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감훈련에 기반 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공감능력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한국심리협회 2014 심리행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공감훈련에 기반 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을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 하여 공감능력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부산광역시 S 종합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1주일간의 홍보를 하였다. 그 중 11명이 지 원하였고 대상자 구성을 위하여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하여 의사나 전문가에게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2, 3등급 8명의 아동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아동 4명은 실험집단에, 4명은 통제집 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2회 60분씩 총 16회기의 공감훈련에 기반 한 통합예술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 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공감능력, 사회성발달, KHTP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였고,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사 전,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집단간의 각 검사들의 평균득점이 차이가 있 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기법인 Wilcoxon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감훈련에 기반 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공감능력과 사회성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공감훈련에 기반 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공감능력과 사회성발 달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증명할 수 있으며, 공 감능력과 사회성발달의 향상을 통해 지적장애아동들이 건강하고 안정적인 상호작용을 유 지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search is to verify influence of empathy ability and social development that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empathy training has effect on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To confirm this purpose, this research promot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o children who used a 'S' general Social Services Center in Busan for a week. Among these children, 11 children participat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empathy training. and the research selected 8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grade 2 and 3 intellectual disability by doctors and experts based Disabled Persons Welfare Act (DWA) to make subjects. The selected children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of 4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4.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16 times and 60 minutes per each time, the control group didn’t.Instruments for measuring o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program are empathic ability test, the sociality development inventory. Using SPSS 20.0 program, we obtained a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rom per group, and Wilcoxon verification based on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as conducted to find a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average scours per groups. Following outcomes could result from these processe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empathy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mpathy abilit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empathy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is that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empathy training is meaningful effect on the empathy ability and social development for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Thus, Through empathy abi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are helpful to maintain healthy and stable interaction. Thus, the program could use effective instrument which improves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The research suggests that future study need to maintain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through after program and test for empathy training.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사회성 프로그램이 사회성과 관계형성에 미치는 효과

        정찬교(Chan-Kkyo Jeong),신현경(Hyun-Kyong Shin),이봉현(Bong-Hyun Lee)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2 운동재활·복지 Vol.3 No.2

        이 연구는 지역 주간보호센터에서 제공하는 사회성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성과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간보호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 성인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12개월 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후 연구자는 각 참여자의 사회성(과제수행태도, 잡단활동 참여정도, 전반적인 참여태도, 이탈횟수)과 관계형성(이용자 간 관계형성 여부, 지원자와의 관계형성 여부, 즐거움, 분노, 눈물, 두려움, 우울, 표정없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비모수 통계기법인 Wilcoxon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성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부요인들에서는 긍정적인 검사값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적인 관계형성 변인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하부요인들 중 이용자 간 관계형성과 지원자와 관계형성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발달장애 성인들을 위한 장기간의 사회성 프로그램은 그들의 사회성 요인과 관계형성 요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간의 사회성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성인의 환경적응력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다양한 사회성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하여 효과성 검증을 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성인의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sociality and relationship forming. Five intellectual and one autistic adults participated in 12-month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The program was began from November 2021 to October 2022, and every Monday to Friday nine am to six pm except national holidays and short term breaks. Pre and post the program, the researcher check the list which consists of 12 questions on participants' sociality and relationship forming. After the data collected, the Wilcoxon test was applied to see the effects of th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verall sociality was statistically increased. however, the mean in each questions of social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form variable questions, the mean of between participants was 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difference of mean of the other questions'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could affect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ity and relationship forming. Long-term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could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tellectual and autistic disabilities, and also it could help their symptoms's getting worse.

      • 제 2 주제 : 영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평가도구 및 중재프로그램 결과를 중심으로

        이상희,박애스더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8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06

