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유식구조물(Mega-float)를 활용한 이어도 분쟁의 대책

        류영진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1990년대 중반에 들어와 ′UN해양법협약′이 발효함에 따라 『배타적경제수역(EEZ)』의 선포가 이루어지면서, 해양관할권과 관련한 세계 각국의 대립 및 갈등이 점차적으로 고조되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운영에 관하여 중국 정부가 이의를 제기하고, 이어도 주변수역의 해저에서 발견된 암초에 대하여 중국식 명칭을 붙이는 등 이어도 및 이어도 주변수역의 관할권을 둘러싼 분쟁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어도 및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해양법적 지위에 대해 검토하고, 최근 각 지역에서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해양영토에 대한 이중성을 조사하였다. 거기에 간척·매립 등과 다른 개념의 해양공간 활용방법인 메가플로트(Mega float)에 대해 소개하였다. 위 내용을 근거로 국제법적 접근을 통한 배타적경제수역 경계획정방법 및 최근 국제사법재판소 판례 등에 기초한 이어도 분쟁 대책에 대해 검토하였고, 메카플로트를 활용한 계획을 더하여 이어도 및 주변 해역의 관할권 근거를 보다 분명하게 구축하였다. 이러한 메가플로트 활용 계획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수치해석을 병행하였으며, 수치해석을 위한 주요 인자인 파랑은 파향(SW계열), 파고(8.0m), 주기(12sec)의 조건을 선택하여 조파하였다. 또한, 기설치 되어있는 구조물인 이어도-해양과학기지를 계산영역에 포함하였고, 정온도 확보를 위한 부방파제를 설치한 경우와 미설치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은 최근 발전되어 정확한 해석이 가능한 수치모형 기법인 FLOW-3D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파랑이 메가플로트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이어도 해역에 실제로 적용 시킬 수 있다면 이어도 해역의 해양관할권 설정시 우리나라가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proclamation of exclusive economic zone(EEZ) was accomplished, according that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had taken effect on the mid-1990, It can be shown that International confrontation and conflicts related with jurisdiction over Korea’s southern reef territory Ieodo are building up. Recently, Chinese government has raise an objection to management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Korea and gave reefs chinese names which are found from the undersea surrounding Ieodo and so on. It appears that the dispute of jurisdiction around Ieodo and its water. In this study, review the Ieodo, and the marine legal status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vestigate duality on Republic of China's maritime territory which is in the territorial dispute among the countries recently, and introduce the Mega float that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maritime space unlike the concept of the landfill and land reclamation. And examine the measure on disputed territory, Ieodo based on the EEZ’s method of deciding on borders and recent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s case law, etc. Als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jurisdiction of Ieodo and its nearby sea sites in addition to plan for using the Mega float practically. For the more, combine a quantitative interpretation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Mega float application plan, do wave-making choosing the wave condition such as SW series wave direction, 8.0m of wave height and 12sec period. Not only Install minor breakwater for Ieodo marine science base and information of constant temperature of Ieodo but execute the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FLOW-3D model which is recently developed to accurat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ocean wave has less effect on the Mega float, so if we can apply this study to Ieodo’s waters, It could be expected Korea can take dominant position in establishment of jurisdiction.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 투어 앱 제작 : Establishment of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유미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에 오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 녹지의 수목, 식물의 사계절을 체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아름다운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를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한 앱으로 간접 체험함으로써 서울시립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녹지 투어 앱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앱 제작의 기획 단계에 적용하여 제작 범위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카메라와 드론, 액션캠 등을 사용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 수목과 식물을 4천 장의 자료사진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만드는 이미지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구성 내용으로 계절별 캠퍼스 풍경을 담은 계절 이야기, 수목으로 이루어진 산책길 이야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정원 이야기,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 이야기 등이다. 