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뮤지컬 춤의 극적 기능 연구 - 캣츠를 중심으로 -

        김은주,조영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Musical refers to a performance style in which song, dance, and acting harmonize. In addition, dancing in musicals visualizes dramatic situations that can not be expressed in lines or music so that the audience can quickly and easily understand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dance func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ppearing in the characters based on ⟨Cats⟩ for the study of dance functi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in ⟨Cats⟩ a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dance types in this work are contemporary dance, ballet, jazz dance, tap dance, acrobatics, and gestures. In order to convey the theme of the play,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the dance function was an important strength by expressing the dramatic situation through dance that can not be expressed through speech or music through language. Therefore, in order to accept and develop many musicals in the future, choreographers must educate various dance languag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communicate with directing and scripts, composition and dialogue, and dance languages ​​are required, and by expanding the musical viewing culture, the choreographer has a view. Should expand. 뮤지컬은 노래와 춤, 연기가 어우러지는 공연양식을 말한다. 또한 뮤지컬에서 춤은 대사나 음악으로 표현될 수 없는 극적 상황을 관객들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다. 본 논문은 춤 기능 연구를 위하여 ⟨Cats〉를 기반으로 등장인물에 나타난 움직임의 특성을 통해 춤 기능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Cats〉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작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춤의 유형은 현대무용, 발레, 재즈댄스, 탭댄스, 아크로바틱 그리고 제스처다. 극의 주제 전달을 위하여 언어로써 대사나 음악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극적 상황을 춤으로 표현하여 춤 기능의 역할이 중요한 강점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많은 뮤지컬을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안무자는 다양한 춤 언어를 교육해야 하며, 연출과 대본, 작곡과 대사, 춤 언어와 소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뮤지컬 관람 문화를 확대시켜 안무자로서 안목을 넓혀나가야 한다.

      • 진주지역 전통춤 전승 연구 : 정행금을 중심으로

        김미숙,남선희 영남춤학회 2014 영남춤학회誌 Vol.2 No.1

        이 연구는 근대이후 진주지역 춤의 맥을 지켜온 인물을 통해 이루어졌다. 진주춤은 근대이후 많은 기녀들에 의해 전승되었지만 거의 작고하였고, 지금은 경남무형문화재 제3호 진주한량무 색시역 예능보유자인 정행금에 의해 연연히 이어가고 있다. 기녀출신이 아닌 그는 진주권번 출신의 기녀들에게 춤을 배워 현재까지 진주 춤의 맥을 이어온 인물로, 그의 무용사적 의의를 재조명하여 진주춤의전통성을 검토하며, 진주지역 무용사를 고찰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여러차례에 걸친 구술면담 및 실기학습 등의 직접적인 체득과 함께 문헌을 중심으로연구하였으며, 교방을 중심으로 전통춤을 전승한 정행금의 춤 연구로 연구의 제한점을 두었다. 정행금은 진주지역만의 전통성을 지닌 춤을 계승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창작하여 그 춤이 오늘날 진주의 전통춤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한 전승의 주체자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논문의 의의는 정행금이 문화재종목 춤의 전승자로서, 진주춤 복원자로서, 교육자로서 역할과 함께 그의 춤이 진주지역 춤의 미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밝히는데 있다. 또한 진주지역 춤이 기방춤에서 무형문화재로 변화·발전되는 과정에서 전통예술사의 산증인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Jeong Haeng-geum who is the holder of Jinju Hanryangmu,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3 in Gyeongnam-do, She learned dances from several teachers in Jinju Gwonbeon and has kept the spirit of Jinju dance up to now, so I would research the ginyeos in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be to illuminate Jeong Haeng-geum’s the artic world. With the acquirement directly such as the several rounds of oral interviews and practical learning, the study centered of dances and document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Jinju was needed, I placed limitations to research focused on Jung Haeng-geum’s dancing life. Only lives for the dancing artic world could establish itself as today’s Jeong Haeng-geum and today's dance in Jinju area. Jeong Haeng-geum is very important person as a living witness to the traditional art of artic history in Jinju. So multi-faceted efforts and cares persistently to evolve and develop the traditional dance in Jinju are required in the policy.

