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요인의 성별비교 분석

        김희경(Kim Hee Kyu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목적은 Pender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의 관련변인과 영향변인들을 성별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건강증진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차분석 연구로써 K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50명, 여학생 142명 총 192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test, 피어슨 상관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로, 성별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변인 중 남학생과 여학생의 공통된 변인은 건강지각, 건강개념, 행동의 이익성 지각, 자기효능, 사회적 지지 및 이전 건강관련 행위이며,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여학생은 행동관련 감정, 행동의 선호성 및 행동계획수립이 차별화되었다. 남학생은 이전의 건강관련 행위, 건강상태 지각, 음주빈도,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행위를 60%, 여학생은 이전의 건강관련 행위, 건강상태, 건강지각 및 입원회수가 여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59% 설명하였다. 대학의 건강관리 센터는 대학 입학에서부터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건강증진 행위가 생활화되어 바람직한 건강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교육, 홍보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program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Method: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used. Subjects were 192 university students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5, 200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X²-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 It was revealed that gender differences vari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exercise frequency, smoking and preference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men, in order of priority, were previous health style behaviors, perceived health status,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nd self-esteem. For women, those factors were previous lifestyle behaviors, perceived health condition, perception about health condition, and frequency of hospital admissions. Conclusion: When nurses provide university students with health promoting programs, the training for men need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previous lifestyle behaviors, the importance of reducing consumption of alcohol, and way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current health status. For women, the training needs to first change their beliefs related to health,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previous lifestyle behaviors, to maintain their good health, and to prevent disease.

      • KCI등재

        불운한 아동기 경험이 성인기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이인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trospective prevalence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their impacts on health and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adults. A total of 1,954 males and females age 30 and older, residing in Metro Seoul or the suburbs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indicate: First, 59.7% of th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at least one category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16.3%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four or more category of ACE. The most commonly reported manifestations of ACE were emotional neglect (31.3%) and emotional abuse (22.7%), followed by alcohol abuse (16.8%), domestic violence (16.1%), physical abuse (15.1%), and sexual abuse (14.6%). Thus, there are many persons who had experienced ACE during childhood in our study population. Second,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CE and adult health status. The analysis was controlled for impacts of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al attainment, economic state, marital status. The risks increased for each of the health risk behaviors, health worry, and chronic diseases studied as the number of exposure to ACE increased. Persons who had experienced four or more categories of ACE, compared to those who had experienced none, had 1.6, 1.7, and 6.8 times increased health risks for high-risk smoke, high-risk drink, and suicide attempts respectively; a 2.1 times increase in health worry; 2.0-2.3 times increased risk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a serious illness(cancer, heart disease, stroke), digestive trouble, and pain-related disease. Third, there was a strong graded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exposures to ACE, and adult mental health. That is, the risk increased for mental disorders as the number of AC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who had no ACE, persons who had experienced four or more category of ACE had 6.4, 9.0, and 10.1 times the odd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respective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s well as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성인의 불운한 아동기 경험의 비율을 조사하고 불운한 아동기 경험이 성인기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65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총 1,95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불운한 아동기 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은 학대와 방임, 가족 역기능에 대한 10개 범주들 중 하나 이상에 노출된 것으로 정의된다. 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ACE 10개 범주의 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ACE 범주들 간의 상관을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체건강은 건강위험 행동과 건강 염려, 만성질환으로 측정하였으며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신체화 점수를 사용하였다. ACE 점수에 따른 신체 및 정신 건강 변인들의 상대적 승산비를 비교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 학력, 경제형편, 결혼상태 등의 참가자 변인들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자의 59.7%가 불운한 아동기 경험의 10개 범주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보고하였으며, 이 중 4개 이상을 보고한 참가자는 16.3%였다. 가장 많이 보고된 유형은 정서적 방임(31.3%)과 정서적 학대(22.7%)이며, 이 외에 신체적 학대(15.1%)와 성학대(14.6%), 가정폭력(16.1%), 가족의 알코올중독(16.8%) 등은 모두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둘째, 불운한 아동기 경험에 많이 노출되었을수록 건강위험 행동에 관여될 가능성이 높았다. 즉 ACE에 4개 이상 노출된 참가자는 ACE가 0인 경우에 비해 고위험 흡연자가 될 확률은 1.6배, 고위험 음주 1.7배, 자해 및 자살시도는 6.8배 더 높았다. 또한 자신의 건강을 염려할 가능성은 2.1배 더 높았고, 만성질환을 앓은 비율은 중증 3대 질환(암, 심장질환, 뇌졸중)이 2배, 소화기 질환 2배, 통증관련 질환은 2.3배 높았다. 셋째, 불운한 아동기 경험에 많이 노출되었을수록 정신건강의 위험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즉 ACE에 4개 이상 노출된 참가자는 ACE가 0인 경우에 비해 우울높음 집단에 속할 확률이 6.4배, 불안높음 9배, 신체화높음은 10.1배 더 컸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ACE 점수가 1씩 증가할 때마다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예를 들어, ACE가 0인 경우에 비해 신체화높음 집단에 속할 가능성은 ACE가 1일 때 2.4배, 2일 때 5.4배, 3일 때 8.3배, 4일 때 10.1배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미 및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개인건강정보보호에 관한 헌법적 고찰 : 공공영역에서의 개인건강정보보호를 중심으로

