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은영의 6인의 주자를 위한 "The Immortal Concord" 분석 연구

        강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2003년에 작곡되어진 강은영의 창작곡,ꡒThe Immortal Concordꡓ를 분석 연구한 것이다. 이 곡은 작곡자의 대학원 재학 시에 작곡된 작품으로 2003년 12월 5일 연세대학교 윤주용 홀에서 초연되었으며, 2004년 한국음악협회 주최 제 36회 서울음악제에서 입상하였다. 이 곡은 6인의 주자 (2 Violins, Viola, Violoncello, Pianoforte, and Percussion - Marimba, Vibraphone, Wind chimes, 5 Temple-blocks, and Suspended-Cymbals) 를 위한 곡으로 I. 공감대의 형성 II. 생명의 기쁨 III. 고뇌의 성장 IV. 질풍노도의 시기 V. 일상으로의 귀환이라는 부제의 다섯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의 곡명인ꡒThe Immortal Concord(불멸의 화현)ꡓ는 이러한 단계를 거쳐 가며 자연 속에서의 조화로움을 찾아내고 인류가 화합하는 과정과 평화를 의미하며, 겨울을 이겨낸 만물의 생명이 봄이 되어 화사하게 소생하듯이 우리의 삶도 자연의 섭리 속에서 순환한다는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이 곡은 대중이 이해하기 쉬운 전통 음악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현대음악의 난해함을 감소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소재와 음정구조, 선율, 박자, 리듬, 화성, 음색, 악기의 특징적 주법, 모티브 활용 등의 다양한 현대적 표현을 접목시켰다. 이는 각 악장의 부제와 연관된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 상호보완적 읽기에 의한 EFL 대학생의 학습 효과 연구

        강은영 순천대학교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Reading(CR) as a model for EFL college reading classes an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R. CR is a reading method which combines advantageous features of intensive and extensive reading. In CR classes,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ad speedily and to find the subjects and verbs from sentences in order to achieve the benefits of extensive reading employing the intensive reading method.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tages: experiment I, experiment II, and experiment III. In the experiment I, class presentations, group activities, and journal writing were assigned to the students as active reading tasks based on intermediate reading texts. The tasks were intended to help the learner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The analysis of the journals shows that the students highly evaluated CR, reporting they came to be more interested in and confident of reading. They also reported enjoying reading with little study burden. The intermediate-low level learners liked having minimal grammar instruction. The high level learners pointed out that the most impressive features in the CR classes wer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teacher, and discussions of the text in class and via journals. Although they were satisfied with this reading method in that they could read long sentences with little syntactic difficulties, they had a limitation of vocabulary learning as they came across unfamiliar words accidentally. Consequently, in the experiment II, a vocabulary test was added to the reading tasks that the experiment I participants went through. In the experiment II, Group A was given CR instruction with word test as a passive task type and Group B CR with word test, added by presentations and journals as an active task type.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s revealed that both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word test, even though they were under some level of stress. Group A improved more than Group B in reading comprehension, learner attitudes, and responses towards CR. It was assumed to have resulted from Group A's higher proficiency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ctive participation, and less burden from the passive reading task. However, the post hoc statistical analysis suggested a slightly different result. The Post-Speed Test of Group A and Group 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Post-Recall Test of Groups A and B, on the other hand, exhibited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Post-Cloze Test of Groups A and B also report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Unlike in the Post-Speed Test, the results of both the Post-Recall Test and Post-Cloze Test showed that despite students’ proficiency level, task types, and study burden, both Groups A and B were enhanced to be almost at the same level through CR. This finding was corroborated by the fact that Group B’s scores on the mid-term and final tests were a little higher than Group A’s. In terms of reading task types, Group B’s presentations and journals, which belonged to the active reading task type, were very effective in developing the learners’ attitudes and reader efficacy. The focus of the experiment III was to investigate the sustained effect of CR. Students who experienced CR instruction previousl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with no experience of CR instruction to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received CR instruction for one semester.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the high-level text, yet with different reasons: the experimental group had problems with vocabulary only, while the control group had difficulty with grammar and sentence structures as well as vocabulary. There was also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id-term and final exam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CR instruction: 1) the learners’ confidence, interest, and sense of achievement are important; 2) the teacher should present a model of a good reader; 3) Reading task types are a critical factor for reading success; 4) Level-differentiated classes should be provided even for college reading; and 5) The library should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reading materials.

