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현황지목 분류에 관한 연구 : UAV 영상 활용을 중심으로

        신하나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UAV 영상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현황지목 식별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첫째, UAV 촬영 대상지를 선정하여 그 지역에 대한 영상 취득을 하였다. 둘째, 위에서 취득한 UAV 영상에 대하여 객체 기반 영상 분류를 실시하였다. 셋째, 분류된 객체와 영상을 중첩하여 현황지목 분류를 위한 Training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6개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Training 데이터를 분류하고 성능을 비교하였다. 넷째, 6개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부터 얻은 래스터 자료와 법정 지목의 일치율 분석을 위해 연속지적도의 지목을 기반으로 한 래스터화 작업이 시도되었다. 다섯째, 마지막으로 Grid to Grid 방식을 이용하여 일치율 분석을 하였다. 영상처리는 Pix4D를 이용하였고, 자료 처리 및 분석은 QGIS, SAGA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1차 분류인 현황지목 분류에 있어 6개의 기계학습 알고리즘별 성능 평가를 위해 분류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Kappa 지수를 비교하였다. 둘째, 법정 지목과 현황지목의 일치도 분석을 위해 Kappa 및 Overall Accuracy를 비교하여 지목별, 기계학습 알고리즘별 정확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Nearest Neighbor의 알고리즘이 현황지목 분류에 있어서 가장 높은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ecision Tree, Support Vector Machine, Random Forest, Naive Bayes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으나 Artificial Neural Network은 낮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법정 지목과 현황지목 일치율 분석에 있어서는 Support Vector Machine이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K-Nearest Neighbor, Decision Tree, Random Forest, Naive Bayes 등도 법정 지목과 현황지목 일치율 분석에 있어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으나 현황지목 분류에서와 마찬가지로 Artificial Neural Network은 낮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농촌지역의 현황지목만을 분석하였을 뿐이다. 따라서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현황지목을 분류한다면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만약에 UAV 영상분석에 있어서 다른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시용했다면 전혀 다른 결과를 도출했을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에서 단지 6개의 알고리즘만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Sharkrf나 Sharkkm 와 같은 다른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과수원의 경우 임야와 구분이 어렵다는 점이다. 임야와 과수원의 경우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OBIA를 이용하여 이들 간의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황지목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 OBIA뿐만 아니라 또한 Pixel 기반의 분류 기법이 동시에 이용되어야만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ore efficient and reliable method for identifying land use categories using UAV image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uthor us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e UAV filming site was selected to acquire the image of the area. Second, object-based image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on the UAV images acquired above. Third, we extracted the training data for classifying the current category by superimposing the classified objects and pictures, and organizing the training data using six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comparing the performances. Fourth, a rasterization task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ntinuous cadastral maps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agreement rate between the raster data obtained from the six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the legal land use categories. Fifth, we examined the concordance rate using the Grid to Grid method. Pix4d was used for image processing, and QGIS and SAGA GIS programs were utiliz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he Kappa index, which represents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ix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econd, Kappa and Overall Accuracy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accuracy of each category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 As a result, the K-Nearest Neighbor algorithm has the highest reliability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current category. Besides, decision trees, SVM, Random Forest, and Naive Bayes showed high reliability, but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ed low reliability. Second, SVM showed the highest reliability in analyzing the statutory and current status agreement rates. Also, K-Nearest Neighbor, Decision Tree, Random Forest, Naive Bayes showed relatively high reliability in the analysis of legal and existing category agreements, but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ed low reliabilit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only analyzes the current land use categories of rural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refore, if we classify the existing land use categories of urban areas using the same algorithms, different results may be obtained. Second, if differen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re used in UAV image analysis, totally different results could be obtained. In this study, only six algorithms were used among the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us, using othe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Sharkrf or Sharkkm may yield different results. Third, in the case of orchard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from forestry. Because forests and orchards have simi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them using OBIA. Therefor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not only OBIA but also pixel-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should be used simultaneously in classifying the current land use categories.

