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세당사자소송에 관한 연구

        손병기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55

        It is a reasonable proposition that the purposes of the Legislative Litigation Act should be placed on the remedy for individual and controlling the legitimacy of administration. It is true that academic circles of administrative law have endeavored to study the appeal litigation in order to fulfill the above two proposition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fact that such study had been conducted to promote the remedy for individuals cannot be denied. In case of a modern administrative law, however, an area in which purpose of administration needs be achieved by placing administrative objects and administrative entities at an equal level has expanded significantly compared to other areas where we relied on the unilateral actions of the administrative entities as in the past. In that area, appeal litigations have performed their role on the one hand meanwhile it is also true that the capability to perform their roles has been questioned on the other hand. In fact, appeal litigation is an imperfect and incomplete system when it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 individual remedy. The fact that administrative law adopts the principle of non-suspension of execution is one of the examples. Even though a Party Litigation which can utilize diversified requests for administrative functions is prescribed in our administrative law but this has been barely utilized because of in differences at the working level. There might be several reasons. Maybe the history of our law is not long. It is estimated that the fact that research on the benefits from the utilization of Party Litigation was not sufficient. The Party Litigation in tax mat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actually falls into a category where the term is not well known to academic circle as well as working-level staff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ly, because tax litigation constitutes one of the particulars of the general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refore it is burdensome to study the particulars when there have not been many thorough studies on the Party Litigation in the general administrative litigation. Secondly,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operated as a three-level court system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Act amended in 1994and the transposition system of administrative decision before the litigation was abolished, and therefore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go through a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However, the appeal litigation in tax matters still goes through the transposition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decision before litigation and the working-level staffs decide the type of litigation after instinctively analyzing whether there existed an ‘administrative deposition’ in relation to the acts of the tax authorities. Thirdly,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whether there is an administrative deposition in the cases of denial of refund applications in the past practices and case laws consistently have denied the existence of an administrative deposition in such cases. As a result, the subsequent procedures were conducted in a form of civil lawsuits. This circumstance became one of the factors which obstructed the activation of Party Litigation in tax matters. Although we adopted application for correction method through a legislative procedure to promote remedy in the appeal litigation in tax matters in the presence of two opposing theories: some denied the administrative deposition when dealing with remedial procedure, and the other argued that the subsequent procedure should be followed in a form of the Party Litigation even though the administrative deposition is denied. However, in the area of tax administrative law, there exist areas in which it is more reasonable to have a dispute in a form of the Party Litigation like the ordinary areas of administrative laws, and individual remedy can be sought expeditiously without taking a bypass. Specifically, the area of tax administrative law does not consider protection of a third party including the constant consideration of monetary payments and is not the area where legal stability can be achieved immediately since the period of time over which the tax authorities can levy tax is relatively long. Also, there is an aspect that expeditious remedy can be prevented. For instance, if there is an administrative deposition in a tax imposition and tax collection, limitation on the period of filing an action and use of the transposition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decision before the litigation can be followed in the appeal litigation. Based on these reasons, it can be said that discussions to activate the Party Litigation are indispensable. As for methods for such vitalization, it can be achieved by interpretation and by legislation as a permanent solution. Before the legislation, a solution by interpretation needs to apply first but litigations related to an objection to a dividend, and revocation of a fraudulent act which are categorized as one type of the Party Litigation in tax matters constitute the lawsuits for formation. Therefore, it is more reasonable to choose legislation as a permanent way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the Party Litigation. 우리 행정소송법의 중요 목적이 개인의 권리구제와 행정의 적법성 통제에 두어야 함은 당연한 명제이다. 위 두 명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오랜 기간 행정법학계에서는 항고소송의 연구에 매진하여온 것은 사실이며, 그와 같은 사실이 국민의 권리구제를 위한 것이었음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행정법관계는 과거와 같은 행정주체의 일방적 행위에 의존하는 영역보다는 행정주체와 대등한 위치에서 행정목적의 달성을 도모하여야 하는 영역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변화된 영역에서 항고소송이 제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며, 수행 할 수 있는지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사실 항고소송은 개인의 권리구제 측면에서 고찰할 때 불완전하며 미비한 제도이다. 대표적인 예로 행정소송법은 집행부정지원칙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화 된 행정작용에 대한 요구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제도인 당사자소송이 우리 행정소송법에 규정이 되어 있음에도 실무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활용은 저조함에 그쳤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아마도 우리의 법역사가 일천한 측면도 있겠지만 당사자소송을 활용하는 경우 실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면이 가장 큰 역할을 하였으리라 짐작된다. 본 연구의 목적인 조세당사자소송은 사실 실무적으로나 학계에서 다소 생소한 용어일 수도 있는 분야에 해당한다, 그 이유로는, 첫째 조세소송이 일반행정소송의 하나의 각론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일반행정소송에서의 당사자소송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각론을 연구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둘째 1994년 개정된 행정소송법에 의하여 행정소송은 3심제로 운영이 되고, 행정심판전치주의가 폐지되어 행정심판을 경유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가 되었음에도 조세항고소송은 여전히 행정심판전치주의를 경유하여야 함에 따라 실무에서는 과세관청의 어떠한 행위가 있는 경우 반사적으로 그 행위가 ‘처분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소송유형을 결정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항고소송 위주의 권리구제 방법이 고착되었다. 셋째 종래의 실무에서 환급신청 등의 거부에 대하여 처분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판례는 일관되게 위 거부에 대하여 처분성을 부인하면서, 그에 대한 후속절차는 민사소송에 의존하게 되었다, 학설은 처분성을 인정하는 입장에서의 구제절차와 설령 처분성을 부인한다고 하여도 후속절차는 당사자소송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었던 상황에, 입법적 조치로 ‘경정청구’제도를 도입하여 여전히 조세항고소송에 의한 권리구제를 도모하게 되는 상황에 이르러 조세당사자소송의 활성화를 방해하는 한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조세행정법영역에서도 일반행정법영역과 마찬가지로 항고소송으로 다투는 것보다는 당사자소송으로 다투는 것이 타당한 점이 분명 존재하며, 개인의 권리구제에 보다 우회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신속하게 구제 받을 수 있다. 특히 조세행정법영역은 시종 금전급부와 연결되는 점을 비롯하여 제3자의 보호가 다른 영역보다 중요시 되지 않으며, 과세주체가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제척기간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있어 법적 안정성을 즉시 이룰 수 있는 분야도 아니다. 또한 조세부과·징수처분이 처분성을 띠어 항고소송으로 이행하게 되는 경우 제소기간의 제한 및 행정심판전치주의의 적용 등의 제한이 수반되어 오히려 신속한 권리구제에 방해가 될 수도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조세소송에서 당사자소송에 대한 활성화 논의는 필요불가결하다고 할 것이다. 위 활성화의 방법에는 ① 해석을 통한 방법이 있으며, 종국적인 방법으로는 ② 입법을 통한 방법일 것이다. 입법화가 되기 전까지는 해석을 통한 방법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조세당사자소송의 한 유형으로 분류하고자 하는 배당이의소송과 사해행위취소소송은 형성의 소에 해당하므로 종국적으로는 입법을 통하는 방법이 타당할 것이다.

      • 진술분석을 통한 보험사기의 사실인정에 관한 연구 : ‘보험사기 인지 진술분석 준거 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김용성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55