      • 현대 공간디자인의 비물질화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분석을 중심으로

        강은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사상과 가치를 지배했던 과학적 방법과 지식, 물질적인 진보에 대한 신념이 재평가를 받으며, 최근 수년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1968년 한스 홀라인의 ‘모든 것이 건축이다’ 라는 선언적 주장은 건축에 있 보다 개념적이고 현상적인 영역으로의 물질화로서, 물질적인 구축만이 아니라 비물질적인 구축도 건축공간으로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간은 더 이상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근대의 절대적인 시. 공간의 실체를 구성했던 절대개념과 객관주의를 현대에 이르러 상대성 이론과 양자론의 등장으로 인해 새로운 의미구조로서 보여지게 된다. 이것은 20세기의 과학적 세계관이 절대적 개념에서 상대적 개념으로 전이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절대 시. 공간 개념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고, 공간과 시간의 차별적 구조도 없어지게 되었다. 이는 정신적이고 직관적, 종합적인 패러다임으로서 세계를 통합된 전체인 전일체로 보며 조화를 추구하는 인식이다. 특히 80년대 이후의 현대 실내건축 및 디자인은 여러 가지 이질적이고 다양한 경향이 혼성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재료의 표현이나 공간의 기능, 그 곳에 수용된 프로그램을 재해석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패러다임은 환원적인 물질의 개념이 아닌 비물질성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현대문화를 담는 텍스트로서, 현대 실내건축 공간에서의 비물질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그 다중적인 의미에서 볼 수 있듯이 매우 광범위한 연구와 개념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속적이며 항구적인 실체로서의 구축공간이 비물질화 되어가는 경향에 접근하기 위하여 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힘입어 이후 양자역학, 전자이론과 현대철학에 의한 영향, 그리고 현대에 들어 컴퓨터 공학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 등이 현대적 상황에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는 1980년대 이후의 건축 상황에서 쓰여 지는 한국 실내디자인학회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비물질’, ‘비물성’ 의 키워드를 가진 논문들 67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비물질화 공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물질화의 일반적 고찰을 각 분야별로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둘째, 비물질화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그 방법을 살펴보고, 분류하여 이를 각각의 유형별로 그래프화 하였다. 셋째, 이를 통해 현대공간에서 보여지는 비물질화 연구동향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 앞에서의 고찰과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 첫번째는 해체적 특성의 비물질화 경향이다. 형태에 대한 실내건축의 오랜 고민은 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여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즉 과거의 양식을 바탕으로 하여 실내건축의 형태와 공간을 결정하던 고전주의의 방식에서 벗어나 형태에 대한 관심을 극단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더 이상 형태를 주체로 하여 연결되는 외부와의 단절을 통하여 실내건축의 비물질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즉, 형태의 완결적이고 구축적인 형태를 해체하여 재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형태의 중첩, 연속성, 모호한 경계, 탈중력성의 공간으로서 표현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모습들은 유리와 금속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공간에 가벼운 이미지를 연출함과 동시에 공간구조의 파편화를 이루어 경량화를 연출하여 중력공간에서의 이탈을 표현하기도 하며, 더 이상 실내건축의 내부와 외부의 공간이 개별적 의미를 갖지 않게 하였다. 즉 구축공간의 비물질적 표현을 위하여 형태를 부인하거나 중성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두번째는 재료적 특성의 비물질화 경향이다. 재료의 물성추구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재료를 통한 비물질화는 실내건축의 내. 외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외부표면 처리에서 물질감을 제거하려는 방법으로 ‘가벼움’과 ‘투명성’이란 수법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즉 현대 실내건축에서 ‘모든 견고한 것이 대기 중에 녹아드는 듯한’ 투명성은 동시성, 상호관입, 중합, 양면성 등과 동의어로 쓰이며, 공간적 경계를 통합하기 위해 유리, 금속, 플라스틱, 합성물질 등 투명하며 반사적 성질을 가진 재료들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실내건축을 의미전달의 수단으로 보며,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 투명도의 조작으로 공간의 확장을 통해 절대주의 적이며 획일적인 공간 구조를 벗어난 상대주의적 공간의 모습으로 표면이 갖고 있던 관습적인 파사드의 의미에서 나아가 안과 밖을 구별하는 관계가 다변적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는 구조로부터 표피로의 전환되는 것으로서, ‘기술-구조’ 보다는 ‘상징-구조’를 강조하여 투명성으로 공간의 내. 외부 및 사 공간을 다변적으로 연출 하며, 채우는 충전공간으로서 변화하고 유동하는 정보를 담아내는 스크린으로서의 표피와 이미지의 중첩을 통한 동시성의 표현을 연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미디어적 특성의 비물질화 경향이다.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는 가상성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원본과 차이가 없는 복제 재생산이 가능해진 오늘날, 본질과 비본질의 차이는 소멸되는 경향을 띠며, 실재와 비실재간의 구분조차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러한 비물질화 경향은 가변성, 투명성, 다양성의 특성을 갖는 한 컴퓨터와 유리, 스크린, 금속 등을 통해 보여 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실내건축 공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속에서 구축되었던 반면, 오늘날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전통적인 시. 공간 개념을 약화시켜 공간을 비고정적이며 가변적인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가설적인 일시성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가설물과 같은 일시적인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내에서 새로운 의미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터렉션을 통해 소통하는 공간을 말한다. 즉 공간을 감싸며, 정보 흐름의 배경이 되는 표층으로서 형태와 이미지가 더 이상 양극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주변환경에 대한 감응체인 동시에 정보의 소통체계로서 나타나는데, 이를 ‘초표피(hypersurface)’라 한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로 실내건축가의 사고와 상상력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로 디지털 디자인 건축, 즉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형태생성은 작가의 의도된 형태생성 뿐 아니라 컴퓨터의 알고리즘에 의해 우연한 형태를 만들어 다양한 표현과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새로운 도구로서 보여 지고 있다. 오늘날의 도시공간은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의 발달을 통한 정보와의 물결은 물리적으로 제한된 경계 즉,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인류를 해방시켰으며, 가변적이며 일시 적인 공간의 추구로, 가벼움과 덧없음의 추구로 변화하고 있다. 감성을 자극하여 물질적인 것을 비물질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즉 보이는 것 이상의 것을 표현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무의미한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눈이 무엇을 볼지 모르는 상황에서 조작되고 연출 되어진 상황은 하나의 가상공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의 초점이 ‘비물질화’에 맞추어진 까닭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인위적으로 작가의 의도에 의해 연출 되어진 상황일지라도 그것이 보는 관객의 입장으로 하여금 서 로 다른 의미로서 전달되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을 대상으로 현대공간디자인의 비물질화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비물질화의 정확한 경향이라고는 말 할 수 없으나, 이를 토대로 비물질화 연구 동향 파악에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하며, 앞으로 비물질화 공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For the last several years, people's belief in scientific methods and knowledge and material progresses, which have ruled people's thoughts and values, has been reevaluated and evolving into new paradigms. "Everything is architecture," Hans Hollein's declarative assertion in 1968, means the dematerialization of architecture into a more conceptual and phenomenological doma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not only of material construction but also of non - material construction as architectural space. That is, a space is not merely a physical space any longer. This historical trend is represented as a new semantic structure with the rise of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quantum theory in the contemporary times, replacing the absolute concept and subjectivism that composed the substance of absolute time and space in the modern times. This means the transition