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연구 : 목포시를 중심으로

        강종팔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50687

        20세기 급속도의 경제발전과 함께 인구의 증가, 도시화 현상 등의 사회변동과 지방자치 시대를 맞이하여 주민들의 보다 다양한 요구 등으로 행정의 기능이 계속 확대하여 왔다. 이러한 행정기능의 확대는 필연적으로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구와 공무원의 수를 증대시켜 재정 규모의 팽창을 초래하게 되어 여러 가지 부정적인 현상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행정 부문의 확대에 대한 반성과 비판이 일기 시작하였으며 행정기구의 축소, 예산 절감 등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하였다. 우리나라도 1970년 후반부터 민간위탁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 이르러 이를 더욱 확대 시키고 있는 추세이나 민간위탁에 대한 개념 정립이나 이론 구성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어서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민간위탁은 아직 초기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지극히 초기 단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민간위탁도 지속적인 관심과 학문적 연구가 활발해지고 규정과 제도를 보완하고 문제점을 최소화 하도록 개선한다면 주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방재정을 절감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민간의 자율적 참여기회의 확대로 행정의 민주화와 지방자치제의 조기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기본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다음 목포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실태와 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검토·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들이 민간위탁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와 질문지법에 의한 실증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는 총 6 장으로 구성하였는데 제 1 장에서는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관하여 언급하였으며, 제 2 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민간위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실증적 조사의 연구설계를 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목포시의 민간위탁 실태를 살펴보고 분석틀로 설정한 민간위탁과 관련된 사항, 민간위탁사무의 관리 및 행태와 관련된 사항, 민간위탁개선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5 장에서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목포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포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이 앞으로 더 많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민간위탁 담당 공무원의 위탁사무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수탁업체는 시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단체는 수탁업체에 대하여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목포시가 대도시화 할수록 행정사무 중 민간위탁 대상 사무가 더 많이 대두될 것으로 예견되는 바, 민간위탁 관련 범규 정비 및 전문기관에 타당성조사를 의뢰하고 시민 의견을 토대로 수탁업체를 선정하여 수탁업체에게 재정적 지원을 하며, 수탁업체들을 경쟁체제로 유도하는 등 목포시가 민간위탁 사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행정업무를 처리할 때 민간위탁이 활성화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자치 단체보다 앞서가는 지방자치 행정을 펴 나갈 것으로 생각된다.

      • 목포시 복지행정 개선방안 연구

        오영환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Years ago, due to political reasons, the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ities was stopped. However, since 1995, self governing system has been repeated in order to improve governing district including welfare for local citizens. In the local government, the welfare administration department is trying to execute desirable policies while focusing on the citizen’s high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e of Mokpo City welfare legislation and delivering system of legislation, to define consciousness of the citizens as the receivers, to identify problems of those areas as well a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problems. In the study, following chapters were presented. In the first chapter, the aim, limit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explained. In the second chapter, the inquiry about welfare administration was described. In third chapter, the conditions of Mokpo City welfare administration were presented with regard to legislation, delivering system, and citizens’ awareness as a consumer. Moreover, problems from the current operation of welfare administration were drawn and written. In forth chapter, alternative ways for the Mokpo City welfare administration to operate were suggested based on legislation, delivering system, and citizens’ awareness. Elicited problems from the current welfare operation of Mokpo City were verified. First, there was little evidence to take account of regional characters for establishing welfare legislation. Second, welfare delivering system was ineffective due to welfare publicity won’t active. Third, pensioners’ awareness could be unwholesome due to there are many cases that pensioner receives benefits illegally from city welfare. For the these weakness, following alternative ways were suggested. First, welfare legisl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needs of the local citizens and authentic policy. Central government should give the right to the local governments the way in which local government has the authority to charge and to operate welfare policies. Second, delivering system should be reformed into the ways not only it ensures local citizens’ life with high quality and facilitates social unity, but also it secures specialities of the servants who is charging welfare operation. Adding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welfare infrastructures to connect between self-governing system and private sectors as well increase tax income for welfare. Third, it was claimed that general citizens’ awareness should be changed into positive participation to monitor welfare operating. Moreover, welfare policies were needed to promote to the citizens about how and where they can get service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self-governing system should apprehend local citizens’ needs and make an effort to satisfy them with proper operating welfare policies. In addition, active legislation, enough finance, and special operate team would help to improve welfare society.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는 과거에 시행되었으나 정치적 상황에 의해 중단되었다가 1995년에 다시 부활되었다. 지방자치제의 우선목표는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이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두고 바람직한 지역사회 복지행정을 실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목포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행정 입법, 법의 전달체계 및 복지수요자인 주민의 의식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사회복지입법과정에 근거하여 목포시 지역사회복지관련 조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복지행정구조 설계의 기본이 되는 원칙에 비추어 목포시 행정조직체계와 지역사회 복지행정 인력현황, 재정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목포시에 의해 조사된 복지서비스 수요자의 의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각종자료와 통계자료들은 대부분 2013년과 2014년에 해당하는 목포시와 목포시의회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나타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첫째, 입법에서 1994년부터 현재까지 목포시에서는 사회복지 지원 대상자와 직접적으로 관련하여 제·개정된 사례는 4건이다. 지역사회복지행정의 입법(조례)은 주민들의 요구 및 노령화 사회와 관련하여 인구학적 특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조례가 제정되고 시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부기관이나 소수자를 위한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련 위원회 등의 민간을 비롯한 사회복지 현장 실무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하며, 운영의 투명성과 민주성 확보를 위하여 운영에 관한 조례들이 함께 제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복지행정 전달체계 분석결과 목포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담당하는 복지대상자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나 아직도 수요자 대비 공무원의 수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시설이용안내 홍보가 부족하여 수요자가 자신의 상황에 적절한 사회복지·보건서비스를 어느 기관에서 어떻게 받아야 할지 모르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지역의 복지인프라 구축과 복지행정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민·관의 사회복지관련 기관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원 스톱 복지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면 복지담당 인력 부족의 해소와 수요자들의 필요에 의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복지수요자 요구조사 결과, 저소득층을 위한 서비스, 고령화에 대비한 서비스 요구가 높았다. 산업사회화와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으로 인해 소득에서의 계층화, 기대수명의 연장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이 복지수요자에게 가장 큰 관심거리로 떠오르기 때문이다. 