      • 성경적 관점에서 바라 본 성인초기 불안문제에 대한 연구

        신하나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성인초기에 경험하는 불안 문제에 대해 보다 근본적인 변화와 회복을 위하여, 그들의 마음의 동기를 살피고 사랑으로 진리를 말하는 성경적인 접근을 통하여 전인적인 변화로 이끄는데 목적이 있다. 불안이라는 감정은 전 생애에 걸쳐서 흔하게 경험한다. 시험이나 면접 상황과 같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불안을 경험하며 방송 매체를 통해 알려지고 있는 다수의 방송인들이 겪고 있다는 공황장애와 같은 병리적인 관점에서의 불안까지 그 범위는 굉장히 넓다. 선행 연구와 문헌 연구를 통해서 불안을 통해 나타나는 증상과 불안에 대한 각 심리학적인 입장은 어떠한지에 대해 이해하고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 치료의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각의 심리학과 심리치료에서는 병리적인 불안에만 많은 관심을 두고 그 증상을 치료하고 완화 및 해소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성인초기에는 대부분이 학업을 끝내고 구직과 결혼이라는 발달 과업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시기이다. 이때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많은 이들이 자신이 원하는 바와 목표하는 삶을 지향점으로 두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현실은 너무나 낮은 취업률과 거기서 파생되어지는 인간관계와 독립, 결혼, 육아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병리적인 수준에서의 불안이 아닌 성인초기에 있는 이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상황 속에서 느끼는 불안을 연구하였으며 더 나아가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성경이 말하는 불안에 대해 성경 본문과 문헌 연구 등을 통해 연구하였다. 성경은 인간은 죄로 인해 타락한 존재이며 그 인간관을 바탕으로 성경적 상담은 모든 문제는 죄로 인하여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으며 죄악 된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이해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성인초기에 경험하는 불안문제를 불안의 기저에 깔려 있는 마음의 동기를 살펴보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골 1:28)로 세우고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성경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 1920~30년대 김제지역의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

        신하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1920~30년대 김제지역의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김제지역은 일본인 대농장이 집중적으로 분포하여 쌀 수탈과 착취의 중심지였다. 자작농은 감소하고 소작농이 증가하여 소작농의 수와 비율이 최고조의 상태였고, 김제지역민 대부분은 어려운 생활을 영위하였다. 1910년대에는 일제가 설립한 학교에 취학하는 것을 기피했던 조선인들이 1920년대 이후에는 앞다투어 입학하려고 하여 보통학교에서 극심한 입학난이 야기되었다. 김제지역에도 보통학교의 입학지원자가 급증하였고, 입학난이 만성적이었다. 이에 김제지역민은 경제적 궁핍 속에서도 보통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을 주체적으로 전개한다.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은 초등교육의 부실로 인한 지역 주민들의 교육 요구와 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열기가 더해져 집단적인 운동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었다.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은 신설운동, 승격운동, 학년연장 및 학급증설운동의 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김제지역 공립보통학교의 증설운동을 주도한 사람들은 대부분 지방의 유지, 면장, 청년회․학부형회 등이었다. 공보설립기성회, 학년연장기성회, 학급증설기성회 등 증설운동의 주축이 된 단체의 구성원이 대부분 일정이상의 근대교육을 받은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보아 독자적으로 증설운동을 했다기보다는 모든 주도층들의 협조하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민들은 학교증설운동이 자신의 면내에 일어났을 때 적극적으로 기부, 호별할등급, 계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학교증설운동에 참여하였다. 재정확보방식은 재산 소유 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기부를 하는 경우, 주민들이 공동으로 기부하는 경우, 유력한 자산가의 거액 기부에 의존하는 경우 등 다양했지만, 재정확보방식의 주류는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이고 집단적인 참여였다. 김제지역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은 ‘주민’에 의해 이루어진 ‘주민’들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주민교육운동’의 성격을 띠는 동시에 거주 동리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적 성격을 띤다. 1920년대 이후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은 지역단위로 그 지역의 주민들에 의해 각 지역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발적, 집단적으로 참여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에서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은 자발적이면서 지역 공동체적인 성격을 매우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특히 김제지역은 ‘面’이라는 지역적․행정적 단위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공동생활을 영위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공동체적인 교육 운동이 더욱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었다. 김제지역에서는 공립보통학교 증설운동 중에서도 학년연장운동이 가장 활발했다. 1920년대 김제지역은 신설된 4년제 학교가 많고, 6년제 학교의 비중이 낮았다. 학생 수용을 위해 학교 신설을 늘리는 가운데 학교가 부족했던 김제지역은 4년제에서 6년제로의 학년연장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을 것이다. 이는 김제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지역민들이 당국에 학교의 신․증설을 요구하는 한편, 스스로 기성회를 조직하고 기금을 적립하여 보통학교의 증설에 적극 가담하게 되는 이유였다. 나아가 김제지역민은 보통학교 설립을 기본적으로 요구하였지만 그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선책으로 간이학교를 선택하였고, 그것이라도 설립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렇듯 지역 주민들의 공립보통학교 설립 노력으로 보통학교를 중심으로 한 초등교육이 김제지역에 확산되었다. 따라서 김제지역의 초등교육 확대는 기본적으로 우민화 정책을 기조로 하는 식민지배 정책과 어려운 사회․경제적 상황하에서도 지역민들이 운동을 통하여 교육 기회를 스스로 확보한 결과로써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 체육교사의 뉴스포츠 수업을 통한 실행경험과 교육적 가치 탐구