of the scien˙tific world view in the 20^(th) century from absolute concepts to relative concept, in which the concept of absolute time and space is not applied any more and the distinctiv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disappears. In particular,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and design since the 1980s show various heterogeneous and hybrid trends, and reinterpret and express materials, the functions of spaces, and programs accommodated in the spaces. A series of paradigms like these are understood not as the concept of reductive materials but as the concept of non - materiality. Accordingly, in order to approach the trend that architectural space as a continuous and permanent substance is being dematerializ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67 research papers containing 'non - material' or 'non - materiality' in their keywords, which were selected from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written in the architectural situation since the 1980s, the period affected by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quantum mechanics, electronic theories, contemporary philosophies, and today's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engineering and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es on dematerialized space, and its major them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review of dematerialization, its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by area. Second, in the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es on dematerializatio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and represented in graph by type. Third, general trends in researches on dematerialization observed in contemporary space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examination and analysis as presented above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The first trend is dematerialization characterized by deconstruction. The long exploration of formative interior architecture has reached the current form via the age of modernism. That is, breaking away from the classical pattern that determined the form and space of interior architecture based on traditional styles, the dematerializa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became possible through isolation from outside, which is connected through form, by extreme removal of interest in form. That is, methods are searched for deconstructing conclusive and constructive forms and reconstructing them, and expressions are made through the overlapping of forms, continuity, ambiguous boundaries, and anti - gravity spaces. These shapes of space express breakaway from the space of gravity using light images in space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glass and metals as well as the fragmentation of spatial structure and, as a consequence,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of interior architecture have no separate meaning any longer. That is, for the non - material expression of architectural space, forms are denied or neutralized. The second trend is the dematerialization of materials. Viewing from the aspect of materials pursuing materiality, dematerialization through materials is an attempt to remove material texture from materials compos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interior architecture and surface treatment, and it is expressed through the techniques of 'lightness' and 'transparency.' That is, in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transparency that ‘all solids melt into the air’ is synonymous with simultaneity, interpenetration, polymerization, ambivalence, etc. and the integration of spaces is expressed using transparent and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glass, metals, plastic, and synthetic substances. Such a change views interior architectur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expands space by manipulating transparency so that absolute and uniform spatial structure evolves into relativistic spatial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surface as the traditional facade is diversified into relations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is is transition from structure to surface, representing inside, outside and dead spaces multilaterally through transparency, emphasizing 'symbol - structure' rather than 'technology - structure' and expressing simultaneity through the overlapping of surface as a space to be filled and a screen capturing changing flowing information with images. The third and last trend is the dematerialization of media characteristic. The age of digital media like today can be regarded as the age of virtuality. That is, as it becomes possible today to produce replicas exactly same as the original, distinction between essence and non - essence is meaningless. Such a trend of dematerializ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ability, transparency and diversity and is expressed through computer, glass, screen, metals, etc. While traditional interior architectural spaces have been built under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oday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weaken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and space and changed space to be unfixed and changeable. This appears as hypothetical temporariness. This does not mean a temporary space like a makeshift structure but a space in which new meanings are communicated through interaction along with the flow of time. Today's urban spaces are changing. The wave of inform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liberated people from physically confined boundaries, namely,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and the trend pursues changeable temporary spaces, and lightness and transience. It may be meaningless to make efforts to change material things into non - material ones by stimulating people's sense, namely, to express something beyond visible things. It is because a scene fabricated and produced in the situation that we do not know what our eyes will see is nothing but a virtual space. However, the reason that 'dematerialization' is highlighted today is that, nevertheless, it stimulates people's sense. Even if a situation is produced artificially by the producer's intention, it will be admit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er's pos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rends in researches on dematerialization of contemporary spatial design using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pinpoint the exact trends of dematerialization, they are considered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dematerialization. In addition, further researches are considered required on dematerialized spaces.