사진 이미지와 함께 드론과 스트리밍 액션캠을 사용한 영상 이미지를 추가 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자료와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진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모바일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게시판의 기능을 링크와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 제작하였다. 주요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코로나19, 녹지 투어, 대학 캠퍼스, 소통과 치유, ABSTRACT Since early 2020,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come to the university campus due to COVID-19. Except for the special occasions, e.g. midterm and final exams, most of the lectures were done untact, which made students lose sense of belong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beautiful campus greene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so that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an communicate under untact situation COVID-19 caused. Scope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by some 20 students. Some 4,000 image materials of the campus greenery were prepared by cameras, drones and action cams from June 2020 to November 2021. A homepage and a mobile appli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age materials. The main compositions of the application include stories of seasonal campus landscapes, tree-based walks, old and beautiful trees, and garden stories with various themes. This mobile application and the homepage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green cummunic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Key words: application, homepage, COVID-19, campus green, communication

      • 花藝 植物素材의 特性, 象徵性 및 季節別 有用性의 分析과 組合

        박영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Analysis and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Symbolism, and Seasonal Availability of Plant Materials for Flower-Art Park Young Oak Flower art is not only a work of artist which present her thought but also product which aim consumer. The price of flower art is affected by name of artist, trademark, and purpose of use (event), rarity of material, design factor and storytelling. Flowers are main factor of the art as well as base of floricultural industry. Protected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made plant materials can be circulated beyond their natural season. Each flower art has different materials, color and design, character and place of event. Commercial flower decorative has two kinds that one for anniversary and the other for event. It need to express specific message and need to have a design factor as shape, color, size and have a meaning from symbolism by scent, signification of matter. It means that flower art require harmony of shape and symbolism for storytelling. From this motivation, this research has trying of a quite understanding and combination of flower art factors. One hundred kinds of cut flower and 100 kinds of cut stem and cut leaf and 90 kinds of foliage of plant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its scientific name and property by using Yoon's Hortus Koreana and Korean Plant Name Index. Also distribution of month for a year, favorable flower art style, the language and symbolic word of flower are studied and classified. Flower languages were classified as 10 groups of symbol for storytelling. By combining these factors, required property from a work of flower art in annual or particular events is suggested and examples are given. Keyword: flower art, matter of flower art, storytelling, distribution of month, use, symbolization 花藝 植物素材의 特性, 象徵性 및 季節別 有用性의 分析과 組合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환경원예학과 朴英玉 꽃 예술은 작가의 사상을 표현하는 예술 작품임과 동시에 소비자를 겨냥한 상품이다. 꽃 작품의 판매, 즉 가격과 선호도는 작가나 상표의 저명도, 사용처, 소재의 희소성, 디자인, 이야기(스토리)에 영향을 받는다. 화예 소재는 화예 작품의 주재료이자 화훼산업의 토대이다. 자연적 소재이지만 시설재배, 수입 등을 통해 자연적인 계절과 달리 생산, 유통되기도 한다. 화예 상품은 행사의 종류와 성격, 장소에 따라 소재의 종류와 색상, 디자인이 달라진다. 상업적 꽃 장식은 특정 기념일과 이벤트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각각 특정 메시지를 전달해야하며 이때 형태, 색상, 크기 등 디자인 요소에 더하여 향기, 의미, 소재의 상징성에 유래된 의미가 합치되며 이를 위해 꽃 예술 작품의 형태, 스토리텔링을 위한 상징성의 확인과 조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조합을 시도하였다. 절화류 100종, 절지 및 절엽류 100종, 관엽류 90종을 선정하여 한국원예식물도감과 국가표준식물목록을 통해 학명과 특성 등을 확인한 후, 화훼시장에서의 월별 유통기간, 쓰임새 현황, 꽃말과 꽃예술에 사용 가능한종류별 부위를 조사했다. 조사된 324가지 꽃말을 10가지 상징성으로 구분하고 소재들을 배치하였다. 이들 요인을 조합하여 년중 행사와 특정 행사에 맞는 꽃예술 작품이 갖추어야 할 특성을 구분하고 꽃 예술 작품의 실례를 제시했다.

