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탈미니멀적 작업연구 : 이종희의 작품 중심으로

        이종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연구 논문으로 작품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러한 근거들이 어떠한 형식으로 나타나는지와 작업의 형식에 대한 동기와 과정에 대하여 조형적인 측면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자의 작품은 우리들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 문제에 있어서 변해가는 환경과 그 속에서 소외되어가는 인간에 관한 작업이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생각 속에서 환경에 대하여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관심을 둔 미술에 대하여 어떤 특징을 가지고 전개되었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생태적 미술의 여러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독자적인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작업의 표현에 있어서 미니멀리즘의 연극적인 속성을 차용하였다. 작업에 있어서 예술을 통하여 현재 우리의 삶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에 대하여 인식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하여 예술적인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것은 연구자의 작업에서는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의 결합과 절단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너와 내가 아닌 우리라는 통합적인 사고로의 전환을 미술 작품 속에서 구현하려는 시도 하였다. 본론에서는 연구자의 작업에서 보여 지는 단순한 형태에 대하여 미니멀리즘과의 형태적인 유사성이 아닌 존재론적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0년대 서구의 미니멀리즘과 70년대 한국의 미니멀리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작업의 형식적인 특징 뿐 만 아니라 작업의 기저에 흐르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생태적인 미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작품의 모태로써 중요한 소재인 메타세콰이어木과 그것을 감싸고 있는 그 밖의 재료에 대하여 살펴보고 본인이 생각하는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하여 어떤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작품의 재료와 형태가 지니는 의미에 관하여 설명함으로써 연구자의 작업에 관한 정체성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This thesis about researcher's work presents theoretical basis and how they show as forms and analyze the formative aspects of the working formality and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er's piece are changing environment and estranged person in it. I inquired of art which is interested in biological standpoint about environment in thinking like a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 and how they spread out with certain features . Also I examined closely various appearances of the ecological art and practiced researcher's own working by drawing up them and borrowed theatrical characteristic of the minimalism. I considered it about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y using artistic side on the basis of possibility ; In working we can be recognized about various directions of our present life. In piece, I tried to realize as change to synthetic thinking ;Not you and I ,through the way like combination and cutting between natural thing and artificial thing . In the main subject , I looked into not formal similarities but differences of ontology between simple shape and minimalism in researcher's working. For this I researched western minimalism in 60s and korean minimalism in 70s. Also I watched ecological art to understand flowing mean of working base with operation's formal features. And I examined how I practiced operation about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in my idea by looking into Metasequoia which is important material as working's matrix, and another things. With this research, through explanation about means ,such as study's material and shape , I wanted to show my workings identity and meaning.