시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폭넓게 대응하는 보편형 복지추구, 임신부터 노후까지 생애주기에 따라 필요한 복지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나 무엇보다도 주민의 자활의식 고취와 사회복지활동 후원자로서의 참여유도도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로 목포시의 지역사회복지행정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에 알맞게 복지수요를 전망하고 효율적인 집행을 실시하는 통합성, 민간부분의 역할을 강화하는 참여성과 협력성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R&D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윤선웅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기존의 정부R&D 정책에 대한 연구들은 일정 규모 이상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수도권을 이외의 소규모 기업과 지방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부R&D 정책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R&D 역량과 정부R&D 정책에 대한 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둘째, 정부R&D 정책 활용도가 R&D 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의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설문조사 자료는 전남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 28일부터 1주간 예비조사를 시작한 후, 10월 1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 설문에 응답한 총 220명 중 불성실한 응답과 항목이 누락되어 분석에 적절하지 못한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196명의 신뢰성 높은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확정하여 이 연구의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D 역량과 정부R&D 정책 활용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R&D 역량이 정부R&D 정책 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R&D 역량이 높아질수록 정부R&D 정책 활용이 크다고 분석되었다. 정부R&D 정책의 활용은 R&D 역량 하위요인 중 CEO의 R&D 관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R&D 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회귀분석 결과, R&D 역량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입장에서 R&D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경영전략 방안을 구체적으로 세운다면 미래 경영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R&D 정책 활용도와 경영성과 간의 회귀분석 결과, 정부R&D 정책 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R&D 정책을 참여 경험이 많은 기업일수록 또한, 정부R&D 정책에 참여하여 만족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경영성과에 더 긍정적인 효과가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R&D 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부R&D 정책 활용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모형1(R&D 역량 → 정부R&D 정책 활용도)과 모형2(R&D 역량 → 경영성과), 그리고 모형3(R&D 역량 + 정부R&D 정책 활용도 → 경영성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3(β=.501)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모형2(β=.631) 보다 감소함에 따라 정부R&D 정책 활용도는 R&D 역량과 경영성과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부R&D 정책 활용도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R&D 역량이 정부R&D 정책 활용도를 경유하여 경영성과에 이르는 경로의 경우 간접효과 계수값은 .110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에서 구한 간접효과 계수의 하한값은 .048, 상한값은 .190으로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R&D 역량은 정부R&D 정책 활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R&D 역량 중 CEO의 R&D에 대한 관심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이 R&D를 수행함에 있어서, CEO가 R&D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하는 R&D 정책 활용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면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이 정부R&D 지원사업에 더 활발하게 참여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해외 주요국의 R&D 정책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 지원 프로그램은 기업의 기술개발을 위한 ‘지원’보다는 R&D 자금 지원에 대한 투명성과 효율성 중심의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기업의 기술개발 및 혁신을 통한 문제 해결에 한계가 드러났다. 따라서 전라남도는 중소기업 R&D 지원을 위한 정책을 관리가 아닌 ‘육성’ 중심으로 전환하여 지원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R&D 혁신 역량이나 CEO 의지가 부족한 중소기업, 정부 지원금에만 의존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보다는, 중소기업 수요자 밀착형 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ost of the prior studies on the government R&D policies were targeting SM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Therefore, it is time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polic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other tha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verifies how SME’s R&D capabilities and utilization of government R&D policies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for SME’s in Jeonnam province. Second, it analyzes whether the utilization of government R&D policies acts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R&D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e survey data, the preliminary survey during one week from September 28, 2021 for SME’s located in Jeollanam-do, and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4 to October 31. Of the total 220 respondents to this survey, the final 196 reliable questionnaires, excluding those that were not suitable for analysis due to the omission of unfaithful responses and items, were determined as effective samples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focusing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R&D capability and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it was found that R&D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R&D capabilities of companies, the greater the use of government R&D policies. The use of the government's R&D policy is believ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CEO's interest in R&D among the sub-factors of R&D cap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R&D competen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R&D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if a management strategy plan that can increase R&D capabilities from a company's point of view is established in detail,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future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R&D policy utiliz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more companies with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government R&D policies, the more satisfied companies with participating in government R&D policies, the more positi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apa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Model 1 (R&D capability →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Model 2 (R&D capability → management perform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in Model 3 decreased compared to Model 2, it was confirm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government's R&D poli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apa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es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the indirect effect coefficient value was 0.110 in the case of the path of R&D capability to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government R&D policy utilization. In addition, the lower limit of the indirect effect coefficient obtained from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was 0.048, and the upper limit was 0.190, which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direction because 0 was not include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D capabilities of SM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government R&D policies, especially the CEO's interest in R&D among R&D capabilities. Therefore, when SME’s in Jeonnam province perform R&D, education on the use of R&D policies for SME’s CEOs should be preceded so that CEOs can recogn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D. Then, SME’s in Jeonnam province are expect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government R&D support projects. Second, compared to R&D policie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it was confirmed that Korea's SME’s R&D support program focuses on transparency and efficiency-oriented 'management' of R&D funding rather than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re were limitations in solving problems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companie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Jeonnam province should support the policy for supporting R&D for SME’s by converting it to 'cultivation' rather than ‘management’. In addition, rather than supporting SME’s that lack R&D innovation capabilities or CEO will, and SME’s that rely only on government subsid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hat is close to SME’s consumers.

