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과적인 영어리듬 지도 방안 :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서정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various effective techniques for teaching English rhythm for middle school 1st graders by analyzing English rhythm. It is important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English rhythm properly. Especially, as the most prominent feature in English rhythm is stressed-timed, it is important to teach English stress effectively. The study has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Ⅰ gives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English rhythm. Chapter Ⅱ give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nglish rhythm which have been presented by phonologists. Chapter Ⅲ presents that the pronunciation materials in the current English texts were analyzed to see if they were presented systematically and properly. Chapter Ⅳ presents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English rhythm. The method of teaching English rhythm by chant and song is effective. The regular repetition of chant and song rhythm helps students learn English rhythm patterns in their unawareness. Chapter Ⅴ summarizes all the previous chapters. Wit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First, English is said to be a stress-timed language while Korean is regarded as a syllable-timed language. In English, rhythm is the most important in conveying the meaning of the utterance. Therefore, we have to give priority to English rhythm to improve th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to make the students recognize the regular recurrence of stressed syllables, the stress symbol □□ ●· □□ had better be used than Trager & Smith's transcription □□ ´ □□. Finally,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English class, it is necessary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train themselves continually to be a good English model of their students and develop their own good teaching methods.

      •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DAS 반응 특성

        서정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DAS 반응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라 DAS 검사 내 정서내용 반응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라 DAS 검사 내 자아상 반응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라 선택한 자극그림 유형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250명의 청소년에게 DAS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또래애착 수준 +1SD에 해당하는 32명을 또래애착 수준이 높은 집단으로, 또래애착 수준 –1SD에 해당하는 28명을 또래애착 수준이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총 60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래애착척도와 DAS 검사를 이용해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DAS반응을 측정하였으며, 통계방법은 이원변량분석,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DAS 정서내용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정서내용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성별에 따른 정서내용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DAS 자아상의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자아상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성별에 따른 자아상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중학생의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에 따라 자극그림 선택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본 결과, 남학생은 화산, 쥐 자극그림을 많이 선택하였으며, 여학생은 면사포 쓴 여인을 많이 선택하였다. 또한, 또래애착 수준이 높은 집단은 성 자극그림을 많이 선택하였고, 낮은 집단은 화산과 면사포를 쓴 여자를 많이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의 또래애착 수준에 따라 DAS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우울과 공격성을 측정하기위해 주로 사용되었던 DAS 검사를 이용해 또래애착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pursuant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The specified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sponses to emotional contents within DAS test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sponses to self-image within DAS test according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ection of stimulation pictures according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To verify the above issues, DAS test was conducted on 250 adolescent attending 2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those falling under attachment level +1SD were placed in a group with high peer attachment, and those under attachment level –1SD, in a group with low peer attachment, totalling 60 adolescent selected to be objects of this study. DAS reactions according to levels of peer attachment were measured using peer attachment questionnaire along with DAS test,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two-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drawn of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 First, comparison of the scores of DAS emotional contents according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emotional contents to levels of peer attachmen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emotional contents according to gender. Second, comparison of the scores of DAS self-image according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self-image according to levels of peer attachmen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self-image pursuant to gender. Third, comparison of what differences there were in selection of stimulation pictures according to middle schoolers’ gender and levels of peer attachment showed that male students chose stimulation pictures of volcanoes, rats more than others, while female students chose women wearing a wedding veil, with the groups low in peer attachment choosing volcano pictures m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DAS reactions according to peer attachment levels of juveniles attending middle schools and that peer attachment levels can be measured using DAS test that has been mainly used to measure depression and aggression.