      • 전자책 창업 동기와 지속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강은영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자책 출판의 성공사례들을 대상으로 창업 동기와 지속 과정을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개인적 특질과 개인적 환경이 창업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창업가는 출간하고 싶은 전자책을 지속적으로 낼 수 있다는 내적 보상과 발간한 전자책이 시장에서 인정받아 회사를 경영하게 해주는 외적 보상을 바탕으로 창업 활동을 유지하게 된다. 전자책 전문 출판사 여섯 개 업체를 사례 분석한 결과, 창업에 큰 영향을 미친 개인적 특질로서는 성취욕구, 내적 통제, 위험 감수 성향 등이었으며, 개인적 환경으로는 직장 생활 경력과 인맥 네트워크 등이었다. 창업 시점의 사업 환경 역시 영향을 미치는데,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전자책 유통사 확대 등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창업 동기로 작용하는 세 가지 요소들이 바탕이 되어 전자책 출판 창업자는 창업행동 첫 단계에서 사업 아이디어와 목표를 설정한다. 또한 경영 활동에 대한 내적·외적 보상을 평가함으로써, 사업 아이디어와 목표 설정을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렇게 하여 창업 행동을 지속시켜 나가게 된다.

      • 아동의 심리적 욕구불만족과 부적응 행동 :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강은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로부터 아동의 기본 심리적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느냐에 따른 부적응 행동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현적 자기애란 타인의 반응에 매우 민감하며 부정적 평가에 취약한 특징을 지닌다. 이를 위하여 김해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부적응 행동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3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중 어느 욕구불만과 관련이 큰 지를 알아보았다. 심리적 욕구의 하위 차원 중 내현적 자기애와 가장 영향이 큰 것은 자율성, 유능감의 순이었으며, 상대적으로 관계성은 내현적 자기애를 유의하게 예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 행동 역시 내현적 자기애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기본 심리적 욕구불만과 부적응 행동과의 사이에 내현적 자기애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리적 욕구불만과 부적응 행동 사이에서 내현적 자기애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욕구불만은 내현적 자기애를 매개로 하여 부적응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의 어느 하위 요인이 심리적 욕구불만과 부적응 행동과의 사이에서 매개하는지를 중다 매개분석으로 알아보았다. 부츠트랩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의 다섯 가지 하위 요인 중 목표 불안정 요인, 인정욕구/거대자기 환상 요인, 소심/자신감 부족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착취/자기중심성 요인, 과민/취약성 요인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아동의 기본 심리적 욕구불만과 부적응 행동 사이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covert narcissism on their maladjusted behavior triggered by how deep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disatisfied from their mothers. Covert narcissism is characterized by strong sensitivity to others' reaction and vulnerability to others' negative criticism. The study was 456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Gimha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ut of three dissatisfied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re1ated to relationship with mothers, which need was closely bound up with covert narcissism and maladjusted behaviors analyzed.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had the largest impact on covert narcissism, followed by competency, and relationship didn't make any significant prediction of covert narcissism. That's also the case for maladjusted behaviors. Second, whether covert narcissism had an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satisfi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aladjusted behaviors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covert narcissism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other words, the unsatisfied psychological needs resulted from maladjusted behaviors through the medium of covert narcissism. Third, a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e which subfactor of covert narciss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satisfied psychological needs and maladjusted behaviors. As a result of t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iv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by using bootstrap, target instability, needs for approval/grandiose-self and timidity/diffidentness played mediating roles, and the other two factors didn't, which were exploitation/egocentrism and oversentivitity/vulnerabilit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unsatisfied basic psychological needs related to their relationship with mothers and maladjusted behavior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relieve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강은영 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만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사회 인구학적 배경(어머니의 연령, 교육수준 ,취업유무, 가구소득, 자녀 수, 자녀 성별, 자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사회 인구학적 배경 (어머니의 연령, 교육수준, 취업유무, 가구소득, 유아의 형제·자매 수, 성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지역에 소재해 있는 4개의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만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48명과 만3, 4, 5세 이하의 유아24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Abidin(1990)이 개발한 PSI에 기초하여ostberg(1998)와 Ostberg & Hagekull(1997)이 자녀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만을 측정할 수 있게 고안한 질문지를 번안· 수정한 허은경(2004)의 어머니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ISCS를 번안하여 수정한 송나리(1992)의 질문지를 재구성한 정명환(2006)의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3.0을 이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범위, t-검증, F-검증, Scheffe 의 사후검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09로 대체적으로 중도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역할한계가 평균 3.19로 다른 요인대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적 고립의 경우 평균 2.98로 다른 요인대비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관리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무능감, 사회적 고립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여부에서는 비취업모의 역할한계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구소득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자녀 특성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에서는 자녀가 남아인 경우 역할한계, 무능감, 사회적 고립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양육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여아인 경우 건강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가 많을수록 무능감, 역할한계, 사회적 고립, 건강관리 모두 양육스트레스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양육스트레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연령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정도의 차이에서는 어머니 연령이 높을수록 안정성 높았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안정성과 전체 사회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이 전문대졸인 경우 지도력과 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모 자녀가 과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정도의 차이에서는 유아의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 유능성과 전체 사회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무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지도력 안정성 유능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역할한계와 사회적 고립이 높을수록 과민성이 높고, 지도력 유능성 안정성 및 전체 사회적 능력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건강관리는 안정성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체 양육스트레스는 지도력 유능성 안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bout the primary factor of change which affects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and mother's fostering stress with the subject of mother who has babyhood children and full three - five years old