      • 病院의 財務構造 改善을 위한 硏究 : 木浦地域 A 病院을 中心으로

        강문정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병원들이 경영압박을 겪고 있다. 특히 97년 11 월 부 터 시작된 IMF 구제금융 체제는 거의 모든 재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병원의 경우 더 큰 압박으로 와 닿으며, 급기야 병원이 화의신청을 하게되는 상황에까지 이르고 있다. 국민의 건강관리 욕구의 증대로 환자들이 요구하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건강관리체제인 의료보험 수가는 오로지 그것에만 의존하는 병원 경영환경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기존의 병원들은 의료시설, 장비, 자본, 의료기술등이 의료사업에 진출한 대기업들의 방식에 많은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특히 전문 경영인의 부재로 인하여 국제화 시대 경쟁력 향상이라는 대 전제를 맞추기보다는 살아남기에 급급한게 현의료계의 실정이다. 낮게 책정된 의료보험제도로 인해 각 병원들은 비급여 항목, 특진제 등의 편법적인 운영을 하고 있지만 97년 말대형 병원들의 과잉진료 비리의혹이 보도되면서 의료계를 보는 서민들의 시각도 예전의 선생넘에서 단순한 의료 기술자로 변모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여건 하에서 병원들은 살아남기 위한 여러 방안들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지만 내부적인 부분에 눈을 돌려 내부경영의 합리화로 내실 있는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들이 내실화를 기하는데 조그만 보탬이 되게 하고자 병원의 재무성 적을 분석 연구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병원을 모델로 삼을 수 있겠으나 특히 전라남도 목포지역에 A 병원을 중심으로 전국 평균들과 비교하였다. 전국 병원에 대한 자료는 한국 의료관리 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병원 경영 실태 조사에서 수집한 재무지표를 이용하여 681개 병원의 1996년 도 경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전국병원 경영실태 조사는 각 병원들의 일반현황,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진료실적 등이 이용되었으며, 재무상태를 측정하는 변수로서 안정성, 활동성, 수익성 요인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각 병원의 경영 성과에 관한 자료논 주로 한국 보건의료관리연구원이 발간하고 있는 ’96 병원 경영분석 통계로부터 수집하였다. 위 자료를 이용한 이유는 '92년부터 '96년 까지 관찰기간을 가지고 '96년에는 81.4% 의 표본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병상 기준에 의한 병원군별로 성과자료를 제시하고 있어 직접적인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전국 300 병상 이상의 병원들은 의료수익 순이익률이 '92년 -0.5%, '93년 0.0% 였던 것이 '94년부터 급격히 나빠져 -3.0%, '95년 -3.1%, '96년에는 -3.9%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목포지역 A 병원은 '93년 0.0%, '94 년 -0.2%, '95년 0.2%, '96년 -1.1%로 비교병원군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기본재산 비율은 전국 300 병상 이상의 병원들은 '92년 29.4%, '93 년 30.9%, '94년 30.8%, '95년 23.9%, '96년 에 는 22.3%플 기록하고 있는 반면 목포지역 A 병원은 '93년 11.7%, '94 년 10.7%, '95년 8.7%, '96년 4.9%로 비교병원군에 비해 매우 취약한 편이며, 점차 악화되고 있다. 이의 원인은 100 병 상 당 인력을 유사규모 병원과 비교 했을 때 전국 300 병상 이상의 병원들은 '92년 108.3 명, '93년 106.5 명, '94년 111.8명, '95년 109.2 명, '96년에는 109.5명 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목포지역 A 병원은 '93년 109.0명, '94년 122.2명, '95년 116 .4명, ’96년 116.0명으로 비교병원군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목포지역 A 병원은 비교군에 비해 100 1:청 상 당 인력이 비교 병원군에 비해 많은 병원당 진료실적 및 수익을 나타내는 요인인 동시에 높은 원가율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력 투자 효율을 높이는 것이 재무구조 개선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병원 경영개선과 그 방안을 강구하는데 고려 될 수 있기를 바란다. Nowadays many hospitals are having troubles In administration as their exterior and interior situations have been changed. Above all, under the financial policy of I.M.F. starting in Nov. 1997, They are being pressed more seriously. A hospital should provide its patients with good service, but the low medical Insurance fee makes the hospital management more difficult. Moreover, absence of a special manager aggravates the bad situations. Though they are making many plans and carrying them out to escape from these poor situations, I think they have to make plans for the rational management in the hospital itself. Thus, this study is about the financial records of "A" hospital in Mokpo area which is compared with the ordinary ones in the country. The measures to meet the situation of LM.F. will be like these; First, controlling new investments, they must give a new investment directly related with their income after estimating its economical efficiency. Second, for cutting down the costs, they must find the way to reduce personnel, material and management expenses. Third, they must keep their current fund throughly, making their financial structure sound Fourth, the management of medicines, purchasing diagnosis materials and pnces should be under the complete supervision, Fifth, they must take an organization control such as the adjustment and abolition of consultation departments whose patients and income are decreasing. An innovational strategy demanding a fundamental change needs decision and will of the administration class. This means hospitals should not only make an effort to convert an bad environment into a good one but get out of trouble through effort to reform their interior situations. In this way, I think "A" hospital needs to make a trial for the innovation m its financial structure and it is desirable that this trial is done with voluntary lead of administration class.

