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No.24, Op.78에 관한 분석과 연구

        김소연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피아노 소나타는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에서 시작하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에서 완성되고,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를 거치며 더 발전하였다. 이렇게 발전된 피아노 소나타는 이후의 시대까지 영향을 끼친 중요한 장르 중 하나이다. 특히 베토벤은 형식미를 중요히 여겼던 소나타양식에 변화를 주어 이후의 시대까지 영향을 끼쳤다. 베토벤의 생애와 작품은 세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제1기는 본과 빈에서 활동한 시기이며, 제2기는 청각에 이상이 생긴 후 빈에 정착하여 활동한 시기, 제3기는 청각을 상실한 이후의 시기이다. 특히 피아노 소나타는 전 생애에 걸쳐 총 32곡이 작곡되었기 때문에 베토벤의 음악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베토벤의 전 생애에 걸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가 각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 살펴보고, 피아노 소나타 No. 24, Op. 78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제2기에 작곡된 곡이며, 총 2악장으로 구성되어 전형적인 4악장 구성의 소나타와는 다른 형식을 보인다. 제1악장은 도입부를 가지고 있는 소나타 형식이고, 2악장은 변형된 론도형식(A-A'-B-A"-B'-coda)으로 이루어져 있다. Began from Franz Joseph Haydn(1732~1809), piano sonatas extended by Wolfgang Amadeus Mozart(1745~1791) and further enriched through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The development of piano sonata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giving significant influences to later times. Unlike conventional sonata form, Beethoven’s work particularly found a new path of piano sonatas by incorporating different changes in its form, leaving considerable implications to musical history. The life and career of Beethoven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when Beethoven lived in Bonn and Vienna, and the second period began when he settled in Vienna as a musician after his recognition of hearing disorder. The last period came with his deafness. As Beethoven composed the 32 piano sonatas over his entire life, his sonatas play an important role of milestone reflecting different features in his style of music through his career. In light of that, this research looks a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of the 32 piano sonatas composed by Beethoven, and analyzes the Piano Sonata No.24, Op.78. Composed in the second period of Beethoven’s life, the Piano Sonata No.24, Op.78 consists of two movements, distinct from the typical four-movements form of sonatas. The first movement of the aforementioned sonata form includes introduction, and the second movement constitutes a modified rondo form(A-A’-B-A”-B’-coda).

      • 이관능성 카테콜 유도체로 가교된 고강도 맥신 필름

        김소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2차원 층상 구조를 갖는 티타늄 카바이드 맥신 (Ti3C2Tx MXene) 은 용액 가공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전기전도도와 유연성으로 인해 슈퍼커패시터 (Supercapacitors)와 같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유기 리간드를 이용한 맥신의 표면 작용기 (-O, -F, -OH) 제어를 통해 정전용량 및 사이클 안정성을 개선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용화에 있어 필수적인 기계적 특성 향상에 초점을 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맥신의 표면 작용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카테콜 기반 Bifunctional 분자 (Dicatechol-6)를 합성하고,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맥신 필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Dicatechol-6으로 개질 된 모든 필름의 인장 강도가 기존 맥신 필름 (15.9 N/mm²)보다 약 2.4배 향상된 값 (37.3~39.6 N/mm²)을 나타내었고,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고자 했던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또한 10 wt%의 Dicatechol-6으로 개질 된 맥신 필름을 순환 전압 전류법 (Cyclic voltammetry, CV) 측정을 통해 정전용량을 계산한 결과, 20 mV/s의 스캔 속도에서 최대 367 F/g의 정전용량으로 기존 맥신 필름 (301 F/g)보다 약 22% 향상된 값을 얻었다.