      • 상호작용 이야기활동 활용방안

        이종희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학습자간 또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측면을 강조한 이야기활동이 초등 영어 학습에 효과적임을 밝히고,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환경에 적합한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구체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제 Ⅱ장에서는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총체적 언어 접근법, 상호작용 언어 교수법,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이론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위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를 단원별로 분석하여 의사소통 기능을 찾고, 각 단원에 적용할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유형을 결정하였다. 또, 이야기활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적용한 후에는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학습에 대한 희망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적용 결과 90%의 학습자들이 ① 학습자 자신의 참여가 주는 만족감, ② 다른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이 주는 즐거움, ③ 이야기의 예측 불가능성이 주는 즐거움등을 이유로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이 매우 재미있었으며,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다. 또한 90%의 학습자들이 앞으로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활용하여 영어 공부를 계속하고 싶다고 답하여 활동에 대한 흥미도를 밝혔다. 둘째,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을 관찰, 설문 조사하여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선호도는 95%의 학습자들이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형태보다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학습활동에 대한 관찰 결과 학습자들이 영어 공부를 해야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 이야기를 만들어 들려주고, 말해주며, 책으로 만들어 보고,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즐겼다는데서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넷째, 소외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경험하게 하여 활동 전후의 수업 참여도의 변화와 그에 대한 다른 친구들의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소외된 학습자는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경험하면서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그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다른 학습자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제 Ⅳ장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상호작용 이야기활동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위한 이야기 선정의 원리, 이야기 개작의 원리, 교사의 전략이 구축되어야 한다.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의 유형인 이야기 재화활동과 이야기 지어내기 활동을 초등 영어 학습 현장에서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이야기 활동의 실제 적용 방안에 대하여 제언한다. 교사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 다양한 학습상황에 맞게 상호작용 이야기활동을 수정,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of that interactive storytelling is very effective in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techniques to use interactive storytelling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 basis for the importanc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in the English class, and also addresses effective methods and skills for applying interactive storytelling in English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research. The language approach, interaction theory, and storytelling techniques were examined as the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Based on those theoretical backgrounds, interactive storytelling techniques were applied and demonstrated in actual English classes for research.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key topics to be conveyed to the learners were extracted from each chapter of the textbook; then one specific typ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a mix of retelling and creating stories, was adopted for each chapter; and third,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odel was introduced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interactive storytelling, maximiz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and further, among the learners.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interest level of learners in interactive storytelling activities, and their desire to participate in future learning activities was recorded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90% of the learners are very interested in interactive storytelling, because of (ⅰ) a feeling of satisfaction derived from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ⅱ) the fun of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other classmates, and (ⅲ) the joy resulting from the unpredictability of the results of their interaction. The learners believe that interactive storytelling facilitates their English learning. In addition, 90% of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learning through storytelling activities and want to continue studying English through interactive storytelling activities. Second, as for preference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s, the results showed 95% of learners preferring interaction among learners themselves to teacher-learner interaction. Third, according to observation of learners reactions to each typ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it was proven that the learners feel more enjoyment through their voluntary and interactive activities, than through passive learning and one-way instructions. Fourth, the results show that interactive storytelling provides isolated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ir English class, and has potential to eliminate a negative or prejudiced attitude of other classmates towards them. Furthermore, this study contains effective techniques, which may be used in a school environment by addressing criteria for selecting storybooks, adapting stories, teaching strategies, and suggesting application models for retelling and creating stories. Referring to this study, teachers can adapt and enrich their interactive storytelling strategies to meet the learners' different needs and specific learning level.

      • 初等敎師가 知覺한 意思決定領域의 參與 및 期待에 關한 硏究

        이종희 전주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Teachers are main members of the school and should participate actively in decision making and the opinion of them should be heavily accepted to manage the school efficiently. To accomplish the above, the way to make teachers participate positively in decision making are suggested with the analysis of practical and expected participation according to back qualitie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concrete contents of this study are mad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actical participation in each decision making part according to background qualities such as sex, position, the size of the school and the location of the school. Second, what is the expected participation in each decision making part according to background qualities such as sex, position, the size of the school and the location of the school. To proceed this study,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onbuk Province were collected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made with SPSSWIN statistic program used to analyze the degree of practical and expected participation an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OVA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way to increase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ncluding correct and concrete contents according to each school's environment should be made. Second, with the analysis according to practical and expected participation the low part should be complemented and the bad factors to keep teachers from participating in decision making should be done away with. Third, as, in addition to teachers, there are many students' parents and people of the region who are much interested in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the way for them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should be considered.

