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철영,김용관,허영준,장규선,오창환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들이 농업인 교육프로그램,특히 농업인대학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는데 있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대학 교육과정 개발·운영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농업인대학 운영 매뉴얼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농업인대학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농엽인 대학을 설립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실무자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고,이러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단계화 하였으며,최종적으로는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안을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농업인대학 운영과 관련한 국내·외에서 발행한 각종 연구보고서와 학술지 논문 분석을 포함한 문헌고찰,농업인대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7개 농업기술 센터에 대한 현장조사 및 인터뷰,농촌지도사 빛 농촌진흥청 지도관과의 전문가협의회,일선 농업기술 센터 농업인 교육 담당자와의 2차에 걸친 관계자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업기술센터의 농업인대학 운영을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하여,기존에 존재하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6단계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농업인대학의 운영에 있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프라 구축 단계와 사후관리 단계를 추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농업인대학 운영 매뉴열의 6단계를 1)교육요구 분석,2)인프라 구축,3)교육과정 개설,4)교육과정 운영,5)교육과정 평가,6)사후관리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단계는 다시 4∼8가지의 하위 단계로 구성되며,이에 따라 매뉴얼은 총 38단계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anual for farmers' Academy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analysed current status of 47 Farmer's Academy, investigated the contents needed in the field, formulated the contents to make process, and described each process. The manual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 content analysis of farmers' Academy Program, a expert conference, and an informal gathering. Expert conferences were hel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manu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nual framework and content elements, Informal gatherings were held two times to discuss application of manual in fields and to supplement contents. The result was as follows. Both infra construction phrase and post service phrase were required for farmers' academy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The two phrases was added to ISD model basically used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framework of Manual is consist of six phrases such as educational needs analysis, infra construction, develop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evaluation of curriculum, and post service. Each process is organized with 4~8 subordinate phrases as well. Ultimately, the manual was made of detailed 38 subordinate phras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농업인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인교육 발전방안 연구
정철영,송병국,김진모,문택석,허영준,주대진,최수정,한승완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업인의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촌진흥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한국농업대학의 농업인대학 운영 본부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고찰, 농업인 및 농촌진흥기관의 농업인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진흥기관의 농업인교육관련 연계를 위해서는 한국농업대학이 농업인평생교육기관으로 평가인정을 받고, 전국의 농업인대학을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역의 농업기술센터는 한국농업대학과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여 학점은행제 운영에 소요되는 교육 및 이력관리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농업대학의 농업인대학 운영본부화를 위하여 평생학습원의 조직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평생학습원의 비전, 미션 및 전략이 제시되었으며, 조직의 기능 및 세부과제가 제시되었다. 셋째, 농업인교육의 학점은행제를 도입을 위한 체계를 설정한 후, 농업관련 기존 표준교육과정 분석, 농업인 요구분석, 전국 농업인대학 교육과정 분석, 기존 농업관련 전공 교육과정 분석, 전문가 검토 등의 과정을 거쳐서 '영농 전문학사'와 '농업 경영 학사'의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넷째, 고졸미만 농업인을 위한 사전학습제도화를 위하여 농업인교육의 평가인정을 통한 방안과 One-Stop 평생학습모델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ssign the role of rural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the making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y.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related literatures, documents, records review, (2) need analysis of farmers and members ig rural development organizations in terms of farmer's lifelong learning, (3) consulting experts. The following four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Korean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should be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ies and be approve for lifelong learning credit. Also,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s should ru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lifelong learning credit. (2) For the doing role of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y, division of lifelong learning should be add to department of technology training in Korea agricultural college. In relation with this, vision, mission and strategy of division of lifelong learning were suggested. (3) Steps for introduction of credit bank system of farmer education were suggested. Also standard curriculums of 'farming associate degree' and 'agricultural management bachelor's degree'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existing standard curriculum related with agriculture, analyzing need of farmer, analyzing curriculum of farmer's university, analyzing curriculum of agriculture major. (4) For farmer who do not have high school graduate, two solutions were suggested which are approving farmer's education and one-stop lifelong learning model.
