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공연장의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 중앙대학교 아트센터를 중심으로

        석현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 공연장 운영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문화와 대학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 진행됐다. 지역단위로 건립된 공공문화시설의 운영이 제 궤도를 찾지 못하고 있는 현실과 경쟁체제에 돌입해 생존방안을 찾아야 하는 대학의 현실을 인식하고, 이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대학 공연장의 활성화를 제시한 것이다. 대학 공연장은 지역사회에게 문화의 거점으로서, 대학에게는 문화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대학 공연장 활성화 방안으로서 지역문화시설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예술 마케팅의 도입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태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공연장과 대학 공연장의 개념을 설정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문화시설 운영 활성화 방안을 고찰했다. 지역문화시설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연구와 예술 마케팅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면서 사례 적용을 위한 이론적 배경들을 추출해 냈다. 다음은 국내 대학 공연장의 실태를 분석하고, 해외 대학의 사례를 조사했다. 실태 분석은 10개 대학 공연장을 선정해 설문지 초안을 작성한 다음, 전화 면접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는 방식을 택했고, 해외 대학의 사례는 관련 기사와 홈페이지를 참고해 연구했다. 국내 대학 공연장은 대부분 학교 강당과 교육 기능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자체 기획 프로그램이나 지역문화시설과의 연계 등은 실시하지 않았다. 반면 해외 대학 공연장은 많은 예산을 공연제작과 초연 위촉에 배정해, 유명 아티스트와 대학 구성원의 공연을 지역주민과 학생들에게 선보이고 있었다. 선행연구와 실태분석, 사례조사 등을 통해 얻은 이론적 배경을 실제 사례연구에 대입했다. 사례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를 국내 대학 공연장의 활성화에 적용하고자 했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중앙대학교 아트센터다. 규모에 따른 분류로는 일반공연장, 성격에 따른 분류로는 민간 공연장에 속하는 중앙대 아트센터는 업무 분장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시설 확충과 대관 수입의 재투자, 웹 콘텐츠의 확충 및 접근성 확보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반면 외부단체와의 공동 기획으로 지역주민과 대학 구성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성공적인 사례도 만들었다. 중앙대 아트센터의 활성화 방안은 대학 발전계획과의 연계, 지역문화 네트워크의 구축, 예술 마케팅의 도입 등으로 구분해 제시했다. 대학 발전계획에 따라 활성화 방안의 단계를 수립했다. 지역문화 네트워크 구축으로는 대학 캠퍼스 내에 지역 문예회관을 건립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중복투자를 회피하고, 운영의 묘를 살리자는 취지였다. 마지막으로 예술 마케팅을 도입해 공연장 운영을 활성화 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중앙대 아트센터의 문제점과 국내 대학 공연장은 유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중앙대 아트센터의 활성화 방안은 타 대학 공연장의 활성화 방안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차세대 연극인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의 사례연구 : 공연영상 융합교육 특성화 사업 중심으로

        최정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Division of Performing Arts and Imaging Sciences of Chung-Ang University administered the project of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professionals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cusing on performing arts and imaging sciences” from 2005 to 2008 with 24.7 billion KRW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ow it’s changed its name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part of the University Specialization Project for universitie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This was by far the largest project regarding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perating as one of the major education supporting programs designed to train future talents who are capable of continuing to create the high values in the arts industry centering around the Korean Wave (Hallyu). I worked as the head of the Division and carried out a research on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pecializing in performing arts and imaging sciences and, subsequently, practiced the actual education process and the education system. Thus, based on concrete and practical data achieved from the research above, instead of utilizing other previous academic data,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to train the next generation theatre artists of Korea is systematically organized then analyzed in this case study to establish a foothold on which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culture and the arts could be invigorated. 1.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 21stcentury can be considered as the generation of ‘culture and the arts’ industry where intelligence, imagination, and creativity work as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And at times like this, it is crucial to produce cultural contents through which the majority can enjoy cultural heritage, fine arts, and different modes of life. For this, programs training talents who have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at enable them to freely exercise various genres, sensitivity and techniques should come first. In other words, one should go over the limits of each field, develop sensitivity and creativity through the mixture of diverse media and disciplines, and then lead this development to economic and industrial values. The term “interdisciplinary” is often used to describe a holistic method that stresses the fusion of two or more disciplines in order to achieve deeper understanding and new knowledge. This is the kind of education method that we are aiming for. With the support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the University Specialization Project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has been running the ‘interdisciplinary major of performing arts and imaging sciences’ focusing on theatre, film, Korean classical music (gukak) since 2005. It is an environment and system of education where students can learn special knowledge from other areas of studies while maintaining the expertise in each field of performing arts or imaging sciences. Although this system i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it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other countries like USA (MIT & CalArts), Germany (Zentrum f&uuml;r Kunst und Medientechnologie Karlsruhe (ZKM)), and England (London Institute), where areas like humanities, arts, and science is inter-fused. To cope well with the modern life whose cultural environment has changed into that of multimedia, gaining extensive knowledge and deep thoughts on areas of studies neglected by the arts education such as humanities, sociology, philosophy, and science are in dire need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us practices the arts education that goes over the limits of genres and media by sharing the understanding that philosophical thinking and humanistic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above anything in developing artistic creativity and imagination. 