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百壽百福圖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전은주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Today, as our living standards improves, we can afford to live an affluent life in materialistic and mental terms, while our perception of the textile changes. Unlike in the past when simple and practical functions of apparel were highlighted, diverse and individualistic quality is required of todays textile. Thus, it has become urgent to develop a more beautiful and creative textile by intensifying it with more diverse colors and thereby, improve its added value. 오늘날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물질적인 면에서나 정신적인 면에서 풍요해진 생활여건과 더불어 직물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실용적 기능만을 중요시하던 과거에 비해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섬유류 제품의 다양화, 개성화, 고급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직물에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부여하여 아름답고 창조적인 제품으로 생산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이 시급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제는 단순모방적 태도에서 벗어나 가장 민족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말처럼 전통문양과 같은 우리 고유문화의 계승발전을 통하여 장식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독자적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된다. 이에 부응하여 주로 자수병풍으로 제작되었던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의 미의식 및 이념적 바탕을 현대의 정서에 맞게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재창조 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백수백복도는 장수와 좋은운을 상징하는 수(壽), 복(福), 문자를 여러 가지 전서(篆書)*{{*전서(篆書) : 글씨체의 한가지. 대체로 古文, 大篆, 小篆을 통틀어 전서라고 칭하되 좁은 의미로 말하면 小篆(복잡한 小篆字를 간략하게 획을 단순한 시킨 글자)을 지 칭한다.의 형태로 도안화 하여 무병장수 하기를 기원하는 인간의 염원이 담겨있으며, 이는 상서로운 의미를 가진 글자를 반복해서 씀으로써 그 글자가 나타내는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자 했던 의도가 보인다.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는 민화문자도에 관련된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문양상 특성을 살펴보고, 백수백복 자수병풍의 여러 가지 사진자료를 참고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또 텍스타일 디자인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표현기법과 다양한 재료 및 색채구성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길상적인 뜻을 지닌 글자를 통하여 바라는 소망을 이루고자 했던 우리 조상의 뜻을 생각해보며, 현대 디자인에서도 따를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상징성과 조형성을 지닌 백수백복도의 글자모양을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형제자매관계특성이 아동 및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은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제자매관계특성이 아동 및 청소년의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A)study on the effect of the self-conception of the children and teenagers relationship of the brother and sister

      • Siloxane계 고분자/세라믹 복합막 제조와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부탄올 농축

        전은주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투과증발 복합막에서 지지체로 사용되는 고분자 대신 열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높은 세라믹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활성층의 특성에 따른 투과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고무상 고분자인 PDMS (polydimetylsiloxane)와 유리상 고분자인 PhTMS (phen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여 부탄올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세라믹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투과증발 조건에 따른 부탄올의 투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공급액의 농도, 온도, 유속을 변화 시켜 제조한 ceramic composite membrane의 부탄올 투과 특성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부탄올의 전체 플럭스는 320-873 g/m2h, 분리계수는 15~28, 부탄올의 농축도는 26~46 %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siloxane-polymers were coated on a prepared alumina ceramic support layer (γ-Al2O3/α-Al2O3). A layer of rubbery polydimetylsiloxane (PDMS) was deposited on the γ-Al2O3 surface and a secondary coating of phenyltrimethoxysilane (PhTMS) was added to enhance membrane hydrophobicity. Then, PDMS/ceramic and PhTMS/PDMS/ceramic composite membranes were used to separate butanol from a butanol/water mixture using pervaporation. Effects of the secondary PhTMS coating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butanol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feed solution. The PhTMS/PDMS/ceramic composite membrane showed promising potential to improve butanol recovery from fermentation broth but the trade-off is total flux reduction.