      • 가상대학 교육콘텐츠 개발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가상대학 교육콘텐츠 개발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김소연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process in a virtual university.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were human resources for developing learning contents? Second, what type of learning contents did they developed? Third, what process did they use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Fourth, how did they manage learning contents develop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gathered data concerning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visited the staff members,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m, and elaborately examined the Web site of the universit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uman resources in charge of developing the contents, though there can b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contents,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charge of developing general education contents. This university has project managers, prorammers, cameramen, film editors, assitants and other managers. Secondly, the types of contents developed by S digital university can be classified as a HTML and a Director method. And also there can b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study method of whether the contents are produced for Web Based Instruction or for Web Based Compact Disk. These two methods shows contrasts in that they are produced in different ways. But as time goes on, S digital university has showed preference to WBCD contents. Thirdl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developing contents of S digital university, we can see no difference between its methods and general methods, and professors themselve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cess. Finally, S digital university makes a subject list and they keep their original contents files. They keep the files as many as 2years in their server computers and CDs as well.

      • 라오스 홍낭시다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의 구조모형화 및 구조해석

        김소연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라오스 홍낭시다 주신전은 우라나라 문화유산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복원사업 1호로 라오스 남부 참파삭 주팍세에 소재한 왓푸 사원에서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유적으로 이어지는‘고대길(Ancient Road)’의 출발점에 자리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는 절대적으로 보존하여야 하는 문화유산이다. 11~12세기경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홍낭시다 주신전은 붕괴 된 이후에도 오랜 세월의 경과에 따른 풍화, 부식은 물론 최근의 기후온난화, 대기오염 등으로 퇴락,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각종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붕괴가 일어난 홍낭시다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은 사실상 본래의 구조와 형태가 변형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만 하여 본래의 구조와 형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큰 오류를 범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오랜 세월동안 홍낭시다 주신전에 나타난 현상들은 단순한 변형이 아니라 시대적, 역사적 사건이므로 홍낭시다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의 원형 및 복원을 논하기 위해서는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홍낭시다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한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붕괴원인을 다각적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반영한 구조모형화 및 구조해석에 따른 전체적인 구조검토를 수행하여야 하며 향후 홍낭시다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 원형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홍낭시다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의 현재 현황, 축조 및 구성형식을 분석하여 붕괴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측 및 복원도면을 이용하여 구조모형화를 실시한다. 특히 주신전 만다파 구조물과 같은 조적식 구조물은 연속체가 아닌 불연속체의 거동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불연속체 요소 및 절리면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개별요소해석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석기법에 따라 설계변수별 응력 및 변위값을 분석하여 구조적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The main sanctuary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which is the first restoration project of the cultural properties ODA by Korea, is a cultural heritage that is highly appreciated worldwide. The Hong Nang Sida Templ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Ancient Road leading from the Wat Phou Temple in Pakse, Champasack Province, to the Angkor Wat relics in Cambodia, is a cultural heritage that must be preserved due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at are highly evaluated in the world. The main sanctuary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11th to 12th centuries, has been continuously deteriorated and damaged even after the collapse not only by the weathering and corrosion over time but also recent global warming and atmospheric pollution at a degradation rate higher than before. Various Natural disasters have added the damage to the collapsed sanctuary. Especially the main sanctuary Mandapa of the collapsed Hong Nang Sida Temple does not have the original structure and shape, which may not be accurately restor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ly remaining relics. Accordingly the agelong changes of the main sanctuary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were not just simple deformation but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event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and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main sanctuary Mandapa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should be conducted very carefully. To restore the main sanctuary Mandapa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to a structurally more stable state, the causes of the collapse of the sanctuary should be investigat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And a structural modeling and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scenarios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main sanctuary Mandapa structure and analyze the collapse causes, contributing to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Therefore, the current state and the building method regarding the main sanctuary Mandapa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were sufficiently reviewed and analyzed, investigated to establish various scenarios about the collapse causes. Structural modeling is carried out using actual measurements and restoration drawing. Masonry structures, such as the main sanctuary Mandapa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should be handled as a discontinuous structure showing the dynamic behavior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a continuous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dividual element analysis technique to reflect discontinuity elements and joint surfac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behavior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stress and displacement values ​​for each design variable according to this analysis technique.