농업계 고등학교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 개발
이근수,김진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교육기관에서 개설·운영하고 있는 농업경영능력 관련 교과목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였고, 전문교과 교사와 농업경영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는 농업경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이 부족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자영농과들은 농업경영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의 이수 단위 수가 매우 부족하였다. 셋째, 농업교육기관 중 한국농업전문학교, 한국농업벤처대학,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유통교육원은 농업경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다양한 교과목이나 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전문교과 교사들과 농업경영인 대부분은 농업경영능력 관련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 경영 개론, 농업 경제, 농업 경영 계획 및 진단, 농산물 유통, 농업 마케팅, 농업 재무 관리 등의 6개 교과목 및 교육내용, 교과목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 의해 개발된 교과목들은 자영농과 학생들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나,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전문 농업경영인에게 필요한 마인드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실제 학교 현장에서 농업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을 편성·운영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담당 교과를 가르칠 농업 교사들에게 농업경영능력 관련 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각종 소프트웨어와 실험·실습실, 기자재 확보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자영농과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농업경영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지원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AMA in the SMAD student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ized the subjects and contents related AMA, opened and operated in agricultural education agency,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experted-teacher and agricultural manager, and held the expert-conferenc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hich can improve AMA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re not enough. Second, subject credits are very small for the improvement of the AMA in most schools. Third, the curriculum of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Korea National Venture College and Agricultural Marketing Training Institute operates the subjects and the curriculum emphasizing on AMA. Fifth, subjects such as agricultural management introduction, agricultural economics, agricultural management planning and checking,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agricultural marketing, agricultural financial management were developed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ose subjects were provided, these subjects will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AMA.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rong need for developing new programs for the students dreaming of future self-management farmers to be expert mangers. Second, there is also a need for developing subjects for the improvement of AMA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lso. Third,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subjects and diverse texts. Fourth, need of those related subjects agricultural teachers shoud be retrained for the improvement of AMA. Fifth, there is a need for the financial support for organizing many programs and improving the facilities for experiments, purchase of machinery. Sixth, there is need for the teaching and supporting system for the consistent improvement of the AMA after graduation.
김진모,김진군,마상진,전영욱,이진화,주현미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농업인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은 관련문헌에 대한 고찰과 수집 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개발되었다. 그 결과, 8가지의 기관 유형, 17가지의 프로그램 내용 영역, 5가지의 교육방법, 3가지의 교육인원, 3가지의 교육기간이 도출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173개 기관의 2,483개 프로그램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농업인 교육은 국가기관 및 기술센터 등의 정부기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재배/사육기술, 생활개선 및 농촌건강관리, 정보획득 등의 내용이 주요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각 기관 유형별로 비중 있게 다루는 주요 교육내용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넷째,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에서 활용되는 교육방법은 대체적으로 강의에 편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교육인원에 있어 중규모와 대규모 인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1 대 1 개별 교육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1일 혹은 3일 이상 이루어지는 교육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2일 동안 이루어지는 교육의 비중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farm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to get implications for further program development.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was developed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n inductive method. As a result, eight types of organizations for farmer education, seventeen content domains of programs, five instructional methods, three categories of program participant size, and three categories of program period were deriv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2,483 programs of 173 farmer education organizat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arm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were l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national organizations and extension agencies. 2) The content domains of cultivating/raising techniques,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farmer health car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were relatively highly dealt with. 3) Main contents which were dealt with by each type of farmer education organization were differentiated. 4)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 a lecture had the highest portion in most contents domains. 5) The portion of the middle size and large size of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And there are no programs which used one by one teaching method. 6) The portion of programs for 1 day or 3days was relatively higher, and the portion of programs for 2 days was lower.