      • ‘~てくる/いく’ 와 ‘~어 오다/가다’의 대조분석

        서정희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인 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학습을 할 때 빈번히 일으키는 오용 중 한 예가 일대일 대응으로 문장을 번역하고 작문을 하는 데에 있다. 이는 학습자가 母語에서의 문법규칙을 다른 나라 언어에 그대로 적용하면서 발생하는 모어간섭현상에서 온다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문학작품에서 ‘~てくる/いく’ 가 포함된 용례를 추출하여 ‘~어 오다/가다’와 일대일 대응시켜 표현하는 경우와 일대일대응하지 않고 다른 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의 문장들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중급 일본어학습자가 ‘~てくる/いく’ 의 문장을 이해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모리타(森田 1968), 요시카와(吉川 1976), 데라무라(寺村 1984), 모리야먀(森山 1988), 이마니(今仁 1990) 등의 ‘~てくる/いく’ 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최현배(1937), 이기동(1977), 서정수(1996), 손세모돌(1996), 박선옥(2002), 김성화(2003)등의 ‘~어 오다/가다’ 에 관한 선행연구를 ‘상’과 ‘양태’의 의미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てくる/いく’를 크게 ‘공간적 이동’, ‘시간적 이동’, ‘심리적 이동’ 등의 세 가지 용법으로 나누었다. 또한 ‘공간적 이동’의 하위분류로 ‘계기(繼起)’, ‘이동방법’. ‘이동상태’, ‘화자시점’ 등으로, ‘심리적 이동’에서는 ‘출현’, ‘소멸’, ‘변화’. ‘심적직시’ 등으로 각각 네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의미를 일본문학 용례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한국어로 번역된 일본문학작품에서의 ‘~てくる/いく’를 한국어 번역본과 대조비교하면서 동일한 사태표현을 양국언어에서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일본어화자는 ‘화자’를 중심으로 사태를 파악하는 주관적인 표현을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공간적, 시간적’으로 화자를 향해 다가오거나 ‘심리적’으로 화자와 관련성이 있다고 느낄 경우에는 ‘~てくる’를, 그 반대로 화자에게서 멀어져 가거나 관련성이 점점 희박해 진다고 느낄 경우에는 ‘~ていく’로 표현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화자는 동일한 사태표현에서 일본어화자와 달리 제3자의 입장에 서서 그 사태를 바라보며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てくる/いく’를 ‘~어 오다/가다’로 대응하여 번역되지 않고 ‘기본형’이나 ‘~어 지다, ~어 들다, ~어 오르다, ~기 시작하다’ 등과 같은 객관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초급 일본어교재에서는 ‘~てくる/ いく’가 ‘~어 오다/가다’로 일대일 대응하는 예문을 다루고 있는 반면에 중급 일본어교재에서는 양언어의 구체적인 차이점의 설명 없이 비대응하는 예문들이 많이 출현하면서 일본어학습자들이 학습에 곤란을 겪고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따라서 ‘~てくる/いく’의 문장을 중급이상의 일본어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된 교재가 시급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はよく韓国語の文法規則を日本語にそのまま持ち込んで誤用をおこし、またその点は日本語の習得の際に困難をきたす。本稿の目的は「〜てくる/いく」とこれに対応する韓国語の「~어오다/가다」を対照分析し、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り自然なコミュニケションができる助けとなることである。本稿は6冊の日本文学作品での「〜てくる/いく」の用例を抽出し、韓国語の翻訳本での「~어오다/가다」と対応する文章と「~어오다/가다」の以外に「​​基本形」「~어 지다」「~어 들다」「~어 오르다」「~기 시작하다」などの他の表現に訳される文章に分けて対照分析を行った。 2章では、森田(1968)、吉川(1976)、寺村(1984)、森山(1988)、今仁(1990)などの「〜てくる/いく」に関する先行研究について調べてみた。 第3章では、최현배(チェヒョンベ,1937)、이기동(イギドン,1977)、서정수(ソジョンス,1996)、손세모돌(ソンセモドル,1996)、박선옥(バクソンオク,2002)김성화(ギムソンファ,2003)の「~어오다/가다」に関する先行研究を大きく「相」と「様態」との意味に分けて分類してみた。 第4章では「〜てくる/いく」を大きく「空間移動」「時間的移動」「心理的移動」の三つの意味に大きく分けた。また「空間移動」は「継起」「移動方法」「移動状態」「話し手の視点」にで、「心理的移動」は「出現」「消滅」「変化」「心的直視」の四つにそれぞれ下位分類し、日本文学作品で抽出した「〜てくる/いく」の用例を通じてその意味を考察してみた。 第5章では日本文学作品での「〜てくる/いく」の用例を韓国語の翻訳本と対照比較しながら「~어오다/가다」と対応する場合と「~어오다/가다」の以外に他の表現に訳される文章に分けて対照分析を行った。日本語話者は「話し手」を中心に事態を把握する主観的な表現を主に多く使う傾向がある。「空間ㆍ時間的」に話し手に近づいたり、「心理的」に話し手との関連性が生じたと感じる時には「〜てくる」を、逆に話し手との関連性がますます希薄になっていくと感じる時には「〜ていく」を使って表すことが習慣化されていた。しかし、韓国語話者は日本語話者とは違って客観的に事態を表現する傾向が多かった。それで「〜てくる/いく」が「~어오다/가다」に訳されず、「​​基本形」「~어 지다」 「~어 들다」 「~어 오르다」 「~기 시작하다」などの客観的な表現で訳されることが多かった。 中級以上レベルの日本​​語教材には両国語の具体的な違いの説明なしに「~어오다/가다」の以外に「​​基本形」「~어 지다」 「~어 들다」 「~어 오르다」 「~기 시작하다」などの他の表現で訳される例文が多いのて、中級レベル以上の学習者向けの教材がなるべく早く研究されるべきである。

      • 음파 진동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 및 치은염 완화 효과에 관한 임상실험 연구

        서정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치주질환은 구강 내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치면세균막의 제거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파 진동칫솔을 사용하여 치면세균막을 제거했을 경우, 치은염이 완화되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서울시 중구의 치과의원에 내원한 치은염이 있는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미세모 음파 진동칫솔과 일반모 음파 진동칫솔 및 수동칫솔을 사용한 후, 임상지수 측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칫솔 종류에 따른 CPI Index 및 CPI maximum Index, PHP Iindex는 4주 후 두 음파 진동칫솔이 수동칫솔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2. 칫솔 종류에 따른 PMA Index의 변화는 2주 후 음파 진동칫솔 사용이 수동칫솔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MA Index가 낮아졌으나(P<0.05) 두 음파 진동칫솔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3. 칫솔 종류에 따른 기간별 CPI Index, CPI maximum Index, PMA Index PHP Iindex의 변화는, 모든 칫솔 군에서 임상실험 시작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칫솔 종류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치은염의 원인이 되는 치면세균막의 제거에 잇솔질 관리가 중요하며 수동칫솔에 비해 음파 진동칫솔의 사용이 치은염 완화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음파 진동칫솔 중에서도 칫솔 강모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건강한 치주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칫솔 종류에 따른 적절한 잇솔질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서정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others' perception and demand about the operation of infant class in daycare centers in Jeollabukdo, and additionally,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mothers' age, academic background, and job, types of institutions, and infants' gender and age. Studies for inquiry depending on the objective like this are as follows. 