infants and having a thorough grasp how interacti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and mother's fostering stress is. Thus, matters which a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social demography(mother's age, educational standard, employment, family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der of children, the age of children) for mother's fostering stress who has babyhood children? Second, is ther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social demography(mother's age, educational standard, employment, family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der of children, the age of children) for infant's social ability? Third, what connection is between mother's fostering stress and infant's social abilit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 made a study with the subject of 248 mothers of full three - five years old infants who are entering their children to four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and 248 infants under full three - five years old infants. In this study, to measure mother's fostering stress, I made use of Heo eun-gyeong's(2004) questionnaire for mothers which reserved and adjusted Ostberg(1998) and Ostberg & Hagekull's questionnaire(1997) tha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fostering stress being based on PSI which Abidin(1900) developed.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infant's social ability used Jeong myeong-hwan's(2006) questionnaire for teaching which reconstructed Song na-ri's(1992) questionnaire being translated ISCS. I made use of SPSS for Windows 13.0 for collected materials and used and analyzed average, standard deviation, maximum, minimum, scope, T-verification, F-verification, Scheffe's post verification. To sum up the result of the study, these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mother's fostering stress was revealed to the middle level with 3.09 point in 5 point full mark. To examine the primary factor of a low rank, the role limitation is revealed with high level compared to other factor with the average 3.19, while the social isolation was revealed with a low level compared to other with the average 2.98.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 mother's age was , the higher health care stress and the lower mother's educational stand were , the higher the stress on the inability and social isolation was and the whole fostering stress was revealed with a high level. In employment, the role limitation stress of unemployed mother was revealed with a high level. The other side, the degree of fostering stress according to family income was not revealed with the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Next, in the difference of fostering stress according to children's characteristic, the stress on the role limitation, inability and social isolation was revealed with a high level in case of male infants and the whole fostering stress was revealed with more higher level. The stress on the health care stress was revealed with a high level in case of female infants. And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ldren's number was, the higher the stress of the role limitation, inability, social isolation and health care were. The other side, the degree of fostering stress according to infant age was not revealed with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higher mother's age and educational stand were, the higher a sense of stability and the higher mother's educational standard were, the higher the whole social ability was in the difference of infant's social ability degree according to mother's characteristic. And the leadership and the capability in case that mother scholarship graduated at the college were revealed with a high level and the hypersensitiveness of employed mother's children was revealed with a low level. It was revealed that the higher family income was, the higher the capability was. Next, while the capability and the whole social ability were revealed with a high level in case of being brothers and sisters together in the difference of infant's social ability degree according to infant's characteristic,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infant'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infant's gender and age.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other's fostering stress and infant's social ability. Also, it showed that the higher mother's inability was, the lower infant's leadership, stability and capability were and the higher mother's role limitation and social isolation were, the higher the oversensitiveness was, the lower the leadership, capability, stability and the whole social ability were. Mother's health care showed the correlative relation with the stability and the whole fostering stress showed the meaningful correlative relation with the leadership, capability and stability.

      • 금융수학소양 함양을 위한 수학과 금융 융합 과제 분석 : 중학교 수학교과서, 금융교과서 문항분석을 중심으로

        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inancial question solution through mathematics’ and ‘expans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through financial question' are done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ourse. For this purpose, I checked middle school financial textbooks on what mathematical concepts are needed to solve questions, and analyzed how much financial factors are reflected in middle school math questions. These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Question in middle school financial textbooks that require mathematical concepts to solve financial question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64.7 percent. However, 50 percent of these mathematical concepts was learned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t of them were only basic concepts learned in the fifth,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o the difficulty was not high. The results of analyzing finance and math converged question in the middle school math textbook were as follows: Financial convergence question accounted for 1.1 percent of all middle school math textbooks. Revenue and expenditure accounted for 90 percent. In those finance and math convergence questions, 57% were simple materials, and the remaining 43% were questions that linked and expanded financial materials to actual financial decision making or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Reclassification of these tasks according to cognitive needs, low level questions accounted for 68.6% and high levels for 31.4%.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mathematics curriculum should introduce the financial convergence question more actively.