        신하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뉴스포츠 수업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구체적인 실행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뉴스포츠 수업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의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체육교사 3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문서,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분석과 귀납적 분석을 하였으며 다각도 분석, 연구 참여자와의 검토, 전문가 및 동료 간 협의를 통해 자료의 진실성과 타당도를 높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뉴스포츠 수업은 ‘학생을 위한 좋은 체육수업’이라는 교사들의 고민과 연구로부터 실행되었고, 이는 고민의 긍정적인 대안이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기존 체육수업의 단점을 보완하여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체육을 즐겁게 생활화하기 위해 뉴스포츠를 도입하였다. 둘째, 뉴스포츠 수업 실행에서의 문제점 및 극복방안은 수업환경에 대한 물리적·심리적 요인과 수업운영에 대한 학생·교사·수업 요인이 있었다. 물리적 요인에 대한 극복방안은 효율적인 수업 편성·유휴시설 이용·기구 대체 및 제작·협회나 단체의 지원이었으며, 심리적 요인에 대한 극복방안은 활발한 의사소통 및 협력이었다. 학생 요인의 극복방안은 상황에 따른 판단·난이도 조절이 있었고 교사 요인의 극복방안은 교과 연구·긍정적 인식 확대였다. 수업 요인의 극복방안은 뉴스포츠 자체에 대한 성장·발전이었다. 셋째, 학교 현장의 뉴스포츠 실행경험에 따른 교육적 가치는 심동적·정의적·인지적 영역의 종합적인 발달이 가능한 전인교육으로 나타났다. 뉴스포츠 수업은 스포츠에 대한 학생들의 부담감과 두려움을 낮춰 성취감·만족감 습득에 기여하며 인성 및 창의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뉴스포츠의 교육적 가치 극대화와 바람직한 체육수업의 목표 실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뉴스포츠 종목 다양화 및 난이도 조절 등의 지속적인 발전과 활용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 depth the practical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New Sports and to understand the value crea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ase analysis and inductive analysis, and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the data were improved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review with the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between experts and pe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 Sports class was initiated through research and concerns by teachers around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students”. Thus, this study shaped a form of a solu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troduced New Sports to improve participation and to create a more enjoyabl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New Sports classes resulted from class management (class environment, students and teach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Physical factors can be resolved through effective teaching, sponsorships form externals, optimal facility utilization and equipment. Moreover,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an be used to cope with psychological factors. The answer to student related factors was to be flexible with judgement and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Furthermore, for teachers, was to expand the positive awareness of New Sports. Class management factors can be resolved through the growth and develop of New Sports. Thir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new sports class was the whole-rounded education which can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psychomotor,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New sports classes have sufficient educational value because they can lower student entry barriers to sports, contribute to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enable personality and creativit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ducational value of new sports and realize the goal of desirable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is, continuou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re required such as diversification of new sports and difficulty control.

