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베디드 GPU에서 OpenCL을 사용한 빠르고 에너지 효율적인 지역적 이진 패턴 기반 얼굴인식

        우영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 임베디드 GPU가 OpenCL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임베디드 GPU도 GPGPU로 수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임베디드 GPU는 제한된 수와 성능의 프로세싱 코어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멀티코어 CPU와 임베디드 GPU를 모두 활용해야 한다. 한편, 얼굴인식은 많은 응용에서 중요해지고 있는데, 보다 정확한 인식을 위해서는 실시간에 더 많은 계산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널리 알려진 얼굴인식 알고리즘인 지역적 이진패턴 기반의 얼굴 인식기를 OpenCL을 사용하여 임베디드 GPU에서 가속한 결과를 제시한다. ARM Cortex-A15 듀얼코어 CPU와 ARM Mali 쿼드코어 GPU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된 Exynos 5250 시스템에서 가속했고, 태스크 병렬성과 데이터 병렬성을 모두 활용한 병렬화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Mali GPU의 벡터 연산기을 이용하여 추가로 성능을 가속하였다. 단일 쓰레드로 수행하는 CPU 구현에 비해서, 수행시간은 최대 7.5배까지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도 최대 82%까지 줄어들었다. Recently, embedded Graphics Processing Units (GPUs) have started to support OpenCL framework which enables general-purpose computing on a GPU (GPGPU). However, the current embedded GPUs usually have a limited number of cores.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 in such a system, it is essential to utilize both the multi-core CPU and the GPU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face recognition is becoming popular in many applications, demanding more computation for higher recognition accuracy in real-tim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Local Binary Pattern (LBP) based face recognizer implemented using OpenCL on an embedded GPU. We explored different parallelization strategies exploiting both task-parallelism and data-parallelism on a heterogeneous embedded system, Exynos 5250: a system with a dual-core ARM Cortex-A15 CPU and a quad-core ARM Mali GPU. In addition, we could achive additional performance gain using vector operations on Mali GPU vector uni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7.5 times speedup compared to a single threaded CPU execution, and 82%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교수설계 사고과정에 관한 프로토콜 분석:전문가와 초보자의 요구분석 사고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서정희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들은 자신들이 수행하고 있는 여러 직무 중에서 요구분석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Rothwell, 1997: 조대연, 2006에서 재인용). 그러나 국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교수설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자신의 전문성 부족으로 교수설계를 경험하지 않았다고 하였다(이성, 이수영, 이영민, 2008).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에서 인적자원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와 초보자의 요구분석 사고과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5명, 초보자 5명이 실제 요구분석 상황에서 수행하는 특성을 사고구술법을 통해 도출된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NVivo 질적 연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문가와 초보자의 요구분석 사고특성과 사고과정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와 초보자의 요구분석 사고과정에 관련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도출된 17개 범주는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들의 요구분석 사고과정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활용하여 요구분석 전문가 양성과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요구분석 사고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며 중요한 요소로 밝혀진 전문성 구성요소별 순서는 전문가의 경우 지식, 경험, 문제해결이고, 초보자의 경우 지식, 문제해결, 경험이었다. 이를 통하여 초보자는 요구분석에 대한 지속적인 반복과 경험을 통해 지식을 획득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전문성 구성요소별 전문가와 초보자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경험 측면에서 전문가는 요구분석을 할 때 목표와 관점에 따라 상황에 맞는 유연한 수행을 하며,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며 자신의 수행과정을 모니터링 한다. 초보자는 요구분석을 주도적으로 해 본 경험이 없었기에 다양한 경험에 대해서는 사고하지 않았다. 문제해결 측면에서 전문가는 문제를 개념적으로 더 풍부하게 잘 구조화하여 추상적 표상을 하여 요청부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요구가 발생하였을 경우 니즈의 맥락을 파악하고, 조직의 전략을 고려하여 교육적 또는 교육외적 해결대안을 모색한다. 초보자는 개념적으로 엉성하고 피상적인 표상을 하여 교육적 솔루션에만 중점을 두고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교육외적 솔루션에 대해서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지식 측면에서 전문가는 요구분석을 Performance에 Focus한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기반으로 수행(Do) 요구에 초점을 두고, 초보자는 Training에 Focus한 Learning & Development 기반으로 학습(Learn) 요구에 초점을 두고 요구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퍼포먼스 컨설턴트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와 초보자가 요구분석을 할 때 순서의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단계는 세부적으로 수행하는 부분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전문가에게만 나타나는 세부단계로는 Gap 발생 원인 분석, 해결책 제시였다. 교육외적 해결방안의 경우 관련 부문과의 커뮤니케이션 방안까지 포함하여 솔루션을 제시하였다. 반면 초보자에게만 나타나는 세부단계로는 과제분석과 출발점 행동 확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기업교육의 교수설계가 ISD에서 HPT모형으로의 변화 방향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요구분석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기업 내·외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요구분석 교육과정의 방향성 수립과 교육과정 개선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와 초보자의 요구분석 사고과정 비교를 전문성의 구성요소 중 인지적 영역인 경험, 문제해결, 지식영역에서 벗어나 정의적 영역, 관계적 영역의 다양한 요소로 분석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베트남시장에서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연구

        Pham Thi Ly 협성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베트남시장에서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연구 팜 티 리 협성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지도교수 이영민 “베트남시장에서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연구”주제는 2019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호치민 도시에서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표 : 베트남시장에서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요구의 결과로 연구원들에게 베트남시장에 대해 잘 알려주고 기업들에게 온라인으로 경영하기를 증진할 수 있기 위해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대해 부합하는 방법들을 요청한다. 연구방법이 정성적인 요구와 양적인 요구를 포함한다. 양적인 요구분석에 설명 통계하고 측정 스케일 검정하고 EFA 요인 와 다 변량 회귀 분석하고 소비자의 인구학 특징 단들의 다른 걸 검정한다. 설문조사와 개인을 무작위로 선택한 것으로 조사된 샘플 수가 320이다. SPSS 20.0 소프트웨어로 연구가 다 변량 회귀 분석을 사용한다. 연구결과가 유익을 인식, 쉽게 사용하는 것을 인식, 사회영향, 행위관리를 인식, 손해를 인식 등을 5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실하였다. 그 이외에 모형이 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전공, 수입 등 5 인구 통계 학적 변화의 온라인 쇼핑하는 결정에 영향을 고찰하게 될 것이다.