2. Changes in Performance Style Changes in performing space, in which using spatial language and breaking free from language based on plays became unavoidable, contain the question of theatrical distance, that is, the questions of escaping from theatrical illusions, audience participation, and distrust in language itself. The modern language has become disconnected with myths and produced errors in delivery due to its nature of multi-meanings and multi&#8211;signification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direct exchange in modern life to revive myths and primitive theatre has increased. There is a need for sustained realistic illusions and new system of sign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literature-based conversational language. The question that non-conversational language in theatre could be successfully communicated can be raised; however, sound language expresses abstract meanings and emotions through a musical sign system of images, and body language supplements the instantaneousness of sound language and materializes the dramatic meanings by projecting visual images and symbolic signs in space. Spatial language creates dramatic meanings through atmospheres and formative images of the stage. Thus, modern theatre is a means of non-conversational communication, and the expressive domain of theatre which now employs sound, body, images, and stages creates new symbolic images through reciprocal exchange. 3. The Method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lthough the arts education aims for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reality, it has not yet been able to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educational process which focuses on manual production training and technique acquisition. Even though schools foster the system of double majors, connected majors, and minors to encourage more comprehensive intellectual exchange, it still is not enough to satisfy students’ desire to learn, because of the exclusiveness among different disciplines. Professors participating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theatre artists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cusing on performing arts and imaging sciences” program of Chung-Ang University, restlessly offered questions on how they are going to build and settle the right system for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which areas of the studies they should fuse together, and who the talents of next generation will be. Then we started to develop an education methodology that allows maintaining each major’s own characteristics but at the same time endorses each area’s formal exchange and fuses genres and media. The “interdisciplinary major of performing arts and imaging science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nterdisciplinary courses that are cross-acknowledged by each major and fused interdisciplinary courses. Fused interdisciplinary courses are then subdivided into fused electives, introductory interdisciplinary courses, sensitivity and creativity development courses, intermediate interdisciplinary courses, independent courses,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urses (internships, consigned/cooperated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We focused on systematic construction of the process of moving towards intermediate courses from introductory courses, and developed textbooks suitable for the new courses. Those specialized textbooks became the practical tool for more intensified studies o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the actual running of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There are now around fifty textbooks developed covering the topics of not only performing arts but also laws, aesthetics, and techniques. As mentioned above, we are also running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ose courses are model courses that are yet to be included in the actual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Because of their characteristics as extracurricular programs, courses are open during semesters and during vacations as intensive courses. <Specialists Aptitude Program> and <Visiting Artist in Residence> are the representative short-term courses that are earning positive responses from participating students. <Special Lecture on Modern Korean History for Artists> and <Creative Writing>, held by personnel from various cultural arts fields are courses that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ifferent fields of the arts and studies, other than students’ own major. <Independent Courses> are to provide students with autonomy and leadership through academic motivations, as well as chances to develop independence by themselves. As a part of developing independent studies, we run the mentoring system, from which students can get career counseling and refine their direction of the arts education to a more effective one. Mentors are composed of groups of professionals currently working in the arts fields and professors of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Based on the independent study plan students make, a head professor and the students go through meetings, then decide a mentor for each student. Along this process, the head professor takes responsibility of introducing students to their mentors, and checks the students’ process time to time.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earn extensive experiences on various arts within the area of their major and increas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related studies. 4.