        김강한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아주법학 Vol.10 No.2

        민감정보에 속하는 개인건강정보는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일반 개인정보보다 더 높은 수준의 보호가 필요한 정보이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 환자들의 진료기록 등의 건강정보가 무단으로 수집·이용되거나 유출되는 사건들이 발생하는 것을 볼 때, 우리는 국내의 현재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과 의료 관련 법률이 개인건강정보를 실질적으로 보호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일부 직원들이 건강보험 가입자들의 진료기록 등을 무단으로 열람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공공영역에서조차도 개인건강정보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개인건강정보도 개인정보의 일종이기 때문에, 정보주체는 본인의 건강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헌법상 기본권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서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정보주체의 의사와 무관하게 국가안보, 범죄수사, 복지, 공중보건 등의 목적으로 정당하게 공권력에 의하여 개인정보가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의료 관련 법률에서는 정보주체의 의사와 무관하게 개인건강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조항을 다수 두고 있다. 그러나 법률조항을 근거로 국가 또는 공공기관이 개인건강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한한다 할지라도 그 제한조치는 비례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 외국 주요 몇몇 국가들은 개인건강정보보호에 관한 특별법을 통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실효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며, 개인건강정보의 처리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구체적인 예외적인 사항들을 명시적으로 규정하여 이러한 경우 한에서는 개인건강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개인건강정보의 보호와 이용 간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과 의료 관련 법률에서는 정보주체의 구체적인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개인건강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예외사항을 너무 광범위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단순히 비밀누설 금지조항과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한 처벌규정을 통해서 개인건강정보를 보호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개인건강정보의 민감성과 의료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정보주체의 권리를 실효적으로 보장하고 개인건강정보의 보호와 이용 간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내용으로 개인건강정보보호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야 할 것이다. Personal health information, which is sensitive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requires a higher level of protection than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as it indicates individual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Considering that there have been incidents in Korea where patients' health information such as medical records are illegally collected, used, or leaked,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at Korea's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edical laws have many problems related to substantial protec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particular, some employee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for public benefit, have illegally accessed the medical records of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is not ensured even in the public sector. A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a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data subject should be able to exercise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which is a constitutional right, to control to whom and how his/her health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and used. However,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can be limited by law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order or public welfare under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It means that personal information can be lawfully processed by public authority for national security, criminal investigation, welfare, or public health,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data subject. In regards to this, the current medical laws contain several provisions that allow the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data subject. Even when a national or public institution limits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ove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under these provisions, however, this action shall follow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ome advanced countries have special acts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prohibit the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principle. However, they have specific exceptions to allow the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certain cases for harmony and balance between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and medical laws of Korea do not specify the rights of the data subject and state the exceptions for process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oo broadly.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simply protected by prohibiting leaks and punishing the violators.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particularity of the medical field, Korea should enact special acts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to substantially secure the rights of the data subject and ensure the harmony and balanc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nd use.