      • 수학일지를 통한 수업태도 개선과 수학적 흥미 향상에 관한 연구

        전은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학생들은 다른 나라에 비하여 우수한 수학 성적을 얻는 반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선호도는 현저히 낮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수학일지를 통하여 교실 안에 있는 학생들에게 수학학습에 능동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높이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일지쓰기가 학생들의 수학 수업 태도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수학일지쓰기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 학생들에게 수학적 태도 검사지를 이용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중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싶으나 자신감도 없고 흥미가 낮은 학생 3명을 선정하여 새 학년인 2학년이 되어 4개월간 수학일지를 쓰게 하고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일지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둘째, 수학일지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향상에 도움이 된다. 셋째, 수학일지는 연구 기간 동안 수학적 자신감 향상에 뚜렷한 도움은 주지 못하였지만 장기 실험을 할 경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수학일지 쓰기는 학생들의 수업태도개선에 도움을 주고, 학생들에게 수학적 흥미를 주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연구기간동안 수학적 자신감 향상에는 도움을 주지 못했지만 수학 성적이 향상된 것을 보면 향후 수학일지를 지속적으로 쓰게 한다면 수학적 자신감도 향상될 것이라 본다. 수학일지 쓰기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수학 성적이 중간 정도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최상위 그룹의 학생이나 하위 그룹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와 비슷한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본 연구의 기간은 4개월로 짧은 기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수학일지 쓰기가 고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연구 기간을 충분히 잡아 수학 일지 쓰기가 고등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같은 수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수준별 수업에서도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수학일지를 만들고 수학일지가 어떻게 활용되며 그 효과는 어떠한지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Storybook Reading을 통한 미국문화 이해 향상에 관한 연구

        전은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method of developing the ability to use English in real situations through storybook reading. To learn a foreign language i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society where it is spoken,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closely related and influence each other. Storybook reading is one of the best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ack of linguistic background knowled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togeth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merican culture education through storybook reading, some suggestions have been examined. Also, three American storybooks which contain abundant cultural information were chosen and sample lesson plans of each were introduced. In order to know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American culture, 100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It was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related to storybook read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most of the students chose right answers for the questions about the general facts of the U.S.A. or about the contents of familiar storybooks such as Peter Pan, Aladdin, and Aesop's Fables. However, around 75 percent of the students didn't know well about several questions on the cultural differences concerning manners, holiday customs, measuring units, and gestures. When they were asked if they preferred to use storybooks in English class, more than a half of the students replied that English lessons using storybooks were useful and helpful to understand American culture. It can be concluded that storybooks influence students'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studying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Storybooks include not only practical vocabulary and expressions but also various cultural messages. Therefore, teachers can use storybooks with a whole language approach rather than use them by separating the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n addition, awareness of the cultural differences is especially important and they should help the students by encouraging reading English storybooks for more effective English learning.

      • 자아존중감 및 가족결속력이 청소년들의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전은주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ur modern society where we pursue as many conveniences as possible, the mobile phone has become the preferred media of communication. Now it has become an apparent necessity for juveniles. The "now generation" consider mobile phones as a means to feel and find existence in their society. In this study, we will see how adverse the situation can be when juveniles use their mobile phones either as a stimulant or a peer-induced self-esteem tool. The 67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san, Chungnam province, including four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In this study,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Win 12.0.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mobile phones. Basic reliability of measurement was tested through the reliability test. The t-test will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addiction to mobile phones, family cohes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find relationships to mobile phone addiction, family cohesion, and self-esteem were carried out. Here are five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First, juveniles use mobile phones as a means of getting along with their friends as opposed to adults who use it for actual purpose. They use it for sending messages 87.1% of the time. They seem to have some troubles using it. Their culture of using it affects negative surrounding environment. Second, addiction to mobile phones is higher among girls than boys.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addicted to using mobile phones, students who use more money, students who are not getting along with their teacher, students who don't have enough time to talk with their parents are more addicted to using mobile phones. Third, family cohesion is higher among girls than boys. The more high level of life of students, the faster the purchasing time, the more harmonious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the more talking they have with parents, the higher self esteem they have. Fourth, the higher the socio-economic level of students, the higher the purchasing power, the more harmonious students are with their teacher and friends, the more talking they have with parents, the higher self-esteem they have. Finally, if they have low self esteem, family cohesion, the use of mobile phones borderlines addiction. The more money they spend, the less harmonious they are. Girls, more than boys, are more addictive in their use of mobile phones.

