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책창업대학원의 교육 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선택확신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진학동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홍종득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책창업대학원의 교육 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선택확신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진학동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평생직장 개념으로 별 걱정 없이 생활하던 근로자가 정리해고 등의 이유로 전혀 경험이나 전문성없이 무작정 서비스업종 창업에 나서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청년층도 취업의 어려움을 심각하게 겪고 있어 창업을 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이들 창업자들의 실패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인 성공을 증진하기위해서 상당수 대학에 창업전공 학위과정이 개설되었고,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확산될것으로 예상된다. 창업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시간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창업교육 커리큘럼들이 필요충분한 정도의 내용을 담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질적으로 모두 훌륭한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대학들이 창업관련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와 제공자인 학교 및 학과 등의 여건을 충분히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될 지침의 제시가 필요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전문가 양성과 기업가정신 확산을 위해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확보한 신규 (예비) 창업자에게 창업에 필요한 정보와 실무적인 지식 등 현장중심의 창업교육을 실시하고자 1차로 2004년에 전국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수도권(호서대, 중앙대), 영남권(경남과기대), 호남권(예원예술대), 충청권(한밭대) 등 전국 5개 대학을 지정하여 최초의 국책창업대학원 5곳이 탄생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차로 2014년에 새로이 전국 5개 대학을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2017년 현재 10개 대학에 창업학 석사과정이상의 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새로이 지정된 국민대, 계명대, 부산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 5개를 포함하여 10개 국책창업대학원의 현황을 소개하고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창업대학원의 우선 과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진로선택확신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서비스품질에서는 유형성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신뢰성, 확신성, 응답공감성의 순으로 나왔다. 교육만족도에서는 수업운영, 졸업 및 진로, 교육과정, 교육여건의 순으로 나왔다. 교육만족도에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왔으나 교육과정이나 여건 등 기술적, 물리적 측면에서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진로선택확신에서는 평균 3.66으로 ‘보통이다’와 ‘그렇다’의 중간정도로 나왔고, 그에 앞서 창업대학원 진학동기에서는 내적동기는 평균 4.01, 외적동기는 평균 3.66으로 내적동기가 외적동기보다 높게 나왔다. 둘째, 교육 서비스품질이 상승하면 창업대학원 학생들이 진로선택확신이 직접적으로 상승하기도 하지만 교육만족도를 상승시켜 진로선택확신을 상승시키기도 한다.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교육만족도가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의 순으로 나왔다. 셋째, 교육 서비스품질이 상승하면 교육만족도를 경유하여 진로선택확신을 유의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총효과 중 교육만족도를 경유한 간접효과의 비중이 66.47%로 매우 높게 나와 교육만족도가 창업대학원 진학 학생들의 진로선택확신에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내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내적동기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다섯째, 외적 진학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외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력이 외적동기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핵심주제어 : 창업대학원, 교육 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학동기, 진로선택확신

      • 창업보육센터 내 멘토링 기능과 창업기업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 신뢰, 공정성의 간접효과 검증