        본 연구는 일반 영아에 비해 사회성 발달이 어려운 장애·장애위험·발달지체 영아 및 다문화 영 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20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 제별로 상호작용 연구와 그 외 사회․정서, 사회성, 애착, 공동주의 연구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 다. 평가도구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가도구는 첫째, 상호작용 연구는 모-아 상호작용의 경우, 한국판 어머니 행동 평가 척도(K-MBRS)와 한국판 아동 행동 평가 척도(K-CBRS)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사회·정서, 사회성, 애착, 공동주의 연구 의 경우, 애착 Q-set,「DEP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두 주제의 연구 중 평 가도구의 신뢰도·타당도를 제시한 연구는 소수였다.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연구 결과, 첫째, 분석 대 상 연구의 프로그램은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연구 13편 중 프로그램 타당도는 6편, 중재충실도는 4편이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정서, 사회성, 애착, 공동주의 연구 7편 중 프로그램 타당도와 중재충실도는 1편의 연구만 제시하여 전반적으로 프 로그램 타당도와 중재충실도를 제시한 연구는 소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아의 사회 성 발달 프로그램 연구 시 평가도구와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고려해야할 점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정윤(Kwon Jeong-Yoon),정미라(Chung Mi-Ra),홍소영(Hong So-Young),박수경(Park Su-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 2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석,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81편을 대상으로 가중 평균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을 신장하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조절변인은 출판, 실험설계, 검사구인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significant moderate variables in the effects by meta-analysis. A total of 81 study resul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in journal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from the year of 2000 to 2010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weighted mean effect size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were .97. It means that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had a great effect fo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ariables of publication, design, and instrument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The study discussed the main issues of the study results in terms of the method of meta-analysis and conclud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 generalization.

      • KCI등재후보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관수(Kwan-Su An),백현기(Hyeon-Gi Baek)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홀리스틱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배경 변인(성별, 학년)으로 인성교육을 독립변인으로, 사회성(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책임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준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자기존중의식,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협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음공부 프로그램 참여한 학생의 인성교육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효도⋅ 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자기존중의식이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자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책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Mind Training Program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a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nd school year),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kills (respect for law, collaboration, sociability, independency, and responsibility) as dependent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250 students in three Won-Buddhist alternative high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6.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filial piety/ respect for elders under the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variable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respect for law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skill development. Second,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self-esteem, and filial piety/ 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collaboration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Third,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filial piety/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social skills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Fourth,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self-esteem influenced significantly independency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Fifth,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and filial piety/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a sense of responsibility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verified that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Mind Training Program has more beneficial effect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compared to general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 사회성 발달의 매개효과

        김화룡,이도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1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do gym training program on social development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Judo participants by studying what effects of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 on social development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done through 300 copies and excluding 15 copies ran an analysis on the remaining 285(90%) copies. After question investigating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IBM SPSS statistics 21 and IBM AMOS 21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mediation effect analysis by Sobel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do gym training program showed (+) effects on social development.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do gym training program had no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ird, social development showed (+)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Forth, social development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do gym training program and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성 발달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도체육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유도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5부(95%)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 발달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 발달은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초등학생에게 신체단련과 예의범절을 동시에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도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도체육관 관장들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심성을 키울 수 있는 수련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도의 수련층 확대를 통한 유도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유아발레프로그램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장선미 영남춤학회 2016 영남춤학회誌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llet education program in childhood through the experience of art where children can cognize physical ability and to provide the various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 by analysis for the influence on their self expression under this program helping them express themselves. To achieve this, we allot following subject. Firstly,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 expression in cont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ly,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 expression by voi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ly, is there any difference in physical self express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use SPSS statistics 21k for windows for analysis of the data from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B city, and the evaluation show following result. Firstly, the difference in self expression in cont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difference in self expression by voi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the difference in physical self express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tatisticall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equently, a ballet education in childhood promotes physical development, sociability develop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In addition, the creative ballet education program is indicated as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 자신의 신체를 인식하고,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지는 유아발레프로그램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유아발레교육 현장에서 보다 다양하고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유아발레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내용적 자기표현 차이는 있는가? 둘째,유아발레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음성적 자기표현 차이는 있는가? 셋째,유아발레프로그램 참여에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신체적 자기표현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는 B광역시에 소재한 L백화점 문화센터와 Y어린이집 유아(6-7세) 20 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집단으로 L백화점 문화센터에서 발레를 배우는초급단계 유아 10명을 선정하여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12주간 50분씩,매주1회 유아발레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통제집단으로 Y어린이집 유아들 중 발레교육 경험이 없는 유아 10명을 선정하여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신체활동교육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1K for Windows를이용하여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유아발레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내용적 자기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유아발레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음성적 자기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유아발레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신체적 자기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유아기 발레교육은 신체 발달과 정서 발달,사회성 발달 및 창의성 발달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창의적인 유아발레프로그램은 자기표현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빈곤 한부모가정 영유아 통합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장혜림(Hae Lim Ch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8