      • 임베디드 GPGPU 성능평가를 위한 효율적인 안드로이드 플랫폼

        장병남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fter the success of CUDA, ext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GPGPU has been made in the related industry and academia. These trends on GPGPU technique are also applied for many embedded systems. Especially the GPU-types for GPGPU is selected as a new GPU-type and supported on development envrionment for OpenCL by the traditional leaders which manufacture embedded GPU. However, despite these trends of such companies, th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researching & developing work related with embedded GPU is not supported. The guide related with such things is also not provided for many developers , so GPGPU technique is not applied to actual development. In the present paper, the new development envrionment which can apply to actual developement and performance test for GPGPU technique is proposed. ·√ The Nexus 10 developed by Google is selected as a experimental hardware. √ A new development environment is developed for making OpenCL SDK (for Linux) which is provided by ARM be used on Android system. √ The performance of embedded GPGPU is evaluated by using a new development environment under conditions of the matrix multiplication operations utilizing OpenCL programming. The effects of the new development environment for embedded GPGPU are proved by empirical results, as shown in improved performance of 10 times comparing the result of CPU single-thread in Cortex-A15 1.7Ghz. CUDA의 성공 이후 GPGPU에 대해서 업계/학계에서는 방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임베디드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닌데, 기존 임베디드 GPU를 제조하고 있는 주요 업체들이 새롭게 출시 또는 예정으로 하고 있는 GPU를 GPGPU 타입으로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OpenCL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추세에도 불구하고 개발자들이 임베디드 GPU를 이용하여 실제 개발에 적용하고 연구개발 할 수 있는 개발환경이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이드도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GPGPU를 테스트 및 실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발방법을 제안 한다. √ 임베디드 GPGPU가 내장 된 구글 넥서스10을 개발 하드웨어로 선정하였다. √ ARM에서 배포한 “OpenCL 리눅스 SDK”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발환경을 만들었다. √ 새로운 개발환경을 이용하여 OpenCL로 행렬연산을 구현하여 임베디드 GPGPU의 성능을 평가 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개발방법으로 임베디드 GPGPU를 테스트 한 결과 임베디드 GPGPU에서 Cortex-A15 1.7Ghz CPU 싱글쓰레드 처리결과 대비, 약 10배의 성능향상 결과를 얻었다.

      • 재한 몽골인의 트랜스이주와 몽골타운의 로컬리티에 관한 연구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외국인 이주자의 국내유입이 증가 하면서 서울 내에는 다양한 이주민 공간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직적 엔클레이브로서 독특한 민족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서울시 동대문의 몽골타운을 통해서 몽골인 이주자들의 경험을 복원하고 몽골타운의 로컬리티를 밝히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주자의 경험의 공간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위하여 트랜스로컬리티, 정체성, 다문화주의와 같은 개념에 대한 연구 논문을 토대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몽골인의 이주와 몽골타운의 형성 맥락을 거시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몽골과 한국의 이주 관련 수치자료를 분석하였다. 2011년 2월부터 11월 사이에는 몽골타운 일대의 총 34회의 현장조사연구에서 객관형 설문조사, 주관형 설문조사, 심층인터뷰를 각각 63명, 96명, 21명과 진행하였으며 민속지적 관찰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몽골인의 국내 이주는 기본적으로 구소련 체제 붕괴 이후 몽골의 계속된 실업난과 경제구조와 관련되지만 시기별로 상이한 스케일의 다양한 장소적 맥락과 조응하면서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둘째, 몽골타운은 몽골인의 다양한 이주 경험들의 구성물일 뿐만 아니라 이주자들의 실천을 추동하는 물질적 토대로서 이주자들의 경험을 재구성한다. 이렇게 몽골타운과 이주 주체로서 몽골인의 경험과 실천은 상호 재구성된다. 셋째, 몽골타운은 몽골인 고유의 문화가 이식된 공간이 아니라 몽골인의 사회적 관계가 기존의 장소에 재영역화 되면서 형성된 공간이다. 몽골타운의 트랜스로컬리티는 민족의 고유 문화가 민족경관을 생산하기보다는, 물질적 토대와 이에 바탕한 실천들이 민족의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를 확대 재생산함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한국의 다문화 담론이 지닌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내에서 소수 이민자 집단으로서 주목받지 못했던 몽골인 이주자의 장소의 공간성과 사회성을 경험적으로 탐구하고, 이들의 경험을 단일한 시선에서 일반화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uss Mongolian’s transmigration between their hometown and Korea, and locality of their place known as Mongoliatown nearby Dongdaemun station in Seoul, Korea. Standing for the perspective in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zm’ and ‘muticultural space,’ the study investigated not onl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ir migration and the place but also internal difference and dynamics of personal practice, translocalization, reconstruction experience through empirical studies. The study researches academic paper that deal with theory of transnational, translocality, identity, multiculturalism, the newspaper reports about the research area, objective materials such as publication and formal statistic of Ministry of immigration in Korea and Mongolia. Moreover, through field work at Mongolian Town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1, the study conducted surveys, deep interview and ethnography description of landscape. The first and secondary survey was conducted on 63 and 95 Mongolian respectively and deep interview on 6 Korean and 15 Mongolian to understand Mongolian immigrant’s real experience related with migration and place, and social-spatial composition of a place. Although the number of Mongolian migrant to Korea is increasing and has great significance in Mongolian,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m relatively. Moreover, nowadays many place as local are constituted by interaction among different scalar places such as global, nation, empirical places and various social networks. Therefore, this paper is meaningful research because it contains effort of politics of recognition, taking marginal experience to the center, and attempts to prove dynamics of place as process.