      • 산악효과를 고려한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보정

        김종민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강우는 지표에서 발생하는 수문작용의 원동력으로 그것이 공간적으로 차이를 발생하는 것은 지역마다 상이한 기후적 요인과 지형적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이다. 우리는 강우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고자 지상관측소의 측정값에 의존하는데, 경제적인 이유로 설치할 수 있는 지상관측소의 개수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렇게 공간적으로 불연속인 지점 관측 자료가 누적되어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으로 계산되고, 이를 재가공하여 지자체별로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설정하여 각종 수자원계획과 방재계획의 목표치로 활용된다. 즉, 지자체별로 하나의 값으로 대표되는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은 티센법으로 여러 관측소의 측정값을 공간적으로 평균화했다고는 하나, 이는 관측소별 기후적 요인에 의한 강우 특성을 대부분 고려한 것일 뿐, 그 보다 작은 공간규모에서 고려되어야 할 지형적 특성은 거의 반영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한 예로, 2017년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한 서울 지역의 지속기간 1시간 기준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은 100mm로 서울시 내에 계획되는 수자원계획과 방재계획은 천편일률적으로 모두 이 값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서울시 내에는 북한산, 관악산 등 다양한 지형적 환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의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적용하기에는 지역에 따라 과다 혹은 과소 설계의 문제가 따른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지형적 특성이 강우의 공간분포에 기인하는 효과를 고려하여 지자체별로 하나인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공간적으로 다양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우의 공간 특성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지형 특성인 산악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과거 관측 지점자료와 지형적 특성의 관계를 정량화하여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자체별 지형적 특성을 세분화하고 앞서 도출한 경험식에 대입하여 강우량을 공간적으로 다양화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타당성을 파악하고자 서울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 내 위치한 25개의 자치구별 대표 지형 특성을 산정하고, 경험식에 대입하여 자치구별 확률강우량을 계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서울을 대표하는 하나의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25개 자치구별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으로 세분화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자치구는 기존 서울 지역의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인 100mm보다 낮은 값이 도출되었으나, 일부 특정 자치구는 기존 서울 지역의 방재성능목표 강우량보다 높은 값이 계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은 서울 지역에서 각 자치구별 방재성능목표를 합리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수자원계획 및 방재설계에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특히, 지자체 내에서 지형적으로 이질성이 뚜렷한 경우 그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며, 향후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산정할 때 주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infall is the vital element of hydrological processes on the Earth’s surface, and its interaction of diverse climatic and geomorphological factors makes spatially difference. We usually utilize the historical rainfall records measured in the ground observations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but the expansion of station’s number is limited due to economic reasons. Thus, spatially discontinuous observation data are accumulated and calculated as the probability rainfall according to the return period, and it is reworked to set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for each local government and used as the target values of various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plan. In other words,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represented by one value for each local government has spatially averaged the measurement values of several observatories with the Thiessen network, but this is only considering most of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due to the climatic factors by the observatories. It can be said tha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in the small space scale are hardly reflected. For example, in 2017,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roposed that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of 1 hour in Seoul area is 100mm, and all of the water resource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planned in Seoul are aimed at both these values. However, since there are diverse geographical environments such as Bukhansan and Gwanaksan in Seoul, there are excessive or underdeveloped design problems depending on the region to apply on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spatially diversify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by each local governmen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ffects of differen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ainfall.