농가경영성과에 따른 농업인 교육 분야별 필요도에 대한 분석
이순석,장우환 한국농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4
이 연구는 농업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수행되고 있는 농업인 교육의 효과를 구명하고, 농가경영성과별로 농업인 교육 분야별 필요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가경영성과별로 필요한 교육 분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 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대응일치분석이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교육과정에 대한 농가들의 교육 참여 이후 만족도 점수가 참여 이전 기대 점수보다 더 높아 농업인 교육 사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농업인의 교육 필요도를 농가경영성과의 주요 지표인 소득과 부채를 기준으로 구분해본 결과, 경영능력배양과 농외소득증대 교육 필요도에서 공통적인 차별성이 존재하였다. 셋째,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지각도를 그려본 결과, 농가 소득수준과 부채수준에 따라서 교육 분야에 대한 필요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농가들의 소득수준과 부채수준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앞으로 농업인 교육은 농가경영성과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농업지식․기술 및 경영 능력에 대한 질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농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clear up the effect of farmer education for upgrade in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necessity in farmer education sector by farm management result. Additionally, it proposes farmer education sector that farmers need by farm management result. Analysis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paired t-test, one-way ANOVA test and correspondence analysi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the effect of farmer education was over the expectation because satisfaction score was higher when farmer finished farmer education course compared to expectation score before participation in farmer education course. Second, there are common differences in necessity of farmer education course for the enhancement of management ability and the increase of nonfarm income in results that necessity of farmer education course was analyzed by income and debt level. Third, according to perceptual map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there are differences in necessity of farmer education course by income and debt level. It suggests that income and debt level have to be considered deeply in developing farm education course in advance. From now on, Farmer education course can make a qualitative change on the agricultural knowledge, techniques and management abilities by customized education course, effect positively on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by extension.
마상진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는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의 전문성 영역을 도출하고, 관련 교육요구를 구명하는 목적이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 전문성 영역 등과 관련한 국내외 농업과 비농업분야 관련 연구를 고찰하였고, 전문성 관련 교육요구 분석을 위해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와 연구결과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전문가 협의를 거쳤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의 전문성 영역은 역할과 역량으로 세분되는데, 먼저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연구자, 마케팅 담당자, 조직 변화자, 요구 분석자, 프로그램 설계자, 교재 개발자, 학습 촉진자, 자기개발 자문자, 행정 지원자, 평가자, 교육·훈련 관리자 등 11개였다. 역할 수행 결과 기대되는 최종 성과물 달성을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는 기술 역량, 사업 역량, 대인관계 역량, 지적 역량 등 4개 역량군의 32개 세부 역량이 있었다.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접 조사를 통해 전문성 관련 교육요구를 분석한 결과 역할별로는 프로그램 설계자, 행정 지원가, 평가자, 교재 개발자, 연구자 역할, 역량별로는 기술 역량, 대인관계 역량군에 우선적인 교육요구를 보였지만, 조직 변화자, 교육·훈련 관리자, 마케팅 담당자 역할과 지적 역량에 대해서는 낮은 교육요구를 보였다. 한편 교육요구는 교육·훈련 담당 경력에 따라 차이가 분명하였는데, 경력이 적을수록 행정 지원자, 교재 개발자, 평가자, 요구 분석자, 프로그램설계자 등의 역할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 높은 반면, 경력이 많을수록 연구자, 자기개발자문가, 학습 촉진자, 조직변화자 등의 역할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ity and education needs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experts review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and some modification of them with help of related experts, the specifics of the professionality were identified as follows: 11 roles including administrator, evaluator,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material developer, individual career-development advisor, facilitator, marketer, need analyst, organizational change agent, program designer, and researcher; and 32 competencies including technical competencies, business competencies, interpersonal competencies, and intellectual competencies. Based on survey on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the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ity development were identified as follows: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had educational needs for such roles as program developer, administrator, evaluator, material developer, and researcher rather than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marketer, and organizational change agent; they had educational needs for technical competencies rather than intellectual competencies.