      • 한중 수교 이후 재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시문학에 나타난 정체성 연구

        전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한중 수교 이후 재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시문학에 나타난 정체성의 문제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이 연구는 여러 세대에 걸쳐 디아스포라로 살아왔던 재중 조선족 집단의 한국으로의 이주가, 외적으로는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에 따른 국제적 노동이주의 성격을 띠지만, 내적으로는 ‘디아스포라의 귀환’이라는 모국과의 민족적 차원의 유대의식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전제로 삼았다. 디아스포라는 이주지에 정착하려는 것과 모국과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 이‘이중적 욕망’또는 ‘사이성’을 지니는데, 이는 조선족 디아스포라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항목이 된다.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의 최초의 이주가 ‘집’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들이 ‘귀환’하고자 하는 곳이 지리적 ‘공간’인‘고향’이 아니라 문화적 총제로서의 ‘장소’인‘집’이라는 점에서, ‘고향 찾기 욕망’과 ‘집 찾기 욕망’은 구별된다. 그러나 조선족 디아스포라는 이 두 욕망을 동일하게 설정하고‘귀환’했기 때문에, 욕망의 달성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네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첫째,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중국 이주와 정착, 그리고 한국으로의 귀환의 역사성을 통해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족 디아스포라는 조선인에서부터 중국 조선족으로 규정되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에서 겪은 ‘고향상실’의 아픔을, ‘상상속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귀환의 욕망’을 증폭시킴으로써 스스로 위안 받았다. 또한 그들은 이주지에서 겪은 두려움과 소외감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으로 전환하여‘연변조선족자치주’라는 정치적으로 공인된 ‘집’인‘조선족 공동체’를 구축한다. 그리고 그들은‘민족 정체성’을 계승-발전시켜 그것을 ‘정신적 존재감’으로 삼았다. 둘째, 한중 수교 이후 그들은‘상상속의 고향’인 한국으로 귀환하지만‘낯선 한국인’의 차별과 냉대를 통해 ‘낯선 고향’인 모국에서 ‘정체성의 혼란’에 직면한다. 그들은 중국에서 반세기 이상을 사회주의 계획경제 국가에서 살았기 때문에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경제를 받아들이는 것이 쉽지 않았고, 이데올로기의 장벽으로 왕래가 없었던 오랜 세월의 간극은, ‘상상속의 고향’에 대한 환상이나 감상적인 민족 개념으로 쉽게 극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그들이 이루려던 한민족으로서의‘자격 회복’과 자본주의의 체제에 진입하려던 ‘자본의 욕망’이 모두 실패하고 만다. 그들은 모국에 대한‘그리움’이 환상이었음을, 그들이 찾고자 했던 ‘고향’과 ‘(고향)집’이 모국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집의 부재’를 실감한다. 셋째, 이주 3,4세대인 그들은 모국에서‘집 찾기’ 욕망이 좌절된 후, 많은 조선족들이 그들이 태어나고 자란 실재 고향인 연변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그들은 연변에서도 ‘집 찾기’에 실패한다. 그곳의 ‘집’은 이미 ‘추억속의 집’일 뿐이었다. 연변의 이웃들은 오래 전에 ‘(고향)집’을 찾아 떠났고, ‘조선족 공동체’도 해체되어 ‘기괴하고 낯선 고향’으로 바뀌어져 있었다. 그들이 모국에서 번 돈으로 산‘비싼 아파트’도 가족들이 살지 않는 ‘빈 집’일 뿐이었다. 넷째, 그들은 모국과 연변에서 ‘고향과 집의 해체’와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를 실감하고 새로운 ‘집 찾기’또는 ‘집 짓기’를 시도한다. 이와 더불어 주목할 만한 변화가 감지된다. 몇몇 시인들이 올바른 현실인식을 통해 ‘자아성찰’과 더불어 실천적인 시적 대응을 시도한다. 이는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내적귀인(內的歸因)’의 대응으로 시작된다. 시인은 정체성의 혼란과 갈등을 자기 자신과의 ‘말 걸기’와 ‘답 하기’의 형태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객체화시키는 것에서 각각 출발했다. 그리고 자신들의 ‘타자화’가 한국인이 행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든 것임을 깨닫는다. 그리하여‘적극적인 말 걸기’와 자신을 성찰하는 ‘시 쓰기’등의 실천적 대응을 통해 자신들의 위상을 스스로‘타자’에서부터 ‘주체’로, 모국사회에 대한 태도도 일방적인 ‘기대’에서 자신에 대한 성찰로 시작하는‘관심’으로 전환시켰다. 이를 통해 모국사회의 ‘분단 트라우마’와 만나 그들의 차별과 냉대를 이해하면서, 한국인들과 자신들이 지니고 있는 ‘타자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소통의 첫걸음임을 자각한다. 그리고 갈등의 원인 중의 하나가 각기 지닌 트라우마 때문이라는 것을, 자신과 한국인이 서로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기에 이른다. 그들은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모든 ‘낯선 대상물’에서 ‘친숙한 것’을 찾아내어, ‘낯섦’을 ‘익숙함’으로 바꿔 불안정한 ‘공간’을 안정적인 ‘장소’로 만들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그 ‘장소’는 그들이 성공한 ‘집 찾기’가 된다. 이때 그들의 ‘집’은 긴 디아스포라의 여정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지을 수 있는 인식의 중심이 될 가능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그러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고향 만들기’와‘집 짓기’를 할 수 있다는 자각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조선족 디아스포라 전체에 확산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모든 혁신의 시작은 언제나 일부 선각자들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이 혁신의 시발이 재한 조선족 시인의 시작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재한 조선족 디아스포라가 대림동 등지에서 짓고 있는 마을과 집이 그들이 찾아 헤매던 그 ‘고향’이며 그‘(고향)집’이며, 그들이 이루어야 할 ‘공동체’라는 사실을 그들이 자각하게 됨으로써, 그 자각의 힘이 ‘정체성의 재정립’으로,‘아비투스의 혁신’으로 이어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dentit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Korea as represented in the diaspora poems they have written since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China.