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t is not easy to see the short-term outcome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f which the aim is to create holistic talents with technical skills. Here, cases of some courses, from which short-term outcomes can be successfully deducted, that earned good internal and student course evaluation will be shown. First of all could be the <Cooperative Project> course offered for the interdisciplinary majors. This course expects synergy effect in producing art pieces fusing various media, leading them to create artistic crossover. Helping them consider any related media or genres that could be used to express themselves, students decide which direction they will head to in their works of the arts. Each student completes a synopsis chosen from many subjects of their interest, and based on that synopsis, creates a script as a group. From making stories inspired by small episodes in life, repeating discussions on dividing tasks, and finally constructing a scene, students intensely develop and search audio-visual expressive elements. As final results, original musicals mobilizing cartoonist imaginations and movies grafting different performing styles such as Korean classical music and plays are produced. Interdisciplinary types of works of the arts were noticeably successful in performances. 5. Prospect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hould endorse “freedom” to feed the growth of creative artistry of students. Students should not only experience simple practical trainings but also be able to have exposure to other related studies, so they can dissolve and condense various and original expressive styles in their works. Students also should be able to break the limits of traditional arts and think outside the box. Developing artists who could create and try new styles that are inclusive and dialectic beyond simple physical and functional mixing of styles should be the true go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is is also to develop artists who can cope with the swiftly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and complex and eventful social environment, so they can understand diverse and vague modern life and are willing to critically and actively partake in the society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foundation of holistic arts education should be that the students who are the consumer of education grow into the main agents of creating cultural contents, so that they appreciate and criticize those contents, and realize that the arts are an effective means in understanding history, society, and humanity. In coming years, the effectivenes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ill be exposed slowly across all the areas of the arts, since the talent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rom next generation are expected to have comprehensive capabilities using expert knowledge in their fields exhibiting creativity. I just hope that this case study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Training the Next Generation Theatre Artists” may be the foundation for students as the consumer of the arts education to grow into artists with creative imagination who can materialize globally competent cultural contents, and be used as a preceding material for the basic research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중앙대학교 공연영상특성화사업단은 교육인적자원부 수도권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47억 원 규모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공연영상 중심의 융합교육을 통한 차세대 전문인력을 육성’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는 교육부 유사 이래 문화예술 분야에서 특성화 교육을 위한 지원 사업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사업으로 한류를 중심으로 국가의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창조산업을 지속화시킬 수 있는 국가의 미래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주요 교육지원 사업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자는 위 사업단의 책임자로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공연영상 중심의 융합교육을 위한 연구와 그에 따른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 내용 을 실천하였다. 따라서 선행 연구 자료를 활용하는 학술 논문과는 달리 위 교육 사업에 근거하여 차세대 연극인을 위한 융합교육을 실행한 구체적인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여 문화예술 분야의 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1. 융합교육의 필요성 21세기는 지식, 상상력, 창의성이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되는 문화예술 산업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관건은 문화유산, 순수예술,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를 다수가 향유할 수 있도록 우수한 문화 콘텐츠를 어떻게 생산해 내는 가에 달려있다. 이를 위해서는 장르, 감성, 기술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지닌 우수한 인재 육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요컨대 각 분야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매체와 학문을 융합한 예술교육을 통해 감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이것이 경제적, 산업적 가치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융합(interdisciplinary)’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지식과 더 깊은 이해를 창조하기 위해 한 가지 이상의 학문 융합을 강조하는 전체론적인 방법을 묘사하기 위해 흔히 사용한다. 우리가 지향하는 교육적 방법으로서의 ‘융합’이 바로 이것이다. 한국의 중앙대학교는 2005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의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의 지원에 힘입어 연극, 영화, 국악 분야를 중심으로 한 ‘공연영상 융합전공’을 신설, 운영하고 있다. 공연과 영상 각 전공의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타 학문분야를 습득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고, 필요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제도화한 교육과정이다. 한국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것이나 이미 미국(MIT, CalArts), 독일(ZKM-Zentrum f&uuml;r Kunst und Medientechnologie), 영국(London Institute)등 여러 대학 등에서는 인문, 예술, 과학 등의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현대의 ‘멀티미디어 문화 환경으로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인문학과 사회학, 철학, 과학 등과 같이 현대 예술교육이 등한시 하고 있는 학문 영역에 대한 폭넓은 지식의 습득과 이를 통한 깊이 있는 사고가 절실히 필요하다. 융합교육은 예술적 상상력과 창의성의 계발에 철학적 사고와 인문학적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장르와 매체의 한계를 넘는 예술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2. 공연양식의 변화 연극은 언어 체계의 희곡에서 벗어나 비화술적 공간언어로의 이행이 불가피하게 된 현대에 이르러 무대공간의 변화는 연극적 거리의 문제 즉 환각에서 벗어나는 문제와 관객 참여의 문제 그리고 언어에 대한 불신이 그 저변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현대의 언어는 신화와 단절되고 그 의미와 기호의 다중성에 때문에 전달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서 현대에서도 신화와 원시연극의 생명력을 회복하기 위한 직접적인 교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사실적 환각을 지양하고 문학 체계의 화술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새로운 기호 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 연극이 비화술 언어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점을 제시할 수 있겠으나 소리언어는 이미지의 음악적 상징형식을 통해서 추상적 의미와 감정을 표현하게 되고 신체언어는 공간 속에서 시각적 이미지와 상징적 기호를 투사함으로써 소리언어의 순간성을 보완하고 극적 의미를 구체화한다고 하겠다. 