1. How is mothers' perception about the operation of infant class in daycare centers? What ar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2. How is mothers' demand about the operation of infant class in daycare centers? What ar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96 mothers of infants under the age of 2. 1 or 2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nju, Iksan, and Kunsan, Jeollabukdo, were proportionately sampled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s and age, and questionnaires were give out to a total of 300 mothers of infant classes, per institution. Among them, 208 copies of questionnaires (69.3%) were collected, and respondents of 196 copies excluding 12 copies with unfaithful answ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s revised and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s by Im Jeom Ee(2011) and Park Jung Mi(2012) were used as a study tool. The draft questionnaires written by the present researcher got a content validity test from 2 professo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 teachers with five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questions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To find out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erception and demand about the operation of infant class in day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X2-test, t-test, F-test, and scheffe-test, using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ound half of the mothers perceived that the operation of infant class was necessary 'for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sociality with peers.' Also, there were perceptions about its necessity because of dual-income or because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s' health and leasure. A little more than half of the mothers perceived that it was necessary to operate infant class because of parents' need, but not because of infants' need. It wa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a daycare center was 'trustworthy teachers,' and the most worrying factor was 'a clinging and crying child in going to a daycare center.' Most of them perceived that the burden of child rearing expenses decreased because of free child care. They recognized that child care services such as child care environment, basic life, physical exercise, soci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nature exploration, artistic experience, evaluation, and service to parents were appropriate in all areas. Second, mothers perceived that a teache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perating infant class, and they required teachers with the academic background of college graduation, and love and understanding the most. Most of them require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qualifications in operating infant class the most,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programs. How to play together was required the most as a way to teach how to solve conflicts with peers, followed by the suggestion of opportunities to play with other infants. Mothers demanded that safety supervision should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nutrition and health.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that physical environment and parents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was relative low. It was demanded that the most emphasis should be on the regular child care process, while the demand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s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As a way to connect daycare centers to families, the demand of face-to-face-talk journal was highest, followed by the demand of frequent individual consult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there were demands about a daycare center newsletter, lectures of experts, and usage of the homepage of a daycare cent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차적으로 어머니의 연령, 학력, 취업형태, 기관유형, 영아의성과 연령 등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배경변인 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는 어떠한가?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0~2세 영아의 어머니 196명이다. 