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자안전 중심 간호인력 정책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정성옥,이병숙,김종임,신성례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2013년 2월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간호인력 개편안이 의료서비스의 핵심 지표인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실무의 기본적 요건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 점에 기초하여 환자안전에 중점을 둔 간호인력 정책의 방안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는 가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료소비자 및 의료 공급자 집단으로부터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여, 이들의 의견을 통합해 가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 중심의 간호인력 개편 방안 마련을 위한 제안은 안전한 간호와 바람직한 환자결과를 위한 간호인력 운영, 의료사고 방지를 위한 간호인력에의 위임과 책임, 그리고 의료소비자적 관점에서 환자안전 중심의 간호서비스 질 개선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시민단체 인사 6인, 의료공급자 입장에서 간호인력 정책을 위한 의견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간호계 인사 5인, 의료계 인사 4인으로 총 15인이었다. 연구결과, 환자안전 중심의 간호인력 정책 방안을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호 보조인력 간 명확한 업무 구분을 기초로 간호사의 법정 인력기준을 OECD국가 수준으로 개선하되, 간호사에 대한 지역 간 근무조건 불평등 해소를 위한 최소 급여 및 근무조건을 구성하며, 간호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기초한 임상적 의사결정을 통해 간호서비스의 질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 의료상황에서 간호사 수급을 간호조무사 고용으로 대치하는 것은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매우 심각한 사안임을 밝히면서,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인력 정책 방안으로 의료인력 간, 간호사와 보조인력 간 업무 범주 및 조건 관련 법 조항 마련과, 체계적인 간호교육과 간호사 근로조건 개선을 통한 간호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suggest policies for nurse workforce based on patient safety. Methods: The two steps in developing the items were items related to what would be desirable policies and items on how the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for patient safety regarding nurse workforce. A literature review was done and suggestions from experts through two rounds using the Delphi technique were outlined. The fifteen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six representatives of service consumers and nine representatives of service providers (four medical doctors and fives nurses). Results: To guarantee patient safety, accreditation of nursing practice and nursi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necessary, and to prevent medical and nursing acci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professional judgement of the nurses was found to be pivotal to the provision of safe nursing services. Conclusion: Polices on nursing for the nurse workforce based on patient safety in clinical setting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at nursing car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urses' clinical judgements based o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assessment skills.

      • KCI우수등재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신자현,정석희,이명하,양영란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2013. Participants were 428 clinical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units of seven medical hospitals. The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Tool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19.0. Results: ‘Providing care with a possible risk to your health’ was the most frequent and disturbing ethical problems for nurses. The highest helpful ethical topic was ‘the patients’ right, autonomy and informed consent’. The ethical issue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ork units, and type of employment. The necessity of ethics educa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religion,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working as RN, position, shift type, and continuing education about nursing eth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ursing educators need to provide practical ethics education based on frequent ethical issues and helpful education topics.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clinical nurses and nursing organizations to improve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및 윤리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관련 특성을 확인하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7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428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9.0.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and Cronbarch’s alpha coefficients을 이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윤리적 이슈 경험정도와 간호사에게 혼란이나 갈등을 주는 윤리적 이슈 모두에서 ‘간호사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환자간호 상황’이 1위로 나타났다. 최근에 경험한 윤리나 인간권리 관련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간호사들이 많이 사용한 방법으로 ‘간호동료나 간호 상사와 상의’하는 것이 80% 이상이었으며, 윤리문제에 관한 주제별 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는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상의 필요성 인식을 나타냈으며, 가장 필요성 인식이 높은 주제는 ‘환자의 권리, 자율성, 사전 동의’였다.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 정도는 간호사의 학력, 근무부서, 고용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윤리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는 간호사의 연령, 종교, 학력, 총 임상경력, 직위, 근무형태, 윤리 관련 보수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이슈를 적절히 다루고 윤리 관련 의사결정 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효과적인 윤리교육 및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전략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Relationship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o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in Korea