공간언어는 환경과 무대의 조형적 이미지를 통해 극적 의미를 산출한다. 그러므로 현대연극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으로 연극의 표현영역이 대폭 확장되고 있는 소리, 신체, 영상, 무대 공간은 상호 교류를 통해 새로운 상징적 이미지를 창출한다. 3. 융합교육의 방법 한국의 예술 교육은 창의력과 상상력 계발을 지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기술 습득과 기능적인 제작실습을 중심으로 한 고전적인 교과과정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지적 교류를 위해 복수전공, 연계전공, 부전공 제도를 시도하고 있으나 학문간 배타적 특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도 한국 대학교육의 현실이다. ‘공연영상 중심의 융합교육을 통한 차세대 전문인력 육성’을 목표로 한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사업단에 참여한 교수들은 어떻게 융합교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착할 것인가, 무엇을 융합할 것인가, 어떠한 인재가 차세대를 이끌 우수한 인재인가에 대한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했다. 우리는 각 학문과 전공이 지닌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결과적으로 각 분야의 영역간 형식적 교류와 함께 장르, 매체의 융합이 가능한 교육방법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공연영상 융합전공’은 크게 교차인정 교과목과 융합형 교육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융합형 교육과정은 융합형 교양과정, 융합기초과정, 감성 &#8228; 창의성 개발 학습과정, 융합심화 과정, 자기주도형 학습과정, 산학협동 교육과정(인턴쉽, 위탁 또는 협동교육 과정), 교과목 외 특별교육 프로그램으로 세분화된다. 우리는 기초에서 심화단계로 이행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데 주력했고, 이를 위해 새롭게 개설된 교과목은 과목에 적합한 교재를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특화된 수업교재는 융합교육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더불어 교과목을 심도 있게 운영하는 실질적인 도구가 되었다. 현재까지 개발한 교재는 총 50여권으로 분야는 공연예술 뿐만 아니라 법, 미학, 문학, 기술 등을 아우르고 있다. 교과과정으로 편재된 교과목 이외의 특별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정규 교과과정으로 포함하기 전에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학기 중에 개설하기도 하고, 방학을 이용하고 집중적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특기자 적성 프로그램>이나 <Visiting Artist in Residence>와 같은 마스터클래스 프로그램이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경우로 많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예술가를 위한 한국현대사 특강>과 다양한 문화 예술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사들을 초청하여 진행하는 <즐거운 창작> 등은 자신의 전공 분야 외에 다른 영역과 예술분야에 관심을 가지도록 다양한 형태의 기회를 제공한 특강 프로그램이다. <자기주도형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주도적 성향을 배양하고, 학습의 내적 동기화를 유발하여 자율성과 주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는 자기주도의 교육과정 설계를 통해 앞으로의 진로방향에 대한 탐색 기회를 부여하고 효과적인 예술교육의 방향정립을 목적으로 멘토링(Mentoring) 시스템을 운영한다. 멘토(Mentor)는 융합전공 분야의 교수 집단과 예술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인 집단으로 구성된다. 학생이 스스로 작성한 자기주도 학업계획서를 중심으로 주임교수와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멘토를 선정한다. 이때 주임교수는 멘토와 직접 연계를 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멘토링 진행사항을 수시로 확인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분야에서의 다양한 예술 경험과 더불어 인접학문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있다. 4. 융합교육의 주요성과 기능적인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재 배출을 지향하는 융합교육의 성과를 단기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여기서는 비교적 단기간에 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중 자체평가와 수요자 만족도 조사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융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한 융합심화 교과목 <공동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이는 매체간 접목을 통하여 작품제작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예술적 크로스오버(crossover) 형태의 융합형 작품제작을 시도하고 있다. 연계할 수 있는 영역 또는 매체, 장르를 충분히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융합형 작품의 제작 방향을 학생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선택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각자가 발표한 소재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놉시스를 완성하고, 이를 토대로 장면을 구분하고 대본을 공동으로 창작한다. 가벼운 에피소드와 떠오르는 영감의 실마리에서 이야기를 만들고, 반복된 분임토의를 통해 장면을 구성해 내면서, 학생들은 시청각적 표현요소를 집중적으로 개발, 모색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만화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영화적 기법으로 그린 창작뮤지컬과 국악, 연극 등의 공연양식을 접목한 영화가 최종 결과물로 완성된다. 융합적인 형식의 작품들은 특히 공연에서 두드러졌다. 5. 융합교육의 전망 융합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예술성을 성장시키기 위한 ‘자유로움’을 추구해야 한다. 단순한 실습교육만이 아닌 인접학문에도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하고 참신한 매체의 표현양식을 그들의 작품에 응축시키고 용해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존 예술의 틀과 한계를 뛰어넘어 폭넓게 사고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물리적이고 기능적인 혼합을 뛰어넘어 포괄적이고도 변증법적인 융합을 통한 새로운 양식을 시도하고 창조해 내는 새로운 예술인의 양성이 바로 융합교육의 진정한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와 복잡다단한 사회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예술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다양하고 모호한 현대인의 삶을 이해하는 동시에, 비판적이고도 적극적인 사회 참여 의지를 가진 예술인을 길러내기 위함이기도 하다. 교육의 수용자인 학생들이 문화콘텐츠를 창작하는 주체로 성장을 하여 이를 감상하고 비판하며 예술이 역사와 사회,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전인적인 예술 교육의 근간이 될 것이다. 앞으로 융합교육의 실효성은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서서히 드러날 것으로 여겨진다. 융합교육을 통해 육성될 차세대 인재들이 각 분야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포괄적인 역량을 지니고 창의성을 발휘하는 인재로 성장할 것임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중앙대학교 공연영상특성화사업단이 교육인적자원부 수도권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인『공연영상 중심의 융합교육을 통한 차세대 전문인력을 육성』을 위한 사업의 사례 연구가 융합교육을 통해 예술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문화 콘텐츠를 생산하고 구현할 수 있는 창조적 상상력을 지닌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발전적인 교육환경을 만드는 발판이 되고 이에 관한 선행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대학 홍보포스터에 나타난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 제안을 중심으로