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orographic effect, which is a typical topographic feature that affect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First, we derive empirical formulas by qua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observation data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Using geographically continuous data,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are subdivided and the rainfall is diversified spatially by assigning it to the derived empirical formula. This approach is tested for Seoul. The representative landform characteristics of 25 districts located in Seoul were produced, and the probability rainfall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into the empirical formula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xisting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represented by one value in Seoul is divided into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of 25 districts. As a result, most regions were lower than the target rainfall of 100mm which is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in Seoul. However, some specific regions are higher than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in Seoul. This approach will ensure diversit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design by reasonably setting th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for each district in Seoul. Especially, if the geomorphologically heterogeneity is distinctly clear in the local government, the effect will be maximiz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main criterion when estimating the future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 軟弱地盤 滑走路 沈下量 分析

        김우태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39

        Soft Ground refers to the ground which consists of clay or silt soil, and it is highly likely to result in the stability and settlement issues of the structure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s due to possible underground settlement. For the execution of the construction activities on the soft ground, the settlement behaviors are predicted based on the ground survey and analysis during the designing phase; but, in many cases, the ground behaviors measured at the construction sites are found to be discrepant from the settlement analyzed during the design. Such discrepancies occur since it is considered difficult not only to incorporate ground nonhomogenuity, limits of survey and tests, simplicity of construction models and theories, construction conditions and other numerous variables but to have the conditions of design and actual construction be in a precise match due to the unexpected variables occurred from the complicated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ccordingly, it is likely that unexpected failure or deformation occurs even though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optimized design whereas uneconomic issues can also be resulted from the design which is created with all safety elements factored in.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fidence on the methodology of predicting the long-term settlement caus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behaviors and study the appropriate removal timing of preloading on the basis of runway construction practices conducted on the soft ground; and also to study the necessity of horizontal drainage layer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preloading placement method to which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drainage layers are not applied. It is revealed from the analysis on the on-site measurement data, that, for an area with low absolute value of settlement and high converging rate, the relative settlement presents similar tendency despite the discrepancy of quantity between the designed and long-term settlement; a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which is in correlation with the trend line and data, the Hyperbolic method holds the highest confidence compared to the other methods of Asaoka and Hoshino. It was planned in the design phase to have 3 months of preloading period. The actual settlement, however, was turned out to be similar with the average value of predicted long-term settlement occurred within 1 to two months after the start of preloading, and a high-speed settlement tendency in which an increase and decrease of settlement is repeated within an allowable range and is converged has been shown since then. Furthermore, the installation of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rainages was under review during the desig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not to install either type of such drainages. The settlement resulted from 1 to two months of preloading after filling was measured to be almost identical with the final settlement, which indicates that the consolidation postponement was not found at all. In an area where an immediate settlement behavior, the settlement completed within one to two months of preloading, was displayed, as shown at the subject construction site, the Hyperbolic method revealed the highest confidence whereas other analysis methods revealed relatively low confidence. Thus, if the confidence of long-term settlement predicting method is found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behaviors, it is believed that the Joint survey system executed from both project orderer and performer can contribute to the economical and reasonable data analysis and conclusions on the settlement convergence; and, a suggestion to have a necessity of horizontal drainage be subject to an in-depth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conditions, vertical drainage installation, and other relevant factor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period is also provided herein, since it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on the preloading of soft ground construction. 