        김기홍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창업은 경제에 활력을 부여하고, 일자리 창출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선·후진국 모두 창업 촉진을 위한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청년창업사관학교 외 전국 260여 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운영 중이며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중에서 창업자가 손꼽는 중요한 정책은 창업 및 성장자금 지원(32.8%), 창업 및 실무 교육지원(21.2%), 창업 인프라 지원(14.8%), 네트워킹 및 멘토링(8.7%)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는데(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2017∼2018) 창업기업 대부분은 자신의 사업 아이템이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아 기업의 본 모습을 온전히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스로 해야 할 일과 책임은 크나 이에 상응하는 매출이나 수익이 크지 않으니 정부나 기관의 지원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멘토링을 중요한 지원정책으로 꼽는 것은 실제 기업경영에 도사리고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를 창업기업 스스로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해법으로 멘토의 사전경험, 노하우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행연구 또한 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있어도 그 성공률이 매우 낮은 것은(최종인, 황보윤, 2012) 단지 지원정책이나 교육만으로는 성공적인 창업을 견인하기 어렵고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가진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멘토링이 창업교육을 보완하기에 창업기업의 성장이나 창업기업의 성공을 견인하는 요소로써 멘토링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대부분으로 사회복지, 외식업, 비서, R&D, 보안조직, 군대, 무용, 조리 분야 등 다양한 영역의 연구에서와같이 멘토링을 통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다양한 영역의 선행연구(김선구, 2011; 모미현, 2011 외)에서 밝히고 있는 바를 근거로 창업기업에서의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및 멘토 신뢰와 공정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내에서 시행하는 멘토링에 대한 이해가 있고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238부의 설문을 표본으로 SPSS 18과 AMOS 18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기술통계 그리고 경로분석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기능은 조직몰입,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 관계에 있어서 멘토에 대한 멘티의 신뢰는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정성지각이 높을수록 멘토링기능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멘토링기능과 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이만기, 2007)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보육센터의 멘토링기능은 창업기업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멘토링기능과 조직몰입에 있어 신뢰를 통해 조직몰입을 견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창업보육센터 내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함으로 멘토는 열정과 에너지를 가지고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로 임해야 하고 창업기업 종사자들 또한 의미 있는 멘토링을 위해서 멘토링 구성 전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concentrating their policy capability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s for its critical role on invigorating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South Korea also runs more than 260 research centers for business start-up including Youth Start-up Academy,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KOSME, Korea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Startups Agenc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KoEF) in 2017∼2018, some of the crucial policies that start-up entrepreneurs wanted the most among the various support programs of the research center are financial support for initiation and growth of the business (32.8%), educational support for start-up and business practices (21.2%), start-up related infrastructural support (14.8%), mentoring and networking (8.7%), etc. in rank. The reason why the financial support ranked the highest is that most of start-ups’ business items are not only impalpable enough to set up the image of company itself but also on inchoate idea level. Having a myriad of responsibilities and duties to figure out themselves, start-ups rely on government or organization subvention because their sales and profits aren’t big enough to catch up their burdens. Mentoring’s significance is important because it’s difficult for start-ups to forecast a variety of risk factors surrounding actual company managemen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t was found that mentor’s previous experience and risk-control ability were to be utilized. Previous study(Choe jong in, Hwang bo yun, 2012) also said that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is low in spite of various supporting programs such as policies or start-up education and that mentoring with specialty and network in the field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company. Most of the cases are studies that mentoring is a leading factor of start-up’s growth and success as it makes up for the start-up education. Nevertheless, cases studying abou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account of mentoring in many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restaurant business, personal assistance, R&D, security organization, army, dancing, culinary are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trust in mentors and imparti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mentoring on start-up compan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ssertions of previous studies on other various fields.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 and AMOS 18 with a sample of 238 surveys by those who are older than 19 nationwide and have understandings of mentoring conducted by the start-up research center. Results were describ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path analysis. Research has shown that mentoring functions significantly pred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at mentee's trust of mentors in the relationship has no mediating effect with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same idea as a prior study (Lee man ki, 2007), the higher the fairness perception, the more positive the mentoring function is, was also shown on this study and verifi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mentoring function with fair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function of the start-up research center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tart-up entrepreneurs. 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way to elici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rust in not only the mentoring function but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inside the start-up research center, mentors should stay positive and bring up passion for their mentees. Start-up workers, in the same vein, also suggest that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overall mentoring composition is required for meaningful mentoring.

      •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지원 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문화예술 분야의 1인창업을 중심으로

        김연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지원 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의 1인 창업기업중 창업지원 제도를 받은 30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사고의 하위변수인 공감, 통합적사고, 낙관주의, 실험주의 그리고 협업과 창업가정신의 하위변수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그리고 문화예술 분야의 창업지원 제도의 하위변수인 자금지원제도, 교육 및 컨설팅 지원제도, 창작지원제도가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은 창업가정신의 진취성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창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과 혁신성 또한 비 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특성중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실험주의 요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낙관주의와 공감 능력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창업지원 제도는 자금지원 제도, 교육 및 컨설팅 제도, 창작지원 제도 모두 문화예술 1인 창업기업의 비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아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임은정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to prevent the fact that many companies go out of business due to business failure every year from expanding to a social problem beyond personal problems, and to help entrepreneurs who fail to start again.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willingness of failed entrepreneurs to re-start, but it is important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fter experiencing failure and the capabilities of failed entrepreneurs, who are the main agents of re-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entrepreneurs who failed to start a busines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go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re-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re-entrepreneurship intention, self-leadership,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re-entrepreneurship.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s was analyzed, and self-leadership,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ed the moderated effects of the re-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ego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e-entrepreneurship. Third,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re-entrepreneurship, an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go-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trepreneurs who have experienced failure have a higher ego-resilience than self-leadership, a higher willingness to re-start, and that entrepreneurship-enhancing education and expansion of the re-startup support system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본 연구는 매년 많은 기업들이 사업 실패로 인한 폐업을 하는 것이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예방하고 창업실패기업인들의 재창업 의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창업실패기업인들의 재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은 많이 있겠지만 재창업의 주체인 창업실패기업인들의 역량과 실패 경험후 여러 가지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하여, 본 연구는 창업실패기업인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및 자아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정신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 및 자아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이 재창업의지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셀프리더십및 자아탄력성과 외상후성장이 재창업지원제도의 조절된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아탄력성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기업가정신은 재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재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과 기업가정신간에 재창업지원제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볼 때 실패를 경험한 창업가들은 셀프리더십보다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재창업의지가 높아지고 여기에 기업가정신을 높이는 교육과 재창업지원제도의 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게 해준다.