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al ability to solve financial questions included in financial textbooks is an essential factor. Without basic arithmetic calculations or mathematical procedural knowledge, it is difficult to find reasonable backgrounds for financial questions or make proper decisions. Second, the portion of questions combining mathematics and finance were only 1.1 percent in the current math textbook. Compared to the worldwide trend of introducing finance to math curriculum, this is very insignificant. Third, the financial convergence question increases mathematical literacy togeth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vergence stage, 43% of the questions were related to mathematics and finance combined, not simple material utilization. These types of questions not only increase financial understanding, but also make mathmatics feel more useful so people can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Re-classifying the entire question according to cognitive needs, 31.4% of the questions require a high cognitive level. The cognitive demand for financial convergence question is also high,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low level accounted for more than 90 percen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result the mathematics textbooks question for middle schools in Korea. If the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s and introduces the financial convergence question more actively, it will make it easier to recognize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through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mathematization students' reality and mathematics, and also help them stand upright as an economic player by having reasonable decision-making standards in real lif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 Firs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math and financial textbooks, and it would be meaningful if the same research 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urriculum are conducted, and integrated into the research on the overall system of math educ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Second, research and task development for system of converg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are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achievement based on grade. It needs to be discussed in future revisions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explanation of the risk variance is insufficient compared to interest rates and inflation in according to the big three questions of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on various data 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is needed to enable the recognition of what variability means when learning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in the statistical unit. This education is in line with its purpose in terms of rational choice and economic stability, not in pursuit of high return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has a free semester system and a free school year program, so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gram to develop financial math skills here. This will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students' lifelong financial understanding by guiding them to understand all three big questions of financial literacy. 현대 사회에서 지식의 생장주기는 짧아지고 모든 것의 변화 속도가 빠르지만, 그 중 금융의 변화 속도 또한 빠르다. 새로운 구조의 금융상품 출현을 넘어 플랫폼도 모바일 기반으로 옮겨가고 있다. 점점 개인의 선택의 폭은 넓어지는데 비해 평균수명 증가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의 노출기간은 길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이제 금융이해력은 개인의 생존에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수학교육과정에서는 2015 개정을 통해 창의·융합 역량을 강조하였으며 하위요소로 타교과 및 실생활과의 연결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제수학> 교과를 신설하여 수학의 유용성을 통해 수학의 가치를 느끼고, 실생활 경제문제에 관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이 과목은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학생들의 선택율이 낮아 개설되는 학교가 많지 않다. 그러므로 모든 학생들이 배우는 중학교 수학 과정에서 ‘수학을 통한 금융 문제 해결’과 ‘금융문제를 통한 수학 지식의 확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여, 이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에 맞게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초․중․고 금융교육표준안」에 의해 금융감독원이 발행한 중학교 생활금융 교과서의 문제해결에 어떤 수학적 개념이 필요한가? 연구문제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금융요소가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수학교육과 금융교육의 관계를 파악하고 국내외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수학교육과 금융교육의 관계는 PISA의 평가틀에 의한 수학소양과 금융소양의 공통 부분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금융수학 교과서의 체계를 연구했던 권오남 외(2014)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금융과 수학의 융합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외국의 수학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을 융합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표준안의 내용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외국의 금융이해력 측정항목 핵심 아이디어인 ‘빅3’질문(복리, 인플레이션, 위험분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의 목적인 ‘수학을 통한 금융 문제 해결’과 ‘금융문제를 통한 수학 지식의 확대’를 알아보기 위해 수학교과서와 금융교과서 내 문제로 정하였다. 금융교과서는 금융감독원과 교육과정평가원이 공동으로 연구하고 금융감독원이 발행한 중학교 생활금융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학교과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교육부 검정 교과서 중학교 각 학년별 5종씩 15권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 분석기준을 수립하기 위해 융합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알아보고, 수학과제를 인지적 요구도에 의해 분석하는 기준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수학교과서에 나온 금융융합문제를 ‘금융소재단순활용형(F-1)’, ‘금융내용연결형(F-2)’, ‘금융내용확장형(F-3)’로 나누는 분석틀을 만들고 이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내용체계에 의한 분류와 인지적 요구도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분석을 수학교육과 박사과정 1명, 수학교육과 석사과정 1명에게 의뢰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문제 1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교과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개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중학교 금융교과서의 총 17개 모듈 17문제 중에서 11개(64.7%)의 문제가 수학적 개념이나 산술능력이 있어야 해결이 가능하였다. 문제 이외의 부분에서도 그래프나 통계자료를 이용한 수치를 근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래프 해석에 대한 능력은 전반적으로 요구되었다. 둘째, 필요한 수학개념은 한정된 영역이었다. 수와연산 영역이 66.7%, 확률과 통계 영역 25%, 함수영역이 8.3%를 차지했다. 기하와 문자와 식을 이용한 문제는 없었다. 셋째, 수학개념은 주로 낮은 학년의 기초적인 수준이 쓰였다. 학년 별로 보면, 초등학교 3~4학년 군에 처음 등장하는 것이 50%를 차지하였다. 주로 사칙연산이나 돈과 관련된 큰 수 계산, 막대그래프, 꺽은 선 그래프 등이 초등학교 3~4학년 군에 처음 등장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5~6학년에 등장하는 개념이 41.6%로 백분율 개념이 이자율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중학교 1학년에 등장하는 정비례 반비례 개념은 정의를 이용한 간단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금융교과서 전체적으로 중학교 1학년이 문제를 해결할 때 모르는 개념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쉬운 계산을 위해 이자율이나 물가상승률을 0%로 가정하여 실제 금융이해력 교육을 왜곡할 수 있는 점이 우려되었다. 연구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과서 내 금융융합 문제의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 2, 3학년 수학과제 7,639개 중에 금융융합과제는 86개로 1.1%에 해당한다. 금융융합문제를 사용한 수학영역별로 살펴보면 편중된 경향이 나타났다. ‘문자와 식’영역에서 59개로 가장 많았고, 금융융합문제 중 68.6%를 차지했다. ‘기하’영역이 전체 3문제로 가장 비중이 낮았다. ‘통계’영역 역시 5문제로 비중이 낮았다. 통계영역의 경우 실생활에서 금융상황을 나타내는 자료로 신문이나 뉴스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내에서는 활용도는 낮았다. 둘째, 금융교과의 내용영역도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융합과제 86개 중에서 ‘수입과 지출관리’영역의 과제가 78개로 90%를 차지했다. 수입과 지출관리가 주로 구입과 소비에 관한 내용이므로 합리적 소비의 결정이 문제 속에서 많이 활용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금융융합단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수학교과를 위해 금융맥락을 단순한 소재로 활용한 경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금융소재단순활용형이 49개로 전체 86개의 과제 중 57%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금융 내용 연결형 과제가 29개로 35%를, 금융 내용 확장형은 7개로 8.1%를 차지했다. 