        본 연구는 저소득·빈곤가정 한부모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통합적 접근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영유아통합지원사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비동일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s)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 중 잠재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실시 후, 서비스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한부모의 우울은 낮고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 부모의 자아효능감은 서비스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한부모의 양육태도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저소득·빈곤 한 부모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인적자본이론에 근간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최초로 영유아만을 대상으로 한 조개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취약한 계층의 영유아의 발달을 예방하고 증진할 수 있는 보호요인과 영유아복지 서비스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경험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poor single-parent familie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from The Integrated Program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a program operated by the Community Ches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on the poor single parent`s families by using latent mean analysis. The finding shows that parents` level of depression was lower and children`s level of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were higher for families in the program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elf-efficacy level of these parents in the program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difference in parenting attitud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which was the first program of its kind in the field of social work.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tilized as empirical evidence that identifie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n vulnerable families, and tha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ffective welfare services.

      • KCI등재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한 미술상담 사례연구

        홍미영,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9 초등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부적응 아동에게 미술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도와줌으로써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대전광역시 Y초등학교 6학년 중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여 총점이 100점 이하인 아동 중 최하점수인 아동 4명을 부적응 아동으로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2008년 9월 2일부터 10월 16일까지 주 2회(회기당 60분)씩 총 12회기로 실시하였으며, Y초등학교 6학년 1반 교실에서 방과후 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부적응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변화를 양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학교생활 적응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부적응 아동의 심리 상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투사검사(KSD) 를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시하여 그림 내각을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매 회기마다 각 아동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는 질적 분석을 통하여 부적응 아동이 미술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적응 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으며, 부적응 아동으로 하여 금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t an art counseling program in the elementary school maladjusted child and helped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maladjusted child's self-respect and social ability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picked out 4 people children who are the lowest score in the child where the total score is below 100 points sorted 6 grades of Y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art counseling program as a reconstruction of the prior study to meet an object of this study was provided to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t the researcher's classroom after school for 12 session, two sessions per week. For analyze the study result. First, for quantitatively analysis of an maladjusted behavior compared pre and post test of conduct of school life adjustments test. Second, for confirm the change of self-respect and social ability development pre and post test and analyzed comparison. Third, recognizing trial state change of an maladjusted children put a KSD pre and post test and analyzed comparison with contents of a picture. Fourth, every session of the qualitative analysis which describes the conduct quality of each child led and the maladjusted child should have been visible what kind of change after the art counseling program execution criminal record, compar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art counseling program decreased the maladjust conduct of the maladjusted child and is effective to self-respect and social ability development of the maladjusted child. And the art counseling program letting induces the change which is affirmative psychologically with the maladjusted child. As a result, the art counseling program to help the self-respect of the maladjusted child and social ability development,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the school life adjustment for the maladjusted child.

      • KCI등재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어린이 감정반응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제42회 강진청자축제 및 한중일도자문화축제를 중심으로 -

        조영희,김창수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9

        The recent trend of festivals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steady evolvement from watching to visitor‐centered activities of touching, feeling, and experiencing. Most of festival visitors have been found to visit festivals in order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have new experiences, or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Experience programs in festivals have educational effects for children’s physical growth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y als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s.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xperience program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s on the spot. Assuming that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to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ould be highly valuabl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motional responses affected their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noticeable positive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to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as the enhancement of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y, which is the ability to get out of one’s own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positions, and this effect promoted their social development. This finding means that festivals can be very usefu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experiences fo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is also suggests that we need to recognize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s valuable resources of children’s education and to develop new creative ideas and various experience programs continuously. 최근 우리나라의 축제 트렌드는 바라보고 관람하던 형태에서 방문객 중심의 만지고, 느끼고, 체험하는 형태로 지속 발전해 나아가고 있다. 축제 방문객들의 방문 목적이 대부분 자녀교육, 새로운 경험, 인간관계 강화로 축제에서 더 많은 체험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음이 밝혀져 대부분의 축제에서는 어린이 체험프로그램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축제 현장에서는 축제의 특성을 반영한 체험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제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어린이 감정반응이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어린이 감정반응이 사회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린이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자기 자신만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인 조망수용능력에 가장 밀접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축제가 어린이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현장 경험을 통한 매우 유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로써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귀중한 어린이의 교육자원임을 인식하고, 창의적인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