      • 보육시설 평가인증 도입에 따른 보육의 질적 수준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하나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21인 이상 보육시설의 교원을 대상으로 평가인증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고, 보육의 질을 어떻게 향상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보육시설평가인증을 신청하고자 하는 보육기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설정한 연구문제는 평가인증 실시전과 실시 후의 질적수준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운영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셋째, 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넷째,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다섯째, 건강과 영양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여섯째, 안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일곱째, 가족 및 지역사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가인증 전과 평가인증 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에 위치해 있는 21일이상 보육시설중 평가인증을 받은 곳에서 근무하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사용한 도구는 평가인증지침서(2008)와 대표적인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연구자가 작성한 후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표영역에 따라 보육의 질적 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Windows용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해 검증시점을 인증전과 인증후로 나누어 평균값을 가지고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영역을 기준으로 인증 전 교사의 인식과 인증 후의 교사의 인식에 대한 평정척도 평균점수를 가지고 변화폭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보육환경(1.01)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운영관리(0.82), 보육과정(0.64), 안전(0.66), 건강과 영양(0.64), 가족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0.61) 그리고 변화의 폭이 가장 적게 나타난 영역은 상호작용(0.6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기관에서 보육과정의 년간 월간 주간 일일계획안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보육과정에 대한 운영실태의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가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연구되었으나, 보육시설 평가인증 도입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인증 평가된 보육시설 현장에서 실제 적응하고 있는 유아들의 적응행동에 대한 관찰연구가 필요하다.

      •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슈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

        신하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슈퍼바이지 애착전략의 하위요인인 회피, 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전문아동상담센터, 대학부설 놀이 치료실,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병원 내 놀이치료실 등에서 놀이치료를 진행 중인 놀이치료자 2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 슈퍼바이지 애착전략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 총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찰,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 개념화기술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확인하기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전이 관리능력 총점과 하위 요인 중 불안관리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슈퍼바이지 애착전략 하위요인인 회피, 거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절애착전략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슈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슈퍼바이지 애착전략 하위요인 중 회피애착전략이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슈퍼바이지 애착전략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슈퍼 바이지 애착전략 중 회피애착전략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놀이치료자의 소진 예방을 위한 보호요인들 중 하나로서 슈퍼바이지 애착전략을 검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betwee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comprised of 240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area of play therapy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If the results thus obtained were judged to be significant or otherwise meaningful, has they were then further analyzed graphically and a simple slop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s of the total score of play therapis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its sub-factors (anxiety management) predic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burnout. Second, higher levels of the sub-factors of supervisee's attachment strategies (rejection) predicted significantly higher burnout. Third, it was found that supervisee's avoidance attachment strategy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lay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y sub-factors betwee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supervisee's attachment strategies as one of the protection factors for the prevention of burnout of play therapists.