      • 한국 지방교육자치의 최고관리자에 관한 연구 : 교육감의 선출 방식과 역할을 중심으로

        박영서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지방교육자치가 실시된 지 9년이 지난 시점에서 지방교육자치의 현주소를 점검한다는 맥락에서 시도된 것이다. 9년 동안 지방교육자치 제도가 시행 되었지만,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인식이나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교육감 선거와 교육위원 선거를 둘러싸고 매 선거마다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는 현행 지방교육자치 제도의 운영상의 미비점이기도 하지만 제도 자체가 안고 있는 문제의 측면도 있다. 2000년 5월 제정돼 적용되고 있는 교육위원 및 교육감선거관리규칙에 따르면 교육감의 선출은 학교운영위원회 선거인과 교육단체 선거인으로 구성된 교육감 선거인단에서 무기명투표로 선출하되, 전체 교육감 선거인 과반수의 찬성을 얻은자를 당선자로 하고 있다.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때는 최고득표자가 1인이면 최고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최고득표자가 2인 이상이면 최고득표자에 대하여 결선투표를 하여 다수 득표자를 당선자로 하고, 다수 득표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연장자를 당선자로 하고 있다. 교육감의 임기는 4년이며 1차에 한해 중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규정하에 실시되고 있는 교육감 선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교육감 선출 방식과 함께 지방교육자치 제도하에서 교육감의 역할에 관한 문제들을 검토해보았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목포지역 교사, 학교운영위원, 일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교육감 선출 방식과 함께 지방교육자치 제도하에서 교육감의 역할에 관한 문제들을 검토해보았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목포지역 교사, 학교운영위원, 일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교육감 선출 방식과 역할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감 선출 방식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현행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교육감 선출 방식을 고수하되, 지금보다 참여인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둘째, 교육감 선거에서 응답자들의 후보자 선택기준은 정책 및 공약이었으며, 후보자에 대한 정보는 방송토론회나 선거공보, 인터넷보다는 주변 사람들을 통해 획득하고 있었는데, 이는 제한된 선거운동 기간과 방식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된다. 선거운동에 대한 지나친 규제는 오히려 선거운동의 과열을 초래하여 공정한 선거분위기를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셋째, 응답자들은 교육감 후보가 반드시 지녀야할 경력으로서 교육행정경력이나 개혁의지, 교육주체간 통합능력보다는 학생지도경력을 꼽았는데, 교사들의 경우 학생지도의 애로사항을 고려하여 교육감이 현장에서 학생지도의 애로사항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인물을 요구한 반면 일반 학부모들은 학생지도 경력보다는 교육감의 정책적 능력의 원천이 되는 교육연구경력과 교육행정경력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감의 피선거권 제한에 대해서는 과반수가 현재의 5년 이상으로 경력 제한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경력이 없어도 누구나 교육감에 출마 가능 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넷째, 현행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보통이라는 평가를 내렸으나 대체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더 많았다. 여기에 현지방교육자치의 선결과제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교실붕괴대책 마련과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보았다. 다섯째, 교육감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은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교육자치 확대를 통해 시⦁군⦁구 교육감에게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초등교사, 학교운영위원, 일반학부모들은 기초지방차지단체 단위의 교육자치 확대를 토한 권한 분산을 선호한 반면 중등교사들은 현행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육위원회의 견제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여섯째, 지방교육행정에 주민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선행할 조치에 대해서는 교육청의 교육행정을 자문하고 통제할 협의체를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고, 주민들의 교육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할 공식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과 교육감, 교육위원을 주민들의 직접투표로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수 제기되었다. 일곱째,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통합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통합찬성보다는 통합반대가 더 많았다. 통합에 찬성한다고 견해를 밝힌 응답자들은 향후 지방교육행정과 일반지방행정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서 일반지방자치와 통합하여 시⦁도청에 지방교육행정 전담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는 견해가 다수를 차지했고, 현 체제를 유지하되 해당지역 시장 혹은 도지사를 당연직 교육위원으로 두어야 한다는 견해도 상당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만약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교육자치가 실시된다면 교육감의 선출 방식은 어떻게 할 것인가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현행과 같이 학교운영위원회라는 선거인단을 구성하여 선출하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 개선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현행 학교운영위원의 인원 증가와 함께 대표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운영위원 선임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민주적 선거절차와 방식을 도입하여 학부모대표, 교사대표, 지역인사대표 등의 학교운영위원을 선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 제한된 선거운동 방식을 민주적 선거운동 방식으로 개선하여 유권자들이나 주민들이 후보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공개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후보자들에 관한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후보자 접촉 기회를 확대시키고, 소견발표회의 경우도 주간이 아니라 야간에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하며, 소견발표회도 현재와 같이 4회만 할 것이 아니라 지리적 접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횟수를 늘려야 한다. 셋째 : 교육감에 대한 견제권이 강화되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교육위원회의 집행부 견제권한이 강화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기능적 분할은 결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고, 시⦁군⦁구 기초단위 교육자치의 실시를 통해 지역적, 수직적으로 분할해야 한다. 그래야만 특히 인사행정과 관련된 불협화음을 최소화하고, 지역별 교육재정의 공평한 분배 등도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 교육청의 교육행정을 자문하고 통제할 협의체를 만들어 운영하거나 주민들의 교육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할 공식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사실상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통합논의가 결론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따라서 우선은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이 교육행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 시⦁도지사, 대통령 선거와 같이 입후보자는 모든 공직에서 사퇴하고, 특정한 후보가 자신의 현직으로 인해 선거운동 과정에서 특혜를 입는 일이 없도록 최소한 법적으로는 공정한 승부의 규칙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직을 사퇴해야만 선거 이후의 불협화음과 선거 후유증이 없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 地方自治制 하에서 住民參與의 活性化 方案에 대한 硏究

        김행중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50671

        5.16 이후 30여 년간 중단되었던 지방자치가 '91년 3월과 6월에 있었던 기초와 광역의회 의원 선거를 실시함으로써 제도적인 토대가 마련되었으며 '95년 상반기 중 자치단체장 선거가 예정됨에 따라 완전한 지방자치 시대의 도래를 눈앞에 두게 되었다. 지방자치의 기본적인 두 가지 측면인 단치자체와 주민자치 중 주민참여를 핵심으로 하는 주민자치는 민주주의 원리의 충실한 이행이라는 점에서 오늘 날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관존민비 사상과 군사정권의 권위주의적 행정문화 속에서 주민과 공무원의 주민참여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참여의 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그에 따른 제도 역시 실효성 있게 운영되지 못한 결과로 지방행정에 대한 주민참여가 제대로 뿌리내려 활성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주민들의 행정에 대한 적극적이고 실제적인 참여를 제도화하고 활성화하여 주민들이 공동으로 현안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역개발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방자치제 하에서 주민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알아봄과 동시에 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제인 주민참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주민참여는 행정적 참여를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국내외 문헌 및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하였고, 주민참여 실태 및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있어서도 각종 문헌과 행정자료를 참고 하였으나, 자료가 미약한 부분은 설문조사를 토대로 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주제인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하여 조사분석한 결과 주요 내용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지방행정을 공개형정 체제로 전환하고 주민과는 대화 행정을 정착시키며, 나아가 여론 행정을 확립하고 주민과 공무원의 의식을 개선함으로써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는 주민들이 반상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게 하며, 각종 위원회를 주민위주로 운영하여 내실화를 기하고, 나아가 민원제도를 주민 편의 위주로 개선하며, 그리고 공청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은 물론 지방의회 운영에 있어서도 각계 각층의 참여를 제도화 하는 등 각종의 주민참여 제도를 과감히 개선해 나가야 한다. 결론적으로 주민들의 참여 의식을 고취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 획기적인 제도개선과 주민계도를 실시해야 하며, 공직자들은 국제화, 지방화, 정보화 시대를 맞아 구태의연한 폐쇄적, 권위주의적, 소극적인 태도를 버리고 시대에 맞게끔 과감하게 의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명실공히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필수 불가결한 제도이며, 지방자치의 두가지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인 주민자치에 있어서는 주민참여가 필수 불가결한 기본 요소임을 깊이 인식하고 주민참여를 제도화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성공적인 지방자치행정을 구현하고 나아가 진정한 민주주의가 이 땅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 정책자금지원 영향 분석 : 전라남도 경영안정자금을 중심으로