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ve of ethnic groups of Korean Chinese, who had settled as diaspora in China over generations, to Korea can be analyzed in two ways; externally, their migration seems to be that of international labor that followed China's reform and open-door policy, while internally, it started from “diasporic return,” the sense of ethnic connectedness with their homeland. Diaspora has “in-betweenness” or twofold desire; the desire both to put down roots in the settlement and to strengthen ties with their homeland. And this fe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inese diaspora. This study places importance on the idea of “home” which is presumed to have motivated the first move of the diaspora back to Korea. Here, “a desire for a homeland” is to be distinguished from “a homing desire” in the sense that the destination of their return is not “homeland” as a geographical “space” but “home” as the “place” for a cultural whole. It seems, however, that the Korean Chinese diaspora “returned” and failed to attain what they desired, equating those two different desires. This study approached the topic in four ways. First, it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inese diaspora, following the history of their move to and settlement in China and their return to Korea. The Korean Chinese diaspora had to undergo a rough journey of endeavoring to be accepted as Korean Chinese in China and tried to alleviate the frustration with “loss of a homeland” by intensifying their “longing /nostalgia” for their “imaginary homeland” and “desire for return” to it. At the same time, they transformed the sense of fear and alienation into positive and active actions and finally succeeded in establishing “Yanbianchaoxianzuzizhizhou,” “an autonomous prefecture,” a politically approved “home.” And they inherited and developed their own “ethnic identity” and took it as their “raison d’etre.” Second, after the “return” to Korea, their imaginary homeland, which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facilitated, they were forced to face an “identity crisis” in their homeland, which became “a strange homeland” due to the discrimination and inhospitable treatment by “strange Koreans.” In addition, they had difficulties adapting themselves to the capitalist economy in Korea and a long period of gap widened by ideological barriers and by the lack of correspondence could not be filled easily with a mere fantasy or a sentimental nationalistic expectation. Consequently, they have failed in all attempts to “recover rights” as Korean people and to “crave capital” which was needed to enter the capitalist system. They found their nostalgia for the homeland was nothing but a mere illusion and that “home” as well as “homeland” they had sought did not exist anywhere. They realized “the absence of home” in their homeland. Third, thes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of Korean Chinese immigrants returned back to their de facto hometown, Yanbian, after they had experienced serious frustration with “looking for home” in their homeland. But they failed in “looking for home” in Yanbian as well because their “home” in there turned out to be “the one that merely existed in their memories.” Most of their neighbors in Yanbian had left many years ago looking for their “home (in the homeland),” the Korean Chinese autonomous community collapsed long ago and the “expensive apartments” they had purchased with money laboriously earned in the homeland were left “empty” with no family members living in there. Fourth, after witnessing “the dissolution of homeland and home” as well as that of Korean-Chinese community both in Korea and in Yanbian, they started to attempt not only to “look for home” in a new way but to “build home.” Along with this effort, a remarkable change became noticeable. Through “self-reflection” and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reality, some poets came up with practical poetic countermeasures. This move started with what is called “an internal attribution,” an attempt to find the cause of a problem within oneself. Those poets tried to resolve their identity-related confusion and conflicts adopting poetic forms of “addressing to” and “answering” themselves and objectifying their emotions and ideas. This practice helped them to realize it was they that had created their own “otherness.” In other words, by means of practical measures such as “an active addressing” and “poetry writing” on self-reflection, they gradually have enhanced their status from “the other” to “the subject”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 Korean society from one-sided “expectation” to “interest.” In this process, they got to encounter “trauma of the division” of their homeland, Korea, and