연약지반은 점토나 실트질 같은 연약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지반의 침하가 발생하여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 상에 공사를 하는 경우 설계 시 지반조사와 해석에 의해 침하 거동을 예측하지만 실제 시공 시 현장에서 측정되는 지반의 거동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설계 시 지반의 비균질성, 조사 및 시험의 한계성, 모델 및 이론의 단순성, 시공조건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기 힘들고 지반조사의 한계가 있으며 복잡한 지반의 특성으로 인한 예상치 못한 많은 변수들이 내재하므로 현장 시공과 설계를 정확히 일치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최적설계를 했다 하더라도 시공 시 예기치 못했던 파괴나 큰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안전 측으로 설계를 수행하면 비경제적인 과대설계가 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약 지반 상에 시공되는 활주로 시공사례를 통하여 침하거동 특성에 따른 장기침하량 예측방법의 신뢰도 분석 및 선행재하하중의 합리적인 제거시기를 고찰하고,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층이 미적용된 선행재하공법의 시공결과를 통하여 수평배수층의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실제 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침하량이 절대 값이 크지 않고 수렴속도가 빠른 연구대상 부지의 경우 장기침하량과 설계침하량의 침하량 수치는 차이가 있으나 상대침하량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시 추세선과 데이터 상관관계인 값으로 분석결과 신뢰도는 Asaoka법, 평방근법에 비해 쌍곡선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설계단계에서 선행재하하중의 존치기간은 3개월로 계획되었으나, 실제 침하량은 1~2개월 이내에 예측된 장기침하량 평균치값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그 이후에는 측정오차 범위 내 증감을 반복하며 수렴하는 등 설계예측보다 빠른 속도의 침하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초 설계시 선행재하공법과 더불어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의 필요성을 검토하였으나, 최종 검토단계에서는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층을 설치하지 않고 추가로 surcharge를 재하하고 3개월 방치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시공단계에서는 배수층의 부재로 압밀지연을 우려하기도 하였으나, 침하량 계측결과 성토완료 후 1~2개월경과 시 침하가 수렴되었다. 당 현장과 같이 선행재하이후 방치기간 1~2개월 이내 침하가 완료되는 즉시침하거동을 보이는 대상지역은 설계단계에서 예측한 방치기간을 무조건적으로 이행하기보다는 발주자와 시공자가 Joint survey을 수행하여 침하량 수렴에 대해 공학적인 분석과 토의를 통해 선행재하하중의 제거시기에 대해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당 현장의 연구자료를 토대로 하여 원지반의 침하특성에 적합한 장기침하량 예측방법, 연직 및 수평배수층의 필요성, 선행재하하중의 제거시기 등 연약지반 설계 및 시공 전반에 대해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가상수 개념을 이용한 주요축산물 물발자국 산정분석

        류의창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급격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수자원 부족현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물이용 효율성 및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물이 부족한 국가는 물이 풍부한 국가로부터 곡물과 축산물을 수입하여 자국내 가용 수자원의 물을 절약하거나,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는 가상수(Virtual water) 개념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상수라는 개념은 물발자국(Water footprint)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단위 생산품의 생산과정 및 처리과정에 소요되는 물을 통해 가상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5위 가상수 수입국으로 국외 수자원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국내 축산물에 대한 수출·입 흐름 분석과 가상수가 미치는 국내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축산물인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에 대해 가상수 산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쇠고기는 14,205(ℓ/kg), 돼지고기는 5,292(ℓ/kg) 닭고기는 3,501(ℓ/kg)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가 2000~2011년까지 수입하는 주요 축산물 평균 가상수량은 4,481백만m3/yr이며, 이중 쇠고기 가상수량은 3,449백만m3/yr, 돼지고기 가상수량은 773백만m3/yr, 닭고기 가상수량은 259백만m3/yr로 분석 되었다. 우리나라의 주요 축산물의 내부 물발자국은 2011년 기준으로 7,709만m3/yr이며, 외부 물 발자국은 6,446만m3/yr으로 분석되었고, 주요 축산물에 대한 물 수입 의존도는 45.5%이고, 물 자급 자족도는 54.5%로 나타났다. 축산용수는 2.5억톤/년으로 농업용수의 1.6%에 불과하지만, 축산물의 98%는 먹이로 부터 가상수가 유입되고 있고, 먹이의 구성성분이 대부분 곡류로 농업용수를 이용해 재배되기 때문에 축산물의 가상수가 농업용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배합사료는 수입 의존도가 75%로 높기 때문에 수급불균형 발생시 우리나라 농업용수의 부족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비대면 산림치유에 대한 IPA 분석 : 산림치유 관련 종사자를 중심으로

        박경선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발생의 우려와 비대면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비대면 산림치유와 대면 산림치유의 IPA 분석을 통해 각각의 유지ㆍ개선 사항을 도출하며, 상호보완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2022년 3월 23일~4월 14일까지 비대면 산림치유를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의 산림치유지도사와 산림치유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산림치유와 대면 산림치유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와 비대면 산림치유에 관한 의견 및 제작과 홍보, 형식과 내용 등을 조사했다. IPA 분석 결과, 대면 산림치유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비대면 산림치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산림치유가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작돼 이를 구현할 숙련된 인력과 콘텐츠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면 산림치유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지만, ‘산림치유 장소에 대한 접근성’과 ‘산림치유 시간에 대한 편의성’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비대면 산림치유는 참여자가 시간과 장소 등을 비교적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대면 산림치유보다 접근의 폭이 넓었으나, 산림치유지도사와 참여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해 관리 부문에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됐다. 한편 비대면 산림치유는 참여 여건의 제약이 적어 취약계층 복지에 편의적이다. 