      • KCI등재후보

        호남산조춤에 나타나는 한국미 고찰

        배민지,김미숙 영남춤학회 2021 영남춤학회誌 Vol.9 No.1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Korean beauty revealed in the Honam Sanjo Dance. Sanjo danc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variety of papa depending on the dancer, because the individual personality and free expression were abundant from the occurrence of Sanjo dance.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free expression of emotions, dance moves, costumes, and composition were impromptu and inherent freedom unlike other existing dances is not unrelated to the unconventional creativity of Sanjo music. From the 1950s to the 1970s, when the new dance was flourishing, it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by many dancers, establishing itself as a dance that can express a more free individual's creative desire. Since the 1980s, Sanjo Dance has been reorganized and developed by later dancers. In general, if Sanjo dance was performed with a new dance technique, Honam Sanjo dance was preserved without any damage to traditional techniques. This was passed down to Lee Gil-ju through the best by a gisaeng named "Chasing the Jeonju area" and thus has a regional characteristic. In other words, Honam Sanjo Dance has a more natural, simple, and calm style derived from moderation. The beauty of Korea, revealed in the Honam Sanjo Dance, is in line with not only Korea's natural,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history, but also with the heart and emotions of Koreans. In particular, among the dance moves of the Honam Sanjo Dance, it can be seen that nature is inherent in carp girls, willow sons-in-law, gungche son-in-law, and bachelor's degre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calm style revealed by temperance is stronger in Korean sentiment and nature. As such, Honam Sanjo Dance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cause it inherited Korean sentiment and nature as it is, along with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dance that lasted for three generations. 이 연구는 호남산조춤에 드러나는 한국미에 대한 고찰이다. 산조춤은 추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유파로 자리매김을 했는데, 그 이유는 산조춤의 발생에서부터 개인의 개성과 자유로운 표현이 농후했기 때문이다. 즉, 자유로운 감정표현과 춤사위, 의상, 구도 등이 기존 한국의 춤들과는 다르게 즉흥적이고 자유로움을 내재했던 것은 산조음악의 파격적인 창의성과도 무관하지 않다. 산조춤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1860년 근대화의 숨결에 힘입어 산조 음악이 발생했고, 이 음악에 춤을 입히면서 춤의 특성은 그 당시의 여느 춤보다 즉흥적이고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웠다. 그 이후 신무용의 번성기였던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한층 더 자유로운 개인의 창작 욕구를 발휘할 수 있는 춤으로써 자리매김하며 수 많은 무용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1980년대 이후부터는 후대 무용가들에 의해 산조춤이 재정립되고 발전하였다. 보편적으로 산조춤이 신무용적인 기법으로 추어진 데 비해 호남산조춤은 전통기법에 훼손 없이 보존되었다. 이는 전주지역의 ‘추월’이라는 기녀에 의해 ‘최선’을 거쳐 ‘이길주’에게 이어져서 전승되었고, 지역적 특색을 내재하고 있다. 즉, 호남산조춤은 자연스럽고, 소박하며, 절제에서 우러나는 담담한 멋을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남산조춤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한국의 미는 예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자연, 경제, 사회, 정치, 역사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심성, 정서와도 맞닿아 있다. 특히 호남산조춤의 춤사위 중에서 잉어걸이, 버드나무사위, 궁체사위, 학사위 등에서 자연의 모습을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의 형상화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절제에 의해 드러나는 담담한 멋은 한국적 정서와 자연관을 더 강하게 담고 있다. 호남산조춤이 유일하게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것은 삼대에 걸쳐 이어진 춤의 역사적 지속성과 함께 한국적 정서와 자연관을 있는 그대로 전승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영남지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 고찰