        문성민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전라남도 중소기업육성자금 중, 경영안정자금의 지원현황과 지원실적을 바탕으로 경영자금지원이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경영안정자금을 지원받은 기업의 대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 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수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매개효과 및 Bootstrap Test로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남도 중소기업에 대한 경영안정자금 지원이 기업의 경영성과, 고용창출, 지속성장이라는 3가지 다른 변수와의 방향과 크기를 검증하고자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영안정자금 지원은 기업의 경영성과, 고용창출, 지속성장에 대하여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경영성과에 다른 변수인 고용창출, 지속성장에 대하여도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고용창출과 지속성장에 대하여는 상당히 높은 수치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영안정자금 지원, 경영성과, 고용창출, 지속성장의 구조적 관계를 직접효과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경영안정자금과 경영성과와의 영향관계는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안정자금과 고용창출과의 관계 또한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채택되었다. 다만, 경영안정자금과 지속성장과의 관계에서는 부(-)의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이 되었다. 나머지 경영성과와 고용창출과의 관계는 정(+), 경영성과와 지속성장과의 관계는 정(+), 마지막으로 고용창출과 지속성장과의 관계 또한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안정자금 지원과 기업의 지속성장과의 관계에서 경영성과와 고용창출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경영성과는 경영안정자금 지원과 고용창출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창출 또한 경영성과와 지속성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영안정자금과 경영성과, 고용창출을 경유한 지속성장과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영안정자금 지원은 기업의 지속성장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기업의 경영성과가 향상되고, 고용창출이 확대됨으로서 최종적으로 기업의 지속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영안정자금 지원에 따른 기업의 경영성과, 고용창출, 지속성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직·간접 효과를 동시에 검증함으로써 변인들 간의 관계의 포괄적 이해를 돕고, 이를 통하여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에 따른 기업의 지속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 지원기관의 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government’s policy fund support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alyzed whether the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had any impact on sustainable growth of SMEs (based on current status and actual result of providing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s a part of the Jeollanamdo SMEs Development Fund);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e review and the analysis. Representatives of businesses which received the Jeollanamdo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were surveyed, and total of 200 sets of answers were used as the final data for analysis.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nd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diated effect and Bootstrap Test were used to test for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o check the overall result of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major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was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 of Jeollanamdo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to management performance, job creation and sustainable growth. Provision of the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had positive correlations: regarding management performance, job creation and sustained growth; and regarding job creation and sustained growth (which are other variables of management performance). Also, regarding job creation and sustained growth, it had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Second, direct effects occurred between the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management performance, job creation and sustainable growth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nd management performance had positive direct eff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nd job creation also had positive direct effec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nd sustainable growth showed no negative direct effect, thus it was dismissed. Management performance and job creation had positive direct effect; management performance and sustainable growth had positive direct effect; and job creation and sustainable growth also had positive direct effect. Third,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provision of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nd sustainable growth of businesses, indirect effect toward management performance and job creation was verified. Management performance appeared to have the mediated effect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provision of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nd job creation; and job creation also appeared to have mediated effect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sustainable growth. Lastly, there was the double mediated effect that involves management performance and job cre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and sustainable growth. Thus, it was found that provision of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has no direct effect on sustainable growth of businesses, but ultimately affect sustainable growth of businesses by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jobs created. Conclusively, I was able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job creation and sustainable growth and direct/indirect effect at the same tim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policy fund support to SMEs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those enterprises. Also,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organizations that support SMEs could use this study as a research

      • 경영컨설팅 서비스 품질이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컨설팅 활용도를 매개로 하여