      • KCI등재

        선원법상 선원건강증진을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전영우,김재호,서우영,최연희,최순호,박일수,강성홍 한국해사법학회 2013 해사법연구 Vol.25 No.3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item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medical as-sistance and health promotion of seafar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es on the present status of medical care and health conditions of sea-farers, and propose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system for promotion of health and medical care conditions on board. It is necessary to make legal base in or-der to achieve policy tasks to be taken for the promotion of seafarers' health identified by this study. To this end the following should be carried forward.Firstly,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o ships needs to be enhance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present limitations where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is given by heavily relying on the audio in-formation through radio medical advice and to strengthen legal system requiring ships to equip with health measurement instrument on board through which the doctor providing medical advice could much better grasp the health conditions of seafarers in emergency.Second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dical care system where the med-ical assistance must be available not only in emergency situations but also or-dinary normal times through innovating the present system where it is available only in emergency situations. To realize this, it is essential to amend the legal system relating to the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care. It must be pro-spectively considered, for special places such as ships, etc. where the avail-ability in utilizing medical institution is limited, to allow the remote medical care for which medical care demander have been longing.Third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egal system whereby latest emer-gency medical equipment having recently been developing should be carried on board as well as medicines essential for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on board should be provided and necessary preventive medicines should be despatched without delay especially upon outbreak of a new infectious disease. To do this, the regulation 52 of enforcement ordinance of Seafarers' Act needs to be re-vised as well as a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whereby a periodic review on the standards concerning medicines and medical equipment to be carried on board could be conducted.Fourthly,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 system of persons in charge of medi-cal ca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articles 85 and 87 of Seafarers' Act so that shipowners must appoint either master or chief officer as the person in charge of medical care or medical first aid. And it should be tried to introduce a system where the person in charge of medical care or medical first aid could assist remote medical doctors for successful medical treatment in the situations of providing remote medical treatment for seafarer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care for seafarers.Fifthl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health check-up equipment to be car-ried on board and introduce the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sea-farers where seafarer's health conditions could be checked up by conducting regular medical examination in order to evolve from after cure system to the era of prevention of outbreak of diseases on board. An effective way of realizing this could b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eafarers' health promotion center. 이 연구는 선원의 의료와 건강실태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원에 대한 의료지원 및 건강증진을 위하여 개선해야 할 점을 찾고 의료사각지대로 되어 있는 선내 의료 및 건강관리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선원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추진과제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선원법 등의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추진하여야 할 제도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선내응급의료지원의 질적 향상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전화에 의한 음성 정보에 의존하여 응급의료지원을 하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여야 하며, 의료지원을 하는 의사가 응급선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건강측정장비를 선박에 비치할 것을 의무화하는 등 제도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응급 시만 의료지원을 하는 현행 제도를 개선하여, 응급 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의료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원격의료에 대한 현행 법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선박 등 의료기관 이용이 제한되어 있는 곳에 대해서는 의료 수요자가 절실하게 요청하고 있는 원격의료의 허용을 전향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셋째, 최근 발달하고 있는 최신 응급의료장비의 선내비치와 더불어 각종 해상 응급상황에 맞는 의약품을 갖출 수 있도록 특히, 신종 전염병의 발병 시 지체없이 필요한 예방약품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선원법 시행규칙 제52조에 대한 정비와 선내에 비치할 의약품과 의료장비 비치기준에 대한 주기적인 검토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넷째, 의료관리자 제도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선원법 제85조 및 제87조를 개정하여 선박소유자가 선장 또는 1등항해사 중에서 의료관리자 또는 응급처치담당자를 지정하도록 제도적 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원에 대한 원격의료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의료관리자에게 원격의료 상황에서 원격지의사를 보조하여 원만한 의료행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의 마련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다섯째, 선원의 건강문제에 대하여 상병 후 치료 중심에서 발병 예방 중심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선박에 비치할 건강측정장비를 개발하고 평소에 선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예방적 선원건강관리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은 선원건강증진센터를 설치․운영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융복합 연구

        이한나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융복합 연구이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근력저하 여성노인 45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방법으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84점이었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유산소 신체활동, 스트레스 인지정도, 관절염, 골다공증, 우울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은 연령(t=-2.68, p =.008), 교육수준(t=2.85, p =.005), 주관적 건강상태(t=7.24, p <.001), 스트레스 인지정도(t=-2.73, p =.007), 유산소 신체활동(t=2.62, p =.009), 관절염(t=-3.33, p <.001)이었고, 설명력은 33.5%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 으로 근력저하 여성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력을 증진하고 관절염을 관리할 수 있는 신체활동 을 포함한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women with low muscle strength in Korea. The study design was a cross sectional study based on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level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older women with low muscle strength was 0.8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HRQoL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perceived health, aerobic exercise, perceived stress, arthritis, osteoporosis and depression. The risk factors of HRQoL in older women with low muscle strength were age, education level, perceived health, perceived stress, aerobic exercise and arthritis. Based on this results to improve HRQoL,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muscle strength and to manage arthritis in older women.