        According to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insurance fraud detection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83,012 people were caught for insurance fraud in 2016, and the total amount was about KRW 718.5 billion. In 2022, six years later, the number of people caught for insurance fraud increased 23.7% to 102,679, and the total amount of caught jumped 50.6% to KRW 1081.8 billion. There may be various causes for this increase in insurance fraud, but one of the main reasons is that it is not easy to detect insurance fraud cases through initial investigations. In this cas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may be difficult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the suspect’s statement only with indirect evidence. Therefore, in the verification of the facts of the insurance fraud case, the early recognition of the case seems to be the key to detecting insurance fraud. Most insurance fraud cases have the specificity of having to prove allegations only with indirect and circumstantial evidence without direct evidence that has strong proof. Accordingly,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insurance fraud is increasing by exploiting the difficulty of proving insurance fraud. What is important in verifying the facts of insurance fraud based on indirect evidence is that the formation of conviction for insurance fraud needs to precede the collection of evidence. Given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detect insurance fraud in the early stages.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hich started based on the above recognition, was to develop and propose a ‘statement analysis criteria-based insurance fraud detection model’ as a new fact-finding tool for effective detection of insurance fraud. Preceding studies on statement analysis excessively focused on the validity analysis of statement analysis tools in general, and did not provide adequate answers to statement analysis models that could effectively respond to insurance fraud.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s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tatement analysis model suitable for detecting insurance frau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as part of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apidly increasing insurance fraud cases. So far, few research cases of model development for statement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ircles of jurisprudence, so this study has designed a five-stage development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a ‘statement analysis criteria-based insurance fraud detection model’ after extensively reviewing many analytic model development cases for use in specific decision-making in other disciplines such as public administr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In the first stage of this procedure, the detection criteria for insurance fraud statement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existing statement analysis/evaluation tools (CBCA, RM, SCAN) and criminal cases using a literatur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second stage, through the target group interview (FGI), the criteria for statements suitable for insurance fraud investigations were first extracted. In the third stage, through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statement analysis criteria suitable for insurance fraud investigation were finally extracted. In the fourth stage, a ‘statement analysis criteria-based insurance fraud detection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finally extracted statement criteria, and then a case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by substituting this model into the case of a final judgment on insurance fraud cases, thu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model. And in the final fifth stage,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final model was promoted by making its manual. In the course of going through this multi-stage model development process,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ies were applied to sufficiently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odel development. This study, conducted by applying a complex procedure and research methodology, was able to produce the following major study findings: First, by examining a number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studies on statement evaluation tools such as CBCA, RM and SCAN, and by looking into domestic criminal case precedents, this study resulted in 16 statement criteria that were believed to be meaningfully functioned in detecting the facts of insurance fraud. Second, six expert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insurance fraud investigations were sampled and an FGI meeting was held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the 16 statement criteria. As a result, exclusion opinions were presented on seven statement criteria, and therefore, the statement criteria were reduced to nine through the FGI meeting. Third, based on nine statement criteria extracted by securing reliability through the FGI meet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investigative practitioners and workers was conducted to collect analysis data, and then priorities for each statement criterion were derived through Borich’s needs assessment. As a result, ‘inconsistency of statements’ was analyzed as the number one criterion for statements, and it was followed by ‘irrationality of statements,’ ‘inconsistency in full descriptions for incidents and actions,’ ‘lack of detailed descriptions of events,’ ‘contradiction with objective facts,’ ‘reversal of statements,’ ‘omission of information in certain sections of the case,’ ‘suspicious criminal motives,’ and ‘disagreement with third-party statements,’ in diminishing order.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priority derivation for each higher criterion, ‘objective rationality dimension’ was analyzed as the top criterion, and it was followed by the ‘consistency dimension before and after the event,’ ‘objective reciprocality dimension,’ and ‘criminal motive dimension,’ in diminishing order. Finall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iscard ‘disagreement with third-party statements,’ ‘omission of information in certain sections of the case,’ and ‘suspicious criminal motives,’ which were relatively insignificant in priorities, and, therefore, they were finally reduced to six statement criteria. Fourth,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six statement criteria finally extracted through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function effectively as statement criteria for the detection of insurance fraud, a case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written judgment of three insurance-related fraud cases since 2010 focusing on their statement evidence and circumstantial evidence. As a result, among the three cases, the ‘homeless insurance murder case’ corresponded to five of the six statement criteria finally extracted, and the ‘octopus insurance murder case’ also corresponded to five statement criteria, and the ‘nicotine insurance murder case’ corresponded to all the six statement criteria. Fifth,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six statement criteria finally extracted to the investigation practice, the concept of each statement criterion was redefined. After conducting a discussion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above major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wo academic and three prac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by conceptualizing and presenting various statement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statement analysis, this study structuralized them to be used as a conceptual definition when conducting research on statement analysis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a hybrid research method that increa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xtracting statement criteria suitable for statement analysis, which is rare in the domestic circles of jurisprudence, and then established the specific process step by step. Third,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statement analysis criteria-based insurance fraud detection model’ that could increase its practical applicability to the insurance business field. Fourth, this study classified the statement criteria for the detection of insurance fraud and then clarified their relationship with higher criteria, thus suggesting them to be smoothly taken into account in judging the reliability of statements. Fifth, this study presented a quantitative boundary criterion that could make a judgment sufficient to have reasonable doubts about the statement of suspect.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statement analysis criteria-based insurance fraud detection model’ that enhanc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ffectively performing insurance fraud detection based on statement analysis, but it also has some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points for further researches. First, although ‘suspicious criminal motive’, namely one of the reference criteria of this study, which functions as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for conviction in criminal cases, was excluded from the final statement analysis model of this study, but the explanatory basis for the reason why the importance of this criterion is low in the practice of insurance fraud investigations was not sufficiently presen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low importance through repea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on various population groups involved in insurance fraud investigations. Second, this study presented a manual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judge as unreliable statements when at least four of the six finally extracted statements are met as quantitative criteria for judgment sufficient to have reasonable doubts in insurance fraud investigations, but since this is a proposal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it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applied uniformly to all insurance investigation cases. In this regard, follow-up studies will also need to verify whether quantitative standards sufficient to have reasonable doubts about the investigation work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actual conviction, that i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equacy of the quantitative standards and actual convictions. 금융감독원의 보험사기 적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적발 인원은 83,012명이었고 적발 금액의 총액은 7,185억여 원이었다. 이것이 6년이 지나간 시점인 2022년에는 적발 인원이 102,679명으로 23.7% 증가했고, 적발 금액의 총액은 10,818억여 원으로 50.6% 급증했다. 이처럼 보험사기의 증가 추세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이겠지만, 초동수사를 통한 보험사기 사건 인지가 쉽지 않다는 점도 그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이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간접증거만으로 혐의자의 진술 신빙성을 판단해야 하는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보험사기 사건의 사실인정에 있어 사건 초기의 인지 여부가 보험사기 적발에 있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보험사기 사건은 강력한 증명력을 가진 직접증거 없이 간접증거 및 정황증거만으로 혐의사실을 입증해야 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사기 입증의 어려움을 악용해 보험사기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간접증거에 의한 보험사기 사실인정에 있어 중요한 것은 보험사기 혐의에 대한 심증 형성이 증거 채증보다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보험사기를 초기에 인지할 수 있는 적정한 방법론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인식에 기초해 출발한 본 논문은 보험사기의 효과적 적발을 위한 새로운 사실인정의 도구로서 ‘보험사기 인지 진술분석 준거 모형’을 개발해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진술분석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은 대체로 진술분석 도구의 타당성 분석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고, 보험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만한 진술분석의 모형에 대해서도 적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미흡한 점을 보완해 본 논문은 급증하는 보험사기 사건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보험사기 인지에 적합한 진술분석 모형을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춰 개발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법학계에서 진술분석을 위한 모형 개발연구 사례를 거의 찾을 수 없어 본 논문은 행정학, 경영학 등 여타 학문 분야에서 특정한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분석 모형 개발 사례를 광범위하게 검토한 후 ‘보험사기 인지 진술분석 준거 모형’ 개발을 위한 5단계의 개발 절차를 설계했다. 이 절차의 1단계는 문헌 연구 방법론을 통해 기존의 진술분석 평가 도구(CBCA, RM, SCAN)와 형사 판례에 대한 문헌 분석으로 보험사기 인지 진술 준거를 도출해 분류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표적집단면접법(FGI)을 통해 보험사기 조사에 적합한 진술 준거를 1차 추출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Borich가 제안한 ‘요구도 분석’ 및 The Locus for Focus 모형 분석을 통해 보험사기 조사에 적합한 진술 준거를 최종 추출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최종 추출된 진술 준거를 토대로 ‘보험사기 인지 진술분석 준거 모형’을 정립하고, 보험사기 사건에 관한 확정판결 사례에 이 모형을 대입해 사례 분석 연구를 실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5단계는 최종적인 모형의 현장 적용성 제고를 위한 매뉴얼화를 추진하는 단계이다. 이같이 다단계의 모형 개발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문헌 연구, 계량적 연구, 질적 연구, 사례 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해 모형 개발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충분히 확보하고자 했다. 복합적인 절차 및 연구 방법론을 적용해 수행이 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결과를 산출할 수 있었다. 첫째, CBCA, RM, SCAN과 같은 진술 평가 도구를 중점적으로 다룬 다수의 국내외 선행연구와 우리나라 형사 판례 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보험사기 사실인정에 있어 의미 있게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 진술 준거로 16가지를 도출해 냈다. 둘째, 보험사기 조사 실무 경험을 갖춘 전문가 6명을 선정해 FGI 회의를 개최하여 1단계에서 도출된 16가지의 참고 준거의 적합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7가지 참고 준거에 대해 제외 의견이 제시되었다. FGI를 통해 진술 준거는 9가지로 추려졌다. 셋째, FGI 조사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해 추출한 9가지 진술 준거를 기반으로 조사 및 수사 업무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분석 자료를 수집한 후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진술 준거별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진술의 비일관성’이 1순위 진술 준거로 분석되었고, 그다음 순위는 ‘진술의 비합리성’, ‘사건 전말 서술 및 행적의 비일관성’, ‘사건에 대한 세부묘사의 부족’, ‘객관적 사실들과의 모순’, ‘진술의 번복’, ‘사건의 특정 구간에서의 정보 생략’, ‘의심스러운 범행 동기’, ‘제3자 진술과의 불일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준거별 우선순위 도출 결과에서는 ‘객관적 합리성 차원’이 1순위 상위 준거로 분석되었고, 그다음 순위는 ‘사건 전·후의 일관성 차원’, ‘객관적 상당성 차원’, ‘범행 동기 차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The Locus for Focus 모형 분석 적용 결과, 우선순위에서 상대적 중요성이 미약한 진술 준거인 ‘제3자 진술과의 불일치’, ‘사건의 특정 구간에서의 정보 생략’, ‘의심스러운 범행 동기’를 폐기하고, 최종적으로 6가지 진술 준거로 압축할 수 있었다. 넷째, Borich 요구도 분석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추출된 6가지 진술 준거가 보험사기 인지를 위한 진술 준거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지,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2010년도 이후 보험 관련 사기 사건으로 진술증거 및 정황증거에 기초해 확정판결이 내려진 3가지 판결 사례를 대상으로 선정해 판결문의 진술 내용을 토대로 사례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사례 중 ‘노숙자 보험 살인 사건’은 최종 추출된 6가지 진술 준거 중 5가지 진술 준거가 해당하였고, ‘산낙지 보험 살인 사건’은 5가지가 해당하였으며, ‘니코틴 보험 살인 사건’은 6가지가 해당하였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추출된 6가지 진술 준거를 조사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각 진술 준거별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이상의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해 그 의의와 가치를 찾기 위한 논의를 수행한 후 본 논문은 2가지의 학술적 시사점과 3가지의 실무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진술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진술 준거를 준거별로 개념화해 제시함으로써 추후 진술분석에 관한 연구 수행 시 개념적 정의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였다. 둘째, 국내 법학계 연구로서는 드물게 진술분석에 적합한 진술 준거를 추출하기 위한 타당성 및 신뢰성을 높인 혼합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 설계하여 그 구체적 과정을 단계별로 정립하였다. 셋째, 보험사업 분야에 실무적 적용성을 높인 ‘보험사기 인지 진술분석 준거 모형’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넷째, 보험사기 인지를 위한 진술 준거를 유목화하여 상위 준거와의 관계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이를 원활히 고려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다섯째, 진술인의 진술에 대해 합리적인 의심을 갖기에 충분할 정도의 판단을 위한 계량적 경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진술분석에 기초하여 보험사기 인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뢰성 및 타당성을 제고한 ‘보험사기 인지 진술분석 모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도 갖고 있어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였다. 첫째, 본 논문의 참고 준거 중 하나였던 ‘의심스러운 범행 동기’는 형사 판례에 있어 유죄 판단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 기능하지만, 본 논문의 최종 진술분석 모형에서는 제외되었는데, 보험사기 조사 실무에 있어 이 준거의 중요도가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그 설명적 근거를 충분히 제시하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보험사기 조사 업무에 관여하고 있는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양적・질적 연구 수행을 통해 그 이유를 찾기 위한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논문은 보험사기 조사에 있어 합리적 의심을 갖기에 충분할 정도의 판단을 위한 계량적 기준으로서 최종 추출한 6가지 중 최소 4가지 진술 준거에 해당할 때 신빙성 없는 진술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라는 매뉴얼을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양적 연구 조사 결과에 기초한 제안이기 때문에 모든 보험 조사 사례에 획일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해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 업무와 관련해 합리적 의심을 갖기 충분한 정도의 계량적 기준이 실제 유죄 판결을 끌어내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는지, 즉 계량적 기준의 적정성과 유죄 판결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실증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 심리생리검사 결과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에 관한 연구