      • The Application of HLM to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taining Talents, Maintaining Quality of Products or Services, and Acquiring New Customers

        박나현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ous factors determin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taining talents, quality of products or services, and acquiring new custome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survey, which was crea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factors determin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separated into three levels: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al level. In statistics,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also known as multi-level analysis allowed variance in outcome variables to be analyzed at multiple hierarchical levels, whereas in simple linear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all effects were modeled to occur at a single level. Thus, HLM was appropriate for use with nested data. Based on the data gathe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were arrived at and presented. First, at the individual level, satisfaction for job and commitment for engaged organization were the positive determinant factor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the other side, participating at offline training outside the firm was negative determinant factor. Second, at the team level, opportunity for employees to do various jobs and receive empowerment from their team was a positive determinant factor for eleva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Otherwise, autonomy for job was negative determinant factor. Thir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formation system for speedy disseminating of knowledge and corporate culture focusing on customer satisfaction were positive determinant factors for hig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system for getting necessary knowledge was negative determinant factor. The determinant factors for each organizational performance defined in this study affected differently at various conditions. Even with the same determinant factors within different conditions result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ful purpose to reveal determinant factors at various conditions and levels.

      •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 이주자의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 적응 전략

        이나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ethnography and life history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nts by th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ith 15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Korean female migrants in Singapore.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national migration background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elites and Singapore multicultural society. Also, it examines their migration, settlement, network, and socio-cultural relationships in Singapore as exploring the life experiences of individual migrants at the micro-level.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what makes migrants reside in Singapore for such a long period, an average of 10 years. It also contributes to the social structure and policy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mid-range scale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micro-scale life experie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 migrated to Singapore with high education and professional career, also examines their adapta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and networks. Highly educated and professional migrants were able to acquire the privileged cultural capital from their childhood, to access overseas markets easily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growth, and to have strong international mobility. Singapore is the country of diaspora where various races and ethnic groups resided even before the nation built, and the government has actively enticed foreign talents as the manpower of 21-century economic growth and promot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maintain Singapore as the global city. Singaporeans tend to be segregated by race and ethnic groups and between locals and foreigners in living and networking areas.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model for domestics as well as foreign workers and foreign talents was the nation’s survival strategy for the national integration of Singapore and the future economy of the country. Singapore’s 'social democracy' system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multiracial society as ‘Peaceful, but separate coexistence’ without any notable issue. Thos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the cultural conflict, the overlapping scales of power relations at the cultural borderlands, the multi-layered hierarchy, the intersectionality of oppressions, and the cultural hybridity in the private sphere(human body, family, home) and the public sphere(work, school) as well as in the intersection of the two. In the network area, they build up different networks by the same ethnics or multinational groups depending on the migrants especially by variables of the spouse's nationality and children.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tinue to show strong nation-bounded identities, but instead of being ethnocentric, they are transformed into flexible identities in the translocal environment. This paper discusses their identity strategy by applying the theories of the translocal subjectivity, the nomadic subjects, the politics of location, the politics of identity to adjust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Also, the paper finds out that transmigrants cannot be defined as the subject of Korean society's unified social norms anymore. Second, the study examines what makes highly educated and professional transmigrants continue living in Singapore for a long time, and what is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policy and strategy of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migrated to Singapore after living in other global cities such as New York, London, and Tokyo, and they have not left the city of Singapore yet. Although there are multiple reasons for each migrant’s choice and strategy on transnational migra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transmigrants acquire permanent residency or citizenship in Singapore for economic and practical purposes only. If they have experienced social isolation in Singapore due to racial discrimination or exclusion of foreigners, or if it was not the right place to raise their children to build the proper identity with cultural hybridity, they might have moved to other better country or city as per their high mo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they have been living