      • KCI등재

        건강지도자의 건강행위 동기요소, 지각된 건강상태, 지식향상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교육전·후 변화

        김금숙,김영희,이정인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농촌지역 건강지도자의 건강행위 동기요소, 지각된 건강상태, 지식향상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교육전·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남 C군에 소재한 보건소에서 실시한 ‘건강지도자 양성교육’에 참여한 건강지도자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지도자 양성 교육 후 건강행위 동기요소 중 인지된 유익성은 의미있는 증가, 인지된 장애는 의미있는 감소, 지각된 건강상태, 지식향상도의 의미있는 증가를 나타내어 건강지도자 양성교육이 건강행위 동기요소, 지각된 건강상태, 지식향상도의 증가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리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건강지도자 양성교육’이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ealth leader education on health behavior motiv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knowledge improve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living in rural area. The subjects consisted of 50 health leader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leader education program. Pre-and post-education tests were collected after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with frequency, means, ANOVA, Paired t-test. The data significant changes in motiv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knowledge improvement. The data not significan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is study, a continuous health leader education program through a community health center is needed for rural community people.

      • KCI등재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평가 및 선호도 분석

        전상민,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소비자가 식품 건강 정보를 충분히 알고 올바르게 식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소비자지향적 제도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소비자는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제도가 도입될 경우, 건강강조표시를 자주 이용하고 신뢰하며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는 건강강조표시가 되어 있는 제품의 품질이 우위일 것으로 기대하였고, 건강강조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가격 인상에 대해서도 높은 수용 의도를 보였다. 단, 건강 정보가 부족한 소비자는 가공식품 건강강조표시제도의 도입 효과를 공유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자평가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소비자는 가공식품 건강강조표시의 유형 중, 평소 익숙하게 접해왔던 영양소기능강조표시를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질병위험감소표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 내용에 있어서는 기능성 내용을 가장 선호하였고 주의환기표시나 한도량과 같은 경고성 표시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표시 형식에 대해 소비자는 주 표시 면에 12포인트 이상의 큰 글자로 표시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넷째, 소비자가 선호하는 소비자교육⋅홍보 매체는 제품 표시 면과 언론매체의 방송 프로그램, 정부의 대중매체 광고 순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제도가 소비자권익 증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건강강조표시의 경고성 표시를 의무화하여 소비자 오인을 예방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점인 제품 구입 시 제공되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제품 표시와 소비자가 쉽고 반복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하고, 제도 도입 초기에는 모든 계층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교육과 홍보를 진행해야 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a way of introducing the health claims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through collecting consumer evaluation and preference for health claims in order to provide consumers with accurate health information on food and assist them to properly choose fo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ould trust and often utilize health claims on food, if the health claims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is introduc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health claims would raise consumers' level of knowledge on food. Second, consumers expected that food with health claims would have better quality than other food products. Thus, they said, they would willingly accept price increase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health claims. However, consumers who lacked health information were rarely expected to share the benefits genera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health claims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Consumer evaluations did not display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demographic variables. Third, the type of health claims on processed food preferred the most by consumers was the nutrient function claim, followed by reduction of disease risk claim. As for the content of the claims, they preferred food function related content the most and displayed little preference for an attention claim or caution claim. As for the size of the font used to write health claims, consumers preferred 12-point font and above. Fourth, the means of consum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preferred most by consumers was the surface of food products, followed by radio and TV broadcasting programs, and the government's advertisements in mass media. Consequently, in order to enhance consumer rights and prevent counsemr misunderstanding, functional content should be written accurately and briefly and cautous content should be compulsory. In addition, In order to raise the effects of consumer education,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when consumers purchase food products. In addition, health claims should be placed in a noticeable spot of the food package. Furthermore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broadcasting programs should be utilized to allow consumers to acquire information easily and repeatedly. Consumers displayed littl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s of the degree of use and utilization with regard to 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consum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need to access all of consumers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health system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Consumers who lack health information can hardly share the benefi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even when they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nd education. In spite of their lack of health information, they still fail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health claims. Thus some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m. In order to allow them to share the health enhancing effects of the system, the minimum criteria for health claims should be set to enable them to select good quality food products though they fail to understand health claims.