      • 요로전환술을 받은 남성 방광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와 건강관련 삶의 질

        신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방광암은 전 세계 암 유병률 중 7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환자들은 다양한 증상들을 경험하고 있다. 두 개 이상의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증상 클러스터(Symptom Cluster)라고 하는데, 환자들이 호소하는 단일 증상에 대한 접근보다는 서로 연관되어있는 증상들의 통합적인 접근과 중재가 요구됨에 따라 실무에서는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증상 클러스터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방광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방광암 환자들의 증상 클러스터를 규명하고 효과적으로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연구 대상자는 방광암으로 진단받고 요로전환술 후 6개월이 경과한 남성환자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11일부터 2019년 11월 30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Y 대학교 부속병원 비뇨의학과 외래 및 병동에서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 표본 t검정, 분산분석(One Way ANOVA), 상관 분석, 요인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는 총 120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71.31(±8.88)세이며, 109명(90.8%)의 대상자가 배우자가 있으며 돌봄 제공자가 있다고 응답했다. 암 진단 병기는 stage Ⅲ, Ⅳ가 72명(60.0%)으로 많았고, 요로전환술 타입으로는 회장도 관요로전환술이 79명(65.7%), 요관 피부 문합술이 29명(24.2%), 정위성방광대치술이 12명(10.0%)의 순으로 많았다. 수술 후 경과 시기는 평균 54.34(±57.97)개월이었다. 2. 본 연구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168점 만점에 평균 96.39(±26.90)점 이었고 100점으로 환산했을 때 57.38점 정도의 수준이었다. 하부 영역별 삶의 질 평균 점수는 신체적 건강 21.13(±5.13)/28점, 정서적 건강 15.95(±5.79)/24 점, 사회적/가족적 건강 14.96(±5.02)/28점, 기능적 건강 14.28(±7.07)/28점, 추가적인 문제들(radical cystectomy-specific) 30.08(±10.11)/60점 순으로 높았다. 3. 본 연구 대상자의 증상 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48(±0.63)점이었다. 가장 정도가 심한 증상으로는 발기부전(0.28±0.81), 삶을 즐기기 어려움(1.56±1.29),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 저하(1.62±1.32) 순으로 낮았고 가장 경미한 증상으로는 오심(3.58±0.85), 소변조절 어려움(3.42±1.16), 현기증(3.36±0.96)으로 높았다. 4. 본 연구 대상자의 클러스터는 총 3개로 규명되었으며 제 1요인은 피로-체중감소 클러스터(Fatigue-weight loss cluster), 제 2요인은 정서적 디스트레스 클러스터(Emotional distress cluster), 제 3요인은 식욕-수면장애-삶의 질 클러스터(Appetite-sleep disturbance-QoL cluster)로 확인되었다. 가장 정도가 심한 클러스터로는 식욕-수면장애-삶의 질 클러스터(1.90±1.03), 정서적 디스트레스 클러스터(2.49±1.04), 피로-체중감소 클러스터(2.69±1.61) 순 이었다. 5. 본 연구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식욕-수면장애-삶의 질 클러스터(β=14.366, p<.001), 피로-체중감소 클러스터(β=5.454, p<.001), 정서적 디스트레스 클러스터(β=7.036, p<.001), 연령(β=-.351, p=.016), 교육 수준(β=5.730, p=.027) 이였고 식욕-수면장애-삶의 질 클러스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77.8%였다(F=79.236, p<.001, R2=.778). 본 연구 결과에서는 요로전환술을 받은 남성 방광암 환자들이 다양한 증상들을 동시에 경험하며, 규명된 증상 클러스터는 전반적인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실무에서는 요로전환술을 받은 방광암 환자들이 경험하는 증상 클러스터에 대한 폭넓은 이해력이 요구되며, 단일 증상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증상 클러스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중재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Bladder cancer is the seventh most common malignancy in the world and patients experience various symptoms.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two or more of these symptoms is called‘Symptom Cluster’, an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in practice as it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and intervention of symptoms that are related to each other, rather than to a single symptom. Although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distressing symptoms affect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various cancers,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done with bladder cancers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ymptom clusters and their rel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male bladder cancer patients with urinary diversion.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and cross sectional study. Participants were male bladder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cystectomy and urinary diversion more than 6 months after the primary diagnosi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inpatients and outpatients at the department of urology,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September 11th, 2019 to November 30th,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Cronbach’s alpha using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A total of 120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was 71.31(±8.88) and 109(90.8%) of them had spouses and caregivers and caregivers. The most common stage of cancer diagnosis was stage Ⅲ and Ⅳ(60.0%). Seventy-nine out of 120 patients (65.7%) received an ICUD, 29 out of 120 patients (24.2%) received a Ureterocutaneostomy and 12 out of 120 patients (10.0%) received a Neobladder. The average time from surgery to participate the study was 54.34(±57.97) months. 