        방철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55

        Psychophysiological detection of deception (PDD) is a traditional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widely used by Korea’s 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However, Korean courts have not recognized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aspects of PDD tests, reviewed the negative stance of academia and courts in Korea towards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and presented a new perspective for the evidential value of PDD test results. First, academia has raised concerns regarding the absence of legal relevance of PDD tests. However, when PDD tests are conducted based on the active request or voluntary agreement of the subjects,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their human dignity, personality rights, and right to silence are infringed. Provided that this condition is met, this study recognizes the validity of approving the legal relevance of PDD test results. Seco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addressed the issue regarding the absence of factual relevance of PDD test results. Aside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Supreme Court of Korea mistakes issues on probative power for those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this study analyzes that it is valid to approve factual relevance of PDD test result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is generally accepted in psychology that lying inevitably causes complex changes in a psychological state, such as fear of being caught, guilt, and pleasure derived from deceiving others. Second, researchers found that changes in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lying led to a serie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such as respiratory, cardiovascular, and electrodermal reactions, which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honest individuals. Finally, several empirical studies reported that PDD test results showed high accuracy of approximately 90%. Recently, multiple cases showed that courts of lower instance adopted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of guilt. It is analyzed that such changes in the evaluation of evidence by Korean cour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reased reliability of PDD test, which resulted from constant long-term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DD test measurement methods and technology. PDD tests have been recognized as a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and widely applied to solve criminal cases. In this regard, there is no reason for maintaining an excessively negative stance towards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Rather, Korean courts must apply admissibility of evidence to PDD test results when PDD tes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ctive request or explicit agreement of the subjects and when these tests satisfied certain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cognition of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does not harm justice since the probative value of evidence shall be subject to the discretionary judgement of a judg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Thus, this study recommends that Korean counts must approve PDD test results as scientific evidence instead of unconditionally ignoring their status as evide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Korean courts must determine the use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by examining the evidential value of these test results in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PDD test results as legal evidence, thereby providing practical support rational judgment of judges, promoting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and enhancing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e public. 심리생리검사는 전통적인 과학수사 기법 중 하나로, 검찰, 경찰, 국방부, 국정원 등의 국가기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법원에서 그 검사 결과의 증거능력은 부정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심리생리검사 전반에 대해 개관하고, 심리생리검사 결과의 증거능력에 대한 학계와 법원의 부정적인 입장을 재검토한 후, 그 증거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학계에서 제기하는 ‘법적 관련성 결여’ 문제와 관련하여, 피검사자의 적극적인 요구 내지 자발적인 동의에 의하여 검사가 실시되는 한, 인간의 존엄성이나 인격권, 진술거부권 등이 침해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심리생리검사의 법적 관련성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로, 대법원에서 제기하는 ‘사실적 관련성 결여’ 문제와 관련하여 - 대법원이 증명력의 문제를 증거능력의 문제로 오인한 점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 거짓말을 하면 필연적으로 발각에 대한 두려움과 죄책감, 속이는 즐거움 등의 복잡다기한 심리상태의 변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심리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점, 거짓말로 인한 심리상태의 변동은 호흡 반응, 심혈관 반응, 피부 전기 반응 등 일련의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이어져 진실한 사람들의 생리적 반응과 큰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에 의하여 확인된 점, 다수의 실증적 연구에서 심리생리검사 결과가 90% 상당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심리생리검사의 사실적 관련성 역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최근에는 하급심 법원에서 심리생리검사 결과를 유죄의 인정 증거로 채택하는 사례도 다수 확인되고 있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검사 방법이나 측정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선⋅발전됨에 따라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어 법원의 심증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결과로 생각된다. 심리생리검사가 과학적 수사기법으로서 인정받고 다양한 범죄 사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측면을 고려할 때, 검사 결과의 증거능력에 대하여 지나치게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오히려 피검사자의 적극적인 요청 또는 명시적인 동의에 의하여 검사가 실시되고 대법원에서 제시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였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증거능력을 부여하여야 한다. 심리생리검사의 증거능력을 인정하더라도 그 증명력에 대한 판단은 여전히 법원의 자유심증에 맡겨져 있으므로 정의가 훼손될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심리생리검사 결과를 증거로서의 자격을 무조건적으로 박탈하기보다는 과학적 증거로 인정하되, 개별 사건에서 증거로서의 가치를 검토하여 증거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심리생리검사가 법정증거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법원의 합리적인 판단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실체적 진실 발견과 국민의 인권보호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 방송의 헌법상 다원주의 실현방안 연구