또 비대면 현장 자율체험형은 산림치유자원의 효과를 여전히 가지면서도 비대면을 선호하는 세태와 독립적으로 나만의 숲을 즐기려는 욕구를 반영할 수 있어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과 대면 산림치유가 상호보완적으로 병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선택은 참여자의 여건과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the Post-Covid 19 period, when concerns about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nd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treatment are inreasing, IPA of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and face-to-face forest therapy is used to draw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oints, and find complementary point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and face-to-face forest therapy’ and opinions, production and publicity, format and content on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for forest experts of nationwide who have experience in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opinion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IPA,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ce-to-face forest therapy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It is analyzed that this was because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started abruptly due to Covid 19, and there were a lack of skilled manpower and contents to implement it. Although the overall performance with face-to-face forest therapy was high, improvements in accessibility to forest therapy sites and convenience for service time were required. While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was more accessible than face-to-face forest therapy because participants could choose a time and place, the urgent improvements are required on the part of management by reason of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non-face-to-face forest therapy can be a convenient welfare for the underprivileged because there are few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conditions.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forest self-experience typ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because it can reflect the desire to enjoy one’s own forest independently and the current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while having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resources. This thesis suggested that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forest therapy can be complementary cooper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the choice depends on the conditions and preferred methods of the participants.

      • 긍정심리학 기반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보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testing and Caregiver-Teacher Report Form(C-TRF) were used, and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28 children in classes for three years old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Mapo-gu Seoul and one time for 10 sessions. A pre-test was conducted with the C-TRF to classify the subjects into a problem behavior group of 13 children and a normal behavior group of 15 children. A horticulture program was implemented by randomly choosing six key virtue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10 items that could be applied to children at a daycare center out of 23 character strengths. Also, each session was structured so that the children could talk about their own character strengths and express their positive emotions. In the result of the tes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all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e program,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improved in four sub-domains, including self-awareness, self-control, awareness of others, and control over others (P<0.001). In the meantime,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d in children in the problem behavior gro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orticulture program, and especially, their averag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behavior group in all domains except for the self-awareness domain. Thus, it was found out that the horticultural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TRF for the children with which the horticultural program was implemente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ir problem behavior, it turned out that the reduction ratio of problem behavior was higher in children in the problem behavior group than in those in the normal behavior group. As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implemented, the children who had shown problem behaviors could express their positive emotions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showed active behaviors, e.g. They were interested more in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asked questions. Through this,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lso reduce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ctively, since its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duction of their problem behavior have been recognized. Key words: Positive psychology, Horticultural activities, Emotional intelligence, Problem behavior 이 연구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서지능검사와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이 사용되었으며 원예 활동은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3세반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 1회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으로 사전검사를 진행하여 문제행동 그룹 13명과 정상범주에 속하는 그룹 15명으로 구분하였다. 