      • 이미지와 상징성의 이중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 <부재의 충만>시리즈를 중심으로

        김소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상에 시선을 두고 있어야 한다. 일상은 반복되는 지루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변화를 지니며 개인의 주관과 생활방식에 따른 저마다 고유함을 지닌다. 나아가 정체성을 확립시키며 미래의 나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현실인 일상의 소중함을 잊는다면 행복의 감정은 만나지 못할 것이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에 따르면 욕망은 결코 채워지지 않는 것으로 대상의 성취와 함께 또 다른 욕망이 생긴다고 한다. 그리고 응시가 욕망을 만들어 내고 그 응시는 타자 측(on the part of)의 욕망이기에 주체를 부재로 만든다고 한다. 결국 욕망으로 이루어진 이상향으로 온통 시선을 보낼 때, 자신을 의미하는 일상에 대해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고 이것은 자기 상실이 된다. 본인은 개인적 경험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그런 생각을 지속하기 위해 일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무심히 지나쳐버리는 일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오히려 일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부재로 표현하였다. 일상의 이미지는 일상용품이나 일상적인 모습들로 표현되고 있다. 그것들은 고유색이 제거된 채 선으로만 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시선을 온통 빼앗는 욕망의 장인 이상향의 공간은 밝고 화사한 파스텔 색조로 표현된다. 이 공간은 색이 있음에도 오히려 흰색으로 표현된 부재의 공간이 더 부각되게 함으로써 본인이 의도하는 일상에 대한 인식을 유도한다. 주제를 부각시켜 표현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역설적으로 표현함으로서 더욱 시선을 받게 하려는 것이다. 흰색은 완전 소멸과 동시에 물질에 생명을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금 현재 보지 못하여 무의 개념인 흰색으로 표현되었지만 관심을 갖는 순간부터 일상은 생명을 얻어 우리 곁에 있을 것이다. 본인은 작품과 그에 따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간과 되었던 평범함, 일상이 새롭게 다가옴으로써 특별한 것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닌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저마다의 의미가 있음을 깨닫게 된 것에 의미를 둔다. In order to live a happy lif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ll the mundane aspects that occupy most of our days. Everyday life is repetitive and/or boring yet we experience change, which produces uniqueness dependent upon our individuality and way of life. Furthermore, these mundane daily events establish our identities and connect us to our future selves. Therefore if we forget the value of the present in our everyday lives, we will not be able to experience happiness. According to Jacques Lacan (1901~1981), a desire can never be fulfilled. As soon as that desire is attained, another desire is born. And even a glance creates within us a desire. Since this glance is a desire on the part of others, it makes the subject an absence. In the end when we stare at a Utopian world composed of our desires, we lose the meaning of our everyday lives, which are our essence and this leads to a loss of self. I am working on a piece in which people feel the value of everyday lives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hey add meaning to their everyday lives to maintain the appreciation of daily life. In order to emphasize mundane daily life, I expressed images that represent daily life more as absence than presence. The images of everyday life are expressed with mundane common goods and activities. The shapes are only expressed with lines after removing their individual colors. In contrast to this, the Utopian space, which is a place full of desire that steals all our attention, is expressed with bright, colorful pastel tones. Even though this Utopian space has color, the white space of absence stands out more. I intended this effect to induce the recognition of everyday life. We may use a technique to make the theme stand out, but by choosing a more ironic technique I intended the theme to attract more attention. The color white represents complete extinction, but simultaneously adds a life to objects. The present is expressed with the color white since we don’t see it now. However as soon as we notice and pay attention to it, our everyday life gains a depth, a true life that will stay with us. In my artwork and its corresponding research I find its significance in newly approaching so-far-overlooked normal everyday life and realizing that not only special activities but also mundane existing objects and activities have their own meaning.