2. The mean score for HRQoL was 96.39(±26.90) out of 168. The mean scores for physical, emotional, social, functional well-being and radical cystectomy-specific concerns were 21.13(±5.13), 15.95(±5.79), 14.96 (±5.02), 14.28(±7.07) and 30.08(±10.11) respectively. At the 100 point scale, the radical cystectomy-specific concerns were the lowest. 3. The mean score of symptom experience of this study was 2.48(±0.63) on the a scale of 4. The most severe symptoms was erection dysfunction(0.28±0.81), inability to enjoy life(1.56±1.29) and lower content with quality of life(1.62±1.32). The most mild symptoms was nausea(3.58±0.85), difficulty controlling urine(3.42±1.16), and dizziness(3.36±0.96). 4. Three symptom clusters were identified: Fatigue-weight loss cluster, Emotional distress cluster, and Appetite-sleep disturbance-QoL cluster. The most severe symptom cluster was Appetite-sleep disturbance-QoL Cluster(1.90±1.03), followed by Emotional distress cluster(2.49±1.04), and Fatigue-weight loss cluster(2.69±1.61). 5.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the factors to affect HRQoL were Appetite-sleep disturbance QoL cluster(β=14.366, p<.001), followed by Fatigue-weight loss cluster(β=5.454, p<.001), Emotional distress cluster(β=7.036, p<.001), age(β=-.351, p= .016) and education level(β=5.730, p= .027). The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77.8% of the variance (F=79.236, p<.001, R2= .778).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bladder cancer patients with urinary diversion experienced various symptoms at the same time, and the identified symptom clusters affected the overal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nursing practice requires a broad understanding of symptom clusters experienced by bladder cancer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effectively management of symptom clusters rather than focusing on a single symptom.

      •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연구

        신하나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개인적 요인과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부모 중재,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가정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0-14세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아동‧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로 구성된 총 92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으면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았다. 즉,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할 때 자녀의 미디어 이용 습관은 부모를 모델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기능적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감소하였으나 자녀인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가 없었다. 다시 말해, 부모의 미디어에 대한 높은 기능적 지식수준은 자녀의 바람직한 미디어 이용습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모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수준과는 관계가 없었지만 통제변수 중 하나인 또래집단 간의 미디어 관련 비판적 커뮤니케이션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부적 관계를 보여, 사춘기에 접어드는 아동‧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습관은 부모 보다는 또래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측요인을 주제로 하여, 부모와 자녀 간 스마트폰 중독 대물림 현상을 사회학습이론으로 설명하고 부모와 자녀를 모두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자의 데이터를 모아 실증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이론 및 방법론적으로 학문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아동‧청소년 교육과 부모 교육과 관련하여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영아기 자녀와 아버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신하나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논문 개요 본 연구는 가정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영아기 자녀와 아버지의 상호작용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영아와 상호작용 할 때 아버지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아버지의 노력은 어떠한지를 탐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아버지의 노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문화 기술적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연구 참여자는 영아 2명과 그들의 아버지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0년 10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각각 주 2-3회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은 비형식적인 형태로 수시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자료(참여관찰일지. 