in Singapore on average 10 years and they have not planned to leave the country yet regardless of Singapore citizenship. It is because of emotional stability as in Asia, Confucian culture, similar racial and ethnic visibility like Korea. Singapore is the 'nation-unbound' global city under the English-speaking environment where foreign talents can live as mainstream and easily find people with diverse and hybrid identities. Singapore has become the most suitable place to live in for those transmigrants who now have the trans-loc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translocality in their daily life. They have choices of the liv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while maintain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are accepted the unique identities of multiracial and multiethnic diversity. Thus, Singapore becomes the best option for transmigrants having hybrid and flexible identities to take root. The Singapore government had the immigration strategy precis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and foreign talents and had a clear goal to make the best use of them as the manpower of Singapore's economy since the beginning. Thu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migrants who they are and what they aim for and to figure out the cultural and geographic context of the society where migrants are settl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academic fields by closely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nsnational migration with the social class, gender, translocality, and diaspora. It also suggests the immigration policymakers have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migrants and society in the social aspect. When the policymakers establish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policy at the national scale, the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the migrants on the micro-scale have to be considered and avoid applying the same unified standard to all migr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policy into a highly relevant policy by paying attention to various micro and local situations an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in social and national level beyond the level of introducing individual migration experiences. 본 연구는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에 살고 있는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들의 초국가적 이주 및 정착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사회문화적 관계의 특성을 문화기술지와 생애사 방법을 적용하여 천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의 이주배경 특징을 알아보고, 싱가포르에 정착한 이주자들이 어떤 싱가포르적 다인종·다민족 사회를 경험하고 사회문화적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렇게 형성된 관계와 네트워크는 곧 정체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 이주자들의 유연한 정체성(Flexible Identity)으로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주자들의 계층적 특징과 싱가포르의 다문화 사회를 연계 지어 이들에게 싱가포르 정착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 본다. 또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미시적인 수준의 이주자 개인의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경험이 국가수준의 다문화 사회가 지닌 중규모의 사회적 구조 및 특성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밝혀본다. 본 연구자 스스로가 8년째 싱가포르에 거주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대상과 지역의 내부자적 위치성을 활용하여 심도 있게 연구를 수행하였고 문화 번역자 역할을 자처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주체적으로 이주를 실천하는 행위자로서의 여성에 강조점을 두고 대졸 이상, 최소 7년 이상 전문직 종사자들 중 2년 이상 싱가포르에서 경력을 가진 30-40대 한인 여성을 대상으로, 5년 이상 싱가포르 거주자를 선별하여 연구참여자 15명을 선정하였다. 싱가포르 현장 연구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8월,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총 16개월간 연구참여자들과 수차례의 심층면담, 참여관찰, 소규모 집단 토론, SNS 등의 직간접적 만남을 통해 일상 생활에 밀착한 질적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싱가포르 외국인 정책을 조사하여 개인 경험을 사회 구조 및 정책과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선행 조사와 학술적 이론으로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 구조 및 정책과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해 살펴보고, 초국가적 이주를 계층과 젠더, 스케일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위치성을 바탕으로 한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유목적 주체 이론, 트랜스로컬리티와 트랜스로컬 주체성 개념을 도입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로 이주한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들의 특성과 이들의 일상 경험 및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의 특성을 밝히고, 이주자들은 이주국에서 어떤 적응 전략을 펼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은 성장과정에서 특권층의 문화자본 획득이 가능했고, 개인적인 발전과 성장을 위해 해외 시장으로 진출했으며 높은 국제적 이동성을 보였다. 싱가포르 정부는 글로벌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다국적 기업 유치와 외국인 고급인재 유치정책을 펼쳤고, 외국인 고급인재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코스모폴리탄 글로벌 도시 만들기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편승하여 다양한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이 싱가포르로 유입되었다. 싱가포르는 내·외국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모여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구성된 도시국가로서, 내·외국인 간은 물론이고, 하물며 내국인 간에도 인종과 민족에 따라, 그리고 계층에 따라 사회·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집단 간의 ‘구분 짓기’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문화 사회 모델은 싱가포르 정부의 국민 통합과 국가의 미래경제를 위한 ‘국가 생존 전략’이었고, 싱가포르의 ‘사회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엄격하게 정책적으로 관리, 통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시적으로는 큰 문제가 드러나지 않는, ‘평화로운, 그러나 분리된 공존’이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토대 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사적 영역인 몸, 가정, 집과 공적 영역인 직장, 학교에서, 그리고 이 두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들에서 다양한 문화 충돌과 교섭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경계지대에서는 중첩적 스케일의 권력관계와 다층적 위계 및 억압이 작동하고 있었고, 그 속에서 문화적 혼종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네트워크 영역에서는 배우자의 국적과 자녀가 변수가 되어 이주자가 처한 상황과 집단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자국민 네트워크와 다국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여전히 강한 국가적 정체성을 보였으나 종족적 민족주의의 뿌리를 내세우기보다는 트랜스로컬적인 유연한 정체성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위치성과 정체성의 정치를 적응 전략으로 구사하며, 유목적 주체의 트랜스로컬 주체성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이들의 이주와 정착의 삶, 네트워크, 정체성 등을 통해 한국인이라고 해서 한민족의 획일화된 사회규범의 주체로 규정할 수 없음을, 즉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적용하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이 싱가포르 장기거주가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를 싱가포르 정부의 외국인 정책 및 전략과 연계 지어 고찰해 보았다.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뉴욕, 런던, 도쿄와 같은 다른 글로벌 도시들을 경험한 후 싱가포르에 왔고, 그들은 아직 이 도시를 떠나지 않고 있다. 각자의 선택과 전략에 따른 다층적인 이유가 있지만 연구참여자들이 단순히 경제적이고 실리적인 이유만으로 싱가포르에 장기거주 하며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획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만일 싱가포르 사회에서 연구참여자들이 인종적 차별이나 외국인에 대한 배척으로 사회적 고립이 일어났거나, 자녀들이 성장하며 미래의 삶에 걸맞은 바람직한 정체성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곳이 아니었다면, 아마도 연구참여자들은 벌써 그들의 이동성과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앞세워 더 나은 다른 나라, 다른 도시로 이주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의 평균 싱가포르 거주기간은 10년이다. 