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ing Critical Sociolinguistic Ethnography : Analyzing Processes and Situating Cases

        신현정(Hyunjung Shin),자인철(In Chull Jang) 한국사회언어학회 2018 사회언어학 Vol.26 No.3

        This paper discusses ways to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issues of holism, generalizability, and representativity in qualitative research. More specifically, the article argues that critical sociolinguistic ethnography can serve as a useful methodological tool to uncover complicated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linguistic practice in social life in an increasingly globalized world. Drawing on Heller’s (2011) framework of critical sociolinguistic ethnography, the analysis underscores how critical sociolinguistics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es by which social actors access and mobilize valuable linguistic resources across time and space. The paper illustrates the situated research processes of doing critical sociolinguistic ethnography through two research projects on South Korean transnational English learners conducted by the author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how critical sociolinguistic ethnography may contribute to broadening research agenda in sociolinguistic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현정 ( Hyunj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S시와 G도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75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교수몰입의 정적상관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에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 중 책임감과 자립심 함께 돕기와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중 전문의식, 교육애, 열정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수몰입 향상에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was to study the influences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have on the teaching flow recognized by the child care teacher. A survey was collected from 375 child care teachers in region G in city S. The collected data was studied through the program SPSS 21.0 and it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ound. First, a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on the teaching flow. Second,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responsibility, self-reliance, and cooperation within the director’s multipliership influenced the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flow. Also, the professionalism, love of education, and passion in the teaching commitment influenced the teaching flow as well. Such results suggest that a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teaching commitment are crucial in a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flow.

      • KCI등재

        핵심역량 관점에 기반한 뎃치봉공의 평생직업교육적 의의

        신현정(Shin, HyunJ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근세 일본의 상인교육제도였던 ‘뎃치봉공’의 핵심역량 도출에 기반한 평생직업교육적 의의를 구명하는 것이다. ‘뎃치봉공’의 직급체계는 상가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뎃 치(丁稚)→데다이(手代)→반토(番頭)→시하이닌(支配人)의 4단계를 기본골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직급체계를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분석의 준거로 설정하였다. 뎃치봉공의 직급별 핵심역량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규정될 수 있다. 첫째, 뎃치 시기의 핵심역 량은 산용(算用)ㆍ시말(始末)ㆍ인성으로 대변되는 상재(商才)였다. 둘째, 데다이 시기의 핵심역량은 재각 (才覺)과 전문성, 그리고 조직에 대한 기리(義理)이었다. 셋 째, 반토ㆍ시하이닌 시기의 핵심역량은 사회 와 ‘이에(家)’의 상생을 목표로 한 공공의식 및 다양한 계층과의 교류를 목적으로 한 심미적 교양이었다. 이러한 ‘뎃치봉공’의 핵심역량 분석을 통해 밝혀진 ‘뎃치봉공’의 평생직업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뎃치봉공’은 첫째, 상인이라고 하는 직업인의 삶 전반을 관통하는 생애 전 주기적 직업교육이었고 둘 째, 상인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조화롭게 실현할 수 있는 전인적 상인양성 교육제도였으며 셋째, 장기간에 걸쳐 노동자교육과 기업가교육이 단계적 일체화를 이룬 총체적 직업교육제도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core competency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a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in Detchiboukou(educational practice of apprenticeship), a merchant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pre-modern Japan.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re, but generally it consists of four-step grade system: Detchi (apprentice), Tedai (assistant manager), Bantou (Manager), and Shihainin (Ge neral Man ager). Specific core competencies can be divided in to three categories. First of all, business abil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 a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are evaluated during the Detchi period. Then, professionalism and loyalty are evaluated during the Tedai period. Finally, during Bantou&Shihainin perio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finement are assessed. There are three major significances of Detchiboukou. Firstly, it was a lifel ong vocational education which la st an entire lifetime of the merchant. Secondly, it was a system of raising a holistic merchant w ho could demonstrate harmoniously both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of merchants. Thirdly, it was a social education that integrated the training of both the workers and employers.