      • In vitro 모델에서 지방유래줄기세포가 UVB로 광노화시킨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종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분화(differentiation)와 분비작용(paracrine effect)을 통해 다양한 질병 치료 연구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피부 노화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자외선은 피부 노화의 가장 큰 외적 요인으로 이 중 Ultraviolet B (UVB)는 광노화(photoaging)를 일으키는 주 요인이다. 한편, 섬유모세포(fibroblast)는 진피층에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생성 및 분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종 cytokine등을 생산하여 상처를 치유하고 젊은 상태의 피부를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에 노출된 섬유모세포는 collagen degradation의 촉진과 procollagen production의 저하라는 두 가지 기전에 의해 collagen을 감소 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환경에서 지방유래줄기세포가 광노화 된 인간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명의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진피 및 지방조직을 함께 얻은 후 이를 각각 배양하여 섬유모세포가 충분한 수로 자라면 UVB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도하고 β-galactosidase 염색을 통하여 노화를 확인하였다. 노화가 확인된 섬유모세포는 총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제 1 실험군은 대조군으로서 광노화시킨 섬유모세포를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 배양하였으며, 제 2 실험군은 광노화시킨 동수의 섬유모세포를 transwell culture 용기를 이용하여 지방유래줄기세포와 함께 배양하였다. 제 3 실험군은 역시 동수의 광노화된 섬유모세포에 3일간 지방유래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은 conditioned medium을 배지로 배양하였다. 세포 증식능을 CCK-8 kit으로 비교한 결과 24시간까지는 세 실험 군 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48시간 이후에는 conditioned medium, transwell culture, 대조군의 순으로 증식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2시간에는 conditioned medium군에서만 생존 세포수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배양 후 48시간 째에 시행한 RT PCR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두 가지 실험군 모두에서 type I collagen의 생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MMP-1과 p16의 발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apoptosis 확인을 위한 annexinV-PI 염색에서는 실험군에서 광노화된 섬유모세포의 necrosis는 현저히 감소하였고 apoptosis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방유래줄기세포는 광노화된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노화시 발현되는 p16과 MMP-1을 감소시켜 노화를 역전시키며 광노화된 섬유모세포의 necrosis 억제 및 apoptosis유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문화란 내용의 확충분석

        이종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s way of life and way of thinking comes through the language of a country.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lture forming the background of the language to learn the language. It is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have an inseparable relation in the development affecting each other reciprocally. Language is the product of culture, its component and reflects culture in itself.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learn the language of a country in the conditions without any premise of ampl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even if one acquires it, it cannot be a complete language. Language can be acquired in a real sense when it is used in the culture, and unless it is bas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a reciprocal communication is not attained properly. This is also true of the Chinese class at a high school, For an ideal Chinese learning, the education of Chinese culture has to be done as well in the class. In considering that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urrent Chinese course are the cultivation of basic communication skills related to a daily living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plan to instruct Chinese culture efficiently in the practical school hours. Herewith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ut the following study targeting the culture sections of Chinese 1, 2 textbooks of 6 publishing companies in the current 7th curriculum used in the present educational field. In ChapterⅠ, we clarified the study objective, necessity, scop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In ChapterⅡ, we defined culture, figured out what kinds of role and relation language and culture had and argued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a foreign languag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a foreign language. In Chapter Ⅲ, we checked the types and composition of the current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and analyzed the types of the cultural sections of 《ChineseⅠ》,《Chinese Ⅱ》of the present high school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cultural content in 《ChineseⅠ》,《Chinese Ⅱ》of 7th Amended Curriculum. In Chapter Ⅳ,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 Ⅲ, we analyzed intensively the cultural content by the item, materials and contents pursuant to the culture classification methods of 7th Amended Curriculum, and presented the cultural materials insufficient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Finally in the conclusion part of Chapter Ⅴ, we generalized the content of this study.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types of culture in the culture sections of a total of 11 volumes of the current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pursuant to the culture classification methods of 7th Amended Curriculum, and also analyzed with expansion the content of culture sections by the methods supplementing and presenting the peripheral knowledge data and contrived the qualitative betterment of the high school Chinese culture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s where we lack in the texts of cultural instruction for the Chinese culture education, we cannot solve all the difficulties in the instruction of culture by analyzing the cultural content of this research, but we hav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by having progressed the analysis on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and having provided the cultural data which teachers can select ㆍuse in agony in the practical educational field.

