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권리 관점에서 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지표 및 측정방안 개발

        한유미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4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and a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using a logical model as a measurand. Methods: After analyz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existing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and other projects similar to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literature analysis), a focus group interview, an expert advisory meeting,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Results: According to the logical model, the final draft was composed of a total of 28 indicators: ten indicators(areas of support system,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input stage, six indicators(areas of service content, quality, operation) in the process stage, six indicators(areas of quantitative growth, teacher placement, and efficiency) in the output stage and six indicators(area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children, teachers, and centers) in the performance stage. Conclusions: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measurement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use the project itself as the unit of analysis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from the point of view of child welfar. If some indicators and measurement methods are revised and supplemented, it could serve as a tool for local government evaluation or center evalu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보다 아동권리 관점에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논리모델을 사용하여 객관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과지표 및성과측정 방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기존에 만들어진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및 유사 사업들을 문헌분석하여 성과지표초안을 만들고, 관련 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사 등 현장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표적집단면담, 전문가 자문회의, 그리고 관련 공무원, 현장실무자, 대학교수,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한델파이 조사 등을 실시했다. 결과: 논리모델에 따라 투입 단계(지원체계,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영역)의 10개 지표, 과정단계(서비스 내용, 서비스의 질, 서비스 운영 영역)의 6개 지표, 산출 단계(양적 성장, 교사배치, 효율성 영역)의 6개 지표, 성과 단계(아동, 교사, 센터의 만족도와 효과성)의 6개 지표로최종안(28개 지표)이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지표 및 측정방안은 논리모델에따라 사업 자체를 분석단위로 하고 있지만, 일부 지표 및 측정방안을 수정하면 지자체나센터 평가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악청취력 향상프로그램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청취력에 미치는 영향

        한유미,안선희,정민아 미래유아교육학회 200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usic audi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tonal and rhythmic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onal patterns and rhythmic capabilities and their families' musical environment. The sample was consisted of 76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enrolled at a preschool in Seoul.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24 units of activity in the music audiation intervention program. Before and After treatment,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tested by the tonal pattern and rhythm test using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PMMA). Parents ra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family music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trea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ability of musical audiatio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onal and rhythmic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audiation and the number of CD.

      • KCI등재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핵심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분석

        한유미,김희영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개발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성과지표를 바탕으로 핵심성과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핵심성과지표 선정을 위해 구조화된 개별면접,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투입, 산출, 성과의 3단계로 구성된 총 15개 지표를 확정했다.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아동복지교사, 사업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아동권리보장원의 시스템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은 투입, 산출, 성과 각 단계에서 사업의 목적인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 지원,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을 통한 아동복지 서비스 인력 양성이라는 긍정적 성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성과에 관한 평가의 간소화와 효율성을 통해 사업의 성과관리를 활성화하고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based 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at project developed in 2021. It also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To select key performance indicators,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expert consultation were conducted. Finally, a total of 15 indicators were confirmed in three stages: input, output, and performanc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a survey was conducted to child welfare teach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the project, and data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the Child’s Rights was collected.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was found to have positive results at each stage of input, output, and performance: supporting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is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training child welfare service personnel through creating job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erformance management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s through simplification and efficiency of evalu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유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hol과 Gainer(1996)의 Math Art를 참고로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만 4세 유아에게 7주간 총 12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유아(23명)와 통제집단 유아(23명)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시간' 영역을 제외한 모든 수학적 지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수학적 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th Education through Art program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knowledge and attitude. The subjects, all 4-years-old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as a experimental group (n=23), was exposed to MEA program for seven and the second served as a control group (n=23). The instruments for pre-test and post-test were the mathematics domain of Lee et. al.(1993)'s School Readiness Test and the portfolio-ba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attitud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ement of most domains of mathematical knowledge of young children with the exception of the 'time concept'; second, the MEA program demonstrated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young childre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한유미,권희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본 연구는 어머니들의 양육신념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들의 어머니 234명으로 어머니 양육신념,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사후검증으로 Tukey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양육신념은 자녀가 다니는 취학 전 유아교육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이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어머니들보다 아동 중심적인 양육신념을 갖고 있었다.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는 연령이나 학력이 낮은 어머니들이 나이가 많거나 학력이 높은 어머니들보다 숫자나 한글 등의 학업적 영역에 대한 자녀의 성취기대를 더 높게 가지고 있었다.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에서 취업모들은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유아교사의 역할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다. 성인중심적인 신념을 가진 어머니들은 자녀가 숫자와 한글을 더 잘 하기를 바랬으며, 아동중심적인 신념을 가진 어머니들은 교사가 유아의 정서발달을 도모하는 역할을 많이 해주기를 기대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between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nd their expectation toward child's efforts and teachers' role in early childhood settings. Participants were 234 mothers of 5 year-ol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on expectations to child's efforts in making friends, sports, numbers, and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expectation to teachers' role in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One way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have more child-centered-beliefs than those who have children attending institutions of secondary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others' expectation toward children's efforts due to maternal child rearing beliefs in children's numbers and letters.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nd expectations of teachers' role have a difference in roles related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스웨덴 영유아 보육·교육기관 평가의 배경과 실제

        한유미,조경자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8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2 No.-

        Recently, social interest in the transparency of management and quality of educat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In this regard, questions are raised about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weden which has an social education tradition in contrast to school readiness tradition of U.S. and Australia etc.. Respectively,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evaluation were reviewed and the then the evalu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quality wer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institution, municipality and government. Swedish case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quality in Korea.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어린이집과 유치원 운영의 투명성과 보육 및 교육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평가와 관리의 적절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평가인증제도 도입에 참고가 되었던 미국과 호주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영유아보육과 교육이 통합된 체제를 이루고 있는 스웨덴의 평가 체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스웨덴의 평가제도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영유아보육·교육기관 평가의 실제를 기관 , 지자체, 국가 등 평가 주체에 따라 살펴보았다. 사회교육의 관점에서 개별 기관의 자발적인 질 향상 노력을 추구하면서도 학교감사관제도를 통해 중앙정부의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한 스웨덴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평가 및 질 향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보육바우처 도입의 과제:미국과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유미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1

        As a customer-centered child-care policy, child-care voucher system is going to be introduced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history, content, case, and evaluation of child-care voucher system in U. S. and Sweden in order to prepare the introduction of child-care voucher system in Korea. Child-care voucher systems of U. S. and Sweden were compared in terms of Gilbert and Terrell(1998)'s criteria of allocation, provision, delivery system and finance while presenting implications for the tasks of child-care voucher system in Korea. 보육바우처의 도입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미 보육바우처를 도입, 시행중인 미국과 스웨덴의 최신 동향을 비교ㆍ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미국과 스웨덴 각 나라에서 보육바우처가 도입된 과정을 전반적인 보육제도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고, 바우처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Los Angeles 카운티와 Nacka 지자체의 보육바우처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보육바우처 도입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두 나라의 보육바우처를 Gilbert와 Terrell(1998)의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즉, 대상, 내용, 전달체계, 재정 등에 따라 비교하면서 우리나라에 적합한 도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