전라북도 전주, 익산, 군산에 소재한 어린이집 1~2개원씩을 기관 유형 및 연령 당 균등비율로 표 집하여, 기관 당 0, 1, 2세 반의 영아 어머니 총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이 중 208부가 회수되어 69.3%의 회수율을 보였고, 이 중 질문에 대한 응답이 충실하지 않은 12부를 제외한 196부의 응답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임점이(2011), 박정미(2012)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수정, 고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자가 시안 작성 후 유아교육전공교수 2인과 현장 경력 5년 이상의 교사 2인에게 내용타당도검사를 받았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을 확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X2, t-검증, F검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반수 정도의 어머니들은 영아반 운영이‘ 또래와의 사회성 발달과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맞벌이기 때문이란 인식도 다수였고 육아스트레스나 부모의 건강과 여가를 위해서란 인식도 많아, 과반 수 조금 넘는 어머니들이 영아가 아니라 부모의 필요에 의해서 영아반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뢰할 수 있는 보육교직원이며, 어린이집 선택 시 영아가 등원 시 매달리거나 우는 것을 가장 큰 걱정거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무상보육으로 인해 양육비 부담은 대체로 감소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보육서비스 중 보육환경, 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와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 평가, 부모에 대한 서비스 등 모든 영역에 대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어머니들은 영아반 운영 시 교사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으며 전문대졸 학력의 따뜻한 사랑과 이해심을 갖춘 교사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또한 영아반 운영 시 개선요구로 교사의 자질에 대해 개선 요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요구가 많았다. 또래와의 갈등지도법으로는 다른 영아와 함께 노는 법을 가르쳐주고 다른 영아와 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을 주로 요구하였다. 보육서비스 내용 중 어머니들은 안전관리를 가장 중요시해야 한다고 요구하였으며 다음으로 영양 및 건강에 대해 중시해야 된다는 요구가 높았다. 반면 물리적 환경과 부모교육은 중요시해야 한다는 요구는 낮았다. 또한 보육과정 운영 시 정규보육과정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요구한 반면 자녀교육 정보제공에 대한 요구는 가장 낮았다. 가정과 어린이집의 연계 방법으로는 면담수첩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담임교사와의 잦은 개별상담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나 가정통신문, 전문가 강연 및 어린이집 홈페이지 활용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 인간중심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우울과 인지왜곡에 미치는 연구 : 장애아동을 둔 부모양육태도

        서정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형제를 가진 비장애형제가 부모의 비공감적인 양육환경으로 인하여 아동은 스트레스로 상황에 놓이게 되고, 결국 우울과 인지적 기능의 불균형적인 상태에 놓이게 되어 학교부적응을 보이는 아동에게 미술치료가 우울과 인지왜곡 감소 긍정적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아동은 장애형제를 가진 비장애 형제로 장애아들이 있는 가정의 다수는 많은 심리적, 경제적, 관계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어려움 때문에 가정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정서적으로 계속적인 공감적 양육환경을 제공받지 못하여 건강한 아동의 형제보다 우울과 불안이 두 배 이상 높아 학업수행에 대한 스트레스 및 교사 또래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학교부적응으로 나타내는 아동이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4월까지 1회기 60분씩 총 57회기 인간중심 심리치료 미술치료와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치료과정 변화를 분석하였고, 질문지 검사는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 K-YSR),부모용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K-CBCL), 교사용 아동행동조사표 TRF ,자녀가 느끼는 부모 양육태도를 검사를 하였다. 가족 프로그램으로는 전 가족에게 가족기능(FACES)검사로 가족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그림검사는 가족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투사 검사인 KFD, HTP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과정은 취약한 자기감을 가진 아동에게 인간중심 심리치료에 의한미술치료를 적용하여 공감적 자기 대상을 제공하고 자기발달의 정지를 재 활성화하였으며, 중기이후에는 가족참여 미술치료를 통해 소통의 통로를 돕고 우울과 인지왜곡의 감소로 또래관계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부적응을 보이는 아동에게 우울과 인지왜곡을 감소시켜 학교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간중심 심리치료에 의한 미술치료가 장애형제를 가진 아동에게 우울감소 긍정적 변화를 주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진행한 후에 그림 투사검사를 비교한 결과, 그림으로 표현되었던 무기력함과 우울감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관찰에 의한 회기별 내용 변화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인간중심 심리치료 미술치료가 인지왜곡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초기에는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여 공상의 세계로 도피하려는 모습에서 중반이후 후기로 넘어가서는 자신의 관심영역 작업을 하면서 집중하고 또래관계와 주변에서 느끼는 시선을 긍정적으로 보기 시작했다. 타인을 지각하는데 왜곡할 필요가 적어지게 되자 자신과 자기의 환경과의 관계를 한층 더 현실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우울과 인지왜곡 감소로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아동 A는 치료 전 그림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 또한 특정한 형태를 취하지 못하고 막연한 상태에서 그 정도만을 추상적인 대상에게 투사하고 있는데 비해 치료 후 그림에서는 구체적인 사람의 형태를 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긍정적인 정서를 투사하고 그려진 대상 간 상호 작용까지 묘사하고 있어 대인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을 뿐 아니라 상호 작용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인간중심 심리치료에 의한 미술치료는 학교와 가정에서 소외당하는 장애형제를 가진 아동에게 우울과 인지왜곡의 감소시키고 학교 부적응 부분에서 또래하고의 관계형성에도 긍정적 효과를 주는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이므로 다른 정서적 부적응을 보이는 아동들에게도 인간중심 심리치료 미술치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 근린공원의 활동프로그램, 시설, 활동공간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정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How