      •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한 액티브 셀밸런스 BMS에 관한 상용화 설계 및 구현

        이종희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cell balancing circuit for the Lithium-ion battery string based on the Flyback topology is proposed. Lithium-based batteries are considered as the most advanced batteries technology, which can be designed for high energy or high power storage systems. However, the battery cells are never fully identical due to the fabrication proces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ells tend to grow if no measures are taken. In order to have a high performance battery system, the battery cells should be continuously balanced for maintain the variation between the cells as small as possible. Without an appropriate balancing system, the individual cell voltages will differ over time and battery system capacity will decrease quickly. The proposed circuit draws the charge out of the high voltage cell and recovers it to the overall battery pack. With the selectivity of the target cell, the proposed circuit uses the minimized power path to simplify the circuit and optimize the balancing efficiency. The circuit also employs the peak current mode control scheme to accelerate the balancing speed and reduce the balancing tim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laboratory prototype hardware for multi-cell battery string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 실린더 내부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이 둥근 모서리가 적용된 실린더의 와흘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종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fluid flows pass around a circular cylinder above a certain speed, the flow separates from the cylinder surface and vortex periodically sheds behind the cylinder, which is well known as Karman vortex or vortex shedding phenomenon. Because this phenomena is closely linked with the noise or vibration of the structures, many studies coupled with environment or structural safety problem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when fluid flows around rounded square cylinder where electric current is passing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vortex shedding have been investigated. For unsteady laminar flows at Reynolds number 100 ~ 500, the magnetohydrodynamic(MHD) simulation has been conducted with gradually increasing Stuart number from 0 to 5(Hartmann number 0 to 60). With increasing Stuart number, Strouhal number and lift coefficient for cylinders are decreased because of the flow suppression by electromagnetic damping effect. The detailed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vortex shedding for different magnetic field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기후변화에 따른 한국대형선망어업의 생태계 기반 위험도 평가 연구

        이종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cosystem-based fishery assessment approach (EBFA) can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fisheries. Sea surface temperatures showed increasing patterns and accelerated in recent decades in Korean waters. The recent warming trend was associated with replacement patterns, that is, a decline in cold-water species and an increase in warm-water species, as well as with changes in spatial distribution of fish stocks in the Korean marine ecosystem. The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targets chub mackerel, sardines, jack mackerel, and Spanish mackerel, which are major pelagic fish species in Korean waters. The proportion of chub mackerel which is the main target species, was over 60% in the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Surfac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0.0188°C per year and the total rising rate was 0.752°C per 40years from 1970 to 2009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here is main fishing grounds of the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The center of fishing grounds of chub mackerel by the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has moved to the north at the rate of 4.57km/yr during two decades from 1980s to 2000s. The fishing grounds of Spanish mackerel and bluefin tuna moved northwards about 7.1km/yr and 8.13km/yr, respectively. However, the fishing ground of jack mackerel moved to the south during the two decades. A pragmatic ecosystem-based approach, the Integrated Fisheries Risk Analysis Method for Ecosystems (IFRAME), has been developed with an aim to assess and forecast impacts of climate changes and fishing activities on fish and fisheries of an ecosystem. Using the IFRAME, we constructed the ecosystem structure of the habitat of chub mackerel which includes the fishing area of the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for 2009, and forecasted the structure for 2059 under climate changes. We analyzed ecological risks by the fishing intensity, based on warming scenarios in 2059. We adopted climate change scenario of IPCC SRES A1B by GFDL-CM2.0 and MIROC3.2 (Hires) models, and to examine the impacts by fishing mortality (F-value) scenarios in IFRAME. The range of F-value was from zero to double FABC, which is the current F-value. We considered some impact factors on the fish biomass under the climate change as the first step in assess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major commercial species of the fishery. We assumed that the fluctuation factors of fish biomass were (1) variations in habitat areas of target species, (2) habitat overlapping ratios between target species and bycatch species, (3) recomposition of demersal ecosystems interacting with pelagic ecosystems, because of the movement of pelagic fish, (4) variations in vertical distribution due to the increased water temperature in water column, (5) changes in lower trophic biomass and production, and (6) biogeochemical effect, such as, ocean acidification, decreases in dissolved oxygen, etc. We forecasted exploitable biomass of chub mackerel from 2010 to 2099 in the fishing ground of the Korean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exploitable biomass was forecasted by two different air-ocean models, which were GFDL-CM2.0 and MIROC3.2 (Hires). Results of this forecasts can be used in the a management-strategy evaluation framework of IFRAME to assess alternative harvest strategy and/or tactics in the rapidly changing marine ecosystem.