원예프로그램은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6가지 핵심 덕목과 24개 성격 강점 중에서 어린이집 재원 유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10개의 항목을 임의 선발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유아가 자신의 성격 강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긍정정서를 표현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원예프로그램에 참여한 전체 유아의 정서지능 검사 결과에서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의 4개 하위영역에서 정서지능 점수가 향상되었다(P<0.001). 한편 문제행동 그룹 유아들의 경우 원예 프로그램 실시 후 정서지능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자기인식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정상 그룹의 유아보다 평균점수가 높아 이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프로그램이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프로그램 실시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 그룹 유아들이 정상집단의 유아들보다 문제 행동 감소률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문제행동을 보였던 유아들이 자신의 긍정정서를 원예활동으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에 저 관심을 보이고 질문하는 적극적인 행동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프로그램이 유아들의 문제행동 또한 감소시켰다. 따라서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 효과가 인정되어 긍정심리학 기반 원예프로그램의 적극 활용이 요구된다. 주요어 : 긍정심리학, 원예활동, 유아, 정서지능, 문제행동

      • 대심도 연약지반에서 시공된 바렛말뚝의 주면마찰력에 관한 연구

        김은수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 지역과 인접한 곳에 조성된 신규 택지 현장으로 대심도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바렛말뚝과 주변 지반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바렛말뚝이 흙막이 공법이 아닌 기초 공법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적은 관계로, 국내의 설계지지력 산정은 주로 현장타설 말뚝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며, 바렛말뚝에 대한 설계지지력 산정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심도 연약지반에 시공된 바렛말뚝에 대한 양뱡향 재하시험의 하중전이 시험 결과와 환산 SPT(Standard Penetrati on Test) N값을 상호 분석하여 말뚝 하부 지층별 N 치와 주면마찰력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금회 부산 명지지구에 시공된 7본의 바렛말뚝에 대한 단위주면마찰력의 분포와 환산된 SPT N값과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질토에서는 ƒș = 0.262N, 자갈층에서는 ƒș = 0.124N, 풍화암층에서는 ƒș = 0.316N으로 SPT N값과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기존 현장타설말뚝에서 제안된 관계식과 비교하여 유사한 주면마찰력이 발휘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안정액 사용에 따른 주면마찰력 감소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며, 대심도 연약지반에서 자갈층의 주면마찰력으로도 상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설계하중 이상의 충분한 허용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낙동강 하류 지역에 인접하여 시공된 대심도 바렛말뚝의 주면마찰력 자료를 확보하고, 일축압축강도 확보가 어려운 자갈층이나 RQD(Rock Quality Designation) 지수 산정이 불가능한 10cm 이하의 풍화암층 조건에서 설계지지력 산정의 참고자료 및 바렛말뚝 설계기준 확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바렛말뚝, 단위주면마찰력, 양방향재하시험, 환산 SPT N값 Abstract A Study on side Resistances of Barrette Piles Constructed in Deep Soft Ground Kim, Eun-Soo Master of Science in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iversity of Seoul, 2022 Advisor : Professor Park, Do-Won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the Barrette Pile and surrounding ground constructed in Deep soft ground as a new housing site located adjacent to the downstream area of Nakdonggang River As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Barrette piles are used as basic construction methods rather than Retaining Wall Method in Korea, the design support is mainly used as empirical and static methods based on Cast-in-place Concrete Pile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esign Code.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ween the main side Resistances exerted by the lower Stratums of the pile was studied by analyzing the test result and the revised SPT N value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of the load transfer test for the barrette pile constructed at the Deep soft gr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and revised SPT N value for the 7 barrette piles constructed in Myeongji district of Busan, ƒș = 0.262N was shown in sandy soil, ƒș̦ = 0.124N was shown in gravel layer, and ƒș̦ = 0.316N was correlated with SPT N value in weathering rock layer. It was analyzed that similar main side Resistances was exhibited compared to the existing Cast-in-place Concrete Piles proposal, and it was found that the main side Resistances was insignificant due to the use of Drilling Fluid, and the design load was sufficient to support the main side Resistances of the gravel layer. Based o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used for estimating design support in field conditions where side Resistances Characteristics data is secured when giving friction piles adjacent to the downstream area of Nakdonggang River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s not possible (gravel layer or a weathered rock layer of RQD index of less than 10cm). Keywords : Barrette pile,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Unit Side Resistances, Revised SPT N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