      • 서천군 평생학습매니저의 시민성 학습 과정 분석

        신현정(Hyunjung Shin),박상옥(Sangok Par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3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itizenship learning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who are active in the rural area of Seocheon-gun. Lifelong learning managers are local activists who act independently to support civic growth through lifelong education, solve problems of local society, and vitalize town education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Lifelong Learning Managers know about the region, establish values on site, and experience learning processes that continuously heighten practical capabilities. The authors suggested support plans that would allow resi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to grow into active citizen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looked into methods with which lifelong education policies would be established and supported by learning cities and presented a practical rol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ivil society.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인 서천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시민성 학습과정을 분석하였다. 평생학습매니저는 평생교육을 통해 주민성장을 돕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며, 마을교육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지역활동가이다. 연구결과 평생학습매니저는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써 권리와 책임을 인식하고 지역 평생교육활동가가 되는 경험, 지역에서 주민을 만나면서 다양성을 이해하고, 변화를 경험하며, 가치관을 찾는 경험, 지역과 주민의 성장을 이끄는 평생학습의 힘을 발견하고 스스로의 실천역량을 높이는 경험을 통해 시민성을 함양하고 있었다. 즉 평생학습매니저는 지역 평생교육활동가로써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현장에서의 활동을 통해 다양성 이해와 성찰의 경험으로 가치관을 정립하였으며, 주민 주도 평생학습사회 실현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하며 현장에서의 역량을 높이고자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 ‘행동하는 시민’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연구자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행동하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시민 주도의 지역공동체 및 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평생학습도시의 실천적 역할 제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유아 교사의 조직건강과 그릿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신현정 ( Hyunj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사의 조직건강과 그릿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S시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 교사 210명이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의 조직건강과 영유아 교사의 그릿, 직무역량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직무역량에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의 하위요인 중 조직구조와 조직풍토가, 영유아 교사의 그릿의 하위요인 중 열정과 끈기가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포괄적인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환경적인 요인인 영유아 교사의 조직건강과 개인적인 요인인 그릿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a following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organizational health and grit have on the job competenc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210 infant and toddler teachers in the child care center in city S. A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was studied with the program SPSS 21.0 and it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found. First,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infant and toddler teacher’s organizational health, grit and job competencies. Second, the organization’s structure and climate which were sub factor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organizational health, and the passion and perseverance which were sub factors of grit were predictive variables. The significance of such results in this research is that in order to develop programs for increasing inclusive infant and toddler teacher’s job competencies, infant and toddler teacher’s organizational health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grit which is a personal factor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신현정(Hyunjung Shin)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이 타인(자)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지를 치료놀이의 맥락과 내부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한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을 상호주관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발달지연 청소년의 욕구에 더 적합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성호르몬의 변화 및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한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접근을 통해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살펴 청소년의 긍정적 변화를 돕는 상호작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천착하였다. 질적 연구의 지향인 실험적 접근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상호작용이 ‘행위와 행위의 교환’, ‘행위와 반응의 연속’, ‘몸과 살의 교차’라는 개념과 연결 지어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발달지연 청소년과 치료사가 각각 주체가 되어 기술되었다. 치료놀이 상황에서 각 주체의 행위, 반응, 몸, 살이 어떻게 구성되고 해체되고 다시 구성되며 또 해체되느냐에 따라 그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은 치료놀이에서 많이 하는 7가지 활동들을 중심으로 발달지연 청소년의 입장, 치료사의 입장을 각기 1인칭으로 기술하였다. 같은 치료놀이 활동을, 각기 다른 주체의 관점에 따라 함께 구성하는 상호작용의 맥락을 통해 발달지연 청소년의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치료놀이 상호작용은 ‘함께 있는 상태’에서 하는 ‘조율의 과정’이었다. 더불어 치료사와 청소년 간 상호주체적 만남의 지속적인 교차였다. 발달지연 청소년의 심리치료적 상호작용에서는 ‘경계짓기’와 ‘재미’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raplay?? interaction of a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 s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raplay??. This study aimed to build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him who has suffered from hormone change and emotion-regulation through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According to new trends in qualitative methodologies, this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It also analyzed and interpreted by the notions of interaction like exchange of action-action , sequences of action-reaction-action , chiasma between Leib and corps after the thick description of Theraplay?? with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Especial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have been revealed based on seven activities of Therapla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raplay?? context and distinctions are below. Theraplay?? interaction means attune process condition of being with. Moreover, repeated chiasma of intersubjectivity. Also, building boundaries and fun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s very significant.