        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interest and expectation for social economy as a alternative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 caused by low-growth era market economy capitalism. The demand for social service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such as social polarization, family concept break-up, working poor increasing and so on. However, there is limitation to fulfill various demands only with market capitalism economy and government social welfare service. The rol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is desperately requested as a alternative of employment expansion in stable occupation offer in terms of social disparities and unemployment shown in labor market. Various policies for Korean social economy enterprise are contributing on short-term incubation and quantitative diffusion, however, the supports and policies securing sustainable enterprise operation basis is insufficient very much. Especially, the diversity of consulting program executed by local governments and civilian supporting organizations are very few excluding the businesses executed by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in the consulting area relevant to the enterprise operation after the start-up. Also,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management consulting is insufficient, so the analysis for direct influence of management consulting to social economy enterprise on sustainable growth and socioeconomic effect substantial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ecute effect analysis of management consulting to social economy enterpris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result analysis about management consulting and consider about the consulting service quality for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in this process. To execute this purpose, there was a survey targeting 250 representative,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in social economy enterprise which has domestic place of business preparing a questionnaire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used 206 copies of survey sheet excluding 44 copies with written error and unfaithful response for the analysis. Also, statistical analysis was execu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s program to verify the study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n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lting service quality and consulting utilization. Interaction quality, result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so on which are the process quality of consulting service quality are all analyzed as influencing meaningful effect on consulting utilization. Expertise, reliability and kindness of the consultant are selected in consulting interaction quality and result providing type, site application possible degree, completion report fidelity and action plan embodiment are selected in result quality. H/W furnishing, decent appearance of consultant and suitable facility and atmosphere are selected as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Secondly, consulting utilization as mediating effect of consulting utilization is analyzed influencing meaningful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ork reflection will of consulting utilization, long-term work reflection degree, actual work utilization degree and employee communication degree in consulting utilization are selected. Thirdly, the hypothesis that consulting service quality will influence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s dismissed. The interaction, result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so on which are consulting service quality factors is analyzed as only can influence on management when mediating consulting utilization.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the management consulting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based on above study result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existing studies comprehensively measures social and economical factors, howeve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mo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in the range measur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Secondly,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process quality for consulting execution process, however, this study measured consulting result quality together with consulting process quality in the measuring method of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quality. Especially, small turnover enterprise less than KRW 100 Million has high interest in management performance increasing mediating consulting service quality and utiliz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difference in enterprise turnover. Also, start-up enterprises established less than 3 years has high interest in management performance increasing mediating consulting service quality and utiliz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for the difference in enterprise history, so as a result, consulting process quality and utilization excluding consulting result quality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creasing. Thirdly, it is demonstrated that the management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the consulting service quality mediating the consulting utilization and it shows the consulting service quality and consulting utilization should be higher to increase the management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by the consulting. A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firstly,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cannot be applied on the measurement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management performance because the social economy enterprise can be included in the range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under comprehensive range, however, the purpose of enterprise operation is different with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and it has specialty pursuing social and economical purpose achievement. Also, the survey was executed unequally executed at partial area,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study result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whole social economy enterprise. Lastly, it is judg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can be higher if the performance is measured matching the consulting factors influenc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reflecting the special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There should be the research for these limitation in the future study. 저성장 시대의 자본주의 시장 경제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사회적경제에 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 가고 있다. 사회 양극화와 가족 개념의 해체, 근로 빈곤층 증가 등의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 자본주의의 경제와 정부의 사회복지 서비스만으로는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노동 시장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격차와 실업문제해결 측면에서도 안정적 일자리 제공의 고용증대 대안으로 사회적경제 기업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다양한 정책은 단기적 육성과 양적 확산에 기여하고 있으나 지속가능한 기업 운영의 기반 확보 차원의 지원과 정책들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창업 이후 기업경영과 관련한 컨설팅 영역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추진하는 사업을 제외하고는 지자체나 민간지원단체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컨설팅 프로그램의 다양성은 매우 적은 형편이다. 