        고철종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55

        Pluralism seeks various values and aims for diversity.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views are natural in terms of pluralism. It is the way democracy works that various views lead to rational decision-making through competition in the free market of ideas,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the basis of democratic principles under our Constitution. For the purpose of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to realize democracy through the expression of various views, the media should provide diverse and accurate information and views to the people. If media with the power to form and manipulate public opinion distort facts or abuse their power, public opinion manipulation will inevitably occur. For this reason, the Constitution allows legislation that restricts freedom of the media to ensure diversity of thought and views. The principle of regulating media appli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ince setting up a newspaper requires a small amount of capital and easy technology, the number of newspaper companies is high. So, judging that quantitative diversity guarantees diversity of views, it applies the principle of external pluralism to newspapers.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for broadcasters to achieve quantitative diversity due to the limited use of radio waves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dustry and the technical cost limitations. Accordingly, many countries adopted an internal pluralist model for broadcasting that forcibly captures diverse voices through legislation. However, since the 1990s, satellite broadcasting, general cable broadcasting, and IPTV have emerged, and the number of broadcasting channel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us securing quantitative diversity. For this reason, there are growing calls for a change in the principle of internal pluralism, which has been applied to broadcasting. The desirable direction of change is that the principle of internal pluralism should be applied more strictly to public broadcasters than it is now. Despite having to serve as a conduit for various views in line with constitutional responsibilities, public broadcasters have been subordinate to political power and have shown extreme bias against constitutional demands. The principle of external pluralism shall be applied step by step to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with a large increase in the number, but the minimum duty of balance and objectivity shall be given. To this end, it is reasonable to change some provisions of the Broadcasting Act. In the case of the provision of fairness and public interest under Article 6 of the Broadcasting Act, for public broadcasters, the specificity of the provis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clearly define the public responsibility under the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more precisely operate the regulation of ownership under Article 8 of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regulation of audience share under Article 69 in order to prevent monopolization of public opinion while acknowledging some bias for private broadcasting. In addition, public broadcasters must be politically independent in order to become a public forum for various views in line with constitutional demands. The first thing to do is to improve the law so that political intervention can be minimized in the composition of the broadcaster's president or the broadcaster's board of directors. To prevent public broadcasters from making biased reports, it is also seen as effective to add "diversity of observation" items to the Korea Communica- tions Commission's evalua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If a public broadcaster releases biased content, it will make it difficult to re-authorize the channel, thus curbing bias. In the case of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it is also appropriate to recognize their biased views, but to reflect how faithful they were to counterargument or fact-reporting in their evaluation scores. In order for various views to be released from broadcasting companies, Article 9 of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s regulation on fairness and 14 of objectivity should also be improved in a way that increases specificity.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fairness and objectivity is so comprehensive that there is much room for political intentions of the reviewers appointed under the allocation of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n addition, as there are differences in public responsibility under the Constitu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broadcasters, the standards for deliberation and the intensity of sanction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When public broadcasters break away from their long-standing political subordination and become channels and public forums of various views, and private broadcasters freely compete with their respective tendencies while maintaining a minimum balance, freedom of broadcasting for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 will be completed. 다원주의는 복수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다양성을 지향한다. 다원주의 관점에서 견해의 차이에 따른 갈등은 당연한 것이다. 다양한 견해가 ‘사상의 자유시장’에서 활발한 경합을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 것이 민주주의의 작동 방식이며 동시에 우리 헌법상 민주주의 원리의 근본 바탕이 된다. 헌법 제21조의 목적인 표현의 자유를 통한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미디어가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와 견해를 국민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여론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여론을 특정 방향으로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미디어가 사실을 왜곡하고 특정 견해만을 확산할 경우, 사상의 자유시장은 변질되고 민주주의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사상과 견해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 하에 미디어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이 헌법적으로 정당성을 얻게 된다. 미디어에 대한 규제원칙은 미디어가 가진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신문을 비롯한 인쇄미디어의 경우, 자본과 기술적 측면에서 방송보다 설립이 쉬워 수많은 매체가 경쟁하게 되었고, 이는 양적 다양성이 견해의 다양성을 보장한다는 믿음을 전제로 한 외부적 다원주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이에 비해 방송은 생성 초기, 유한한 전파를 사용하고 기술적으로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한계 때문에 양적 다양성을 이루기 힘들었고, 그에 따라 많은 국가들은 방송에 대해 절차적ㆍ조직적 규율을 통해 강제적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는 이른바 내부적 다원주의 모델을 채택하였다. 이런 산업적 특성에다 국내 방송이 형성 초기에 공공성을 강하게 요구받는 지상파 공영방송의 형태로 출발하였다는 역사성이 더해지면서, 한국의 방송법제는 자연스럽게 방송산업 전반에 대한 규율에 있어서, 방송 유형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내부적 다원주의를 공고히 하는 형태로 형성되었고 지금도 그 원칙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지상파 독점 시대가 저문 뒤 1990년대 이후 위성방송과 종합유선방송, IPTV가 생겨나고 여기에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수많은 프로그램 공급업자(PP)들까지 등장하면서 채널이 크게 늘어나 양적 다양성까지 확보한 현재의 상황은, 그동안 방송에 대해 적용되어 왔던 내부적 다원주의 원칙의 변화를 압박하고 있다. 더욱이, 견해의 다양성과 관련된 시사ㆍ보도 기능을 가진 방송사 가운데 통상 공영방송으로 분류되는 KBS나 MBC, 준공영 방송의 성격을 지닌 YTN과 연합뉴스TV 등은 상대적으로 더 큰 공적책임과 헌법적 요구에 따라 국민의 다양한 견해를 공정하게 반영하여야 함에도 수십 년째 극단적인 편향성 논란에 휩싸여 있다. 반대로 양적 다양성의 기반을 갖춘 민영방송은 방송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공영방송과 똑같은 공공성을 요구받으며 경향성의 표현을 억압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방송에서 헌법상의 다원주의 원칙 적용이 사실상 실패로 귀착된 이유를 구조적 역사적으로 따져보고, 다양한 방송 유형이 다원주의 실현이라는 헌법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새로운 시대환경을 감안한 바람직한 변화의 큰 방향성은 그동안 정치적 종속으로 인해 헌법적 요구에 어긋나게 극단적 편향성을 보여 온 공영방송과 준공영 방송사에 대해서는, 공적책무인 견해의 다양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도록 내부적 다원주의 원칙을 보다 엄격하고 실효성 있게 적용하는 것이다. 그 대신 양적 다양성을 확보해가는 민영방송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외부적 다원주의 원칙을 적용하되, 균형성과 객관성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를 정해놓아야 한다. 이를 위해 방송법의 일부 조항을 바꾸는 것이 타당하다. 방송법 제6조의 공정성과 공익성 조항의 경우, 공영적 방송사에 대해서는 공정성과 공익성 조항을 유지하거나 혹은 조항의 구체성을 강화시켜 헌법상의 공적책임을 분명히 규정하되, 언론 기능을 가진 민영방송에 대해서는 내부적 다원주의와 외부적 다원주의 원칙의 중간 단계 규율을 적용하는 게 타당해 보인다. 다만, 민영방송의 경우에도 인수합병을 통한 여론독과점 가능성을 막기 위해 방송법 제8조의 소유ㆍ겸영 규제와 제69조 시청점유율 규제를 좀 더 정밀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영방송과 준공영방송이 정파성을 벗고 독립적으로 헌법적 요구인 다양한 견해의 창출과 사상의 경합을 이뤄낼 수 있도록, 방송사 사장 및 이사회 구성이나 관리감독 기구인 방송통신위원회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위원 선임과정에서, 정치권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법률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현재 인사혁신처에서 운용 중인 헤드헌팅 제도인 '정부 민간인재 영입 지원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방송 재허가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심의 제도에 있어서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콘텐츠 평가항목에 ‘견해의 다양성’ 항목을 추가해 편향적 콘텐츠가 방송사 재허가의 걸림돌이 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공적책임이 큰 공영방송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념과 가치, 견해를 수용했는지를 엄격히 따지는 한편, 민영방송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편향적 견해를 인정하되, 방송이 가진 보편적인 사회적 책임의 원칙 아래에서 반론이나 사실 등에 얼마나 충실했느냐를 평가점수에 반영하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다. 방송심의 제도의 개선 역시 필요하다. 견해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규정인 제9조 공정성과 제14조 객관성 조항의 경우, 개념의 포괄성 때문에 여야 할당에 따라 임명된 심의 위원의 정파성이 개입될 여지가 큰 만큼, 공정성에 대한 정의 규정을 신설하고 내용을 구체화해 정치적 이해관계가 개입될 여지를 줄여야 한다. 심의의 적용 기준이나 제재의 강도도 공영적 방송과 민영방송은 헌법의 기본 정신인 다원주의 실현이란 공적책임의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차등 적용이 타당하다. 공영적 방송사가 오랜 정치병행성의 늪에서 벗어나 다양한 정보와 견해의 통로 및 공론장이 되고, 민영방송들이 최소한의 균형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각기 격조 있는 경향성을 드러내며 자유롭게 경합할 때, 비로소 헌법이 목적으로 하는 방송의 자유가 완결될 것이다.