      • KCI등재

        ‘잘 큼’과 ‘잘 키움’ 사이의 상호주관적(intersubjective) 교차:

        신현정(Shin, Hyunjung)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3

        This research aimed at revealing intersubjective chiasma between nurturing and being nurtured based on nurturing experience of mothers who have done consultation as child counselors. Also, what should be real nurturing, essence of nurturing had to be founded through free variation. For this purpose, interview with them(mothers while child counselors and junior school studen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a way of phenomenological method. So intersubjective chiasma were conducted between mothers while child counselors and junior school students about nurturing and being nurtured. The results were as belows. First, “Getting a good grade in order to entering famous university” was related to “function”. Function was not everything. It depended on situation between subjectivities. Nurturing and being nurtured were beyond function. Second, “Becoming super-mental” was making ambivalent emotions between subjectivities. “Better personality for good communication” was third. It was containing other’s perspective and situations. Forth, “Spreading happy virus such as humor and peace” was associated to “thinking differently”. The findings were that ‘being nurtured’ did not mean analytic areas superficially, so mother should have been interested in not only ‘child herself/himself’ but also ‘acceptance other’s perspectives’, ‘thinking differently’. It made nurturing phenomena more abundant and connected into new knowledge as well as practice for the better lives of mother and child. 본 연구는 아동상담가인 어머니가 자녀를 ‘잘 키우냐’, ‘못 키우냐’를 점검하는 데 있지 않다. 다만 ‘양육이 무엇인지’ 양육의 본질을 찾는 데 초점을 둔다. 양육의 본질에 접근하는 자유변경(free variation)의 방법으로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 형성, 아동의 긍정적 양육이슈에 관심이 많은 아동상담가들의 양육체험을 통해 ‘잘 키움’에 대한 어머니의 고투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잘 키움’에 관한 고투가 아이들의 ‘잘 큼’과 어떻게 연계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방법을 토대로 외부자인 상담가의 관점이 아닌, 내부자인 어머니의 위치에서 양육체험 현상을 반성적 성찰 속에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양육의 내부자인 중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잘 큼’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아이들이 말하는 ‘잘 큼’과 아동상담가인 어머니의 ‘잘 키움’ 사이의 상호주관적 교차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양육 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어머니가 양육태도에 변화를 갖기 위해서는 어떤 지향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지 실천적 장 안에서 ‘더 나은 양육’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잘큼’과 ‘잘 키움’ 사이, 아이들과 아동상담가인 어머니 간 상호주관적 교차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좋은 직업 얻도록 공부를 잘 하는 것”은 ‘기능’과 관련되었으며 학원의 (보내고/ 다니는) 목적은 주체들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멘탈(mental) 갑(甲)이 되는 것”은 어머니와 아이에게 ‘상반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측면이 있었다. 셋째, “소통 잘 되는 인성을 갖는 것”은 ‘타자의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과 연관되었다. 넷째, “해피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것”은 다 름 아닌, ‘긍정성’에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해 보면, ‘잘 큼’이란 피상적으로 분류 가능한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머니는 ‘아이 자체’를 살펴야 하며 기능 연마를 넘어 ‘타자의 관점을 수용’하는 것, ‘달리 생각하기’까지 확장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는 어머니 자신도 반성적 삶, 노력하는 삶을 살아야 함과 연관된다. 더불 어 어머니는 아이의 ‘잘 큼’, 어머니의 ‘잘 키움’의 현상에서 체험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살펴야 한다. 관심이 깊어질 때 현상은 자신을 열어 밝힐 것이고 많은 문헌이나 이론으로 가려져 드러나지 않았던 새로운 앎들에 대해 ‘뚜껑을(cover)을 열어(dis) 발견(discover)하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체험의 의미