그들이 시민권 획득 여부를 떠나 10년간 싱가포르에 정착하고 아직 떠날 계획을 갖지 않고 있는 이유는 한국과 같은 유교문화권 그리고 외모적으로 비슷한 가시성(visibility)에서 오는 아시아라는 정서적 안정감이 있다. 게다가 글로벌 도시에서 외국인이 주류로 살 수 있고, 영어를 쓰는 환경, 이주자의 출신 국가 및 민족적 제약을 받지 않는(nation-unbound), 다양하고 혼종적인 정체성이 뿌리내릴 수 있는 최적의 장소가 싱가포르인 것이다. 일상생활 속 트랜스로컬리티의 상황에서 트랜스로컬 주체성이 형성된 연구참여자들은 싱가포르에서 자신의 고유한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유지하면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거주 환경의 선택이 가능하고, 다인종·다민족의 다양성을 인정받는다. 또한, 트랜스이주를 통한 이주자 본인과 가족들의 혼란스러울 수 있는 정체성을 잠식시켜주고, 그들이 말하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모여 살며 혼종적이고 유연한 정체성들이 뿌리내리고 살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로서 싱가포르가 이들에게 최선의 선택인 것이다. 이렇듯, 싱가포르 정부는 외국인 고급인재 이주자들 영입 시 지식기반산업의 경제 동력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분명한 목표가 있었으며, 이들이 싱가포르에 장기거주 할 수 있는 코스모폴리탄 도시 환경을 전략적으로 조성해 주었다. 싱가포르 정부는 그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여, 그 특성에 따라 내국인,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고급인재들을 정확히 조준하여 정책을 내세워 성공적인 다문화 사회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보았듯이, 미시적 스케일의 이주 연구에서 이주 주체들의 이주 양상뿐만 아니라, 이주자들이 정착한 사회의 문화적, 지리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자 개인의 미시적인 삶의 현장에 주목하였고, 이는 국가적 스케일의 다문화·상호문화 정책이 지닌 획일적인 내용이 한계가 있음을,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미시적 스케일의 이주자 특성과 위치성을 파악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주자 개인의 이주 경험을 단지 소개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경험이 엮여져 있는 국가적 정책과 로컬의 생활문화가 어떻게 연결되어 작동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근거하여 적실성 높은 관련 정책들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적인 측면에서 초국가적 이주와 계층, 젠더, 트랜스로컬리티,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관련 분야에 이론적으로 기여했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주자와 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구조를 밝힘으로써 정책적으로 분명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이 첫 일자리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홍지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Youth unemployment has been exacerbating; in 2017, the youth (people aged 15-29) unemployment rate was 9.9%, and the unemployed population surpassed 1 million (Statistics Korea, 2017). With the unemployment crisis worsening particularly for university graduates, the government has proposed a youth employment policy with a focus on public institution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ung Gu Kyung, 2012; Mi Kyung Kim, 2017), and private-sector enterprises have proactively administered internship programs to provide work experience for young people (Myung Up Na, 2012). The prevalence of internship programs has helped increase the annual rate of youth internship participation (Statistics Korea, 2017). This study seeks to analyze whethe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internship programs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labor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nternship program that seeks to resolve the youth unemployment crisis has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outcomes. To achieve this, the study used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5 GOMS)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and youths under the age of 30 who have undertaken their first employment experience following graduation. The study examined whether internship experience during their university education affected the quality of young people’s first employment.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job security, wages, and overtime work were used as the index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control variables, personal elements such as sex, major, GPA, experience in studying languages abroad, official English scores, certificates, and educational training, university location, and the sizes of enterprises have been includ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nship experience with precision.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and rel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hen, logistic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 presence of internship experience had an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first employment.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internship experience during school has a positive effect on gaining a regular permanent position, whereas an internship experience raises the possibility of working as a regular permanent employee that may lead to secure employment. Second, internship experience during univers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ceiving higher income. Third, internship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overtime work, while internship experience results in greater overtime work hours. For overtime work, however, additional compensation for work outside regular working hours may lead to a rise in wages; therefore, rather than negatively assess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based on the rudimentary aspect of overtime work, it is suggested that an index for the quality of employment b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last noteworthy finding of the study is that internship experience has a meaningful effect on all three indices in assess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that control variables of sex (male), large enterprises with 1,000 or more employees, and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pharmacy majors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In conclusion, internship experience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should make diversified endeavors to allow internship programs to be used in a more proactive and equal manner for employment purposes. Furthermore, to make sure that efforts in employment preparation like internship experience bear fruit clearly through the quality of employment, improvements in eliminating discrimination in relation to sex or enterprise size must be achieved. Moreover, because the indices that assess the quality of employment are closely related, it is necessary that they be analyzed in a comprehensive manner. 청년실업문제가 점차 심화되면서 2017년 청년층(만15~29세)의 실업률은 9.9%를 기록하였고, 실업자 수는 100만 명을 넘어서게 되었다(통계청, 2017). 특히 대졸자의 취업난 악화로, 정부는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청년 일자리 정책을 내세우는 한편(경승구, 2012; 김미경, 2017), 민간기업에서는 자율적으로 인턴제도를 운영하며 청년층에게 직무경험을 제공하였다(나명엽, 2012). 인턴제도가 활발해지면서 청년층의 인턴 참여 비율 또한 매년 증가하였는데(통계청, 2017), 이에 따른 인턴제도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노동시장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행되는 인턴제도가 청년층의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5 GOMS)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목적에 따라 4년제 대학 졸업자 및 만 30세 미만의 청년층 가운데 졸업 후 첫 일자리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분석대상자로 한정하여, 이들의 재학 중 인턴경험이 첫 일자리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때 일자리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선행연구 분석에 따라 고용안정성과 임금, 그리고 초과근로시간을 사용하였다. 