do activity programs, facilities and activity spaces of neighborhood parks affect satisfaction and revisit?” Thus, this study examined neighborhood parks in terms of PGM(activity programs), FAC(facilities), and ACTSP(activity spaces) in a systematic view, and analyzed their effects on SAT(satisfaction) and RVIT(revisit)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es and variables are established by forming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of neighborhood parks. For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of Dream Forest, Seoul Forest and World Cup Park, and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mong them, 270 copies excluding outliers were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LISREL 8.72.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is model turned out to be generally fit with GFI(goodness of fit index)=0.926, AGFI(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0.887, NNFI(non-normed fit index)=0.986 and CFI(comparative fit index)=0.989. Among the variables of PGM in the neighborhood parks, (fulfillment of visiting purpose) turned out to have approximately 1.021 time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consideration of user characteristics) and (convenience of participation). Among the variables of FAC, (level of infrastructure) turned out to have 1.253 times and 1.029 time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level of operating program support facilities) and (level of voluntary activity support facilities) respectively. Among the variables of ACTSP, (level of spatial suitability) turned out to have 1.028 times and 1.013 time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level of spatial form) and (level of spatial service). Among the variables of SAT, (overall satisfaction) turned out to have 1.122 time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preference). Among the variables of RVIT, (intention to recommend) turned out to have 1.055 time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intention to revisit). The effect of factors of PGM on variables of ACTSP had the size of 0.536~0.552, the effect on variables of SAT had the size of 0.617~0.693, and the effect on variables of RVIT had the size of 0.634~0.669. The effect of factors of FAC on variables of ACTSP had the size of 0.281~0.289, the effect on variables of SAT had the size of 0.129~0.145, and the effect on variables of RVIT had the size of 0.133~0.140. The effect of factors of ACTSP on variables of SAT had the size of 0.407~0.456, and the effect on variables of RVIT had the size of 0.418~0.441. ACTSP had the greatest effect on among variables of SAT. S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among variables of RVIT. As for the effect on ACTSP, PGM showed 1.9 times greater effect than FAC. This indicates that software such as activity programs has a greater effect on activity spaces than hardware such as facilities, and thus it is more necessary to establish software in forming and operating neighborhood parks. As for the effect on SAT, PGM showed 4.8 times and 1.5 times greater effect than FAC and ACTSP respectively. Facilities did not contribute much to satisfaction, but only had indirect effect through activity spaces. This indicates that neighborhood parks consisting of only fragmentary facilities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a satisfactory park experience. To provide satisfactory experience for park visitors, it is more efficient to modify the software such as activity programs rather than hardware like facilities. As for the effect on RVIT, SAT showed 6.4 times, 1.3 times and 2.0 times greater effect than FAC, PGM and ACTSP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RVIT was directly affected by only SAT, whereas FAC, PGM and ACTSP had indirect effects. Revisit to a neighborhood park only happened when visitors were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they experienced in the park, and there were more revisits when the park had excellent activity programs and activity spaces than facil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actively meet the changing demand for leis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upport facilities to induce various activities of visitors. 2) Activity spaces in neighborhood parks turned out to be affected more by activity programs than facilities. This indicates that merely improv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neighborhood park facilities will not lead to improved level of activity spaces.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nging demand of user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variable and flexible plan as well as design to embrace various activities. 