      • 영미 청소년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고등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들은 서울 시내 S 여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고, 영어 능력이 중급 이상인 20명의 학생들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3주 동안 8차시에 걸친 수업을 진행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실험집단에게는 독해일지 작성 활동 과업을, 통제집단에게는 이해력 점검 활동 과업을 부여하였다. 아울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능력검사와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 추가로 사후 심화 설문지를 배부하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사전-사후 읽기 능력검사 결과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읽기 능력검사 평균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집단 별로 사후 읽기 능력검사 평균점수를 사전 능력검사와 비교한 결과, 사전 능력검사에 비해 사후 능력검사의 두 집단의 평균점수는 모두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둘째, 집단 간 사전-사후 쓰기 능력검사 결과에서도 사후 쓰기 능력검사의 총점과 평가 영역별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각 집단 별로 사전-사후 능력검사의 총점과 각 평가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 별로 총점 및 내용과 구성 영역에서는 사전 능력검사와 사후 능력검사의 평균점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실험집단 내 사전 능력검사 하위득점자의 경우, 사후 쓰기 능력검사 총점과 작문 구성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에서 통제집단의 하위득점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내 하위득점자의 사전-사후 쓰기 능력검사 점수를 총점과 각 평가 영역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총점 및 쓰기 구성과 내용 측면에 대한 평균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실험집단 하위 득점자들의 쓰기 전반과 구성 및 내용 측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의 선별차시 독해일지 작문에 대해 T-unit 분석을 실시한 결과, 쓰기 유창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총 단어수와 문장 성숙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T-unit 평균길이(MLTU)는 차시가 거듭될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드러났다. 아울러 실험집단 내 사전 쓰기검사 상-하위 득점자의 선별차시 독해일지 작문에 대해 T-un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지표 별로 비교한 결과, 차시 별 T-unit 수와 T-unit 평균길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차시 별 총 단어수와 차시 별 절당 단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실험집단 하위 득점자들의 쓰기 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실험집단 내 하위 득점자의 전체 독해일지 작문을 질적 분석한 결과, 차시 경과에 따라 어휘 사용이 점진적으로 다양해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이와 동시에 연어(collocation)와 형태(form) 측면의 오류도 자주 나타났다. 글의 구성 측면에서는 초반 차시에 비해 점차 다양한 종류의 도입문을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단락 구분을 지어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독해일지 작문의 내용상으로도 독해일지에 읽기 자료에 대한 점진적인 관심과 몰입을 표현하는 동시에 그에 따라 작문의 내용도 풍부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질적 분석 결과는 앞서 실시한 실험집단 하위 득점자의 사후 능력검사 통계검정 결과와 T-unit 분석 결과를 뒷받침해준다. 다섯째, 정의적 측면에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읽기 흥미와 자신감 그리고 쓰기 자신감 측면에서 사후 설문조사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장문 독해에 대한 부담감도 수업 후 과제활동을 통해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집단 간 사전-사후 응답비율 변화 양상에 대한 원인은 실험집단에 대한 사후 심화 설문지 응답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쓰기 통합 활동의 일환으로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사례수를 가지고 장기간의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들이 작성한 작문의 질이나 쓰기 유창성은 문법이나 어휘와 같은 언어 지식이 높고 낮음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목표 언어 쓰기 활동에 학습자들이 얼마나 익숙한가에 달려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쓰기 지도 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읽기와 쓰기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문학텍스트와 같이 읽기와 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나 매개를 설정해야 한다. 넷째, 교사들은 독해일지 작성 활동을 교실 상황에서 활용할 경우, 쓰기 유창성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작성한 작문의 실질적인 질과 정확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writing reading journals with young adult literature has on the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ir affective domai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carried out an intensive reading program during the summer vacation, targeting 20 high school students. All the participants were attending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and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was intermediat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s: one was an experiment group whose post-class task was to write reading journals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whose post-class task was to write answers for comprehension check-up sheets. The study posit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was the participants' reading abilities affected by writing reading journals on young adult literature? Second, how was the participants' writing abilities affected by writing reading journals on young adult literature? Third, how did the participants' affective domain change through writing reading journals? Pre-/Post-tests on reading and writing proficiency were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1 and 2. In addition, post-class tasks were assigned to the participants of each group in order to give more detailed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 2. Furthermore, Pre-/post-survey and in-depth questionnaires were also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3. The data from pre-/post-tests were analysed by using T-tests. Mann-Whitney tests and Wilcoxon tests were also used to analyse the results of pre-writing tests of lower scorers from each group. Furthermore, reading journals were analysed through T-unit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writing fluency and the syntactic maturity of sentence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replies from pre-/post-surveys was converted into percentage to be compared according to the post-class tas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re-/post-reading abi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mean scor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pre-/post-writing ability of each group. However,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lower scorers of the pre-test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resul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total score. Third, although there was a definit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per session and MLTU(Mean Length of T-unit) per session,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unit analysis on the lower scorers' journal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per session and the number of words in a clause. Fourth,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on the lower scorers' journals indicates the following: in terms of vocabulary use, they tried to apply the vocabulary to the appropriate context and sometimes expand the given expressions in various ways. However, there were still many errors in the collocation and the forms. In the organizational aspects, the introduction sentences tended to vary as the session proceeded. Also, some participants tended to classify different contents by paragraphs. As for the contents of writing, participants who expressed their interests in the reading material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contents of their journal writing. Finally, the results of pre-/post-surve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writing. Also, their anxiety caused by reading longer texts was relatively lowered.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research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First, in order to prove the effects that writing reading journals has on reading ability, a long-term research with more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Second, when teaching writing in EFL classrooms, instructors should consider how familiar their students are with English writing, because their low writing performance is not entirely due to their linguistic knowledge. Third, instructors should not only teach those skills in class, but also consider introducing a proper device or medium?such as a literary text that cater to students? interests?in order to elevate students' confidence and interests in reading and writing. Finally,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pay attention to the accuracy and the practical quality of students' writings although developing writing fluency i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writing reading journals.