      •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 정보제공의무자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김대수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55

        금융투자상품의 투자자는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한다. 금융투자상품이 더욱 다양화되고 복잡화됨에 따라 투자자에게 선택의 폭은 확대되었지만 위험도 더 커지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금융투자상품을 투자하려면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투자결정을 해야 한다. 투자자는 금융투자상품의 거래 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자기책임으로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투자자와 발행인 또는 금융투자업자 사이에는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 비전문가인 투자자는 전문가인 발행인과 금융투자업자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자본시장에서 대량적 집단적으로 거래되는 금융투자상품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행인과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자본시장법은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여 투자자를 보호하고, 공정하고 건전한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하여 발행인과 금융투자업자의 정보제공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민법에 대한 특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투자자가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 발행인과 금융투자업자의 정보제공의무와 그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검토하여 법제의 정비를 위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우선 증권시장에서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 정보제공의무에 대한 일반론을 체계화하고 발행인의 정보제공의무를 발행공시와 유통공시로 나누어 살펴보고, 투자권유와 관련하여 적합성 원칙과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금융투자업자의 정보제공의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발행인과 금융투자업자가 이러한 의무를 위반할 경우 손해배상책임을 분석하였다. 특히 손해배상책임의 인과관계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손해배상청구권자의 범위, 발행인의 면책여부, 손해배상액 산정, 적합성 원칙의 위반 시 손해배상책임 근거 및 설명의무 위반에 관한 입증책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본시장법의 법리를 살펴보고, 미국과 일본의 법제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해당 판례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자본시장법은 손해액의 추정 등을 통하여 투자자를 보호하고 있으나 아직도 문제점이 있어 법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발행인 등의 정보제공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부분에 대해서는 첫째, 발행공시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자를 발행시장에서 모집·매출한 증권을 취득한 자로 한정하고 있으나 발행시장에서의 취득자와 직접거래를 하여 취득한 전매자도 손해배상청구권자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발행인이 상당한 주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증권신고서 등의 부실표시를 알 수 없었음을 증명하는 경우 손해배상책임이 면책되나, 증권신고서 등의 기재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법의 목적을 감안하여, 발행인은 손해배상책임의 면책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손해배상액 산정은 취득가격에서 처분가격이나 변론 종결 시의 시장가격을 뺀 금액으로 추정한다. 변론종결 시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증권의 가격이 변동되는 등 불합리하므로 손해배상액의 산정 기준시점을 변론종결 시에서 소제기 시로 변경하는 것이 시장에 적합하다. 넷째, 손해배상청구권 행사기간은 단기의 소멸기간으로 투자자 보호에 지나치게 짧으므로 피해자에게 용이한 자본시장법상 손해배상을 받을 기회가 적절히 보장되도록 손해배상청구권 행사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금융투자업자의 손해배상책임부분에 대해서는 첫째, 적합성 원칙을 자본시장법상 도입했지만 그 위반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판례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적합성 원칙도 독립된 의무로서 그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명문화하도록 하고, 더불어 적합성 원칙 위반에 대한 입증책임의 전환, 적합한 금융투자상품을 권유하기 위한 금융투자상품 조사의무도 법에 반영하여 법률관계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 둘째, 설명의무 위반에 대한 손해액의 추정 외에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인 설명의무 위반사실의 입증문제에 대하여 비전문가인 일반투자자의 복잡한 금융투자상품 거래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하여 금융투자업자가 입증책임을 지는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투자권유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기간이 없으므로 금융투자상품 거래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속한 분쟁해결과 투자자보호를 위해 적절한 손해배상청구기간을 명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 잘못된 정보제공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체계가 정비되어 증권시장에 금융투자상품이 넘쳐나고, 더욱 원활한 금융투자상품의 거래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기업의 지식재산전략과 지식재산권 규율법제에 관한 연구