3) Facilities in neighborhood parks did not contribute greatly to satisfaction but only had indirect effect through activity spaces. Facilities that do not harmonize with activity programs must be improved as they do not contribute much to satisfaction. It is more important to implement facilities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than facilities that merely support a single activity in terms of satisfaction. To plan and design park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pportability of facilities as much as possible to enable various activity programs. 4) Activity programs in neighborhood parks had a great effect on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e neighborhood park development project is in seeking satisfaction, and thus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aradigm to managing a park focused on activity programs instead of facilit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st be conducted on facility types according to the current 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facility types. 2)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tivity types of individual parks on satisfaction to establish customized management plans for individual parks. 3)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detailed items of activity programs to contribute to actual park management. 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limited view targeting only a few big neighborhood parks. Thus, to apply to all neighborhood parks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uch as study area, season and period. 5) To provide specific help in planning and designing neighborhood parks, research is needed on the role of programs considered in the planning step and programs provided in the implementation step. 본 연구는 “근린공원의 활동프로그램, 시설, 활동공간은 이용만족도와 재방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 의문에 해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근린공원을 체계적인 관점에서 활동프로그램(Activity Programs: PGM), 시설(Facilities: FAC), 활동공간(Activity Spaces: ACTSP)으로 이해하고 제요소가 이용만족도(Satisfaction: SAT)와 재방문(Revisit: RVIT)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근린공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적 틀을 구성하여 가설과 변수를 도출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북서울 꿈의 숲(Dream Forest), 서울숲(Seoul Forest), 월드컵 공원(World Cup Park)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00매를 수집하였고, 이상치를 제외한 270매를 LISREL 8.72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GFI(goodness of fit index)=0.93, AGFI(adusted goodness of fit index)=0.89, NNFI(non-normed fit index)=0.98 and CFI(comparative fit index)=0.99로 나타나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활동프로그램(PGM: )을 구성하는 변수들 중 방문목적 달성정도()는 이용자 특성 고려정도(), 참여의 편리성() 항목에 비해 약 1.021배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시설(FAC: )을 구성하는 변수들 중 기반시설 수준()은 운영프로그램 지원시설 수준(), 자발적활동 지원시설 수준()에 비해 각각 1.253배, 1.029배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활동공간(ACTSP: )을 구성하는 변수들 중 공간적합성 수준()은 공간형태 수준()과 공간서비스 수준()에 비해 각각 약 1.028배, 1.013배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이용만족도(SAT: )를 구성하는 변수들 중 전반적인 만족도()는 선호도()에 비해 약 1.122배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재방문(RVIT: )을 구성하는 변수들 중 추천의사()는 재방문의사()에 비해 약 1.055배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활동프로그램(PGM) 요소가 활동공간(ACTSP) 구성 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0.536~0.552로 나타났으며, 이용만족도(SAT) 구성 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0.617~0.693, 재방문(RVIT) 구성 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0.634~0.669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시설(FAC) 요소가 활동공간(ACTSP) 구성 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0.281~0.289, 이용만족도(SAT) 구성 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0.129~0.145, 재방문(RVIT) 구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0.133~0.140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활동공간(ACTSP)이 이용만족도(SAT) 구성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0.407~0.456, 재방문(RVIT) 구성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0.418~0.441로 나타났다. 활동공간(ACTSP)은 이용만족도(SAT) 관련 변수 중 전반적인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이용만족도(SAT)는 재방문(RVIT)을 구성하는 변수 중 추천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활동공간(ACTSP)에 미치는 영향은 시설(FAC)보다 활동프로그램(PGM)이 1.9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시설 등의 하드웨어 보다는 활동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가 활동공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근린공원의 조성과 운영에 있어 활동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확충이 더욱 필요한 것을 의미한다. 