또한 통제변수로는 성별과 전공계열, 평점, 어학연수, 공인 영어성적, 자격증 취득, 교육훈련 참여 등의 개인적 요소와 대학소재지 및 사업체규모를 함께 투입하여 일자리 질에 미치는 인턴경험의 효과를 명확히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기초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였고, 로지스틱 분석과 회귀 분석의 위계적 방법을 활 용하여 인턴경험 여부가 첫 일자리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 인턴경험은 상용직 여부에 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인턴경험이 없을 때보다 있는 경우에 상용직으로 근무할 확률이 높아지면서 안정적인 고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재학 중 인턴경험은 더 높은 임금을 받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턴경험은 초과근로시간에도 양(+)적인 영향을 보이며, 인턴경험이 있을 때 더 많은 초과근로를 하게 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초과근로의 경우, 정규 근로시간 외 근무에 대한 추가 보상이 임금상승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초과근로의 단면만을 보고 일자리의 질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고용의 질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결과는 인턴경험이 일자리 질을 측정하는 세 가지 지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통제변수 중 성별(남성)과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체, 이공 및 의약계열의 전공은 일자리 질에 모두 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인턴 경험은 일자리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인턴제도가 취업을 위해 더욱 적극적이고 공정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체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인턴 참여와 같은 취업준비 노력의 성과가 일자리 질을 통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성별 또는 기업의 규모에 따른 차별적 대우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일자리 질을 평가하는 지표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합적인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 목회자 사모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강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rvant leadership for pastors’ wives who are the leaders of their churches. It discusses the perception on servant leadership for pastors’ wives. The characteristic of servant leadership is that it encourages everyone to seek opportunities to both serve and lead other and it is similar to life of Jesus. Thus it would be the leadership needed to pastors’ wives and important for them to play a role as servant leaders because pastors’ wives devote their life to their pastors and churches. In the actual research, 132 pastors’ wives of Korean Methodist Church answered surveys for this stud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ntains the expression level of servant leadership, diversity of ministry,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 pastors’ wi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stors’ wives recognize the needs of their leadership as servant. They think the leader is the servant of their church and they should serve believers. In addition, attentive listening, empathy, commitment to growth are needed as servant leaders. Secondly, results on recognition of servant leadership for pastors’ wiv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recognition differences are depending on what to do for developing themselves and their career as pastors’ wives. There were different result depending on their duty, ages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recognition themselves as servant leaders.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related to how to express servant leadership as pastor’s wife. They are depending on duty, income, ages, career as pastor’s wife, efforts for self-development or not. In case of over 40 years old, the expression level for servant leadership was high depending on empathy, community building, growth but it was the highest among over 50. Lastly, the expression level of servant leadership for pastors’ wives in the ministry guiding by educating children and teenagers was higher than who do not have any role of ministry. In other words, pastors’ wives think their ministry efforts bring positive impact on the pastors and themselves. As a result, more specific plans for ministry of pastors’ wives are needed focusing on Sunday school. Though the results are only gained by opinions of pastors’ wives, it is important in that they consider themselves as servant leaders and it shows the expression level of the leadership. This study might be a based research to develop some programs of servant leadership for pastors’ wives. Therefore, it would be expanded into other study for pastors, believers and not even pastors’ wives of Korean Methodist Church and also one of the ways to contribute to the church revival movement. 교회 내에서 목회자 사모의 리더십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남편인 목회자와 함께 동역하는 협력자로서, 교회공동체를 이끌어 가는 사역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목회자 사모의 리더로서의 역할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목회자 사모에게 제시되는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의 헌신을 통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구성원들의 성장을 장려하는 리더십이라 볼 수 있다. 이는 교회의 사랑과 섬김의 모습을 강조하는 모습과 유사하고, 예수의 섬김의 모습을 닮아가고자 하는 마음에서 가장 적합한 리더십이다. 목회자 사모는 목회자보다 헌신과 섬김의 자리에서 그 역할을 감당해나가야 하는 점에서, 목회자 사모가 구현해야하는 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회내의 리더로서 그 역할을 감당해야할 목회자 사모에게 서번트 리더십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목회자 사모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목회자 사모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역활동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 인식과 서번트리더십 구현 수준 차이를 조사해 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기독교대한감리회에 소속된 목회자 사모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문항은 사역활동, 서번트 리더십 인식, 서번트 리더십 구현수준, 인구사회학적특성으로 구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 사모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사모들에게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섬김의 모습으로 리더십을 구현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개념적인 서번트리더의 요건은 스스로를 서번트로 인식하며 관계 속에서 섬김과 협동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목회자 사모 또한 교회안에서 서번트로, 성도들을 섬김의 대상으로, 성도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협력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서번트 리더로서 구현하는 활동에 대해서는 경청, 공감, 성장지원하기를 꼽았다. 즉, 이제는 단순한 섬김의 모습이 아닌, 서번트 리더로서 성도들이 올바르게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혜로운 섬김의 모습으로 감당해야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리더십 필요성 인식부분에서는 자기계발 노력 방법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식에서는 자기계발 노력 방식과 사모연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연수가 높을수록 겸손한 자세로 타인을 이끄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연수가 적은 10년 미만의 사모의 경우, 낮은 자리에서 이웃을 섬기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목회자 사모 스스로를 서번트 리더로서 인식하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직책, 연령, 자녀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담임목사의 경우, 자녀가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서번트 리더로 인식하는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 구현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편의 직책, 소득, 연령, 사모연수, 자기계발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사모의 연령에서는 공감대형성, 성장지원, 공동체형성 요인에서 40대일 경우 서번트 리더십 구현수준이 높았으나, 비전제시 요인에서는 50대 이상일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사역활동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 구현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역활동을 할 경우 서번트 리더십 구현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모의 일반적인 사역활동에 대해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역활동의 경로는 스스로 하는 경우와 목사님의 권유에 의한 경우에 동일하게 응답하였다. 사모의 사역활동은 목회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회자 사모에게 필요한 리더십을 목회자 사모의 인식을 통해 제안하였다는 부분에서 목회자 사모의 리더십을 서번트 리더십으로 제안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목회자 사모의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가운데, 다른 리더십에 비해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스스로가 서번트라고 인식하는 데서 출발하므로, 본 연구를 통해 목회자 사모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목회자, 성도, 타 교단 사모들을 대상으로 목회자 사모의 서번트 리더십을 개발하고 구현하는데 필요한 변수들을 알아보는 연구로 확대될 것을 기대한다.