        김현숙 영남춤학회 2015 영남춤학회誌 Vol.3 No.1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present state of oral record of dance in Youngnam area. Dance is disappeared without recording it any more after performing only one time, because it has the momentary character. So, only brief records such as dance director and dancer, theme of work, date and place of performance, etc. are present remained. Oral history, which historians and anthropologists are concerned with in recent days, is one of the new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oral history, people who cannot express their ideas and experiences with written languages can participate in recording history. Oral Record of Dance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that the need can know to their values and performing at the time of the social enviroment through oral dancers.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ed project, collection, management, usage states of dance oral records step by step focus on the status of Youngnam Area as the Arko Arts Archive and the National Gugak Center,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the narrators majored in Youngnam Area is represented by dictator of 8 people. Second, dance oral records in the collection step are collected in various forms of oral sound record, oral video record and oral recording record. Third, the management method of oral record of Dance is variou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s. Fourth, the usage step are updated mainly the list on website, published in book form and used in the method to provide pers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promoting various studies as opening new ground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영남지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을 고찰하는 것이다. 무용이일회성과 순간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기에 공연 후에는 사라져 버려 기록으로 남기기가 쉽지 않다 무용구술기록은 무용가의 구술을 통해 그들의 가치관이나 작품세계,당시의 사회적 환경 등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최근 그 필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영남지역의 무용구술기록은 무용의 전반적인 역사의 흐름에 영남지역의 전통춤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그 원류를 찾게 하는 방법이며,그 결과물로 영남지역 춤의 특색을 새로이 발견하고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에 다가서기 위해 현재까지의 구술기록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립 예술자료원과 국립부산국악원,국립무형유산원은 현재무용구술기록을 수집,관리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세 기관을 중심으로 영남지역의 무용구술기록의 현황을 연구한 결과,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무용구술기록은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으며,구술채록사업 계획,예비조사 및 계획서 작성,면담진행,최종검토의 과정으로 이뤄지고 있다. 영남지역 무용구술자는 국립예술자료원의 8명,국립부산국악원의3명,국립무형유산원의 4명으로 현황 조사되었다. 둘째,수집단계에서 구술음성기록과,구술영상기록,구술녹취기 록으로 수집 되고있다. 그리고 연구 관련 다양한 서류를 제출하며 기증 자료도 수집된다. 셋째,무용구술기록의 관리방법은 기관에 따라 수장고나 아카이브실에서 보관되고, 구술자 별로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DB)화 되어 관리된다넷째,활용단계에서 주로 기관의 웹사이트에 목록을 공개하고 단행본을 발간하며, 필요에 따라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남지역의 무용구술기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원로 무용인의 구술기록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영남지역의 전통연행예술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한편,유관기관과 아카이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배민지 영남춤학회 2019 영남춤학회誌 Vol.7 No.1

        Study on the Adaptation of Hwangmubong-Sanjodance for Stage Performance Bae, Min-Ji (National Busan Gugak Center) This study ’ s necessity is to reconsider Sanjo dance as the new - dance of that era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dance. For the research method, humanistic method such a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is adopted. Hwangmubong Sanjo Dance was not simplified and was staged with various contents of works depending on each dancer. In other words, it could be artistically accomplished as the work having its own individuality by making various attempts with formal techniques, such as dance contents expressing human emotions, dance movements, music, spatial organization, costume, props and stage lights. These achievements infer that he had a great passion for creating Sanjo dance. The issue is that his dance expanded the new dance genre and solidified the genre of Romantic New Dance expressing the sensitivity. Moreover,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it played a bridg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creative dance. 이 연구는 황무봉 산조춤이 한국춤의 또 다른 획을 그은 그 시 대의 새로운 춤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및 자료조사,면담법 등의 인문학적 연구방법을 택하였다. 황무봉이 산조춤이라는 장르를 통해 뛰어난 미적 감각과 안무 능력을 유감없이 표출하여 무대 예술화를 이루었다. 황무봉 산조춤은 단일화 되어 있지 않고 춤추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작품 내용을 가지고 무대화 되었다. 즉,인간의 내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춤의 내용과 춤사위,음악,공간구성,의상,소품,무대 조명등의 형식적인 기법으로 다양한 시도를 함으로써 자신만의 개성을 갖춘 작품으로 예술적 완성도를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물은 산조춤에 대한 그의 창작열정이 대단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쟁점은 황무봉의 산조춤이 갖는 새 시대의 또 다른 춤 장르의 확대와 아울러 춤의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있어 감성을 표출해 내는 낭만주의적 신무용의 영역을 굳혀내었다. 더 나아가 현대 한국 창작춤 발전에 가교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생성론적 관점으로 보는 한국춤의 역사적 전개: 최한기의 기론(氣論)을 중심으로

