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신자현,유예안,정승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verif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predict the types of social exclusion. Method: Data from the 6th survey(2021) of the 2nd wave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analyzed, specifically focusing on data related to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39. Latent class analysis(LC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tes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exclusion among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ocial participation・employment exclusion type, multiple exclusion type, and low exclusion type. Gender, age, marital status, type of disability, presence of multiple disabilities, and degree of disability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factors. Conclusion: This study is of academic importance as it attempts to categorize the types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imed at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among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년 장애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배제를 유형화하고, 어떤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이 사회적 배제 유형의 예측요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2021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6차 조사 데이터 중 39세 이하 청년 장애인의 데이터를 추출해 분석에 활용하였고, 잠재계층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Chi-square 검정, One-way ANOVA 검정, 그리고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청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는 사회참여・고용배제형, 다중배제형, 저배제형 3가지로 유형화 되었으며,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장애 유형, 중복장애여부, 장애정도가 사회적 배제 유형의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청년 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그 예측요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중요성을 지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청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완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한 사회적 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자현,심재환,전하민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2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에서 진행한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만 9~24세 다문화 청소년 6,203명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지 않은 다문화 청소년보다 사회적 차 별을 경험한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이 입증되었으며, 사회적 차별 경험과 우울의 관계를 아버지와의 관계만족도와 어머니와의 관계만족도가 유의미하게 조 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와 가설 3도 지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차별 경험 감소와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관점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취업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자현,남보영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 Vol.76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이들의 취업 상태(무직, 임시일용직, 상용 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22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종속변수 와 독립변수, 통제변수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 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취업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시적 소수자 특성은 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에 비해 취업을 하지 않은 상태와 취업을 한 상태(임시일용직, 상용직)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으나, 취업의 질(임시 일용직, 상용직)을 결정하는 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혼이 주여성의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visible and invisible minority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ir employment status(unemployed, temporarily employed, full-time employed). Data from the ‘2022 Immigrants’ Living Condition and Labour Force study’ were utilized for analys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aracterized the study population and key variables. A chi-square test ass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t variable and other variables. Final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isible and invisible minority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visible minority played an explicit role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statuses of being unemployed and employed(temporarily employed, full-time employed) compared to invisible minorities. While the employment status was clearly indicated, visible minority characteristic was not identifi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distinguishing the quality of employment(temporarily employed, full-time employed).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기 다문화 대중매체 접촉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대중매체 노출효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자현,오유라,천화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다문화사회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의사사회접촉이론과 예시이론을 토대로 청소년기 부정적・긍정적 다문화 대중매체 접촉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중매체 노출효과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정적 다문화 매체 접촉 빈도, 긍정적 다문화 매체 접촉 빈도를 독립변수로 구분하여 연구모형1과 2를 설정하였다. 분석에는 2021년 청소년용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다문화 매체 접촉은 다문화 수용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긍정적 다문화 매체 접촉은 다문화 수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부정적 다문화 매체, 그리고 긍정적 다문화 매체와의 접촉은 각각 대중매체 노출효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부정적・긍정적 다문화 매체 접촉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출효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연구모형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신자현,정석희,이명하,양영란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2013. Participants were 428 clinical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units of seven medical hospitals. The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Tool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19.0. Results: ‘Providing care with a possible risk to your health’ was the most frequent and disturbing ethical problems for nurses. The highest helpful ethical topic was ‘the patients’ right, autonomy and informed consent’. The ethical issue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ork units, and type of employment. The necessity of ethics educa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religion,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working as RN, position, shift type, and continuing education about nursing eth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ursing educators need to provide practical ethics education based on frequent ethical issues and helpful education topics.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clinical nurses and nursing organizations to improve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및 윤리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관련 특성을 확인하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7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428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9.0.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and Cronbarch’s alpha coefficients을 이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윤리적 이슈 경험정도와 간호사에게 혼란이나 갈등을 주는 윤리적 이슈 모두에서 ‘간호사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환자간호 상황’이 1위로 나타났다. 최근에 경험한 윤리나 인간권리 관련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간호사들이 많이 사용한 방법으로 ‘간호동료나 간호 상사와 상의’하는 것이 80% 이상이었으며, 윤리문제에 관한 주제별 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는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상의 필요성 인식을 나타냈으며, 가장 필요성 인식이 높은 주제는 ‘환자의 권리, 자율성, 사전 동의’였다.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 정도는 간호사의 학력, 근무부서, 고용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윤리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는 간호사의 연령, 종교, 학력, 총 임상경력, 직위, 근무형태, 윤리 관련 보수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이슈를 적절히 다루고 윤리 관련 의사결정 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효과적인 윤리교육 및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전략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거주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유형화에 관한 연구: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 검증

        신자현(Shin, Ja Hyun),유예안(Ryu, Yea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1 No.3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을 구분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확인한 후, 유형별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2,124명의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데이터를 사용해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는 사회참여배제형, 사회관계배제형, 근로・경제배제형, 저배제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성별, 연령, 한국거주기간, 국적, 교육수준, 동거인원이 사회적 배제 유형의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참조집단을 사회관계배제형으로 설정한 후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배제 유형 중 근로・경제배제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외로움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atterns of social exclusion among H-2 visa workers residing in Korea, identify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distinguishing each pattern, and verify their impact on the loneliness of H-2 visa workers. Data of 2,124 H-2 visa workers from ‘2020 Immigrants’ Living Condition and Labour Force study’ were analyz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 multinomia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patterns of social exclusion: low-exclusion,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social relationship exclusion and labor・economic exclusion. Gender, ag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nationality, level of education and cohabitation status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distinguishing the patterns. The labor・economic exclusion group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oneliness compared to social relationship exclusion group. The 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to alleviate loneliness among H-2 Visa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이슈와 윤리교육 요구조사

        신자현(Ja-Hyun Shin),서명희(Myoung-Hee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윤리적 이슈와 윤리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 소재 9개 요양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1월 9일부터 11월 30일까지였고, 170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이 중 총 14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의 점수는 3점 만점의 1.23점이었으며, 가장 자주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는 ‘간호사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상황에서의 환자 간호’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혼란스러운 윤리적 이슈는 ‘임종시기에 대한 결정’으로 파악되었다. 윤리 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4점 만점에 3.11점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윤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주제는 ‘억제대 사용 시의 법적 · 윤리적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윤리적 이슈 경험 및 윤리교육 필요성 인식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및 윤리 교육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는 요양병원간호사들을 위한 실제적이며 임상 현장의 맞춤식 윤리교육 컨텐츠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al educa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2015. Participants were 142 nurses working in nine long-term care hospitals. The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Tool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24.0. Results: The degree of experienced ethical issues was 1.23 out of 3, and ‘Providing care with a possible risk to your health’ was an ethical problem most frequently experienced in nurses. In addition, the ethical problem that the nurse most disturb was identified by ‘Determining when death occurs’. The degree of needs for ethical education was 3.11 out of 4, and the highest ethical topic was ‘Legal/ethical issues in the use of restraints’.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al educ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ethical problems and necessity of ethics education experienced by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ethical education contents for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