      • A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Magnetohydrodynamic Stabilization for Transient Vortex Core Phenomenon at Free Surface Flow : 전자기 유체역학을 이용한 자유표면 보텍스 코어 현상 억제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이종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실생활에서 주로 관측되는 보텍스 코어 현상은 펌핑 또는 배수 효율의 감소, 물리적 손상, 소음 및 진동, 연속주조에서의 슬래그 유입, 소듐냉각고속로에서의 불활성 가스 유입 등 다양한 공학 어플리케이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보텍스 코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보텍스 코어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자기유체역학을 이용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전자기를 이용한 안정화 장치는 기존의 불충분한 억제 성능을 가진 기계적인 안정화 장치 대비 보텍스 코어의 회전 소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더 강건하게 가스 유입을 억제할 수 있었다. The vortex core phenomenon, which is generally observed in real life, is also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various engineering problems, such as reduction of pumping or draining efficiencies, physical damage, noise & vibration, or slag (in CCM) or cover gas (in SFR) entrainment. Therefore, the suppression of vortex core occurrence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over the past decades. In this study, a magnetohydrodynamic stabilizer was newly proposed to suppress the vortex core phenomenon. The MHD stabilizer is much more robust for preventing gas entrainment than the insufficient suppression performance of typical approaches by considerably alleviating the rotating sources of the vortex 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