      • 대학의 창업강좌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효과 : 강사의 특성과 창업효능감을 중심으로

        박현조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Recent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has been rapidly growing, du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not only government ministries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due to the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s and universities as well. In particular, as part of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development project in 2012,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ere established in 61 universities around Korea, and the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also has been rapidly increasing. Following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any research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isting research have mostly focused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ch as to mentally challenge, achievement nee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locus of control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owever, these variables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psychological measurement tools or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institutions oper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use and for developing programs.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influence the two particular fac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ructor characteristics (focused on expertise) and education content, has on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urthermore,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measurements for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However, start-up efficacy has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entrepreneurship success and entrepreneurship activity. Thus, this research sel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the main variab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utcome,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assistance in desig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t institutions that ope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gard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re have been research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elf-leadership, progressive spirit, autonomy, risk sensitivity, etc.) who are the consumers (Kang Jae-hak, 2015; Kim Su-hyeon and Yu Bong-ho, 2013). Other research have focused on the components (content of education, method of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 etc.)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e Seong-heon and Lee Kang-il, 2008; Lee Hong-ju, 2014; Ma Jong-sik, 2013; Cho Eun-ju, 2014).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 and content of educat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research seek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 performa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tart-up efficacy. Education performance indicates the results of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education experience at the dimensions of the individual and the system. It focuses on the results rather tha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usually signifies positive results (Ysseldykey, 1998). This research seek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measuring education performance through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in doing so, it seeks to examine the types of influence education performance has on start-up efficacy. The second variab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ntrepreneurship intention. In order to vitalize entrepreneurship, individuals must decide to start new businesses,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the individual’s entrepreneurship decision making and a precedence factor of action (Yoon Bang-seop, 2004; Krueger, 1993). In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the individual’s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re are many that have analyze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progressive spirit, locus of control,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uch research conclude that these factors do influe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Miller, 1993; Lee Jae-seok, 2015). As the main variable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has been frequently used, but there has also been an increasing interest recently in ‘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the probability of entrepreneurship success. Consequently, this research also seek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add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dicates the individual’s confidence in his or her degree of entrepreneurship ability—in other words, the self-efficacy of the individual. ,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can be expressed as self-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It has to do with the individual’s confidence that they can do well as an entrepreneur. There has been research outcome that designate start-up efficacy as the factor that mos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ship intention (Yoon Bang-seop, 2004; Jeong Dae-yong and Chae Yeon-hui, 2016). In a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apabilities of Chinese youth entrepreneurs on entrepreneurial success, Zhao Jingjing (2016) has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and to strengthen it in order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has used a sample of 427 university students taking an entrepreneurship course at University Y.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413 valid survey results among the total of 427 questionnaires. The basic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are as follows: in gender ratio, the percentages of males and females were similar (58.2% and 40.9% respectively), and most of the students were seniors at the university (47.4%). Majors of the students were evenly distributed, and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have much exposure to entrepreneurship competitions 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Characteristic of instructor and content of educ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education performance and the intentions for entrepreneurship of the studen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at these factors have on start-up efficacy, a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 of instru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 performance at .202 (p< .01), but i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p> .1). This means that the instructor’s possession of entrepreneurship qualification or more specializ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 performance. On the other side, the content of education had positive influences on both education performance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t .726 (p< .01) and .982 (p< .01) respectively. From this, it can be deduced that content of education had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both education performance and education intention. However, the factor that influenced start-up efficacy was education performance more than intention for entrepreneurship (p> .1). The effect size was .686 (p< .01). In examining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operat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 and the systematic and internally stable composition of the content of education. In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in universities around Korea, as part of the LINC project and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economy vitalization policy. Along with this, the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has exponentially grown. There was a shortage of entrepreneurship instructors, and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demand for training exper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designated graduate schools of entrepreneurship in an effort to train exper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sequently, graduate schools of entrepreneurship with the objective of trai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ts and develop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must contribute not only to training experts but also in establish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active research on the content of education. Furthermor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that design and ope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must thoroughly review not only the background of instructors such as their characteristics but also whether the course content has been appropriately designed to meet the educational objective.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instructor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 education performa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start-up efficacy. The research sample was students in entrepreneurship courses during the 2016 spring semester in University Y located in Gangwon Province. However, since the research sample is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in one university,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outcomes. For future research, surveys need to be conducted at universities around Korea with courses in entrepreneurship, to compare if results are similar. Such future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meaningful information in the oper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우리나라 창업교육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인해 정부 각 부처 및 산하기관 뿐 아니라 창업관련 민간기관과 대학 등에서 창업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청년 창업을 장려하고 있는 정부정책에 의해 대학 내에 창업교육센터가 설치되고 아울러 창업강좌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창업교육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도 많아졌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창업교육 중 창업강좌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효과를 강사의 특성, 교육내용, 교육성과, 창업효능감, 창업의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는 창업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 수강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7개 과목, 413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서비스의 요소 중 강사의 특성은 교육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의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교육내용은 교육성과와 창업의지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내용이 좋을수록 창업의지가 증가한다는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창업의지의 선행요인으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창업효능감은 교육성과로부터 정(+)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창업의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창업강사의 전문성 등의 강사특성도 중요하지만 교육내용을 체계적이고 내실있게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13년, 2014년, 2015년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들 중심으로