were able to embrace Koreans’ discrimination and cold treatment more easily than before. Furthermore, they found Korean Chinese were not different from Koreans. With this change in perception, they began to transform their unstable “space” to a stable “place” by finding out “something familiar” in “strange objects,” i.e., changing “strangeness” into “familiarity.” They also went on to realize that the “place” they were building and making could be their “homeland” and “home” they had been looking for so far; they discovered the possibility that they would be able to attain their goal of finding a homeland and home through “home building.” They also gradually became convinced that this kind of “home building” and “Korean Town”'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Chinese community.” Of course, this “change in perception” has not expanded all over the Korean Chinese diaspora. But it is worth noting that all innovations always begin with the endeavors of a few pioneers and the innovation in this case also started from poetic works of a few of pioneer Korean Chinese poets living in Korea. Hence, once Korean Chinese residing in Korea become aware that the villages and houses the Korean Chinese diaspora have been building in Daerim-dong or other similar areas are nothing but the “homeland” and “home” they had long wandered to find and “a community” that they need to complete, the power of such awareness will be directly transformed into the driving force for “the re-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the innovation of Habitus.

      • 지역주민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이차자료 분석

        전은주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 평생 한 번 이상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은 성인 6명중 1명으로 2006년 12.6%에서 14.4%로 증가하였다. 현대인들은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 과정에서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 도박․인터넷․알코올 중독 등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과 더불어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실정에 맞는 근거 기반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진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통해 향후 지역 정신건강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 이용절차에 따라 사용 승인을 받은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고 강릉원주대학교의 IRB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강릉시에 거주하는 표본 추출된 만 19세 이상의 성인 901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수준은 교차분석, t-test, ANOVA 분석을 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의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하였다. 정신건강, 삶의 질 및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정신건강과 삶의 질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 하위 영역중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평균은 2.91±0.73으로 연령(F=18.38, p<.001), 거주지(t=3.36, p=.001), 가구 월소득(t=2..89, p=.021), 결혼 여부(t=2.79, p=.005), 교육수준(F=5.13, p<.001), 직업(F=8.9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감 경험에서는 성별(χ²=7.54, p=.006), 가구 월소득(χ²=10.02, p=.004), 교육수준(χ²=12.06, p=.017), 주관적 건강수준(χ²=28.9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인 EQindex 평균은 0.91±0.11으로 성별(t=3.38, p=.001), 연령(F=61.00, p<.001), 거주지(t=2.51, p=.013), 가구 월소득(F=17.82, p<.001), 결혼여부(t=-3.97, p<.001), 교육수준(F=29.54, p<.001), 직업분류(F=20.04, p<.001), 주관적 건강수준(F=220.4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EQVAS 평균은 74.70±16.07으로 성별(t=3.38, p=.001), 연령(F=27.17, p<.001), 거주지(t=2.37, p=.018), 가구 월소득(F=9.02, p<.001), 교육수준(F=14.27, p<.001), 직업분류(F=11.46, p<.001), 주관적 건강수준(F=59.7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건강 영역인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은 삶의 질 영역인 EQVAS와 나이와는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질 영역인 EQindex와 EQVAS는 주관적 건강수준과 나이와는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건강(F=10.73, p<.001)과 삶의 질(F=28.90, p<.001) 예측회귀모형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요인은 정신건강에서 우울감 경험(β=-.23, p<.001), 삶의 질에서 주관적 건강수준(β=-.36, p<.001)이었다. 결론: 정신건강은 우울감 경험,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수준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파악된 바, 확인된 대상자에게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정신건강이 취약하고 삶의 질이 낮은 지역주민을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연구 측면에서는 정신건강의 가장 큰 영향요인이 우울감 경험인 만큼 우울감 경험이 있는 대상군을 확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건강의 중요한 요인인 정신건강관련 문항이 소수이기 때문에 정신건강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앞으로 정신건강 관련 문항과 우울 관련 문항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A 2011 epidemiologic survey on actual mental illness reported that 1 out of 6 adults has experienced mental illness more than once in their lives. It also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of such adults increased from 12.6% in 2006 to 14.4% in 2011.