      •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및 음악성에 미치는 효과 : 기능기반 수행평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소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지식기반 사회, 제4차 산업 시대를 주도할 인재는 학습한 내용을 실재 맥락에 적용,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과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해 행복한 학습 구현을 추구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설계되었다. 학교 교육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평가 방법’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수업현장에서 실시되는 평가는 학생의 학습 수준의 확인은 물론 교수·학습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수행평가’는 학생들이 과제를 직접 수행하여 행동 또는 산출물로 나타내기 때문에 역량을 평가하기에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각 교과에서는 역량 신장에 목표를 두는 수행평가, 즉 ‘역량기반 수행평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음악교과는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이라는 음악적 행동을 평가하기 때문에 수행평가가 본격 도입되기 이전부터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단편적 음악지식과 기능의 숙달에 목적을 둔 ‘기능기반 수행평가’가 실시되어 왔으므로 학생들의 음악적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전통적으로 음악교과에서 실시되어 온 실생활과 분리된 탈맥락적 평가, 역량이 아닌 단편 음악지식과 실기 기능 숙달에 치중된 평가,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간과, 비공식적이고 비계획적인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개선을 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2015b, p.3)에 제시된 6개의 역량 중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소통 역량을 신장으로 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여중생 1학년 음악 수업에 적용하고 실제로 목표 역량이 신장되었는지, 나아가 음악교육 목표 중 하나인 음악성의 발달까지 유도할 수 있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수행평가 결과의 의미를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기능기반 수행평가의 적용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음악교과에서 여중생 1학년에게 역량기반 수행평가 또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 결과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변화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양적 변화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질적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음악교과에서 여중생 1학년에게 역량기반 수행평가 또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 결과 음악성에 나타난 변화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성에 나타난 양적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음악교과에서 여중생 1학년에게 실시한 수행평가 유형,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이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A 여자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4개 학급, 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2개 학급 46명,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다른 2개 학급 43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에 따라 개발된 수행평가는 감상, 가창 영역에 대한 것으로 제재곡, 평가영역, 수업 기간 및 차수, 채점 시기는 동일하지만 각 수행평가의 유형에 따라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신장’ 또는 ‘음악지식 및 기능 숙달’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음악교육 전문가 3인에 의한 2번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역량기반 수행평가로 『베토벤과의 가상 인터뷰 발표』, 『환경보호 캠페인송 랩 창작 발표』를, 기능기반 수행평가로 『베토벤의 삶과 교향곡 5번 1악장 실음지필평가 및 감상문 작성』,『‘지구를 지켜요’ 가창 발표』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고급 혼합연구 분석방법 중 하나인 수렴적 설계(convergent design)를 사용한 중재 혼합연구 설계(interventional mixed research design)를 적용하여 두 수행평가의 사전, 사후 결과에 대해 양적 데이터와 질적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였다. 우선 양적 분석을 위해 김소연, 지은림(2020, 2021)의 검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Müllensiefen 외(2014)의 ‘음악적 교양(Musical Sophistication)’을 본 연구대상에 맞게 번역한 ‘음악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사례에 있어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 각 집단에서 4명을 의도적 표집하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전사한 데이터는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수행평가는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양적, 질적 효과성을 검증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하여 양적,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립표본 t검증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총 점수가 약 .30점 향상되어 역량 신장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해 집단별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음악적 감성 역량의 ‘이해력’, ‘수용력’, ‘적용력’이 .32~.42점, 음악적 소통 역량의 ‘음악지식’, ‘표현력’, ‘감상력’, ‘응용력’이 .62~.77점으로 향상되어 모든 하위요인에서 발전을 보였다. 하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이해력, 적용력, 감상력, 응용력만이 .24~.34점 향상되는데 그쳐 음악을 수용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 취약점을 드러내었다. 개별 문항별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증에서도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거의 대부분의 문항이 .26~.98점으로 크게 향상되었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몇몇 문항들에서 .47점 이하의 향상을 보여 역량 신장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 유형별 그룹 인터뷰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에서 양적 결과에 대한 실질적 경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클래식 감상 영역에 대한 각 『수행평가 1』을 분석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경험한 학생들만이 제재곡에 대한 ‘수용력’, ‘적용력’을 바탕으로 ‘감상력’, ‘응용력’을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기능기반 수행평가와 달리 비인기 장르인 클래식 교향곡에 대해 느낌, 공감을 생성할 수 있도록 ‘느낌의 시각화’, ‘표현의도 해석’ 등 평가 단계를 세분화하여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수행평가 2』를 경험한 결과는 ‘표현력’과 ‘감상력’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냈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경험한 학생들은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라는 맥락적 주제 하에 개사활동을 통해 자신들이 만들어낸 가사의 느낌, 감성을 표현하는데 집중하였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경험한 학생들은 제재곡을 정확하게 익혀야 한다는 가창의 정확성, 완성도에 집중하여 가창실력, 실수에 대한 걱정, 불안을 겪었고 표현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신장에 기여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1) 음악지식과 기능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해야 하고, 2) 정의적 역량인 음악적 감성 역량을 먼저 자극한 후 기능적 역량인 음악적 소통 역량으로 표출하도록 설계해야 하며, 3) 복합성을 띄는 과제일수록 평가 단계를 나누어 제시하고, 4) 과정 중심 평가로 피드백을 계획성 있게 활용하고, 5) 학생의 음악적 창의성과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 그리고 6) 학생이 평가의 주체로서 모든 평가 활동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문제 2]에 대해 대응표본 t검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성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를 나타냈다. 