아버지와의 면담 전사본, 비디오 및 사진, 저널)를 반복하여 분류, 조직, 범주화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아버지들이 경험하는 첫 번째 어려움은 영아가 무엇을 원하는지, 영아들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지 못하는데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들은 영아의 행동을 영아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해석하고 반응하거나 때로는 영아의 신호에 무반응적인 행동을 취하였을 뿐 만 아니라 영아의 감정에 대한 대처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아버지들은 영아에게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즉, 아버지들은 영아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똑같은 문장과 단어를 반복하거나, 올바르지 못한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문제를 드러냈고 이는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영아의 아버지들은 위험하거나 새로운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느리고 더디었으며, 이로 인해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들은 한 가지 상황에만 집중하여 한꺼번에 여러 가지 행동을 할 수 없었으며 영아의 반응을 살피며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보다는 아버지의 주도적이고 일방적인 행동으로 인해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아버지들은 영아와 함께하는 시간이 부족하여 영아들의 행동패턴을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엄마를 더 찾고 따르는 영아들의 행동으로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영아의 아버지들은 영아와의 상호작용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내가 영아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모방하였으며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원인을 찾아보고 영아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시 반복하여 묻거나, 다른 말로 바꾸어 보는 등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영아의 의도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영아의 생활패턴을 경험하였으며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육아 상식을 익혔을 뿐 만 아니라 아내와의 대화를 통해 조언을 듣는 등 다양한 해결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 환경 친화적 시각에서 본 패션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신하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메를로 퐁티(Merleau-Ponty, Maurice)의 현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유기적 자연관에 따라 디자인의 원천을 탐구함으로써 사물 본연의 미적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근본적인 사고의 전환을 통해 미적 가치를 유추하고 환경 친화적 디자인에 있어 창조성을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발상의 유용한 도구로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환경, 사물, 시간, 공간들과 상호 관계성을 갖는 통합적 인식론인 현상학을 친환경과의 관계성을 통해 미니멀리즘을 재조명하였다. 본 연구 방법으로는 미니멀리즘의 근본적 배경이 된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 이론을 고찰하고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내적 가치와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관련 서적 및 사진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실증적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시대 범위는 2000년대를 중심으로 패션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 친화적 관점에서 현상학 이론에 접근하여 미니멀리즘을 특징을 분석한 결과, 사물성과 가시성, 시간과 공간, 인간과의 상호작용으로 조형적 특징을 정리 할 수 있다. 이는 환경 친화적 맥락에서 디자인방법으로 제시된다.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내적 가치와 조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성과 가시성은 사물을 옮겨 놓는 정도로 표현적인 개입을 최대한 절제하며 사물의 본질을 추구한다. 단지 보는 것 또는 보이는 것만으로 몸이 체험하는 공간들과 상호작용하며 비가시적인 영역까지 확대 지각하여 사물을 경험한다. 둘째, 시간과 공간은 가변적인 장소의 전환을 통해 이질적인 것을 담아내고 수용하여 사물의 가능성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공간은 시간 흐름 속 과정의 연속성과 관계하며 시공간의 변화를 심미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인간과의 상호작용은 인간, 사물, 공간, 시간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한 통합된 존재로 지각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성을 통해 사물과 시공간은 순수한 형태의 미학을 지향하는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제안한 현대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패션을 분석한 결과,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사물성과 가시성은 인위적인 가공에 의한 아름다움이 아닌 현존하는 기존 사물을 그대로 가져와 다양한 형태로 지각되는 사물의 재발견을 통해 본질을 체험하고 새로운 미적 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사물의 고유한 특징을 훼손하지 않고 재사용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등 사물의 재활용에 의한 단순화는 불필요한 제작과정을 줄여, 자원과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시간과 공간은 제각기 다른 공간과 시간 안에 존재했던 사물들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영역의 재탄생을 의미한다. 시공간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 및 소재의 결합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사물로 재창조된다. 재조합의 과정은 다양한 시공간의 결합으로 이질적인 것들을 담아내고 수용하여 일관성 있는 새로운 영역의 사물을 만들어 낸다. 시간과 공간의 특징은 새로운 지각활동과 경험을 유발하여 다양한 창작 활동을 가능하게 하며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인간과의 상호작용은 자연에 그대로 순응하며 일상적 사물들과의 관계를 통해 착용자로 하여금 참여를 이끌어 낸다. 즉 다양한 기능 및 연출을 통해 변화되는 새로운 미적 가치를 경험하게 된다. 자연과 일체감을 통한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의 근원적 배경을 바탕으로 환경 친화적 시각에서 미니멀리즘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디자인 방법은 기존 사물에 대한 아름다움의 재발견을 통해 근본적 개념을 이해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 접근하여 살펴 본 미니멀리즘과 친환경과의 관계성을 통해 패션 디자인 방법을 고찰한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 미니멀리즘의 내적 가치와 조형적 특징에 관한 숙고와 활용으로 친환경 패션 상품 디자인 개발에 창의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