근린공원의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프로그램(PGM)이 시설(FAC), 활동공간(ACTSP)에 비해 각각 4.8배, 1.5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시설은 이용만족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활동공간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단편적인 시설물로 구성된 근린공원은 만족스러운 공원 이용 경험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원 이용자에게 만족스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설 위주의 하드웨어적인 정비보다는 활동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정비가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근린공원의 재방문(RVIT)에 미치는 영향은 이용만족도(SAT)가 시설(FAC), 활동프로그램(PGM), 활동공간(ACTSP)에 비해 각각 6.4배, 1.3배, 2.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재방문(RVIT)에는 이용만족도(SAT)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시설(FAC), 활동프로그램(PGM), 활동공간(ACTSP)은 간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의 재방문은 이용자가 공원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해 만족한 경우 발생하며, 시설에 비해 활동프로그램과 활동공간이 우수할 때 근린공원의 재방문이 많아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1) 변화하는 여가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지원시설에 대한 확충이 요구된다. 2) 근린공원의 활동공간은 시설보다는 활동프로그램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단순히 근린공원 시설의 양적․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것으로는 활동공간의 수준을 높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변화하는 이용자의 수요를 고려할 때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가변적이고 유연한 계획과 설계가 필요하다. 3) 근린공원의 시설은 이용만족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활동공간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프로그램과 조화되지 않는 시설은 이용만족도에 기여하는 바가 미흡하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용만족도의 관점에서 하나의 활동만을 지원하는 시설보다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 시설 도입이 더욱 중요하다. 공원 시설을 계획할 때는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양산할 수 있도록 시설이 지닌 지원성을 최대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4) 근린공원의 활동프로그램은 이용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 조성사업의 목적은 이용만족도의 추구에 있으므로, 시설 위주의 공원 조성 사업에서 벗어나 활동프로그램 위주의 공원 운영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1) 현행 공원녹지법(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e.)에 따른 시설유형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시설유형에 따른 만족의 차이를 구명할 필요가 있다. 2) 개별 공원의 맞춤형 관리방안 수립을 위해서는 개별 공원의 활동유형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3) 실제적인 공원 관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세부적인 활동프로그램 항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4) 이 연구는 일부 대형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정된 시점에 수행된 연구결과이므로, 근린공원 전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과 조사 계절, 시기 등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5) 근린공원의 계획 및 설계에 구체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계획 단계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과 이용단계에서 제시되는 프로그램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한국 거주 몽골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분석 연구

        서정희 남부대학교 문화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거주 몽골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은 한국에서 유학 생활을 하게 될 몽골인 학습자의 학습 방법과 교수요목 설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내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몽골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한국 문화 인식에 관해 이야기를 듣고 자국과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지, 왜 그런지, 이에 따라 어떤 어려움이 발생하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개인별 설문조사를 통해 두 국가 간 인식 차이를 느끼는 부분이 무엇인지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주제별로 정리하여 학교 수업, 생활, 대인관계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생의 중복되는 의견을 찾아내고 이를 주제로 1:1 심층 인터뷰를 가짐으로써 한국과 몽골 문화에 좀 더 세부적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학교 수업 부분에서는 학생의 한국어 실력 정도에 따라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고 생활-가치관 부분에서는 어릴 적부터 배우고 겪어왔던 몽골 문화와 방식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대인관계 부분에서는 한국어 실력 정도와 개인의 성향, 유학생을 대하는 한국 학생의 태도에 따라 한국 문화 인식 차이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몽골 내에서의 교육 방안과 한국 입국 후의 교육 내용, 한국 대학의 몽골 유학생 유치 방향에 관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자신의 특기와 희망하는 전공 분야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과 자기 성찰이 필요하다. 둘째, 목표 문화에 대한 지식 학습보다 경험적 접근을 통한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수업 외 오리엔테이션이나 특강을 통해 학교 및 기숙사 이용에 대한 규정, 온라인 시스템 이용법, 자료 조사 및 리포트 작성 방법 등을 교육해야 한다. 넷째, 학과별 전공 용어에 대한 외국인 전용 강좌를 개설하여 이수하게 하고 학과 내, 멘토와 멘티 관계를 형성하여 학업과 한국 생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 학생과 유학생 간의 교류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한국인 학생에게도 타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여 다문화 인식을 넓혀야 한다. 여섯째, 한국과 몽골 내 다국적 기업들의 필요를 파악하고 이를 육성할 수 있는 학과 선택에 중점을 두어 졸업 후, 취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신설해야 한다.