음악성의 총 점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만이 약 .23점 향상되었고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유의한 점수 향상을 나타내지 못했다. 하위요인별로 보았을 때 두 수행평가 유형 모두 정도는 다르지만 음악성의 음악활동 참여, 음악 인지능력, 가창능력에서 유의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음악성의 각 문항별 점수에서 나타났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22문항 중 15문항에 대해 .33~1.02의 점수 향상을 보여 음악성의 다양한 측면이 고루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단 9문항만이 .35~.86점 향상되어 상대적으로 음악성의 여러 면이 고루 신장되기 어려웠음을 알 수 있었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만 유의한 효과를 보인 문항은 ‘음원을 듣고 정확한 음정으로 따라 부르기’, ‘처음 듣는 노래 파악’, ‘한 음악의 두 가지 버전의 차이점 파악’, ‘음악관련 정보 읽기, 검색’, ‘친구가 부르는 노래에 합류하기’로 나타났으며 평균 .50~.61점 향상되었다. [연구문제 3]에서 수행평가 유형별 점수, 사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사후 음악성의 세 변인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감상력, 응용력 그리고 음악성의 음악적 감성이라는 정서적 요인과 r=.30 정도의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실제로 세 하위요인을 높일 수 있는 영향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감성 역량의 이해력(r=.46), 음악적 소통 역량의 음악지식(r=.34)과 정적 관련성을 나타냈고 역시 이 요인들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혔다.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역량의 인지적 측면과 관계될 뿐 음악성의 어떤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은 r=.973의 관계로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음악성의 개념이 전문가 수준의 예민한 청력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일반인이 음악적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볼 때,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성의 수준까지도 끌어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통해 음악적 역량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다면 음악교육의 목적 중 하나인 음악성의 수준까지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음악교과에 적용하여 실시했을 때 실제적으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및 음악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양적, 질적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마무리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출범을 목전에 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실제적 사례가 음악교육 현장에서 평가를 개선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소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23년 10월 15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 전국 반려동물미용사 남·여 321명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SPSS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평가를 위해 Cronbach's α 계수로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의 중심경향성과 산포도, 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기술통계로 확인하였으며, Pearson 적률상관관계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매개회귀분석 3단계를 활용하였고, Sobel-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변수들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려동물미용사의 경우 전문직업성이 높고 자기효능감을 유능하고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직무만족도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자기효능감이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중요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매개효과 및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의 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이한 것을 말하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반려동물미용사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분석한 결과 전문직업과 직무만족도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자신감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반려동물 미용사의 자신감은 직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는데, 가족과의 관계 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상승되었다. 과제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는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반려동물미용사들의 자기효능감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주제어 : 반려동물미용사,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pet groomers. The study targeted 321 male and female pet groomers nationwide from October 15, 2023, to November 1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ales for profession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during this period. The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Population demographic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tiliz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Furthermor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central tendency and dispersion of the data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s were confi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Next, the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was utilized to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or pet groomers. For pet groomers, it was observed that higher level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results of self-efficacy among pet groomers indicated the presence of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et groomer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atistical testing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is indicates that, along with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pport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Third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self-efficacy among pet groomers revealed that 'confidence'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confidence of pet groomers positive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thereby indicating the potential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efficacy' was also verified. There was a tendency for job satisfaction to increase as the ability to regulat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improved. Finally, it was found that as th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increased, self-efficacy,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lso increased. In summary, the comprehensive findings of this study verify that the self-efficacy of pet groomers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 Keywords: pet groomers, professionality,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인공와우 시술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질적 연구=