        박성진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39

        본격적인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진입과 함께 기술개발의 속도는 그 어느 때보다도 빨라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하루가 멀다 하고 양산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지식재산권의 가치와 중요성은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지식을 공유하는데 큰 어려움과 장애물이 없어지면서 지식재산권을 두고 벌이는 치열한 공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지식재산권과 관련한 정보는 급격히 증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재산이 기업에서 중요한 이유는 ‘독점권’ 때문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미래의 핵심기술이 빠르게 융합되고 있는 오늘날 새로운 기술들은 장차 미래 산업의 승패를 가를 정도로 신기술의 부가가치는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기업환경에서 독점권을 확보한다는 것은 막강한 산업 경쟁력을 갖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기업은 사업을 목적으로 지식재산권을 획득한다. 따라서 기업은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한편 지식재산에 대한 침해사건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지식재산에 대한 침해사건은 매출액의 감소 등 경영 성과와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경영의 관점에서 볼 때, 산업경제와 연관성이 밀접한 산업재산권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산업재산권은 보호해야 하는 대상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산업재산권을 보호하고 확장할 수 있는 전략도 유연하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지식재산권에 대한 권리의 특징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다면 침해행위를 구체적으로 입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해로 인한 손실을 보전하거나 침해자를 처벌할 수도 없다. 요컨대, 기업은 법적으로 확보한 지식재산권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활동을 공식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브랜드와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로열티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아울러 지식재산권을 법으로 보호받게 되면 분쟁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기술과 지식에 대하여 법적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만약, 지식재산권에 대한 본질을 왜곡하거나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타인 혹은 타기업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할 경우, 기업의 브랜드 가치는 저하되고 기업의 신뢰도 역시 추락하는 등 큰 문제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디지털 지식재산의 급부상과 함께 지식재산에 대한 형사제재와 행정규제 등의 공적 제재가 날로 약화되는 법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은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법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생존을 넘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권과 같은 무형의 자산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들은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변수들을 순열·조합하기 위해 ‘메커니즘 기반관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메커니즘의 주체관점에 대한 변수로 경영자의 지식경영에 대한 리더십과 지식재산권 보호 및 리스크 관리 등을 도출하였다. 환경관점에서는 무형자산의 중요성 대두,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지식재산의 급부상, 특허청 및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의 기업에 대한 지식재산권 지원전략 및 공적 권위의 약화 등을 변수로 도출하였으며, 자원관점에서는 기업의 성장단계별 IP 전략, 지식재산 관련 법·제도 및 시스템 등을 변수로 도출하여 고찰하였다. 위 각 관점에서 도출한 변수들은 예측과정과 분석과정을 통해 조합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는데, 우선, “제품이 개발된 후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시장의 변화에 따라 각 과정별로 부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기술수명주기 이론의 개념에 착안하여 “기업은 성장단계별로 지식재산 관련 전략을 변화시킨다”는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하였다. 이러한 기업의 성장단계별 지식재산관련 전략을 예측하기 위해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지식재산에 대한 다양한 침해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규율 법제를 고찰하면서 민사적 구제와 공적 제재에 대해 분석하였다. 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기술개발 및 지식재산권의 발굴을 주도하는 경영진의 리더십, 지식재산권과 관련한 다양한 법·제도, 자금과 인적자원, 조직문화 및 시스템 등에 대한 가치평가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자본으로 변환할 경우, 세제 혜택, 자본금 충당 등을 비롯하여 매출 증가와 경쟁에서의 우위 선점 등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권을 자본화하는 메커니즘이 작동되어야 하며, 이때야 비로소 지속적인 선순환의 프로세스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지식재산권에 대한 규율 법제를 고찰하면서 도출한 개선사항으로, 우선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해서는 영업비밀 입증책임의 경감과 내부고발자에 대한 면책 규정의 신설, 법인과 개인의 형량 차별화, 몰수규정의 신설 및 개정, 양형기준에 대한 상향화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특허법」과 관련해서는 특허권의 신뢰 강화를 통한 ‘특허 무효심판 인용률’의 개선, 침해소송의 독립성 확장, 특허침해 손해배상액의 현실화 등을 제안하였으며, 「상표법」에 대해서는 상거래 관행에 대한 법률 개정의 필요성과 범위의 제한 등을 발의하였다. 「산업기술보호법」과 관련해서는 산업기술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정립 필요성, 부정한 국가 핵심기술의 수출행위에 대한 처벌규정, 부정한 해외 인수 및 합병에 대한 처벌규정, 산업통상부장관의 명령 불이행에 대한 처벌규정 및 목적 외 다른 용도의 사용공개에 대한 처벌규정 등의 개선을 제안하였으며, 사이버 대응을 위한 법·〮제도에 대해서는 사이버 기본법의 제정 필요성과 함께 디지털 포렌식 법〮제도의 제정 당의성 등을 제안하였다. 「관세법」과 관련해서는 관세청 고시의 문제점에 대한 법제 변경의 필요성, 지식재산권 신고제도 및 통관 보류기간에 대한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으며, 「불공정무역조사법」에 대해서는 「불공정무역조사법」과 「부정경쟁방지법」 간 정합성에 대한 검토, 「불공정무역조사법」상의 지식재산권 침해 범위 내 부정경쟁행위의 추가 타당성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형사적 제재의 개선사항으로 자유형과 벌금형 간의 불균등성에 대한 문제점 해소, 형사처벌을 과태료 등 행정규제로 전환하거나 형량의 수위를 조절할 법령의 필요성, 친고죄에 대한 찬반양론의 절충, 적용되지 않은 처벌조항과 지나치게 가혹한 형사처벌은 분석과 해석과정을 통해 모든 당사자의 권익이 편중됨 없이 보호되도록 재정비할 필요성을 발의하는 한편 행정적 규제에 대한 개선사항으로는 국민의 권익 보호와 행정참여를 반영한 합리적 입법방안에 대한 모색, 행정형벌에서 벗어나 행정질서벌의 원리 체제로 법령을 정비할 필요성과 함께 노련한 심판관과 지식재산을 전담하는 판사가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과 아울러 무역위원회의 독립적 운영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With the entry in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earnest, the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faster than ever. The value and import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rapidly emerging in modern society, where new technologies are being mass-produced day by day. In particular, as great difficulties and obstacles to sharing knowledge disappear, fierce battle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information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rapidly increasing and expanding. The reason why such intellectual property is important in companies is because of ‘exclusive rights’. Today, when future cor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are rapidly converging, the added value of new technologies is gradually increasing to the extent that they determine the victory or defeat of future industries. Securing exclusive rights in this corporate environment is not much different from having stro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companies acqui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business purposes. Therefore, companies should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actively respond to infringement cases of intellectual property. This is because infringement cases on intellectual property are also directly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a decrease in sale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management, there is a problem with industrial property righ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dustrial economy, and since these industrial property rights are all different, strategies to protect and expand industrial property rights should also be flexibly used. In other words,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s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the infringement cannot be specifically proved, and the loss caused by damage cannot be compensated or the infringer cannot be punished. In short, companies can not only officially protect R&D activities by utilizing legally secur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ut can also further increase corporate brand and reliability, and generate new profits through royalties. In addition, i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protected by law, legal rights can be exercised over the relevant technology and knowledge whenever a dispute arises. I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others or other companies are unintentionally violated by distorting or not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possibility cannot be ruled out that they will expand into major problems such as a decline in corporate brand value and a decline in corporate reliability. In particular, companies are carrying out management activities amid changes in the legal environment in which public sanctions such as criminal penalties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are weakening day by day along with the rapid rise of digital intellectual property. In order for companies to survive in these changes in the legal environment and to ensur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beyond surviv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angible asse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a ‘mechanism-based view’ to permute and combine variable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tudy, leadership,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risk management of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were derived as variables for the mechanism's subject perspective.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assets, the rapid rise of digital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government's intellectual property support strategy and public authority for companies such as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derived as variables. The variables derived from each of the above perspectives were combined through prediction and analysis processes. First, the focus was on “companies change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strategies at each growth stage” based on the concept of product life cycle theory that “a strategy is needed for each process.” System Dynamic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o predict strategi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by growth stage of these companies. In addition, civil relief and public sanctions were analyzed while considering the regulatory legislation to analyze various types of infringement on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I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converted into capital through the leadership of management leading the discovery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various laws and system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unds and human resourc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ystems, sales and competition can be expected.” In additio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as first proposed to reduce the burden of proving trade secrets, establishing immunity regulations for whistleblowers, differentiating corporate and individual sentences, establishing and revising confiscation regulations, and raising sentencing standards. In relation to the Patent Act,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patent invalidation trial citation rate by strengthening the trust of patent rights, expand the independence of infringement litigation, and realize the amount of patent infringement damages. Regarding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it proposed the need to establish a clear defini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punishment for illegal national core technology exports, punishment for illegal overseas acquisitions and mergers, and punishment for disclosure of use for other purposes. Regarding the Customs Act, the need to change the legisla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eporting system, and the customs suspension period were proposed, and the unfair trade investigation law was reviewed. In addition, the following points were proposed as improvements to criminal penalties.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inequality between free sentences and fines, convert criminal punishment to administrative regulations such as fines or control the level of punishment, compromise between pros and cons of crimes, and reorganiz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ll parties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eanwhile, the following matters were proposed as improvements to administrative sanc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cess so that reasonable legislative measures reflecting the protection of people's rights and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revision of laws based on the principle system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ndependent operation of trade committees, and experienced examiners and judges in charge of intellectual property can decide.

      • 사회적 공분(公憤) 유발범죄의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만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39