나승일,김강호,민상기,이민욱,장현진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 농림부의 국고지원을 통해 77개 기관에서 운영된 총 157개 농엽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및 성과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별 모니터링,프로그램별 자체보고서,농업교육훈련 담당자 질의응답을 설시하였으며,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최종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평가에 활용된 평가기준은 4개 평가영역,16개 평가항목,26개 평가지표로 구성하였다. 평정을 위한 체크리스트에서 각 평가지표를 2∼4단계의 실행수준을 설정하였으며,이를 바탕으로 지표별 점수가 산출되었다. 평가등급은 A등급(90점 이상),B등급(80점 이상), C등급(70점 이상),D등급(70점 미만)과 평가유보로 부여하였다.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평가결과는 A등급 43개(27.4%),B등급 70개(44.6%),C등급 33개 (21.0%),평가유보 11개(7.0%)로 나타났다. 그리고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유형별 평가영역과 항목에 대한 평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평가를 바탕으로 한 농업교육훈련의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기관별 중장기 교육프로그램 체계 구축,교육대상자 확대 및 이력관리,예산지원 체계 개편,교육기관별 프로그램 특성화,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교육대상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다양화,농업교육훈련 담당자 역량 개발 지원,비농업관련 강사진의 농업소양교육 지원,우수 사례 벤치마킹 및 활용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evaluation about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 total of 157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77 institutions through th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n 2006. Monitoring, in-house report in each program, and survey of HRD practitioner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was performed and result of evaluation was finalized through committee of evaluation, In addition, evaluation standard was composed of 4 domains, 16 sub-domains, and 26 indicators. The score for each indicator was decided based on a checklist, which has 2 to 4 levels for each indicator. And evaluation grade was consisted of As(over 90), Bs(over 80), Cs(over 70), Ds(under 70) and Undecided. The overall result of evaluation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was rated as 43 As(27,4%), 70 Bs (44.6%) 33 Cs (21.0%), 11 of undecided (7.0%). Grade point indicating domains and sub-domains of evaluation according to program type was driven. Based on this direction of improvement regarding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was suggested as follow: ① Set up middle- and long-term system of education program in every institution, ②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to farmers and resume management ③ improve budget supporting system ④ customize program according to institutions ⑤ introduce certification of education institution and program ⑥ diverse program according to farmers' characteristics ⑦ support competency development of HRD practitioner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education & training ⑧ support agriculture-related education for non-agricultural instructors. ⑨ support the utilization of best practices.
마상진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학습 조직 참여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조사한 내용은 농업인은 어떤 유형의 학습 조직에 얼마나 참여하고 있고, 학습 조직을 통해 어떤 학습 활동을 얼마나 하고 있고, 농업인의 학습 조직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학습 조직은 어떤 농업인에게 효과적인가 등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측센터 표본 농가 중 70세 미만 쌀, 과수, 채소, 축산 농가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습 조직은 교육·훈련 보다 농업인의 참여가 더 활발한 학습 방식이다. 둘째, 농업인 학습 조직 중 품목 연구회와 작목반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 셋째, 농업인 학습 조직을 통해 이루어지는 주된 학습 활동은 자체 세미나이고, 주된 학습 내용은 생산 등과 관련한 기술 내용이다. 넷째, 농업인의 학습 조직 참여는 시간 부족, 자신감 부족, 관련 정보 부족 등에 의해 장애를 받고 있다. 다섯째, 학습 조직은 농업인에게 매우 효과적인 학습 방식이지만, 쌀이나 축산 농가 보다는 과수나 채소 농가에게, 학습 참여 빈도가 더 활발한 농가에게, 타인 권유가 아닌 자발적 의지에 의해 참여하는 농가에게, 소요 비용에 대한 자비 부담 의지가 있는 농가에게, 학습 조직을 통해 얻으려는 목표가 뚜렷한 농가에게 더 효과적인 학습 방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sic current status of farm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organization in Korea.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how many farmers participate in learning organization?, which type of learning organization is preferred by farmers?, what learning activities happen how happens?, what interferes farm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organization, and to which type of farmers is learning organization more effective? For the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485 farmers under 70 years old. As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① farmers are participating in learning organization more frequently than education and training as a learning opportunity, ② commodity study group(pummok yunguhwoi) and commodity units (jakmokban) are more popular and active learning organization than any other type, ③ discussion between members is the main learning activities, ④ production related skills are the main learning contents, ⑤ the main barriers of learning organization participation are shortage of time, insufficient self-confidence and lack of related information, and ⑥ learning organization is more effective to farmers who produce fruit or vegetable rather than meat or rice; to farmers who are more frequently participating in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to farmers who are participating by free will rather than persuasion or induction; to farmers who are willing to pay for the activities; farmers who have goal orientation rather than activity orientation as participating motivation.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국제 표준화 실태 및 요구 : ISO 10015를 중심으로