        김소연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hearing impaired students with cochlear implant.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designed for this study. Five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chool for the deaf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ochlear implant surgery; (b) the identity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hearing and speech after cochlear implant surgery; and (c) the teachers had a perception which the cochlear implant and sign language learning were no 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chlear implant was good device for listening and speech, however the personality factor was not related with the cochlear implant.

      •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김소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요양보호사 1급을 취득한 후 전라북도 내 두 지역의 노인 병원과 시설, 재가에서 활동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58명을 임의 선정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은 Palmore(1998)의 FAQ 1을 박선영(2006)이 한국노인 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Sanders 등(1984)이 개발한 의미분별척도를 임영신(2002)이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05월 01일부터 14일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 Scheffe' test,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 & KR-20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26점 만점에 평균 12.61(표준편차=3.46)점으로 정답률 48.5%이었다. 2)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4.55(표준편차=1.08)점으로 약간 부정적이었다. 3) 요양보호사의 특성별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는 성별(t=2.915, p=.004), 교육정도(F=3.479, p=.01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결과 전문대 이상이 중졸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 4) 요양보호사의 특성별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는 성별(t=-2.620, p=.021), 연령(F=4.380,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결과 50세 이상이 40-49세보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5)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에 약한 역상관관계(r=-.176, p=.0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한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은 낮았고, 태도는 약간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지식과 태도와의 관계는 지식이 높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올바르게 이해하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대상자들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전후 효과를 비교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This is a descriptive study investigating care work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ol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258 care workers working with the old staying at hospitals or facilities for the old, or with the old staying at their houses, in two regions of the northern part of Jeolla province. The knowledge on the old was measured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by Palmore (1998),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Park (2006). The attitude toward the old was measured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by Sanders and colleges (1984), and modified by Im (2002). Questionnaires were filled up by the participants and it took 14 days to collect the data from May 1st,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2.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The reliabilities of the instruments were examined using Cronbach's alpha and KR-20 coefficients.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are workers' knowledge on the old was 12.61±3.46 out of the total of 26 point, which equals to 48.5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rate. 2. The care workers' attitude toward the old was schewed a little negatively, 4.55±1.08 out of the total of 7 points. 3. Care workers' knowledge on the old was higher in men and university-graduates or above than femal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4. Care workers' attitude toward the old was negatively schewed when they were females and 50-year old or more. 5. A weak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are work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old (r=.-176, p=.005). In summary, the extent of the care workers' knowledge on the aged was low,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old was a little negative. The more knowledge they had, the more positive they perceived about the old.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measure to improve care workers' knowledge on the old and to change their attitude positively while they serve the 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