      •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희 목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전반에 대한 안전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는 가운데 금년 5월 28일 장성 요양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28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요양병원의 안전문제도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화재에 취약한 요양병원이 다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형참사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요양병원의 운영관리, 시설과 안전점검, 매뉴얼 개발과 교육훈련, 법과 제도 등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및 화재 대응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범위는 크게 내용상·시간상·공간상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요양병원의 운영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요양병원 특성을 반영한 화재안전관리의 종합계획의 수립과 이행, 야간근무 및 휴일근무의 최소인원확보 배치 운영, 입원환자의 자력대피 유무를 반영한 층별 환자 배치, 소방시설 및 소방용품 점검자 지정관리, 화재발생 시 입원환자 대피계획 수립 등이다. 다음으로, 요양병원의 시설 및 안전점검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소방시설 등 작동기능점검 및 종합정밀점검의 자체점검 강화,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간이스프링클러 포함) 및 경보설비의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 2층 이상의 층별 대피용 경사로 또는 발코니 설치 및 환자 및 근무자의 긴급대피용 간이호흡보호기구 비치, 2층 이상의 층별 무동력승강식피난기 설치 및 제연설비 및 배연설비 설치, 병원 내 방염물품 사용 및 신속한 대피를 위한 방화문의 자동개폐장치 설치 등이다. 세 번째로, 요양병원의 매뉴얼 개발 및 교육훈련을 제시했다. 그 내요은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표준 매뉴얼 개발안, 소방계획서에 의한 연간 교육훈련계획 이행, 관계인 및 근무자와 거동가능 환자의 매뉴얼 숙지 교육, 매뉴얼에 의한 휴일 및 야간 근무자의 소수인원 훈련 등이다. 네 번째로, 요양병원관련법과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의 관련법 개선, 요양병원의 설립 허가 시 소방관서 현장 확인, 병원 인증평가 시 화재안전관련 평가 강화, 복합건축물 내 요양병원의 혼합설치 제한, 요양병원 신규 허가 시 강화된 시설 적용, 요양병원에 표준 매뉴얼 배부 등이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 제시한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을 적용하여 화재안전망을 구축한다면, 요양병원에서 화재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the safety problem in the society at large is more politicized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safety matter in a medical care hospital is being magnified after a fire broke out in a medical care hospital in Jangseong making 28 casualties in May 28 this year. There are many medical care hospitals vulnerable to a fire and the number is increasing every year. For that reason, the danger of a tragic accident resides when there is an occurrenc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is study aims at minimizing the damage of human life and property by suggesting the improvement such as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facility and safety inspection, manual development and training, and law and system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to improve the ability of fire safety management and fire reaction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The study methods include liter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and the study scope is broadly divided into the content, time, and space.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below: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s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fire safety management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placement of the minimum personnel during a night shift and holiday work, patient disposition on each floor reflecting the capability of evacuation by inpatients in their own strength, appointment and management of the inspector of fire facilities and fire equipment, and making of an evacuation plan for inpatients at the time of a fire. Next,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and safety inspection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s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inspection of the operational function such as the fire protection system and enhancement of an internal inspection of the comprehensive precise inspection, installation of sprinklers(portable sprinklers included) of fire facilities and automatic fire alarm system, installation of an evacuation slope or a balcony and placement of portable breathing protective gears for evacuation of patients and workers on each floor for over 2 floors, installation of a fallback bucket elevator and smoke control system and smoke exhaustion system on each floor for over 2 floors, and use of flame proof goods in the hospital and installation of an automatic switch of a fire door for quick evacuation. Thirdly, the development of the manual and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s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development plan of the standard fire safety management manual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mplementation of the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plan by the fire fighting plan, complete education of the manual for the people related, workers, and movable patients, and training of a small number of holiday and night workers by the manual. Finally, the legal and systematic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medical care hospital are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improvement of the law of the fire safety manage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on-sie confirmation of the fire department when approv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enhancement of the fire safety evaluation when evaluating for certification of the hospital, restrictions on the mixed fitting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nside a complex building, application of the strengthened facilities for a new approval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and distribution of the standard manual to the medical care hospital. It is expected that a tragic accident can be prevented when there is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medical care hospital if the improvement plan for fire safety manage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build a fire safety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