넷째, 금융융합과제를 인지적 요구도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수학교과서 전체를 분석한 결과에 비해 높은 인지적 요구도 문제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금융융합과제의 경우 낮은 인지적 요구도 과제가 68.6%, 높은 인지적 요구도 과제가 31.4%로 분석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금융교육은 수학교육의 바탕위에 가능하였다. 금융교과서 내 문제 분석을 통하여 64.7%가 수학적 개념이 필요한 문제였다. 기초적인 산술계산을 비롯하여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금융문제의 합리적인 근거를 발견하고, 합당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어렵다. 현재 중학교 금융교과서에서는 금융교육이 수학 때문에 이해되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초등학교 수학개념 안에서 해결하려 하였다. 이런 이유로 물가상승률이나 이자율을 0%로 가정하는 등의 중요한 금융의 문제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었다. 외국 사례를 살펴보면, 호주의 경우 학년별 ‘화폐와 금융수학’ 단원을 따로 두고 있고 영국의 경우 수학교과목에서 금융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 등 수학과 금융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현재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과 금융을 융합한 문제는 전체문제의 1.1%에 그쳤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 성취기준이나 체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수학단원 안에서 금융맥락을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이처럼 금융수학융합 문제의 양은 적었으나,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수학적 소양도 함께 높이는 측면이 예상되었다. 융합단계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단순소재 활용형이 아닌, 실생활 맥락에서 수학과 금융을 연결한 유형의 문제가 43%를 차지했다. 이러한 문제유형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수학을 활용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여 금융이해력을 높임과 동시에 수학의 유용성을 느끼게 하여 수학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전체문항을 다시 인지적 요구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는 높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한 문제가 31.4%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를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함수영역의 경우 높은 인지적 수준 문제가 5%(홍창준 외, 2012), 기하영역의 경우 역시 높은 인지적 수준 문제가 5%(권지현 외, 2013)를 차지한 것에 비해 금융융합문제의 인지적 요구도 수준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금융융합 문제의 경우 상황으로 주어진 것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수학적으로 만들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유형이다. 이 과정에서 현실에 대한 수학화를 하게 되어, 높은 인지적 요구도의 문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융합 문제를 해결하면서 학생들은 현실맥락과 수학을 연결하고 수학화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금융융합 문제를 통해 수학에 대한 유용성을 보다 쉽게 인식하게 되고, 또한 실제 생활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 기준도 갖게 되어 경제적 주체로 바로 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금융교육과 수학교육의 융합이 더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문자와 식 영역에 편중된 금융융합 문제를 기하와 통계 등 각 영역별로 골고루 개발 할 필요성도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교과서와 금융교과서를 분석한 것으로 추후 기초적인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인 초등학교과정과 심화 개념을 배우는 고등학교 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합하여 수학교육과 금융교육의 전체적인 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 의미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는 수학교과에서 배우는 수학개념에 따라 맞는 금융상황 맥락을 산발적으로 들여오는 형태인데, 금융교육의 체계와 연동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3~4학년 군에서 큰 수를 배울 때 용돈예산을 세워보고 중학교 1학년에 음수를 배우면서 대출에 대한 개념과 연동하는 등 큰 틀에서 수학교육과 금융교육을 총괄하는 일관성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추후 교육과정 개정 시에 논의될 필요가 있다. 셋째, 금융이해력의 빅3 질문에 대해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에 비해 위험분산의 설명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통계단원에서 분산과 표준편차가 단순히 글자나 계산 방법으로써가 아니라 변동성의 의미가 무엇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자료제시와 해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 교육은 금융이해력 교육의 목적이 높은 수익률 추구가 아니라, 합리적 선택과 경제적 안정에 있다는 측면에서 목적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문자와 식에 편중되어 있는 금융융합문제를 통계 및 기하 영역에서도 문제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중학교는 자유학기제와 자유학년제 프로그램이 운영되므로 여기서 금융수학소양을 기르는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빅3질문들을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의 평생 금융이해력의 기초를 탄탄히 마련할 수 있다.

      • 초등학교 일반학생, 쓰기부진학생의 학년별 문장쓰기 능력 발달패턴 분석 및 비교

        강은영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쓰기학습부진학생의 학년별 문장쓰기 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일반학생과 쓰기부진학생 19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지는 2가지 종류로, 국내외 선행문헌과 검사도구 및 7차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1차 검사지는 문장쓰기를 측정하는 하위 10개의 영역을 골고루 포함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여 제작하였고, 2차 검사지는 ‘우리학교’라는 주제의 작문형 평가로 자유로운 글쓰기 형태로 제작하였다. 학년간 차이 및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의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직접평가 분석 결과 전반적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장쓰기 능력은 저학년 때 급격히 발달하고 4학년 이후에는 학년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2차 작문형 평가 결과 전체문장수와 총어절수도 4학년 이후에는 학년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반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쓰기부진학생은 1차 직접평가 결과 일반학생과 마찬가지로 고학년 이후로의 학년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쓰기부진학생들도 일반학생과 비슷한 발달패턴을 보였다. 넷째, 작문형평가 비교 결과 저학년에서는 전체문장수와 총어절수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고학년에서는 전체문장수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are sentence-writing ability of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underachieved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rade levels. The total number of 195 composed of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underachieved students from grade 1 to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kinds of evaluation paper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previous literatures, standard evaluation tools, and 7th elementary curriculum. The evaluation paper-part I developed by researcher was inclusive of 10 sub-categories to evaluate sentence-writing ability, while evaluation-part II was developed in a type of free writing with a topic "my school". In order to analyse grade level difference and group difference, the researcher used statistical tools which consist of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MANOVA(Multipleway Analysis of Variance) in SPSS.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first direct evaluation showed that sentence-writing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remarkably develope during the first four lower grades. However, difference in grade 4 and afterwar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Secondly, result from composition-typed evalu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number of sentences and phrases in grade 4 and afterward. Thirdly, when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the students of writing disabilities showed no grade level difference in grade 4 and afterward as the first direct evaluation shows. The students of writing disabilities showed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 with general students. Fourthly, the result from the composition-typed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both total numbers of sentences and phrases in lower grad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er grades.