      • KCI등재

        여성의 재생산건강권 보장에 관한 소고 : 보조생식술에서의 배아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김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0 이화젠더법학 Vol.1 No.1

        여성의 재생산건강권은 여성이 재생산의 기능 및 과정과 관계되는 모든 문제들에 있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보장받을 권리로서 인권에 해당하는 권리임이 국제적 논의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에 채취된 난자와 정자를 이용하여 체외에서 생성된 배아를 자궁 내로 이식 받는 방식의 보조생식술을 통해 임신을 시도하는 여성은 임신·출산을 위해 생명의료과학기술 내지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로서 그 시행의 전 과정에서 재생산건강권을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모성 보호를 규정하고 있는「헌법」등에 의해 여성의 재생산건강권이 보장되고 있으나, 보조생식술의 시행에 관한 세부적인 규정을 포함하고 있는「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비롯한 그 어느 법률에도 배아이식술에 관한 직접적인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식되는 배아의 수를 사실상 배아생성의료기관이나 시술을 직접 담당하는 의료인이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이식되는 배아의 수가 과다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인 다태임신 때문에 임신 여성이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침해를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태임신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거나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신된 태아의 수를 감소시키는 선택적태아감수술이 시행되는 경우 임신의 유지와 임신의 중단을 동시에 경험한다거나 결과적으로 잔여 태아도 유산되는 문제 등으로 인해 역시 건강상의 침해를 감당하여야 하는 경우까지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에게 재생산권리의 보장은 단지 임신·출산이라는 목적의 달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만이 아니라 안전하고 건강하게 재생산능력을 이용하는 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까지 이르러야 하는 바, 임신을 목적으로 배아이식을 받는 여성을 위해서는 임신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되 다태임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최소한도의 배아가 이식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성의 재생산건강권은 임신·출산이라는 목적 내지 결과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이의 주체가 되는 자 내지 재생산능력을 이용하는 자로서의 여성이 그 존재가치를 존중받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살펴져야 한다.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s is the right to guarantee the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in all matters relating to the reproductive system and to its functions and processes, so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s is the one of the human rights. The women who use the assisted eproductive technology must be able to possess and enjoy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s. In Korea, this right has been secured by the constitutional law and so forth. But 「Bioethics and Safety Act」that regulates the assisted reproduction and the embryo producing medical institution does not include the provision to control the embryo transfer. The multi-embryo transfer has caused the multi-fetal pregnancy, so the pregnant has the side effect like a gestosis. And the multi-fetal pregnancy has been settled by the selective fetal reduction, so the pregnant also has the side effect like a premature delivery and an abortive birth. To ensure the women’s reproductive health rights has an object to the secur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women in the whole process of the us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 well as to achieve the final aim(the gestation of the fetus and the birth of the baby). Therefore, the number of the embryo that will be transferred in the uterus of women must be minimized in the necessary need not only to guarantee the reproductive health of women from the side effect of the multi-fetal pregnancy but also to expect the successional pregnancy. From this day forward, we have to respect the woman’s reproductive health rights as the human rights of the all woman to guarantee the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in all matters relating to the reproductive system and to its functions and processes.

      • KCI등재후보

        한국인은 어떤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는가? 2015년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