        강주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study to approach the history of Korean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ve theory. The generative perspective is to think from a fundamental perspective on what has created and transformed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dance. A Silhak scholar Choi Han-gi's 'Gi' theory can be a major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Korean dance as resonance. When looking at dance as a generative theory, Korean dance is the desire of 'resonance'. There is a desire for natural unity to harmonize with the world. Originally, Korean dance was a resonating dance with ‘living’. From the stylistic beauty of 'Dengsil Dengsil' and'Nerul Nerul', which appear in Korean dance movements, we can feel the unique worldview of Korea such as 'vertical-horizontal resonance' and'vertical resonance'. Korean dance was developed while maintaining a'tilt balance' due to the entangl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sonance. This aspect can be well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Cheo Yong Mu”. Then, in the period of the modern dance, the resonance declined and it was narrowed down to 'dance to see'. As with the change in the history of art style, if the resonance of Korean dance is also experiencing repeated ups and downs, the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ra of nature-friendly stability and the dance of sensational impulse will come back again. 통상적으로 한국춤의 분류는 연행 주체, 연행장소, 연행의미 등으로 구획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춤의 본성을 담지하는 미적 초점화에 따른 운화론적 분류를 시도하고자 하는데, 춤은 고착된 사건이 아니라 ‘변화’와 ‘과정’이라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being)’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한국춤에 내재한 감응의 성질이다. 따라서 ‘춤이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넘어 춤은 어떻게 추어져야 하는가에 관한 실존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이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의 ‘생성론적 관점’이며 그 해답으로서 ‘감응 원리로서의 춤’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한국춤의 역사를 생성론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이다. 실학자 최한기의 기론은 감응으로서의 한국춤을 이해하는 주요한 방법론이다. 춤의 생성론적 입장에서 볼 때 한국춤은 ‘감응’의 욕구이며 세계와 함께 어우러지려는 자연합일의 욕구가 내포된, ‘생기’가 살아 있던 감응의 춤이었다. 이 글은 ‘감응지향성’이 한국춤의 형태미와 어떻게 닿아 있는지에 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춤사위의 미학을 나타내는 채희완의 개념인 ‘덩실덩실’, ‘너울너울’ 등의 양식적 형태미로부터 ‘수직-수평감응’, ‘수직감응’ 등 감응지향성을 안고 있는 우리 고유의 감응적 세계관을 논의한다. 한국춤은 ‘감응지향성’의 얽힘 현상을 유지하면서 나아왔다. 이러한 양상은 처용무의 변천 과정을 통해 특히 잘 드러난다. 그러나 근대 춤 시기에 이르러 감응이 위축되어 ‘보여주는 춤’으로 전화되었다. 최한기는 경험(經驗)의 변통(變通)을 통해 추측(推測)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글은 감응의 한국춤 역사가 안겨준 경험의 흐름을 통해 미래 시대의 춤 양상을 추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고한다. 만약 보링거가 말하는 예술의 양식사적 변천처럼 한국춤의 감응 역시 반복적 부침을 겪는 것이라면, 이후에는 다시 자연 친화적인 안정의 시대, 감응 충동의 춤 시대가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축제에 내포된 춤의 함의(含意) -1970년대 대학축제를 중심으로-

