit began in 2015 at the Social Value Research Institute (CSES), a non-profit research foundation established by SK Group, based on its proposal to maximize stakeholders and the public interest by measuring and rewarding social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with monetary value. Since the launch of the SPC project in 2015, SPC participating companies have generated a total of 238.9 billion won in social performance and received a total of 45.6 billion won in cash incentives in proportion to social performance. This is the result of classifying social performance types into four categories and measuring them by dividing them into environmental performance, social service performance, employment performance, and social ecosystem performance, and measuring the proportion of social performance created by the entire participating company. The measurement of social performance begins with various attempts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research on various measurement methods has been conducte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uses the Social Value Index SVI, which consists of social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to evaluate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s indicators. This study analyzes companies that received social performance incentives and summarizes the effects of current economic performance and type social performance on current economic performance, earlier period incentives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earlier period social performance incentives on current type. First, it will be confirmed that social performance incentives are designed to increas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at achieve social performance and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design. Second, we examine whether social performance incentives only affect the year or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next period. In conclus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new direction for development on how achieving social performance affects incentives through social performance incentives or expenditures attempted by companies through economic performance.

      • 인천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연구 : Balmer의 AC²ID 테스트 모델을 활용한 정체성 분석 중심으로

        전은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역 발전에 관한 논의에서 ‘경제적 성과’는 오랜 시간 가장 중요한 화두이자 목표였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경제활동 중심 생활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 중심, 여가 중심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 발전에 관한 최근의 논의 역시 경제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존의 평가 논리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세계 국정의 핵심 코드 역시 ‘경제’에서 ‘행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른바 ‘국민총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 시대로의 전환이다.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의 행복경제, 캐나다의 웰빙지수(Canadian Index of Wellbeing), 영국의 행복지수(Happy Planet Index) 등은 이러한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들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 요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여 물리적 환경은 물론 정신적 욕구 충족을 위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모든 국민에게 적용되는 공공적 문화정책, 문화복지 정책 보다는 국민 개인의 필요와 욕구에 맞는 문화 프로그램 제공과 문화생활 환경조성이 더욱 강조되는 현 사회에서 이를 국가적 재정만으로 감당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스스로의 기업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활동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이다. 초기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정책을 추진했던 정부 방침대로 현재의 사회적기업 정책은 일자리 창출만을 위한 지원정책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고용노동부 주관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사회적기업의 다양한 목적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사회적기업이 기업 활동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목적이란 일자리 창출 이외에도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특히 경제적 목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문화복지 정책-사회적기업 육성 정책 등의 연계 및 다각화가 필요하다. 특히 인천시의 경우 현재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해 인천시 차원에서 뿐 만 아니라 인천시의 7개 구(區) 차원에서도 관련 조례와 시행규칙을 제정하는 등 노력 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의 노력과 막대한 재정적 지원에 따른 만족할 만한 시행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경우 전체 34개 업체 가운데 단 4개 업체에 불과해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일반 사회적기업과는 차별되는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현재와 같은 동일한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은 큰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따라서 기업의 특징과 기업 활동 기반 분석, 이를 지원하는 정책 분석이 필요하다.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시브랜딩과 연계한 사회적기업의 브랜딩을 제안함에 있어서 사회적기업 브랜딩 프로세스에 Balmer의 정체성을 단계별로 측정하고 그 실체와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Balmer의 AC²ID 테스트 모델을 활용한 분석 방법론을 통해 실제 정체성(Actual identity), 희망 정체성(Desired identity)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정책의 이상 정체성(Ideal identity)을 도출하였다.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문화복지와 문화 서비스 보급 등의 보완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요 기업목표로 한다. 사회적기업 확대를 통해 일자리 창출 및 다양한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려는 정부의 지원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별 특성에 맞는 구체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정부 기관 등과의 연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활동 분야와 사업 영역에 따른 적절한 지원 제도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향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적극 활용한 지역문화 활성화와 문화복지 확대 방안과 정책 지원의 다양화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