        박현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8 No.3

        Background:The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is increasing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revalence, types, and trends of dietary supplement (DS) use in Korean adults. Methods:We analyzed the Nutrition Survey data of Korean aged 19 years old or older from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wo thousand and six hundred twenty one men and 3,324 women totaling 5,945 adults were included. The prevalence of DS use was calculated by two methods, i.e., consumption experience of more than two weeks during previous one year and current consumption. Each reported DS in the one day 24 hour recall was coded based on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2016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tification. Results:The prevalence (standard error) of current DS use was 18.4% (1.2) for men, 27.4% (1.1) for women. Those with DS use for longer than two weeks during previous one year were 35.2% (1.5), and 50.4% (1.2),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Multi-vitamin mineral supplement (89.6/10 3 persons) wa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DS in Korean adults followed by vitamin C (66.2/10 3 persons), omega 3 fatty acid (49.5/10 3 persons), Panax ginseng (27.3/10 3 persons), and probiotics (22.2/10 3 persons) in listing. Conclusions:The trend for DS use in Korean adults is changing as well as increasing.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 care.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에서 건강기능식품 복용률과 실제 복용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를 파악하기위해 실시되었다. 방법: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이상 성인 남성 2,621명, 여성 3,324명 총 5,94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건강기능식품 복용률은 두 가지 방법인1) 식생활조사에서 설문한 지난 1년간 2주 이상의 건강기능식품 복용 경험률과 2) 식품섭취조사의 24시간 회상법에서조사된 조사 1일 전 건강기능식품 복용률로 평가하였다. 24시간 회상법에서 섭취한 것으로 보고된 건강기능식품은2016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의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건강기능식품의 현재 복용률은 남성 18.4% (1.2), 여성 27.4% (1.1)였다. 지난 1년간 2주 이상 건강기능식품복용률은 남성 35.2% (1.5), 여성 50.4% (1.2)였다. 종합비타민무기질제(89.6/10 3 명)가 한국인 성인에서 가장 자주 복용되는 건강기능식품이었으며, 2위는 비타민 C (66.2/10 3 명), 3위 오메가 3 (49.5/10 3명), 4위 인삼(27.3/10 3명), 5위 유산균(22.2/10 3명)이었다. 결론: 한국인 성인에서 건강기능식품 복용률은 증가하고있으며, 복용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이 종류가 다양해지고, 선호되는 건강기능식품의 품목도 변하고 있다. 의료인들은환자진료에 있어 건강기능식품 복용 여부를 염두해 두어야 하겠다.

      • 서울시 정신응급대응 현황조사 보고서(2021년)