      • 알코올의존자의 분노조절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강은영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lcoholic tend to think more unlogically and negatively than others because of a sense of failure and low self esteem, this thought system easily make them have some negative feeling for anger induction case. so , they tend not to control their temper. This study try to apply cognitive behavior program to the patient to improve alcoholic's skill of anger control.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and suggest effective improvement. we carried out 10 times cognitive behavior program with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in hospital Daegu closure a ward to achieve the goal. The patient was seperated two group with comparativ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each group has 10 people. and I can get below result comparing the change for before/after program with two group. Firstly, cognitive behavior program improved alcoholic's skill of anger control ,which indicate meaningful result in the statistics. Secondly, as result of comparing how cognitive behavior program influence alcoholic's communication , it improve plain expressiveness, self-feeling territory self diclosure, which indicate meaningful result in the statistics. Thirdly, cognitive behavior program doesn't statistically indicate meaningful result for listening, feeling disposal among alcoholic's communication sub territory. Fourthly, cognitive behavior program doesn't statistically indicate meaningful result for alcoholic's stress level, the method of solution. Concretely,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coholic's improving anger control and communication skill, but there is no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tress level and stress coping. however, taken as a whole result, cognitive behavior program turn out to have an effect to alcoholic. As a based on this result, this research suggest cognitive behavior program's utilization plans for alcoholic's anger control. Firstly, it is hard to know program's long-terms effectiveness after program finished not to conduct post test. effect of program need to be proved through continuous post test. Secondly, this study try to identify effect of program by an ex ante and ex post different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o experimental group, that is, the group is established for unit of the analysis to remain only individual change for limitation of research. The program that include more alcoholic in the field and reflect difference of each other seems to need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y we conduct was processed by only 1 institution with limited patient. Conducting care program for alcoholics don't provide only safety treatment environment to protect from social pressure, but also limitation which block external impulse like anger and stress situation. outpatient therapy is opposite to mentioned. so, cognitive behavior program is more useful for outpatient therapy. Fourth, although the change of positive action coping with anger emotion can keep temporary, it is hard to expect that it keep going continuously. Even though negative automatic thoughts change because of long-term habitation, therefore extension of therapy which can give opportunity to learn directly strategy to control anger and ame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to keep the effect of therapy seems to be needed. 알코올의존자들은 일반인들보다 대인관계에서의 실패감, 낮은 자존감 등으로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이 많고, 이러한 사고체계가 분노유발 사건에 대해 쉽게 부정적 감정을 갖게 하여 분노를 조절하는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자들의 분노조절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지행동 프로그램을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지역 ○○정신과 병원 패쇄병동에 입원한 알코올의존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10명으로 구성된 10회기의 인지행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과의 변화 정도를 프로그램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적용된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알코올의존자의 분노조절기술 향상에 얼마나 유용한지를 조사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알코올의존자의 분노조절기술을 향상시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알코올의존자의 의사소통에 미친 영향을 하위 영역별로 비교해본 결과 명확한 표현력과 자기노출, 자기감정 영역을 향상시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알코올의존자의 의사소통 하위영역 중 경청, 감정처리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알코올의존자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식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알코올의존자의 분노조절, 의사소통기술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결과를 보았을 때 알코올의존자에 대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코올의존자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 분노조절에 관한 사후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성을 알기 힘들다. 이에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실험집단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차이에 의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분석의 단위를 집단으로 설정함으로써 일부 개별성원의 변화만이 관찰되었음을 연구의 한계로 남겨두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1개 기관에서 제한된 수를 대상으로 개입함으로써 나타난 것이므로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보다 많은 알코올의존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개별성원의 차이를 연구결과에 반영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알코올의존자 대상의 치료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입원환경은 사회적 압력으로부터 보호받는 안전한 치료환경인 반면 분노와 스트레스 상황 등과 같은 외부자극으로부터 차단된다는 제한점이 있다. 반면 외래치료 장면에서의 개입은 고위험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나 분노나 스트레스 상황에 있어 다양한 사고와 감정, 행동의 변화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외래치료 장면에서의 분노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활용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에 변화가 일어나도 오랜 기간 동안 습관이 되어버린 인지 도식에 의해, 분노감정에 따른 긍정적인 대처 행동의 변화가 단기간 유지되더라도 그 지속성은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일시적인 행동조절에서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하더라도 이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이면의 인지 도식을 수정하고 분노를 조절하기 위한 직접적인 전략을 배울 수 있는 회기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