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의 관계적 자아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

        방희정,조혜자,김현정,윤진영,김아영,조숙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Relational Self Scale(RSS). Based on the theoretical assumptions which relational self is multi-dimensional and constructed in social contexts, 10 categories with 102 items were yielded. In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y administering 102 items to korean adults, 31 items with 7 factors are extracted. The 7 factors are consisted of ‘avoidance of relation’, ‘consciousness of others’, ‘agency’, ‘instrumental relation’, ‘empathy-care’, 'perceived support from relation' and 'over-dependency to relation’.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649 korean adults aged from 20's to 60'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RSS as a valid scale. The 7 factors of the RSS fitted well with men and wome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RSS was proved to be acceptable. The latent mea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lational self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at 7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truct of relational self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lational self-construal, self-esteem and attachment to parent and intimacy pers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in that relational self is defined and assessed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 and that by administering RSS it is possible to evaluate distinctive korean people's relational self. 본 연구는 한국인의 관계적 자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관계적 자기가 다면적이고 구성적인 특성을 가진다고 보는 다중 자기 이론에 근거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관계적 자기의 다면적 특성을 측정하는 10 요인 102 문항을 선정하였다.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02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 상관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7요인의 총 31문항을 추출하였다. 7요인은 관계 회피, 타인 의식, 주도성, 도구적 관계, 공감-배려, 지지 받기, 관계 의존 등이다. 서울 및 수도권의 20대에서 60대까지 남녀 649명을 대상으로 요인 구조 및 문항들의 타당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관계적 자기 척도가 남녀에게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남녀에 따라 관계적 자기 척도의 하위 요인별 잠재평균 분석을 한 결과, 관계적 자기가 남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관 분석 결과, 관계적 자기의 구성 요인들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양식, 자존감, 부모 및 친밀한 사람과의 애착 안정성 등과도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관계적 자기 척도는 관계적 자기를 단일한 요인이 아닌 다양한 구성 개념으로 정의하여, 한국인의 독특한 관계적 자기를 다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방희정,조혜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論文集 Vol.2 No.-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과학을 합리적으로 만드는가하는 물음에 대한 과학철학자들의 다양한 답변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행동주의 이래 실증주의적 입장이 고수되어온 심리학의 철학적 입장은 새로이 대두된 과학철학 이론들에서 논의되는 이론과 방법, 설명에 대한 태도를 받아 들임으로서 심리학 이론들 간의 갈등과 긴장을 해결하고, 보다 통합적인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과학철학의 몇 가지 입장을 살펴본 뒤 심리학의 이론과 설명, 방법론들이 어떠해야 할지를 논의하려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남녀 대학생의 ‘개인’과 ‘관계’의 암묵적 표상

        방희정,조혜자,조숙자,김현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mplicit representations of 'individual' and 'rela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tudy was based on measuring 130 students by RISC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4 sorts of IATs(Implicit Association Test). The results were summed up as follows: 'relation' was related to either 'active' or/and 'masculine' traits; Men with high RISC score rapidly associated 'relation' with 'positive' traits whereas women with high RISC score difficultly associated them; Men with low RISC score connected 'individual' with 'strong' and other groups connected 'relation' with 'strong'; All groups associated 'relation' with 'active' and women with low RISC most rapidly associated these; Men with high RISC connected 'relation' with 'feminine' but other groups connected it with 'masculine'. These results point toward a conclusion that Korean societies expect some forms of human relationship but differently from men and women.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명시적 태도의 발달

        방희정,노경란,정수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인종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명시적 태도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발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일학년(6세) 117명, 사학년(10세) 117명, 중학생 138명, 고등학생 138명, 대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암묵적 연합검사(IAT)와 명시적 선호도검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인과 대조하여 각 인종(백인/흑인/동남아인)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명시적 태도를 5(연령) x 2(성별) x 3(인종)의 3원 혼합설계에 의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에 성별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연령변수가 유의하였다. 모든 연령에 걸쳐 내집단 선호경향은 암묵적/명시적 수준에서 모두 지속되었다. 반면에 외집단에 대한 선호 및 편견적 태도는 암묵적 및 명시적 수준, 연령과 인종에 따라서 각기 다른 발달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이론 및 실제적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licit and implicit race attitudes differ according to age and sex from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Koreans. Elementary school students(first grade:117, fourth grade:117), middle school students(138), high school students(138), and college school students(122) completed Implicit Association Tests (Korean-White/Korean-Black/ Korean-Southeast Asian IATs), and Explicit Preference Test. The effects of age and sex on and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Korean/White/Black/Southeast Asian were examined with 5(age)× 2(sex)× 3(race) three-way MANOVA. using mixed mode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s age increases, in-group preference continued throughout the age, without sex effect. In contrast, out-group preference/bias presented different developmental aspe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licit or explicit, age and rac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성 고정관념 활성화가 남녀의 자아해석에 미치는 영향

        방희정,조혜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men's and women's self-construals do change according to gender-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n have stronger gender-stereotypes and construe self more gender-stereotypic way than women. In general, women showed having less gender-stereotype but they construed self more stereotypic way. And the stereotype activation affected only on women to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Both men and women do accept physical appearance stereotypes more than other domains of gender-stereotype when they construe their selves. Gender-role stereotypes are more accepted by men than women, and gender-stereotypes of ability are more accepted by men but refused by women when stereotype was activated. And men accepted prescriptive gender-stereotype more than women. People of high gender-stereotype group construe self more stereotypic way than those of low stereotype group. But in low gender-stereotype group, women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when stereotype is activated than when not. These results are taken to show, among others, that self-stereotyping of targe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s are man or woman, and that self stereotyping of an individual contributes to build a mechanism of maintaining gender-stereotype of a society to which he or she belongs. 본 연구는 성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남성과 여성의 자아해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남성들의 성 고정관념 점수가 여성들보다 높았고 이런 현상은 자아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여성들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낮지만 자아해석은 매우 고정형적으로 하고 있었다. 성 고정관념의 활성화효과는 남성들에게는 나타나지 않고 여성들에게만 나타나,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자아해석을 덜 고정형적으로 하는 탈동일시 경향을 보였다. 영역별로는 역할 영역에서 남성은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반면 여성들은 거부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외모 영역에서는 남녀 모두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능력영역에서는 남성들은 고정관념이 활성화될 때 더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하는데 비해 여성들은 탈동일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처방적인 성 고정관념을 자아에 반영하는 경향은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성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정도에 따라 고정관념 고-저 집단을 나누어 자아해석을 살펴 본 결과, 남녀 모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은 높은 사람들에 비해 자아해석이 덜 고정형적이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이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더 많이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 고정관념이 그 수혜자인 남성과 피해자인 여성의 자아해석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쳐, 거부되기도 하지만, 자아에 반영되고 실천되어 성 고정관념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해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