        In modern society, media reports on crime occupy one of the negative experiences that are too easily accessible. It would also mean that there are so many crimes around us. The side effects of crime on our society are serious. According to a study, the cost of crime victimization in 2008 was estimated to reach 36.5 trillion won, and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announced that the social cost of crime in 2008 exceeded 158 trillion won. The bigger problem is that crime is presumed to be a medium of a vicious cycle that leads to another crime. Many previous studies believe that crime and media reports on crime lead to negative perceptions and distrust of judicial authority and life, breaking the community ties, increasing crime. In order for crimes to have a psychological impact to break trust in legal order and community ties, It should not be a general crime that is easily forgotten after seeing it in the media, but a crime with a ripple effect that leads to social outrage. And there seem to be a lot of crimes in our society that cause social outrage.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also means that members of society have experienced a lot of anger about the crimes that occurred. This means that many members of society have similar perceptions and judgments, at least in the area of experience with crime. In fact, 124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aper’s perception survey also recognized that there were many crimes that caused outrage in Korea, and said that the more crimes that caused social outrage, the harder it was to trust the legal order. As such, social outrage against crime leads to distrust in the safety system of society that prevents and punishes crime. This means a decline of trust in legal order. Since society with low trust in legal order also lowers the authority of public power, which has led to the side effects of trying to exercise public functions such as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directly by private individuals. The spread of private sanctions and self-rescue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form. Of course,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are not always negative. This is because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have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crimes that triggered outrage, and have institutional improvement effects such as making our society aware of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reinforced for safety. Nevertheless, since the negative impact of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has a very large impact, the continued decline in trust in legal order must be improved. This is because it sends the wrong message to society that not following the legal order is more effective than following the legal order. Someone receives the message. This is the process of spreading distrust in legal order, and this is also the process of “a favorable definition to the violation of the law exceeds an unfavorable definition to violation of the law” in Sutherland’s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In such a process, the likelihood of crime is bound to increase. In fact, as of 2019, the total crime rate in Korea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217,873 cases compared to 20 years ago. The recidivism rate of ex-convicts has also been maintained between 40% and 50% for 20 years, and among the six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robbery, sexual violence, theft, assault⋅injury, and arson, the proportion of ex-convicts in all five crimes excluding sexual violence crimes was greater than non-convict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rime leads to distrust in society and consequently increases crime, which is the same as referring to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outrage-causing crimes noted in this study. And such a vicious cycle must be cut off. As a result of analyzing media reports on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many members of society have a particularly prominent common needs for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It was the disclosure of criminals’ personal information, strong punishment, and improvement of the appropriate legal system. In order to lower the negative effects derived from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in a way that satisfies the needs of members of society. It may be a natural result for society members to distrust our country’s legal order, who have experienced repeated frustration of their demands whenever a crime that causes social outrage occurs. The way to resolve such distrust and build trust in legal order i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asically begins with a listening attitude. Effective crime prevention can begin with a shift in awareness of the cause of the crime. 현대사회에서 범죄에 관한 언론보도는 너무 쉽게 접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경험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 주위에 범죄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범죄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부작용은 심각하다.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200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범죄피해 비용이 36조 5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서는 2008년 범죄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비용이 158조가 넘어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더욱 큰 문제는 범죄가 또 다른 범죄를 불러오는 악순환의 매개체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은 범죄와 범죄에 대한 언론보도가 사법권한과 삶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불신을 초래하여 사회공동체의 유대를 깨트려 범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 있다. 범죄가 법질서에 대한 신뢰와 공동체의 유대를 깨트릴 정도로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언론에서 한번 보고 쉽게 잊혀지는 일반범죄가 아닌 사회적인 공분을 이끌어낼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는 우리 사회에 결코 적지 않은 듯하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많다는 것은 사회구성원들이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 분노의 감정을 많이 경험했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최소한 범죄에 관한 경험의 영역에서 많은 사회구성원들이 유사한 인식과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이 논문의 인식조사에 참여한 124명의 참가자들 또한 우리나라에서 공분을 유발하는 범죄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범죄로 인해 분노의 감정을 가장 많이 느꼈고,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범죄가 많을수록 법질서를 신뢰하기가 힘들다고 답했다. 이렇듯 범죄에 대한 사회적 공분은 범죄를 예방하고 처벌하는 사회의 안전체계에 불신을 초래한다. 이는 곧 법질서에 대한 신뢰의 하락을 의미한다. 법질서에 대한 신뢰가 낮은 사회는 공권력의 권위 또한 낮아지기 때문에 수사와 처벌 같은 공적 기능을 사인이 직접 행사하려는 부작용을 불러왔다. 사적제재와 자력구제의 확산이 대표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언제나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는 공분을 촉발한 범죄와 관련된 제도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우리 사회가 안전을 위해 개선 및 보강해야 할 부분을 인지하도록 하는 등 제도개선 효과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의 부정적인 영향은 그 파급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법질서에 대한 신뢰의 하락이 계속되는 현상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법질서를 지키는 것보다 지키지 않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잘못된 메세지를 사회에 발신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그 메세지를 수신한다. 법질서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과정이며 이것이 서덜랜드의 차별교제이론 중 ‘법위반에 대한 우호적인 정의가 법위반에 대한 비우호적인 정의를 초과’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한 과정에서 범죄의 발생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실제 우리나라의 전체범죄율은 2019년 기준으로 20년 전에 비해 평균 217,873건이 증가해있다. 전과자들의 재범률도 20년간 40%~5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살인, 강도, 성폭력, 절도, 폭행⋅상해, 방화 등 6개의 강력범죄 중 성폭력 범죄를 제외한 5개 범죄에서 모두 전과자의 비중이 비전과자의 비중보다도 컸다. 범죄가 사회에 불신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범죄를 증가시킨다고 본 많은 연구 결과들은, 이 연구에서 주목한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의 부정적인 영향을 말하는 것과도 같다고 본다. 그리고 그런 악순환의 고리는 반드시 끊어야 한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에 대한 언론보도를 분석한 결과 많은 사회구성원들이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에 대해 유독 두드러지는 공통된 욕구를 갖고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범죄자의 신상공개, 강력한 처벌, 그리고 적절한 법제도의 개선이었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로부터 파생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방식으로 법제도의 개선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바래왔던 요구들이 반복적으로 좌절되는 것을 경험한 사회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법질서를 불신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러한 불신을 해소하고 법질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길은 소통이며, 소통은 기본적으로 듣는 자세로부터 시작된다. 효과적인 범죄의 예방은 범죄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에서 시작될 수 있다.

      •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법제연구 : 데이터산업의 지식재산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유영복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우리는 55년 전 상상 속의 세상에서 살고 있다. 이와 같은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 바로 4차 산업혁명의 데이터산업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의 주요국들은 4차 산업혁명을 가속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20년 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주요 디지털 전환 정책으로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전략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필요한 법제도의 현황에 대해서 지식재산법의 쟁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데이터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3법의 개정은 데이터 경제의 초석을 세우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는 공공데이터와 개인정보가 결합한다면 우수한 품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사업이 창출되고 빅데이터 플랫폼,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등의 ‘디지털 뉴딜’ 정책과제를 뒷받침하는 원천이 될 것이다. 빅데이터 플랫폼은 4차 산업혁명의 사회간접자본이며 무한한 가치 창출의 원천이다.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세트와 빅데이터베이스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TDM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작권의 침해는 ‘공정이용’의 법리로 배제수 있다. 현재 입법절차 중인 저작권법 전부개정(안)도 ‘공정이용’의 법리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는 인공지능의 성능과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인공지능의 가치사슬에서 우리나라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수단이 될 것이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는 영국 저작권법의 ‘컴퓨터 산출 저작물의 법리’를 차용하여 저작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지만, 특허발명으로 보호받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부정경쟁방지법의 성과도용 행위와 영업비밀로는 보호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위한 법제도를 연구해 본 결과 지식재산법상 보호의 공백이 다수 보인다. 모쪼록 한국판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기 위한 지식재산법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의 선도국가가 되기를 소망한다. We live in a world that was imagined 55 years ago. Creating a world like this is the data industr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shing for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to accelerat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also announced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Comprehensive Plan” in July 2020 and is promoting the “Digital New Deal” as a major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The “Digital New Deal” is the most important national strategy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Comprehensive Plan” based on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legal system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omotion of the “Digital New Deal”, focusing on the issue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t can be said that the revision of the Data 3 Act to revitalize the data industry serve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ata economy. If Korea's strong public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are combined, new businesses will be created based on high-quality data, and will be a source of support for the “digital new deal” policy tasks such as big data platfor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The big data platform is the social overhead capit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ource of infinite value creation. The dataset and big data of the big data platform will be protected by copyright law as a database. In order to build a big data platform, data collection and TDM are required, and copyright infringement that occurs in this process can be exempted from the law of “fair use”. It seems that the entire amendment to the copyright law currently under legislative proceedings also reflects the law of “fair us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is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ill serve as a means for Korea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value chai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can be recognized as a work by borrowing the “law of computer-generated works” of the UK Copyright Act, but there is a controversy over being protected by a patented invention. However, performance theft and trade secret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may be protecte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legal system for the success of the “Digital New Deal” there are many gaps in protection under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t is hoped that Korea will become a leading coun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reorganiz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system to promote the Korean version of the Digital New Deal.

      • 인공지능의 생성물에 대한 지식재산법적 연구

        최재원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18세기의 산업혁명 이후로, 기계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달하게 되었다. 수십년간의 짧은 시간동안 인류는 특히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고, 이러한 발전에 의해 새로운 사회적인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 처음으로 '인공지능' 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시스템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지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인공지능은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하며 게임, 미술, 음악, 어문 등 고도의 창작을 요하는 저작권 분야 뿐만이 아니라 특허발명의 영역에서 생성물을 산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재산의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국외의 사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생성물의 지식재산권적 쟁점을 살펴보면, 저작권적인 관점에서는 인공지능의 저작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여부가 발생한다.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저작물의 경우, 약한 인공지능으로 산출된 저작물이라면 저작자를 이용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나, 강한 인공지능의 경우에는 저작자가 누구인지를 특정할 수 없다는 맹점이 있다. 특허의 경우, 인공지능은 발명자의 지위를 가질 수 없고, 다만 발명자주의의 예외인 직무발명 제도를 유추하여 검토될 수 있다.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생성물의 침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약한 인공지능의 경우 민형사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으나, 강한인공지능과 초인공지능에게는 민형사상의 책임의 부과가 어렵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생성물의 이용과 관련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약한 인공지능에서는 저작권법과 특허법에 있어 별도의 인공지능특별법의 제정 없이 본 편에 하나의 장으로 삽입하는 것이 적당하나, 강한 인공지능 단계에서는 현행 지식재산권법으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별도의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8th century, mechanical technology developed very rapidly. In the short period of decades, mankind has made particularly remarkabl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ve led to new social problems. In the 1950s, the word "artificial intelligence" was first used, and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on intelligence artificially created by the system. Suc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learned and developed on its own through deep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 producing products in the areas of patent invention as well as in copyright areas requiring high-level creation such as games, art, music, and language. We considered how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treated in this field of knowledge property, citing overseas examples. Looking a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sues of product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a copyright perspective, whether or not the auth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raised. In the case of works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author as a user if the work is produced by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but in the case of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impossible to specify who the author is. In the case of patents, artificial intelligence shall not have the status of an inventor, but it may be examined by inferring the job invention system, which is an exception to inventorism. In the event of infringement of products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can be imposed on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but it is difficult to impos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on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uper-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legislative improvements related to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s were considered. In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appropriate to insert a separate artificial intelligence law into the main page without enacting a separate artificial intelligence law, but in th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stage, it is reasonable to enact a separate special law.