      • 취약계층의 직업훈련 참여와 직업훈련프로그램 선택 결정요인 분석

        김지은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tility of unemployed worker's vocational training among unemployment polici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s support for vocational training targeting a disadvantaged class is consistently expanding, a study that aims at expanding its utility will hold significant meaning. Also, despite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vocational training effectiveness, a study that analyzes the intention of individual training participation necessary to create an effect lacks in its number. Therefore, this study, which will apply to the development of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by analyzing the intention of unemployed workers'training participation and will further reflect system and policy improvement, will play a huge role in substantiall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vacational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training and to be of help to improving a vocational training system by investigating into and analyzing various determinants that affect decisions on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election made by unemployed workers in a disadvantaged class, Also,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training will be enhanced by rendering vocation counselors to help those unemployed workers on the vocational counseling site to plan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election more reasonably. Research isseu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difference in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hat factors affect training participation determinants for the unemployed in a disadvantaged class? Third, what factors affect vocational training selection determinants for the unemployed in a disadvantaged class? As a research method,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50 persons from all over the n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Employment Sucess Package Projec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employment support project for a disadvantaged class from March 2010 to September 2011. 128 surveys were retrieved to be processed for study data, and a frequency analysis, t-test, Chi Squared Test, a one way-anova analysi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willingness to vocational participation for unemployed workers in a disadvantaged class by demographic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In other words, a willingness to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saw a decline with an increase in age. Second, among factors that affect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determinants for unemployed workers in a disadvantaged class, employment and the intention of obtaining certifica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s. However, hobby,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factors for real life application, fully funded fees, and expectations for training effects were also influential as well. On the contrary, advice by the vocational training counsellor for employment was found to indicate a comparatively los level of influence. Third, among factors that affect vocational training selection determinants for the unemployed in a disadvantaged class, a determinant concerning 'obtaining certific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fluence. However, it was found out that preferences for 'training areas helpful for real life appli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for 'training areas for vocational aptitude, employment.' Also,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certification obtainment','an expensive fee','advice from a training intuition's counsellor, and 'registration for the same course with friend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level of p<0.1. In other words, given that the courses offer certification, are more expensive, and are advised by a vocational counsellor for registration, the probability of registration was high, whereas it was found out that 'registration for the same course with friends' did not have any effect on program selection.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lder the age, the more a decline in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Therefore, there calls for a need to develop a training vocation in an attempt to improve an employment rate for middle-aged and senior citizens. Second, in the case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unemployed workers in a disadvantaged class showed a high level of response for determinants, such as 'fully funded fees' and 'real life application.' Therefore, it was found out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respondents are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by utilizing the current system's full funding benefits and are selecting training courses applicable in real life. Since such results may damage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training supported with an aim to improve an unemployment rate for unemployed workers, there calls for an urgent policy improvement in the current vocational training system. Third, upon selecting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unemployed workers in a disadvantaged class were most affected by a determinant concerning 'obtaining certification.' However, just like the result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determinants, a considerable number of respondents selected training courses for motives other than employment, such as ' fully funded fees,'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or 'real life application.' Since the leads to a waste of a vocational training budge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institutional strategy to prevent from a waste of a budget and an improvement in a vacational training program. Fourth, among determinants for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election