그리고 경영컨설팅의 효과가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도 미흡하므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경영컨설팅이 실질적인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된 경영컨설팅의 성과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경영 컨설팅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국내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사회적경제 기업 대표자 및 임원 그리고 직원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재오류 및 불성실응답 44부를 제외한 20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설팅 서비스품질과 컨설팅 활용도와의 관계이다. 컨설팅 서비스품질 중 과정품질인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물리적환경품질은 컨설팅 활용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설팅 상호작용품질에서는 컨설턴트의 전문성, 신뢰성, 친절도가 채택되었고, 결과품질에서는 결과물 제시형태, 현장적용 가능정도, 완료보고서 충실도, 실행방안의 구체성이 채택되었다. 물리적환경품질에서는 H/W 구비, 컨설턴트의 용모단정, 적합 시설 및 분위기가 채택되었다. 둘째, 컨설팅 활용도의 매개효과로 컨설팅 활용도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설팅 활용도의 업무반영의지, 장기적 업무반영정도, 실제 업무활용정도, 직원 의사소통 정도가 채택되었다. 셋째, 컨설팅 서비스품질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컨설팅 서비스품질 요인인 상호작용, 결과품질, 물리적환경품질 등은 컨설팅 활용도를 매개로 해서만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영 컨설팅에 대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범위적 부문에 있어 기존 연구들이 사회적, 경제적 요인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반면,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영성과 요인 중 재무적 성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둘째, 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 기존 연구들이 컨설팅 수행과정에 대한 과정품질에 치중하는 반면, 본 연구는 컨설팅 과정품질 이외에도 컨설팅 결과물에 대한 품질을 함께 측정 하였다. 특히, 기업 매출액에 대한 차이 분석의 결과 1억원 미만의 소매출 기업이 컨설팅 서비스품질과 활용도를 매개로 경영성과 향상에 높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업력에 대한 차이분석 측정결과 설립 된지 3년 미만의 초기 기업이 컨설팅 서비스품질과 활용도를 매개로 경영성과 향상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컨설팅 결과품질 이외에도 컨설팅 과정품질과 활용도도 경영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경영성과(재무적)성과는 컨설팅 서비스품질이 컨설팅 활용도를 매개로 영향을 받음을 실증하였고, 이는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경영(재무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컨설팅 서비스품질과 컨설팅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먼저, 포괄적인 범위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을 중소기업으로 포함 시킬 수 있으나, 기업운영에 따른 목적이 중소기업과 달리 사회적, 경제적 목적달성을 추구하는 특이점이 존재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요인을 그대로 적용하여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다음으로 일부 지역에 편중된 설문조사의 측정으로 연구 결과가 사회적경제 기업 전체의 특성을 반영했다고 보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 기업의 특이점을 반영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컨설팅 요인들을 사회적경제 기업의 특성에 맞추어 성과측정을 한다면, 연구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목포시 원도심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노경윤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심각한 수준으로 인식되고 있는 목포시 원도심 공동화실태와 목포시 원도심 활성화 정책을 분석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원도심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이론적 논의는 도시재생이론과 국내외 도심재생 사례를 분석하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실증연구를 위해 목포시 원도심에 관한 각종 통계자료와 목포시 현황 및 정책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조사와 시민 설문조사, 심층면접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2008년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7일 동안 목포시 전역에 거주하는 성인 373명을 대상으로 대면개별면접조사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또 다른 실증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조사가 활용되었는데 원도심에 거주하는 주민자치위원회와 상인조직의 리더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목포항 개항 이후 현재까지를 모두 포괄하지만 목포시에서 원도심 활성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게 된 2005년 이후가 주된 연구범위이다.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목포항과 목포역 주변의 상업지역과 배후 주거지역으로 하며 목원동, 만호동, 유달동, 죽교동, 대성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목포 원도심이 쇠퇴하게 된 데에는 도시의 확장과 신도심의 형성, 그에 따른 주거, 행정, 업무가능의 지속적인 이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도시기반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매력도의 저하도 쇠퇴의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목포 원도심은 도시가 선형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서서히 침체되다가 신도시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급격하게 침체되었다. 현재 원도심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빈곤층 증대, 상권 침체, 물리적 시설의 노후화 등 침체 수준이 심각한 수준에 있다. 이미 활력을 잃어버린 원도심은 신도심으로 인구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물리적 환경개선에 초점을 둔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원도심 활성화가 불가능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목포시 원도심은 도심재생 차원에서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종합적인 변화가 필요하고, 도심의 새로운 기능이 설정되어야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목포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주요한 정책목표로 삼고 다양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원도심을 전담하는 기구를 만들고, 원도시활성화지원조례를 제정하고 행정적,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목포시 정책에 주요한 문제점이 있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우선 목포시가 설정하는 원도심 권역이 지나치게 광역화되어 있다. 목포시는 하당신도시 지역을 제외하는 모든 곳을 원도심으로 설정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렇게 해서는 행정력과 재원의 분산투여로 사업의 효과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원도심활성화 정책의 비중이 주로 개발사업에 집중되어 있어 사회·문화적 측면이 왜소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행정기관 주도형의 원도심 활성화 정책은 지속성과 효과성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구나 원도심의 장래 주요 기능설정에 관한 분석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타당성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큰 사업들도 전문적인 판단과 의견수렴 절차 없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목포 원도심 실태와 목포시 원도심활성화 정책에 대한 분석과 설문조사,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도출되었다. 무엇보다도 목포시는 원도심 쇠퇴를 가져온 결정적인 계기가 도시의 외연적 확장과 신도시형성에 따른 인구이동에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추가적인 신도시 개발사업을 중단할 필요성이 있다. 추가적인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원도심 주거환경을 정비할 때 인구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노후화된 상가 건축물을 주상복합형 건축물로 탈바꿈시켜 상인들의 상권거주를 유도하고, 외부 인구유입을 유도할 필요성도 있다. 원도심지역은 목포의 정체성이 형성된 곳으로서 근대문화유산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유달산과 바다를 함께 아우르고 있다. 장래 원도심 기능설정에서 크게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들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목포시는 원도심 권역을 목포항과 목포역 주변의 상권과 거주지역으로 축소하고, 목포시의 역량을 집중 투여할 필요가 있다. 원도심 권역은 단지 축소만 할 것이 아니라 목포항, 목포역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지구단위 계획을 수립하여 특징 있는 재생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도심의 특성과 자원을 반영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을 할 때 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목포시의 정책 자문기구에 불과하고, 기능도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목포시원도심개발자문위원회는 더 이상 존치해야 할 근거가 빈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서 시급히 필요한 조직은 자문기구가 아니라 목포시와 각 분야의 전문가, 시민단체, 상인조직, 주민조직이 함께 참여하는 원도심재생을 위한 민·관협의체이다. 이 협의체는 원도심재생에 관한 계획을 심의하거나 효과성 있는 지구단위계획안을 수립하는 한편, 상인과 주민의 자구적인 노력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목포시는 주민의 자발적인 노력을 촉진하기 위해서 지원해야 한다. 