        유정헌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b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y focused on the start-up with relatively low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IDP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in 2013, a design accounted for 27.53%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ales of products and a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ales of products for the small sized company in terms of the scale of company. In addition, looking at the trend by industry in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technology-based industry showed a relatively higher growth rate than the retail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In this study, the author surveyed 274 companies of the companies tha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esign in difficult management conditions and received excellent design product certificate from KIDP(2013, 2014 and 2015) and empirically verifie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the start-ups with a business history of less than 7 years and the ongoing firms with a business history of more than 7 years. To evaluate the value of design, we used analytical method of measuring related values by comparison between groups. In addition, we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sales) between manufacturing companies, where the role of design was relatively large, and non-manufacturing companies among companies that received the excellent design product certificate. We have established a study hypothesis that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by KIDP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sales) of the start-up compared to the ongoing firm,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comparing both the year before and the year after the selected year.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by KID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start-up, and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hope that the government actively supports the design-related policies so that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become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start-up, and thus the design management will be a wa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art-up.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KIDP 경영개발 보고서(2008)에서는 해외 사례로 런던증권거래소의 상장기업 중 디자인을 핵심 경영 수단으로 하는 기업의 경우와 그렇지 않은 기업을 10년간 비교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 측면에서 디자인경영 기업이 2.5배의 자본가치 상승이 보고되었다고 한다. 이제 디자인은 선택이 아닌 경영의 필수적인 분야가 되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선진 대기업의 경우에는 디자인 경영에 따른 기업 경쟁력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고 있으나, 중소기업 및 창업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274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한편, 디자인에 대한 가치 평가를 위해 집단 간 비교로 상대적 가치를 측정하는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 차이에서도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견인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도록 정부에서는 디자인과 관련된 정책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디자인경영이 창업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이 되었으면 하는 의미로 연구하였다.

      • 정부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기업 주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지원사업 수혜 기업 중심으로