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ccompany modern people’s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anxiety disorder, suicide, and addictions to gambling, Internet and alcoh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ill suggest the directions in the future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through basic materials for progressing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ares which are suitable to local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 population’s mental health and qualities of life.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approved 2012 Community Health Survey, and following the procedure sugges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it is approved b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IRB. A random sample of 901 people aged 19 years or more and live in Gangneung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To assess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ers us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analysi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Crosstabs, t-test, and ANOVA. Scheffe test is used for post-hoc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Pearson Correlationis used to correlate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variabl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is prefor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mean subjective stress level as a subcategory of the subjects’ mental health is 2.91±0.73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F=18.38, p<.001), residence (t=3.36, p=.001), family monthly income (t=2.89, p=.021), marital status (t=2.79, p=.005), education level (F=5.13, p<.001), and occupation (F=8.97, p<.001). Based on self-reported depress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χ²=7.54, p=.006), family monthly income (χ²=10.02, p=.004), education level (χ²=12.06, p=.017), and subjective health level (χ²=28.96, p=<.001). EQindex, quality of life state, mean is 0.91±0.11.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3.38, p=.001), age (F=61.00, p<.001), residence (t=2.51, p=.013), family monthly income (F=17.82, p<.001), marital status (t=-3.97, p<.001), education level (F=29.54, p<.001),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F=20.04,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220.44, p<.001).The mean of EQVAS, quality of life state, is 74.70±16.07,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3.38, p=.001), ages (F=27.17, p<.001), residence (t=2.37, p=.018), family monthly income (F=9.02, p<.001), education level (F=14.27, p<.001),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F=11.46, p<.001), and subjective health level (F=59.73, p<.001). Subjective stress levels positively correlate with EQVAS and age. EQindex and EQVAS, negatively correlate with subjective health level and age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ental health (F=10.73, p<.001), quality of life (F=28.90, p<.001) with a Predictive Regression Model.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mental health is self-reported depression (β=-.23, p<.001), and subjective health level for quality of life (β=-.36, p<.001). Conclusion: Self-reported depression appears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a subjective level of health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ife. Therefore, development of programs promoting good mental health is necessary for susceptible subjects. As an aspect of nursing servi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ntal health programs are necessary for community populations who are vulnerable for mental health problems, or where the quality of life is low. Further research including a follow-up study for expending subject groups who have self-reported depression is necessary because depression has the strongest effect on mental health. It is difficult to assess mental health because community health surveys currently ask few questions about it. In the future, more question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depression should be added. Keywords: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secondary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