by unemployed workers in a disadvantaged class, 'advice by a vocational training counsellor,'was found to hold a comparatively very low level of influence. Considering the current system designed to help survey subjects as participants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to find vocations through more than 4 times of individual counselling with vocational counsellors, the goverment's current employment support service calls for a re-examination to improve participant selection and the current support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research must be done into employment statistics after completion of a training program by vocational type. Also, a correlational study between training vocations and employment vocations is required. Both research results must be provided on a yearly basis to be utilized as supplementary data for vocational counselling. This must be done not onl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l training to increase an employment rate, but also to enhance the role of counsellors and their trustability. Second, while selecting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most survey subjects preferred 'vocational training for certification obtainment' over 'vocational training for employment and foundation of a complany.' As a subsequent study, a correlational study between certification obtain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must be conducted to use its results as supplementary data for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election-related counselling. This, in turn, will be of great help to an improvement i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training. Third, taking a look at vocations taken or to be taken by survey participants, barristers, hairstylists, beauticians, and nail artists have taken a considerable proportion. Since these vocations have restrictions in terms of age, a subsequent study on an investigation into each training vocation's employment status by age and on a correlational study between vocational training by age and vocations for employment will not only help establish a reasonable vocational training plan with an aim to employ unemployed workers, but also greatly improve the current vocational training system.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실업정책 중 실직자 직업훈련의 효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취약계층을 위한 직업훈련 지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만큼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이다. 또한 직업훈련의 효과성 연구는 많지만 효과를 내기위해 필요한 개인의 훈련참여 의도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실직자들의 훈련참여 의도를 분석하여 직업훈련프로그램의 개발에 적용하고 나아가 제도 및 정책개선에 반영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직업훈련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취약계층으로 분류된 실직자들이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직업훈련의 효과성 연구 및 직업훈련제도의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직업상담현장에서 상담사들이 실직자들의 직업훈련참여와 직업훈련프로그램 선택을 보다 합리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도와 직업훈련의 실효성을 제고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훈련 참여의사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의 직업훈련참여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셋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의 직업훈련프로그램 선택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2010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고용노동부의 취약계층 취업지원사업인 「취업성공패키지사업」에 참여한 전국의 대상자들 중 총 15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총 128부를 회수하여 연구를 위한 자료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통계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t-test, 카이스퀘어 검정,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훈련 참여의사는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훈련 참여의사는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의 직업훈련참여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취업이나 자격증취득을 위한 참여 결정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취미나 여가활용, 실생활 응용을 위한 참여 결정요인과 수강료 전액지원 및 훈련수당 지급을 기대하는 참여 결정요인도 직업훈련참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직업훈련참여에 직업상담원의 권유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의 직업훈련프로그램 선택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자격증 취득을 위한’ 선택 결정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생활에 유용한 훈련분야’에 대한 선호가 ‘직업 적성과 취&#8228;창업을 위한 훈련분야’에 대한 선호보다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자격증취득’과 ‘비싼 수강료’, ‘훈련기관 상담원의 권유’, ‘지인과 동일과정 수강’이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일수록, 비싼 수강료의 훈련과정일수록, 훈련기관 상담원의 권유를 받은 과정일수록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지인과 동일한 과정 수강’은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훈련 참여의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중고령자의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적합한 훈련직종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은 직업훈련 참여시 ‘수강료 전액지원’과 ‘실생활 응용’과 같은 결정요인에도 높은 호응도를 보임에 따라 응답자의 상당수가 수강료가 전액 지원되는 현 제도의 혜택을 활용해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실생활에 유용한 훈련과정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직자들의 취업률 제고를 목적으로 지원하는 직업훈련의 효과성 저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직업훈련제도의 정책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은 직업훈련프로그램을 선택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결정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업훈련참여 결정요인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응답자 중 상당수가 취업 외의 동기인 ‘수강료가 전액 지원되기 때문에’나 ‘취미나 여가활용, 실생활 응용을 위해’훈련과정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훈련예산의 낭비로 이어지는 만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함께 직업훈련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취약계층 실직자들의 직업훈련참여와 직업훈련프로그램 선택의 결정요인에 ‘직업상담원의 권유’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가 고용노동부의 취업지원서비스인 “취업성공패키지”참여자로서 반드시 직업상담원과 4회 이상의 개인상담을 통해 취업을 목표로 한 훈련계획을 세우도록 설계한 현 시스템을 고려해볼 때, 정부의 현행 취업지원서비스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서 참여자 선정 및 지원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직종별 수료 후 취업률 통계와 훈련직종과 취업직종간의 일치 상관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가 직업상담의 보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매년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직업훈련의 효용성은 물론 상담원의 역할 제고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에 ‘취&#8231;창업을 위한 훈련직종’보다 ‘자격증취득을 위한 훈련직종’을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후속연구로 자격증 취득과 취업효과성과의 상관관계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를 직업훈련 프로그램 선택 관련 상담에서 보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이는 직업훈련의 실효성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수강 중이거나 수강 예정인 구체적인 직업훈련명을 살펴볼 때, 바리스타와 헤어미용, 피부미용, 네일아트 등이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들 직종은 취업시 연령의 제약을 많이 받는 직종이라는 점에서 후속연구로 이들 훈련직종에 대한 연령별 취업현황에 대한 조사와 함께 나아가 연령별 훈련직종과 취업직종간의 상관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실직자들의 취업을 목표로 한 합리적인 훈련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직업훈련제도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