        김소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invested in promotion using various media in order to attract excellent new students and achieve a high rating in various evaluation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ircumstance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prepare for an examination for entrance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decreases, each college and university realized that promotion is required to give the students better image and inform them of more distinct and special features that each school has than other schools. But,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use similar contents and make them arranged simply, though they make a lot of investment. Such a visual way does not help to draw the students' attention, and thus it is hard to attract new students. These days, there are a diversity of new media to promot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our society. Nevertheless, we encounter primitive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posters, and other printed media, in various types every day, and given the point that the media are near our life, they still serve as a key role in promotion. Among the media, posters, which are the most basic type of graphic designs, are attached into the busy and crowed places, serving the purpose of information delivery. Posters that use various visual languages to delivery messages are a sort of visual and permissive communicatio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sist of layout, pictures and illustrations, color designs, typography, and other factors. Among the components, color designs are a component with various effects, reacting to people's emotions and feelings and thus drawing immediate responses. Color designs, going beyond languages, sometimes become a means of communication in quick, immediate and accurate ways. But,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concerned to the extent that it is hard to find studies on them. To improve images and promote schools professionally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educational market continues to be opened and the institutional ways of enter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chang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promotion methods, concentrate on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propose colors fitting schools' intention and purposes, and actively use them. This work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omotion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romotional posters, and color desig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design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Ang Universit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n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Ang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promotional posters used only blue, the school color, and it was hard to find distinct features of each college of the school.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er set up a detailed plan for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 Ang University, differentiated color designs according to each college of the university, and proposed a total of 16 works for five categories and 11 colleges of the university The proposed artworks that focused on color designs in a plane structure and simplified expression reflected the study of American color theorist and consultant Birren. 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ymbolism of each color fitted well the meaning of each college of the university. The proposed color designs will help viewers communicate between each other and understand the emotions provided by the colors, and serve as roles in associating new interests with color designs and using color designs in various areas. 현재 한국의 대학교는 뛰어난 신입생 유치와 각종 대학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에 투자 하고 있다. 수험생의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면서 대학수요자들에게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다른 대학과의 차별성과 특성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홍보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교는 투자하는 비용에 비해 비슷한 내용들의 단순한 나열식과 이목을 끌기 힘든 비주얼로 신입생 유치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대학교를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뉴 미디어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원초적 미디어라 할 수 있는 신문, 잡지, 포스터와 같은 인쇄매체는 하루에도 다양한 형태로 접할 수 있으며 우리 생활과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홍보에 주요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포스터는 그래픽디자인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에 부착하여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다양한 시각언어를 활용해 메시지를 전달해 사람의 이목을 끄는 시각적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일종이다. 대학교 홍보포스터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레이아웃,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색채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중에서 색채디자인은 다각적인 효과를 지닌 요소로 사람의 감정과 정서에 작용해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색채디자인은 언어를 뛰어넘어 신속하고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학 홍보포스터에서의 색채디자인은 그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 될 교육시장의 개방화와, 입시전형의 변화와 같은 제도적인 변화에 이미지 개선과 보다 전문적인 홍보를 위해 그 동안의 홍보방법에서 탈피하여 대학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의도와 목적에 맞는 색채제안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홍보의 개념과 특성, 홍보포스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그리고 색채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대학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의 특징과 중요성 그리고 대학 색채디자인의 특징과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의 색채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중앙대학교 교색인 파란색만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홍보포스터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각 대학별의 뚜렷한 특징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의 색채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색채계획을 세우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주면서 각 단과대학별의 색채디자인을 다르게 하여 차별성을 준 5계열 11대학의 총 16점의 작품을 제안하였다. 평면적 구성과 단순화된 표현으로 색채디자인에 중점을 둔 작품은 미국의 색채학자인 파버비렌(Birren, F.)의 연구를 응용하여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각 색채의 상징성은 각 단과대학의 의미에도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색채디자인 제안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소통하고 색채가 주는 감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관심을 색채디자인과 연관 지어 보고 다양한 분야에서 색채디자인이 의미 있게 응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중앙일보 대학평가 평가지표와 대학순위의 관련성 분석