        김지은,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2 정신건강연구집 Vol.12 No.-

        ▪조사목적: 서울지역 정신응급 현황자료를 수집하고자 25개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및 보건소, 서울경찰청 데이터를 토대로 근거자료를 생성하고, 체계적인 정신응급 대응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9년부터 매년 정신응급대응 현황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조사방법: 조사대상에 따라 별도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정신응급 대응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자치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 조사표를 발송하여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정신응급대응 현황을 익월마다 서면 모니터링하였고, 둘째, 서울경찰청 생활질서계 정신질환자 보호조치 담당부서에 2022년 5월 서면조사를 실시하여 2021년 연간 응급입원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셋째,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데이터정보운영팀에서 실시한 ‘서울시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서비스 현황조사’를 통해 자치구 보건소의 정신응급대응 업무 관련 현황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2021년 연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평일주간 정신응급 출동 현황은 총 1,268건으로 ‘19년 1,204건, ’20년 1,038건 대비 증가하였다. 출동 요청 기관 중 행정기관이 946건(74.6%)으로 가장 많으며, 그 중 경찰 요청이 735건(77.7%)으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응급개입 소요시간은 평균 3.8시간, 최장 16시간이며, 1시간 이상~3시간 미만이 731건(57.6%)로 가장 많았다. 전체 응급출동 건 중 출동인력 2인이 출동한 건수는 1,054건(83.1%)이며, 1인 출동의 경우도 214건(16.9%)으로 나타났다. 개입 대상자는 남성(53.2%), 50대(25.7%), 건강보험(45.8%)이 많았으며, 정신건강 문제로는 조현병이 487건(38.4%), 기타 우울 297건(23.4%), 알코올 및 물질중독문제 230건(18.1%)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살 문제가 있는 경우는 518건으로 40.9%를 차지한다. 정신건강복지센터 미등록 대상자인 경우가 1,044명(82.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추후 모니터링을 통해 37명(3.5%)만이 신규등록되어 정신건강서비스를 받게되었다. 정신응급 출동의 주요조치는 정보제공이 347건(27.4%), 응급입원 연계 216건(17.0%) 순으로 나타났고, 정신과적 입원연계 건은 총 477건으로 서울지역 내 입원된 건은 246건(51.6%), 서울 외 지역 입원연계 건은 230건(47.9%)로 조사되었다. 서울경찰청의 2021년 정신응급 신고 건 중 응급입원건 881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는데, 이 중 681건(77.3%)이 응급입원이 수용된 건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입원 불가사유로는 진료 후 퇴원(137명,68.5%), 병상부족(33명,16.5%)이 주요원인으로 나타났다. 응급입원은 서울시 내에서 442명(64,9%) 시행되었고, 응급입원 발생 시간은 평일 주간이 295건(52.5%)으로 가장 높았다. 25개 자치구 보건소의 진단 및 보호신청 건은 2021년 한 해 678건, 외래치료지원제 청구 및 결정 건은 각 19건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치구마다 편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평일주간 정신응급 현장대응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서울 내 응급병상 부족 및 이로 인한 응급개입 소요시간 증가, 전문요원 출동인력 부족, 미등록자의 신규등록 등 서비스 유입의 한계 또한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정신응급 관련 데이터는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일차반응자(경찰, 소방) 등 기타 유관기관에 산재되어 있으며, 국가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를 이유로 제공 받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에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수집 가능한 정보를 중심으로 2019년부터 정신응급대응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해오고 있으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 서울시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운영을 시작으로 평일 야간, 주말 및 휴일의 정신응급대응 현황까지 확대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고 근거를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서울시 전체의 응급발생 규모 파악, 정신응급 상황의 원활한 대응, 지역 관리체계 구축 기반 마련 등 이에 수반되는 문제와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주요용어: 정신응급, 정신응급대응체계,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정신응급대응 ▪Survey Purpose: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in Seoul, the base data a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of the 25 districts and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In order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the systematic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has been done every year since 2019. ▪Survey Method: Separate questions were composed depending on survey subjects to do the survey. First, a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an autonomous district doing the work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to perform documentary monitoring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every month from January 2021 to December 2021. Second, a documentary survey on the Life Order Se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department handling a protective action on a mental patient, in May 2022 to collect the annual emergency hospitalization monitoring data for 2021. Third, the currents status on the work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of autonomous distric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agencies and services in Seoul’ done by the Data & Information Management Team of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Survey Results: The current state of the annual weekday daily psychiatric emergency actions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2021 is total 1,268 cases showing increase compared to the 1,204 cases for 2019 and the 1,038 cases for 2020. Among the action request agencies, administrative agencies take up the largest portion of 946 cases (74.6%), and police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735 cases (77.7%). The time needed for emergency intervention is the average time of 3.8 hours and the longest time of 16 hours. The time of no less than 1 hour and less than 3 hours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731 cases (57.6%). Among the total emergency action cases, the actions taken by two action staffs takes up the portion of 1,054 cases (83.1%), and the actions taken by one action staff takes up the portion of 214 cases (16.9%). The largest portions of intervention subjects are male (53.2%), fifties (25.7%), and health insurance (45.8%). For mental health problems,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alcohol and substance addiction take up the portions of 487 cases (38.4%), 297 cases (23.4%), and 230 cases (18.1%) in order. Among them, suicide takes up the portion of 518 cases (40.9%). The unregistered subjects of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take up the large portion of 1,044 persons (82.3%). Only 37 persons (3.5%) were newly registered through monitoring later to receive the mental health service. The major measures of psychiatric emergency actions take up the portions of 347 information provision cases (27.4%) and 216 emergency hospitalization linkage cases (17.0%) in order. According to the survey, psychiatric hospitalization linkage cases are total 477 cases including the 246 cases (51.6%) of hospitalization within the Seoul region and the 230 cases (47.9%) of hospitalization linkage with the regions outside Seoul. According to the monitoring performed for the 881 emergency hospitalization cases among the cases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port to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for 2021. The emergency hospitalization acceptance cases are 681 cases (77.3%), and the major reasons of impossible emergency hospitalization are discharge after treatment (137 persons, 68.5%) and lack of sickbeds (33 persons, 16.5%). Emergency hospitalization was performed for 442 persons (64.9%) in Seoul. The highest emergency hospitalization occurrence time is weekday daytime in 295 cases (52.5%).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678 medical examination and provide care request cases of the 25 autonomous district medical centers and 19 Support for Outpatient Treatment request and determination cases respectively. Deviation could be checked for each autonomous distric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weekday daytime psychiatric emergency on-site response is increasing every year with the shortage of emergency sickbeds in Seoul and the increase of the time required for relevant emergency intervention, with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and action staffs, and with the limitation of service inflow such as the new registration of unregistered persons. The data related to psychiatric emergency are dispersed in other relevant agencies such as first responders (police and fire stations). It is difficult to receive national data due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ly, focusing on collectable information,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has accumulated th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since 2019 and will accumulate data with the basis generated through the expansion to the current stat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during weekday nights, weekends, and holidays with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enter’. Accordingly, it is supposed to steadily discuss the accompanying issues and improvement plans including the monitoring on the total emergency occurrence scale in Seoul, the smooth response to psychiatric emergency situations, and preparation of the basis for building the regional management system. ▪Keywords: Psychiatric emergenc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communit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