        김정임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대한민국은 글로벌 위기에 따른 불확실성, 저성장으로 인한 경기 부진으로 취업시장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취업시장’ 대신 ‘창업시장’으로 뛰어들고 있다. 그래서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제시하여 강조하였고, 여러 부처에서 다양한 창업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정부는 총 1조 1,180억원 규모(’19년)로 역대 최대 예산을 창업지원사업에 배정하여 ‘창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기업 주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지원사업 수혜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부 지원을 받기 전과 받은 후의 주요 성과 지표를(매출액, 일자리 창출) 비교 분석하여 ‘창업지원사업’의 성과를 진단하고, 추후 지원사업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업자금지원과 관련한 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기업의 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창업을 성공하기 위한 요인 중 하나로 분석이 되었다. 그래서 지원사업을 받았던 창업기업의 성과를 분석하여, 지원사업이 창업기업의 주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부의 창업지원을(’13~’18)받았던 창업맞춤형 사업화 지원사업,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세대융합창업캠퍼스 지원사업 수혜기업(157개)의 매출과 일자리 창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성과 데이터의 통계가 정규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 통계 프로그램으로 ‘독립 표본 T검정’ 과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법(Wilcoxon signed rank test)’ 비모수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하였다. 정부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기업의 매출과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출 성과와 일자리 창출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사업별로 다르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매출과 일자리 창출 부분이 정부 지원을 받기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157개라는 일부 표본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그래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표본 수가 다소 부족하였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표본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던 창업맞춤형 사업화 지원사업을 제외한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세대융합창업캠퍼스 지원사업은 통계상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는 평균 통계치에서 크게 벗어나, 다른 통계치들과 확연하게 구분이 되는 ‘아웃라이어 표본’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한계점은 추후 더 많은 지원사업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부분만 보완이 된다면 본 연구보다 더 신뢰성이 높은 연구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핵심주제어 : 창업지원사업, 주요성과, 매출액, 일자리 창출, 창업기업, 주관기관, 독립표본 T검정,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 개인 가치와 친환경적 행동이 친환경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웅범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개인 가치와 친환경적 행동이 친환경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다양한 세대의 일반인들의 개인 가치가 친환경적 행동을 매개변수로 친환경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업 및 환경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포함한 불특정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6.0, AMOS 22.0, R기반의 웹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심리분야의 VBN이론에 사용되었던 변인을 인용하여, 개인 가치 중 생태주의적 가치, 이기주의적 가치, 이타주의적 가치와 친환경적 행동으로서의 변인을 인용하여 사용하였으며, 환경에 관심이 있거나 그렇지 않은 일반인의 개인 가치가 친환경적 행동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을 포함한 일반인들의 이러한 개인 가치가 친환경 창업의지와의 관계 및 효과를 규명하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상관분석, 영향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로분석에서 개인 가치의 독립 변수인 생태주의적 가치, 이기주의적 가치, 이타주의적 가치는 종속변수인 친환경 창업의지와 매개변수인 친환경적 행동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생태주의적 가치, 이기주의적 가치는 친환경적 행동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이타주의적 가치는 유의하지 않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 이기주의적 가치는 친환경 창업의지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태주의적 가치는 친환경 창업의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타주의적 가치는 친환경 창업의지에 유의하지 않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매개 변인 친환경적 행동과 종속 변인 친환경 창업의지와의 구조방정식을 확인한 결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일반인들은 개인의 가치 즉, 생태주의적 가치, 이기주의적 가치, 이타주의적 가치에 의해서 친환경적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보아, 기후변화 위기나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이러한 친환경적 행동을 하게 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겠으며, 이와 더불어 친환경적 행동은 환경에 관심이 있고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친환경 창업의지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생태주의적 가치 및 이타주의적 가치 관점에서 보면, 기업활동이나 창업 자체가 환경에 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위험성, 그리고, 현재 지구의 환경의 상황은 더욱 진지하게 일반인들에게 인지시킨다면 친환경분야 창업을 더 증진시킬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고, 이를 계기로, 지구환경을 다시 자연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기업가정신과 그릿이 사회적기업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원을 매개효과로

        김태진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경제 발전이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 환경오염, 실업률 증가 등의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도 점차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는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신기업가정신’ 선포를 통해 기존의 ‘기업가정신’에 사회적 가치 제고를 포함하면서 창업 분야에서도 사회적 경제를 중심으로 지원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가정신과 함께 심리적 특성 중 그릿(Grit)이 사회적기업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사회적기업가 정신, 개인적 심리 요인인 그릿, 창업지원이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창업지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기업가정신과 그릿(Grit), 매개변수인 창업지원, 종속변수인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대해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 일반창업자, 벤처 기업가들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결과자료를 토대로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은 sub-요인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사회적 목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므로 통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인적 심리 특성인 그릿(Grit)은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하위개념인 ‘일관된 관심’과 ‘끈질긴 노력’으로 sub-요인별로 분석하였다. 매개변수인 창업지원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육지원’과 ‘자금지원’ sub-요인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인 창업지원과의 상관관계에서도 정(+)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릿(Grit)은 부분적으로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직접적인 음/양의 기울기와 함께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고, 매개변수와의 결과 역시 부분적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사회적기업가정신이 높은 사람이 창업지원을 매개효과로 하였을 때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가 높아지고, 사람의 심리적 특성 중 그릿(Grit)은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직접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그릿(Grit)의 각 sub-요인들은 창업지원의 sub-요인인 ‘교육지원’과 ‘자금지원’ 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창업지원은 일반 기업과는 다른 방향을 제시해야 하므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적기업 창업을 위한 지원정책 개발 시 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분야별 교육/자금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그릿(Grit)을 통해 창업지원의 매개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기업가 정신의 틀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사회적기업가정신, 그릿(Grit), 일관된 관심, 끈질긴 노력, 창업지원, 교육지원, 자금지원, 창업 의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