        정은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대학순위평가인 중앙일보 대학평가를 구성하는 평가지표와 대학순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하여 중앙일보 대학 평가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탐구하고,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평가지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대학순위 변화 경향을 파악하였고, 셋째,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평가지표와 대학순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평가지표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유사 지표간 중복의 문제, 평가지표 구성의 유기성 및 논리성 부족 문제, 설립유형, 계열특성 등 특정 유형의 대학에게 평가가 유리하게 나타나는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수 지표, 교육비 지표, 과학기술계열 연구성과 지표, 평판도 지표 등에서는 유사 지표 간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화 영역의 외국인 교수 비율, 영어강좌 수, 외국인 학생 비율 간의 상관관계가 없거나 낮아 평가지표 구성의 유기성 및 논리성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재정 부문 지표는 국&#8231;공립 대학들에게, 교수당 국제논문 피인용수, 지적재산권 등록, 기술이전 수입액 등의 지표는 과학기술 계열 대학에 유리하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둘째,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종합순위 변화 경향 분석을 통해서는 종합순위가 대학 간의 실질적 차이를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고, 대학의 질적 차이를 보여주기보다는 대학 특성에 따라 대학종합순위의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종합순위 발표 방식은 점수 격차가 큰 대학들의 차이는 완만하게 만들며, 점수 격차가 적은 대학들의 차이는 크게 증폭시켜 대학 간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종합순위는 대규모 대학, 수도권 대학, 국&#8231;공립대학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특정 유형의 대학에게 유리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평가지표와 종합순위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앙일보 대학평가가 평판 및 사회진출 영역, 교수 및 연구 영역과 과도하게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지표 구성이나 가중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한 부문을 평가하기 때문에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여 평가지표 구분과 평가지표의 구분에 따른 질적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 지표들로 이러한 지표는 지표간의 통합이 요구된다. 둘째, 지표 구성의 연계성과 논리성이 부족하여 해당 지표의 평가를 통하여 대학의 질적 차이를 파악하기에 부족한 지표들은 영역 내 평가지표들과 연계되면서도 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지표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특정 유형의 대학에 유리하게 구성되어 있는 지표는 대학의 질적 차이를 반영하기 보다는 대학의 특성에 따라 평가결과가 좌우될 수 있어 지표의 점수 산출식이나 가중치 비율에서 대학 특성에 따른 차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중치 비율이 적절하지 못한 지표로 해당 지표의 가중치 비율이 너무 높아 그 지표의 평가결과가 대학의 종합순위를 대변하게 되는 지표들은 특정 영역의 몇 가지 지표에 의하여 대학순위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가중치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University ranking estimated by the JungAng Ilbo empiricall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n evaluation indicator and university ranking then suggests an implication for future direction. To meet the goal of the study,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university ranking of the JungAng Ilbo, second, it looked into the trend of changes in university rankings estimated by the JungAng Ilbo and third, it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evaluation indicator of the JungAng Ilbo and university ranking. The problems in university evaluation by the JungAng Ilbo found i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evaluation indicator of university ranking by the JungAng Ilbo, it was found that overlapping evaluation indicator, lack of logicality and relatedness in the structure of evaluation indicator and unfairness of evaluation indicator for particular universities are the current problems. Second, from the analysis on the trend of changes in university ranking,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university ranking does not display the actual levels of universities but displays the ranking measured by universities’ characteristics rather than qualitative differences. Thir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evaluation indicator and university ranking by the JungAng Ilbo,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ranking is closely related to university’s reputation and research area thus improvements in structure of evaluation indicator and weight are currently required.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indicator evaluating similar areas thus are not distinguishable and thus no qualitative difference is displayed should be integrated Second, the indicator without sufficient logicality thus are not able to catch the qualitative difference among universities need an improvement so that they can measure the qualitative features of universities and relate to other indicator. Third, the indicator that were designed unfairly to particular type of universities can on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rather than reflecting qualitative differences of universities. Therefore, the score formulas or weighted values should reflect the difference among universities coming from their characteristics. Fourth, because of those indicator improperly weighted, some criterion is very highly weighed thus score of certain criterion represents overall university ranking. Therefore, the weighed proportion of those indicator should be lowered for fair evaluation.

      • 대학 마스터플랜에서의 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시설 프로그램 과정과 시설규모산정 기준을 중심으로

        박형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의 기능이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공간적인 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서, 1996년 대학설립 운영규정이 제정된 이후 대학자체의 발전을 위한 장기발전계획에 맞추어 실시된 대학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캠퍼스 종합계획의 특징과 시설소요를 판단하기 위한 시설 프로그램의 과정과 시설별 규모산정의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기준을 중앙대학교에 실제 적용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연구를 위한 선행적 고찰로서 대학의 마스터플랜의 의미와 과정에 관한 고찰과 대학의 시설의 의미와 그 유형에 대한 분류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현행의 법규적 기준에 대한 연혁적 고찰을 통하여 법규적 기준에 의한 규모산정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러한 선행적 고찰을 통하여 시설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3장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1996년 이후 작성되어진 마스터플랜 보고서를 기초 자료로 하여, 대학의 특성화 및 발전방향에 따른 종합계획의 특징을 우선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설 프로그램의 과정과 단계별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시설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설별 규모산정의 방법을 시설의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의 사례분석에서 나타난 특징 및 규모산정의 방법을 기준으로 중앙대학교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시설 프로그램의 과정 및 규모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국 마스터플랜을 진행함에 있어서 시설 프로그램은 최종의 결과를 위하여 중요한 과정이며, 시설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과정에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함으로서 보다 합리적인 마스터플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설별 규모산정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강의실 및 실험,실습실의 규모산정 방법에 있어서도 각 대학의 마스터플랜의 특징과 대학의 현황을 고려한 방법 및 기준을 정하여야 할 것이다.