        고유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3 간호행정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에게 보다 편안하고 건강한 업무환경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병원관리행정가, 교육가, 간호관리자에게 알려주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진행에 동의한 5개의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0년 7월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실무환경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업무-가족 갈등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변수는 직무만족도를 3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간호실무환경과 업무-가족 갈등이 간호조직에서의 성과인 직무만족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업무환경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고, 업무-가족 갈등을 감소시키는 전략은 경력간호사의 보유와 질적 간호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간호사의 고객지향성과 간호업무생산성

        여아람,이해정,진혜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customer orientation in nurses whose work experience was between 1 and 5 years and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Methods: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nurses (N=164)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B city, from November 1 to 23, 2012. Questionnaires included measures of customer orientation, nursing produc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analysed with the SPSS 1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25 years, 96% were single, and 54.9% had a bachelor degree. Organizational commitment (β=.387) and job stress (β=.280)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customer orientation (R2=15.8). Customer orientation (β=.479), education level (β=.196), and turnover intention (β=-.184)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nursing productivity (R2=35.3). Customer orient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variance in the nursing productivity.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Improving the customer orientation could result in increasing nursing productivity. Future managerial intervention to improve customer orientation is warranted. 본 연구는 임상경력 1년 이상, 5년 이하의 병동 일반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간호사의 고객지향성과 간호업무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 포함된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은 평균 3.64±0.41점이었고, 간호업무생산성의 평균은 2.29±0.36점이었으며, 조직몰입의 평균은 2.93±0.42점,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1.01±0.34점, 이직의도의 평균은 3.82±0.67 점이었다. 간호사의 간호업무생산성은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r=.527, p<.01), 조직몰입(r=.301, p<.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이직의도(r=-.310, p<.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객지향성은 조직몰입(r=.309, p<.01), 직무스트레스(r=.172, p=027)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이직의도(r=-.233, p=.03)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직몰입(β=.309), 직무스트레스(β=.280)로 이었고 이들의 총 설명력은 15.8%이었다. 간호업무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객지향성(β=.527), 교육수준(β=.208), 이직의도(β=-.184)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35.3%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객지향성의 주요요인으로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고객지향성과 간호사의 교육수준, 이직의도가 간호업무생산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업무생산성 향상을 위해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고객지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실무적인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다양한 지역과 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상 5년 이하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를 제안한다. 2)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별 맞춤형 간호업무생산성과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자료와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3) 간호사를 대상으로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반복 연구를 할 것을 제안한다.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정덕유,이민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488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21.0. Results: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s were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task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ere medication and transfusion and nursing tasks with the highest knowledge were also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task (subcategory)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oral medication. Nursing task (subcategory)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as mental status observation and nursing task (subcategory) with the highest knowledge was vital sign check.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for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가 명확히 분류, 명시되지 않아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와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고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01). 대상자가 수행하는 간호업무 중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0,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관 기능 관찰’(r=.25, p=.006),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8, p=.002), ‘침상 홑이불 부분 교환’(r=-.22, p=.017) 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업무는 ‘가습기 적용’(r=.29, p=.001),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9, p=.002),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자살예방을 위한 관찰’(r=-.39, p<.001),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2,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기능 관찰’(r=-.30, p=.001), ‘각종 감시기를 통한 관찰’(r=-.28, p=.002) 이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낮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 일상생활보조업무 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 KCI등재

        수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이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향화,이여진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2