        김해성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1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estival content for a university festival as a true play cul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when a university festival started to settle down after first introduc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implication for dance to aim at today’s university festival by studying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As a result, the university festival in early 1970s adopted the style of a western carnival. Therefore carnivals and couples-only party with social dance were held at the university festival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as the regretful mood of the university festival like a western carnival raised from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in mid 1970s, the interest in our folk-lore started and the interest in dance was also changed into falk dance and traditional dance. Although dance at the festival in the 1970s was the dance to long for western culture and the folk festival made as the reverse side of western culture, there was the dance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to be preserved and passed down and to be performed as an artistic function and an entertainment function. Based on this aspect of the dance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in today’s popular eventful university festival, the implication of dance was derived from community awareness, historical and locality, artistic value, and entertainment function.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학축제 문화가 태동한 후 본격적인 축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대학축제를 통해 진정한 놀이문화로서 오늘날 대학축제가 지향해야할 축제 콘텐츠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당시 대학축제에서 추어졌던 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향해야할 함축적 의미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 대학축제는 서구의 카니발 형식을 도입하여 전국의 대학에서 카니발이 행해지고 쌍쌍파티 등에서 사교무용이 추어졌으나 70년대 중반부터 서구형식의 카니발적 축제에 대한 반성이 대학가에 일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 민속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에 춤도 향토색이 강한 민속춤과 전통춤이 주 내용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축제에서 추어진 춤들은 서구문화의 동경과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형성된 카니발과 민속제라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축제의 춤들이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에는 공동체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춤과 전승․보존되어야 할 춤, 예술적 기능으로서의 춤과 오락적 기능으로서의 춤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70년대 대학축제에서 추어진 춤의 양상을 토대로 오늘날 대중적인 이벤트성이 강한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녀야 할 함축적 의미는 공동체의식 고취와 역사성 및 향토성, 예술적 가치, 오락적 기능을 포함한 놀이의 의미들로 도출되었다.

      • 한국 진주·삼천포 농악의 설장고춤과 중국 요족 장고춤의 비교연구

        오도경,김미숙 영남춤학회 2013 영남춤학회誌 Vol.1 No.1

        This study with focusing on the Korea Janggo dance emerging as a leading brand in the world of dance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ese Janggo dance among the dances consisting of Ak(music)· Ga(song)· Mu(dance). I felt the need to study to difference about Janggo chumsawi in the two countries' Janggo dance with common background of the farming community beyond the capabilities of the instrument as the development of dance. Analysis was focused on Jinju-Samcheonpo Nong-ak's Seoljanggo dance in Korea and Yao Zu's Janggo dance in China. Thus, I conclude it with explaining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two countries' Janggo dance. 이 연구는 무용에 있어 악·가·무로 어우러진 춤 중에서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떠오르고 있는 장고춤에 주목하여 한국과 중국의 장고춤에 대해 비교 연구 하였다. 경제, 정치, 문화, 예술 등의 여러 분야의 연구가 서양에서 동양으로 관심이 향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동북아시아의 각 나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발굴되어져야 할 문화예술은 많다.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의 장고 춤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장고가 건너왔으며, 농경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악기로 써의 기능을 넘어 춤으로 발전했다는 공통점을 알게 되었다. 양국의 장고 모양을 보았을 때 춤사위의 차이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을 느 꼈다. 다만, 한국에서는 장고를 가지고 춤을 추는 종류가 많았으나 중국의 경우 요족과 조선족이라는 소수민족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그래서 농경사회의 공통 점을 가지고 있는 진주·삼천포 농악 설장고춤과 중국의 요족 장고춤을 선택하여 집 중적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두 나라의 장고춤의 복식, 소도구, 장단, 춤 사위를 비교 연구하였으며, 춤의 유사성과 차이성과 그 미적 특성을 밝혀 결론을 내렸다.