      • UI(University Identity)를 구현한 학위복 디자인 연구 : 중앙대학교 학위복을 중심으로

        이은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 대학은 국제화, 개방화된 경쟁사회 속에서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UI (University Identity)를 도입하기 시작하였으며 새로운 UI도입은 대학의 이념과 목표, 대학문화를 확립하고 도약하는 대학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 사용된다. UI는 MI(Mind Identity), BI(Behavior Identity), VI (Visual Identity)의 삼요소로 구성되며 이 중 VI는 가장 빠르게 대학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UI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위복 개발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국내 대학의 일반적인 학사 학위복은 미국의 오래된 디자인을 그대로 도입한 채 착용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획일화되어있던 학위복 디자인을 중앙대학교 UI의 구현을 통해 개발함으로서 학위복의 기능과 의미는 유지하면서 중앙대학교의 전통성과 상징성을 나타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학위복과 UI의 이론적 배경과 현재 학위복 디자인 현황에 대해 국내ㆍ외로 나누어 조사하고 설문을 통해 기존학위복의 문제점과 개선점, 디자인 선호도, UI를 구현한 학위복 디자인에 대한 의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자료를 통한 연구로서 UI의 중요성과 학위복에 대해 일반적 고찰을 하였으며 UI와 학위복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위복 디자인 현황을 국내ㆍ외로 나누어 비교분석하고 디자인하기에 앞서 필요한 디자인 개발요소를 살펴보았다. 둘째 실증적 연구로서 기존학위복의 문제점과 개선점, 선호디자인 등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학위복 디자인에 대한 의식 및 착용 소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중앙대학교를 졸업한 사람 150명과 중앙대학교와 동일한 학사 학위복 디자인을 한 타 대학 졸업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전공계열에 따른 의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자연계, 인문계, 예체능계열로 구분지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04년 9월 1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300부를 배포하여 277부가 회수되었으며 이들 중 답변이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총 264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0.0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빈도, 백분율, -test의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UI를 구현한 중앙대학교 학사 학위복을 실물제작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 大學 附屬農場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中央大學校 附屬農場을 中心으로

        김선식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부속 실습농장은 농학계 학생들의 현장실습과 대학원생, 교수들의 연구를 위하여 존재하는 농과 대학의 기본적인 시설이다. 또한 일반인들에게는 모범적인 시설과 경영을 통하여 사회를 선도하며 교육해야 하는 사명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을 통해 실습농장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앞으로의 전망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하며 중앙대학 부속 실습농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6개대학 실습농장의 전반적인 문제점으로는 실습 시설의 부족과 설비노후, 재정적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런 상황에서도 현장실습의 현황은 2001년 조사와 비교하여 볼 때 정착되어 가고 있었다. 실습농장의 경영을 합리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서는 현 상태유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점차 시행하겠다는 유보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중앙대학 부속실습농장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기반 시설의 확충을 통해 젖소 사육두수100두, 비육60두 규모로 확대하여 수익을 창출하며 농장내의 임야에 다양한 환경생태 공원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이 이용하며 학생들에게는 교육의 공간으로 활용한다. 교직원복지를 위하여 부속농장의 생산물과 시설물을 적극 이용하며 시설의 확장을 통해 학생들의 현장실습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근로 장학 혜택을 늘리고자 한다.