이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ISO 10015의 개념과 주요내용을 교육훈련 담당자에게 소개하고,우리나라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품질관리 실태와 요구사항을 밝혀 향후 관련 연구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ISO 10015에 대한 개념,구성,특징 등을 고찰하였고,교육훈련 담당자들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품질관리의 중요성과 ISO 10015를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훈련 프로 그램을 개발·실시한 후 교육훈련에 참가한 103명의 기업체 교육훈련 담당지를 대상으로 HR 부문의 주요 이슈,교육훈련 프로그램 품질관리시스템의 구축 현황,ISO 10015 도입 의향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전략적 HR 부문 중 ‘성과관리’와 ‘교육훈련’부문이 주요 관심사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성과관리와 교육훈련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품질관리시스템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 품질관리시스템 도입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품질관리에 특화된 시스템 개발·구축이 절실한 상황으로 파악되었다. 셋째,ISO 10015가 국내에 아직 활발하게 소개되고 있지 않았으며,ISO 100l5가 교육훈련 전반 및 교육훈련의 체계적인 수행과 평가부문에서 품질이 개 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으나 웅답자의 소속 기업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품질관리시스템으로 도입 하는 것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ISO 10015의 도입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ISO 인증 현황을 분석한 결과,응답자 소속 기업의 과반수 이상이 ISO 관련 인증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있어 품질관리와 표준화에 대한 성향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특히 2개 이상의 ISO 프로그램을 인증 받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ISO 10015에 대한 추가 도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ISO 10015 to HRD professionals and to examine possibility of introducing quality control system, which can enhance training performance outcomes by looking over HRD professionals'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ISO 10015 in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cepts,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ISO 10015 based on existing literatur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bout major issues of strategic HRD, building training quality control system, and understanding and possibility of introduction about ISO 10015 to HRD professionals from 103 companies.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performance management and training was the major issues. Second, quality control system about training program was very low, while building interests about performance management and training was high. In addition, companies preferred introduc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from benchmarking best practices of quality control system home and abroad and they were in need of specialized program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n quality control of training program. Third, ISO 10015 was not well-known in Korea. ISO 10015 wa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developing quality improvement in systemized performance and assessment of training and overall HRD, but organizations in Korea tend to postpone making decision to implement quality control system of training program. Forth, it was reported that over half of respondents achieved ISO related certification program, which could inspect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ISO 10015. Higher possibility was expected on additional certification of ISO 10015 since tendency about quality control and standard was relatively high. Expecially, the certified respondents of over two programs of ISO programs showed significantly high possibility.
김진모,이택선,이경숙,김경란,길대환,김효철,이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ISD 모델에 기초하여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으며,이를 위해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개발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환경분석,학습자분석,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를 반영하여 ‘안전의식 함양’,‘근골격계질환’,‘농약중독예방’,‘농기계 안전 사용’의 4개 모듈과 10개의 레슨을 설계하였다. 요구분석 및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재/보조 자료/매체를 개발하였다. 교재의 경우,학습자용과 강사용을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대한 검토 및 보완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프로그램 시연회를 실시한 후 교육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그 후,농작업안전시범마을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시험 운영하였고,그 결과를 반영하여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상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나타난 논점을 토대로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ISD Model. We set up 5step(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for developing the program. After analyzing environment, learner and task, four modules(① Safety and Health Mindset, ②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③ Agrichemical Poisoning Prevention, and ③ Using Farm Machines Safely) and 10 lessons were designed. W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nd supplement materials for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need analysis and program design. Teaching materials consisted of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The developed program was examined by expert groups and the weak points were revised through professional workshop. Finally, we tested the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at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odel village and fixed the program by reflecting the test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