        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수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이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300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 42명과 일반간호사 202명 이었으며, 2013년 3월 10일부터 2013년 4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간호사 1명당 자신의 병동간호사 5명의 교환관계의 질을 설문조사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간호사가 교환관계의 질을 측정하였던 해당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교환관계의 질을 양방향으로 측정하였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정도를 확인하였다. 3. 연구결과 : 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은 평균 3.66점이었고,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은 평균 3.51점 이었다.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와 연령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F=8.00, p<.001). 조직몰입에서는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와 결혼여부(기혼자)가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결론 : 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은,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보다 높았지만, 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은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가 수간호사의 교환관계 보다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수간호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우호적인 감정을 일반간호사로 하여금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리더로서의 행동표현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수간호사와 일반간호사 사이의 서로에 대한 충분한 긍정적인 인식의 전달은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the quality of head and clinical nurses' LMX (Leader-Member Exchang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 head nurses and 202 clinical nurses who worked in 7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I-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0 to April 10, 2013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head nurses’ LMX quality was 3.66 and for clinical nurses, 3.51. Clinical nurses’ LMX quality and age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F=8.00, p<.001). Clinical nurses’ LMX quality and marriage (not single)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6.76, p<.001). Conclusion: The LMX quality of head nurse was higher than that of clinical nurses, but did not positively affect clinical nurses’ job satisfaction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cating that the LMX quality of clinical nurses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head nurse. Thus head nurses should make efforts to lead their units or teams in a positive and friendly way. This positive recognition will promote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linical nurses.

      • KCI등재

        간호 대상자별 다빈도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및 연계 체계조사

        김종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ANDA, NIC, and NOC frequently used and their linkages in major nursing departments for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and nursing management system.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nurses who worked in medical, surgical, pediatric, gynecologic, and psychiatric department.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NANDA, NOC, NIC, and NANDA-NOC-NIC linkage system. This research was analyzed by an EXCEL program and SPSS Pc+15.0. Results: Nursing diagnoses frequently used were 'anxiety', 'disturbed sleep pattern', 'activity intolerance', 'social isolation', 'nausea',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chronic pain', nursing outcomes frequently used were 'thermoregulation', 'bowel elimination', 'pain control', 'vital sign status', 'pain level', and nursing interventions frequently used were 'nausea management', 'airway suctioning',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diarrhea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NANDA-NOC-NIC linkages in major nursing departments were recognized, and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a guideline to apply to the nursing process and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system with the NANDA-NOC-NIC linkage in major nursing department.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증후근에 대한 지식과 간호수행도

        양야기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n the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Method: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convenience sample of 123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to August 25th, 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were66.96 and 74.97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depending on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career length and in nursing performance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 level and career length.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was a significant positive one. Conclusion: Comprehensive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to decrease accident rates related to ICU syndrome and to improve the health of ICU patients.

      • KCI등재

        학점은행제 교육과정 간호사들의 임상경력에 따른 간호과정 재교육의 효과 비교 : 숙련성, 비판적사고 성향, 임상의사결정 능력을 중심으로

        이여진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09 간호행정학회지 Vol.15 No.2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education of nursing process on nurses' experti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07. The subjects were 47 Academic Credit Bank System Student Nurses. They were taught ‘nursing process’ during 1 semester(15weeks). 47 nurs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under 3 years, 3 to under 5 years, 5 years or more). After 15 weeks, the effects of education were compared using a paired t-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3 to under 5 years experienced nurses's expertise(t=-3.659, p=.004)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 years or more experienced nurses's expertise(t=-5.781,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3.345, p=.003)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decision making(accuracy, proficiency, and confidence) of 3 groups. Conclusion: Reeducation of nursing process is a valuable teaching and an evaluation strategy for 5 years or more experienced nurses to improve expertis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 need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간호사의 통합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경숙,최스미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1 간호행정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SOC) on occupational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quality of life (QOL)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01 nurses working in S hospital in Seoul.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performed for the all nurses in S hospital which were grouped by age and work unit.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survey.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s, and ANOVA. Results: This study showed nurses’ occupational stress was at high risk and their psychosocial stress, at low risk. It also showed that those two types of stress are mutual predictors for each other and that SOC was a predictor for both types of stress. For QOL, SOC was also a predictor in SF-36 and MCS (Mental Component Summary). Therefore, SOC may be considered as a major controlling factor for stress and QOL.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enhances nurses' SOC, programs that could be utilized as an intervention to reduce nurses' stress and to promote nurses' Q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