      •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정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eachers education in the preschool education faculty of Chung-Ang University, one of the departments established by the foundation of Chung-Ang University in order to trai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need to preserve the history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and for a more systematic study on the subject,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preschool education in Chung-Ang University and analyze the structural and content changes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rends in educating teachers. Being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eachers education in Chung-Ang University, this paper is based on studies of literature, newspapers and past handbooks and curriculums, as well as an interview with graduaters in Chung-Ang, also professors of preschool child education who is involved design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e study, the curriculum in Chungang University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raining School prior to Liberation(1945) consisted mostly of courses on handicraft, gift and play, based on Froebel's Kindergarten system. In the perio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courses mostly focused on realizing the philosophy of providing kindergarten education as a form of national education. The curriculum during this period focused on the emotional state of young children, with courses divided into two main themes, one provid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other for practice and for learning to become a teacher of culture. With words such as play and song actually mentioned in the childcare program in kindergartens, it can be concluded that ar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al kindergarten. It can be observed at the same time that music recitals were held regardless of the curriculum for financial reasons. The fact that arts and music dominate the curriculum during this time indicates that there were only two or three professor specializing in child care while most others were from the musical field. Music here encompasses instruments, vocal, musical grammar and sight sing and juvenile literature also included writing, which seems to have been the result of the lack of songs and stories for children at the tim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such songs and stories are believed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serving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expressing Korean philosophy. The curriculum of the 1959 to mid-1960s is marked by a systematic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preschool education theory, while words such as play, gift and workmanship disappear. This shows that the curriculum has become more specialized, setting the stage for laying a theoretical foundation. Influenced by cognitive theorist such as Hunt(1961), Bruner(1962) and Bloom(1964) in the 1960s, courses on cognitive development were opened, while stressing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t the same time. Progressive ideas that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period lead to numerous courses dealing with specific ways to teach children centering on everyday life, the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activities and experience of children. Music courses had the highest credit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music in nurturing a child. However, too much emphasis was put on arts and physical activities, which represented 60%-70% of the total credits. In other words, the more detailed segmentation of culture, music, arts and dance compared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hildhood education theory is evidence of the high proportion of courses dealing with the specific ways of teaching a child. This trend is believe to have its roots in the emphasis on singing and dancing as manifested by the frequent performances held in kindergartens. It is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professors specializing in arts and sports than in childcare and education. Therefore, the actual application of childhood education theory would have been difficult in practice. Third, the period of 1972-1980 laid the groundwork for preschool education curriculum to take firm root, with an increase in psychology and development courses and a decrease in arts and sports courses in the mid-1970s. This is also a period when a clear line was drawn between compulsory and optional subject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s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more specialized courses such as -theory, -training and child-. This shows that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tarted to take root based on two different pillars one practical and the other theoretical, with increased emphasis on education as distinct from childcare, which provides protection and nursing. An educational approach to child development which analyz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a child's behavior and the corresponding treatment deal much interest during this period.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arts courses led to a natural increase in courses on other theoretical areas. The courses mostly taught by professors of other majors began to be replaced by specialists starting from the appointment of Kim Ok-ryun, specializing in childcare in 1973 and Lee Won-young in 1975. Fourth, the curriculum from the 1980s to mid-1990s consists of scientific research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human behavior, in pursuit of a positive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increased interest in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1980s facilitated the establishment of courses dealing with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way. The opening of courses such as infant program, child welf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aimed at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when Korean society experienced a rise in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The appointment of professor Lee Sun-in(1978) and Lee Yun-sup(1983), both specializing in psychology,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sychology and development courses. The appointment of professor Park Chan-ok in the 1990s spurred active studies on social and emotional education. The courses on arts and physical activities in the earlier period often overlapped with each other. However, similar courses were integrated during this period into piano, juvenile literature, juvenile arts, music and dance, providing a balanced credit with other courses. In short, the curriculum of this period is focused on systematic studies on early the childhood education of those who will become future leaders of society, as well as fostering experts with clear visions who can translate the study results into action. Fifth, the educational reform period of 1997-2000 is marked by a dramatic change in courses, in such a way as to meet the demands of modern society, which aspires to a scientific and creative life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e number of courses on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see a steep rise, while the existing compulsory and optional courses are newly classified into basic major subject and major subject. This is testimony to a shift from emphasis on the arts and physical activity to more theory and science-based courses. In 1998, professor Cho Hyung-suk introduce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ories of scientific education, emphasizing scientific thinking in everyday life. Courses in cognition, society, emotions and physical developments are established for in-depth studies, while pursuing in-unification studies at the same time. Sixth, the general education and teaching curriculums also changed in line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 curriculums.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structured to provide basic knowledge as well as various viewpoints. Teaching curriculums enable teachers to grow in both capability and personality, laying the ground for continued self-development. As seen here, the teacher curriculum of Chung -Ang University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cademic trends,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level of education relative to each period. The opening and closing of courses have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changes in early childhood courses and th availability of professors.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地域社會 住民의 大學圖書館 이용滿足度에 관한 硏究 : 中央大學校 제2캠퍼스 圖書館(안성)을 中心으로

        임동규 中央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방의 필요성을 문헌 및 연구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개방동향 및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의 개방현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가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 안성시 지역주민들의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와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 분석하여 안성시 지역사회 주민들이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 빈도 자료유형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에 대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설문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향후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이 지역사회 주민의 이용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안성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은 전반적인 도서관 이용에서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도서관의 개방의 범위를 점점 더 확대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주말 도서관 자료이용, 평일 도서관 연장개관, 교육 문화행사(각종 연극제 및 영화상영 등)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개방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대학당국의 인적 재정적 확대지원이 있어야 그 실효를 거둘 수 있고 도서관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개방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제도적으로 대학내에서 마련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방의 올바른 인식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고객만족을 위한 수준으로 적시에 행하여져야 하며, 도서관 서비스 항목의 우선순위는 유동적임을 유념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이 필요한 자료의 서비스를 위해 지역의 각종 도서관간의 상호 네트웍을 통한 자료의 공유 및 상호대차의 확립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은 선진국의 지역사회에 대한 도서관의 봉사사례에 대한 폭넓은 분석과정을 통하여 국내에 도입할 수 있는 장점들을 추출해 내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