주민이 전문가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자발적인 조사·연구와 주민과 목포시의 협력사업, 주민과 상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경영지원 사업이 지원대상이 될 것이다. 원도심 상인들도 실증분석에 나타난 시민들의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한 자발적 노력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 주민의 자발적인 의지가 높아지고, 주민 역량이 커질 때 민·관 협력형 원도심재생사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실증분석을 통해 젊은 층이 목포역 주변 원도심 상권의 새로운 소비층이 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활성화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목포항 상업시설들을 현대화하고,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상업활동을 장려하여 연령층에 관계없거나 장년층의 소비계층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원도심 상권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가로환경이 개선되어야 하고, 문화공간과 휴식공간이 확충되어야 한다. 특징 있는 동선으로 개별적인 상가들을 연계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특화거리는 특성이 분명하고 집적 효과가 분명한 곳만을 대상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보행전용구역을 확대하여 보행량을 늘리는 것도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업이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적극 고려한 보행환경개선도 중요한 정책수단으로서 강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도심재생사업의 개념을 반영한 종합적인 재생사업 추진, 추가적인 신도시개발 중단과 원도심 주거환경 개선사업 추진, 주민의 자발적인 의지와 역량강화를 전제로 하는 민·관협력형 사업 추진, 지구단위계획과 보행환경계획 등 특징 있는 공간계획에 근거한 사업 추진 등에 의해서 원도심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original town center of Mokpo City and its revitalization policies by the city government and to suggest some regeneration plans for the original town center. For those purposes, both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theory of city regeneration and cases home and abroad. The empirical study involved a survey among the citizens of Mokpo and the leaders of the citizen autonomy committees and merchants' organizations. The main spatial scope of the study spans the Mokpo Harbor, the commercial zone around the Mokpo Station, and the residential area in the back. To be specific, the scope includes Mokwon-dong, Manho-dong, Yudal-dong, Jukgyo-dong, and Daeseong-dong. The study was based on a recognition that the revitalization of the original town center would be impossible with the conventional approache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that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 changes in the level of city regeneration. The decline of Mokpo's original town center seems to be attributed to several causes including the city's expansion, the formation of a new town center, the constant transference of residential, administrative, and office function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urban infrastructur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policies for the city's original town center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zone of the original town center was set so wide by the city government that they couldn't concentrate their capabilities on it and tended to neglect it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e revitalization policies for the original town center led by the administrative agencies turned out to restrict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re was no analysis of its major functions in future. And even large-scale projects that raised huge controversy over validity were launched without soliciting objective reviews from experts or collecting opinions. The investigator suggested the following revitalization plans for Mokpo's original town center based on the findings : Considering that the biggest causes of the original town center's decline were the city's external expansion and population movement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a new town, the city government should halt additional projects of developing new towns and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original town center. When setting new functions for the original town center, the city government should take into serious consideration that it has a high concentration of modern times cultural heritage that formed the city's identity and is adjacent to Mt. Yudal and the sea. It also needs to reduce the zone of the original town center to the retail districts and residential areas around the Mokpo Harbor and Station, set up several district unit plans for the zone, and carry out a distinctive regeneration project. District unit plans are essential to changing the spatial structure into a rational one. Also needed to revitalize the original town center is a governance system for its regeneration comprised of the city's civil servants, experts from various fields, civil groups, merchants' organizations, and residential committees. The system's roles will include reviewing a range of plans regarding its regeneration and facilitating the voluntary efforts of the merchants and inhabitants in the original town center. In an effort to promote the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the city government needs to develop partnership projects between merchants' and residents' organizations and the city and provide support to education for the citizens and business management. Given that the young population has become the major consumer group of the retail districts of the original town center around the Mokpo Station, they also should set up proper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the retail districts. It's also necessary to modernize the commercial facilities around the Mokpo Harbor, encourage commercial activities us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 and help to absorb the middle-aged consumer group or all the age groups. The city government needs to improve the streetscape and increase cultural and resting space, as well. It's also an important task to link individual retailers each other through a distinctive traffic line. A specified street should be appointed to a place that has clear characteristics and apparent gathering effects. Prolonging walking time by expanding the pedestrian-only sections will also be conduciv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tail districts. And the walking environment of the original town center should be enhanced considerably considering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 종합적 품질경영(TQM)의 효과적인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 조선업을 중심으로

        송영종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30여년 동안 한국은 산업전반에 걸쳐 “품질경영”을 실시했다. 그러나 기본적인 개념없이 단순히 일본의 시스템과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에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리고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직면한 한국은 현장 중심적인 활동에 역점을 두는 품질관리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이 논문에서, 한국에서의 산업환경과 관련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적인 품질경영을 형성하는 새로운 접근법(전략)이 제시되었다. 먼저 우리는 경영 환경상의 변동요인을 이해하고 이러한 변동에 대한 품질경영 시스템을 만든다. 품질관리 개발 공정뿐만 아니라 일부학자(편집자 주)가 제안한 전략들도 연구되었다. 이 연구에서 한국 산업의 새로운 품질관리 전략의 취약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한국 산업 전반에 도입된 몇 가지 제안과 성공적인 전략도 소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