      • 의약품관련 지식재산권에 관한 자유무역협정(FTA) 연구

        노홍석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39

        As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has been in effect for nine years,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increasing, but legal issues such as drug licensing and patent linkage are becoming an issue in the pharmaceutical sector. As the Korea-EU Free Trade Agreement (FTA) enters its ninth year in effect, issues similar to those arising from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are emerging in the pharmaceutical sector. Since most of the original medicines protected by patents are owned by global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a typical victim industry in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the Korea-EU Free Trade Agreement (FTA), which requires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and strategic preparedness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 particular, both Free Trade Agreements (FTAs) are expected to deal a blow to the production of generic drugs, a source of revenue for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This thesis discusses the problems below. The impact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on the agreement in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pharmaceutical sector is reviewed, analyzed, and evaluated by clause. After signing the additional agreement on February 10, 2010, the U.S. and South Korea passed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on November 22, 2011, the Ac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from March 15, 2015, South Korea introduced a drug licensing-patent linkage system. The drug licensing-patent linkage system is a system that notifies patent holders of new drugs if they apply for permission to sell generic drugs during the period of patent existence of new drugs, and if the patent holder who is notified of such fact files a patent infringement suit against generic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utomatically suspends the licensing process for generic drugs. The United States requires that an unauthorized person submit a complete list of patents that could reasonably claim to infringe a patent when manufacturing, using or selling a new drug for a traditional chemical compound drug, that certain protection is given to the listed list, and that bio-medicine is required by the applicant without a patent list to notify the provider of the application for permission. After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was signed, Korea revised the Pharmacist Act to introduce a licensing-patent linkage system, which requires the use of a patent listing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al chemical synthetic and bio-pharmaceuticals. In this thesis, the impact of drug licensing-patent linkage system o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is reviewed and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the U.S., Canada and Australia's pharmaceutical industry, which is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drug licensing-patent linkage system. While Australia is required to submit patent statements for the entire patent pool without having a list of drug patents while Korea, the U.S., and Canada are required to have an Orange Book and a Patent List, respectively, to register drug patents. The most controversial part of the listing of patents for medicines is the listing of patents, which reviews the differences in the conditions for listing lists of patents for medicines that operate the patent list. The U.S. and Canada are similar to Korea in section 314.53(b) (2) that patents subject to registration can be listed on the list of patents for validity, patents for formulation and composition, and 2) for product by process Claim limited by decision-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see article 21 CFR article 314.53(b)(2) and article 2 of PM (NOC)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listing only patent numbers on the patent list and not individual claims are different from Korea. South Korea is subject to registration if a material limited to manufacturing methods is new. Unlike the U.S. corporation BPCIA's regulation of separate notification procedures for biopharmaceuticals, Canada allows patents for biopharmaceuticals to be listed in the same procedure as those for chemical synthesis, which operates similarly to Korea. In addition, this thesis analyzes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 drug licensing-patent linkage system of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to examine and analyze the effects of Korea's generic drug licensing procedures and pharmaceutical company's management and operations. It is also going to review and analyze the impact of the Korea-EU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the TPP on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ie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Korea-EU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the exclusive right to drug data of the TPP, and review what Korea needs to prepare to join the TPP. It analyzes the impact of TBT,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as a trade barrier,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pharmaceutical sector and presents countermeasures. Next, we will examine and analyze various cases of patent litigation for pharmaceutical products and explore strategies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to respond to patent litigation. Finally,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nd present various measures to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ness. 한·미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의 발효 9년 차가 되면서 양 국가 간의 교역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의약품 분야에서는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같은 법률적인 문제가 쟁점화되고 있다. 한·EU 자유무역협정(FTA) 또한 발효 9년 차에 접어들면서 의약품 분야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유사한 쟁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허로 보호받는 대부분의 오리지널 의약품은 글로벌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보유하고 있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서 제약 산업은 전형적인 피해 산업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제약업계의 전략적 대비책이 요구된다. 특히 양쪽 자유무역협정(FTA)모두 의약품의 특허권 보호가 강화되어 한국 제약회사들의 수익창출원인 제네릭(Generic) 의약품 생산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은 아래 문제들을 논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의약품 분야의 협정문에 대한 한국 제약 산업의 파급 영향을 조항별로 검토·분석하고 평가한다. 한, 미 양국은 2010년 2월 10일 추가 협상 합의문서에 서명 후 2011년 11월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법률인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고, 2015년 3월 15일부터 한국은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도입하였다.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는 신약의 특허가 존속하는 기간 중에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판매 허가가 신청된 경우 이러한 사실을 신약 특허권자에게 통보하고, 이 사실을 통보받은 특허권자가 제네릭 제약회사를 상대로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하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허가 절차를 자동으로 중지하는 제도이다. 미국은 전통적 화학합성 의약품에 대해 새로운 의약품의 판매승인 신청을 하는 경우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해당 약품을 제조, 사용하거나 판매하는 때에는 특허가 침해된다고 합리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전체 특허목록을 제출하게 하고, 이 등재된 목록에 대하여 일정한 보호가 주어지고, 바이오 의약품은 특허목록 없이 허가 신청자가 대조약 제공인에게 허가신청 사실을 통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약사법을 개정하여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도입하였는데, 전통적 화학합성 의약품과 바이오 의약품의 구별 없이 전부 특허 등재 목록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한국 제약 산업에 파급되는 영향을 검토·분석하고,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도입·시행되고 있는 미국·캐나다·호주 제약산업의 현황과 비교분석한다. 호주는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운용하면서 의약품 특허 목록을 구비하지 않고 전체 특허풀에 대해서 특허 진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반면에, 한국·미국·캐나다는 각각 오렌지 북(Orange Book)과 의약품 특허 목록(Patent List) 등을 구비하고 의약품 특허를 등재하도록 하고 있다. 의약품의 특허 목록 등재와 연관하여 가장 많은 논쟁이 되는 부분은 특허 목록 등재의 대상인데, 본문에서는 특허 목록을 운용하고 있는 의약품 특허 목록 등재 조건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한다. 미국과 캐나다는 1) 등재 대상이 되는 특허가 유효성분에 관한 특허, 제형·조성물에 관한 특허, 용도 특허라는 것 2) 결정다형과 제조 방법에 의하여 한정된 물건 발명(Product By process Claim)의 특허 목록 등재가 가능하다는 것{21 CFR 제314.53조(b)(2), PM(NOC) 규정 제2조 참조}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반면에 특허 목록에 특허번호만 기재하고 개별 청구항은 기재하지 않는 것은 한국과 차별된다. 한국은 제조 방법에 한정된 물질이 신물질인 경우에는 등재 대상이다. 미국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법인 BPCIA에서 별도의 통지 절차를 규정한 것과 상이하게, 캐나다는 생물의약품에 대한 특허도 화학합성의 약품과 동일한 절차로 등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한국과 유사하게 운용되고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의 본질과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의 제네릭 의약품 허가절차와 제약회사 경영과 영업에 파급되는 효과를 검토·분석한다. 한·EU 자유무역협정(FTA)과 TPP가 한국 제약 산업에 파급되는 영향도 검토, 분석한다. 한·EU 자유무역협정(FTA)과 TPP의 의약품 자료독점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고 한국이 TPP 가입하려면 준비해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근래 무역장벽으로 쟁점화되는 TBT가 의약품 분야의 지식재산권에 파급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의약품 특허 소송 사례들을 검토·분석하여 한국 제약회사들의 특허소송 대응 전략을 탐색한다. 끝으로 한국 제약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다양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