        신현정(Shin, Hyunjung)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2

        This research aimed at revealing context of nurturing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mother in daily life, the meaning of nurturing experience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mother. For this purpose, interview with them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a way of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were as belows. First is about nurturing context. Mother with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has experienced ‘fall into hell’. After then, mother has tried to recover their children’s condition as ‘treadmill go round’. Mother herself was disappeared during the period. She only avoided people’s eye with sympathy and also had many conflicts on relationship among families, friends and people who had known. She had sense of the damage. Meanwhile, she had different relationship experience that mother had involved in another type of meeting had never met if her children did not suffer. However, she had a hard time due to ‘many barriers’. She should ‘choose her way’ in association with her children and got to know the direction of ‘world-into’ gradually. Even her children’s development were slow but their personalities were pure. It has made her happy. Sometimes mother asked herself ‘who are the poor people’. And she has made her own way. The meanings of nurturing experience of mother with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ere that first was ‘layer of different culture’. Mother felt different in the way of life betwee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mother and non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mother. Second, mother tried to transcend her inferior and herself that would not accept the situation. While the interaction, she identified with children. Thus, ‘boundary confusion’ existed. But ‘speculative life’ was found by her trial toward better life.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및 삶에 대한 기존 담론을 전제하지 않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즉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체험의 맥락, 즉 일상적 삶을 들여다보고 그 체험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아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하였고 현상학적 방법에 입각해 이들의 양육체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어머니의 양육체험의 맥락은 우선, 어머니들의 ‘전환’ 체험에서 출발하였다. 발달장애아를 둔 어머니는 아이가 발달장애라는 것을 발견하고는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어머니의 고통은 너무나 심했고 무슨 일을 해서라도 아이를 낫게 하고 싶었다. 그런 마음이 ‘쳇바퀴 도는’ 치료 생활에 몰두하도록 했다. 그 사이, 주변의 편견이나 동정이 싫어서 어머니는 사람들을 회피하기도 했다. 가족을 비롯한 친한 사람들과 서운함을 느끼는 일도, 갈등도 많아졌다. 그러는 동안 자기와 같은 형편의 발달장애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새로운 만남을 갖게 되었다. 관계가 재구성 되었다. 하지만 편견이나 동정으로 점철되어 ‘만난 벽’이 어머니는 너무 힘들었고 아이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것 같은 현실에 좌절도 많았다. 순간순간 선택과 책임이 주어지는 중요한 ‘기로에 섰지만’ 어머니는 실존적 결단을 통해 한걸음씩 ‘세계에로’ 나가게 되었다. 하지만 발달장애아를 키우면서 힘든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느리지만 조금씩 성장하는 아이가 마냥 기특했고 때 묻지 않는 순수함이 예뻐서 안타까웠다. 때로는 경쟁에서 배제되어 있는 아이의 현실에 ‘누가 불쌍한 것인지’를 자문하기도 했다. 이렇게 어머니는 ‘계속 엄마의 길을 갔다’. 발달장애아 어머니가 겪은 양육체험 의미를 살펴보면, 첫째, ‘다른 문화적 층의’가 있었다. 어머니가 지각한 비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삶의 양식은 지향적 측면에서 달랐다. 그런 까닭에 어머니는 자신의 독특한 삶의 방식을 고민해야 했다. 그리고 그것은 실존과 관련되었다. 둘째, 어머니는 기존의 자신을 벗어나고 열어두려, 현재의 자신을 벗어나 ‘초월을 위해 고투’했다. 셋째, 아이가 좋아지는 일이라면 어머니 자신은 기꺼이 희생하려는 ‘경계 혼란’을 겪기도 했다. 넷째, 그 과정을 통해 어머니는 끊임없이 고민하고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사색적 삶’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기존 담론과는 다른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