      • 한성준 춤의 전통성 모색

        김연정 영남춤학회 2018 영남춤학회誌 Vol.6 No.1

        한성준은 조선조 말기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하였으며,시대와 사회를 꿰뚫어 보는 눈을 가지고 오랜 시간 전해져 오던 고유의 춤들을 집대성하고 체계적 전승의 기초를 닦은 전통춤계의 독보적인 큰 인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한성준의 삶과 춤 인식이 형성되고 본격적인 춤 활동이 이루어진 전후 맥락과더불어 그가 가진 춤에 대한 관점, 춤 활동 및 춤에 드러나는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나타나는 전통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성준의 삶과 춤을 통하여 한성준 춤이 가지는 전통성의 의미를 다음과같은 세 가지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으로,한성준의 춤은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 속에서 축적되어온 문화적 자산의 바탕 위에 새로이 정립된 것이다. 한성준은 민족 문화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에 기반을 둔 창의적인 재정립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다음 세대에 고유의 문화를 전승해야 한다는 역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구체적인 활동을 펼침으로써 전 근대의 사회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민족 고유의 춤문화 전달자로서 전통성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둘째는 주체적 인식의 관점으로,한성준이 보여준 고유한 춤문화에 대한 천착은 역사의식과 시대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국 문화의 주체적 수용과 전승의지의 발현이었다. 많은 이들이 외부로부터 들어온 신문화에 현혹되어 있을 때힘있는 타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고유 문화의 전통성을 지키고 조직적인 활동으로 펼쳐내었다. 마지막은 보편적 통합성의 관점으로,한성준은 다양한 춤들을 종합적으로아울러 민족 고유의 보편적 미감을 정립하고 민족 문화의 원형으로서의 자리매김을 하였다. A Study on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Chum Kim, Youn-Jung (Sungkyunkwan University) Han Sung Jun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who established the backbon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by examining his perspectives on dance as well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is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lenses. This study utilized a method of literature review as a tool to discover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Chum (Dance) and redefine its significance. Collected data included his personal anecdotes, individual dance performances, records on his activities with Chosun Music and Dance Company.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ity of Han Sung Jun Chum could be understood in three layers. First, it was historical continuity. Han Sung Jun Chum was established based on historical appreciation of Korean culture. He had deep consciousness on the mission of delivering traditional dance to the next generation. Second, it was independent awareness. Han Sung Jun Chum revealed strong sense of cultural independency and resisted against foreign influences at that time. Finally, it was generality toward unity. Han Sung Jun Chum exemplified the amalgamation of diverse dance tradition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ed authentic general aesthetic sense. Han Sung Jun Chum still existed as a prototype of Korean dance.

      • KCI등재

        한영숙류 맨손살풀이춤과 장금도류 민살풀이춤

        남도화,송미숙 영남춤학회 2022 영남춤학회誌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deriving the inherent artistry and inherent characteris tics of Han Youngsook-Ryu's Bare-Hand dance and Janggeumdo-Ryu's Minsalpuri da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an Youngsuk-Ryu Bare-Hand Salpuri Dance is an artistic dance with the form of a mouth dance. Second, the rhythm of the Minsalpuri dance of Janggeumdo-Ryu starts with the salpuri rhythm, progresses to jajinmori, and ends with the salpuri rhythm again at the Dongsalpuri rhythm. Third, the two dances have in common the beauty of restraint and femininity, the beauty of blankness and simplicity, and the beauty of natural beauty. However, the Han Youngsuk-ryu Bare Salpuri Dance moves from the slow salpuri rhythm seen in the existing salpuri dance to the jajinsalpuri rhythm, and finally the dance develops with the slow salpuri rhythm, On the other hand, the Janggeumdo-Ryu Minsalpuri dance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slow salpuri rhythm goes from the slow salpuri rhythm to the Jajinsalpuri rhythm, then the Dongsalpuri rhythm is added and the dance ends with the slow salpuri rhythm. As a result of examining, it is clear that both dances are very important dances for their artistic, regional, historical, and traditional values, and are both cultural heritage and proud Korean traditio nal dances that we all must inherit and develop. 이 논문은 한영숙류의 맨손살풀이춤과 장금도류 민살풀이춤에 내재된 예술성과 내재된 특징을 도출하여 미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영숙류 맨손살풀이춤은 입춤의 형식을 갖춘 예술적인 춤이다. 둘째, 장금도류의 민살풀이춤의 장단은 살풀이장단에서 시작해서 자진모리로 진행하다가 동살풀이 장단에서 다시 살풀이장단으로 마무리한다. 셋째, 두 춤은 절제미와 여성미, 여백미와 담백미, 그리고 자연미라는 손색없는 미적 특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영숙류 맨손살풀이춤은 기존의 살풀이춤에서 볼 수 있는 느린살풀이장단에서 자진살풀이장단으로 이어지다가 마무리로 느린살풀이장단으로 춤이 전개되는 반면, 장금도류 민살풀이춤은 느린살풀이장단에서 자진살풀이장단으로 이어지다가 동살풀이장단을 곁들어지고 다시 느린살풀이장단으로 춤이 마무리된다는 차이가 있다. 살펴본 결과 입춤으로서 두 춤 모두 그 예술적 가치, 지역적 가치, 역사적 가치, 전통적 가치로서 매우 중요한 춤으로서 우리 모두가 계승·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문화유산이자 자랑스러운 한국 전통춤임은 분명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